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328A - 도어 장착형 에어백 - Google Patents

도어 장착형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328A
KR20230100328A KR1020210190102A KR20210190102A KR20230100328A KR 20230100328 A KR20230100328 A KR 20230100328A KR 1020210190102 A KR1020210190102 A KR 1020210190102A KR 20210190102 A KR20210190102 A KR 20210190102A KR 20230100328 A KR20230100328 A KR 202301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bag
cushion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훈
이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328A/ko
Priority to US18/057,176 priority patent/US11814002B2/en
Priority to DE102022131052.3A priority patent/DE102022131052A1/de
Priority to CN202211694636.1A priority patent/CN116353534A/zh
Publication of KR202301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판넬; 도어판넬에 마운팅되고,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쿠션이 전개되어 도어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에어백; 도어판넬을 덮는 형상으로 도어에 조립되고, 에어백의 외관과 매칭되는 매칭홀이 형성되어 상기 매칭홀 내에 에어백이 매칭되면서 삽입되는 도어트림;을 포함하는 도어 장장착형 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도어 장착형 에어백{Air bag type door mounted}
본 발명은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정차 후 승객이 도어를 열때에 차량의 후측방에서 자전거 등의 이륜차가 빠르게 접근하는 경우 이륜차 탑승자가 개방된 도어의 모서리 부분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한다.
차량과 이륜차 간 사고의 7%는 열리는 도어에 이륜차가 부딪히는 사고이고, 중등도 이상의 상해(AIS2+)가 그 중 63%에 달한다.
이처럼, 이륜차와 열리는 도어 간에 충돌 발생 빈도와 승객의 상해도는 낮지 않은 상황에 있다.
이에, 유로앤캡에서는 이 같은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 도어를 열 때에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의 존재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람을 주거나 도어 열림을 순간적으로 멈추는 기술의 적용을 평가할 예정에 있다.
다만,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경고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이륜차와 도어 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운전자가 도어를 강한 힘으로 빠르게 개방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경고나 도어 열림 멈춤을 무시하거나, 후방 장애물로 인해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센싱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526147 B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장착형 에어백의 구성은,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판넬; 도어판넬에 마운팅되고,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쿠션이 전개되어 도어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에어백; 도어판넬을 덮는 형상으로 도어에 조립되고, 에어백의 외관과 매칭되는 매칭홀이 형성되어 상기 매칭홀 내에 에어백이 매칭되면서 삽입되는 도어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쿠션이 하우징에 수납되면서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에 의해 덮여지고; 커버가 도어트림 방향으로 구비되어 티어라인을 통해 쿠션이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매칭홀 내에 커버가 매칭될 수 있다.
도어판넬과 하우징이 마운팅브라켓을 매개로 마운팅되고, 하우징은 인플레이터와 함께 마운팅브라켓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쿠션이 도어트림의 내측면과 함께 도어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쿠션은 도어 후단의 테두리에서 도어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이륜차가 도어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의 탑승자가 도어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거나 차량 탑승자에 부딪히지 않고 쿠션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하여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도어에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어트림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하우징에 마운팅브라켓이 장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쿠션이 전개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쿠션을 평면에서 바라본 형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전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전개 제어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200)이 도어(100)에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트림(120)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100) 장착형 에어백(200)은, 도어(100)에 마련되는 도어판넬(110); 도어판넬(110)에 마운팅되고,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쿠션(210)이 전개되어 도어(100)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에어백(200); 도어판넬(110)을 덮는 형상으로 도어(100)에 조립되고, 에어백(200)의 외관과 매칭되는 매칭홀(130)이 형성되어 상기 매칭홀(130) 내에 에어백(200)이 매칭되면서 삽입되는 도어트림(12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구체적으로, 도어판넬(110)의 하단에 에어백(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판넬(110)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차실 내측 방향에 도어트림(120)이 조립된다.
특히, 상기 도어트림(120)의 하단에는 도어판넬(110)에 설치된 에어백(200)의 외관 형상에 대응하도록 매칭홀(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칭홀(130) 내에 에어백(200)이 매칭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에어백(200)이 매칭홀(130)을 통해 도어트림(120)의 외부, 즉 차실 내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100)를 개방할 때에 차량의 후측방에서 이륜차가 빠르게 접근하는 경우, 쿠션(210)이 전개되면서 개방된 도어(100) 후단의 테두리 부분을 덮게 된다.
