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257A -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 Google Patents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257A
KR20220162257A KR1020210070514A KR20210070514A KR20220162257A KR 20220162257 A KR20220162257 A KR 20220162257A KR 1020210070514 A KR1020210070514 A KR 1020210070514A KR 20210070514 A KR20210070514 A KR 20210070514A KR 20220162257 A KR20220162257 A KR 2022016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strip
processing
weather
strip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452B1 (ko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제이더블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더블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제이더블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7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4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7Picking-up and pla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3Escapement mechanisms us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웨더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로써, 상기 웨더스트립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부, 상기 이송 가이드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웨더스트립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실린더 및 상기 가공 실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웨더스트립을 가공하는 접착 가공부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MANUFACTURE APPARATUS OF WEATHER STRIP AND THE WEATHER STRIP MANUFACTURED THEREFROME}
본 발명은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weather strip)은 차실과 트렁크 룸을 밀폐하여 외부 공기나 소리, 먼지, 빗물, 눈 등의 외부환경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도어, 바디, 도어채널(Door Channel)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를 닫았을 때 충격을 흡수하거나 주행 중 도어 트렁크 리드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바디 웨더스트립과 도어 웨더스트립, 글라스 런, 트렁크리드 및 백도어 웨더스트립 등이 있으며, 이들은 바디 사이드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을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거나, 차량의 실내로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고무재질의 웨더스트립 바디와 웨더스트립 바디 내에 인서트된 금속재질의 코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코어가 심재되어 있는 웨더스트립은 그라인딩 과정을 통하여 연마되는 과정에서 쇠가루, 고무가루 등의 많은 분진물이나 연마과정에서 고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3-42350호(1991.2.22)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시 연마 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물 등의 오염 발생 및 이로 인한 화재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로써,
상기 웨더스트립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부;
상기 이송 가이드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웨더스트립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실린더; 및
상기 가공 실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웨더스트립을 가공하는 접착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 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 일측이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웨더스트립을 파지하는 스트립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립 파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웨더스트립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금형; 및
상기 제1 하부 금형의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치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실린더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웨더스트립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하부 금형; 및
상기 고정바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2 하부 금형에 치합되는 제2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하부 금형은 상기 고정바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실린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웨더스트립이 상기 스트립 파지부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정렬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가공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융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상기 가공 실린더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열융착 또는 레이저 융착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더스트립 양단부 사이에 융착되는 접착용 고무판을 제공하는 접착 고무판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고무판 이송부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이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수직 이동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을 고정하는 고무판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고무판 이송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웨더스트립이 보관되는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에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복수의 심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심금 트림(trim)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금 트림 장치는,
상기 웨더스트립을 고정하는 고정 실린더;
상기 웨더스트립의 심금을 파지하는 심금핀셔;
상기 심금핀셔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핀셔 조절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셔 조절 브라켓의 일측에는 핀셔 개폐 실린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웨더스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시 연마 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물 등의 오염 발생 및 이로 인한 화재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자동화함으로써, 상기 웨더스트립의 가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일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이송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가공 실린더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거치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금 빼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금 빼기 장치의 다양한 위치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weather strip)은 차실과 트렁크 룸을 밀폐하여 외부 공기나 소리, 먼지, 빗물, 눈 등의 외부환경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도어, 바디, 도어채널(Door Channel) 또는 트렁크 리드 등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를 닫았을 때 충격을 흡수하거나 주행 중 도어 트렁크 리드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바디 웨더스트립과 도어 웨더스트립, 글라스 런, 트렁크리드 및 백도어 웨더스트립 등이 있으며, 이들은 바디 사이드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을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거나, 차량의 실내로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고무재질의 웨더스트립 바디와 웨더스트립 바디 내에 인서트된 금속재질의 심금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된 금속재질의 심금은 상기 웨더스트립의 가공단계에 있어서, 제조된 웨더스트립을 접착시킬 때,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가공시 접착 단면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웨더스트립 단면의 접착부를 그라인딩 공법을 이용하여 연마하거나 혹은 심금 분리 장비를 이용해 접착 부분의 심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면 접착부는 표면이 매끄러워지거나 혹은 심금의 탈착으로 인해 유연해질 수 있다. 