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449A - 승차인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인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449A
KR20220159449A KR1020227037576A KR20227037576A KR20220159449A KR 20220159449 A KR20220159449 A KR 20220159449A KR 1020227037576 A KR1020227037576 A KR 1020227037576A KR 20227037576 A KR20227037576 A KR 20227037576A KR 20220159449 A KR20220159449 A KR 2022015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bag cushion
deployment
inflation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이시가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15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60N2/42718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54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 B60N2/42763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electric or electronic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Abstract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로서, 에어백 쿠션(32)과, 에어백 쿠션(32)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4)와, 에어백 쿠션(3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200)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32)은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전방 설치점(60a, 60b) 및 후방 설치점(62a, 62b)과, 적어도 전방 설치점(60a, 60b) 및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64)를 가진다. 커버(200)는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할 때의 기점이 되는 취약부(250)를 가진다. 커버(200)는 취약부(250)가 전후 방향의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팽창 전개부의 전방 설치점(60a, 60b) 측을 덮고, 전방 설치점(60a, 60b) 측에 있어서 차량 시트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승차인 보호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전방 충돌한 경우, 승차인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전방 충돌 시에 차량 시트 내의 에어백을 순식간에 팽창시킴으로써 시트 쿠션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승차인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을 억제하도록 한 승차인 보호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07/118820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백의 팽창 시에 시트 쿠션의 전단부에 의해 승차인의 무릎이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차량 시트에 대한 에어백의 설치 형태나 배치 위치의 관계상, 승차인의 무릎은 충분히 올라가지 않는다. 승차인의 무릎을 효과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승차인의 무릎만을 밀어올리도록 하는 것보다도 승차인의 둔부에 가까운 대퇴부 근방을 밀어올려 승차인의 대퇴부부터 무릎에 걸친 부분을 전체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승차인의 허리부 구속 성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승차인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로서,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밀어올리도록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 쿠션과,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동시에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에어백 쿠션은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설치점의 후방 측에서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과,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를 가지고,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할 때의 기점으로 이루어지는 취약부를 가지고, 커버는 취약부가 전후 방향의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팽창 전개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 측을 덮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 측에 있어서 차량 시트에 설치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부가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 방향을 커버에 의해 지향(指向, 방향을 정하다, 가이드하다.)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가 팽창 전개부의 제1 설치점 측을 덮고 또한 커버의 취약부가 전후 방향의 후방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팽창 전개 초기 단계에서는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에 의해 취약부가 개열하고, 팽창 전개부의 제2 설치점의 측(즉, 후방 측)의 부분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이때 커버의 다른 부분이 아직 팽창 전개부의 제1 설치점 측(즉, 전방 측) 부분을 덮은 상태이기 때문에 팽창 전개부의 제1 설치점 측 부분은 제2 설치점 측 부분보다도 팽창 전개가 억제된다. 환언하자면 팽창 전개의 초기 단계에서는 팽창 전개부의 제2 설치점 측 부분이 팽창 전개부의 제1 설치점 측 부분보다도 우선적으로 팽창 전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후의 팽창 전개가 진행할 시에 팽창 전개부가 그 전방 측보다도 그 후방 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하게 되기 때문에, 커버 없는 구성에 비해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더욱 후방 측으로부터 더욱 높게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규 자세로 좌석면에 착석한 승차인이 있는 경우, 그 승차인과의 관계에서는 승차인의 둔부에 보다 가까운 대퇴부 근방에서 승차인의 대퇴부부터 무릎에 걸친 부분을 전체로 하여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승차인의 허리부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로서,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밀어 올리도록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 쿠션과,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의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에어백 쿠션은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설치점의 후방 측에서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과,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를 가지고, 커버는 팽창 전개부가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 방향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커버에 의해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 방향이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지향된다. 예를 들어 팽창 전개 방향이 상방 측이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의 후방 측을 향하도록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팽창 전개부를 그 전방 측보다도 그 후방 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찬가지로 승차인의 허리부 구속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 시트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의 차량 시트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의 봉제 후의 에어백 쿠션을 평탄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의 봉제 전의 에어백 쿠션을 평탄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차량 시트의 시트팬에 설치하기 전의 도 2(A)의 에어백 쿠션 및 커버를 평탄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차량 시트의 시트팬에 설치한 후, 또한 접히기 전의 도 2(A)의 에어백 쿠션의 상태와 평탄하게 펼친 커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차량 시트의 시트팬에 설치한 후, 또한 접힌 후의 도 2(A)의 에어백 쿠션을 덮는 커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팽창 전개한 후의 도 2(A)의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과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7(C)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를 차량 시트의 시트팬 위에 설치한 상태로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를 차량 시트의 시트팬 위에 설치한 상태로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의 커버를 평탄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위에 에어백 쿠션을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가 에어백 쿠션의 일부를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C)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가 에어백 쿠션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1(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과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1(C)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B)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과정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C)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 좌우 및 전후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차량 시트)에 착석했을 시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칭하고, 좌표축을 나타낼 때는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차량 시트에 착석했을 시에 승차인의 우측을 우측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좌측 방향이라고 칭하고, 좌표축을 나타낼 때는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정규 자세로 착석했을 시에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상방, 승차인의 허리부 방향을 하방으로 칭하고, 좌표축을 나타낼 때는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차량 시트(100)>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 시트(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시트(100)는 승차인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과, 승차인이 착석하는 시트 쿠션(2)과, 승차인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트(100)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이지만 후방부 좌석이어도 된다.
