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338A -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338A
KR20190077338A KR1020197010996A KR20197010996A KR20190077338A KR 20190077338 A KR20190077338 A KR 20190077338A KR 1020197010996 A KR1020197010996 A KR 1020197010996A KR 20197010996 A KR20197010996 A KR 20197010996A KR 20190077338 A KR20190077338 A KR 2019007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glazing
sheet
edge
glaz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뱅상 소비네
벵상 자메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7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37Chemical strengt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of special shape, e.g. beveled edges, holes for attachment, bent windows, peculiar curvatures such as when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roof, door,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글레이징은 페인(2) 및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페인(2)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페인(2)은 볼록하고 적층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유리 시트(3), 내부 유리 시트(5), 및 외부 유리 시트(3)와 내부 유리 시트(5) 사이에 배열된 플라스틱 재료 시트(4)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트(3, 4, 5)는 주변 연부(31, 41, 51)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내부 유리 시트(5)가 화학적 템퍼링 프로세스를 거치고 0.40 내지 2.1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8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60 mm의 두께(e5)를 가지는 유리 시트이고, 내부 유리 시트(5)의 연부(51)가, 내부 유리 시트(5)의 연부(51)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플라스틱 재료 시트(4)의 연부(41)를 넘어서 그리고 외부 유리 시트(3)의 연부(31)를 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본 발명은, 특히 모터 차량용, 자동차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글레이징 및 글레이징이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러한 글레이징은 곡선화되고 적층되며 적어도 외측부 유리 시트, 내측부 유리 시트, 및 외측부 유리 시트와 내측부 유리 시트 사이에 위치된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시트는 주변 연부 면을 갖는다.
내측부 유리 시트가 적층형 글레이징의 나머지에 대한 내측부 돌출부를 가지는 적층형 글레이징을 갖는 창이,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출원 제FR 2 525 677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글레이징 유닛의 외측부 면이 도어의 구조물과 같은 높이(flush with)가 되도록, 글레이징 유닛의 병진운동 중에 도어의 함몰된 프로파일 내에서 활주되도록 의도된 돌출 안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이 산업적으로 결코 구현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의 가능한 설명은, 이러한 문헌에 따른 창이 해결하는 것 보다 더 많은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에 의해서 반드시 폐쇄되어야 하는 주어진 개구부에서, 이러한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을 위한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은, 동일 개구부에 대해서, 동일한 전체 두께의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 및 돌출부의 부재를 제공하지 않고, 더 많은 문제를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과 관련하여,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이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때, 주어진 개구부에 대해서 이하의 2가지 모두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외측부 유리 시트가, 돌출부가 없는 글레이징 유닛보다 작고;
- 내측부 유리 시트가,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보다 크다.
이러한 2가지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돌출부-포함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은 주어진 공칭 치수의 개구부 내에서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고;
-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보다 작은 외측부 유리 시트만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면, 개구부의 치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고; 그리고
-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보다 큰 내측부 유리 시트만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면, 개구부의 치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2가지 작업의 각각은 회피되어야 하는데, 이는 그 각각이 차량의 전체적인 외관의 수정을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개구부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에 필수적인 전술한 2개의 작업은 동일하게 실행되지 않으며; 이러한 개구부의 치수의 수정이 없이, 또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구성 성분의 두께의 수정이 없이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이 개구부 내에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하가 필요하다:
- 외측부 유리 시트가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보다 단지 약간 더 작을(예를 들어, 2%만큼의 면적 감소) 필요가 있고; 그리고
- 내측부 유리 시트가 돌출부가 없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보다 분명히 더 클(이러한 예에서, 5%만큼의 면적 증가)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외측부 유리 시트의 크기 감소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크기의 증가에 의해서 보장되지 않고: 비례적으로, 외측부 유리 시트의 크기가 감소되는 것보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크기가 더 증가됨에 따라, 결국, 더 많은 유리가 필요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의 중량이 증가된다.
글레이징 유닛의 이러한 중량 증가는 불리한데, 이는 그러한 중량 증가가 차량의 소비량(consumption)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이고 이어서 글레이징 유닛을 병진운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 강한 수단을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단 설주(top jamb)를 갖지 않는, 또는 하나의 측방향 설주가 없는, 또는 심지어 측방향 설주를 가지지 않는 차량 도어에 대해서, 글레이징이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갖춘 적층형 글레이징을 구비한 창을 생산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창에서, 폐쇄된 위치에서, 글레이징 유닛은 상단부에서 그리고 측방향으로 도어에 의해서 거의, 또는 심지어 전혀 유지되지 않으나, 도어가 폐쇄될 때 도어에 인접한 본체 부분("본체 개구부"로 지칭되는 부분) 내에서, 본체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된 수단에 의해서 이러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이, 매우 복잡한 글레이징의 배치 및 조립을 위한 시스템과 관련된 유럽 특허 제EP 1 178 175호로부터 알려져 있고, 이는:
- 글레이징의 연장부 내에 놓이는 제1 연장부 및 글레이징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갖는 어댑터 요소;
- 차량의 도어에 확실하게 체결되고 도어 내에 수용된 구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내에서 안내되는 캐리지 요소(carriage element)로서, 그러한 캐리지는 글레이징의 길이방향의 제3 연장부, 구동 장치의 요소에 확실하게 체결되고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블록, 및 어댑터 요소의 제1 연장부의 면 중 하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수직 접촉 표면을 갖는 수직 벽을 구비하며, 어댑터 요소의 제2 연장부는, 글레이징 유닛이 제 위치에 체결되기 전에 글레이징 유닛에 인가되는 길이방향 힘의 작용 하에서, 캐리지의 제3 연장부와 상호작용하여 어댑터와 캐리지 사이의 작은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캐리지 요소;
-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포획 요소; 및
- 포획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제1 및 제2 접촉 표면 사이에서 어댑터의 제1 연장부를 차단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글레이징 유닛을 도어 내에 설치하는 동안, 글레이징 유닛은, 어댑터를 캐리지와 포획 요소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차량의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캐리지의 제3 연장부가 어댑터의 제2 연장부에 가하는 작용으로 인해서 길이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자동차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조립하고자 하는 모터-차량 제조자가 실시하기에는 지루한 작업이고 너무 긴 시간 손실을 초래한다.
