KR20220163464A -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464A
KR20220163464A KR1020227038563A KR20227038563A KR20220163464A KR 20220163464 A KR20220163464 A KR 20220163464A KR 1020227038563 A KR1020227038563 A KR 1020227038563A KR 20227038563 A KR20227038563 A KR 20227038563A KR 20220163464 A KR20220163464 A KR 2022016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rotation
adapter
final position
adapt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니크 토만
마르틴 크라빅
마레크 페니아스카
토마시 쿠카
안드레즈 주바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6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02Worm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 헤드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10)로서, 상기 조정 장치(10)는:
-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작동 요소(5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와 맞물려기 위한 결합 요소(60);
- 상기 작동 요소(50)가 거기 안에서 상기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70);
- 상기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
- 상기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
- 상기 하우징(70) 상에 장착가능한 어댑터 요소(300)로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70)은 고정 장치(40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장치(400)는 상기 하우징(70) 상에서 최종 포지션(P1)으로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장치(400)는 베이스 섹션(410) 및 제 1 체결 요소(410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장착-개구(310) 및 제 2 체결 요소(310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장치(400)는, 상기 베이스 섹션(410) 상에 상기 장착-개구(310)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최종 포지션(P1)이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제 2 체결 요소(310a)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체결 요소(410a)와 맞물리는, 어댑터 요소(300);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정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조정 장치는:
-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작동 요소로서, 2개의 원위 단부들과, 이들 단부들 사이 안에 배열되어 있는 나사산 부위,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제 1 맞물림 부위는 한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맞물림 부위는 다른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작동 요소;
-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와 맞물리기 위한 결합 요소로서, 상기의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의 나사산 부위에 대응하는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의 회전 운동을, 제 1 회전 축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이용해서 작동 요소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결합 요소;
- 작동 요소가 거기 안에서 작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섹션을 이용해서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 작동 요소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로서, 상기의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는 작동 요소의 제 1 맞물림 부위에 대응하는 제 1 맞대응-맞물림 부위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는 제 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여기에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의 제 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맞물림 부위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
- 작동 요소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로서,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는 작동 요소의 제 2 맞물림 부위에 대응하는 제 2 맞대응-맞물림 부위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제 2 트랜스미션 요소는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여기에서 제 2 트랜스미션 요소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의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 2 맞물림 부위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는 작동 요소에 대해 동축방향이고,
여기에서 작동 요소의 회전 운동을, 제 1 회전 축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결합 요소의 맞대응-나사산 부위와 조합 상태에 있는 나사산 부위가 있는 작동 요소는 제 1 또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의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을 따르는 결합 요소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
