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905A -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 Google Patents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905A
KR20220146905A KR1020210053774A KR20210053774A KR20220146905A KR 20220146905 A KR20220146905 A KR 20220146905A KR 1020210053774 A KR1020210053774 A KR 1020210053774A KR 20210053774 A KR20210053774 A KR 20210053774A KR 20220146905 A KR20220146905 A KR 2022014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refractive
refractive index
layer
bonding film
rep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993B1 (ko
Inventor
김상묵
정성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60K2370/152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접합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등에 대한 것으로, 접합용 필름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 및 상기 고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을 포함한다.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된다. 두께변화영역은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고굴절층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고굴절층이 쐐기각도 값을 갖는 영역이고, HUD 구역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은 고굴절층의 쐐기각도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한다. 고굴절층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다. 고굴절층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이다.
이러한 접합용 필름 등은 HUD 이미지 투영 시 이중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권취 공정 등에서 디펙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FILM FOR LAMINATING AND LIGHT TRANSMITTING LAYERED PRODUCT COMPRISING OF THE SAME}
구현예는 접합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등에 관한 것이다.
접합용 필름은 접합 유리(안전 유리) 또는 광투과 라미네이트의 중간층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건축물의 창, 외장재 등과 자동차 창유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 파손 시에도 그 파편이 비산하지 않고, 일정한 강도의 타격에도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등의 특징으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가해지는 손상 또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에는 전방표시장치(HUD, Head Up Display)를 장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시보드 영역이나 루프 영역에서의 프로젝터로 차 앞유리(windshield) 상에 이미지를 투영하면, 이 투영된 이미지가 운전자에 의해 지각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전방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전방의 도로를 주시하면서도 현재 주행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경고 메시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서, 운전의 편의성과 교통 안전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프로젝터 이미지가 차 앞 유리에 투영되므로, 앞 유리의 양 표면(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상이 반사되고, 운전자는 원하는 1차 이미지뿐만 아니라, 더 약한 강도로 2차 이미지(ghost image)까지 함께 지각하게 된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한 가지 방법은, 유리 사이의 중간층으로 수직 단면이 쐐기형(wedge-shaped) 것을 적용하는 것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193514호 국내등록특허 제10-2189976호 국내등록특허 제10-1561517호
구현예의 목적은 HUD 이미지 투영 시 이중상 형성 방지 기능을 갖고, 귄취 및 후공정 작업이 용이한 접합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필름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 및 상기 고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된다.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상기 고굴절층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상기 고굴절층이 쐐기각도 값을 갖는 영역이다.
상기 HUD 구역에 배치된 상기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고굴절층의 쐐기각도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다.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이다.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 값에서 상기 기본층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0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 값에서 상기 기본층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1 내지 299kgf/mm2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의 200℃에서의 용융지수가 6.2 내지 11g/10min일 수 있다.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인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층은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가소제 흡수량이 상기 고굴절층 무게의 3중량%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두께변화영역에서 상기 고굴철층의 쐐기각도는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UD(Head-up display)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다.
상기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한다.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이다.
상기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200℃에서의 용융지수가 6.2 내지 11g/min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는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합용 필름 및 상기 접합용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필름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 및 상기 고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된다.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고굴절층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상기 고굴절층이 쐐기각도 값을 갖는 영역이다.
상기 HUD 구역에 배치된 상기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고굴절층의 쐐기각도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이 1.55 이상 2.5 이하이다.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이다.
구현예의 접합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등은 고굴절층의 굴절률 및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윈드쉴드(windshield)에 이미지 투영 시 이중상 형성 방지 기능을 갖고, 귄취 및 후공정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HUD 구역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두께변화영역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두께변화영역에서 쐐기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변화영역을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 별 평가용 샘플의 이중상 형성 여부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구현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구현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각형은, 셋 이상의 변을 갖는 2차원 도형을 지칭하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하고, 무한개의 변을 갖는 원, 타원 등과 같은 곡선 형태를 다각형의 전부 또는 일부에 포함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수산기량의 평가는, JIS K6728에 준거한 방법에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하여 평가했다.
본 명세서에서 상온이란 20 내지 25℃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역은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에서의 일부 부분을 특정하기 위한 용어이다. 영역은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의 일부 부분을 특정하기 위한 용어이다.
HUD(Head Up Display)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접합용 필름은 이미지 투영 시 이중상 형성 방지를 위해 폭 방향으로 두께 편차를 두어 전체적으로 Ÿ‡지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것이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폭 방향의 두께 편차에 따라 권취 공정 및 후공정에서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접합용 필름이 2 이상의 층을 포함할 경우, 적층된 층들의 특성에 따라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접합용 필름의 표면 상에 요철 등의 디펙트(defect)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구현예의 발명자들은 접합용 필름에 폭 방향으로의 두께 편차 및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층을 포함하여 전체 필름의 폭 방향의 두께 편차를 줄이고, 상기 각 층의 유연성 등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접합용 필름에 발생할 수 있는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접합용 필름의 권취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구현예를 완성했다.
이하, 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HUD 구역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두께변화영역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두께변화영역에서 쐐기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변화영역을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구현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접합용 필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필름(10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10) 및 상기 고굴절층(1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20)을 포함한다.
접합용 필름(100)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된다.
두께변화영역(T)은 접합용 필름(100)의 단면에서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상기 고굴절층(10)이 쐐기각도(W) 값을 갖는 영역이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은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한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이다.
