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519A -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519A
KR20220156519A KR1020227026507A KR20227026507A KR20220156519A KR 20220156519 A KR20220156519 A KR 20220156519A KR 1020227026507 A KR1020227026507 A KR 1020227026507A KR 20227026507 A KR20227026507 A KR 20227026507A KR 20220156519 A KR20220156519 A KR 20220156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frequency ablation
electrode
ablation cathet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밍 왕
홍 수
후아젠 저우
Original Assignee
항저우 브론쿠스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브론쿠스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브론쿠스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3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with a protective sleeve, e.g. retractable or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89Thermal conductivity
    • A61B2018/00101Thermal conductivity low, i.e. therm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6Energy applicators arranged in a two- or three dimensional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14Expandable means emitting energy, e.g. by elements carried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61B2018/00815Temperature measured by a thermis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2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Abstract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 있어서, 손잡이부(2), 바늘 튜브부(1), 중심 전극(3) 및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그 중, 바늘 튜브부(1)는 제1 튜브 슬리브(11)와 제2 튜브 슬리브(12)를 포함하며, 손잡이부(2)는 실린더 슬리브(21) 및 슬라이딩 버튼(22)을 포함하고, 중심 전극(3)은 전극 본체(31), 전극 와이어(26) 및 전극 조인트(23)를 포함하며, 검출 기구는 고정 베이스(5), 견인 와이어, 연결 베이스(6)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7)을 포함한다.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은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되고,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슬라이딩 버튼(22)에 고정되며, 갈고리 전극(7)은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베이스(6)를 꿰뚫어 설치된다. 최종적으로는 슬라이딩 버튼(22)을 통해 견인 와이어를 당겨 고정 베이스(5)를 구동하며, 따라서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에서 전진하고 밀어내는 것을 도와주고, 사용자가 수술 중에 갈고리 전극(7)을 제어하여 갈고리 전극(7) 부위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절제 진행을 판단하는 것이 편리하다.

Description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절제 기술은 폐 치료 수술에 널리 사용된다. 무선 주파수는 무선 전파 주파수를 말하지만 무선 전파 통신 중 주파수 대역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다. 생체에 대한 작용은 주로 열 효과이다. 무선 주파수의 전류 주파수가 일정 값(>100kHz)에 도달하면 조직 내 하전된 이온의 이동, 즉 마찰 열(60
Figure pct00001
℃?)이 발생된다. 무선 주파수 절제 장비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200-500kHz이고, 출력 전력은 100-400kHz이다. 절제 전극은 응고 괴사의 크기와 모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이상적인 응고 영역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이어야 한다. B-초음파 또는 CT의 지도하에서 다중 바늘 전극을 병리 변화된 조직 종괴 내로 직접 피어싱하고, 무선 주파수 전극침은 조직 내 온도가 60
Figure pct00002
를 초과하여 세포를 죽이고 괴사 영역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국소 조직 온도가 100
Figure pct00003
를 초과하는 경우 종양 조직과 주변 장기에 실질적으로 응고 괴사가 발생하며, 치료 중 큰 구형 응고 괴사 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응고 괴사 영역 외부에는 43-60
Figure pct00004
의 열 치료 영역이 더 포함되는데 이 영역에서 암세포를 죽이고 정상 세포를 회복시킬 수 있다.
치료 과정에서 무선 주파수 전극을 인체 조직 내에 삽입하고 무선 주파수 전극을 통해 전류를 병소에 보내여 무선 주파수 전극 부위에서 많은 열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병소의 온도가 40
Figure pct00005
℃?에 도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병소 부위의 절제 수술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전극의 작동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전극 부근의 온도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수술 과정에서 절제 수술의 진행 상황은 의사의 경험에 의해서만 판단하고 조작을 조정할 수 있어 수술의 난이도와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절제 완료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본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무선 주파수 절제 과정에서 손잡이 슬라이딩 버튼을 앞뒤로 눌러 보내여 갈고리 전극을 개방 및 수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극 본체 위치의 보조 위치 결정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갈고리 전극을 통해 전극 본체 주변의 상황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에 적용되는 검출 기구를 제공하는 바, 고정 베이스, 견인 와이어, 연결 베이스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에는 복수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각각 상기 장착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은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슬라이딩 버튼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베이스는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복수의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며, 인접한 가이드 구멍의 개구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각각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갈고리 전극이 상기 연결 베이스 외부로 분산적으로 뻗치게 하는 데 사용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제1 분절, 제2 분절 및 제3 분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절과 상기 제1 분절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고, 상기 제3 분절과 상기 제2 분절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며, 상기 갈고리 전극을 상기 연결 베이스 외부로 분산적으로 뻗치게 하는 경우 개방형 분포를 나타내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원위단은 동일한 위도에 위치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검출 기구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링의 원위단은 상기 갈고리 전극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갈고리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검출 기구의 