글레이징/글레이징 홀더 및 글레이징 홀더/구동 메커니즘 조립체를 위한 다양한 해결책이 국제 특허출원 제WO 01/98613로부터 더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헌은 특히, 글레이징 홀더가 글레이징에 확실하게 체결된 후에, 구동 메커니즘(이동 가능 캐리지)과 관련한 글레이징-도어의 상대적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서, 재료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글레이징 홀더의 기하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문헌은 또한, 글레이징 유닛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은 양의 유격(play)을 허용하는 글레이징 홀더를 이용하는 것이, 글레이징에 대한 글레이징 홀더의 위치의 수정을 통해서, 글레이징-유닛 형상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개시한다. 글레이징 홀더는, 적절한 위치로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후에, 2개의 접착제인, 서행-경화 접착제 및 신속-경화 접착제를 이용하여 글레이징에 체결된다.
종래 기술이 또한 특허출원 EP 908 302로부터 알려져 있고, 그러한 특허출원은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을 개시하고, 그 내측부 글레이징은, 외측부 글레이징의 연부를 넘어서 놓이는 연부를 가지며, 이러한 내측부 글레이징은 열적으로 템퍼링되나; 이러한 문헌에서, 글레이징 유닛은 이동 가능 글레이징 유닛이 아니고 제 위치에 고정되는 글레이징 유닛이며, 열적 템퍼는, 개구부를 통한 탈출을 허용하기 위한, 글레이징 유닛의 완전한 파괴를 촉진하는 목표를 가지며, 이는 이동 가능 글레이징 유닛의 내용과 매우 상이한 내용인데, 이는, 이동 가능 글레이징 유닛의 개구부를 통한 탈출을 허용하기 위해서, 그러한 이동 가능 글레이징 유닛을 아래로 내리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이 국제 특허출원 제WO 2014/029605호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그러한 특허출원은, 내측부 유리 시트가 얇고 화학적으로 템퍼링될 수 있는, 이동 가능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을 개시한다. 이러한 문헌은 또한, 돌출부의 존재를 나타내나, 그러한 돌출부는, 필수적으로 템퍼링 및 곡선화되어야 하는, 두꺼운 외측부 유리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문헌은, 얇은 유리 시트가 글레이징 유닛의 곡률 및 일반적인 외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그러나 단지 피동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울뿐만 아니라 강건하고, 효과적이고, 제조가 용이하고, 구현이 용이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글레이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글레이징 유닛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얇은 내측부 글레이징을 갖는 적층형 글레이징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적층 전에 이러한 내측부 시트의 화학적 템퍼링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글레이징의 중량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또한 글레이징 유닛이 도어와 또는 (설주(들)이 없는 도어의 경우) 심지어 인접 본체와 같은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내측부 돌출부를 갖는 화학적으로 템퍼링된 얇은 내측부 글레이징을 더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그 가장 넓은 가능한 용인범위 내에서, 제1항에 따른 자동차 글레이징 유닛에 관한 것이고, 종속항은 유리한 변형예를 개시한다.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글레이징 및 그러한 글레이징이, 상부 위치에서 설주(들)를 갖지 않는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러한 글레이징은 곡선화되고 적층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 유리 시트, 내측부 유리 시트, 및 외측부 유리 시트와 내측부 유리 시트 사이에 위치된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트는 주변 연부 면을 가지며,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내측부 유리 시트가 화학적 템퍼링 작업을 거친 유리 시트이고 0.40 내지 2.1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8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60 mm의 두께를 가지는 유리 시트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즉,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적어도 하나의 연부 상에서, 또는 복수의 부분에 걸쳐/복수의 연부 상에서 또는 전체/주변부 상에서),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위치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글레이징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시트들 사이에 가스-충진된 공동 또는 진공 공동이 없다는 의미에서 적층형 글레이징이다.
내측부 유리 시트는 외측부 유리 시트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외측부 유리 시트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고, 바람직하게 그보다 얇다.
그러한 내측부 유리 시트는 2.10 mm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0.40 mm 내지 2.0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특히 0.40 내지 1.1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0.7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 두께는 글레이징의 기계적 강도 및 강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정도로 충분하여야 하나, 글레이징의 중량을 너무 많이 증가시키지 않도록 너무 두껍지 않아야 한다. 그러한 내측부 유리 시트는 예를 들어 0.40 mm, 또는 0.55 mm, 또는 0.70 mm, 또는 1.10 mm, 또는 1.6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언급된 범위와 관련하여, 범위의 한계는 그러한 범위에 포함된다.
