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264A -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264A
KR20220153264A KR1020210060610A KR20210060610A KR20220153264A KR 20220153264 A KR20220153264 A KR 20220153264A KR 1020210060610 A KR1020210060610 A KR 1020210060610A KR 20210060610 A KR20210060610 A KR 20210060610A KR 20220153264 A KR20220153264 A KR 2022015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shion
vehicle
airbag
mounted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훈
이석민
이규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264A/ko
Publication of KR2022015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어에 설치되고,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도어 후단의 테두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테두리커버부가 전개되는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Air bag type door mounted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the air bag type door mounted}
본 발명은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정차 후 승객이 도어를 열때에 차량의 후측방에서 자전거 등의 이륜차가 빠르게 접근하는 경우 이륜차 탑승자가 개방된 도어의 모서리 부분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한다.
차량과 이륜차 간 사고의 7%는 열리는 도어에 이륜차가 부딪히는 사고이고, 중등도 이상의 상해(AIS2+)가 그 중 63%에 달한다.
이처럼, 이륜차와 열리는 도어 간에 충돌 발생 빈도와 승객의 상해도는 낮지 않은 상황에 있다.
이에, 유로앤캡에서는 이 같은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 도어를 열 때에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의 존재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람을 주거나 도어 열림을 순간적으로 멈추는 기술의 적용을 평가할 예정에 있다.
다만,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경고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이륜차와 도어 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운전자가 도어를 강한 힘으로 빠르게 개방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경고나 도어 열림 멈춤을 무시하거나, 후방 장애물로 인해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센싱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088253 A JP 5526962 B2 JP 5306390 B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어에 설치되고,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도어 후단의 테두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테두리커버부가 전개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커버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 및 좌우길이보다 길게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쿠션은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 전개되는 공간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이 에어백모듈에 내장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이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트림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이어지는 공간커버부가 차량의 전방을 향해 꺾여진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쿠션의 후면판넬의 좌우길이가 쿠션의 전면판넬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 전면판넬의 일부를 재봉하여 전면판넬의 좌우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쿠션 전면판넬의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 사이에 테더가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외부센서; 도어의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외부센서와 도어센서를 통해 검출된 값을 기반으로 물체와 도어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을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부; 도어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부;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장착형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제어방법으로서, 제어기가, 도어의 개방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와 도어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을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단계; 도어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단계;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이륜차가 도어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의 탑승자가 도어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거나 차량 탑승자에 부딪히지 않고 쿠션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하여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쿠션을 차량 위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쿠션을 도어 테두리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이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이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공간커버부를 테두리커버부에 대해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전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전개 제어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쿠션(110)을 차량 위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쿠션(110)을 도어(10) 테두리 후방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도어 장착형 에어백은 도어(10)에 설치되고, 도어(10)의 개방상태에서 도어(10) 후단의 테두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테두리커버부가 전개되는 쿠션(11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에어백의 쿠션(110)이 도어(10)에 설치되어 도어(10)의 후방을 향해 전개되고, 전개되는 쿠션(110)이 도어(10) 후단의 테두리부를 커버하게 된다.
즉,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10)를 개방할 때에 차량의 후측방에서 이륜차가 빠르게 접근하는 경우, 에어백의 쿠션(110)이 전개되면서 개방된 도어(10) 후단의 테두리부를 덮게 된다.
따라서, 이륜차가 도어(10)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의 탑승자가 도어(1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고 쿠션(110)의 테두리커버부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1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상기 테두리커버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 및 좌우길이보다 길게 전개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테두리커버부가 도어(10) 후단의 테두리부를 충분하게 감싸는 너비로 전개됨으로써,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의 테두리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고, 이에 이륜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더불어,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110)은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 전개되는 공간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상기 쿠션(110)은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커버부 내에 채워지는 가스가 공간커버부 내에 채워져 전개된다.
이러한, 공간커버부는 도어(10)가 개방된 차량의 측면을 향해 전개됨으로써, 도어(10)의 후단 테두리부와 차량 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된다.
