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410A - 다용도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410A
KR20220154410A KR1020210061923A KR20210061923A KR20220154410A KR 20220154410 A KR20220154410 A KR 20220154410A KR 1020210061923 A KR1020210061923 A KR 1020210061923A KR 20210061923 A KR20210061923 A KR 20210061923A KR 20220154410 A KR20220154410 A KR 20220154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blocks
prefabricat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962B1 (ko
Inventor
고영식
오종헌
Original Assignee
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식 filed Critical 고영식
Priority to KR102021006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9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과 입체로 조립할 수 있는 단순하고 견고한 결합구조에 의해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는 복수의 철근 및 철망이 결합되고, 외측에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하우징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인접한 두 개의 블록에 서로 대향하게 결합된 연결하우징에는 양단에 너트가 결합된 조임볼트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를 회전하면 이격된 두 개의 블록이 차츰 근접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상하, 좌우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평면 형상인 차량블록 및 보도블록과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 형상인 수로 및 어초를 다양한 폭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된 너트에 양단이 나사 결합된 조임볼트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블록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단순한 조립공정에 의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립식 블록{Multi-purpose prefab block}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과 입체로 조립할 수 있는 단순하고 견고한 결합구조에 의해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2320호에서는 조적이 용이하면서도 복수의 보도블록 조립시, 상기 보도블록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시공 이후에도 보도블록 조립체 형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대상 장소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적용하여 특정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립형 보도블록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상기 다용도 조립형 보도블록은 바닥면 또는 벽면을 설치 대상면으로 하되, 상기 설치 대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블록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빗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상부면에 음각 형성되면서, 중심으로부터 테두리 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홈을 포함하는 덮개부와, 하나의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의 블록결합부와, 상기 하나의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에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의 블록결합부에 대해 대칭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발포제, 토사, 폐타이어 분쇄물, 합성 고분자 수지, 천연고분자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설치 대상면의 용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진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양 측면을 향해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이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141055호에서는 다수의 다용도 조립식 블록이 조립되는 경우 서로 연통되며 형성되는 수평통로와 수직통로로 온풍과 냉풍을 순환되고, 블록체 내부에 온수 파이프, 단열제 및 방음제 등을 삽입할 수 있어 보온성, 단열성 및 방음성이 뛰어나고 표면결로 및 내부결로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건물의 바닥면 시공시 사용하는 온수 파이프 등을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에 따라 건물의 벽체뿐 아니라, 건물의 바닥면으로도 시공할 수 있고, 그 이외에 실내 인테리어 칸막이와 학교 교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하적층 시 상호 결합되는 돌기 및 홈구조에 의하여 다용도 조립식 블록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다용도 조립식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장홈과, 상기 제1장홈을 사이에 둔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상부면; 일단이 상기 제1장홈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장홈을 포함하는 제1측면; 일단이 상기 제1장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장홈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장홈을 포함하는 제2측면; 및 양단이 상기 제2장홈 및 상기 제3장홈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장홈과, 상기 결합돌기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하부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용도 조립식 블록은 평면 및 입체로 결합되는 블록의 조립구조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개선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일부의 산업분야에 활용될 뿐, 더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볼트를 회전하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경제적인 다용도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조립식 블록은 내측에는 복수의 철근 및 철망이 결합되고, 외측에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하우징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인접한 두 개의 블록에 서로 대향하게 결합된 연결하우징에는 양단에 너트가 결합된 조임볼트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를 회전하면 이격된 두 개의 블록이 차츰 근접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식 블록에 의하면,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상하, 좌우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평면 형상인 차량블록 및 보도블록과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 형상인 수로 및 어초를 다양한 폭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된 너트에 양단이 나사 결합된 조임볼트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블록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단순한 조립공정에 의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조립식 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하우징 및 조임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제1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제2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제3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제4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립식 블록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보도블록 또는 차도블록으로 사용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철부(10)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100)은 강도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이 공간부(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1)의 사이와 양측 및 상측에는 복수의 철근(12) 및 철망(13)이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내구성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블록(100)에는 전면 및 후면과 상측 모서리 부분에 복수의 팝너트(20)가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고, 블록(100)의 전면과 후면, 양 측면에는 복수의 연결하우징(30)이 팝너트(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30)과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된 팝너트(20)는 인접한 두 개의 블록(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블록(100)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 팝너트(20)는 인양 고리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하우징(30)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블록(100)의 연결하우징(30)과 조임볼트(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임볼트(40)를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블록(100)이 차츰 근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블록(100)에 결합된 팝너트(20)에는 고정핀(70)의 일단을 나사 결합하고, 타측의 블록(100)에 결합된 팝너트(20)에는 고정핀(70)의 타단을 삽입함으로써 두 개의 블록(10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70)의 일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팝너트(20)에 견고히 나사 결합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팝너트(2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연결하우징(30)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가 개방된 금속재질의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구 측에는 한 쌍의 스탑퍼(31)가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임볼트(40)의 중앙부에는 회전을 위한 공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편평부(41)가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조임볼트(40)의 양측에는 너트(50)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너트(50)가 결합된 조임볼트(40)를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하우징(30)의 스탑퍼(31)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너트(50)의 전면이 스탑퍼(31)의 배면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스탑퍼(31)의 옆 공간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정구(6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너트(50)가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고,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볼트, 너트, 나사 따위를 죄거나 푸는 공구인 래칫 렌치(ratchet wrench)를 이용하여 조임볼트(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블록(100)을 최대한 근접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조임볼트(40)가 회전하면 스탑퍼(31) 및 고정구(60)에 의해 이동 및 회전이 차단된 너트(50)에 의해 두 개의 블록(100)이 차츰 근접하게 되고, 상기 래칫 렌치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때 회전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사용하거나 체결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결합이 완료된 두 개의 블록(100)이 이루는 간격은 공구의 최소 삽입 간격인 약 10mm가 되며, 이 공간은 밀폐재료에 의해 긴밀히 메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립식 블록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하철공사장에서 사용되는 복공판인 차량블록으로 사용되거나, 보도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이 정면을 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사면을 지지하는 옹벽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옹벽으로 사용할 때에는 공간부(11)에 복수의 관통부(14)를 형성함으로써 사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나머지 관통부(14)는 사면에 유입된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100)은 도 9 및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테두리 부분에 복수의 연결하우징(30) 및 팝너트(20)를 결합함으로써 조립된 상태가 평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폭으로 이루어지는 수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바다의 내측에 설치하는 다양한 형상의 어초로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조립식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평면 형상인 차량블록 및 보도블록과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 형상인 수로 및 어초를 다양한 폭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하우징(30)의 내측에 고정된 너트(50)에 양단이 나사 결합된 조임볼트(40)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인접한 두 개의 블록(100)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단순한 조립공정에 의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10 : 요철부 11 : 공간부
12 : 철근 13 : 철망
14 : 관통부 20 : 팝너트
30 : 연결하우징 31 : 스탑퍼
40 : 조임볼트 41 : 편평부
50 : 너트 60 : 고정구
70 : 고정핀 100 : 블록

