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015Y1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015Y1
KR200331015Y1 KR20-2003-0024566U KR20030024566U KR200331015Y1 KR 200331015 Y1 KR200331015 Y1 KR 200331015Y1 KR 20030024566 U KR20030024566 U KR 20030024566U KR 200331015 Y1 KR200331015 Y1 KR 200331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efabricated block
prefabricated
side plate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대균
Original Assignee
나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대균 filed Critical 나대균
Priority to KR20-2003-002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또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록에 의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형성판(8,10) 및 제1,2 측판(4,6)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보유하는 틀체로서, 동일한 형태의 것을 상하좌우로 끼워 맞춤으로써 벽체 형태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1,2 측판의 상·하단 및 좌·우단에 서로 대칭되는 니은(ㄴ)자 형태의 끼움턱(12,14,16,18)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내부에 흙, 모래, 시멘트 몰탈 등을 충진해 넣음으로써 건물의 축조를 위하여 요구하는 면적 및 높이의 벽체를 세울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Assembling block and the wall using thereof}
본 고안은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 및 그에 의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을 만들기 위한 대표적 수단은 벽돌을 쌓아 올리거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 벽을 세우는 것이다. 기타 조립식 건물이 있지만, 이 모두는 특별한 장비를 요하거나 기능인력이 필요하다.
위의 특별한 장비 내지 기능인력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오지, 산악지대 또는 고립된 섬 등지에서는 통상의 건물을 축조하는데 많은 비용과 수고가 따르게 된다.
한편, 비기능인에 의해서도 간단하게 조립하여 축조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록이 제공된 바 있으나, 이는 강도 면에서 취약하므로 그 용도를 통상의 건물에까지 확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전문가도 쉽게 건물을 축조할 수 있게 하며, 산악지대, 섬 등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건물을 축조할 수 있게 하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쌓아 올린 벽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 6에 적용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벽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벽체 2(2a,2b,2c) ; 조립식 블록
4,6 ; 제1,2 측판 8,10 ; 두께형성판
12,14,16,18 ; 끼움턱 20,22,24 ; 리브(rib)
26,28,30 ; 볼트체결구 40 ; 너트
42 ; 볼트 50 ; 탄성편
52 ; 걸림편 P ; 충진물
위와 같은 목적은, 내부에 빈 공간을 보유하는 틀체로서, 동일한 형태의 것을 상하좌우로 끼워 맞춤으로써 벽체 형태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주벽의 상·하단이 서로 대칭되며 좌·우단이 서로 대칭되는 니은(ㄴ)자 형태의 끼움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조립식 블록은 서로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가짐으로써 서로를 강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으로써 강도가 큰 벽체를 축조할 때에는 조립식 블록을 쌓아가면서 그 내부에 흙, 모래 등을 면밀히 채워 넣으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쌓아 올린 벽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 6에적용한 단면도이다.
조립식 블록(2)은 내부에 빈 공간을 보유하는 틀체로서, 동일한 형태의 것을 상하좌우로 끼워 맞춤으로써 벽체 형태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주벽의 상·하단 및 좌·우단에 각각 대략 Z자 형태로 결합되는 요철부를 가진다.
조립식 블록은 축조시 내외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칭으로 된 제1,2측판(4,6)과, 그 측판을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2개의 두께형성판(8,10)으로 구성된다. 측판(4,6)과 두께형성판(8,10)은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두께형성판(8,10)의 너비에 의해 조립식 블록의 두께가 결정될 것이며, 제1,2 측판(4,6)의 면적에 의해 조립식 블록의 면적이 결정될 것이다.