필름의 형태 및 층 구조
접합용 필름(100)은 고굴절층(10)을 포함한다.
고굴절층(10)은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타면을 포함한다.
접합용 필름(100)은 고굴절층(10)의 일면 상에 기본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용 필름(100)은 고굴절층(10)의 일면과 타면 상에 각각 기본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전면에서, 차량 등의 내측에 위치한 HUD 프로젝터에 의해 빛을 조사하여 HUD 이미지를 표시하는 구역이다.
HUD 구역(H)은 차량 등의 내측에 위치한 HUD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된 빛이 입사할 경우, HUD 이미지의 이중상의 형성이 완화되거나 억제되는 구역이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전면의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의 일단으로부터 약 6 c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10 cm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의 일단으로부터 약 6 c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20 cm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의 일단으로부터 약 6 c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35 cm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의 일단으로부터 약 6 c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100 cm 이하로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등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전방 주시 중 과도하게 시선을 이동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HUD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HUD 구역(H)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절단할 경우, 상기 HUD 구역(H)의 단면은 두께변화영역(T)을 포함하는 구역이다.
두께변화영역(T)은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의 단면에서 고굴절층(10)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고굴절층(10)이 쐐기각도(W) 값을 갖는 영역이다.
쐐기각도(W) 값을 갖는 영역이란, 아래에서 상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쐐기각도(W)를 측정 시 측정값이 0이 아닌 값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접합용 필름(100) 단면에서의 두께변화영역(T)은, HUD 프로젝터로부터 고굴절층(10)의 일면 방향으로 광이 입사되어 고굴절층(10)의 일면 상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경로와, 고굴절층(10)의 일면에서 굴절되어 일면과 평행하지 않은 타면 부분에서 반사된 후, 상기 일면에서 다시 굴절되는 굴절광의 경로가 조절되어 관찰자가 인식하는 HUD 이미지가 이중상을 형성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이하, 두께변화영역(T)에서 쐐기각도(W) 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점(d1) 및 제3점(d3)은 각각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일면에 위치하는 점이다. 제2점(d2) 및 제4점(d4)은 각각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타면에 위치하는 점이다.
제1점(d1)은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굴절층(10)의 일면 내에서 그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제3점(d3)은 제1점(d1)으로부터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1cm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제1점(d1)으로부터 필름(100)의 폭 방향(Dw) 중 일 방향으로 1cm 이격된 지점이 HUD 구역(H) 바깥에 해당한다면, 제3점(d3)의 위치는 제1점(d1)으로부터 필름(100)의 폭 방향(Dw) 중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1cm 이격된 지점이다.
제1점(d1)과 제2점(d2)은 필름(100)의 두께 방향(Dt)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3점(d3)과 제4점(d4)은 필름(100)의 두께 방향(Dt)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1점(d1)과 제3점(d3)을 통과하는 연장선은 제1선(L1)이고, 제2점(d2)과 제4점(d4)을 통과하는 연장선은 제2선(L2)이다. 쐐기각도(W)는 제1선(L1)과 제2선(L2)의 접점에서, 제1선(L1)과 제2선(L2)이 이루는 각도이다.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는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0이 아닌 서로 같은 값을 갖는다.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는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0이 아닌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1 내지 1.2 도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7 내지 1.1 도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8 내지 1.0 도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1 내지 1.2 도일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7 내지 1.1 도일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쐐기각도(W)가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값으로 0.08 내지 1.0 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은 고스트 이미지 발생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폭방향으로 1cm당 두께 변동값의 절대값이 4.36*10-4 cm 이상일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폭방향으로 1cm당 두께 변동값의 절대값이 7.36*10-4 cm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폭방향으로 1cm당 두께 변동값의 절대값이 1.5*10-3 cm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폭방향으로 1cm당 두께 변동값의 절대값이 4*10-3 c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고굴절층(10)의 단면 형태가 대체로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굴절층(10)의 단면 형태가 대체로 삼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등변삼각형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고굴절층(10)의 단면 형태가 대체로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이되, 상기 일면 또는 상기 타면과 대응되는 선이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도 6 참조).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기본층(20)은 폭 방향(Dw)으로 두께가 변동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기본층(20)은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두께와 대응되어 두께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폭 방향(Dw)으로 고굴절층(10)의 두께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기본층(20)의 두께가 감소하고, 고굴절층(10)의 두께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기본층(20)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의 두께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공정 및 후공정 등에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합용 필름(100)은 폭 방향(Dw)으로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접합용 필름(100)은 폭 방향(Dw)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접합용 필름(100)이 폭 방향(Dw)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는 것은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의 접합용 필름(100)의 평균 두께와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 내 일 지점에서 측정한 접합용 필름(100)의 두께간 차이값이 일정 범위 이내라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의 접합용 필름(100)의 평균 두께를 100%로 보았을 때,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에서 접합용 필름(100)의 평균 두께와 HUD 구역(H)에 배치된 두께변화영역(T)의 일 지점에서 측정한 접합용 필름(100)의 두께간 차이값이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차이값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차이값이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차이값은 0% 초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용 필름의 권취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은 폭 방향(Dw)으로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은 폭 방향(Dw)으로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기본층(20)의 폭 방향(Dw)으로의 길이는 고굴절층(10)의 폭 방향(Dw)으로의 길이와 비교하여 더 길 수 있다.
