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264Y1 -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 Google Patents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64Y1
KR200472264Y1 KR2020130008132U KR20130008132U KR200472264Y1 KR 200472264 Y1 KR200472264 Y1 KR 200472264Y1 KR 2020130008132 U KR2020130008132 U KR 2020130008132U KR 20130008132 U KR20130008132 U KR 20130008132U KR 200472264 Y1 KR200472264 Y1 KR 200472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layer
divided
sub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주)정진누리마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진누리마루 filed Critical (주)정진누리마루
Priority to KR2020130008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에 관려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로프결속구(12)가 관통되면서 내부에 중공의 부력층(20)이 형성되는 부구동체(10); 상기 부력층(20)은 관재부(21)에 의해 내ㆍ외측부력층(22)(24)으로 분할되어 복층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부력층(22)은 격벽(25)에 의해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완충부력실(26)을 형성하며, 상기 부구동체(10)는 2~4 분할 성형되어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부력층이 내ㆍ외측부력층으로 분할되면서 외측부력층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완충부력실로 구분됨에 따라 부분적인 손상에도 부력이 고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므로 부서진 파편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A float}
본 고안은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부력층이 복층구조 형성되어 부분적인 손상에도 부력이 고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부서진 파편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양 부력체는 각종 어구들을 해수중에 설치하는 기능과, 어구들이 설치된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표시부재를 해수중에 부양되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구가 스티로폼으로 제작됨에 따라 내구성이 약하여 파도나 풍랑에 의해 어구 또는 부구를 결박하는 로프와 마찰되어 쉽게 손상되어 해변의 미관을 해치거나 부서진 작은 파편(알갱이)은 새나 물고기의 먹이가 되어 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로폼 파편은 자연분해되는데 500년이상 걸려 회수가 절대적이나, 일부만이 회수될뿐 대부분의 파편은 바람이나 해류를 타고 먼바다로 이동되어 심각한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부구를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제10-1276708호에서 제1, 2본체가 결합되고, 제1, 2본체와 제1, 2관통부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부력을 갖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부이는 사용중 외력에 의해 외주면에 국부적으로 크랙이 발생되거나 작은 구멍이 뚫리더라도 공간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부력이 상실되는바, 즉 미세한 손상에도 부력을 상실하여 폐기물로 취급되거나 무단으로 버려져 해양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부이 외주면이 어구나 선박과 충돌시 충격이 흡수되지 못하고 전달되어 쉽게 파손되고,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2본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다보니 재료비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함과 더불어 중량 증가로 부력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내부에 부력층이 복층구조로 형성되어 부분적인 손상에도 부력이 고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부서진 파편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로프결속구(12)가 관통되면서 내부에 중공의 부력층(20)이 형성되는 부구동체(10); 상기 부력층(20)은 관재부(21)에 의해 내ㆍ외측부력층(22)(24)으로 분할되어 복층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부력층(22)은 격벽(25)에 의해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완충부력실(26)을 형성하며, 상기 부구동체(10)는 2~4 분할 성형되어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격벽(25)은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부력층(22)은 부구동체(10)의 부력층(20) 대비 10~50%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구동체(10)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접합면은 융착홈(14)에 의해 한 쌍의 융착리브(16)로 구분되면서 부력층(20) 측에 위치하는 융착리브(16)는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부력층이 내ㆍ외측부력층으로 분할되면서 외측부력층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완충부력실로 구분됨에 따라 부분적인 손상에도 부력이 고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므로 부서진 파편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해양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에 관련되며, 이때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는 내부에 부력층이 복층구조로 형성되어 부분적인 손상에도 부력이 고도로 유지됨과 더불어 충격흡수성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고, 부서진 파편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해양오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부구동체(10), 부력층(20), 내ㆍ외측부력층(22)(24), 완충부력실(26)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부구동체(10)는 로프결속구(12)가 관통되면서 내부에 중공의 부력층(20)이 형성된다. 부구동체(10)는 PE를 포함하는 내염성, 내수성이 강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의 부력층(20)이 형성되며, 로프결속구(12)는 부력층(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로프결속구(12)는 그물을 포함하는 어구에 연결된 로프를 결박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도 1에서는 부구동체(10) 중앙부에 1개소에 관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하되지 않고 2~4개소로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부력층(20)은 관재부(21)에 의해 내ㆍ외측부력층(22)(24)으로 분할되어 복층구조로 형성된다. 관재부(21)는 도 2처럼 부구동체(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부력층(20)을 내ㆍ외측부력층(22)(24)으로 분할하는바, 즉 부구동체(10)의 외주면과 관재부(21)사이 공간에 외측부력층(22)이 형성되고, 로프결속구(12)와 관재부(21)사이 공간에 내측부력층(24)이 형성되어 공기층이 복층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외측부력층(22)은 격벽(25)에 의해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완충부력실(26)이 형성된다. 격벽(25)은 로프결속구(1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2~10개소에 등각 배치되어, 외측부력층(22)의 내부공간을 독립된 공간으로 분할하므로 격벽(25)과 격벽(25)사이에 완충부력실(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25)은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격벽(25)은 아치형, 파형, 지그재그형을 포함하는 유선형으로 형성(도 5에서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되어, 부구동체(10) 외주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격벽(25)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부구동체(10)의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전체적인 내구성이 보강된다.
또, 상기 외측부력층(22)은 부구동체(10)의 부력층(20) 대비 10~50% 크기로 형성된다. 외측부력층(22)은 부구동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으로서, 외력에 의한 충격이 흡수됨과 더불어 부구동체(10)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크랙 또는 구멍이 형성되더라도 해수가 독립적으로 분할된 어느 일측의 완충부력실(26)에만 유입될뿐 다른 완충부력실(26) 및 내측부력층(24)으로의 해수 유입이 차단되어 부력 손실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측부력층(22)이 부력층(20) 대비 10% 미만 크기로 형성되면 충격흡수성이 저하되고, 50% 초과 크기로 형성되면 해수유입량이 증가되어 부력손실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따르므로, 충격흡수성과 부력손실을 고려하여 부력층(20) 대비 30%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상기 부구동체(10)는 2~4 분할 성형되어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는 부구동체(10)를 2분할하여 접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부구동체(10)를 장사이즈의 형성시 한 쌍의 양단부와 중간부로 3분할형성하여 일체로 접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부구동체(10)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접합면은 융착홈(14)에 의해 한 쌍의 융착리브(16)로 구분되면서 부력층(20) 측에 위치하는 융착리브(16)는 돌출형성된다. 이에 도 4와 같이 부구동체(10)의 돌출된 융착리브(16)를 서로 동심원상에 일치되도록 면접한 상태로 융착하면, 돌출된 융착리브(16)에서 녹은 용융물이 융착홈(14)으로 흘러들어가 접합되므로, 융착홈(14)에 의해 서로 간의 접합면적이 증가되어 접합력이 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10 : 부구본체 12: 로프결속구
14: 융착홈 16: 융착리브
20: 부력층 22: 외측부력층
24: 내측부력층 25: 격벽
26: 완충부력실