"연부 면" 또는 "단부 면"이라는 표현은, 시트의 2개의 주 면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횡단방향으로 위치되는, 시트의 좁은 측면을 나타낸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그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따라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 및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 모두를 넘어서 위치된다는 사실은, 내측부 유리 시트가 플라스틱 시트 및 외측부 유리 시트에 대해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돌출부는, 돌출부가 글레이징의 모든 주변부에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주변적일 수 있으나, 또한 부분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글레이징의 주변의 하나의 부분만을 따라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또한 글레이징의 주변의 복수의 부분을 따라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글레이징의 하단 연부를 따라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글레이징 유닛의 가시적인 부분 내에; 차량의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부분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이를 지탱(bear)하는 본체 요소와 관련된 글레이징의 상태(개방, 폐쇄, 또는 개방과 폐쇄 사이)가 어떻든 간에, 차량 본체의 내측부 내에서 은폐되어 유지되는 글레이징 유닛의 부분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가능 적층형 글레이징 유닛에서, 얇고 화학적으로 템퍼링된 내측부 유리 시트가 글레이징의 두께의 위치(플라스틱 중간층 시트 또는 외측부 유리 시트가 없는: 돌출부의 위치)에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러한 위치에서,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하고자 하는 개구부가 그에 의해서 폐쇄될 때, 본체의 설주(주 부분 또는 도어 설주)와 상호작용하는 글레이징 유닛의 부분만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적용예에서, 차량의 도어는, 적어도 상부 부분 내에서, 설주(들)를 가지지 않는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이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해당 연부 면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서 보호 층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위치되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해당 연부 면의 길이 전체에 걸쳐 보호 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호 층은, 아래에 위치된 내측부 유리 시트를 보호하고 취급 중에 보호를 제공하여, 얇은 내측부 유리 시트의 날카로운 특성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보호 층은, 이를 지탱하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외측부 면 또는 내측부 면의 전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부분적인 층이고; 보호 층이 내측부 유리 시트의 외측부 및/또는 내측부 면의 부분에 존재할 때, 그러한 보호 층은, 글레이징의 가시 영역을 불리하게 감소시키지 않도록, 이러한 면의 매우 적은 부분(이러한 면의 면적의 1/10 미만)에만 존재한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의 외측부 면에 대해서 및/또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내측부 면에 대해서 소정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 보호 층을 포함하고, 그러한 거리는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이고 더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의 외측부 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및/또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내측부 면 상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보다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더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 및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과 관련하여,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돌출 거리보다 더 긴, 내측부 유리 시트의 내측부 면에 대해서 소정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 보호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거리는 3.0 내지 40.0 mm, 또는 심지어 4.0 내지 30.0 mm일 수 있고, 특히 보호 층이 걸쳐서 연장되는 그러한 거리는 각각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이다.
이러한 보호 층은 특히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과, 또는 심지어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과 접촉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보호 층은, 도포가 용이한, 약 0.1 내지 3.0 mm 두께의 바니시(varnish)일 수 있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부품일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미리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글레이징의 제조 후에(적층 후에) 외측부 유리 시트 상으로 쐐기 작업될(wedged) 수 있거나 그에 접착 접합될 수 있고;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이는, 예를 들어 현장 압출 또는 현장 캡슐화(in situ encapsulation)에 의해서, 현장에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부품은 글레이징 유닛을 보다 복잡하게 하나, 보다 효과적인 보호가 달성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적어도 글레이징 유닛의 상단 부분 내에서,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인다.
하나의 유리하고 독립적인 변형예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길이의 단지 하나의 부분에 걸쳐서,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인다.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길이의 복수의 부분에 걸쳐,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일 수 있으나, 이러한 독립적인 변형예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길이 전체에 걸쳐,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이지 않는다.
따라서, 글레이징은 제조하기가 더 용이한데, 이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 및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과 정렬되도록,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이지 않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하나의 (또는 그 초과의) 부분(들)이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고; 이러한(이들) 부분(들)은 글레이징의 제조(적층) 중에 2개의 다른 시트에 대해서 내측부 유리 시트를 배치하기 위한 기준 부분(들)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또는 이들) 위치(들)에서 글레이징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이들) 하나의 (또는 그 초과의) 부분(들)은, 글레이징이 차량의 도어(즉, 하나 이상의 글레이징 홀더)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에 대면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변형예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글레이징 유닛의 하단 부분 내에서; 예를 들어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도어의 내측부 내에서 유지되는 하단 부분 내에서 외측부 유리의 연부 면과 정렬된다.
특히,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하단 글레이징-유닛 연부를 따라서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과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의 크기의 구심성 오프셋이 형성되도록,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이고, 미관상 더 거슬리지 않도록(discreet), 그러한 오프셋은 더 바람직하게 그 길이를 따라서 일정하다.
하나의 특정 변형예에서, 구심성 오프셋이 상단 부분의 전체 및 단일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 모두를 따라 형성되도록, 또는 사실상 구심성 오프셋이 상단 부분의 전체 및 글레이징 유닛의 2개의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 모두를 따라 형성되도록,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이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놓인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글레이징 홀더를 구비한 활주 글레이징 유닛이 제조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하나의 시트가 화학적으로 템퍼링된, 글레이징의 적층된 구조로 인해서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화학적으로 템퍼링된 시트의 작은 두께로 인해서 매우 가볍고, 적층형 글레이징의 나머지와 관련된 내측부 시트의 구심성 돌출부로 인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안내하기가 더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글레이징 유닛이 상승될 때(폐쇄될 때) 글레이징 유닛과 같은 높이가 되는 측방향 설주 및 상부 설주를 갖는 도어 내로 통합된 글레이징 유닛을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이는 또한 글레이징 유닛이 상승될 때 글레이징 유닛과 같은 높이가 되는 측방향 설주 및 상부 설주를 가지지 않는 도어 내로 통합된 글레이징 유닛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폐쇄되었을 때, 주변에서 인접한 본체 부분(도어의 부분, 또는, 도어가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주변에서 설주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직접적으로 본체의 부분)과 같은 높이로 놓이는 외측부 면을 포함하는 글레이징 유닛을 생산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유형의 글레이징 유닛은 "플러시 글레이징(flush glazing)"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글레이징 홀더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자동차 글레이징 유닛의 외측부 대면도(face-on view)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글레이징 홀더의 수직 횡방향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글레이징 홀더의 설치 작업 중의,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글레이징 홀더를 구비한 전방 자동차 글레이징 유닛의 프로파일도를 도시한다.