고굴절층의 물성
고굴절층(10)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다.
고굴절층(10)은 고굴절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접합용 필름(100) 내에 포함되어 HUD 프로젝터로부터 고굴절층(10)의 표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굴절 및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굴절되는 광의 경로와 반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여 광투과 적층체 상에 형성되는 HUD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굴절률은 Atago 사의 아베굴절계인 DR-M4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굴절률은 ISO 489 Method A에 근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1.55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1.56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1.5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2.5 이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2.3 이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1.8 이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굴절층(10)은 광투과 적층체 상에 형성되는 이중상 발생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면서 전체적으로 접합용 필름(100)의 폭 방향(Dw)으로의 두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모듈러스가 3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이 포함된 접합용 필름(100)은 제조 후 보관, 운반의 용이함을 위해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다만, 접합용 필름(100)은 상기 필름에 포함된 층의 기계적 물성 등에 따라 권취 과정에서 필름 표면에 요철이나 주름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접합용 필름(100)이 적용되는 광투과 적층체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고, 적층공정 등 후공정을 원활히 진행시키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현예는 상대적으로 유연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굴절층(10)의 유연성, 구체적으로 모듈러스를 제어함으로써, 권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이 억제되는 접합용 필름(100)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러스는 인스트롱(Instron) 사의 UTM 5566A 모델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모듈러스는 ISO 527-2에 근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2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160kgf/mm2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25kgf/mm2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30kgf/mm2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는 50kgf/mm2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시 발생할 수 있는 필름의 디펙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과 모듈러스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가 제어되지 않을 경우,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공정 및 후공정 편의성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제어된다고 하더라도, 고굴절층(10)의 굴절률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접합용 필름(100)이 포함된 광투과 적층체는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굴절층(10)의 굴절률 및 모듈러스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구현예는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하면서도 권취 및 후공정이 용이한 접합용 필름(100)을 제공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 및 모듈러스 특성은 고굴절층(10)에 포함된 수지의 잔기, 수지의 중합 정도, 수지 내 포함된 관능기, 고굴절층(10)에 포함된 첨가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현예는 특히 고굴절층(10)에 포함된 아릴렌계 반복단위, 디엔계 반복단위 및 상기 반복단위에 포함된 관능기의 함량에 고굴절층(10)의 굴절률 및 모듈러스 특성을 제어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고굴절층(10)에 포함된 수지조성물의 조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술할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고굴절층(10)의 200℃에서의 용융지수는 6.2 내지 11g/10min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형상은 뒤에서 압출 또는 사출 공정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형상 가공 과정에서 용융된 고굴절층(10)의 용융지수를 조절함으로써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시 고굴절층(10)이 두께변화영역(T)에서 미리 설정된 쐐기각도(W)를 갖는 형상을 갖고, 이후 적층공정에서 고굴절층의 상기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광투과 적층체에서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는 수지의 유연성과 관련된 파라미터임을 고려할 때, 고굴절층(10)의 용융지수를 제어함으로써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용융지수는 200℃, 50kg에서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에서의 용융지수는 6.2g/10min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에서의 용융지수는 6.8g/10min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에서의 용융지수는 11g/10min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에서의 용융지수는 10.5g/10min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 50kg에서의 용융지수는 6.2g/10min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 50kg 에서의 용융지수는 6.8g/10min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 50kg 에서의 용융지수는 11g/10min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200℃, 50kg 에서의 용융지수는 10.5g/10min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굴절층의 성형 가공성이 향상되면서, 접합용 필름이 권취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기본층 및 고굴절층간 물성
고굴절층(10)의 굴절률 값에서 기본층(20)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02 이상일 수 있다.
HUD 프로젝터를 비롯한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기본층(20)을 투과하여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간 계면에서 반사와 동시에 굴절된다.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간 굴절률 차이값을 제어하면, 상기 계면에서의 빛의 굴절 각도를 미리 설정한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광 경로와 굴절광 경로를 조절하여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기본층(20)의 굴절률은 고굴절층(10) 굴절률 측정에 적용되는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 값에서 기본층(20)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02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 값에서 기본층(20)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05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 값에서 기본층(20)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3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굴절률 값에서 기본층(20)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2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용 필름(100)은 광투과 적층체의 HUD 이미지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 값에서 기본층(20)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1 내지 299kgf/mm2 일 수 있다.
기본층(20) 및 고굴절층(10)이 적층된 필름(100)을 권취하면 상기 접합용 필름(100)이 롤 형태가 된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 값과 기본층(20)의 모듈러스 값의 차이값이 조절되면 롤 형태의 필름에서 상기 양 층의 응력 차이로 인한 롤의 요철 발생 및 필름 내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기본층(20)의 모듈러스는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를 측정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 값에서 기본층(20)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1 내지 299kgf/mm2 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 값에서 기본층(20)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3 내지 250kgf/mm2 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모듈러스 값에서 기본층(20)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5 내지 200kgf/mm2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권취 공정 또는 권취된 필름의 보관 과정에서 필름의 디펙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기본층(20)은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가소제 흡수량이 상기 고굴절층(10) 무게의 3 % 미만일 수 있다.