시트백(1) 및 시트 쿠션(2)의 내부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시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10) 및 좌석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10) 및 좌석 프레임(20)은 금속 부품 또는 경질 수지를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서로 리클라이닝 기구(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좌석 프레임(20)은 좌우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 22)을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 22) 사이에 걸쳐 시트팬(24)(참조: 도 3 및 도 8(A))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쿠션(2)은 좌석 프레임(20)의 표면 및 주위를 덮는 우레탄 발포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패드와, 시트 패드의 표면을 덮는 피혁이나 패브릭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커버를 가지고 있다. 시트 커버의 상면이 승차인이 착석하는 면, 즉 시트 쿠션(2)의 좌석면(26)을 구성한다.
<승차인 보호 장치(30)>
이어서 도 2(A) 내지 5를 참조하여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각 구성 부분(후술하는 에어백 쿠션(32), 인플레이터(34) 및 커버(200))이 조립되어 승차인 보호 장치(30)를 구성한 상태를 '조립 상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2(A)에서는 인플레이터(34) 및 커버(200)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승차인 보호 장치(30)는 시트 쿠션(2)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된다(참조: 도 1(A)). 예를 들어 승차인 보호 장치(30)는 시트 쿠션(2)의 내부에 설치되고 시트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이 경우, 승차인 보호 장치(30)를 시트팬(24)의 상면에 설치해도 된다. 혹은 시트팬(2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좌석 프레임(20)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승차인 보호 장치(30)는 시트 쿠션(2)의 내부가 아니라 시트 쿠션(2)의 하방에 설치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시트 쿠션(2)의 하방에서 차량 시트(100)에 고정한 브래킷에 승차인 보호 장치(30)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승차인 보호 장치(30)를 시트팬(24)의 상면에 설치한 예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차인 보호 장치(30)는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 쿠션(32)과,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32)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4)와, 에어백 쿠션(3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200)를 구비한다. 차량 긴급 시란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충돌 때이다.
인플레이터(34)는 차량 측(ECU)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34)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그 충격을 검지한 신호를 차량 측(ECU)으로부터 수신하여 작동하고, 에어백 쿠션(32)을 향하여 가스를 순식간에 공급한다. 인플레이터(34)로서는 가스 발생제, 압축 가스 또는 이들 양쪽이 충전된 것 등, 여러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34)는 에어백 쿠션(32)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된 인플레이터 본체(341)와, 인플레이터 본체(341)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드 볼트(342)를 가진다. 일례를 들면 인플레이터 본체(341)는 바닥을 가진 원통체의 개방 단부에 착화 장치를 설치하고, 원통체의 내부에 가스 발생제를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원통체의 원주면에는 여러 개의 분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분출 구멍이 에어백 쿠션(3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스터드 볼트(342)는 에어백 쿠션(32)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에어백 쿠션(32)의 외부에 있어서 차량 시트(100)의 시트팬(24)에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32)은 커버(200)와 함께 스터드 볼트(342)를 개재하여 차량 시트(100) 측(구체적으로는 시트팬(24))에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 긴급 시에 인플레이터 본체(341)의 착화 장치에 의해 인플레이터 본체(341) 내의 가스 발생제가 착화한다. 그러면 가스가 발생하고 인플레이터 본체(341)의 여러 개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에어백 쿠션(32) 내에 팽창 전개용 가스가 공급된다.
에어백 쿠션(32)은 주머니체로서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한다. 에어백 쿠션(32)은, 예를 들어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기포(基布) 등을 적절한 위치에서 봉합 또는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에어백 쿠션(32)은 표면 기포(40)와 내면 기포(42)를 봉제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형성에서는 먼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장의 기포(44)를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되접고,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되접은 부분 사이를 서로 겹친다. 그리고 이 겹쳤을 때의 상방 측 부분이 되는 표면 기포(40)와, 하측 부분이 되는 내면 기포(42)에 대하여, 각각의 주연(周緣)부(46, 48)를 심(seam)(50)에서 봉합한다. 이에 의해 심(50)보다도 내면의, 표면 기포(40)와 내면 기포(42) 사이의 내부에 에어 챔버(주머니)가 구획 형성된다. 이 에어 챔버에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표면 기포(40) 및 내면 기포(42)에 있어서의 에어 챔버 구획 형성 부분이 팽창 전개한다.
에어백 쿠션(32)은 두 개의 전방 설치점(60a, 60b)(제1 설치점)과, 차량 시트(1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전방 설치점(60a, 60b)의 후방 측에 설치된 두 개의 후방 설치점(62a, 62b)(제2 설치점)과,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적어도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64)를 가진다. 전방 설치점(60a, 60b) 및 후방 설치점(62a, 62b)은 차량 시트(100) 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팽창 전개부(64)는 상기 에어 챔버를 구획 형성하는 부분이다. 즉, 팽창 전개부(64)는 심(50)보다도 내면에 있는 표면 기포(40) 및 내면 기포(42)의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설치부(60a, 60b)는 에어백 쿠션(32)의 전단부(32a)의 근방에 설치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방 설치점(60a)은 에어백 쿠션(32)의 전단부(32a)의 중앙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전방 설치점(60b)은 상기 중앙부 근방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설치점(60a, 60b)은 고정구가 사용되는 구멍이며 도 2(B)에 나타내는 봉제 전 단계에 있어서 내면 기포(4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설치점(60a, 60b)은 심(50)보다도 내면에 위치하고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설치점(60a, 60b)을 심(50)보다도 표면에 위치시켜도 된다.