인접한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검출 기구의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손잡이부, 바늘 튜브부, 중심 전극 및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검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 튜브부는 제1 튜브 슬리브 및 제2 튜브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베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와 상기 제2 튜브 슬리브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링 및 상기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모두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내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실린더 슬리브와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실린더 슬리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중심 전극은 전극 본체, 전극 와이어 및 전극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본체는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의 원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와이어의 원위단은 상기 전극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와이어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및 상기 제2 튜브 슬리브를 통과하고, 상기 전극 와이어의 근위단은 상기 전극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인트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외부에 위치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액체 주입 조인트 및 액체 주입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상기 고정 베이스 및 상기 연결 베이스를 통과하고, 상기 전극 본체에는 액체 유입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의 원위단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과 연통되고;
상기 액체 주입 조인트은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의 근위단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슬리브 외부에 위치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전극 본체 내에는 스프레이 홀 채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과 연통되고,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 부위의 액체를 분산적으로 송출하는 데 사용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전극 본체 외부에는 침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침투 커버는 직사각형 배열로 분포된 복수의 침투 구멍을 포함하며, 각 열의 침투 구멍의 구멍 직경은 근위단에서 원위단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침투 구멍과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비껴 분포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전극 본체는 원기둥부 및 원추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부는 상기 원기둥부의 원위단에 위치하고, 상기 침투 커버는 상기 원기둥부에 덮씌워 설치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전극 본체 내에는 온도 센서 및 신호 카테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 본체에는 배선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원추형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 카테터는 상기 배선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신호 카테터 외부에는 절연층이 설치되고, 상기 신호 카테터의 원위단은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카테터의 근위단은 상기 전극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전극 본체에는 클램핑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의 원위단은 상기 클램핑 홈에 계합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침투 커버는 절연 및 고온 내성 재료로 형성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전극 본체의 재료는 섬유 재질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에는 내부 나사산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외부 나사산이 설치되며,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와 상기 연결 베이스는 나사 연결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에는 카운터보어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의 근위단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와 상기 연결 베이스는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연결 베이스는 액체 주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은 상기 연결 베이스의 중심선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은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를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직선 분절과 호형 분절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 분절은 상기 직선 분절의 원위단에 위치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가이드 구멍의 직선 분절의 내측벽에는 미끄럼방지 패턴이 설치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각 상기 호형 분절 내측벽에는 내마모 패드층이 설치되고, 상기 내마모 패드층은 고무 재질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연결 베이스는 유리 섬유 재료로 형성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연결 베이스의 근위단에는 장착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 기둥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가 상기 연결 베이스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의 원위단은 상기 연결 기둥에 맞닿게 되고, 상기 스프링의 근위단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맞닿게 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중공관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제1 분절의 바깥쪽에는 절연층이 덮씌워 설치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제2 분절의 바깥쪽에는 절연층이 덮씌워 설치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제1 분절과 상기 제2 분절은 모두 직선 분절이고, 상기 제3 분절은 호형 분절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베이스의 양측에는 제1 오목 홈이 설치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계합 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계합 블록은 상기 제1 오목 홈 내에 매립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베이스는 전기 세라믹 재질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링과 상기 고정 베이스는 억지 끼워 맞춤되어 상기 갈고리 전극의 외부로 뻗치는 길이를 제한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링은 실리콘 고무 재질이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링은 중공의 원기둥체이며, 상기 고정 링에는 열구가 설치되어 있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링의 양단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완충 패드는 탄성 고무 재료로 형성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고정 베이스는 서로 접합되는 암 고정 링과 수 고정 링을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상기 암 고정 링과 상기 수 고정 링은 힌지 축을 통해 힌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술한 임의의 실현 가능한 해결책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책에 기초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은 손잡이부, 바늘 튜브부, 중심 전극 및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늘 튜브부는 제1 튜브 슬리브와 제2 튜브 슬리브를 포함하며, 손잡이부는 실린더 슬리브 및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고, 중심 전극은 전극 본체, 전극 와이어 및 전극 조인트를 포함하며, 검출 기구는 고정 링, 고정 베이스, 견인 와이어, 연결 베이스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며, 사용자에 가까운 일단이 근위단이고, 사용자에서 멀리 있는 일단이 원위단이다. 