- 최종 포지션으로 하우징 상에 장착가능한 어댑터 요소로서,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는 맞물림 포지션으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의 맞물림 포지션에서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가 작동 요소와 맞물리고, 그리고 여기에서 하우징은 하우징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정 장치는 하우징 상에서 어댑터 요소의 최종 포지션으로 어댑터 요소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댑터 요소;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술된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법률을 준수하여 헤드램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 패턴을 조정하기 위하여, 헤드램프의 하나 이상의 광학 관련 유닛들이 그 중에서도 높이가 조정가능하다는 점 그리고/또는 측방으로 조정가능하다는 점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련 광학 어셈블리 유닛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소스,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컨대 라이트 모듈이지만, 적절하게 조정되는 리플렉터들, 렌즈들 등과 같은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조 유닛은 하나 이상의 축들을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수평방향 축 및/또는 수직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운동가능하도록 헤드램프 안에 종종 장착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이트 모듈들은 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은 위에서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축들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라이트 소스들, 리플렉터들 및/또는 렌즈들과 같은 자동차 헤드램프들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들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들은 헤드램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 패턴을 특정된 요건들에 부합하게 한다. 이는 조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헤드램프가 자동차에 설치되어진 후 결정되는 목표 사양(target specification)들로부터의 편차들을 순차적으로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은 보통 조정을 위하여 제공되고, 드라이브 유닛은 보통 수동으로 조작가능하고, 예컨대 드라이브 유닛은 로터리 휠 또는 조정 스크루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휠 또는 조정 스크루의 회전 운동은 적합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헤드램프 하우징 안에서 대응하는 슬라이드 방식들로 가이드되어 변위가능한, 결합 요소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광학 관련 구성요소, 예컨대 구성요소가 거기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의 조정 포인트는 결합 요소 안에 장착되고, 그래서 결합 요소가 변위되는 경우, 구성요소 또는 지지 프레임은 피벗운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 장치는 베이스 섹션, 및 베이스 섹션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 1 체결 요소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는 장착-개구 및 제 2 체결 요소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고정 장치는, 고정 장치의 베이스 섹션 상에 장착-개구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최종 포지션이 도달될 때까지 제 1 회전 축을 따라 어댑터 요소를 움직임으로써 어댑터 요소를 고정 장치 상의 최종 포지션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어댑터 요소의 제 2 체결 요소는 어댑터 요소를 최종 포지션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장치의 제 1 체결 요소와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르는 어댑터 요소가 있는 이러한 조정 장치는 상이한 긴 조정 요소들의 사용을 허용하고, 그래서 조정 장치는 언제라도 주어진 조건들, 예컨대 자동차 헤드램프 안의 설치 공간에 대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어댑터 요소는 제 1 회전 축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groove)로서 구축된 가이드 섹션을 구비하고, 베이스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에 있게 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조합상태에 있는 가이딩-요소는 어댑터 요소를 최종 포지션으로 인도하고 나서,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 1 회전 축 둘레에서의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어댑터 요소를 고정한다.
이는, 안전한 장착 과정을 가능케 하고 하우징 상에서의 어댑터 요소의 부정확한 장착을 방지하는, 어댑터 요소의 장착 포지션의 확정된 정렬을 제공한다. 게다가, 어댑터 요소는 최종 포지션에서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유리하게, 어댑터 요소는, 제 1 회전 축에 대해 평행한 어댑터 요소의 장착-개구 내부에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브를 구비한다.
이들 리브들이 베이스 섹션과 장착 개구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때문에, 이는 하우징 또는 베이스 섹션 및/또는 어댑터 요소의 생산시 가능성있는 변형들을 보상할 수 있고, 그래서 어댑터 요소는 삽입 동안 및/또는 삽입 후 최종 포지션에서 꼭 맞게 한다. 이는, 예컨대 차량의 주행 동안 생기는 진동들이 있는 상황에서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을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래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는 더 이상 정확하게 맞물림 포지션에 있지 않는다.
유리하게, 고정 장치의 베이스 섹션은 떠받침-부위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는, 어댑터 요소가 제 1 회전 축을 따라 어댑터 요소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최종 포지션에 있게 되는 경우, 떠받침-부위 상에 떠받침되어 있다.
유리하게, 고정 장치의 제 1 체결-요소는 래칭-요소(latching-element)로서 구축되어 있고, 여기에서 고정 장치의 제 2 체결-요소는 맞대응-래칭-요소로서 구축되어 있다.
유리하게, 고정 장치의 제 1 체결 요소는 베이스 섹션 상에 강성 돌출부(rigid protrusion)로서 구축되어 있고, 제 2 체결 요소는 디텐트 러그(detent lug)로서 구축되어 있고, 여기에서 강성 돌출부는,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에 있게 되는 경우, 디텐트 러그 안에 스냅결합한다.
유리하게, 강성 돌출부는 스톱핑 엣지를 구비하고, 디텐트 러그는 스냅-인 엣지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스톱핑 엣지와 스냅-인 엣지는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에 있는 경우 확실하게 상호잠금되어 가상 일직선을 구축한 상태로 형성되고, 여기에서 가상 일직선은, 제 1 회전 축 둘레에서의 회전 방향과 가상 일직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제로보다 크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는 어댑터 요소가 최종 포지션에서 제 1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치않는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 하우징과 고정 장치는 일체형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가지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유리하게, 제 2 회전 축은 제 1 회전 축에 대해 직각이다.