기본층(20)의 일 면과 고굴절층(10)의 일 면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직접 접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일 면은 기본층(20)의 일 면 전체 면적 대비 50% 이상의 면적에서 기본층(20)의 일 면과 서로 직접 접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일 면은 기본층(20)의 일 면 전체 면적 대비 80% 이상의 면적에서 기본층(20)의 일 면과 서로 직접 접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일 면은 기본층(20)의 일 면 전체 면적 대비 90% 이상의 면적에서 기본층(20)의 일 면과 서로 직접 접할 수 있다.
가소제는 기본층(20)의 유연성을 조절하도록 기본층(2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기본층(20)에 포함된 가소제는 기본층(20) 내에서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온도, 압력, 기본층(20)에 적용되는 수지 특성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아 층간 이동(migration)될 수 있다. 구현예의 발명자들은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 사이에의 가소제 이동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기본층(20) 내에 포함되어 있던 가소제가 고굴절층(10)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굴절층(10) 자체의 굴절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고굴절층(10)을 적용한 접합용 필름(100)의 이중상 형성 억제 기능이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현예의 고굴절층(10)은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거나 흡수하는 정도가 작은 수지층을 적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고굴절층(10)에 적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소제 흡수율을 낮출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가소제 흡수량 측정에 적용되는 가소제는 아래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고굴절층(10)의 가소제 흡수량 테스트는 실시예에 제시된 것처럼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2장 사이에 고굴절층(10)을 적층하고 50℃에서 4주간 방치하여, 방치 전후의 고굴절층(10) 시편의 무게 증가 정도로 평가한다. 가소제 흡수량 측정값은 테스트 전의 고굴절층(10) 무게를 기준으로 그 무게 증가량을 %로 평가하여, 중량%로 나타낸다.
고굴절층(10)의 가소제 흡수량은 상기 고굴절층(10) 무게의 약 3 중량%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 흡수량은 약 2 중량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 흡수량은 약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의 가소제 흡수량이 상기 고굴절층(10) 무게의 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 흡수량은 0.00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굴절층(10)의 가소제 흡수로 인한 고굴절층(10)의 굴절률 변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고, 이중상 억제 효과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고굴절층의 조성
고굴절층(1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아릴렌계 단량체를 첨가중합한 수지에 포함된 반복단위이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비닐(vinyl) 구조의 반복단위에서 아릴기가 1 이상 치환된 반복단위이다. 아릴기는 페닐기(phenyl group), 비페닐기(biphenyl group), 터페닐기(terphenyl group), 나프틸기(naphthyl group), 나프틸페닐기(naphthyl phenyl group), 톨릴기(tolyl group) 및 상기 관능기에 탄소수가 2 내지 10인 알킬기가 치환된 관능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아릴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릴기는 페닐기일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접합용 필름(100)에 포함된 고굴절층(10)은 접합용 필름(100)을 구성하는 기본층(20)을 비롯한 다른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 특성이 요구된다. 고굴절층(10)에 페닐기가 포함된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적용하여 고굴절층(10)이 미리 설정된 굴절률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고굴절 특성만을 고려하여 페닐기 수 및 아릴렌계 반복단위의 함량을 조절할 경우, 고굴절층(10)의 유연성 저하로 인해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편의성 및 보관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층(10)의 고굴절 특성과 함께 고굴절층(10)의 유연성을 함께 고려하여 아릴렌계 반복단위의 함량 및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에 포함된 페닐기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2개 포함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개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51 내지 8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60 내지 7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굴절층(10)이 포함된 접합용 필름(100)은 HUD 이미지의 이중상 형성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면서도, 권취 공정에 따른 디펙트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디엔계 단량체를 첨가중합하여 형성된 수지에 포함된 반복단위이다.
고굴절층(10)에 적용되는 디엔계 반복단위의 탄소수 및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고굴절층(10)에 일정 범위 내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에 상기 유연성을 부여할 경우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시 접합용 필름(100)의 표면에 요철 등의 디펙트가 유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광투과 적층체 내에서 고굴절층(10)이 목적하는 쐐기 각도를 갖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일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6일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20 내지 45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30 내지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굴절층(10)의 유연성이 제어되어 권취 시 접합용 필름(100)에 결함이 형성되지 아니하면서 고굴절층(10)이 두께변화영역(T)에서 미리 설정된 쐐기각도(W)를 유지할 수 있다.
기본층의 조성
기본층(2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층(2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6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7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71 내지 7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접합용 필름(100)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강도와 모듈러스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함유량이 2 중량% 미만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이상 1.5 중량%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 함유량이 1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16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19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 함유량이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기본층(20)에 적용하는 경우, 접합용 필름(100)은 유리 등의 기재와 우수하게 접합되면서도 적절한 내관통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기본층(20)에 적용 시 기본층(20)은 구현예의 고굴절층(10)과 우수한 접합력을 가질 수 있고, 접합용 필름(100)의 권취 시 각 층의 모듈러스 차이, 층간 접합력 등으로 인한 결함 발생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600 내지 3,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고, 중합도가 1,700 내지 2,5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기본층(20)에 적용하는 경우, 접합용 필름(100)의 내관통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하이드를 합성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데하이드는 그 종류를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데하이드는, n-부틸 알데하이드, 이소부틸 알데하이드, n-배럴 알데하이드, 2-에틸 부틸 알데하이드, n-헥실 알데하이드 및 이들의 블랜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데하이드로 n-부틸 알데하이드를 적용하는 경우 제조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유리의 굴절률과 그 차이가 적은 굴절률 특성을 갖고 유리 등과의 접합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기본층(20)은 상기 기본층(20) 전체를 기준으로 가소제가 24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24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26 내지 2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접합용 필름(100)에 적절한 접합력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면에서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4G7),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부티레이트(3GH),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헵타노에이트(3G7), 디부톡시에톡시에틸 아디페이트(DBEA), 부틸 카르비톨 아디페이트(DBEEA), 디부틸 세바케이트(DBS), 비스 2-헥실 아디페이트(DH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 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n-헵타노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가 적용될 수 있다.