금속재질의 심금을 그라인딩 혹은 분리하기 위해서는 장비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면을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연마 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물 등의 오염 발생 및 이로 인한 화재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공 효율이 향상된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는 웨더스트립(W)이 거치되어 있는 웨더스트립 거치부(110),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으로부터 웨더스트립(W)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부3200), 이송 가이드부(3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웨더스트립을 가공하는 가공 실린더(200) 및 가공 실린더(200)와 연동하여 상기 웨더스트립을 가공하는 접착 가공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부(11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으로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이 거치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부(110)는 양측에 회전 기어가 배치되어 상기 회전기어에 벨트(belt)가 감겨져 있는 구조일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벨트를 따라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이 이동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에는 웨더스트립(W)이 가공 전에 거치되어 대기하도록 보관하는 웨더스트립 리브(113)이 형성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의 하측 부위에는 가공 전인 상기 반제품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각각 거치되는 웨더스트립 홀더(111)가 형성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 홀더(111)는 상기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의 상기 회전기어와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의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과 함께 웨더스트립 홀더(111)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웨더스트립(W)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이송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가공 실린더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거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웨더스트립(W)이 거치되어 있는 웨더스트립 거치부(110),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으로부터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부3200), 이송 가이드부(300)로부터 이송되는 웨더스트립(W)을 가공하는 가공 실린더(200), 가공 실린더(200)와 연동하여 웨더스트립(W)을 가공하는 접착 가공부(500) 및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 웨더스트립(W)이 이송 및 보관되는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30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 가이드부(300)의 슬라이딩부(320)가 가이드바(310)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300)는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310), 가이드바(310)에 일측이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320) 및 슬라이딩부(320)와 연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되, 웨더스트립(W)을 파지하는 스트립 파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립 파지부(330)는 복수의 웨더스트립(W)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H)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금형(331) 및 제1 하부 금형(331)의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치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상부 금형(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300)의 가이드바(310)는 웨더스트립(W)이 이송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31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슬라이딩부(320)가 이러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일측에는 웨더스트립(W)을 파지할 수 있는 스트립 파지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320)의 일측과 스트립 파지부(330)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딩부(320)의 동작과 함께 스트립 파지부(330)가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 파지부(330)는 한 쌍의 제1 하부 금형(331)과 제2 하부 금형(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부 금형(331)에는 복수의 안착홈(H)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상부 금형(332)에는 제1 하부 금형(331)에 대면하는 부위에 복수의 안착홈(H)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금형(331)과 제2 상부 금형(332)이 상호 밀착되면서 웨더스트립(W)을 구속시키거나 제1 하부 금형(331)과 제2 상부 금형(332)이 상호 이탈되면서 웨더스트립(W)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가공 실린더(200)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고정바(2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웨더스트립(W)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H)이 형성되는 제2 하부 금형(231) 및 고정바(22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2 하부 금형(231)에 치합되는 제2 상부 금형(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하부 금형(231)은 하측에 거치 플레이트(210)에 안착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상부 금형(233)의 상측에는 실린더(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부 금형(231)이 거치 플레이트(210)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실린더(232)의 동작으로 제2 상부 금형(233)이 제2 하부 금형(2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 실린더(200)도 한 쌍의 제2 하부 금형(231)과 제2 상부 금형(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2 하부 금형(231) 및 제2 상부 금형(233)에는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복수의 안홈(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부 금형(233)이 제2 하부 금형(231) 측으로 밀착되면서 웨더스트립(W)을 구속시키거나 제2 상부 금형(233)이 제2 하부 금형(231)로부터 슬라이딩 되면서 이탈되어 웨더스트립(W)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가공 실린더(200)의 일측, 즉 제2 하부 금형(231) 및 제2 상부 금형(233)의 인접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수직 플레이트(도 9: 1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150)는 웨더스트립(W)이 스트립 파지부(330)의 복수의 안착홈(H)에 삽입되는 경우, 웨더스트립(W)의 단부를 열융착 등으로 가공하기 전에 정렬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가공 실린더(200)의 상측 부위에는 수직 하강이 가능하도록 수직 이동부재(도 7: 161)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 이동부재(도 7: 161)에는 웨더스트립(W) 단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열융착으로 접착되는 접착용 고무판(미도시)을 제공하는 고무판 파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판 파지부(162)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착용 고무판을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가공부(500)는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고정된 양측의 가공 실린더(200)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접착 가공부(500)는 전기적 신호로 발열되는 발열체가 내장된 한 쌍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 가공부(500)는 열융착을 위한 동작 전에는 웨더스트립 홀더(111)의 측면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열융착 