Claims (4)

  1. 로프결속구(12)가 관통되면서 내부에 중공의 부력층(20)이 형성되는 부구동체(10);
    상기 부력층(20)은 관재부(21)에 의해 내ㆍ외측부력층(22)(24)으로 분할되어 복층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부력층(22)은 격벽(25)에 의해 내부공간이 독립된 공간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완충부력실(26)을 형성하며,
    상기 부구동체(10)는 2~4 분할 성형되어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5)은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력층(22)은 부구동체(10)의 부력층(20) 대비 10~50%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동체(10)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고, 접합면은 융착홈(14)에 의해 한 쌍의 융착리브(16)로 구분되면서 부력층(20) 측에 위치하는 융착리브(16)는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KR2020130008132U 2013-10-02 2013-10-02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KR200472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32U KR200472264Y1 (ko) 2013-10-02 2013-10-02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32U KR200472264Y1 (ko) 2013-10-02 2013-10-02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64Y1 true KR200472264Y1 (ko) 2014-04-15

Family

ID=5148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32U KR200472264Y1 (ko) 2013-10-02 2013-10-02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68B1 (ko) 2016-03-28 2016-08-12 임기영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101763100B1 (ko) * 2017-04-14 2017-07-28 김희영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KR101775720B1 (ko) 2015-12-01 2017-09-06 김광호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744A (ja) 2000-09-28 2002-04-10 Hiroshi Takatsuji
KR100388892B1 (ko) 2000-03-08 2003-06-25 이성재 양식장용 부구
JP2007222066A (ja) 2006-02-23 2007-09-06 Sanshin Kako Kk 低汚染性樹脂製浮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92B1 (ko) 2000-03-08 2003-06-25 이성재 양식장용 부구
JP2002105744A (ja) 2000-09-28 2002-04-10 Hiroshi Takatsuji
JP2007222066A (ja) 2006-02-23 2007-09-06 Sanshin Kako Kk 低汚染性樹脂製浮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20B1 (ko) 2015-12-01 2017-09-06 김광호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101644468B1 (ko) 2016-03-28 2016-08-12 임기영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101763100B1 (ko) * 2017-04-14 2017-07-28 김희영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WO2018190663A3 (ko) * 2017-04-14 2018-12-06 김희영 친환경 부자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264Y1 (ko)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CN205327359U (zh) 一种防下沉船舶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636748B1 (ko) 어업용 부구
KR200472728Y1 (ko) 부구
KR100857470B1 (ko) 부표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CN105696517A (zh) 新型漂浮式防波堤
KR102220046B1 (ko)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101353950B1 (ko)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20140053427A (ko) 수산물 양식용 부이
KR20200050142A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CN202809568U (zh) 一种拦截水面高速艇的水域安全防护阻拦装置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KR20160076943A (ko) 부표
KR20110006925A (ko) 안전 부표
KR200472729Y1 (ko)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KR20110020495A (ko)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RU136412U1 (ru) Надувное плав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истемой самослива
CN104843153A (zh) 一种防翻转的船舶
CN210859472U (zh) 一种用于海洋网箱养殖用的pe管材
CN206202614U (zh) 一种玻璃钢快艇
KR101238088B1 (ko) 선박의 강화 격벽
KR20120057591A (ko) 플로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