도 4는, 2개의 글레이징 홀더 사이의 그리고 이러한 글레이징 홀더가 없이, 도 1의 글레이징 유닛의 부분적 수직 횡방향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그 상단 부분 내에서 돌출부를 포함하나, 그 하단 부분 내에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의 부분적 수직 횡방향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그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그 상단 부분 내에 그리고 또한 그 하단부 내에 돌출부를 포함한다.
판독성을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여러 요소가 실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외측부로부터 보이는데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우측 글레이징 유닛(1)을 도시한다.
이는 특히, 글레이징 유닛이 전체적으로 또는 거의 전체적으로 도어의 내측부 내에 위치되는 개방 위치와 글레이징 유닛이 도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러한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모터 차량의 도어의 측면 글레이징 유닛이다.
따라서, 폐쇄될 때,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은, 차량의 내측부 내에 위치되는 내측부 공간(I) 및 차량의 외측부에 위치되는 외측부 공간(E) 사이의 수직 분리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외측부" 및 "내측부"라는 개념은 본 문헌에서 이러한 외측부 공간(E) 및 이러한 내측부 공간(I) 각각과 관련하여 고려된다.
그것이 측면 글레이징 유닛의 문제이기 때문에, 측면 글레이징 유닛의 대부분은 차량의, 일반적으로 "X-축"으로 지칭되는,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러한 축은, 차량의 우측에서 측면 글레이징 유닛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의 진행의 중앙 길이방향 축이고 도 1의 지면 내의 수평 축에 상응한다.
본 문헌의 맥락에서, "구심성" 및 "원심성"이라는 개념은, 도 1의 지면에서, X 및 Z 축을 따라, 글레이징 유닛의 중심과 관련하여 표현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원심성 방향은 이러한 중심의 방향을 향하는 반면, 구심성 방향은 이러한 중심으로부터 멀어진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글레이징 유닛(1)은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글레이징 유닛(1)은, 곡선화된(즉, 편평하지 않은) 그리고 적층형 글레이징(2)을 포함한다. 그러나, 더 간결한 것을 위해서, 도 1, 도 4 및 도 5의 도면에서, 글레이징(2)은 편평한 것으로 간주된다.
글레이징 유닛(1)의 글레이징(2)은 적층형 글레이징이며, 그러한 적층형 글레이징은,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적어도, 이하의 순서로: 외측부 유리 시트(3),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 및 내측부 유리 시트(5)를 포함하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시트가 외측부 유리 시트(3)와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 사이의 또는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와 내측부 유리 시트(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외측부 유리 시트(3)는 외측부(E)를 향해서 배향된 외측부 면(30),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를 향해서 배향된 중간층 면(32), 및 이러한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주변 연부 면(31)을 갖는다.
내측부 유리 시트(5)는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를 향해서 배향된 중간층 면(50), 내측부(I)를 향해서 배향된 내측부 면(52), 및 이러한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주변 연부 면(51)을 갖는다.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는, 중간층 면(32)을 향해서 배향되고 여기에서 이러한 중간층 면(32)과 접촉되는 외측부 중간층 면(40), 중간층 면(50)을 향해서 배향되고 여기에서 이러한 중간층 면(50)과 접촉되는 내부 중간층 면(42), 및 이러한 2개의 중간층 면(40, 42) 사이에 위치된 주변 연부 면(41)을 갖는다.
외측부 유리 시트(3)는 예를 들어, 적층형 글레이징(2)의 제조 전에 열적 굽힘 작업을 거치고 두께(e3)가 1.20 내지 4.50 mm 및 예를 들어 2.10 mm인 유리 시트이다.
플라스틱 중간층 시트(4)는, 예를 들어 두께(e4)가 0.50 내지 1.50 mm 및 예를 들어 0.78 mm인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된 시트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시트(4)는 바람직하게, 외측부 유리(3)와 동일한, X-축을 따른 길이 치수 및 Z-축을 따른 높이 치수를 갖는다.
내측부 유리 시트(5)는 화학적 템퍼링 작업을 거치고 두께(e5)가 0.40 내지 2.1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2.0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8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60 mm 그리고 예를 들어 1.00 mm인 유리 시트이다.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5)는 적층형 글레이징(2)의 제조 전에 곡선화되지 않고; 이러한 적층은, 외측부 유리 시트(3)의 형상에 일치되게 만드는 것에 의해서, 내측부 유리 시트의 곡선형 형상을 제공한다. 이는, 내측부 유리 시트의 얇은 두께로 인해서 가능해진다.
글레이징(2)이, 전술한 3개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화학적 템퍼링을 거친 내측부 유리 시트(5)는, 가장 내측의, 적층형 글레이징의 시트이다.
글레이징 유닛(1)은, 글레이징(2)과 별개로, 적어도 하나의 하단 연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따라, 글레이징(2)이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횡방향 횡단면에서, 실질적으로 뒤집힌 h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글레이징 홀더(6, 6')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글레이징 홀더(6)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그에 따라, 글레이징 홀더(6)는:
- 기부에서 연결되고 길이방향 홈을 형성하는, 즉 횡방향 횡단면에서 U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평행 벽(63, 64)으로 이루어진 제1 부분; 및
- 평행 벽(63, 64)으로부터 멀리, 이러한 벽들을 연결하는 기부에 대해서 연장되는 후행부(tail)(65)로 이루어진 제2 부분을 갖는다.