전방 설치점(60a, 60b)은 인플레이터(34)를 차량 시트(1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점을 겸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 본체(341)의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에 맞추어 에어백 쿠션(32) 내부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스터드 볼트(342)를 에어백 쿠션(32)의 표면(내면 기포(42)의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너트에 의해 시트팬(24)에 체결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터드 볼트(342) 및 너트에 의해 인플레이터(34) 및 에어백 쿠션(32)이 시트팬(24)에 함께 체결된다. 함께 체결되어 있는 부분이 에어백 쿠션(32)을 차량 시트(100)에 설치하기 위한 전방 설치점(60a, 60b)을 구성함과 함께 인플레이터(34)를 차량 시트(1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점을 구성한다.
후방 설치점(62a, 62b)은 에어백 쿠션(32)의 후단부(32b) 근방에 설치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후방 설치점(62a, 62b)은, 예를 들어 고정구가 사용되는 구멍으로서 도 2(B)에 나타내는 봉제 전 단계에 있어서 표면 기포(40) 및 내면 기포(42)의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설치점(62a, 62b)은 심(50)보다도 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후방 설치점(62a, 62b)은 팽창 전개부(64)가 아닌 에어백 쿠션(32)의 비팽창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32)은 후방 설치점(62a, 62b)들 사이에 오목부(66)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66)는 에어백 쿠션(32)을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팽창 전개부(64)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 비어 있는 곳이다. 다른 관점으로 보면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32)에서는 후방 설치점(62a, 62b)이 에어백 쿠션(32)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오목부(66)는 에어백 쿠션(32)의 후단부(32b)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6)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32)의 전단부(32a)와 후단부(32b)를 연결하는 길이의 약 1/4이다.
팽창 전개부(64)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 접음부(80)를 가진다. 환언하자면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 위치하는 팽창 전개부(64)의 일부는 접힘으로써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접힌 부분은 하나여도 되고 여러 개여도 된다. 즉, 접음부(80)는 하나 이상의 접힌 부분을 가져도 된다. 적합한 일례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음부(80)는 제1 접음부(81)(제1 부분)와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음부(81)보다도 후방 측에 있는 제2 접음부(82)(제2 부분)를 가진다. 접음부(80)에 있어서 제1 접음부(81)는 전방 설치점(60a, 60b) 측에 형성되고 제2 접음부(82)는 후방 설치점(62a, 62b)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음부(81)는 제2 접음부(82)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도록 벨로스(Bellows)형상으로 접혀 있는 개수가 많다. 여기에서는, 제1 접음부(81)는 여러 개의 접은 부분을 가지도록 여러 번 접혀 있는 한편, 제2 접음부(82)는 하나의 접은 부분을 가지도록 한 번 접혀 있다.
커버(200)는, 예를 들어 소프트 커버로서 팽창 전개부(64)가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 방향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수지, 직물 및 기타 복합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커버(200)는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할 때의 기점이 되는 취약부(250)를 가진다. 취약부(250)는 커버(200)의 다른 부분보다도 개열하기 쉬운 부분이다. 예를 들어 취약부(250)는 커버(200)의 개방된 개구부, 커버(200)에 형성된 슬릿 또는 커버(200)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부여도 된다. 또한 취약부(250)가 개구부 또는 슬릿인 경우, 취약부(250)는 에어백 쿠션(3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취약부(250)를 개구부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합한 일례를 들면 커버(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전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한 장의 수지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립 상태에 있어서 커버(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덮는 형상(예를 들어 주머니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례를 들면 커버(200)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같은 부분에서 에어백 쿠션(32)과 함께 스터드 볼트(341)를 개재하여 차량 시트(100)의 시트팬(24)에 설치된다. 단,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00)는 전방 설치점(60a, 60b) 근방에서 에어백 쿠션(32)과 함께 또는 별개로 차량 시트(10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200)는 취약부(250)가 차량 시트(100)의 전후 방향의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설치점(60a, 60b) 측을 덮는다. 이 경우, 커버(200)는 팽창 전개부(64)의 접음부(80)의 적어도 차량 시트(1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을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커버(200)는 접음부(80)의 제1 접음부(81)를 전방 측 및 상방 측으로부터 덮는다. 이 때문에 접음부(80)의 제1 접음부(81)는 그 전방 측 부분 및 상방 측 부분을 커버(200)에 의해 감싸이고 있다.
한편 커버(200)의 취약부(250)는 에어백 쿠션(32)의 후방 설치점(62a, 62b) 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일례를 들면 커버(200)는 취약부(250)가 팽창 전개부(64)의 상방 측에 위치하도록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설치점(60a, 60b) 측을 덮는다. 이 경우, 취약부(2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0)의 서로 떨어져 있는 양단부에 의해 구성된 개구부이다. 즉,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덮기 위해 커버(200)를 조립하거나 또는 되접은 상태에 있어서 커버(200)는 그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고 또한 틈새를 두면서 대향한다. 이 틈새(개구부)가 취약부(250)가 된다.