기본층(20)은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IR 흡수제, 유리 접합력 조절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나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계를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50 ℃이상의 공정온도를 요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제조공정상 힌더드 페놀계의 산화방지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힌더드 페놀계의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BASF사의 IRGANOX 1076, 101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산화방지제와의 적합성을 고려할 때 포스파이트(phosphite) 계 열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ASF사의 IRGAFOS 168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흡수제는 케미프로화성사의 케미솔브(Chemisorb) 12, 케미솔브 79, 케미솔브 74, 케미솔브 102, BASF사의 티누빈(Tinuvin) 328, 티누빈 329, 티누빈 32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BASF사의 티누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IR 흡수제로는 ITO, ATO, AZO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리 접합력 조절제는 Mg, K, Na 등의 금속염, 에폭시계 변성 Si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 기능층
접합용 필름(100)은 기본층(20)과 고굴절층(10) 사이에 다른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층은 예시적으로 차음층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음층은 고굴절층(10)과 기본층(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음층은 기본층(2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차음층은 기본층(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차음층은 고굴절층(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4 중량% 이상 76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고, 6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차음층은, 가소제 24 중량% 이상 46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고,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전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기준으로 아세틸기 함유량이 8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차음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 함유량이 26 중량% 이하일 수 있고, 5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용 필름(100)에 보다 안정적인 차음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UD(Head-up display)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 수지를 포함한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 수지를 6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 수지를 8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 수지를 9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수지와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디엔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화합물과 디엔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중합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아릴렌계 화합물과 디엔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아릴렌계 화합물과 디엔계 화합물을 첨가 중합하여 수지 형성 후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적용할 것이 요구된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한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개이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용융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여 구현예의 접합용 필름(100)에 포함되는 고굴절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펠렛화(pelletizing)될 수 있다. HUD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고굴절층 제조를 위해 압출기에 펠렛형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펠렛은 수지 특성에 따라 펠렛간 융착될 수 있다. 펠렛간 융착이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는 공정에 있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구현예의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에 포함된 반복단위별 함량, 반복단위에 포함된 관능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용융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시 성형물이 고굴절 특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구현예의 기본층과 적층 시 가소제 흡수량이 조절될 수 있고, 펠렛화된 수지 조성물이 펠렛 간 강하게 융착되는 특성이 억제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에 대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한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2개 포함할 수 있다.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개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아릴렌 수지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아릴렌 수지를 51 내지 8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아릴렌 수지를 60 내지 75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51 내지 8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60 내지 7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한 성형물은 구현예에서 고굴절층에 요구되는 고굴절 특성을 가지면서, 상기 성형물이 구현예의 기본층과 적층 시 가소제 흡수량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펠렛화된 수지 조성물간 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에 대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고굴절 수지는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이다. 유리 접합용 수지 조성물은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일 수 있다.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6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디엔 수지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디엔 수지를 20 내지 45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폴리디엔 수지를 30 내지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디엔계 반복단위를 20 내지 45중량%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수지는 디엔계 반복단위를 30 내지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한 성형물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성형물을 구현예의 기본층과 적층 시 미리 설정한 성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기본층으로부터 이동되는 가소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등에 펠렛화된 수지 조성물 투입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5 이상 1.8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 측정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고굴절층 굴절률 측정방법과 동일하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5 이상 1.8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6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7 이상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2.5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2.3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2.0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은 HUD용 유리 접합용 필름의 고굴절층에 적용하기 적합한 굴절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 측정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고굴절층 모듈러스 측정방법과 동일하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200kgf/mm2 이하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160kgf/mm2 이하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25kgf/mm2 이상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30kgf/mm2 이상일 수 있다.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성형물의 모듈러스는 50kgf/mm2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지조성물을 적용한 고굴절층은 권취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펙트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접합용 필름의 제조방법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200 내지 250 ℃의 압출온도로 유지하며 압출하여 고굴절층(10)을 제조하는 형상화단계를 포함하여 고굴절층(10)을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100)을 마련한다.
준비단계에서,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압출기에 투입되는 수지 조성물은 아릴린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펠렛화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기에 투입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린 수지와 폴리디엔 수지를 120 내지 200℃에서 혼련 후 펠렛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한 후, 형상화 단계에서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200 내지 250℃로 유지하며 압출하여 고굴절층(10)을 제조할 수 있다. 압출기는 이축 압출기 또는 일축 압출기를 적용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용융된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된 수지 조성물을 T-DIE 등을 통해 성형하여 시트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굴절층(10)이 두께변화영역(T)에서 미리 설정된 쐐기각도(W)를 갖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고굴절층(10)의 일면과 타면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굴절층(10)을 성형할 수 있다. 이 때, T-DIE의 전단에 피드블록과 같은 적층수단을 더 적용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위에서 설명한 기본층(20)과 함께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압출 방식으로 상기 접합용 필름(100)을 제조하는 경우, 2 개 이상의 압출기에 기본층(20)에 적용되는 수지와 고굴절층(10)에 적용되는 수지를 각각 넣고 압출하여 각 층이 의도하는 형상을 갖도록 필름을 제조한다.