즉,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가 전개된 쿠션(110)의 공간커버부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이륜차가 차량 탑승자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이륜차 탑승자와 차량 탑승자 모두를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모듈(100)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110)이 도어프레임(12)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110)이 도어트림(14)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110)이 에어백모듈(100)에 내장되고; 상기 에어백모듈(100)이 도어프레임(12) 또는 도어트림(14) 후단에 설치되는 구조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백모듈(100)은 모듈커버(120)와, 쿠션(110)과, 인플레이터(140) 및 모듈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는 것으로, 모듈커버(120)와 모듈하우징(130) 사이에 쿠션(110)이 폴딩 상태로 수납되어 모듈커버(120)와 모듈하우징(1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110) 내부에 인플레이터(140)가 마련되고, 인플레이터(140)가 쿠션(110)과 하우징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40)는 제어기(200)의 전기신호를 받아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가스가 쿠션(110) 내부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모듈커버(12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일면이 도어(10)의 후단으로 노출되고, 노출되는 면에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쿠션(110)이 테어라인을 찢으면서 전개된다.
아울러, 차량의 도어(10)는 철판으로 구성된 도어프레임(12)과,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도어트림(14)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고, 상기 에어백모듈(100)이 도어프레임(12)의 후단 또는 도어트림(14)의 후단에 장착된다.
즉, 도 3과 같이 에어백모듈(100)이 도어프레임(12)에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도어프레임(12)의 후단에 에어백모듈(100)의 조립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모듈(100)이 스터드 혹은 그에 상응하는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공간 내부에 조립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에어백모듈(100)이 도어트림(14)에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도어트림(14)의 후단에 에어백모듈(100)의 조립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모듈(100)이 스터드 혹은 그에 상응하는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공간 내부에 조립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커버부를 테두리커버부에 대해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이어지는 공간커버부가 차량의 전방을 향해 꺾여진 형상으로 전개되는 구조가 된다.
즉,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가 경계하는 부분에서 공간커버부를 전방으로 꺾어지게 형성하여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 간에 경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10)가 개방되더라도 공간커버부의 단부가 차량의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공간커버부에 의해 이륜차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공간커버부를 꺾어진 형상으로 전개시키는 제1실시예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110)의 후면판넬(114)의 좌우길이가 쿠션(110)의 전면판넬(112)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구조가 된다.
예컨대,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4)이 겹쳐지면서 양단이 재봉되어 쿠션(1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쿠션(110)이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이륜차 탑승자 방향으로 후면판넬(114)이 형성되고, 도어(10)를 개방한 차량의 탑승자 방향으로 전면판넬(11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후면판넬(114)의 길이를 전면판넬(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공간커버부가 테두리커버부에 대해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된다.
도 7은 상기 공간커버부를 꺾어진 형상으로 전개시키는 제2실시예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110)의 전면판넬(112) 일부를 재봉하여 전면판넬(112)의 좌우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판넬(112) 중에서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 사이를 재봉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전면판넬(112)의 좌우길이가 후면판넬(114)의 좌우길이보다 짧아지게 됨으로써, 공간커버부가 테두리커버부에 대해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된다.
도 8은 상기 공간커버부를 꺾어진 형상으로 전개시키는 제3실시예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110) 전면판넬(112)의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 사이에 테더(116)가 연결된 구조가 되다.
예컨대, 상기 테더(116)의 양단이 전면판넬(112)의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전면판넬(112)의 좌우길이가 후면판넬(114)의 좌우길이보다 짧아지게 됨으로써, 공간커버부가 테두리커버부에 대해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110)의 전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외부센서(16); 도어(10)의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18); 상기 도어(10)의 개방시, 외부센서(16)와 도어센서(18)를 통해 검출된 값을 기반으로 물체와 도어(10)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110)을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상기 외부센서(16)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혹은 초음파센서 등의 센서일 수 있는 것으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어기(200)에 전송한다.
도어센서(18)는 도어(10)의 개방여부를 센싱하고, 도어(10)의 개방신호를 제어기(200)에 전송한다.
이에, 도어(10)의 개방시,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와 도어(10) 간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제어기(200)가 쿠션(110)을 전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륜차 탑승자가 펼쳐진 쿠션(110)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거나, 차량 탑승자와 부딪히지 않게 됨으로서, 충돌사고로부터 이륜차 탑승자와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기(200)는,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1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부(210); 도어(10)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부(220);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10)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110)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즉, 외부센서(16)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륜차의 속도와 차량 도어(1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최소 제동거리를 확보한다.
그리고, 도어센서(18)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0)의 개방 여부는 물론, 도어(10)의 개방각도를 확보한다.
이에, 도어(10)가 일정각도를 초과하여 개방됐을 때에, 이륜차와 도어(10)까지의 거리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여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인플레이터(140)에 전개신호를 인가하여 에어백 쿠션(110)을 전개시키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0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110)의 전개 제어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기(200)가, 도어(10)의 개방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와 도어(10)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110)을 전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200)를 이용한 쿠션(110)의 전개 제어방법은,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1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단계; 도어(10)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단계;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10)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110)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에, 도 10을 참조하여 도어 장착형 에어백의 전개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차량의 후측방에서 이륜차 접근시, 차량에 장착된 외부센서(16)에 의해 이륜차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한다(S10).