또한 커버(200)는 제2 접음부(82)(접음부(80)의 후방 부분)를 취약부(250)를 통하여 커버(200)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접음부(80)가 제1 접음부(81)를 가지는데 제2 접음부(82)에 상당하는 부분이 접혀 있지 않은 경우, 커버(200)는 취약부(250)를 개재하여 접혀 있지 않은 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하여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00)는 취약부(250)를 개재하여 오목부(66)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후방 설치점(62a, 62b)을 구성하는 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하여도 된다.
또한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커버(200)의 구성의 관점에서는, 커버(200)는 제1 접음부(81)를 각각 그 상방 측, 전방 측, 하방 측 및 후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부(210), 제2 커버부(220), 제3 커버부(230) 및 제4 커버부(240)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제1 커버부(210)와 제4 커버부(240)의 각각의 단부는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즉, 제1 커버부(210)의 단부와 제4 커버부(240)의 단부 이들 사이에 취약부(250)를 구성하고 있다. 취약부(250)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210)와 제4 커버부(240)의 각 단부는 에어백 쿠션(32)이 팽창 전개하기 전에 예를 들어 봉합 또는 첩착(貼着)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이 에어백 쿠션(23)의 팽창 전개에 의해 해소된다.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 시, 커버(200)에서는 취약부(250)가 커버(200)의 다른 부분보다도 먼저 개열한다.
취약부(250)는 에어백 쿠션(32)의 후단부(32b)의 중앙부의 상방, 즉 오목부(6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참조: 도 2(A) 및 도 5). 따라서 커버(200)는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에 의해 취약부(250)를 기점으로 하여 상방 측과 후방 측 부분이 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취약부(250)는 상기와 같이 커버(200)에 슬릿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슬릿은 제1 커버부(210) 또는 제4 커버부(240)에 형성할 수 있다. 슬릿의 형상, 크기 및 범위는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슬릿의 위치(예를 들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 위치)는 취약부(250)를 개구부로 한 경우의, 상기 개구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커버(200)는 취약부(250)로서의 슬릿을 개재하여 에어백 쿠션(32)의 후방 설치점(62a, 62b) 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취약부(250)는 상기와 같이 커버(200)의 박육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박육부는 제1 커버부(210) 또는 제4 커버부(240)의 일부를 커버(200)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박육부의 위치(예를 들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 위치)는 취약부(250)를 개구부로 한 경우의, 상기 개구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취약부(250)를 박육부로 한 경우는, 커버(200)는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만이 아니라 전체를 덮는 것도 가능하다.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조립>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조립에서는 먼저 에어백 쿠션(32)이 전방 설치점(60a, 60b)에서 커버(200)와 함께 시트팬(24)에 설치된다. 이어서 에어백 쿠션(32)은 후방 설치점(62a, 62b)에서 시트팬(24)에 설치되어 접힌다. 그 다음 커버(200)가 접은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덮는다. 이하에서는 시트팬(24)에 대한 에어백 쿠션(32) 및 커버(200)의 설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팬(24)에는 에어백 쿠션(32)의 전방 설치점(60a, 60b)을 설치하기 위한 전방 고정 위치(70)(제1 고정 위치)와, 에어백 쿠션(32)의 후방 설치점(62a, 62b)을 설치하기 위한 후방 고정 위치(72)(제2 고정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전방 고정 위치(70) 및 후방 고정 위치(72)는 예를 들어 시트팬(24)에 형성된 고정 구멍의 위치이다. 또한 후방 고정 위치(72)는, 정규 자세로 착석하는 승차인과의 관계에서는 승차인의 대퇴부의 둔부에 가까운 부분의 하방에 온다.
도 3은 시트팬(24)에 설치하기 전의 에어백 쿠션(32) 및 커버(200)를 평탄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의 거리(D1)는 전방 고정 위치(70)와 후방 고정 위치(72) 사이의 거리(D2)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D1>D2). 또한 거리(D1) 및 거리(D2)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리(D1)는 39.5 cm이며 거리(D2)는 6.4 cm이다.
도 4는 에어백 쿠션(32) 및 커버(200)를 함께 시트팬(24)에 설치한 후의, 접기 전의 에어백 쿠션(32)의 상태와 평탄하게 펼친 커버(2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트팬(24)에의 설치에서는 전방 설치점(60a, 60b)이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34)의 스터드 볼트(342)를 개재하여 전방 고정 위치(70)에 설치되고, 후방 설치점(62a, 62b)이 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구(74)를 개재하여 후방 고정 위치(72)에 설치된다. 이 경우, 커버(200)(예를 들어 제3 커버부(230))와 에어백 쿠션(32)은 함께 전방 설치점(60a, 60b)에서 시트팬(24)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상태에서는 거리(D1)가 줄어들어 거리(D2)와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 쿠션(32)은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 슬랙(32c)(slack)을 가지게 된다. 즉 에어백 쿠션(32)은 시트팬(24)의 상방 측에 슬랙(32c)을 형성한 상태로 시트팬(24)의 상면에 설치된다. 슬랙(32c)의 양(길이)은 에어백 쿠션(32)을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 있어서의 거리(D1)와 거리(D2)의 차이값에 상당한다.