기본층(20)으로 가소제가 혼합된 폴리비닐아세탈층이 적용되는 경우 폴리비닐아세탈층 적용에 통상 적용되는 온도를 유지하며 압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첨가제가 더 적용될 수 있다.
고굴절층(10)은 몰드를 이용하여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굴절층에 적용되는 수지 조성물을 미리 설정된 형상의 몰드에 투입하고, 핫프레스(hot press)로 가열 압착하여 고굴절층(10)을 제조할 수 있다.
기본층(20)은 압출기를 통해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압출기에 기본층(20)에 적용되는 수지 조성물을 넣고 압출하여 의도하는 형상을 갖도록 기본층(20)을 제조할 수 있다. 기본층(20)은 상기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가소제가 혼합된 폴리비닐아세탈층이 적용되는 경우 폴리비닐아세탈층 적용에 통상 적용되는 온도를 유지하며 압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본층(20)에 추가적인 첨가제가 더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고굴절층(10) 및 기본층(20)을 기본층(20) / 고굴절층(10) / 기본층(20) 순서로 적층한 후 핫프레스로 가열 압착하여 접합용 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핫프레스로 가열 압착 시 온도는 120 내지 180℃로 적용할 수 있다.
각 층의 형상, 성분 등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고굴절층(10) 및 접합용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합용 필름(100)이 한 쌍의 광투과체 사이에 적층되어 접합공정을 진행 시 접합용 필름(100)의 탈기성 향상을 위해 접합용 필름(100) 표면측에 위치하는 기본층(20) 표면상에 패턴이 전사될 수 있다. 패턴을 전사하는 방법으로는 패턴 롤러를 사용하는 방법과 패턴 몰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형성된 접합용 필름(100)은, 한 쌍의 광투과체(미도시) 사이에 적층되어 광투과적층체(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광투과적층체는 가접합 공정과 본접합 공정을 순차 또는 동시에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광투과 적층체 및 이동수단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는 제1광투과층(미도시),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합용 필름(100), 및 상기 접합용 필름(100)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투과층과 상기 제2광투과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광투과성 유리, 또는 광투과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위에서 설명한 필름이 적용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은 위에서 설명한 광투과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구동부(엔진 등),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륜(바퀴 등), 상기 구동륜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및 상기 바디부의 일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바람을 차단하는 광투과 적층체인 윈드실드가 포함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험의 설명에서 그 단위가 불분명한 % 기재에 대해서 중량%인지 몰%인지 불분명한 경우는 중량%를 의미한다.
제조예: 고굴절층용/기본층용 수지 조성물 및 접합용 필름의 제조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 아래 표 1에 개시된 실시예 및 비교예 별 중량비에 따라 펠렛화된 폴리스티렌 수지 및 부타디엔 수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이축 압출기의 온도를 120 내지 200℃로 설정 후 혼련하였다. 혼련을 마친 수지 조성물은 펠렛화하였다.
비교예 1: BMMD(2,5-Bis(mercaptomethyl)-1,4-dithiane) 36중량부 및 PEG400(Poly(ethylene glycol), mw400) 22중량부를 혼합한 다관능 화합물을 준비하고, H12MDI(Hydrogenated Methylendiphenyl-4,4'-diisocyanate) 12중량부 및 HDI(Hexamethylene diisocyanate) 30중량부를 혼합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 촉매로 DMDC(Dimethyltin dichloride) 50 내지 500ppm(중량 기준)를 첨가하였다.
상기 다관능 화합물을 N2 분위기에서 40 내지 180℃로 가열하여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다관능 화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1:1의 몰비율로 적하하여 120분간 반응단계를 진행하여 반응용액을 얻었다.
상기 반응용액을 테플론 재질의 트레이에 옮겨 100 내지 150℃의 오븐에서 4 내지 20시간동안 에이징을 진행하는 에이징 단계를 진행하고, 쵸핑하여 고굴절층용 수지를 얻었다.
기본층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폴리비닐부티랄수지: 중합도 1700, 검화도 99인 PVA와 n-BAL을 투입, 통상의 합성과정을 진행하여 수산기 20.3wt%, 부티랄기 78.9wt%, 아세틸 0.8wt%인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를 얻었다.
첨가제의 제조: 산화방지제인 Irganox1076을 0.1 중량부, UV 흡수제인 TINUVIN-328를 0.2 중량부, 접합력조절제인 Mg Acetate 0.03 중량부를 혼합하여 텀블러에서 충분히 분산되도록 믹싱하였다.