도시된 버전에서, h 형상의 평행 벽(63, 64)이 글레이징(2)의 하부 부분을 조이도록 조립이 실행되고, 이어서 후행부(65)는 글레이징(2)의 연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글레이징 홀더의 이러한 h 형상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그러한 형상이, 평행 벽(63, 64)의 내측부 면적의 합계에 상응하는 큰 면적에 걸쳐, 글레이징 홀더와 글레이징 사이에서 힘이 전달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나; 하나의 편평부(platen)를 이용하는 것도 전적으로 가능하고, 이러한 편평부는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부분: 글레이징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1 부분 및 글레이징을 구동(상승/하강)하기 위한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2 부분을 갖는다.
도 2에서, 글레이징(2)이 곡선형이고, 평행 벽(63, 64) 및 후행부(65)는 평면형이나; 평행 벽(63, 64) 및/또는 후행부(65)가 곡선형일 수 있다. 후행부(65)는, 대략적으로, 평행 벽(63, 64)을 연결하는 기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나, 후행부(65)를 평행 벽(63, 64) 중 어느 하나의 연장부 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 2에서, 후행부(65)는 벽(63, 64)에 평행하지 않다. 축(A)은, 글레이징 유닛이 글레이징 홀더(6)와 관련하여 정확하게 배치되었을 때, 그 하부 단부에서의 글레이징 유닛(1)의 중간 평면을 도시하고; 후행부(65)는 축(A)과 관련하여 0이 아닌 각도로 배향되고, 그러한 각도는 글레이징(2)의 곡률에 따라 달라진다.
후행부(65)는, 글레이징 유닛(1)이 차량의 도어 내에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모터 동력형 구동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글레이징 홀더(6, 6') 및 글레이징(2)은, 글레이징 홀더(6)/글레이징(2) 조립체 내의 공차가 제어될 수 있게 하는 형판(template) 상에서 조립된다.
글레이징 홀더가 제 위치에 배치 및 체결되기 전에, 글레이징(2)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Z1, Z2, Y1, Y2, Y3 및 X4에서의 등방압 상황(isostatism)에 따라, 복수의 배치 접경부(abutment)를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장착 형판(11) 내에 정확하게 배치된다("포커스된다(focused)").
지점(Y3)은, 바람직하게,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도어와의 하단 접촉 밀봉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창 밀봉부(7)의 라인 상에 배치된다.
점선으로 도시되고 글레이징(2)의 기준 시스템에 확실하게 체결되는 매트릭스(12)가 각각의 글레이징 홀더(6)의 후행부(65)를 수용한다.
이어서, 하부 이동 가능 턱부(jaw)(13) 및 상부 이동 가능 턱부(14)가 후행부(65)를 꽉 조인다.
Y 방향을 따른 글레이징 홀더(6)의 배향이 어떠하든 간에, 이동 가능 턱부(13, 14)는, 전술한 등방압 상황의 저하 없이, 글레이징 홀더(6)를 포획한다.
하나의(또는 그 초과의) 글레이징 홀더(들)(6, 6')가 접착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되고, 이어서 글레이징(2) 상으로 "쐐기 작업되고", 다시 말해서 홀더(홀더들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삽입체(66)를 평행 벽(63, 64)과 글레이징(2)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글레이징이 U 형상 내에, 선택적으로 접경되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부가된 삽입체(66)의 배치 페이즈(phase)를,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핫멜트 수지로 제조된, 삽입체(66)를 형성하기 위한 현장형 접착 재료의 주입 몰딩의 페이즈로 대체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에 따라, 글레이징 및 글레이징 홀더가 서로에 대해서 정확하게 배치될 때 삽입체의 주입은, 글레이징의 곡률이 어떠하든 간에, 글레이징 홀더의 위치를 보장한다.
사용된 핫멜트 수지는, 표준 DIN 53455에 따라 계산된, 약 5.5 N/mm2의 탄성 한계 및 11 N/mm2의 항복 강도를 갖는다. 이는, 약 220 ℃의 온도에서 이용되어야 하고, 이러한 온도에서, 표준 ASTM D 3236에 따라 측정된, 약 5000 mPa.s의 점도를 갖는다.
이러한 해결책의 구현 중에, 삽입체를 평행 벽과 글레이징에 대해서 완벽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접착제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입 몰딩에 의해서 현장에서 부가 또는 제조되는 삽입체(66)는 글레이징(2)을 측방향 힘과 관련하여 평행 벽(63, 64)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글레이징 홀더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예로서, 6060 알루미늄 합금(AGS)에서, 30 내지 50 톤의 수직 압축력은, 즉 글레이징 홀더의 크기로 나누는 것에 의해서, 약 40x30 mm의 전체적인 크기의 h-형상의 글레이징 홀더에 대해서 약 150 GPa 및 약 60x60 mm의 전체적인 크기의 h-형상의 글레이징 홀더에 대해서 약 450 GPa의 충분한 압력이다.
글레이징 처리된 요소(2)는,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주변 연부 면(31)에, 플라스틱 시트(4)의 주변 연부 면(41)에, 그리고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주변 연부 면(51)에 상응하는,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외측부 면(30)에 의해서 형성된 외측부 면(20),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부 면(22), 및 이러한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주변 연부 면(21)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즉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따라, 구심성 방향으로,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된다.
따라서, 내측부 유리 시트(5)는 적어도, 외측부 유리 시트(3)의 높이 및/또는 길이(높이들 및/또는 길이들)보다 큰, Z-축을 따른 높이 및/또는 X-축을 따른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구심성 방향으로, 적어도 글레이징 유닛의 상단 부분 내에서,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된다.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그에 따라, 구심성 방향으로,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그리고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위치되고, 그에 따라 구심성 오프셋(9)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여기에서 2.85 mm이고; 이러한 오프셋(9)은 바람직하게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하다.