도 5는 에어백 쿠션(32) 및 커버(200)를 시트팬(24)에 설치한 후의, 접은 에어백 쿠션(32)을 덮는 커버(2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승차인 보호 장치(30)는 시트팬(24)에 설치된다. 즉, 도 5는 설치 후의 에어백 쿠션(32)에 있어서 팽창 전개부(64)가 팽창 전개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설치 후의 에어백 쿠션(32)은 슬랙(32c)이 상방 측으로부터 아코디언 형상으로 접힘으로써 팽창 전개부(64)에 접음부(80)를 형성하고 있다. 즉,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접힘으로써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접음부(80)를 가진다. 접음부(80)는 전후 각각의 위치에 제1 접음부(81)와 제2 접음부(82)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제1 접음부(81)는 전방 설치점(60a, 60b) 측, 구체적으로는 전방 설치점(60a, 60b)의 상방 측 또는 전방 설치점(60a, 60b)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접음부(82)는 후방 설치점(62a, 62b) 측, 구체적으로는 후방 설치점(62a, 62b)의 상방 측 또는 후방 설치점(62a, 62b)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접은 후의 에어백 쿠션(32)에 대하여 커버(200)가 에어백 쿠션(32)의 제1 접음부(81)를 덮고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포위하고 있다. 이 포위는 커버(200)를 평탄한 상태로부터 변형시킴으로써 실시한다. 예를 들어 커버(200)의 제1 커버부(210), 제2 커버부(220) 및 제3 커버부(230)로 제1 접음부(81)를 하측, 전방 측 및 상방 측을 덮은 후에 제4 커버부(240)로 제1 접음부(81)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도록 한다. 이때, 취약부(250)를 에어백 쿠션(32)의 오목부(66)의 상방 측에 위치시키도록 봉합 또는 첩착 등에 의해 제1 커버부(210) 및 제4 커버부(240)를 연결한다.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 상태>
도 6은 팽창 전개한 후의 에어백 쿠션(32)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커버(200)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전개함과 동시에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을 전후 방향을 넘은 위치까지 팽창 전개한다. 한편 이와 같은 팽창 전개 시에 커버(200)가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 방향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때에 슬랙(32c)이 있었기 때문에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 있어서의 상방으로의 팽창이 커진다. 이 경우,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에 의해 커버(200)는 제1 커버부(210)와 제4 커버부(240)가 떨어지고 상방 측과 후방 측에 있는 취약부(250)를 기점으로 하여 개열한다. 따라서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 있어서의 상방 측과 후방 측으로 팽창 전개하기 시작한다. 팽창 전개한 상태에서는 팽창 전개하기 전에 겹쳐져 있던 팽창 전개부(64) 부분(예를 들어 접음부(80))은 해소된다. 또한 팽창 전개한 에어백 쿠션(32)에서는 후방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오목한 공간부(90)가 에어백 쿠션(32)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공간부(90)는 에어백 쿠션(32)의 오목부(66)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32)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차량 긴급 시의 동작>
이어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도 12(A) 내지 도 12(C)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를 비교하면서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차량 긴급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팽창 전개 전의 상태에 있어서 차량 긴급 시가 되면 인플레이터(34)로부터의 가스 공급을 받은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부(64)가 순식간에 팽창 전개하기 시작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했을 때, 팽창 전개부(64)의 제1 접음부(81) 및 제2 접음부(82)에 순서대로 가스가 흘러들고, 모두 팽창 전개를 개시한다. 이때, 커버(200)에 덮여 있는 제1 접음부(81)는 가스(200)에 의해 팽창 전개를 억제받으면서 팽창 전개하기 시작한다. 한편 커버(200)에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제2 접음부(82)는 커버(200)에 의해 팽창 전개가 억제 받지 않고 팽창 전개하기 시작한다. 즉, 팽창 전개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2 접음부(82)(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가 제1 접음부(81)(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 전개가 진행하면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에 의해 커버(200)의 제1 커버부(210)와 제4 커버부(240)의 연결이 떨어지고 취약부(250)가 개열한다. 그 다음 팽창 전개부(64)는 이 개열한 부분으로부터 상방 측과 후방 측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를 계속하게 된다. 이때,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측 및 상방 측에의 팽창 전개는 커버(200)에 의해 계속 억제된다(참조: 도 7(B)). 즉, 팽창 전개 초기 단계부터 진행한 단계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이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게 된다.
또한 커버(200)가 개열한 후에 커버(200)의 제1 커버부(210)는 팽창 전개한 팽창 전개부(64)에 의해 그 후방 측의 단부가 상방 측을 향하도록 경사 진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 공급된 가스가 더욱 경사진 상방 측, 즉 상방 측과 후방 측을 향하여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팽창 전개부(64)의 상방 측과 후방 측을 향하는 팽창 전개가 촉진될 수 있다.