유리하게, 고정 장치의 베이스 섹션은 제 1 회전 축을 따라 돌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헤드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에 오는 것에서, 본 발명을 더욱 명시하기 위하여, 도면들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설명적인 실시예와 비한정적인 실시예가 논의되어 있다.
도 1은,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요소와 맞물리는 작동 요소, 및 작동 요소가 거기 안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의 고정 장치 상에서 최종 포지션에 있으면서 제 1 트랜스미션을 장착하고 있는 어댑터 요소가 있는 조정 장치의 일 예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작동 요소와 맞물리고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조정 장치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예시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하우징 상에서 최종 포지션에 있는 어댑터 요소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는 어댑터 요소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있는 어댑터 요소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장치 상에서 최종 포지션에 있는 어댑터 요소와 제 1 및 제 2 체결 요소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리브들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의 어댑터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10)가 나타나 있고, 그 조정 장치(10)는 2개의 원위 단부들과, 그런 단부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나사산 부위(51),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위(50a, 50b)를 가지고 있으면서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작동 요소(50)를 구비하며, 상기의 제 1 맞물림 부위(50a)는 한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맞물림 부위(50b)는 다른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조정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와 맞물려기 위한 결합 요소(60)를 구비하고, 상기의 결합 요소(60)는 작동 요소(50)의 나사산 부위(51)에 대응하는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결합 요소(60)는 작동 요소(50)의 회전 운동을,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이용해서 작동 요소(50)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관련 광학 어셈블리 유닛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소스,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컨대 라이트 모듈이지만, 적절하게 조정되는 리플렉터들, 렌즈들 등과 같은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수도 있다.
조정 장치(10)는 또한, 작동 요소(50)가 거기 안에서 작동 요소(50)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섹션을 이용해서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70), 및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를 구비하고, 상기의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작동 요소(50)의 제 1 맞물림 부위(50a)에 대응하는 제 1 맞대응-맞물림 부위(100a)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제 2 회전 축(Y)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여기에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의 제 2 회전 축(Y)을 중심으로 하는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50)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맞물림 부위(50a)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에서, 제 2 회전 축(Y)은 제 1 회전 축(X)에 대해 직각이다.
조정 장치(10)는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를 더 구비하고,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작동 요소(50)의 제 2 맞물림 부위(50b)에 대응하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볼 수 있는, 제 2 맞대응-맞물림 부위(200b)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여기에서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의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50)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 2 맞물림 부위(50ㅠ)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작동 요소(50)에 대해 동축방향이다.
작동 요소(50)의 회전 운동을,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결합 요소(60)의 맞대응-나사산 부위와 조합 상태에 있는 나사산 부위(51)가 있는 작동 요소는(50) 제 1 또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100, 200)의 각 운동을,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결합 요소(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조정 장치(10)는 최종 포지션(P1)으로 하우징(70) 상에 장착가능한 어댑터 요소(300)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300)는 맞물림 포지션으로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의 맞물림 포지션에서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가 작동 요소(50)와 맞물리고, 그리고 여기에서 하우징(70)은, 도 3과 도 4에서 더욱 상세하게 볼 수 있고 하우징(70)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장치(400)를 구비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정 장치(400)는 하우징(70) 상에서 어댑터 요소(300)의 최종 포지션(P1)으로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70)과 고정 장치(400)는 일체형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가지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400)는 제 1 회전 축(X)을 따라 하우징(70)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베이스 섹션(410), 및 베이스 섹션(410)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 1 체결 요소(410a)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300)는 장착-개구(310) 및 제 2 체결 요소(310a)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고정 장치(400)는, 고정 장치(400)의 베이스 섹션(410) 상에 장착-개구(310)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최종 포지션(P1)이 도달될 때까지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어댑터 요소(300)를 움직임으로써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 장치(400) 상의 최종 포지션(P1)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어댑터 요소(300)의 제 2 체결 요소(310a)는 어댑터 요소(300)를 최종 포지션(P1)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장치(400)의 제 1 체결 요소(410a)와 맞물린다.