도 1에서, 창 밀봉부(7)는 도어의 공동의 상단을 표시하고, 글레이징이 폐쇄될 때, 글레이징 유닛(1)이 그러한 공동의 내측부 내로 활주된다. 이러한 폐쇄된 글레이징-유닛 위치에서, 이러한 창 밀봉부(7) 아래에 위치되는 글레이징 유닛의 그러한 모든 부분이 오프셋을 가지지 않을 수 있고; 창 밀봉부(7) 아래의 이러한 부분에서,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도어의 공동의 내측부 내에서, 그 길이의 하나의 (또는 그 초과의) 부분(들)에 걸친, 또는 심지어 그 길이의 전체에 걸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글레이징(2)이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위치되는 장소에서만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과 정렬될 수 있다.
창 밀봉부(7) 위에서, 차량의 도어는 설주(들)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 전방 측방향 설주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위해서, 글레이징 유닛을 안내하는, "A 필라"로도 지칭되는, 인접 본체 부분일 수 있고; 및/또는
- 후방 측방향 설주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위해서, 글레이징 유닛을 안내하는, "B 필라"로도 지칭되는, 인접 본체 부분일 수 있다.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바람직하게, 구심성 방향으로,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되는 내측부 유리 시트(5)의 해당 연부 면(51)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보호 층(8)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이러한 보호 층(8)은,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되는 내측부 유리 시트(5)의 해당 연부 면(51)의 길이 전체에 걸쳐 존재한다.
보호 층(8)은 더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에 대해서 및/또는 각각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대해서 거리(d8, d8')에 걸쳐 연장되고; 이러한 거리는 바람직하게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이고 더 바람직하게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 상에서 및/또는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 상에서 일정하다.
따라서, 보호 층은 바람직하게, 외측부(E)를 향해서 배향된 외측부 면(80), 내측부(I)를 향해서 배향된 내측부 면(82), 및 이러한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주변 연부 면(81)을 갖는다.
보호 층의 외측부 면(80)은 바람직하게, 그러한 보호 층이 덮는 부분 내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보호 층의 내측부 면(82)은, 그러한 보호 층이 덮는 부분 내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보호 층의 연부 면(81)은, 그러한 보호 층이 덮는 부분 내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에서, 보호 층(8)은, 오프셋(D)의 높이와 동일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에 대한 거리(d8)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보호 층은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41)과 접촉되고 이러한 연부 면을 또한 보호한다.
보호 층(8)의 목적은,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즉,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또는 심지어 돌출부 전부, 또는 심지어 돌출부 초과)를 보호하는 것, 그리고 동시에, 내측부 유리 시트의 두께와 관련되고 (화학적으로 템퍼링된) 그 성질로 인한,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의 잠재적으로 날카로운 특성으로 인해서,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 모두를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화학적 템퍼링은, 날카로울 수 있는, 면들 사이의 융기부(ridge) 및 연부 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보호 층(8)은 약 0.1 내지 3.0 mm, 또는 심지어 0.2 내지 2.0 mm 그리고 예를 들어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바니시일 수 있고; 이는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부품일 수 있다. 이는 미리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외측부 유리 시트에 쐐기 작업되거나 그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예를 들어 현장 압출 기술 또는 자체적으로 폐쇄되는 2개의 몰드 부분들 사이에서의 캡슐화 또는 심지어 자체적으로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2개의 몰드 부분들 사이에서 안내되는 하이브리드 압출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제조될 수 있다.
보호 층은 여기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두께(e5)의 적어도 2배인 전체 두께(e8)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이다.
보호 층은, 글레이징 홀더(6, 6')가 제 위치에 체결되기 전에 또는 후에,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글레이징 유닛(1)이 차량의 도어에 체결되기 전에 글레이징(2)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은 바람직하게, 그 후에 글레이징 유닛의 손상이 없이 보호 층이 제거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비가역적이다.
보호 층은 또한, 차량의 본체의 컬러와 관련한 적합한 (동일한) 컬러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또는 크롬-코팅된 외관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글레이징 유닛의 미관에 참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길이의 단지 하나의 부분에 걸쳐,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는 측방향 연부 및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를 따라서 존재하나, 글레이징의 하단 연부를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3개의 연부 면(31, 41, 51)은 글레이징의 하단 부분 내에서 Y-축을 따라서 서로 정렬되나, 글레이징의 상단 부분 내에서, Y-축을 따라 서로 정렬되지 않고;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구심성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다시 말해서:
- 적어도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를 따라 Z-축을 따라;
- 그리고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적어도 글레이징의 측방향 연부를 따라, 또는 더 바람직하게 글레이징의 2개의 측방향 연부를 따라, X-축을 따라 오프셋된다.
예를 들어,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를 따라서 그리고, 또한 "B 필라"로 지칭되는, 도 1의 우측의,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글레이징의 측방향 연부를 따라서, 구심성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시트(3, 4, 5)는 주변 둘레부(P3, P4, P5)를 가지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둘레부는,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둘레부(P5)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플라스틱 시트(4)의 둘레부(P4) 및 외측부 유리 시트(3)의 둘레부(P3)를 넘어서 놓인다.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둘레부(P5)는,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도어의 패널의 외측부 상에 존재하는, 글레이징 유닛의 상단 부분 내의 외측부 유리 시트(3)의 둘레부(P3)와 정렬되지 않고: 그에 따라 돌출부는,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외측부로부터 볼 수 있는 글레이징의 주변부 전체를 따라서 존재한다.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둘레부(P5)는 글레이징 유닛의 하단 부분 내에서만 외측부 유리 시트(3)의 둘레부(P3)와 측방향으로 정렬되고: 그에 따라 글레이징 유닛이 폐쇄될 때 도어의 내측부 내에서 유지되는 글레이징 유닛의 부분 내에서, 글레이징 홀더의 글레이징에 대한 부착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위치에서 글레이징의 보강에 참여한다.