도 7(C)은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 후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충분한 가스가 에어백 쿠션(32) 내에 공급되고,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측보다도 후방 측이 상방 측에 충분히 높게 위치하도록 완전히 팽창 전개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는 상술한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20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팽창 전개 초기 단계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 제1 접음부(81)(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가 제2 접음부(82)(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게 된다(참조: 도 12(B)). 이것은 커버(200)가 없기 때문에 제1 접음부(81)의 팽창 전개가 억제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그리고 팽창 전개 초기 단계부터 진행한 단계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이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게 된다(참조: 도 12(B)). 즉, 팽창 전개부(64)는 후방 측보다도 전방 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기 시작하고, 후방 측보다도 전방 측이 크게 팽창 전개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2(C)에 나타내는 팽창 전개 후의 에어백 쿠션(32)의 상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태(참조: 도 7C)와 상이한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쿠션(32)은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에 비해 상방 측으로 더욱 높으면서 후방 측으로 더욱 길게 팽창 전개하게 된다.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승차인에 대한 효과>
이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승차인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승차인 보호 장치(30)를 시트팬(24) 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로서 도 8(A)는 팽창 전개 전 상태(도 7(A)에 나타내는 승차인 보호 장치(30)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팽창 전개 후 상태(도 7(C)에 나타내는 승차인 보호 장치(30)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정규 자세로 좌석면(26)에 착석한 승차인(3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에어백 쿠션(32)은 후방 설치점(62a, 62b)이 승차인(300)의 대퇴부의 둔부에 가까운 부분의 하방 위치에 오도록 시트팬(24)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32)이 팽창 전개하면 시트 쿠션(2)의 좌석면(26)이 밀려 올라간다. 이때 에어백 쿠션(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 측과 후방 측으로 팽창하기(참조: 도 7(C)) 때문에 승차인(300)의 둔부에 가까운 대퇴부 근방을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고, 승차인(300)의 대퇴부부터 무릎에 걸친 부분을 전체적으로 효과적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대퇴부 근방의 밀어올림이 도 12(A) 내지 도 12(C)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30)와 비교하여 더욱 효과적이 된다. 이것은,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초기 단계 및 그 다음 진행한 단계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이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고, 비교예에 비하여 상방 측으로 더욱 높고 후방 측으로 더욱 길게 팽창 전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승차인(300)의 무릎을 효과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달성되고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200)의 취약부(250)가 전후 방향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커버(200)가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설치점(60a, 60b) 측을 덮고, 전방 설치점(60a, 60b) 측에 있어서 차량 시트(10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32)의 팽창 전개부(64)가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팽창 전개부(64)가 그 전방 측보다도 그 후방 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하게 되기 때문에, 승차인(300)의 허리부 구속 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커버(200)가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방 측과 후방 측에 있는 취약부(250)를 기점으로서 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 전개부(64)는 그 전방 측보다도 그 후방 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200)가 팽창 전개부(64)의 접음부(80)의 전방 부분(제1 접음부(81))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음부(80)의 후방 부분(제2 접음부(82))으로부터의 팽창 전개를 그 전방 부분의 팽창 전개보다도 우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있어서 커버(200)는 팽창 전개부(64)의 접음부(80)의 전방 부분(제1 접음부(81))을 상방 측 및 전방 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음부(80)의 후방 부분으로부터의 팽창 전개를 그 전방 부분의 팽창 전개보다도 효과적으로 우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커버(200)가 접음부(80) 중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도록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개수가 많은 전방 부분(제1 접음부(81))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 전개부(64)를 후방 측 부분으로부터 팽창 전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0)는 에어백 쿠션(32)과 동일한 부분에서 에어백 쿠션(32)과 함께 차량 시트(10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도 쉽고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구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때 인플레이터(34)의 스터드 볼트(342)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9 내지 11(A)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의 차이는 커버의 구조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4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대략 삼각 형상의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커버(400)는 예를 들어 수지 및 직물의 복합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400)는 에어백 쿠션(32)을 상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부(410), 에어백 쿠션(32)을 전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커버부(420), 에어백 쿠션(32)을 상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3 커버부(430) 및 에어백 쿠션(32)을 후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4 커버부(440)를 가진다(참조: 도 11(A)). 또한 커버(400)는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제1 커버부(410) 및 제4 커버부(440) 사이에 개열 기점이 되는 취약부(450)를 가진다(참조: 도 11(A)). 제1 커버부(410)는 중앙부(411)와 중앙부(4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접음부(412)를 가진다.
커버(400)는 시트팬(24)에 설치되기 전에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인플레이터(34)를 내부에 포함하여 접은 에어백 쿠션(32)을 커버(400)의 제3 커버부(430)에 얹는다. 이어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00)의 제2 커버부(420), 제1 커버부(410)의 중앙부(411) 및 제4 커버부(440)를 에어백 쿠션(32)의 외주에 감기게 한다. 그리고 제1 커버부(410)의 중앙부(411)와 제4 커버부(440)를 봉합 또는 첩착 등에 의해 연결한다. 그 다음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부(410)의 두 개의 접음부(412)를 접은 에어백 쿠션(32)의 길이 방향의 감기지 않은 부분을 덮도록, 제1 커버부(410)의 중앙부(411)를 향하여 되접고 이 중앙부(411)에 봉합 또는 첩착 등에 의해 연결한다. 이렇게 커버(400)와 커버(400)에 의해 덮힌 에어백 쿠션(32)을 포함하는 유닛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유닛이 시트팬(24)에 설치된다. 이 경우도 커버(400)는 인플레이터(34)의 스터드 볼트(342)를 개재하여 에어백 쿠션(32)과 함께 전방 설치점(60a, 60b)에서 시트팬(24)에 설치된다(참조: 도 11(A)).