기본층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72.67wt%, 상기 첨가제를 0.33wt%, 가소제 3g8을 27wt% 혼합하여 기본층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고굴절층 및 접합용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 실시예 및 비교예별 제조된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의 호퍼로 투입하였다. 상기 제조된 기본층용 수지조성물을 다른 이축 압출기의 호퍼로 투입하였다. 이후 200 내지 250℃에서 각 수지조성물을 공압출하여 기본층(A층) 및 고굴절층(B층)이 A층/B층/A층 형태로 적층된 접합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접합용 필름에서 고굴절층은 일단과 타단 중 두꺼운 측의 두께가 760㎛을 갖고, 상기 고굴절층의 폭 방향으로의 쐐기각도(W)는 일정하게 0.012 도를 갖도록 성형하였다. 또한 접합용 필름은 전체 두께가 800㎛을 갖도록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된 고굴절층용 수지를 Ÿ‡지 형태의 몰드에 채우고 120 내지 180℃ 로 적용한 핫프레스(HOT PRESS)로 가열 성형하여 고굴절층(B)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굴절층(B)은 일단과 타단 중 두꺼운 측의 두께가 760㎛, W가 0.012 도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기본층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 압출하여 시트 형태의 기본층(A)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기본층(A) 및 고굴절층(B)을 (A)층/(B)층/(A)층 형태로 적층한 뒤 핫프레스로 성형하여 전체 두께가 800㎛인 접합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물성의 평가
굴절률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별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을 단독 압출하여 고굴절층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고굴절층 시편의 굴절률을 Atago사의 DR-M4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 파장을 589.29nm(D line), 측정 온도를 20℃로 설정한 후, 상기 고굴절층 시편을 측정대에 거치하여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각 시편별 굴절률은 ISO 489 Method A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별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모듈러스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별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을 단독 압출하여 고굴절층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고굴절층 시편의 모듈러스를 인스트롱 사 UTM 5566A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듈러스는 ISO 527-3(비교예 1, 폴리티오우레탄 수지의 모듈러스 측정기준), ISO 527-2(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 3, 스티렌-부타디엔 수지의 모듈러스 측정기준)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별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고굴절층 용융지수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의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을 단독 압출하여 고굴절층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의 용융지수를 200℃, 50kg 조건에서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가소제 흡수량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별로 상기 고굴절층용 수지조성물을 단독 압출하고 재단하여 가로*세로 15*15mm, 두께 100um를 갖도록 고굴절층 시편을 1매씩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본층용 수지 조성물을 단독 압출하고 재단하여 가로*세로 25*25mm, 두께 100um를 갖도록 기본층 시편을 2매씩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별로 상기 고굴절층 시편을 2장의 기본층 시편 사이에 적층하고 50℃에서 4주간 방치 후 고굴절층 시편의 무게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방치 전 고굴절층 시편의 무게 대비 방치 후 무게 증가량이 2% 이하일 경우 pass, 2% 이상일 경우 fail로 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융착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별 펠렛화된 고굴절층용 수지 조성물을 직경 10mm의 바이알(vial)에 높이가 50mm가 되도록 투입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이 담긴 바이알을 1주일동안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상기 바이알을 거꾸로 쏟았을 때 상기 수지 조성물이 전량 토출되었을 경우 Pass, 전량 토출되지 않을 경우 Fail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 별 평가용 샘플의 이중상 형성 여부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아래 평가예를 설명한다.
이중상 형성 여부 평가
평가용 샘플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합용 필름을 가로 150mm, 세로 150mm, 두께 4.8mm의 평판유리 2장 사이에 두고 예비접합 및 본접합을 실시하여 평가용 샘플(200)을 제조하였다. 예비접합은 20℃에서 5분동안 진공링을 이용해 탈기한 후, 15분동안 100℃의 분위기를 유지함으로 진행하였다. 본접합은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140℃, 1.2MPa의 조건으로 20분간 압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중상 형성 평가)
관찰자가 위치한 지점(301)으로부터 1m 이격된 지점의 지면에 격자 형상의 광원(Ls)을 설치하였다. 상기 광원(Ls)은 수평 방향의 발광 스트립(light strip)들이 종방향으로 110mm 간격으로 위치하고, 수직 방향의 발광 스트립들이 횡방향으로 110mm 간격으로 위치하는 격자 형상을 가졌다. 광원(Ls)의 테두리에는 각각 한 쌍의 수평 방향의 스트립과 수직 방향의 스트립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Ls)의 가로 길이는 1100mm, 세로 길이는 550mm이다. 수평 방향의 스트립과 수직 방향의 스트립은 교차하여 교차점을 형성한다. 수평 방향의 스트립과 수직 방향의 스트립의 일 교차점과, 상기 일 교차점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교차점간 거리를 1 클릭이라 한다.
상기 광원(Ls)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1.5m 이격된 높이에 평가용 샘플(200)을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면과 평가용 샘플(200) 이루는 각도(A)를 45도로 적용하여 설치하였다.
관찰자(300)는 1.3m 높이에서 평가용 샘플(200)을 관찰하여 평가용 샘플(200)로부터 관찰되는 이중상의 상하 유격거리를 클릭 단위로 평가하였다. 단일상으로 관찰되는 경우 0 클릭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스티렌 (중량%) 부타디엔 (중량%) 용융지수(g/10min) 굴절률 모듈러스
(kgf/mm2)
융착 가소제
흡수량
(중량%)
이중상
형성평가(클릭)
실시예 1 75 25 7.5 1.570 153 Pass 0.1 미만 0
실시예 2 84 16 10.4 1.576 191 Pass 0.1 미만 0
실시예 3 50 50 6.6 1.553 38 Pass 0.1 미만 0
비교예 1 - - 1.572 63 Fail 1 0
비교예 2 85 15 11.2 1.577 210 Pass 0.1 미만 0
비교예 3 45 55 6.1 1.549 34 Pass 0.1 미만 0.2
상기 표 1에 의하면, 비교예 3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굴절률은 모두 1.55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모듈러스 값은 모두 300kgf/mm2 이하로 측정되었다.