연결 베이스는 제1 튜브 슬리브와 제2 튜브 슬리브 사이에 장착되고, 고정 베이스는 연결 베이스의 근위단에 위치하며, 고정 베이스, 고정 링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모두 제1 튜브 슬리브 내에 배치되고, 고정 베이스는 제1 튜브 슬리브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고정 링은 고정 베이스의 근위단에 장착되고, 고정 링은 갈고리 전극에 고정되며, 갈고리 전극은 고정 베이스를 꿰뚫어 설치된다. 갈고리 전극은 연결 베이스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갈고리 전극이 연결 베이스의 외부로 뻗치는 경우, 갈고리 전극은 개방형 분포를 나타내고 동일한 위도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버튼은 실린더 슬리브 표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슬라이딩 버튼에 고정되고,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은 고정 베이스에 고정된다. 전극 본체는 제2 튜브 슬리브의 원위단에 위치하고, 전극 와이어의 원위단은 전극 본체 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 와이어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 조인트는 실린더 슬리브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연결 베이스, 고정 베이스 및 견인 와이어를 통해 바늘 튜브부에서 전진하고 밀어나오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갈고리 전극을 바늘 튜브부 외부로 밀어내어 검출할 필요가 있을 때, 슬라이딩 버튼을 원위단으로 밀어낼 수 있고, 슬라이딩 버튼은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며, 따라서 고정 베이스를 구동하여 원위단으로 밀어 낸다. 이 때 고정 베이스에 고정된 갈고리 전극은 고정 베이스가 원위단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갈고리 전극도 마찬가지로 원위단으로 밀리게 되며, 따라서 원래 연결 베이스에 거두어진 갈고리 전극을 바늘 튜브부에서 밀려나오게 한다. 갈고리 전극을 사용하여 검출할 필요가 없을 경우, 슬라이딩 버튼을 근위단으로 후퇴시키기만 하면 된다. 슬라이딩 버튼은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며, 견인 와이어는 고정 베이스를 끌어 당겨 고정 베이스 위의 갈고리 전극을 돌아오게 당긴다. 이 때 원래 바늘 튜브부 바깥쪽에 위치한 갈고리 전극은 연결 베이스 내부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슬라이딩 버튼의 구동을 통해 견인 와이어와 고정 베이스가 구동되며, 최종적으로 갈고리 전극의 밀어내기와 후퇴가 구현되어 사용자가 수술의 과정에서 갈고리 전극을 제어하기 편리하다. 무선 주파수 절제 과정에서 손잡이 슬라이딩 버튼을 앞뒤로 눌러 보내여 갈고리 전극을 개방 및 수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극 본체 위치의 보조 위치 결정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갈고리 전극을 통해 전극 본체 주변의 상황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절제의 진행 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이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바늘 튜브부의 국소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와 고정 링의 연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와 스프링의 위치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의 제1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의 제2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침투 커버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침투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제2 튜브 슬리브와 침투 커버의 연결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의 좌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갈고리 전극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 기술 수단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중앙", "세로", "가로", "상부", "하부", "앞", "뒤", "좌측", "우측", "수직", "수평", "상단", "하단", "내부", "외부", "축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가반으로 하며,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한다고 지시 또는 암시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명확한 규정 및 제한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연결", "접속", "고정" 등 용어는 넓은 범위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연결되어도 좋고, 또는, 기계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 또는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하여 간접적 연결, 또는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2개 부품의 내부 연통, 또는 2개 부품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여도 좋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용어에 대하여, 구체적 상황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 의미를 이해할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여러 구체적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이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바늘 튜브부의 국소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와 고정 링의 연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와 스프링의 위치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의 제1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연결 베이스의 제2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침투 커버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침투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제2 튜브 슬리브와 침투 커버의 연결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고정 베이스의 좌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갈고리 전극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손잡이부(2), 바늘 튜브부(1), 중심 전극(3) 및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늘 튜브부(1)는 제1 튜브 슬리브(11)와 제2 튜브 슬리브(12)를 포함하며, 손잡이부(2)는 실린더 슬리브(21) 및 슬라이딩 버튼(22)을 포함하고, 중심 전극(3)은 전극 본체(31), 전극 와이어(26) 및 전극 조인트(23)를 포함하며, 검출 기구는 고정 링(4), 고정 베이스(5), 견인 와이어(미도시됨), 연결 베이스(6)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7)을 포함한다.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며, 사용자에 가까운 일단이 근위단이고, 사용자에서 멀리 있는 일단이 원위단이다.