이 유닛화 된 상태의 커버(400)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약부(450)를 개재하여 에어백 쿠션(32)의 후방 설치점(62a, 62b) 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설치점(60a, 60b) 측을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의 커버(200)와 마찬가지로 커버(400)는 오목부(66)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후방 설치점(62a, 62b)을 구성하는 부분을 취약부(450)를 통하여 커버(400)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개방한 상태로 한다. 이 경우 커버(400)는 이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팽창 전개부(64)의 남은 부분을 감싸도록 덮는다. 취약부(450)는 주로 제1 커버부(410)와 제4 커버부(440)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버부(410)의 중앙부(411)와 제4 커버부(440) 사이의 개구부(여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봉합 또는 첩착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에 의해 취약부(45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1(A) 내지 11(C)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보호 장치(30)의 차량 긴급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 긴급 시에 에어백 쿠션(32) 내에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했을 때, 팽창 전개부(64)의 제1 접음부(81) 및 제2 접음부(82)에 순서대로 가스가 흘러들고, 모두 팽창 전개를 개시한다. 이때 커버(400)에 덮여 있는 부분(제1 접음부(81))은 커버(400)에 의해 팽창 전개를 억제 받으면서 팽창 전개하기 시작하는 한편, 커버(400)에 덮여 있지 않고 노출하고 있는 부분(제2 접음부(82))은 커버(400)에 의해 팽창 전개를 억제받지 않고 팽창 전개하기 시작한다. 즉, 팽창 전개 초기 단계에서는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이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한다.
그리고 팽창 전개가 진행하면 팽창 전개부(64)의 팽창 전개에 의해 커버(400)는 상방 측과 후방 측에 있는 취약부(450)를 기점으로 하여 개열한다. 예를 들어 커버(400)는 제1 커버부(410)와 제4 커버부(440)의 연결 부분(취약부(450))이 떨어지고 팽창 전개부(64)는 이 개열 부분(취약부(450))으로부터 상방 측과 후방 측을 향하여 크게 팽창 전개를 계속하게 된다. 이때 제1 커버부(410)의 두 개의 접음부(412)와 중앙부(411)의 연결 부분도 떨어진다.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측 및 상방 측으로의 팽창 전개는 커버(400)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팽창 전개 초기 단계부터 진행한 단계에 있어서도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부분이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보다도 우선하여 팽창 전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승차인(300)의 둔부에 가까운 대퇴부 근방을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고 승차인(300)의 대퇴부부터 무릎에 걸친 부분을 전체적으로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승차인(300)의 허리부 구속 성능의 향상을 실현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 400)는 다른 사양이어도 되며 에어백 쿠션(32)을 덮는 부분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일례를 들면 커버(200)는 제4 커버부(240)를 가지지 않아도 되고 접은 에어백 쿠션(32)의 후방 측을 전면적으로 개방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커버는 그 중앙부에서 되접히는 것 등에 의해 에어백 쿠션(32)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는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을 후방 측을 향하여 되접고 이 되접은 부분과 그 하측에 있는 부분을 서로 겹쳐 이 겹친 부분의 주연부를 서로 봉합 또는 첩착 등에 의해 연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버는 팽창 전개부(64)의 전방 부분을 각각 그 상방 측, 전방 측 및 하측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부(210, 제2 커버부(220) 및 제3 커버부(230)를 구성하는 한편, 팽창 전개부(64)의 후방 측을 전면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또한 슬랙(32c)을 아코디언 형상 이외의 형태로 접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슬랙(32c)을 전후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접어도 된다. 이에 의해서도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접힘으로써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부위나, 이 상하 방향의 겹침을 형성하기 위한 접음부를 가진다. 다른 예에서는 슬랙(32c)을 롤링 형상으로 접어도 된다. 이 경우, 팽창 전개부(64)는 전방 설치점(60a, 60b)과 후방 설치점(62a, 62b) 사이에서 접힘으로써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친 부위를 가지게 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아코디언 형상, 단차 형상 및 롤링 형상의 적어도 두 개를 조합시킨 형태로 슬랙(32c)을 접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전방 설치점(60a, 60b)의 개수는 하나여도 되고 세 개 이상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후방 설치점(62a, 62b)의 개수는 하나여도 되고 세 개 이상이어도 된다. 후방 설치점이 세 개 이상인 경우, 오목부(66)는 서로 이웃하는 후방 설치점들 사이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전방 설치점은 인플레이터(34)의 설치점을 겸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기타 에어백 쿠션(32)은 OPW 에어백으로 해도 된다.
1…시트백, 10…시트 프레임, 2…시트 쿠션, 20…좌석 프레임, 3…헤드레스트, 4…리클라이닝 기구, 22…사이드 프레임, 24…시트팬, 26…좌석면, 30…승차인 보호 장치, 32…에어백 쿠션, 32a…전단부, 32b…후단부, 32c…슬랙, 34…인플레이터, 341…인플레이터 본체, 342…스터드 볼트, 40…표면 기포, 42…내면 기포, 44…기포, 46, 48…주연부, 50…심, 60a, 60b…전방 설치점, 62a, 62b…후방 설치점, 64…팽창 전개부, 66…오목부, 70…전방 고정 위치, 72…후방 고정 위치, 74…고정구, 80…접음부, 81…제1 접음부(제1 부분), 82…제2 접음부(제2 부분), 90…공간부, 100…차량 시트, 200…커버, 210…제1 커버부, 220…제2 커버부, 230…제3 커버부, 240…제4 커버부, 250…취약부, 300…승차인, 320…에어백 쿠션, 400…커버, 410…제1 커버부, 411…중앙부, 412…접음부, 420…제2 커버부, 430…제3 커버부, 440…제4 커버부, 450…취약부, D1, D2…거리

Claims (15)

  1.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로서,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밀어 올리도록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 쿠션과,
    차량 긴급 시에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점의 후방 측에서 상기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과,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에 의해 개열할 때의 기점이 되는 취약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취약부가 상기 전후 방향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팽창 전개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 측을 덮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 측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취약부가 상기 팽창 전개부의 상방 측에도 위치하도록 상기 팽창 전개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 측을 덮는 승차인 보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커버의 개방된 개구부인 승차인 보호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슬릿인 승차인 보호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방한 상태로 하는 승차인 보호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커버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된 박육부인 승차인 보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사이에 접음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접음부의 적어도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을 덮는 승차인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후방 측에 있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도록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개수가 많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접음부 중 상기 제1 부분을 덮는 승차인 보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음부의 상기 제1 부분을 상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커버부를 가지는 승차인 보호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음부를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커버부를 가지는 승차인 보호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동일한 부분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된 인플레이터 본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드 볼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스터드 볼트를 개재하여 상기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하지 않는 비팽창 전개부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은 상기 비팽창 전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차인 보호 장치.