용융지수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6.2 내지 11g/10min의 값을 갖는 반면, 비교예 1은 측정 불가하였고, 비교예 2 및 3은 상기 범위 내 속하지 아니하였다.
융착 평가에서 비교예 1을 제외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Pass 판정을 받았다.
가소제 흡수량에 있어,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 및 3은 0.1중량% 미만으로 측정되어 가소제 이동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1중량%로 측정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이중상 형성 평가에서 비교예 3의 경우, 평가용 샘플 표면에 이중상이 관찰되었으며, 이중상간 이격 거리는 0.2 클릭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구현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접합용 필름
10: 고굴절층 20: 기본층
200: 평가용 샘플
300: 관찰자
301: 관찰자가 위치한 지점
Dw: 접합용 필름의 폭 방향
Dl: 접합용 필름의 길이 방향
Dt: 접합용 필름의 두께 방향
H: HUD 구역 T: 두께변화영역
d1: 제1점 d2: 제2점 d3: 제3점 d4: 제4점
L1: 제1선 L2: 제2선
W: 쐐기각도
A: 지면과 평가용 샘플이 형성하는 각도
Ls: 광원

Claims (12)

  1.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 및 상기 고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을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이고,
    상기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되고,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상기 고굴절층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상기 고굴절층이 쐐기각도 값을 갖는 영역이고,
    상기 HUD 구역에 배치된 상기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고굴절층의 쐐기각도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인, 접합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 값에서 상기 기본층의 굴절률 값을 뺀 값은 0.02 이상인, 접합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 값에서 상기 기본층의 모듈러스 값을 뺀 값은 0.1 내지 299kgf/mm2인, 접합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은 200℃에서의 용융지수가 6.2 내지 11g/10min인, 접합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인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하는, 접합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층은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층은 상기 가소제 흡수량이 상기 고굴절층 무게의 3중량% 미만인, 접합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변화영역 내에서 상기 고굴철층의 쐐기각도는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접합용 필름.
  9. 고굴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 수지의 굴절률은 1.55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아릴렌계 반복단위는 페닐기를 1 내지 4개 포함하고,
    상기 디엔계 반복단위는 탄소수가 4 내지 8인,
    HUD(Head-up display)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수지는 아릴렌계 반복단위를 47 내지 84중량% 포함하고, 디엔계 반복단위를 16 내지 53중량% 포함하는,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200℃에서의 용융지수가 6.2 내지 11g/10min인, HUD 유리 접합 필름용 수지 조성물.
  12.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합용 필름; 및 상기 접합용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용 필름은 아릴렌계 반복단위 및 디엔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굴절층 및 상기 고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용 필름의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부에 HUD(Head-up display) 구역이 배치되고,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접합용 필름의 단면에서 폭 방향으로 고굴절층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상기 고굴절층이 쐐기각도 값을 갖는 영역이고,
    상기 HUD 구역에 배치된 상기 두께변화영역은 상기 고굴절층의 쐐기각도 값이 0.01 내지 1.2도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이 1.55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고굴절층의 모듈러스는 300kgf/mm2 이하인, 광투과 적층체.
KR1020210053774A 2021-04-26 2021-04-26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58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74A KR102585993B1 (ko) 2021-04-26 2021-04-26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74A KR102585993B1 (ko) 2021-04-26 2021-04-26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05A true KR20220146905A (ko) 2022-11-02
KR102585993B1 KR102585993B1 (ko) 2023-10-06

Family

ID=8404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74A KR102585993B1 (ko) 2021-04-26 2021-04-26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743A (ja) * 1999-07-19 2001-02-0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ポリ(ジエン−アリー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8586A (ja) * 2013-05-08 2014-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
KR101561517B1 (ko) 2012-08-31 2015-10-19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JP2015193514A (ja) 2014-03-31 2015-1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8058448A (ja) * 2016-10-04 2018-04-12 呉羽テック株式会社 内装用表皮材
KR20200126812A (ko) * 2019-04-30 2020-11-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189976B1 (ko) 2017-11-22 2020-12-11 주식회사 쿠라레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각종 용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743A (ja) * 1999-07-19 2001-02-0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ポリ(ジエン−アリー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1517B1 (ko) 2012-08-31 2015-10-19 포리프라스틱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JP2014218586A (ja) * 2013-05-08 2014-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
JP2015193514A (ja) 2014-03-31 2015-1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8058448A (ja) * 2016-10-04 2018-04-12 呉羽テック株式会社 内装用表皮材
KR102189976B1 (ko) 2017-11-22 2020-12-11 주식회사 쿠라레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각종 용도
KR20200126812A (ko) * 2019-04-30 2020-11-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93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90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08290784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卷体及夹层玻璃
KR102609909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591279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60989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07080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TW201728550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EP3438066A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TWI755511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TWI712493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TW201736126A (zh) 層合玻璃用中間膜、輥體及層合玻璃
KR102252498B1 (ko) 티오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필름, 티오우레탄층 제조용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391162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585993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TW201641553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JP6450128B2 (ja) ロール体
CN114379178B (zh) 玻璃接合用薄膜、薄膜的制备方法以及透光层叠体
CN113993826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卷体和夹层玻璃
TW201821267A (zh) 層合玻璃用中間膜、捲繞體及層合玻璃
KR102174134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110382434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