외측부 유리 시트(3)의 둘레부(P3) 및 플라스틱 시트(4)의 둘레부(P4)에 대해서 구심성 방향으로 오프셋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이러한 둘레부(P5)는, 도어가 설주를 포함할 때 도어의 개구부 내의 또는 도어가 부분적인 글레이징 설주를 포함하거나 글레이징 설주(들)를 포함하지 않을 때 글레이징 유닛이 관련하여 활주될 수 있는 도어를 수용하는 본체의 개구부 내의 대면되어 위치되는 상응 프로파일 내에서 글레이징 유닛(1)을 안내하기 위해서, 이러한 둘레부(P5)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둘레부는 글레이징 유닛이 완전히 폐쇄될 때 도어의 상단 부분 내에 제공된 U-형상 프로파일 또는 개구부 내로 활주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구심성 오프셋(9)이 상단 부분의 전체를 따라 그리고 글레이징 유닛의 상부 연부의 전체 모두를 따라 그리고 단일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을 따라 형성되도록, 또는 심지어 구심성 오프셋(9) 또는 돌출부가 상단 부분의 전체 및 글레이징 유닛의 2개의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 모두를 따라 형성되도록,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놓인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은, 내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의 길이의 전체에 걸쳐, 플라스틱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그리고 외측부 유리 시트의 연부 면을 넘어서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3개의 연부 면은, 글레이징의 하단 부분 내에서 Y-축을 따라서, 또는 글레이징의 상단 부분 내에서 Y-축을 따라서, 또는 측면들 상에서 Y-축을 따라서,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심성 돌출부는 주변적이고: 이는 글레이징의 주변부의 전체를 따라 존재하고; 거리(D)는 바람직하게 글레이징(2) 주위 전체에서 일정하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호 층(8)은 또한 완전히 주변적이고: 이는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전체를 따라서 존재하나; 이는, 글레이징(2)이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내부에 위치되는 구역 내에서, 또는 심지어 각각의 구역 내에서 보호 층(8)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호 층(8)은,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 및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에 대한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돌출 거리(D)보다 먼,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대한 거리(d8')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거리(d8')는 3.0 내지 40.0 mm, 또는 심지어 4.0 내지 30.0 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이 단지 예로서 앞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글레이징(2) 및 상기 글레이징(2)이 차량의 도어에 대해서 병진운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 유닛(1)으로서, 상기 글레이징(2)은 곡선화되고 적층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 유리 시트(3), 내측부 유리 시트(5), 및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와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 사이에 위치된 플라스틱 시트(4)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트(3, 4, 5)가 주변 연부 면(31, 41, 51)을 가지는 글레이징 유닛(1)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가 화학적 템퍼링 작업을 거친 유리 시트이고 0.40 내지 2.1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80 mm, 또는 심지어 0.40 내지 1.60 mm의 두께(e5)를 가지는 유리 시트이고,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되는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해당 연부 면(51)의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서 보호 층(8)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은,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위치되는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해당 연부 면(51)의 길이 전체에 걸쳐 보호 층(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에 대해서 및/또는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대해서 거리(d8, d8')에 걸쳐 연장되는 보호 층(8)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는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이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외측부 면(50) 상에서 및/또는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 상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 및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에 대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돌출 거리(D)보다 먼,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내측부 면(52)에 대한 거리(d8')에 걸쳐 연장되는 보호 층(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층(8)이 약 0.1 내지 3.0 mm 두께의 바니시이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적어도 상기 글레이징 유닛(1)의 상단 부분 내에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의 길이의 하나의 부분만에 걸쳐, 상기 플라스틱 시트(4)의 연부 면(41)을 넘어서 그리고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글레이징의 하단 부분 내에서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30.0 mm, 또는 심지어 3.0 내지 20.0 mm의 크기의 구심성 오프셋(9)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놓이고, 상기 오프셋(9)은 바람직하게 그 길이를 따라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심성 오프셋(9)이 상단 부분의 전체 및 단일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 모두를 따라 형성되도록, 또는 사실상 구심성 오프셋(9)이 상단 부분의 전체 및 상기 글레이징 유닛의 2개의 측방향 연부의 단지 하나의 부분 모두를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 유리 시트(5)의 연부 면(51)이 상기 외측부 유리 시트(3)의 연부 면(31)을 넘어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유닛(1).