양측판의 상하좌우 일정폭은 동일 형태의 다른 조립식 벽돌과 상하좌우로 끼워 맞춰져 조립될 수 있도록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측판의 상하좌우 일정폭은 가운데 부분 즉 주벽 두께의 1/2이 됨으로써 니은(ㄴ)자 형태의 끼움턱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양측판(4,6)의 상단과 우단에는 제1끼움턱(12,14)이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하단과 좌단에는 제2 끼움턱(16,18)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식 블록을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조립식 블록의 상하좌우단의 폭(D1,D2, 도 3 내지 도 4 참조)의 광협에 의해 조립식 블록의 끼워지는 정도가 결정될 것이다.
조립식 블록이 조립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인테리어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립식 블록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가옥, 축대 등 외부 설치용 건조물의 용도로사용하는 경우 보다 강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하, 조립식 블록을 더욱 강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블록 자체를 강하게 하기 위한 강도 보강수단으로 블록 내부를 가로지르는 리브(rib, 20,22,24)가 설치된다. 리브(20,22,24)는 사출시 제1,2 측판(4,6) 및 두께형성판(8,10)과 일체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리브를 틀체화 하여 별도로 제작한후 필요에 따라 조립식 블록 내부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블록과의 상대적인 관계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를 강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음의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즉, 조립식 블록 내부를 상하 좌우로 관통되도록 수 개의 볼트체결구(26,28,30)가 마련된다. 우선 2개의 직립볼트체결구(28,30)가 리브(20,24)에 의해 조립식 블록 내부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1개의 수평볼트체결구(26)가 상기 직립볼트체결구를 빗겨나 리브(22)를 통해 두께형성판(8,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볼트체결구(26,28,30)는 다음과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3에 도시된 것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즉, 일측은 측벽에 탭이 형성된 너트자리(32), 타측은 볼트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게 되는 볼트자리(34)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 관통홀(3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조립식 블록을 끼워 맞춘 후 너트 및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 완성한 단면구조가 도 5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본 조립식 블록(2b)의 너트자리에 너트(40)를 끼워 체결하고, 요철식 단부를 이용하여 다른 조립식 블록(2c)을 끼운후, 볼트(42)를 다른 블록의 볼트 관통홀(36')로 삽입한 후 상기 너트(40)에 체결한다. 이후, 다른 너트(40'), 다른 블록, 다른 볼트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특히 횡방향으로) 조립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너트(40)는 내외측면 모두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일자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채우기 위한 드라이버홈(41)을 가진 특수한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볼트(42)로는 렌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이하 사용되는 너트 및 볼트와 동일한 사항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식 블록을 높이로 쌓아 올린 단면 구조가 도시된다. 기본 조립식 블록(2b)의 상부에 마련되는 너트자리에 너트(40)를 끼워 체결한 후, 요철 단부를 이용하여 다른 조립식 블록(2a)을 끼운후, 볼트(42)를 이미 끼워져 고정된 너트(40)에 체결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갈퀴 형태의 탄성편(50)을 이용하여 조립후 임의 해체가 곤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볼트을 이완함으로써 쉽게 조립식 블록(2a,2b)을 해체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탄성편(50)과 암수 결합되도록 록킹홈을 가지는 걸림편(52')이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의 다른 상대 조립식 블록에 설치된다. 물론 하나의 조립식 블록(2a,2b)에 각각 걸림편(52,52')과 탄성편(50,50')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탄성편과 걸림편은 조립식 블록 측판의 상하 좌우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 또한 2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그 크기도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시 및 설명된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은 단지 벽체의 일면만을 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주벽 모서리, 최하층, 최상층 등 특수한 위치에 놓여지는 조립식 블록은 위에 도시된 기본적 사상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벽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2)은, 이를 축조해가며(또는 축조한 후) 그 내부 공간에 흙, 모래, 시멘트 몰탈, 발포 합성수지 등의 충진물(P)을 채워 넣음으로써 완벽한 벽체(1) 시공을 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에 의해 축조된 벽체(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방음판재, 단열판재 또는 내화판재 등의 부착판재(도시되지 않음)가 덧붙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판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예를 들면, 일정 간격의 나사탭)이 조립식 벽돌의 측판에 마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와 같은 기본적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여 위에 도시 및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각 조립식 블록을 서로 강하게 체결하는 방식은 실로 다양하게 구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의 재질은 사출이 용이한 합성수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때에 따라서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제1,2 측판의 재질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하여 양자간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벽돌은, 일반 시멘트 벽돌과는 크게 다른 면적 및 두께(예를 들면, 면적은 10000㎠, 두께는 10cm)로 제작됨으로써 공장 또는 축사 등의 건물을 위한 주벽, 담벽 또는 지붕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초보 기술자라도 쉽게 일반 벽체와 같은 강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벽체를 축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이용한 각종 건물 또는 인테리용 장식체를 세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식 벽돌은 특히, 물류비가 상당한 산간지대, 섬 또는 오지에 소정의 건물을 축조하는데 최적일 것이다.