이에, 감지된 이륜차의 속도와 차량 도어(1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최소 제동거리를 확보한다(S20).
그리고, 도어센서(18)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0)의 개방 여부와, 도어(10)의 개방각도를 확보한다.
즉, 도어(10)가 개방되는 경우, 도어(10) 개방각도가 a°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30).
S30단계의 판단결과, 도어(10)가 일정각도를 초과하여 개방시, 이륜차와 도어(10)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지 판단한다(S40).
즉, 도어(10) 개방시점에서 이륜차와 도어(10)까지의 거리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한 경우,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경우, 인플레이터(140)에 전개신호를 인가하여 쿠션(110)을 전개시키게 된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륜차가 도어(10)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의 탑승자가 도어(1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거나 차량 탑승자에 부딪히지 않고 쿠션(110)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1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하여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도어
12 : 도어프레임
14 : 도어트림
16 : 외부센서
18 : 도어센서
100 : 에어백모듈
110 : 쿠션
112 : 전면판넬
114 : 후면판넬
116 : 테더
120 : 모듈커버
130 : 모듈하우징
140 : 인플레이터
200 : 제어기
210 : 제동거리산출부
220 : 개방각산출부
230 : 전개신호출력부

Claims (12)

  1. 도어에 설치되고,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도어 후단의 테두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테두리커버부가 전개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커버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 및 좌우길이보다 길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차량의 외측면 사이에 전개되는 공간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에어백모듈에 내장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이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트림 후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커버부와 이어지는 공간커버부가 차량의 전방을 향해 꺾여진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후면판넬의 좌우길이가 쿠션의 전면판넬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 전면판넬의 일부를 재봉하여 전면판넬의 좌우길이를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 전면판넬의 테두리커버부와 공간커버부 사이에 테더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9. 청구항 3에 있어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외부센서;
    도어의 개방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외부센서와 도어센서를 통해 검출된 값을 기반으로 물체와 도어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을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부;
    도어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부;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11. 청구항 1에 기재된 도어 장착형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제어방법으로서,
    제어기가, 도어의 개방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와 도어의 충돌가능성을 판단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쿠션을 전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와 도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최소 제동거리를 산출하는 제동거리산출단계;
    도어의 개방여부와 개방각을 산출하는 개방각산출단계;
    물체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고, 도어의 개방각이 일정각도 초과인 경우, 쿠션이 전개되도록 전개신호를 인가하는 전개신호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KR1020210060610A 2021-05-11 2021-05-11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KR2022015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10A KR20220153264A (ko) 2021-05-11 2021-05-11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10A KR20220153264A (ko) 2021-05-11 2021-05-11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64A true KR20220153264A (ko) 2022-11-18

Family

ID=842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10A KR20220153264A (ko) 2021-05-11 2021-05-11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2420A1 (en) * 2021-12-28 2023-06-29 Hyundai Mobis Co., Ltd. Door-mounted air bag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6390B2 (ja) 2011-02-28 2013-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JP5526962B2 (ja) 2010-04-15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90088253A (ko) 2018-01-18 2019-07-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후방 추돌 충격 감소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6962B2 (ja) 2010-04-15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5306390B2 (ja) 2011-02-28 2013-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KR20190088253A (ko) 2018-01-18 2019-07-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후방 추돌 충격 감소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2420A1 (en) * 2021-12-28 2023-06-29 Hyundai Mobis Co., Ltd. Door-mounted air bag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same
US11814002B2 (en) * 2021-12-28 2023-11-14 Hyundai Mobis Co., Ltd. Door-mounted air bag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963B2 (ja) 巻き付け型側面衝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21949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JP63434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JP649173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01412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US9421942B2 (en)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KR20100127982A (ko) 도어 회전이 제한되는 루프 에어백 장치
JP4465804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6294952B2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US20060202446A1 (en) Airbag module
US10710544B2 (en) External airbag
JPH07246908A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2007076542A (ja) 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334895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20220153264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KR20160080521A (ko) 액티브 전동 사이드 스텝을 이용한 차량용 외장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565652B2 (en) External airbag for vehicle
KR20210037039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20150114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JP6673643B2 (ja) 乗員保護装置
JP2009073207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JP6697805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80062494A (ko) 차량용 전방에어백
KR20230100328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KR20230100327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