  14. 차량 시트의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로서,
    상기 시트 쿠션의 좌석면을 밀어올리도록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 쿠션과,
    차량 긴급 시에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은 상기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점의 후방 측에서 상기 차량 시트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과,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설치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설치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팽창 전개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팽창 전개부가 팽창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 방향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승차인 보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팽창 전개부의 팽창 전개 방향을 상방 측, 그리고 상기 차량 시트의 전후 방향의 후방 측을 향하도록 가이드 가능한 승차인 보호 장치.
KR1020227037576A 2020-04-01 2021-03-25 승차인 보호 장치 KR20220159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5721 2020-04-01
JP2020065721 2020-04-01
PCT/JP2021/012521 WO2021200535A1 (ja) 2020-04-01 2021-03-25 乗員保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449A true KR20220159449A (ko) 2022-12-02

Family

ID=7792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576A KR20220159449A (ko) 2020-04-01 2021-03-25 승차인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65987B2 (ko)
EP (1) EP4177115A4 (ko)
JP (1) JP7341321B2 (ko)
KR (1) KR20220159449A (ko)
CN (1) CN115362087B (ko)
WO (1) WO2021200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7877A1 (ja) * 2019-04-22 2020-10-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保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820A (ko) 2006-06-13 2007-12-18 한국과학기술원 차동구조로 된 고주파 회로의 정전기 방지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248A (en) * 1985-06-03 1986-1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igh support for vehicle seats
JP3972736B2 (ja) 2002-06-04 2007-09-05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DE20301516U1 (de) * 2003-01-31 2003-07-10 Trw Repa Gmbh Fahrzeugsitz
JP4034693B2 (ja) * 2003-05-14 2008-01-16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バッグ及び該インフレータバッグを用いた腰部又は脚部拘束装置
JP4466464B2 (ja) 2004-08-04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4435619B2 (ja) * 2004-04-22 2010-03-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装置
CN100488814C (zh) * 2004-08-04 2009-05-20 高田株式会社 乘员保护装置
JP4143063B2 (ja) * 2004-11-19 2008-09-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腰部拘束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
JP5078248B2 (ja) 2005-10-28 2012-11-21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4857713B2 (ja) * 2005-10-28 2012-01-18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2007161007A (ja) * 2005-12-12 2007-06-28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シート
JP4813240B2 (ja) * 2006-04-19 2011-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2007320389A (ja) 2006-05-31 2007-12-13 Toyoda Gosei Co Ltd 乗員保護装置
JP4938361B2 (ja) * 2006-06-13 2012-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061771B2 (ja) * 2007-07-31 2012-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265300B2 (ja) * 2007-11-29 2013-08-14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4889622B2 (ja) * 2007-12-11 2012-03-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シート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5530607B2 (ja) 2008-08-27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装置を内蔵した車両用シート
JP6926959B2 (ja) * 2017-11-02 2021-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1260818B2 (en) * 2019-03-29 2022-03-01 Toyoda Gosei Co., Ltd. Seat cushion airbag apparatus
JP7107892B2 (ja) * 2019-06-12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20220107282A (ko) * 2019-12-06 2022-08-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구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820A (ko) 2006-06-13 2007-12-18 한국과학기술원 차동구조로 된 고주파 회로의 정전기 방지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1869A1 (en) 2023-04-27
JPWO2021200535A1 (ko) 2021-10-07
EP4177115A1 (en) 2023-05-10
WO2021200535A1 (ja) 2021-10-07
CN115362087A (zh) 2022-11-18
US11865987B2 (en) 2024-01-09
EP4177115A4 (en) 2024-04-17
CN115362087B (zh) 2023-04-28
JP7341321B2 (ja)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8483B (zh) 驾乘人员保护装置
US8047564B2 (en) Airbag
EP2370296B1 (en) Airbag deployment control system
US8282126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US20050151351A1 (en) Fabric knee airbag for high internal pressures
US11752965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US20110074141A1 (en) Airbag module
JP2011025909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9138954A1 (ja) 乗員保護装置
JP71001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9026538A1 (ja) 乗員保護装置
JP7341321B2 (ja) 乗員保護装置
KR20220131391A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US11358555B2 (en) Vehicle seat
CN113173138B (zh) 远侧气囊装置
WO2022014207A1 (ja) 乗員保護装置
KR20230095994A (ko) 승차인 보호 장치
US10723307B2 (en) Airbag module
JP7217343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614251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1176895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4043671A (ja) 車両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