Claims (6)

  1. 두께형성판(8,10) 및 제1,2 측판(4,6)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보유하는 틀체로서, 동일한 형태의 것을 상하좌우로 끼워 맞춤으로써 요구하는 높이 및 넓이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제1,2 측판의 상·하단 및 좌·우단에 서로 대칭되는 니은(ㄴ)자 형태의 끼움턱(12,14,16,18)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강성 보강을 위한 리브(rib, 20,22,24)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끼움 결합된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각각 1개 이상의 볼트체결구(26,30)가 관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볼트체결구(26,30)는, 내외주면 모두에 각각 나사탭이 형성된 너트(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측벽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자리(32)가 일측에 마련되며 ; 볼트(42)의 헤드 저면과 접촉하게 되는 볼트자리(34)가 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 측벽의 일측에는 갈퀴 형상으로 돌출된 탄성편(50)이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상기 탄성편이 끼워 걸려질 수 있도록 록킹홈을 가지는 걸림편(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5. 두께형성판(8,10) 및 제1,2 측판(4,6)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보유하는 틀체로서, 동일한 형태의 것을 상하좌우로 끼워 맞춤으로써 요구하는 높이 및 면적으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1,2 측판(4,6)의 상·하단 및 좌·우단에 서로 대칭되는 니은(ㄴ)자 형태의 끼움턱(12,14,16,18)이 각각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을 조립한 후 그 내부 빈 공간에 흙, 모래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발포 합성수지 등의 충진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6. 제 5항에 있어서, 방음판재, 내화판재 또는 단열판재 등이 상기 벽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KR20-2003-0024566U 2003-07-30 2003-07-30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200331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66U KR200331015Y1 (ko) 2003-07-30 2003-07-30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66U KR200331015Y1 (ko) 2003-07-30 2003-07-30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572A Division KR20050014101A (ko) 2003-07-30 2003-07-30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015Y1 true KR200331015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566U KR200331015Y1 (ko) 2003-07-30 2003-07-30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0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3B1 (ko) * 2011-07-18 2013-05-06 방부현 조립식 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3B1 (ko) * 2011-07-18 2013-05-06 방부현 조립식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4516B2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KR101429430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US5787669A (en) Building components
KR100663923B1 (ko)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KR20080022307A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200331015Y1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CN209907607U (zh) 一种装配式便捷安装组合结构板体
KR20050014101A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JPH11125008A (ja) 建築、土木工事用型材
KR200157355Y1 (ko) 건축용 조립식 블록
CN211257525U (zh) 一种用于装配式住宅的砖块及砖块墙
CN211257526U (zh) 一种用于装配式住宅的砖块及砖块墙
CN211114228U (zh) 一种砖块墙
CN211114380U (zh) 一种砖块墙
US20100115869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100797777B1 (ko) 담장
CN211114229U (zh) 一种砖块墙
KR200303783Y1 (ko) 조립식 피씨 암거용 거푸집장치
CN211257527U (zh) 一种砖块墙
KR200415136Y1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20020030438A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구조
JPH09273251A (j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