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근위에서 원위 순으로 실린더 슬리브(21), 제1 튜브 슬리브(11), 고정 링(4), 고정 베이스(5), 연결 베이스(6), 제2 튜브 슬리브(12) 및 중심 전극(3)이다. 실린더 슬리브(21)는 바늘 튜브부(1)의 근위단에 위치하고, 제1 튜브 슬리브(11)는 실린더 슬리브(21)의 원위단에 덮씌워 설치되며, 전극 조인트(23)는 실린더 슬리브(21)의 근위단에 위치하고, 전극 와이어(26)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 와이어(26)의 원위단은 전극 본체(31) 내에 삽입되어 전극 본체(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 본체(31)는 바늘 튜브부(1)의 원위단에 위치하여 제2 튜브 슬리브(12)의 원위단에 고정된다. 전극 본체(31)는 섬유 재질이다. 전극 와이어(26)는 실린더 슬리브(21), 제1 튜브 슬리브(11), 고정 베이스(5), 연결 베이스(6), 제2 튜브 슬리브(12) 및 전극 본체(31)를 각각 통과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전극(7)은 제1 분절(71), 제2 분절(72) 및 제3 분절(73)을 포함한다. 제1 분절(71)은 근위단이고, 그 다음 제2 분절(72)은 중간 부분이며, 제3 분절(73)은 원위단이고, 제1 분절(71)과 제2 분절(72)은 둔각을 이루며, 제2 분절(72)과 제3 분절(73)은 둔각을 이룬다. 갈고리 전극은 접촉 위치의 임피던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갈고리 전극 자체가 열 민감 재료로 형성되어 갈고리 전극 주변의 최고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갈고리 전극을 통해 상기 검출 장치는 갈고리 전극 부위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절제의 진행 상황을 진일보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베이스(5)는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 위치하고, 고정 베이스(5)는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고정 베이스(5)에는 4개의 장착 구멍(51)이 있고, 4개의 장착 구멍(51)은 갈고리 전극(7)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을 통해 갈고리 전극(7)을 장착 구멍(51) 내에 고정한다. 즉 갈고리 전극(7)은 접착제를 통해 장착 구멍(51) 내에 고정 배치된다. 또는, 용접하는 방식을 통해 갈고리 전극(7)을 장착 구멍(51) 내에 고정한다. 즉 갈고리 전극(7)을 장착 구멍(51)에 용접한다. 고정 베이스(5)의 중심선에는 관통 구멍(52)이 설치되어 있고, 4개의 장착 구멍(51)은 관통 구멍(52)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된다. 관통 구멍(52)은 신호 카테터 및 액체 주입 파이프(25)로 사용된다. 견인 와이어(미도시됨)는 고정 베이스(5)의 원위단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링(4)은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 위치하고, 고정 링(4)은 고정 베이스(5)의 근위단에 위치하며, 고정 링(4)의 원위단은 갈고리 전극(7)에 고정되고, 고정 링(4)의 근위단은 외부 연결되는 와이어를 고정하며, 상기 와이어와 상기 갈고리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데 사용된다.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는 실린더 슬리브(21)와 제1 튜브 슬리브(11)를 통과하며,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23)에 고정되고,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의 원위단은 고정 링(4)에 고정되며, 갈고리 전극(7)의 제1 분절(71)은 고정 베이스(5)로부터 뚤어 나와 고정 링(4) 내부로 들어가며,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의 원위단은 고정 링(4)의 근위단에서 고정 링(4)의 내부로 들어간다. 고정 링(4)에서 갈고리 전극(7)의 제1 분절(71)은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의 원위단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전극 조인트(23)는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 외부 연결되고, 전류는 외부 연결하는 와이어를 통해 갈고리 전극(7)으로 전달되며, 또 갈고리 전극(7)을 통해 전류를 인체 조직에 방출한다. 실린더 슬리브(21)의 표면에는 슬라이딩 버튼(22)이 장착되고, 슬라이딩 버튼(22)은 실린더 슬리브(21)의 표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견인 와이어(미도시됨)의 원위단은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되고, 견인 와이어(미도시됨)의 근위단은 슬라이딩 버튼(22)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버튼(22)을 앞뒤로 밀어 움직임으로써 견인 와이어를 앞으로 또는 뒤로 구동한다. 견인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 와이어(미도시됨)는 고정 베이스(5)가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한다. 갈고리 전극(7)은 고정 베이스(5) 내에 고정되고, 고정 베이스(5)가 앞으로 또는 뒤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고정 베이스(5) 내에 고정된 갈고리 전극(7)도 고정 베이스(5)에 따라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갈고리 전극(7)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 베이스(5)에 고정 연결되어 움직이는 전체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베이스(6)는 제1 튜브 슬리브(11)와 제2 튜브 슬리브(1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튜브 슬리브(11) 및 제2 튜브 슬리브(12)는 각각 연결 베이스(6)의 근위단과 원위단에 고정된다. 연결 베이스(6)에는 4개의 가이드 구멍(61)이 있고, 각 인접한 두 가이드 구멍(61)의 개구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다. 4개의 가이드 구멍(61)은 각각 연결 베이스(6)의 4개의 방향에 위치하고, 4개의 가이드 구멍(61)은 연결 베이스(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 배열로 분포되어 이들 4개의 가이드 구멍(61)에서 각 인접한 두 가이드 구멍(6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대향하는 두 가이드 구멍(61)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르다. 갈고리 전극(7)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베이스(6)의 가이드 구멍(61)을 통과하며, 이들 가이드 구멍(61)은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로부터 분산적으로 주위로 뻗치게 한다. 4개의 갈고리 전극(7)은 서로 독립적이며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갈고리 전극(7)이 제1 분절(71), 제2 분절(72) 및 제3 분절(73)로 분할되기 때문에, 갈고리 전극(7)가 연결 베이스(6) 외부로 뻗칠 때, 제1 분절(71)은 연전히 가이드 구멍(61) 내부에 위치하며, 제2 분절(72)과 제3 분절(73)은 고정 베이스(5)의 추력을 통해 연결 베이스(6)의 가이드 구멍(61) 외부로 뻗치고, 제1 분절(71), 제2 분절(72) 및 제3 분절(73) 사이가 각각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 외부로 뻗치는 경우 개방형 분포를 이루며, 이들이 바늘 튜브부(1)로 외부로 뻗칠 때 길이는 동일한다. 연결 베이스(6)에서 4개의 가이드 구멍(61)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고, 연결 베이스(6)에 대한 가이드 구멍(61) 원위단 개구부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갈고리 전극(7)가 가이드 구멍(61) 외부로 뻗칠 때 갈고리 전극(7)의 원위단은 동일한 위도에 위치한다.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 적용되며,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는 무선 주파수 발생기(절제 기구)를 포함하고, 무선 주파수 발생기(절제 기구)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와 연결하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의 전극 조인트에 전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중심 전극과 갈고리 전극을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가 손잡이부(2), 바늘 튜브부(1), 중심 전극(3) 및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여기서, 바늘 튜브부(1)는 제1 튜브 슬리브(11)와 제2 튜브 슬리브(12)를 포함하며, 손잡이부(2)는 실린더 슬리브(21) 및 슬라이딩 버튼(22)을 포함하고, 중심 전극(3)은 전극 본체(31), 전극 와이어(26) 및 전극 조인트(23)를 포함하며, 검출 기구는 고정 링(4), 고정 베이스(5), 견인 와이어, 연결 베이스(6)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며, 사용자에 가까운 일단이 근위단이고, 사용자에서 멀리 있는 일단이 원위단이다. 