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380A - 밴드 케이블 - Google Patents

밴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380A
KR20220154380A KR1020210061829A KR20210061829A KR20220154380A KR 20220154380 A KR20220154380 A KR 20220154380A KR 1020210061829 A KR1020210061829 A KR 1020210061829A KR 20210061829 A KR20210061829 A KR 20210061829A KR 20220154380 A KR20220154380 A KR 2022015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able
wiring
vehicle body
rotatabl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김종원
김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380A/ko
Publication of KR2022015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9Application of elastic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8Appendages formed with/on the strap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releasing or bundling, e.g. for fixing the strap to a wall, label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케이블에 별물형의 회전형 앵커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회전형 앵커를 차체에 형성된 장착홀쪽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일치시킨 후, 회전형 앵커를 차체 장착홀에 정확하게 삽입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각종 와이어링을 차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드 케이블{BAND CABLE}
본 발명은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회전형 앵커를 차체 장착홀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킨 새로운 구조의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기장치 등에는 전기적 신호 교환 및 통전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Wiring)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와이어링은 배터리와 각종 전장품 간을 연결하고, 제어기와 각종 전장품 간을 연결하면서 차체에 히든된 상태로 배설되고 있다.
상기 와이어링은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하는 차체 진동 및 자중에 의한 처짐 등으로 인하여 제위치를 벗어나 이탈될 수 있고, 더욱이 차체 및 주변 부품 등과의 마찰 접촉 등으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결국 와이어링의 이탈 및 손상에 의하여 전장부품들의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현상까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와이어링은 밴드케이블 또는 클립 등을 이용하여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및 그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이 와이어링을 1차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록킹홀(22)을 갖는 록킹블럭(20)과, 록킹블록(2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밴드(10)와, 록킹블록(20)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립 형태의 앵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밴드(10)의 일표면에는 록킹을 위한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블록(20)의 록킹홀(22) 내에는 톱니를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2a 및 도 2b에서 보듯이 상기 밴드(10)로 와이어링(40)을 감싸준 후, 밴드(10)를 록킹블록(20)의 록킹홀(22) 내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와이어링(40)이 1차적으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블록(20)과 일체로 된 앵커(30)를 차체(50)의 장착홀(52)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써, 와이어링(40)이 밴드케이블과 함께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록킹블록(20)과 일체로 된 앵커(30)가 차체(50)의 장착홀(52)과 일치된 상태로 배열되면,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앵커(30)를 차체(50)의 장착홀(52)에 용이하게 삽입 체결시킬 수 있지만, 도 3b에서 보듯이 상기 앵커(30)가 차체(50)의 장착홀(52)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열된 경우 앵커(30)를 장착홀(52)에 삽입 체결시킬 수 없게 되고, 결국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밴드(10)가 와이어링(40)을 감싸면서 밀착된 상태이므로, 도 3b의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밴드케이블 자체를 회전시킬 수 없고, 결국 앵커(30)와 장착홀(52) 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와이어링의 차체 고정을 위한 조립 작업이 불가능해질 수 밖에 없다.
둘째, 상기 밴드케이블 및 앵커의 방향 회전을 위하여 상기 밴드(10)를 와이어링(30)에 헐겁게 체결하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케이블의 좌우 이동 및 이탈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10)의 양측부에 와이어링(30)의 표면에 밀착되는 편물 패드(60)를 배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상기 밴드(10)가 와이어링(30)에 헐겁게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앵커(30)와 장착홀(52)이 불일치된 상태라 하더라도 앵커(30)를 차체(50)의 장착홀(52)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일치시킬 수 있고, 와이어링이 차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밴드(10)가 와이어링(30)에 헐겁게 체결된 상태이므로 차량 주행 진동에 따라 와이어링(30)이 반복적으로 유동되면서 손상될 소지가 있고, 특히 와이어링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편물 패드(60)를 더 사용함에 따른 원가 상승, 조립 작업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밴드 케이블에 별물형의 회전형 앵커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회전형 앵커를 차체에 형성된 장착홀쪽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일치시킨 후, 회전형 앵커를 차체 장착홀에 정확하게 삽입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각종 와이어링을 차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이 형성된 록킹블럭; 상기 록킹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링을 감싼 후 상기 제1록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제1밴드; 상기 제1밴드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록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차체의 장착홀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형 앵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록킹블록의 일면 하단부와 상기 제1밴드의 후단부 사이에는 접힘 가능하게 접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단의 일표면에는 와이어링의 표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띠편 돌기가 형성되되, 제1밴드 쪽을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단과 제1밴드의 경계부에는 접힘단의 접힘 유도를 위한 제1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밴드의 후단부에는 제1밴드와 제2밴드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밴드와 수직을 이루는 일체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형 앵커는: 상기 제2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의 장착홀에 삽입 체결되는 클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럭의 가이드홀 입구부 및 출구부에는 회전형 앵커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라운드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전단부 끝단에는 두께 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각각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에 원활한 삽입을 위한 제2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와이어링을 제1밴드로 감싸며 1차로 락킹블록에 고정하고, 별물형 회전형 앵커를 제2밴드부에 삽입하여 2차로 락킹블록에 고정시킨 후, 회전형 앵커를 차체에 형성된 장착홀쪽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일치시킨 다음, 회전형 앵커를 차체 장착홀에 용이하게 삽입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각종 와이어링을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밴드에 삽입된 회전형 앵커와 차체에 형성된 장착홀이 불일치하더라도, 회전형 앵커를 장착홀쪽으로 회전 이동시켜서 회전형 앵커와 장착홀 간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에 와이어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이 와이어링을 1차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도시한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의 가이드블럭을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와이어링에 체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회전형 앵커를 차체 장착홀에 일치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을 와이어링에 체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록킹블록을 지시한다.
