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455A -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 Google Patents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455A
KR20220158455A KR1020210066291A KR20210066291A KR20220158455A KR 20220158455 A KR20220158455 A KR 20220158455A KR 1020210066291 A KR1020210066291 A KR 1020210066291A KR 20210066291 A KR20210066291 A KR 20210066291A KR 20220158455 A KR20220158455 A KR 20220158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shell part
rubber tube
buoyancy
she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부경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455A/ko
Publication of KR20220158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양식 어업 및 가두리 정치망 등에 사용되는 어망을 친환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생산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제1부력공간이 형성되도록, 대향면이 개구된 중공으로 각각 형성된 제1쉘부와 제2쉘부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가 상호 밀봉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외부쉘부; 및 상기 제1부력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되, 내부에 공기가 주입 및 팽창되어 제2부력공간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a double buoyant fixed shore net buoy}
본 발명은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양식 어업 및 가두리 정치망 등에 사용되는 어망을 친환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생산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치망 부표는 고기떼가 걸리도록 한 곳에 쳐 놓은 그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물 위에 띄우는 물건을 의미한다. 여기서, 종래의 부표는 발포스티로폼으로 몸체를 성형하고 표면에 천막지,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도료를 도장하거나 합성수지통체를 씌워 접합하는 방법등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부표는 부스러지기 쉬워 파도나 풍량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해변의 미관을 해치거나 부서진 작은 파편은 새나 물고기가 먹이로 착각하여 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 그리고, 스티로폼이 부서질 때마다 교체해주어야 하고 자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이 있다.
또한, 스트로폼 파편은 자연분해되는데 500년이상 걸려 회수를 해야하나, 일부만이 회수되고 대부분의 파편은 바람이나 해류를 타고 먼 바다로 이동되어 심각한 해양오염을 일으킨다. 그리고, 스티로폼 재질은 표면이 거칠어서 각종 해조류 및 패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내부에 수분이 침투됨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부력이 저하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스티로폼보다 단단한 금속,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는 부표가 개발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부표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표(200)는 몸체(110), 수용공간(120), 마개(130), 주입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표(20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그의 내부에는 부력을 제공하는 상기 수용공간(120)이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105174호에서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수용공간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가스를 충진하여 가스 주입구를 마개로 밀폐한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스티로폼 부표만큼 컴팩트한 부표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부표는 내부 수용공간이 하나로 형성되어 파도나 풍량에 의해 몸체가 조금이라도 손상될경우 내부 수용공간에 해수가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수가 유입되어 가라앉으면 회수가 어렵고, 높은 압력의 공기를 충진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마개 하나에 의존하여 공기가 주입된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구조는 제조 시 마개 불량이 나올 경우 유격된 주입구와 마개 사이로 내부 공간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10517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 어업 및 가두리 정치망 등에 사용되는 어망을 친환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생산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내부에 제1부력공간이 형성되도록, 대향면이 개구된 중공으로 각각 형성된 제1쉘부와 제2쉘부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가 상호 밀봉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외부쉘부; 및 상기 제1부력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되, 내부에 공기가 주입 및 팽창되어 제2부력공간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쉘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무튜브의 공기주입구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주입구는 공기주입 후 접착제로 밀봉된 상태로 상기 외부쉘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은 실링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쉘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쉘부와 상기 제2쉘부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되,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원주방향을 따라 시밍가공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쉘부의 외면부에 어망과 연결된 로프가 선택적으로 관통 및 결합되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그가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가 주입된 상기 고무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서포트부재가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는 내부에 제1부력공간이 형성된 금속재질 외부쉘부와 내부에 제2부력공간이 형성된 고무튜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부쉘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2부력공간의 부력이 유지될 수 있어 내구성이 개선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2쉘부를 결합 과정에서 수축된 상태의 상기 고무튜브의 공기주입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2쉘부를 결합이 완료된 후에 상기 고무튜브로 공기주입을 통한 팽창이 가능하여 상기 제1,2쉘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고무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에 돌출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부재가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고무튜브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1,2쉘부의 결합과정 내지 상기 외부쉘부의 사용과정에서 가해지는 가열 또는 충격이 상기 고무튜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고무튜브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고무튜브가 상기 서포트부재와 밀착되도록 내장됨으로써 상기 외부쉘부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고무튜브가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치망 부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가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가 외부쉘부 내부로 인입되어 실링마개로 밀폐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가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가 외부쉘부 내부로 인입되어 실링마개로 밀폐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100)는 외부쉘부(10) 그리고 고무튜브(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쉘부(10)는 내부에 상기 고무튜브(20)를 삽입하기 위해 제1쉘부(11)와 제2쉘부(12)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튜브(20)가 상기 제1쉘부(11) 또는 상기 제2쉘부(12)의 반구형 또는 분할된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위에 내삽된 후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가 상호 밀봉 결합되어 내부에 제1부력공간(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력공간(13)은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의 공간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쉘부(1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형상은 서로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는 폭방향으로 나누어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길이방향 또는 사선으로 나누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폭방향 단면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면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 정되지 않고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의 대향 단부는 해수 또는 외부 충격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용접 또는 시밍(seaming)가공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밍(seaming)가공이란 두 결합부를 굽히고 겹쳐 눌러 접합하는 밀봉법으로 상기 외부쉘부(10)의 결합부(도 2에 개시된 세로선) 사이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시밍 결합을 위해 중첩되는 부분에는 밀폐력 보장을 위한 씰링 코팅 내지 고무가 재개될 수 있다.