연결 베이스(6)는 제1 튜브 슬리브(11)와 제2 튜브 슬리브(12) 사이에 장착되고, 고정 베이스(5)는 연결 베이스(6)의 근위단에 위치하며, 고정 베이스(5), 고정 링(4)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7)은 모두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 배치되고, 고정 베이스(5)는 제1 튜브 슬리브(1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고정 링(4)은 고정 베이스(5)의 근위단에 장착되고, 고정 링(4)은 갈고리 전극(7)에 고정되며, 갈고리 전극(7)은 고정 베이스(5)를 꿰뚫어 설치된다. 갈고리 전극(7)은 연결 베이스(6)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 외부로 뻗치는 경우, 갈고리 전극(7)은 개방형 분포를 나타내고 동일한 위도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버튼(22)은 실린더 슬리브(21) 표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슬라이딩 버튼(22)에 고정되고,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은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된다. 전극 본체(31)는 제2 튜브 슬리브(12)의 원위단에 위치하고, 전극 와이어(26)의 원위단은 전극 본체(31) 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 와이어(26)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 조인트(23)는 실린더 슬리브(21)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갈고리 전극(7)은 연결 베이스(6), 고정 베이스(5) 및 견인 와이어를 통해 바늘 튜브부(1)에서 전진하고 밀어나오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갈고리 전극(7)을 바늘 튜브부(1) 외부로 밀어내어 검출할 필요가 있을 때, 슬라이딩 버튼(22)을 원위단으로 밀어낼 수 있고, 슬라이딩 버튼(22)은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며, 따라서 고정 베이스(5)를 원위단으로 밀어 낸다. 이 때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된 갈고리 전극(7)은 고정 베이스(5)가 원위단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갈고리 전극(7)도 마찬가지로 원위단으로 밀리게 되며, 따라서 원래 연결 베이스(6)에 거두어진 갈고리 전극(7)을 바늘 튜브부(1)에서 밀려나오게 한다. 갈고리 전극(7)을 사용하여 검출할 필요가 없을 경우, 슬라이딩 버튼(22)을 근위단으로 후퇴시키기만 하면 된다. 슬라이딩 버튼(22)은 견인 와이어을 구동하며, 견인 와이어는 고정 베이스(5)를 끌어 당겨 고정 베이스(5) 위의 갈고리 전극(7)을 돌아오게 당긴다. 이 때 원래 바늘 튜브부(1) 바깥쪽에 위치한 갈고리 전극(7)은 연결 베이스(6) 내부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슬라이딩 버튼(22)의 구동을 통해 견인 와이어와 고정 베이스(5)가 구동되며, 최종적으로 갈고리 전극(7)의 밀어내기와 후퇴가 구현되어 사용자가 수술의 과정에서 갈고리 전극(7)을 제어하기 편리하다. 상기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할 때, 바늘 튜브부를 인체 내로, 예를 들어 인체 기관으로 들어가게 하며, 슬라이딩 버튼을 통해 갈고리 전극을 개방할 때, 갈고리 전극는 인체 기관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고, 중심 전극은 안정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갈고리 전극은 인체 기관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 데이터를 획득하여 중심 전극 부위의 수술 상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 장치는 전극 본체 위치에 대한 보조 위치 결정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갈고리 전극을 통해 갈고리 전극 부위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절제의 진행 상황을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는 액체 주입 조인트(24) 및 액체 주입 파이프(25)를 더 포함한다. 액체 주입 조인트(24)는 실린더 슬리브(21)의 근위단에 위치하고, 액체 주입 조인트(24)는 액체 주입 장치를 외부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액체 주입 파이프(25)의 근위단은 액체 주입 조인트(24)에 연결되고, 액체 주입 파이프(25)의 원위단은 전극 본체(31)에 삽입된다. 액체 주입 파이프(25)는 실린더 슬리브(21), 제1 튜브 슬리브(11) 및 제2 튜브 슬리브(12) 내에 꿰뚫어 설치되고, 액체 주입 파이프(25)는 실린더 슬리브(21), 고정 베이스(5) 및 연결 베이스(6)를 각각 경과한다. 전극 본체(31)에는 액체 유입 구멍(311)이 설치되고, 액체 유입 구멍(311)은 전극 본체(31)의 중간 위치에 있으며, 액체 유입 구멍(311)과 액체 주입 파이프(25)의 원위단은 서로 연결된다. 액체 주입 장치에서 밀려나오는 염수는 액체 주입 조인트(24), 액체 주입 파이프(25) 및 액체 유입 구멍(311)을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전극 본체(31) 내부에 들어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전극 본체(31)는 원기둥부와 원추형부를 포함한다. 원추형부는 원기둥부의 원위단에 위치한다. 전극 본체(31) 외부에는 침투 커버(32)가 더 설치된다. 침투 커버(32)는 고온 내성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침투 커버(32)는 전극 본체(31)의 원기둥부에 덮씌워 설치된다. 전극 본체(31)의 내부에는 스프레이 홀 채널(312)이 있고, 2조의 스프레이 홀 채널(312)은 십자형으로 분포되며, 2조의 스프레이 홀 채널은 액체 유입 구멍(311)과 연통된다. 액체 주입 파이프(25)를 흐르는 염수는 액체 유입 구멍(311)에 집중된 염수를 통해 스프레이 홀 채널(312)로 분산된다. 침투 커버(32)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으로 분포된 복수의 침투 구멍(321)이 있으며, 각 열의 침투 구멍(321)의 구멍 직경은 근위단에서 원위단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복수의 침투 구멍(321)은 스프레이 홀 채널(312)과 연통되고 스프레이 홀 채널(312)과 비껴 분포된다. 침투 커버(32)와 전극 본체(31)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며, 스프레이 홀 채널(312) 내의 염수는 간격을 통해 침투 커버(32)를 흘러간다. 침투 커버(32) 표면에 복수의 침투 구멍(321)이 있기 때문에 염수는 침투 구멍(321)을 통해 흘러나와 인체 조직 내부로 분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전극 본체(31) 내에는 온도 센서(33) 및 신호 카테터가 더 설치된다. 전극 본체(31)에는 배선 구멍(34)이 있고, 배선 구멍(34)은 액체 유입 구멍(3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신호 카테터는 배선 구멍(34) 내에 삽입된다. 온도 센서(33)는 전극 본체(31)의 원추형부 표면에 위치하며, 온도 센서(33)는 신호 카테터의 원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카테터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23)에 고정되어 전극 조인트(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 카테터 외부에는 고무 절연층(9)이 설치된다. 온도 센서(33)는 서미스터일 수 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민감하고, 상이한 온도에서 상이한 저항 값을 나타내며, 온도가 높을수록 저항 값은 낮아진다. 침투 구멍(321)은 염수를 인체 조직 내로 침투시킨 후 절제 과정이 시작되는 데, 절제 염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절제 면적이 증가하고 절제 영역의 온도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온도가 점점 더 높아지면 국소 범위 내 서미스터의 저항 값이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서미스터와 신호 카테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서미스터의 저항 값이 변화할 때, 신호 카테터(미도시됨)를 통해 저항 값의 변화를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 전송하며, 신호 카테터의 원위단은 서미스터와 서로 연결되고, 신호 카테터의 근위단은 전극 조인트(23)에 고정된다.