상기 록킹블록(100)은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가 각각 삽입 체결되는 제1록킹홀(101) 및 제2록킹홀(10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록킹블록(100)의 일면에는 와이어링(40)을 감싸며 밀착된 후 상기 제1록킹홀(101)에 삽입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제1밴드(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밴드(110)의 후단부에는 회전형 앵커(20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홀(102)에 삽입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제2밴드(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밴드(120)의 후단부에는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1밴드(110)와 수직을 이루는 일체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단(122)이 형성되며, 이에 상기 제2밴드(120)에 삽입된 회전형 앵커(200)가 간섭없이 제2밴드(120)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가 각각 제1록킹홀(101) 및 제2록킹홀(102)에 대하여 원활하게 삽입 및 통과될 수 있도록 도 7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의 전단부 끝단에서 두께 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제2챔퍼(136)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회전형 앵커(200)는 상기 제2밴드(120)에 대하여 차체의 장착홀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밴드(20)가 삽입 관통되는 가이드홀(212)을 갖는 가이드블럭(210)과, 이 가이드블럭(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의 장착홀에 삽입 체결되는 클립부(22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럭(210)의 가이드홀(212)의 입구부 및 출구부 모서리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앵커(200)의 원활한 회전방향 이동을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모따기된 형태의 가이드면(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형 앵커(200)의 클립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홀 형태의 차체 장착홀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되거나, 장홀 형태의 차체 장착홀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블록(100)의 일면 하단부와 상기 제1밴드(110)의 후단부 사이에는 제1밴드(110)의 원활한 접힘 및 와이어링(40)과의 원활한 밀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접힘단(1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단(130)의 일표면에는 도 6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와이어링(40)의 표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띠편 돌기(132)가 형성되되, 각각의 띠편 돌기(132)들은 접힘단(130)의 일표면이 와이어링(40)의 곡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제1밴드(110) 쪽을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높이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단(130)이 와이어링(40)의 표면에 대하여 더 원활하게 접히도록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접힘단(130)과 제1밴드(110)의 경계부에는 제1밴드(1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제1챔퍼(chamfer, 1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전형 앵커를 갖는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의 회전형 앵커를 차체의 장착홀에 일치시켜 체결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제1밴드(110)로 와이어링(40)을 감싸준 후, 제1밴드(110)의 선단부를 상기 록킹블록(100)의 제1록킹홀(101)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써,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와이어링(40)이 제1밴드(1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밴드(120)에 회전형 앵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밴드(120)의 선단부를 상기 록킹블록(100)의 제2록킹홀(102)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써,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형 앵커(200)가 제2밴드(1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밴드(110,120)의 일표면에는 록킹을 위한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블록(100)의 제1 및 제2록킹홀(101,102) 내에는 톱니를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록킹블록(100)에 대한 제1 및 제2밴드(110,120)의 결합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형 앵커(200)의 클립부(220)가 차체(50)의 장착홀(52)과 불일치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앵커(200)를 차체(50)의 장착홀(52)을 향하여 회전 이동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밴드(120)가 회전형 앵커(200)의 가이드블럭(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2)에 관통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형 앵커(200)를 제2밴드(120)를 따라 차체(50)의 장착홀(52)을 향하여 용이하게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회전형 앵커(200)를 차체(50)의 장착홀(52)과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클립부(220)를 차체(50)의 장착홀(52) 내에 압입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 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되는 상태가 되고, 결국 상기 제1밴드(1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고정된 와이어링(40)이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링(40)을 제1밴드(110)로 감싸며 1차로 고정시킨 후, 회전형 앵커(200)를 차체(50)에 형성된 장착홀(52)쪽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일치시킨 다음, 회전형 앵커(200)의 클립부(220)를 장착홀(52)에 용이하게 삽입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각종 와이어링을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밴드(120)에 삽입된 회전형 앵커(200)와 차체(50)에 형성된 장착홀(52)이 불일치하더라도, 회전형 앵커(200)를 차체(50)의 장착홀(52)쪽으로 회전 이동시켜서 회전형 앵커(200)의 클립부(220)와 장착홀(52) 간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에 와이어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밴드 20 : 록킹블록
22 : 록킹홀 30 : 앵커
40 : 와이어링 50 : 차체
52 : 장착홀 60 : 편물 패드
100 : 록킹블록 101 : 제록킹홀
102 : 제2록킹홀 110 : 제1밴드
120 : 제2밴드 122 : 간격유지단
130 : 접힘단 132 : 띠편 돌기
134 : 제1챔퍼 136 : 제2챔퍼
200 : 회전형 앵커 210 : 가이드블럭
212 : 가이드홀 214 : 가이드면
220 : 클립부