어댑터 요소(300)는 또한 제 1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로서 구축된 가이드 섹션(320)을 구비하고, 베이스 섹션(410)은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420)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어댑터 요소(300)가 최종 포지션(P1)에 있게 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4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조합상태에 있는 가이딩-요소(420)는 어댑터 요소(300)를 최종 포지션(P1)으로 인도하고 나서, 예컨대 도 5c에서 볼 수 있는, 어댑터 요소(300)가 최종 포지션(P1)에 있는 경우 제 1 회전 축(X) 둘레에서의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한다.
도 6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400)의 제 1 체결-요소(410a)는 베이스 섹션(410) 상에 강성 돌출부로서 구축되어 있고, 제 2 체결-요소(310a)는 디텐트 러그로서 구축되어 있고, 여기에서 강성 돌출부는, 어댑터 요소(300)가 최종 포지션(P1)에 도달하는 경우, 디텐트 러그 안에 스냅결합한다. 강성 돌출부는 스톱핑 엣지(411)를 구비하고, 디텐트 러그는 스냅-인 엣지(311)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스톱핑 엣지(411)와 스냅-인 엣지(311)는 어댑터 요소(300)가 최종 포지션(P1)에 있는 경우 확실하게 상호잠금되어 가상 일직선(L)을 구축한 상태로 형성되고, 그리고 여기에서 가상 일직선(L)은, 제 1 회전 축(X) 둘레에서의 회전 방향(X1)과 가상 일직선(L) 사이에 형성된 각도(β)가 제로보다 크도록 배열되어 있다.
게다가, 고정 장치(400)의 베이스 섹션(410)은 적어도 하나의 떠받침-부위(430)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어댑터 요소(300)는, 도 6에서도 더욱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 요소(300)가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어댑터 요소(3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최종 포지션(P1)에 도달하는 경우, 떠받침-부위(430) 상에 떠받침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에서, 어댑터 요소(300)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한 어댑터 요소(300)의 장착-개구(310) 내부에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브(330), 바람직하게는 4개의 리브들(도 7에서는 4개의 리브들 중 단 2개만을 볼 수 있음)을 구비한다.
조정 장치(Adjusting device)... 10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 50
제 1 맞물림 부위(First engaging portion)... 50a
제 2 맞물림 부위(Second engaging portion)... 50b
나사산 부위(Thread portion)... 51
결합 요소(Coupling element)... 60
하우징(Housing)... 70
제 1 트랜스미션 요소(First transmission element)... 100
제 1 맞대응-맞물림 부위(First counter-engaging portion)... 100a
제 2 트랜스미션 요소(Second transmission element)... 200
제 2 맞대응-맞물림 부위(Second counter-engaging portion)... 200b
어댑터 요소(Adapter element)... 300
장착-개구(Mounting-opening)... 310
제 2 체결 요소(Second fastening element)... 310a
스냅-인 엣지(Snap-in edge)... 311
가이드 섹션(Guide section)... 320
체결 리브(Fastening rib)... 330
고정 장치(Securing device)... 400
베이스 섹션(Base section)... 410
제 1 체결 요소(First fastening element)... 410a
스톱핑 엣지(Stopping edge)... 411
가이딩 요소(Guiding element)... 420
떠받침 부위(Abutment portion)... 430
제 1 회전 축(First rotary axis)... X
회전 방향(Direction of rotation)... X1
제 2 회전 축(Second rotary axis)... Y
가상 일직선(Virtual straight line)... L
각도(Angle)... β
최종 포지션(End position)... P1

Claims (11)

  1. 자동차 헤드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10)로서, 상기 조정 장치(10)는:
    - 2개의 원위 단부들과, 그런 단부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나사산 부위(51),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위(50a, 50b)를 가지고 있으면서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작동 요소(50)로서, 상기의 제 1 맞물림 부위(50a)는 한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맞물림 부위(50b)는 다른쪽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작동 요소(5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관련 구성요소와 맞물려기 위한 결합 요소(60)로서, 상기의 결합 요소(60)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상기 나사산 부위(51)에 대응하는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결합 요소(60)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맞대응-나사산 부위를 이용해서 상기 작동 요소(50)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결합 요소(60);
    - 상기 작동 요소(50)가 거기 안에서 상기 작동 요소(50)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섹션을 이용해서 상기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70);
    - 상기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로서, 상기의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상기 제 1 맞물림 부위(50a)에 대응하는 제 1 맞대응-맞물림 부위(100a)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제 2 회전 축(Y)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의 상기 제 2 회전 축(Y)을 중심으로 하는 각 운동을, 상기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맞물림 부위(50a)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
    - 상기 작동 요소(50)와 기계적 맞물림 상태에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로서,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상기 제 2 맞물림 부위(50b)에 대응하는 제 2 맞대응-맞물림 부위(200b)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상기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의 각 운동을, 상기 제 1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 요소(50)의 각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맞물림 부위(50b)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는 상기 작동 요소(50)에 대해 동축방향이고,