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의 국소 온도 변화 범위를 추산하고, 진일보로 염수 유량의 크기에 의해 온도 제어 역할을 달성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에서 직관적으로 인체 조직 내부의 온도 변화를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전극 본체(31)의 근위단에는 클램핑 홈(35)이 있고, 제2 튜브 슬리브(12)의 외벽은 클램핑 홈(35) 내에 삽입되어 전극 본체(31)와 제2 튜브 슬리브(12)를 서로 고정한다. 제2 튜브 슬리브(12)의 근위단에는 내부 나사산(121)이 있고, 연결 베이스(6)의 원위단에는 외부 나사산(63)이 있으며, 연결 베이스(6)와 제2 튜브 슬리브(12)는 나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연결 베이스(6)의 근위단에는 나사 구멍(64)이 있고, 제1 튜브 슬리브(11)의 원위단에는 카운터보어 구멍(111)이 있으며, 볼트는 카운터보어 구멍(111) 및 나사 구멍(64)에 삽입되어 연결 베이스(6)와 제1 튜브 슬리브(11)를 서로 고정하고, 계속하여 볼트를 조이는 동안 연결 베이스(6)와 제1 튜브 슬리브(11)가 조여지며, 볼트가 나사 구멍(64)에 완전히 조여지면 볼트의 표면이 연결 베이스(6)의 표면과 평행되고, 볼트는 카운터보어 구멍(111)에 숨겨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연결 베이스(6)의 중심선에는 액체 주입 구멍(62)이 설치된다. 액체 주입 파이프(25)와 신호 카테터는 액체 주입 구멍(62)에 꿰뚫어 설치된다. 연결 베이스(6)의 4개 가이드 구멍(61)은 액체 주입 구멍(62)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된다. 액체 주입 구멍(62)은 액체 주입 파이프(25)의 슬라이딩 경로가 이탈하지 않도록 액체 주입 파이프(25)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이드 구멍(61)은 직선 분절(611) 및 호형 분절(612)을 포함하며, 직선 분절(611)은 호형 분절(612)의 근위단에 위치한다. 갈고리 전극(7)의 제1 분절(71), 제2 분절(72) 및 제3 분절(73)이 각각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가이드 구멍(61)의 직선 분절(611)과 호형 분절(612)의 연결 부위는 갈고리 전극(7)의 슬라이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호형 분절(612)은 갈고리 전극(7)이 독립적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 갈고리 전극(7)의 지지력 및 개방 범위를 증가시킨다. 가이드 구멍(61)의 직선 분절(611)의 내측벽에는 미끄럼방지 패턴(6111)이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 전극(7)이 바늘 튜브부(1) 외부로 뻗치는 경우, 직선 분절(611) 내 미끄럼방지 패턴(6111)은 갈고리 전극(7)이 그 위치를 고정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각 호형 분절(612)의 내측벽에는 실리카겔 재질의 내마모 패드층(6121)이 설치되고, 내마모 패드층(6121)은 호형 분절(612)과 갈고리 전극(7) 사이에 위치한다.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에서 밀려나거나 당겨지면 갈고리 전극(7)과 호형 분절(612)의 표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함으로 갈고리 전극(7)의 표면을 손상시키며, 내마모 패드층(6121)을 추가한 후 갈고리 전극(7) 표면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연결 베이스(6)의 근위단에는 장착 기둥(65)이 설치되고, 장착 기둥(65)에는 스프링(8)이 덮씌워 설치된다. 갈고리 전극(7)이 바늘 튜브부(1) 외부로 뻗치는 경우, 고정 베이스(5)는 연결 베이스(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고정 베이스(5)가 연결 베이스(6)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8)의 원위단은 연결 베이스(6)의 근위단에 맞닿게 되며, 스프링(8)의 근위단은 고정 베이스(5)에 맞닿게 된다. 스프링(8)을 추가하여 갈고리 전극(7)이 연결 베이스(6) 외부로 뻗칠 때의 완충력을 증가시키고 갈고리 전극(7)을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갈고리 전극(7) 내부가 중공이고, 갈고리 전극(7)의 제1 분절(71)과 제2 분절(72)의 표면에는 모두 고무 재료의 절연층(9)이 설치되며, 전류는 전도성 튜브를 통해 갈고리 전극(7)으로 전송되어 신호 간섭을 유발하고, 갈고리 전극(7)의 표면에 고무 층을 배치하여 신호 간섭을 줄이고 신호 차폐를 수행할 수 있다. 갈고리 전극(7)의 제1 분절(71)과 제2 분절(72)은 모두 직선 분절(611)이고, 제3 분절(73)은 호형 분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베이스(5)의 표면에는 2개의 제1 오목 홈(53)이 설치되고,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계합 블록(54)이 설치된다. 제1 오목 홈(53)은 견인 와이어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견인 와이어를 제1 오목 홈(53) 내에 끼여들일 필요가 있을 때, 견인 와이어 위의 계합 블록(54)을 제1 오목 홈(53)에 직접 밀어들여 견인 와이어 위의 계합 블록(54)을 알맞게 제1 오목 홈(53)에 계합시킬 수 있다. 계합 블록(54)과 제1 오목 홈(53)의 협력을 통해 견인 와이어가 고정 베이스(5)에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베이스(5)는 수 고정 링(554) 및 암 고정 링(564)을 포함한다. 고정 베이스(5)가 전방 고정 링(4)과 후방 고정 링(4)으로 구분되고, 수 고정 링(554)과 암 고정 링(564)이 폐쇄되어 완전한 고정 베이스(5)를 형성한다. 수 고정 링(554)과 암 고정 링(564)의 일단은 힌지 연결축(57)을 통해 힌지 연결되며, 암 고정 링(564)의 타단에는 제2 오목 홈(561)이 설치되고, 수 고정 링(554)의 타단에는 돌출 블록(551)이 설치되며, 수 고정 링(554)과 암 고정 링(564)의 타단은 돌출 블록(551)을 제2 오목 홈(561) 내에 삽입함으로써 계합 연결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대안적 해결책이며, 차이점은 연결 베이스(6)가 유리 섬유 재질인 것이다. 유리 섬유는 우수한 절연성, 강한 내열성, 내식성 기능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대안적 해결책이며, 차이점은 고정 베이스(5)가 전기 세라믹 재질인 것이다. 전기 세라믹은 절연성 및 기계적 강도,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내환경성이 우수한 세라믹 절연 재료이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대안적 해결책이며, 차이점은 고정 링(4)이 실리콘 고무 재질인 것이다. 실리콘 고무는 고온 안정성을 가지며 고온 환경에서 여전히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부"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 또는 상방 경사로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부"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하방 경사로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거나,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 "특정 예" 또는 "일부 예" 등 창조 용어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에 결부하여 설명된 구체적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용어에 대한 모식적 기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된 구체적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 뿐만 아니라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의 특징을 서로 결부 및 조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이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술된 기술 방안을 여전히 수정하거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동등한 대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가 해당 기술 방안의 본질을 본 발명 각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1 바늘 튜브부; 11 제1 튜브 슬리브; 111 카운터보어 구멍; 12 제2 튜브 슬리브; 121 내부 나사산; 2 손잡이부; 21 실린더 슬리브; 22 슬라이딩 버튼; 23 전극 조인트; 24 액체 주입 조인트; 25 액체 주입 파이프; 26 전극 와이어; 3 중심 전극; 31 전극 본체; 311 액체 유입 구멍; 312 스프레이 홀 채널; 32 침투 커버; 321 침투 구멍; 33 온도 센서; 34 배선 구멍; 35 클램핑 홈; 4 고정 링; 41 열구(裂口); 42 완충 패드; 5 고정 베이스; 51 장착 구멍; 52 관통 구멍; 53 제1 오목 홈; 54 계합 블록; 55 수 고정 링; 551 돌출 블록; 56 암 고정 링; 561 제2 오목 홈; 57 힌지 연결축; 6 연결 베이스; 61 가이드 구멍; 611 직선 분절; 6111 미끄럼방지 패턴; 612 호형 분절; 6121 내마모 패드층; 62 액체 주입 구멍; 63 외부 나사산; 64 나사 구멍; 65 장착 기둥; 7 갈고리 전극; 71 제1 분절; 72 제2 분절; 73 제3 분절; 8 스프링; 9 절연층.