Claims (8)

  1.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이 형성된 록킹블럭;
    상기 록킹블록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링을 감싼 후 상기 제1록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제1밴드;
    상기 제1밴드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록킹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차체의 장착홀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형 앵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블록의 일면 하단부와 상기 제1밴드의 후단부 사이에는 접힘 가능하게 접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힘단의 일표면에는 와이어링의 표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띠편 돌기가 형성되되, 제1밴드 쪽을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힘단과 제1밴드의 경계부에는 접힘단의 접힘 유도를 위한 제1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밴드의 후단부에는 제1밴드와 제2밴드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1밴드와 수직을 이루는 일체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앵커는:
    상기 제2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갖는 가이드블럭; 및
    상기 가이드블럭에 일체로 형성되어 차체의 장착홀에 삽입 체결되는 클립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가이드홀 입구부 및 출구부에는 회전형 앵커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라운드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전단부 끝단에는 두께 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각각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에 원활한 삽입을 위한 제2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케이블.
KR1020210061829A 2021-05-13 2021-05-13 밴드 케이블 KR20220154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29A KR20220154380A (ko) 2021-05-13 2021-05-13 밴드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829A KR20220154380A (ko) 2021-05-13 2021-05-13 밴드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80A true KR20220154380A (ko) 2022-11-22

Family

ID=8423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829A KR20220154380A (ko) 2021-05-13 2021-05-13 밴드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3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795B2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JP3889934B2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JP2003348742A (ja) 長尺部材の取付具
KR100638637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KR20220154380A (ko) 밴드 케이블
KR20080022458A (ko) 회로 조립용 지그
JP3331975B2 (ja) グロメットホルダー
JP2002281646A (ja) オプション用電線の処理構造
JPH0138390Y2 (ko)
JPH08178132A (ja) ワイヤハーネスの折曲用ガイド板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102095499B1 (ko) 커넥터
JP4046184B2 (ja) テーピングワイヤクリップ
JP200635300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構造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方法
JP7444922B2 (ja) プロテクタ
KR20020039035A (ko) 차량용 와이어 고정 클립 조립체
KR200329875Y1 (ko) 자동차용 연료배관 및 배선 고정클립
KR20240043377A (ko) 밴드케이블
WO2023204153A1 (ja) 追加配線固定部材及び配線固定構造
JP3470675B2 (ja) ツイスト線の保持固定具
KR200435065Y1 (ko) 프로텍터용 인서트타입클립
JP2558414Y2 (ja) クリップ
JP200728248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H1155835A (ja) クリップ
KR100324546B1 (ko) 와이어링 커넥터 응력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