따라서, 이륜차가 도어(100)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고 도어(100)의 테두리에 전개되는 쿠션(210)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10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200)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쿠션(210)이 하우징(220)에 수납되면서 티어라인(230a)이 형성된 커버(230)에 의해 덮여지고; 커버(230)가 도어트림(120) 방향으로 구비되어 티어라인(230a)을 통해 쿠션(210)이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는 구조가 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200)은 커버(230)와, 쿠션(210)과, 인플레이터(240) 및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에, 커버(230)와 하우징(220) 사이에 쿠션(210)이 폴딩 상태로 수납되어 커버(230)와 하우징(220)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20)이 도어트림(120) 내측에 마련된 도어판넬(110)에 설치되어 에어백(200)이 도어(100)에 설치되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쿠션(210)의 가스주입구(도시생략)에 인플레이터(240)가 연결되어 인플레이터(240)에서 발생한 가스가 쿠션(210)에 공급된다.
특히, 상기 커버(230)가 도어(100)의 내측을 향해 설치되고, 커버(230)에 티어라인(230a)이 형성됨으로써, 쿠션(210)이 티어라인(230a)을 찢으면서 도어(100)의 내측, 즉 차실 내부를 향해 전개된다.
더불어, 도 1과 같이 상기 매칭홀(130) 내에 커버(230)가 매칭되는 구조가 된다.
즉, 도어트림(120)에 매칭홀(130)이 형성됨으로써, 도어트림(120)을 도어판넬(110)과 결합하는 경우, 매칭홀(130)을 통해 에어백(200)의 외관이 노출된다.
특히, 쿠션(210)이 차실 내부를 향해 전개되기 위해서는 쿠션(210)이 커버(230)에 형성된 티어라인(230a)을 찢고 나오면서 전개되어야 함으로써, 매칭홀(130)에 커버(230)의 외면이 매칭되어 조립되는 것은 물론, 도어트림(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230)의 외측면과 매칭홀(130)이 일치되도록 구성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200)의 하우징(220)에 마운팅브라켓(250)이 장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판넬(110)과 하우징(220)이 마운팅브라켓(250)을 매개로 마운팅되고, 하우징(220)은 인플레이터(240)와 함께 마운팅브라켓(250)에 체결되는 구조가 된다.
예를 들어, 마운팅브라켓(250)의 하단부분이 볼팅과 같은 하드웨어 체결을 통해 도어판넬(110)에 1점 이상 고정된다.
그리고, 마운팅브라켓(250)의 상단부분이 인플레이터(240)를 고정하는 스터드를 통해 하우징(220)과 함께 체결되거나, 용접 등을 통해 하우징(2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서 쿠션(210)이 전개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쿠션(210)을 평면에서 바라본 형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210)이 도어트림(120)의 내측면과 함께 도어(100)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쿠션(210)이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쿠션(210)이 도어(100)의 내측으로 전개됨에 따라 도어트림(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은 물론, 도어(100)의 후단을 향해 전개되어 도어(100)의 후단 테두리를 덮는 형상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이륜차가 도어(100)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고 테두리에 전개되는 쿠션(210)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10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도어(100) 내측면에서 전개되는 쿠션(210) 부분에 의해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쿠션(210)은 도어(100) 후단의 테두리에서 도어(100)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즉, 도어(100)의 테두리 부분에 전개되는 쿠션(210) 부분은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0)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당 부분은 적어도 도어(100)의 테두리 부분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수준으로 전개됨에 따라 이륜차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210)의 전개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센서(300)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혹은 초음파센서 등의 센서일 수 있는 것으로, 차량의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차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어기(500)에 전송한다.
도어센서(400)는 도어(100)의 개방여부를 센싱하고, 도어(100)의 개방신호를 제어기(500)에 전송한다.
이에, 도어(100)의 개방시, 제동거리 산출부(510)에서는 외부센서(300)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륜차의 속도와 차량 도어(10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최소 제동거리를 확보한다.
그리고, 개방각 산출부(520)에서 도어센서(400)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00)의 개방 여부는 물론, 도어(100)의 개방각도를 확보한다.
이에, 도어(100)가 일정각도를 초과하여 개방됐을 때에, 이륜차와 도어(100)까지의 거리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하여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개신호 출력부(530)에서 인플레이터(240)에 전개신호를 인가하여 쿠션(210)을 전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륜차 탑승자가 도어(100)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거나, 차량 탑승자와 부딪히지 않게 됨으로서, 충돌사고로부터 이륜차 탑승자와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50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210)의 전개 제어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에, 도 8을 참조하여 도어(100) 장착형 에어백(200)의 전개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차량의 후측방에서 이륜차 접근시, 차량에 장착된 외부센서(300)에 의해 이륜차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한다(S10).
이에, 감지된 이륜차의 속도와 차량 도어(100)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륜차의 최소 제동거리를 확보한다(S20).
그리고, 도어센서(400)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00)의 개방 여부와, 도어(100)의 개방각도를 확보한다.
즉, 도어(100)가 개방되는 경우, 도어(100) 개방각도가 a°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30).
S30단계의 판단결과, 도어(100)가 일정각도를 초과하여 개방시, 이륜차와 도어(100)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지 판단한다(S40).
즉, 도어(100) 개방시점에서 이륜차와 도어(100)까지의 거리가 최소 제동거리 내에 진입한 경우,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경우, 인플레이터(240)에 전개신호를 인가하여 쿠션(210)을 전개시키게 된다(S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륜차가 도어(100)에 충돌하는 경우, 이륜차의 탑승자가 도어(10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거나 차량 탑승자에 부딪히지 않고 쿠션(210)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도어(10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의 상해 위험을 최소화하여 이륜차 탑승자 및 차량 탑승자 모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도어
110 : 도어판넬
120 : 도어트림
130 : 매칭홀
200 : 에어백
210 : 쿠션
220 : 하우징
230 : 커버
230a : 티어라인
240 : 인플레이터
250 : 마운팅브라켓
300 : 외부센서
400 : 도어센서
500 : 제어기
510 : 제동거리산출부
520 : 개방각산출부
530 : 전개신호출력부