    상기 작동 요소(5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요소(60)의 상기 맞대응-나사산 부위와 조합 상태에 있는 상기 나사산 부위(51)가 있는 상기 작동 요소는(50) 상기 제 1 또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100, 200)의 각 운동을,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르는 상기 결합 요소(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트랜스미션 요소(200);
    - 최종 포지션(P1)으로 상기 하우징(70) 상에 장착가능한 어댑터 요소(300)로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맞물림 포지션으로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맞물림 포지션에서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요소(100)가 상기 작동 요소(50)와 맞물리고,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하우징(70)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장치(40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장치(400)는 상기 하우징(70) 상에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의 최종 포지션(P1)으로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댑터 요소(300);
    를 포함하고 있는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0)는 베이스 섹션(410), 및 상기 베이스 섹션(410)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 1 체결 요소(410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장착-개구(310) 및 제 2 체결 요소(310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장치(400)는,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베이스 섹션(410) 상에 상기 장착-개구(310)를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최종 포지션(P1)이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상기 고정 장치(400) 상의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있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댑터 요소(300)의 상기 제 2 체결 요소(310a)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제 1 체결 요소(410a)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상기 제 1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로서 구축된 가이드 섹션(32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섹션(4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42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가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있게 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요소(4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조합상태에 있는 상기 가이딩-요소(420)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상기 최종 포지션(P1)으로 인도하고 나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가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회전 축(X) 둘레에서의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상기 어댑터 요소(3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상기 제 1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한 상기 어댑터 요소(300)의 상기 장착-개구(310) 내부에서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브(3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베이스 섹션(410)은 떠받침-부위(43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 요소(300)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가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상기 어댑터 요소(3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떠받침-부위(430) 상에 떠받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제 1 체결-요소(410a)는 래칭 요소로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 요소(300)의 상기 제 2 체결-요소(310a)는 맞대응-래칭-요소로서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제 1 체결 요소(410a)는 상기 베이스 섹션(410) 상에 강성 돌출부로서 구축되어 있고, 상기 제 2 체결 요소(310a)는 디텐트 러그로서 구축되어 있고,
    상기 강성 돌출부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가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디텐트 러그 안에 스냅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돌출부는 스톱핑 엣지(41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디텐트 러그는 스냅-인 엣지(31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톱핑 엣지(411)와 상기 스냅-인 엣지(311)는 상기 어댑터 요소(300)가 상기 최종 포지션(P1)에 있는 경우 확실하게 상호잠금되어 가상 일직선(L)을 구축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상 일직선(L)은, 상기 제 1 회전 축(X) 둘레에서의 회전 방향(X1)과 상기 가상 일직선(L) 사이에 형성된 각도(β)가 제로보다 크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0)과 상기 고정 장치(400)는 일체형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가지 재료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축(Y)은 상기 제 1 회전 축(X)에 대해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400)의 상기 베이스 섹션(410)은 상기 제 1 회전 축(X)을 따라 상기 하우징(70)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램프.