동작이 수행되면 가공 실린더(200) 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 가공부(500)는 가공 실린더(200)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접착 가공부(500)는 가공 실린더(200) 사이로 위치된 상태로 열을 발생시켜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를 용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가공부(500)가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가열에 의하여 용융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선에 의한 직접 가열 방식 이외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를 용융 시키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의 일측에는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교차되어 완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에는 상측 부위에 파지 이송부(71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파지 이송부(710)는 가이드레일(도 10: 720)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 웨더스트립(W)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의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에는 가공 전 반제품인 복수의 웨더스트립(W)이 거치될 수 있다. 또, 복수의 반제품으로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는 웨더스트립 홀더(11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가 준비될 수 있다. 이어서, 가공 전 반제품인 복수의 웨더스트립(W) 중에 가공 대상이 되는 일부 반제품 상태의 웨더스트립(W)은 이송 가이드부(300)을 통하여 웨더스트립 리브(113)로 이동 및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제품인 복수의 웨더스트립(W)의 양단부는 이송 가이드부(300)의 스트립 파지부(30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 실린더(20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스트립 파지부(330)는 가이드바(3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일부 반제품 상태의 웨더스트립(W)을 가공 실린더(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며 공급할 수 있다. 즉, 일부 반제품 상태의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는 스트립 파지부(330)의 제1 하부 금형(331)과 제1 상부 금형(332)의 안착홈(H)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심금(S)을 제거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이 거치 및 고정되는 웨더스트립 홀더(111)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금 빼기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심금 빼기 장치(10)는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웨더스트립 홀더(111)에 고정된 상태로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 내부 심금(S) 중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일부 심금(S)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반제품 상태의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를 열융착 등의 가공 과정 전에 금속 소재의 심금(S)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접착 가공부(500)의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의 접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심금 빼기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다음, 스트립 파지부(330)에 파지된 상태로 가공 실린더(200) 일측으로 이송된 반제품인 일부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는 가공 실린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이송 가이드부(300)으로부터 이송된 일부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는 가공 실린더(200)의 제2 하부 금형(231)과 제2 상부 금형(233)의 안착홈(H)에 고정됨으로써, 접착 가공부(500)로부터 열융착에 의한 가공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실린더(200) 사이에 수직 플레이트(150)가 수직 돌출되면서 반제품의 일부 웨더스트립(W) 양측 단부에 각각 밀착되면서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 플레이트(150)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수직 이동부재(161)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수직 이동부재(161)의 고무판 파지부(162)에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착 가공부(500)가 상기 접착용 고무판을 중심으로 반제품의 일부 웨더스트립(W)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가공 실린더(200)의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접착 가공부(500)는 중심에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이 위치되고, 양측 부위에는 반제품의 일부 웨더스트립(W) 양측 단부가 위치된 상태로 열 융착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게 되면서 일부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 양측 단부와 상기 접착용 고무판이 용융되어 열융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이 완료된 일부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가공 실린더(200)는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밀착되될 수 있다. 즉, 용융된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는 용융된 상태의 상기 접착용 고무판을 중심으로 열융착에 의한 접착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 양측 단부가 열융착에 의한 접착 과정이 수행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제품의 웨더스트립(W)이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융착에 의한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의 웨더스트립(W)은 인접한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의 파지 이송부(710)는 웨더스트립 거치부(110)에 형성된 웨더스트립 리브(113)으로 이동한 후, 웨더스트립 리브(113)에 안착되어 있는 완제품의 웨더스트립(W)을 파지한 상태에서 복귀하면서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7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금 빼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금 빼기 장치의 다양한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심금 빼기 장치(10)는, 웨더스트립(W)을 고정하는 고정 실린더(11),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의 심금(S)을 파지할 수 있는 심금핀셔(12), 심금핀셔(12)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핀셔 조절 브라켓(13) 및 핀셔 조절 브라켓(13)의 일측에 형성되는 핀셔 개폐 실린더(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심금 빼기 장치(10)는 이송 가이드부(3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의 웨더스트립 홀더(1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심금 빼기 장치(10)는 반제품의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가공되기 전에 일부의 심금(S)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심금 빼기 장치(10)는 웨더스트립 홀더(111) 일측에 형성되되, 가공 전의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로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에 노출되는 일부의 심금(S)을 심금핀셔(12)를 통하여 외측 방향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금 빼기 장치(10)를 이용하여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에 노출되는 금속 소재의 심금(S) 중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가공 전 반제품인 웨더스트립(W)의 양측 단부가 웨더스트립 가공장치(100)를 통하여 보다 용이한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심금 빼기 장치 11: 고정 실린더
12: 심금 핀셔 13: 핀셔 조절 브라켓
14: 핀셔 개폐 실린더 100: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10: 웨더스트립 거치부 111: 웨더스트립 홀더
113: 웨더스트립 리브 150: 수직 플레이트
160: 접착 고무판 이송부 161: 수직 이동부재
162: 고무판 파지부 200: 가공 실린더
210: 거치 플레이트 220: 고정바
230: 가공 실린더 231: 제2 하부 금형
232: 실린더 233: 제2 상부 금형
300: 이송 가이드부 310: 가이드바
320: 슬라이딩부 330: 스트립 파지부
500: 접착 가공부 700: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