Claims (6)

  1.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판넬;
    도어판넬에 마운팅되고,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쿠션이 전개되어 도어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에어백;
    도어판넬을 덮는 형상으로 도어에 조립되고, 에어백의 외관과 매칭되는 매칭홀이 형성되어 상기 매칭홀 내에 에어백이 매칭되면서 삽입되는 도어트림;을 포함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쿠션이 하우징에 수납되면서 티어라인이 형성된 커버에 의해 덮여지고;
    커버가 도어트림 방향으로 구비되어 티어라인을 통해 쿠션이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매칭홀 내에 커버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4. 청구항 2에 있어서,
    도어판넬과 하우징이 마운팅브라켓을 매개로 마운팅되고,
    하우징은 인플레이터와 함께 마운팅브라켓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도어트림의 내측면과 함께 도어 후단의 테두리를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도어 후단의 테두리에서 도어의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장착형 에어백.
KR1020210190102A 2021-12-28 2021-12-28 도어 장착형 에어백 KR2023010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102A KR20230100328A (ko) 2021-12-28 2021-12-28 도어 장착형 에어백
US18/057,176 US11814002B2 (en) 2021-12-28 2022-11-18 Door-mounted air bag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same
DE102022131052.3A DE102022131052A1 (de) 2021-12-28 2022-11-23 Türmontierter airbag und steuerverfahren zur entfaltung desselben
CN202211694636.1A CN116353534A (zh) 2021-12-28 2022-12-28 安装在门上的安全气囊以及展开该安全气囊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102A KR20230100328A (ko) 2021-12-28 2021-12-28 도어 장착형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328A true KR20230100328A (ko) 2023-07-05

Family

ID=8715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02A KR20230100328A (ko) 2021-12-28 2021-12-28 도어 장착형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3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147B1 (ko) 2003-06-11 2005-1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147B1 (ko) 2003-06-11 2005-1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80B2 (en) Roof airbag apparatus with airbag door having limited opening angle
KR101620110B1 (ko) 프리크래쉬 사이드에어백 장치
EP2022684B1 (en)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method of developing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and vehicle
US7611162B2 (en) Front pillar trim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s
US10933828B2 (en) Airbag device
EP1332932B1 (en) Vehicle occupants protection system
US8172257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3405246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KR20220153264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US11565652B2 (en) External airbag for vehicle
JPH0518807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衝突センサ配置構造
KR20210037039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30100328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JPH09240413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エアバッグ構造
KR20220150114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US11814002B2 (en) Door-mounted air bag and control method for deploying same
JP2007106148A (ja) 車両用衝突物判定装置
KR20230100327A (ko) 도어 장착형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JP6697805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80545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JPH0713279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JP2010264802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7298263B2 (ja) エアバッグ展開方法及び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00580015B1 (ko) 커튼 에어백의 가이드 장치
JP2522164Y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