KR1020227038563A 2020-05-27 2021-04-28 조정 장치 KR20220163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6854.6 2020-05-27
EP20176854.6A EP3915835A1 (en) 2020-05-27 2020-05-27 Adjusting device
PCT/EP2021/061122 WO2021239370A1 (en) 2020-05-27 2021-04-28 Adjus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464A true KR20220163464A (ko) 2022-12-09

Family

ID=7086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563A KR20220163464A (ko) 2020-05-27 2021-04-28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915835A1 (ko)
KR (1) KR20220163464A (ko)
CN (1) CN115667012A (ko)
WO (1) WO2021239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257A1 (de) * 2018-12-18 2020-06-24 ZKW Group GmbH 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739A (en) * 1987-01-06 1987-12-15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Clam shell gear box housing and retainer
AT512215B1 (de) * 2011-12-12 2013-09-15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insbesondere motorradscheinwerfer
DE102012111311A1 (de) * 2012-11-23 2014-05-28 Hella Kgaa Hueck & Co. Aufnahmeanordnung eines Lichtmoduls im Gehäuse eines Scheinwerfers
AT514113B1 (de) * 2013-04-04 2019-08-15 Zkw Group Gmbh Fahrzeugscheinwerfer mit einer Verstelleinrichtung
DE102013224334A1 (de) * 2013-11-28 2015-05-2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FR3048655A1 (fr) * 2016-03-10 2017-09-15 Valeo Vision Belgique Module optiqu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 mecanisme de reglage d'inclinaison
DE102016119314A1 (de) * 2016-10-11 2018-04-12 HELLA GmbH & Co. KGaA Einstelleinrichtung zur Einstellung der Lage wenigstens eines Lichtmoduls im Gehäuse eines Schweinwerfers
SI25444A (sl) * 2017-06-07 2018-12-31 Hella Saturnus Slovenija d.o.o. Sklop za nastavljanje položaja svetlobnega telesa
DE102018102339A1 (de) * 2018-02-02 2019-08-08 HELLA GmbH & Co. KGaA Verstelleinrichtung zur Verstellung eines Lichtmoduls in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5835A1 (en) 2021-12-01
EP4157672A1 (en) 2023-04-05
WO2021239370A1 (en) 2021-12-02
EP4157672B1 (en) 2024-05-01
CN115667012A (zh)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4266B2 (en) Central pivot region
US10214135B2 (en) Vehicle light device with an optical element pinned with a flexible bracing element
US9428102B2 (en) Actuator
KR20220163464A (ko) 조정 장치
US20020012249A1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US11420550B2 (en) Adjusting system for pivoting at least one optically relevant component of a vehicle headlight about a first and a second axis
KR102199026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설정 장치
CN110864263B (zh) 用于机动车探照灯的调节装置
US7534019B2 (en) Elliptical optical module with light shield for a motor vehicle
EP3470268A1 (en) Vehicle illumination device
CN113423605B (zh) 用于机动车辆前灯的照明设备
US11719381B2 (en) Adjustable linkage arm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CN113195305B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调节设备
JP4803166B2 (ja) 車両用灯具
KR20210113555A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광학 관련 구조 유닛의 설정을 위한 설정 장치
CN109693604B (zh) 机动车辆照明装置及其控制机构
WO2014077109A1 (ja) 車両用灯具
KR100212035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에이밍장치
CN116772144A (zh) 具有光模块和用于调节光模块的主发射方向的调节装置的机动车辆前照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