KR1020197010996A 2016-10-28 2017-10-24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KR20190077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0486 2016-10-28
FR1660486A FR3058096B1 (fr) 2016-10-28 2016-10-28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debord interieur
PCT/FR2017/052936 WO2018078280A1 (fr) 2016-10-28 2017-10-24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debord interi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338A true KR20190077338A (ko) 2019-07-03

Family

ID=5790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996A KR20190077338A (ko) 2016-10-28 2017-10-24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400799B2 (ko)
EP (1) EP3532287B1 (ko)
JP (1) JP2019535616A (ko)
KR (1) KR20190077338A (ko)
CN (1) CN108260353B (ko)
BR (1) BR112019006374A2 (ko)
CA (1) CA3040590A1 (ko)
FR (1) FR3058096B1 (ko)
MA (1) MA46631A (ko)
MX (1) MX2019004411A (ko)
RU (1) RU2744088C2 (ko)
WO (1) WO2018078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4435A1 (de) * 2017-12-12 2020-10-21 Saint-Gobain Glass France Halteelement für eine heb- und senkbare fahrzeug-seitenscheibe
FR3096926B1 (fr) 2019-06-05 2023-04-28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DEBORD INTERIEUR LATERAL
FR3106775A1 (fr) 2020-01-31 2021-08-06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debord interieur lateral protege par une bande
JP7402416B2 (ja) * 2020-03-23 2023-12-21 Agc株式会社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FR3119112B1 (fr) * 2021-01-27 2023-01-20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RETRAIT INTERI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VITRAG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726A (en) 1965-04-28 1971-07-13 Corning Glass Works Composite vehicle closure comprising an inner sheet of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DE2522043A1 (de) * 1975-05-17 1976-11-25 Huels Chemische Werke Ag Fluessige ueberzugsmittel
GB2118601A (en) * 1982-04-21 1983-11-02 Draftex Dev Ag Windows
JPS58189481A (ja) * 1982-04-21 1983-11-05 ドラフテツクス・デイヴエロツプメ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DE3618278A1 (de) * 1986-05-30 1987-12-03 Ver Glaswerke Gmbh Glasscheibe mit im randbereich aufgesteckter profilleiste
JPS6444320A (en) * 1987-08-11 1989-02-16 Nissan Motor Window panel structure
US4901476A (en) * 1987-08-11 1990-02-20 Nissan Motor Co., Ltd. Window pane structure
JPH0717153B2 (ja) * 1989-07-12 1995-03-0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DE9317460U1 (de) * 1992-12-02 1994-02-03 Ver Glaswerke Gmbh Einbruchhemmende Autoglasscheibe
US5613325A (en) * 1995-12-22 1997-03-25 Excel Industries, Inc. Motor vehicle glazing units
JPH11116258A (ja) * 1997-10-07 1999-04-2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構造
US6737151B1 (en) * 1999-04-22 2004-05-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lass laminates having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against severe impacts
BE1013572A4 (fr) * 2000-06-23 2002-04-02 Glaverbel Vitrage mobile pre-ajuste en position.
FR2812680B1 (fr) * 2000-08-04 2002-11-08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Systeme de positionnement et d'assemblage d'une vitre sur un leve-vitre
DE102009017805B4 (de) * 2009-04-20 2012-05-16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s Verbundglas und dessen Verwendung
US8937699B2 (en) * 2010-08-12 2015-0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9616641B2 (en) * 2011-06-24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US10035331B2 (en) * 2011-06-24 2018-07-31 Corning Incorporated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CN104203531B (zh) * 2012-04-06 2017-03-08 旭硝子株式会社 带树脂框体的板状体及带树脂框体的板状体的制造方法
WO2013181484A1 (en) * 2012-05-31 2013-12-05 Corning Incorporated Stiff interlayers for laminated glass structures
BE1020862A3 (fr) * 2012-08-21 2014-06-03 Agc Glass Europe Vitrage automobile.
FR2996802B1 (fr) * 2012-10-12 2014-11-21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WO2015031594A2 (en) * 2013-08-29 2015-03-05 Corning Incorporated Thin glass laminate structures
FR3012073A1 (fr) * 2013-10-23 2015-04-24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asymetrique
US20150158275A1 (en) 2013-12-10 2015-06-11 Corning Incorporated Non-yellowing glass laminate structure
US10286631B2 (en) * 2015-06-03 2019-05-14 Precision Glass Bending Corporation Bent, veneer-encapsulated heat-treated safety glass pa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4088C2 (ru) 2021-03-02
US20190248216A1 (en) 2019-08-15
CN108260353A (zh) 2018-07-06
RU2019113984A (ru) 2020-11-30
FR3058096B1 (fr) 2018-12-07
CN108260353B (zh) 2021-03-26
US11400799B2 (en) 2022-08-02
BR112019006374A2 (pt) 2019-06-25
CA3040590A1 (fr) 2018-05-03
MX2019004411A (es) 2019-06-12
FR3058096A1 (fr) 2018-05-04
JP2019535616A (ja) 2019-12-12
RU2019113984A3 (ko) 2020-11-30
EP3532287A1 (fr) 2019-09-04
WO2018078280A1 (fr) 2018-05-03
EP3532287B1 (fr) 2022-12-07
MA46631A (fr)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7338A (ko) 내측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KR20190077337A (ko) 내부 돌출부를 갖는 활주되는 적층형 글레이징
US8500192B2 (en) Whole glass roof for a motor vehicle
KR101651028B1 (ko)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EP2102440B1 (en) Frameless window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6839106B2 (ja) 車両ドア用フラッシュ窓ガラス装置、ドア、自動車、気密装置、及び対応する製造方法
EP1561619B1 (en) Vehicle door with slidable window glass
BR9907601A (pt) Janela de vidro a prova de bala para veìculo a motor
EP3498509B1 (en) Slider-equipped window glas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EP2214932B1 (en) Glazing
SK1112001A3 (en) Centering device for flat components, especially glass panels
US20150151614A1 (en) Automotive door with shatter-resistant movable side window for enhanced occupant retention
CN110149798B (zh) 具有在一侧被安置的保持元件的车辆-侧面玻璃
GB2515525A (en) Vehicle window assembly
CN111511593A (zh) 带树脂制框体的固定窗玻璃、及其制造方法
US20240092063A1 (en) Sliding laminated glazed unit with interior offs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glazed unit
US20220242201A1 (en) Sliding laminated glazing unit with lateral inner projection
US11446986B1 (en) Reinforced vehicle window
CN115605661A (zh) 制造滑动玻璃窗的方法以及滑动玻璃窗
CN116056925A (zh) 包括窗户保持器的车辆窗户
CN115605660A (zh) 制造滑动玻璃窗的方法以及这种滑动玻璃窗
WO2020012184A1 (en) A vehicle window
CN113474532A (zh) 侧向的内突出部由条带保护的滑动层压玻璃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