710: 파지 이송부 720: 가이드 레일
W: 웨더스트 S: 심금
H: 안착홈

Claims (17)

  1.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가공장치로써,
    상기 웨더스트립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부;
    상기 이송 가이드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웨더스트립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실린더; 및
    상기 가공 실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웨더스트립을 가공하는 접착 가공부;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부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 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 일측이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웨더스트립을 파지하는 스트립 파지부;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파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웨더스트립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금형; 및
    상기 제1 하부 금형의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치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실린더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웨더스트립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하부 금형; 및
    상기 고정바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2 하부 금형에 치합되는 제2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금형은 상기 고정바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실린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웨더스트립이 상기 스트립 파지부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정렬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가공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융착 시키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상기 가공 실린더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가공부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단부를 열융착 또는 레이저 융착 시키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 양단부 사이에 융착되는 접착용 고무판을 제공하는 접착 고무판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고무판 이송부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이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수직 이동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접착용 고무판을 고정하는 고무판 파지부;를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고무판 이송부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웨더스트립이 보관되는 웨더스트립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 가공장치에는 상기 웨더스트립의 복수의 심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심금 트림(trim)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심금 트림 장치는,
    상기 웨더스트립을 고정하는 고정 실린더;
    상기 웨더스트립의 심금을 파지하는 심금핀셔;
    상기 심금핀셔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핀셔 조절 브라켓;을 포함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셔 조절 브라켓의 일측에는 핀셔 개폐 실린더가 형성되는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더스트리 가공장치로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KR1020210070514A 2021-06-01 2021-06-01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KR10256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14A KR102565452B1 (ko) 2021-06-01 2021-06-01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14A KR102565452B1 (ko) 2021-06-01 2021-06-01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57A true KR20220162257A (ko) 2022-12-08
KR102565452B1 KR102565452B1 (ko) 2023-08-11

Family

ID=8443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514A KR102565452B1 (ko) 2021-06-01 2021-06-01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4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350A (ja) 1989-07-07 1991-02-22 Tokai Kogyo Kk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接合方法
JP2002036370A (ja) * 2000-07-24 2002-02-05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シール材端末部の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KR20020040282A (ko) * 2000-11-24 2002-05-30 조원영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KR100942361B1 (ko) * 2006-06-15 2010-02-12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웨더스트립의 제조방법
KR101365982B1 (ko) * 2013-06-11 2014-02-21 허태업 웨더스트립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350A (ja) 1989-07-07 1991-02-22 Tokai Kogyo Kk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接合方法
JP2002036370A (ja) * 2000-07-24 2002-02-05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シール材端末部の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KR20020040282A (ko) * 2000-11-24 2002-05-30 조원영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KR100942361B1 (ko) * 2006-06-15 2010-02-12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웨더스트립의 제조방법
KR101365982B1 (ko) * 2013-06-11 2014-02-21 허태업 웨더스트립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452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8772B2 (ja) 被加工物の溶着装置及び樹脂枠の組立装置
CA2164441C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component
KR102565452B1 (ko) 웨더스트립 가공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웨더스트립
WO2001083285A1 (fr) Chaine de montage de panneaux lateraux
JP7073255B2 (ja) 窓/ドアの製造のためのプロセス及びシステム
RU2718509C2 (ru) Машина для сварки пластиковых профи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US8172125B2 (en) Vehicle door fr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5855133A (zh) 喷嘴自动清洁装置及喷嘴自动清洁方法
KR20190077338A (ko)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JP4937215B2 (ja) 熱可塑性樹脂製長尺体の接続方法
CN108260352B (zh) 具有内部突起的滑动叠层玻璃窗单元
JPH1187756A (ja) 太陽電地セル面への金属タブの重合状ハンダ付け方法及びその用具
US57360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frames
KR101365982B1 (ko) 웨더스트립 연결 장치
KR101373327B1 (ko) 활성탄필터의 보호망 접착장치
CN207171192U (zh) 一种用于芯片生产加工的碰焊机
CN113732640A (zh) 汽车遮阳板镜组件自动装配设备
FR2597512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de collets en tole d'aluminium ou analogue sur les raccords de tiges a anode faisant saillie de blocs d'anode
KR101817468B1 (ko) 차량용 웨더스트립 연결장치의 웨더스트립 연결방법
CN211440252U (zh) 一种切割设备安全防护装置
JP2592792B2 (ja) モールディングの端末接合部におけるハミ出し部分の除去方法
FR2809038A1 (fr) Systeme de dispositifs manuels a fixation auto-magnetique pour le soutien envers des soudures en soudage monofacial a l'arc electrique des toles en acier
JP2020093301A (ja) レーザー溶接用ワーク押さえ冶具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H071263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溶着方法とその装置
CN210997271U (zh) 一种客车车身骨架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