Claims (34)

  1.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에 적용되는 검출 기구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 견인 와이어, 연결 베이스 및 복수의 갈고리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에는 복수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각각 상기 장착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은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복수의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며, 인접한 가이드 구멍의 개구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각각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갈고리 전극이 상기 연결 베이스 외부로 분산적으로 뻗치게 하는 데 사용되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은 제1 분절, 제2 분절 및 제3 분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절과 상기 제1 분절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고, 상기 제3 분절과 상기 제2 분절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며, 상기 갈고리 전극을 상기 연결 베이스 외부로 분산적으로 뻗치게 하는 경우 개방형 분포를 나타내고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원위단은 동일한 위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고정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링의 원위단은 상기 갈고리 전극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고정 링의 근위단은 외부에서 와이어와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와이어와 상기 갈고리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 구멍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기구.
  5.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에 있어서,
    손잡이부, 바늘 튜브부, 중심 전극 및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 튜브부는 제1 튜브 슬리브 및 제2 튜브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베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와 상기 제2 튜브 슬리브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링 및 상기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모두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내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실린더 슬리브와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실린더 슬리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근위단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중심 전극은 전극 본체, 전극 와이어 및 전극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본체는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의 원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와이어의 원위단은 상기 전극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와이어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상기 제1 튜브 슬리브 및 상기 제2 튜브 슬리브를 통과하고, 상기 전극 와이어의 근위단은 상기 전극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인트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6. 제5 항에 있어서,
    액체 주입 조인트 및 액체 주입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는 상기 실린더 슬리브, 상기 고정 베이스 및 상기 연결 베이스를 통과하고, 상기 전극 본체에는 액체 유입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의 원위단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과 연통되고;
    상기 액체 주입 조인트은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의 근위단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슬리브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본체 내에는 스프레이 홀 채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과 연통되고,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상기 액체 유입 구멍 부위의 액체를 분산적으로 송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본체 외부에는 침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침투 커버는 직사각형 배열로 분포된 복수의 침투 구멍을 포함하며, 각 열의 침투 구멍의 구멍 직경은 근위단에서 원위단으로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 구멍과 상기 스프레이 홀 채널은 비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본체는 원기둥부 및 원추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부는 상기 원기둥부의 원위단에 위치하고, 상기 침투 커버는 상기 원기둥부에 덮씌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본체 내에는 온도 센서와 신호 카테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 본체에는 배선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원추형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 카테터는 상기 배선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신호 카테터 외부에는 절연층이 설치되고, 상기 신호 카테터의 원위단은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카테터의 근위단은 상기 전극 조인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본체에는 클램핑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의 원위단은 상기 클램핑 홈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3. 제8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 커버는 절연 및 고온 내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에는 내부 나사산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에는 외부 나사산이 설치되며, 상기 제2 튜브 슬리브와 상기 연결 베이스는 나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5.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에는 카운터보어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베이스의 근위단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튜브 슬리브와 상기 연결 베이스는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베이스는 액체 주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은 상기 연결 베이스의 중심선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은 상기 액체 주입 파이프를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액체 주입 구멍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직선 분절과 호형 분절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 분절은 상기 직선 분절의 원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의 직선 분절의 내측벽에는 미끄럼방지 패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8. 제16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호형 분절 내측벽에는 내마모 패드층이 설치되고, 상기 내마모 패드층은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베이스는 유리 섬유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베이스의 근위단에는 장착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 기둥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베이스가 상기 연결 베이스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의 원위단은 상기 연결 기둥에 맞닿게 되고, 상기 스프링의 근위단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갈고리 전극은 중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2. 제5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제1 분절 바깥쪽에는 절연층이 덮씌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3. 제5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갈고리 전극의 제2 분절 바깥쪽에는 절연층이 덮씌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절과 상기 제2 분절은 모두 직선 분절이고, 상기 제3 분절은 호형 분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5.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의 양측에는 제1 오목 홈이 설치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계합 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계합 블록은 상기 제1 오목 홈 내에 매립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를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는 전기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과 상기 고정 베이스는 억지 끼워 맞춤되어 상기 갈고리 전극의 외부로 뻗치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실리콘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은 중공의 원기둥체이며, 상기 고정 링에는 열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3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의 양단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패드는 탄성 고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3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는 서로 접합되는 암 고정 링과 수 고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고정 링과 상기 수 고정 링은 힌지 축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34. 제5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KR1020227026507A 2019-12-31 2020-09-29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KR20220156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403441.5 2019-12-31