이때, 시밍가공으로 인해 상기 외부쉘부(10)의 결합부 외측에는 시밍가공부(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밍가공부(19)는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를 외측으로 굽히고 겹쳐 한 방향으로 눌러 접합하여 형성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쉘부(10)는 바위나 해초등에 걸려 이동이 제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에 자외선 차단제, 열안정제 등이 첨가될 수 있어 해양의 거친 조건에서도 내열에 견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20)는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는 공기주입구(22)에 공기가 주입 및 팽창되어 제2부력공간(21)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구(22)는 상기 고무튜브(2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고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무튜브(2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으면서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튜브(20)는 수축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상기 관통공(14)에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구비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20)의 형상은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외부쉘부(10) 내면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튜브(20)에 주입되는 기체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무튜브(20)가 상기 외부쉘부(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 및 상기 고무튜브(2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20)는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무튜브(20)의 내부에 공기를 충분하게 주입하여 후술되는 상기 서포트부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분하게 주입함이라 함은 상기 고무튜브(20)의 크기를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의 부피 이하로 맞추되, 후술되는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지지하는 공간의 부피보다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고무튜브(20)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후술되는 상기 서포트부재(18)와 밀착되도록 내장됨으로써 상기 외부쉘부(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고무튜브(20)가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부력공간(13)은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의 공간이며, 상기 제2부력공간(21)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상기 고무튜브(20) 내부의 공간이며, 상기 제1부력공간(13)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부력공간(13)은 외부쉘부(1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고무튜브(20)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력공간(13) 및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모두 공기가 주입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100)는 내부에 제1부력공간(13)이 형성된 금속재질 외부쉘부(10)와 내부에 제2부력공간(21)이 형성된 고무튜브(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부쉘부(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2부력공간(21)의 부력이 유지될 수 있어 내구성이 개선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부력공간(13)의 크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정되어 있지만, 상기 제2부력공간(21)의 크기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상기 제1부력공간(13)에 내장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부력공간(21)의 크기는 상기 제1부력공간(13)의 크기 미만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 제1부력공간(13)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외부쉘부(10)와 내부에 제2부력공간(21)이 형성된 고무튜브(2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외부쉘부(10)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부력이 유지되어 가라앉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쉘부(10)가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상기 외부쉘부(10)는 상기 고무튜브(20)에 의해 해수표면에 부유되므로 파손된 상기 외부쉘부(10)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 내장된 고무튜브(20)는 재활용하고 파손된 상기 외부쉘부(1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파손된 상기 외부쉘부(10)는 분쇄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부쉘부(10)가 파손되어 상기 제1부력공간(13)에 해수가 유입되어도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외부쉘부(10)만 교체해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어 상기 제2부력공간(21)이 사라져도 상기 외부쉘부(10)는 손상되지 않아 외관상 문제가 없으므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때,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면 공기가 빠진 상기 고무튜브(20)는 부피가 작아져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 남게되고, 제1부력공간(13)과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합쳐져 하나의 부력공간만이 구비되도록 구조가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력공간(21)은 상기 외부쉘부(10)와 상기 고무튜브(20)로부터 이중보호를 받으므로 주입된 공기를 오랫동안 유지하여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쉘부(10)의 일측에 상기 공기주입구(22)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외부쉘부(10)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부부터 상기 제1부력공간(13)까지 이어지도록 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외부쉘부(10)의 표면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외부쉘부(10)의 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제1쉘부(11) 또는 상기 제2쉘부(12) 중 한 곳에 형성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4)의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후술되는 상기 실링마개(15)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에 의해 회전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가 밀폐식 결합되되, 이러한 결합 전에 상기 제1쉘부(11) 또는 상기 제2쉘부(12) 중 한 곳에 공기 주입이 되지 않은 상기 고무튜브(20)가 내삽된다. 이때, 상기 제1,2쉘부(11,12)를 결합 과정에서 수축된 상태의 상기 고무튜브(20)의 상기 공기주입구(22)가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쉘부(11,12)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상기 고무튜브(20)로 공기주입을 통한 팽창이 가능하여 상기 제1,2쉘부(11,12)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쉘부(10)가 형성된 후 상기 공기주입부(22)로 공기가 주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용접 또는 시밍 가공 등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는 위험이 없다. 