Claims (5)

  1. 내측에는 복수의 철근(12) 및 철망(13)이 결합되고, 외측에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100)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100)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100)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하우징(30)이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인접한 두 개의 블록(100)에 서로 대향하게 결합된 연결하우징(30)에는 양단에 너트(50)가 결합된 조임볼트(4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40)를 회전하면 이격된 두 개의 블록(100)이 차츰 근접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스탑퍼(31)가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스탑퍼(31)의 사이에는 조임볼트(40)가 삽입되어 너트(50)의 전면이 스탑퍼(31)의 배면에 밀착되며, 상기 너트(50)는 연결하우징(30)에 고정되는 고정구(6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에는 연결하우징(30)의 사이에 팝너트(20)가 결합되고, 일측의 블록(100)에 결합된 팝너트(20)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70)이 결합되며, 타측의 블록(100)에 결합된 팝너트(20)에는 고정핀(7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40)에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인 래칫 렌치(ratchet wrench)를 고정될 수 있도록 편평부(41)가 상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은 평면으로 결합하여 차도블록 및 보도블록과 옹벽으로 구성하거나, 상측에 복수의 연결하우징(30)을 결합하여 입체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수로, 또는 다양한 형상의 어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식 블록.
KR1020210061923A 2021-05-13 2021-05-13 다용도 조립식 블록 KR10250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23A KR102509962B1 (ko) 2021-05-13 2021-05-13 다용도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23A KR102509962B1 (ko) 2021-05-13 2021-05-13 다용도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10A true KR20220154410A (ko) 2022-11-22
KR102509962B1 KR102509962B1 (ko) 2023-03-14

Family

ID=8423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23A KR102509962B1 (ko) 2021-05-13 2021-05-13 다용도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9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596B2 (ja) * 1990-09-11 1998-01-21 株式会社 栃鋼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連結装置
JP2009041227A (ja) * 2007-08-07 2009-02-26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200136100A (ko) * 2019-05-27 2020-12-07 유상석 프레임조절구 및 이를 이용한 천막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596B2 (ja) * 1990-09-11 1998-01-21 株式会社 栃鋼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連結装置
JP2009041227A (ja) * 2007-08-07 2009-02-26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200136100A (ko) * 2019-05-27 2020-12-07 유상석 프레임조절구 및 이를 이용한 천막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962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569B2 (en) Structural modular interconnectable subsoil drainage cell
US7818938B2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AU2018200694A1 (en) Formwork
KR102509962B1 (ko) 다용도 조립식 블록
KR20080022307A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US7025540B2 (en) Sheet pile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193604Y1 (ko) 조립식 암거
JP2808430B2 (ja) 乾式組立ブロック及びその組立工法
KR200236765Y1 (ko) 조립식암거
US20200318336A1 (en) Concrete Galley Water Detention and Release Systems
RU210408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моду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0797777B1 (ko) 담장
JPH044029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浄化槽
KR100332275B1 (ko) 조립식 암거설비
JPS582947Y2 (ja) コンクリ−ト管
KR20000040158A (ko) 조립식 암거설비
JPS6042102Y2 (ja) 河川護岸用連結ブロツク
JP2002276042A (ja) 基礎パッキン
KR200273752Y1 (ko) 조립식 암거설비
KR200331015Y1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JP4425826B2 (ja) 雨水等処理施設用構造体、雨水等処理施設用構造体ブロック、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処理施設
JPS597438Y2 (ja) 水路構築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JPH06272289A (ja) 雨水貯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