CN201911403441.5A CN110960314B (zh) 2019-12-31 2019-12-31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PCT/CN2020/118646 WO2021135461A1 (zh) 2019-12-31 2020-09-29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519A true KR20220156519A (ko) 2022-11-25

Family

ID=7003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507A KR20220156519A (ko) 2019-12-31 2020-09-29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144706A1 (ko)
EP (1) EP4085858A4 (ko)
JP (1) JP7416959B2 (ko)
KR (1) KR20220156519A (ko)
CN (1) CN110960314B (ko)
WO (1) WO2021135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0314B (zh) * 2019-12-31 2021-06-15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112741683A (zh) * 2020-12-31 2021-05-04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WO2022141769A1 (zh) * 2020-12-31 2022-07-07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113729928B (zh) * 2020-05-29 2023-03-0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消融装置
CN114052895B (zh) * 2021-11-19 2024-02-27 武汉拓扑转化医学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脉冲房颤消融系统及导管
CN114404031B (zh) * 2022-02-15 2024-05-03 珠海市司迈科技有限公司 电切镜组件及其密封结构
CN114627712B (zh) * 2022-03-26 2024-02-23 大连大铁通益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受电弓模拟培训装置
CN115363736A (zh) * 2022-08-05 2022-11-22 上海玮启医疗器械有限公司 脉冲消融导管
CN115414108B (zh) * 2022-08-12 2023-07-25 洲瓴(上海)医疗器械有限公司 直线型脉冲消融装置
CN115153811B (zh) * 2022-09-07 2022-12-27 杭州德诺电生理医疗科技有限公司 消融导管及消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1803A1 (en) * 1991-07-05 2001-12-13 Desai Jawahar M. Device and method for multi-phase radio-frequency ablation
CN1147964A (zh) * 1995-10-17 1997-04-23 郭伟 组合电极导管
DE19713797A1 (de) * 1996-04-04 1997-10-09 Valleylab Inc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zur Herbeiführung einer Myomnekrose
ITBS20020042A1 (it) * 2002-04-23 2003-10-23 Fogazzi Di Venturelli A E C S Ago-elettrodo perfezionato per un trattamento di tumori mediante ipertermia indotta da radiofrequenza
US7416549B2 (en) 2003-10-10 2008-08-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zone bipolar ablation probe assembly
US8512333B2 (en) * 2005-07-01 2013-08-20 Halt Medical Inc.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CN2855351Y (zh) * 2005-12-15 2007-01-10 迈德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射频消融治疗的爪形电极装置
US20070213703A1 (en) * 2006-03-13 2007-09-13 Jang Hyun Naam Electrode for radio frequency tissue ablation
EP2068739A4 (en) * 2006-09-14 2013-01-23 Lazure Technologies Llc DEVICE AND METHOD FOR THE DESTRUCTION OF CANCER CELLS
US9474565B2 (en) * 2009-09-22 2016-10-25 Mederi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with radiofrequency energy
WO2011103096A2 (en) * 2010-02-16 2011-08-25 Angiodynamics, Inc. Ablation device with guide sleeves
EP3750501B1 (en) * 2010-05-21 2024-03-06 Stratus Medical, LLC Systems for tissue ablation
CN205286523U (zh) * 2015-12-02 2016-06-08 堃博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微波消融装置
CN105434040B (zh) 2016-01-11 2018-06-29 王洪奎 内窥镜用伞形射频消融电极针
US10492858B2 (en) * 2016-01-21 2019-12-03 Boaz Avitall Assessment of tissue contact in tissue ablation
CN105935314B (zh) * 2016-06-17 2018-09-18 赵学 一种具有多点标测功能的射频消融导管
CN110074857B (zh) * 2018-09-14 2021-05-14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肺部射频消融系统以及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以及射频消融导管
CN110974406A (zh) * 2019-12-31 2020-04-10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110960314B (zh) * 2019-12-31 2021-06-15 杭州堃博生物科技有限公司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60314A (zh) 2020-04-07
US20230144706A1 (en) 2023-05-11
JP7416959B2 (ja) 2024-01-17
CN110960314B (zh) 2021-06-15
WO2021135461A1 (zh) 2021-07-08
US20220323149A1 (en) 2022-10-13
EP4085858A4 (en) 2024-02-21
EP4085858A1 (en) 2022-11-09
JP2023509660A (ja)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6519A (ko) 검출 기구, 무선 주파수 절제 카테터 및 무선 주파수 절제 시스템
RU2491014C2 (ru) Катетер с всенаправленным оптическ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обладающий изолированными оптическими путями
JP6816191B2 (ja) 複数の光ファイバを備えた装置
US8672937B2 (en) Cool-tip thermocouple including two-piece hub
RU245496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катетер с всенаправленным оптическ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 изолированными оптическими путями
CN101332083B (zh) 用于在心脏消融过程中监测组织温度的光学高温测量导管
CN108272503B (zh) 一种可双通道注液的双极高频电刀
US9901394B2 (en) Medical abl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CN114259294A (zh) 射频消融导管、肺部射频消融系统、以及相应的控制方法
RU2473319C2 (ru) Катетер для деструкции с оптически прозрачной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ей головкой
US20180168713A1 (en) Medical system and method of use
JP6797173B2 (ja) 流体連通のための医療装置
US20150351826A1 (en) Bipolar resectoscope
CN110974406A (zh) 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US20120150063A1 (en) Handheld emg stimulator device with adjustable shaft length
US20210205015A1 (en) Biopsy tract ablation system for tumor seeding prevention and cauterization
JP2019517843A (ja) 生体組織の止血を促進するための電気手術装置及び方法
CN211723408U (zh) 一种带有浸润罩的射频消融导管及系统
CN212547150U (zh) 一种固定座、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212165886U (zh) 一种设有爪形检测装置的射频消融导管
EP3998974A1 (en) Catheter for endovascular sympathetic denervation of spasmed intracranial arteries
CN212547152U (zh) 一种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212547153U (zh) 一种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射频消融系统
CN212521990U (zh) 一种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系统
CN212547151U (zh) 一种检测机构、射频消融导管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