그리고, 결합 후 상기 고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될 시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의 크기에 맞춰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무튜브(20)는 상기 관통공(14)으로부터 공기가 쉽게 주입되므로 상기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100)의 제조가 간편해지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튜브(20)의 오랜 사용기간의 경과 후에도 상기 고무튜브(20)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부력공간(13)의 공기 압력과 상기 제2부력공간(21)의 공기압력이 같아지는 지점을 맞추어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부력공간(13)에도 상기 고무튜브(20) 내부 압력만큼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고무튜브(20)와 외부의 압력평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고무튜브(20)의 부피가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구(22)는 주입된 공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밀봉되어 상기 외부쉘부(10) 내부로 인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구(22)가 접착제로 밀봉됨으로써 공기의 내외부 이동을 차단하여 상기 제2부력공간(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쉘부(10)가 손상되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된 경우에도 상기 공기주입구(22)가 접착제로 밀봉됨으로써 해수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2부력공간(21)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록타이트로 상기 공기주입구(22)를 밀봉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다른 접착제로도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구(22)를 밀봉하는 방법은 접착제로 밀봉하는 방법으로만 한정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공기주입구(22)는 접착제로 밀봉됨이 바람직하나, 묶어져 밀봉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밀봉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공(14)으로 해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14)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실링마개(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마개(15)는 후술되는 한 쌍의 상기 러그(16)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바위 등의 외부 충격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마개(15)의 재질은 고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마개(15)는 상기 공기주입구(22)와 같이 접착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링마개(15)가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에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마개(15)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관통공(14)의 양단을 이중으로 밀폐하도록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실링마개(15)의 단면은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중앙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관통공(14)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마개(15) 및 상기 관통공(14)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비되되, 경우에 따라 단면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해수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실링마개(15) 양단 면적의 크기는 상기 관통공(14) 단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링마개(15)의 단면이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관통공(14)에 삽입되는 경우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마개(15)와 상기 외부쉘부(10)는 유격없이 긴밀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마개(15)의 양단으로 인해 상기 실링마개(15)는 상기 외부쉘부(10)의 표면보다 높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관통공(14)에 상기 실링마개(15)가 구비되어 실링되므로 물이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면서 상기 제1부력공간(13)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의 공기에 의해 부력이 생성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마개(15)의 외면에도 자외선 차단제, 열안정제 등이 첨가될 수 있어 해양의 거친 조건에서도 내열에 견딜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어망과 연결된 로프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그(16)가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러그(16)에는 로프가 선택적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공(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러그(16)는 반타원형으로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부에 용접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프가 상기 고정결합공(17)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결합공(17)의 내경은 로프의 표준적인 단면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결합공(17)의 내경이 로프의 표준적인 단면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격되나, 로프를 상기 러그(16)에 묶어 결합시킨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그(16)에는 어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프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표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와이어 등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16)는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부에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100)와 로프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러그(16) 대신 상기 외부쉘부(10)에 로프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상기 외부쉘부(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러그(16)는 반타원형으로 상기 외부쉘부(10)의 외면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로프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구비된 상기 러그(16)의 외면에도 자외선 차단제, 열안정제 등이 첨가될 수 있어 해양의 거친 조건에서도 내열에 견딜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16)는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100)의 운반용 손잡이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무튜브(20)가 안전하게 내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부력공간(13)에 상기 외부쉘부(10)로부터 서포트부재(18)가 돌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포트부재(18)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 구비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포트부재(18)는 상기 고무튜브(20)의 좌,우,전,후측에 하나씩 돌출 구비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부재(18)는 상기 외부쉘부(10)와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포트부재(18)는 공기가 주입된 상기 고무튜브(20)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제1부력공간(13)의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상기 고무튜브(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무튜브(20)가 상기 외부쉘부(10) 내에서 유격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켜준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서포트부재(18)는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에 용접되어 구비된다. 그리고,상기 서포트부재(18)는 모두 사각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무튜브(20)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외부쉘부(10)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부쉘부(10)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천공될 시 상기 고무튜브(20)는 손상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가 상호 용접 또는 시밍가공되는 경우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무튜브(2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외부쉘부(10)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2쉘부(11,12)의 결합과정 내지 상기 외부쉘부(10)의 사용과정에서 가해지는 가열 또는 충격이 상기 고무튜브(2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부재(18) 중 분리된 상기 제1,2 쉘부(11,12)로 인해 반으로 나눠져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의 결합 시 분리된 상기 서포트부재(18)가 붙어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서포트부재(18)가 지지하는 공간보다 커진 상기 고무튜브(20)가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서포트부재(18)에 눌려져 상기 외부쉘부(1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쉘부(10) 내부에 상기 고무튜브(20)를 내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여기서,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결합 후 상기 고무튜브(20)가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공기주입구(22)에 공기가 주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쉘부(11) 또는 상기 제2쉘부(12) 중 한 곳에 상기 고무튜브(20)를 내삽한 후 상기 관통공(14)으로 상기 공기주입구(22)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결합 후 상기 공기주입구(22)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쉘부(11) 및 상기 제2쉘부(12)의 결합 후에 상기 고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되므로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주입된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제1쉘부(11) 또는 상기 제2쉘부(12) 중 한 곳에 내삽한 상태에서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부재(18)가 복수개로 돌출 구비되어 공기가 주입된 상기 고무튜브(20)를 결합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해준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쉘부(11)와 상기 제2쉘부(12)가 상호 용접 및 시밍가공으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무튜브(20)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부에 안전하게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고무튜브(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서포트부재(18)로부터 충격을 받아 흡수하여 내구성이 개선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부재(18)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튜브(20)를 상기 외부쉘부(10)와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쉘부(10)의 내면과 상기 고무튜브(20)의 외면 사이의 마찰열로 인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10 : 외부쉘부
11 : 제1쉘부 12 : 제2쉘부
13 : 제1부력공간 14 : 관통공
15 : 실링마개 16 : 러그
17 : 고정결합공 18 : 서포트부재
19 : 시밍가공부 20 : 고무튜브
21 : 제2부력공간 22 : 공기주입구

Claims (5)

  1. 내부에 제1부력공간이 형성되도록, 대향면이 개구된 중공으로 각각 형성된 제1쉘부와 제2쉘부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가 상호 밀봉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외부쉘부; 및
    상기 제1부력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되, 내부에 공기가 주입 및 팽창되어 제2부력공간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무튜브의 공기주입구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주입구는 공기주입 후 접착제로 밀봉된 상태로 상기 외부쉘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은 실링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쉘부와 상기 제2쉘부의 대향면측 테두리 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되,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원주방향을 따라 시밍가공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부의 외면부에 어망과 연결된 로프가 선택적으로 관통 및 결합되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그가 돌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가 주입된 상기 고무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외부쉘부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서포트부재가 돌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KR1020210066291A 2021-05-24 2021-05-24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KR20220158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91A KR20220158455A (ko) 2021-05-24 2021-05-24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91A KR20220158455A (ko) 2021-05-24 2021-05-24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455A true KR20220158455A (ko) 2022-12-01

Family

ID=8444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291A KR20220158455A (ko) 2021-05-24 2021-05-24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4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74B1 (ko) 2018-04-11 2020-04-28 주식회사 신명 가스 주입식 친환경 부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74B1 (ko) 2018-04-11 2020-04-28 주식회사 신명 가스 주입식 친환경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781B1 (ko) 부력 관의 밀폐 소켓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20170063032A (ko) 친환경 부표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KR20190054781A (ko) 격벽을 구비하는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75806Y1 (ko) 부표
KR102058656B1 (ko) 부구
KR101871633B1 (ko) 해저 양식용 부표
KR20190118935A (ko) 가스 주입식 친환경 부표
KR20220158455A (ko)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101775720B1 (ko)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20170002519U (ko) 포켓을 갖는 부력체
KR20210115833A (ko) 김 양식용 부구와 이를 이용한 김발지지유닛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200430077Y1 (ko) 밀봉식 개량 부자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CA2934893C (en) Attachment flange for buoys and marine fenders
KR200472729Y1 (ko)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KR200472264Y1 (ko)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102313442B1 (ko) 금속 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