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812A -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 Google Patents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812A
KR20200126812A KR1020190050952A KR20190050952A KR20200126812A KR 20200126812 A KR20200126812 A KR 20200126812A KR 1020190050952 A KR1020190050952 A KR 1020190050952A KR 20190050952 A KR20190050952 A KR 20190050952A KR 20200126812 A KR20200126812 A KR 20200126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onding
laminated film
branch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164B1 (ko
Inventor
이학수
정성진
김흥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64B1/ko
Priority to CN202080011302.2A priority patent/CN113365811B/zh
Priority to PCT/KR2020/000785 priority patent/WO2020222401A1/ko
Priority to DE112020000857.6T priority patent/DE112020000857B4/de
Publication of KR2020012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64B1/ko
Priority to US17/466,135 priority patent/US115068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용 적층필름, 광투과 적층체 등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층, 그리고 상기 제1층의 내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Ÿ‡지부를 적어도 그 일부 또는 전체에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층의 굴절률보다 크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전체적인 두께가 일정하여 실질적으로 비Ÿ‡지형태를 가지면서도 의도하는 부분에 이중상 방지 기능을 가져, 보관, 이동, 작업성 등이 Ÿ‡지형 필름보다 우수한 전방표시장치용 접합필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LAMINATE FILM FOR BONDING AND LIGHT TRANSMITTING LAYERED PRODUCT COMPRI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상 방지 기능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여 앞유리(windshield)로 활용 가능한 광투과 적층체에 대한 것으로, 필름 전체적인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면서도 이중상 방지 기능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폴리비닐아세탈은 접합 유리(안전 유리) 또는 광투과 라미네이트의 중간층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건축물의 창, 외장재 등과 자동차 창유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 파손 시에도 그 파편이 비산하지 않고, 일정한 강도의 타격에도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등의 특징으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가해지는 손상 또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에는 전방표시장치(HUD, Head Up Display)를 장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시보드 영역이나 루프 영역에서의 프로젝터로 차 앞유리(windshield) 상에 이미지를 투영하면, 이 투영된 이미지가 운전자에 의해 지각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전방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전방의 도로를 주시하면서도 현재 주행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경고 메시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서, 운전의 편의성과 교통 안전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프로젝터 이미지가 차 앞 유리에 투영되므로, 앞 유리의 양 표면(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상이 반사되고, 운전자는 원하는 1차 이미지뿐만 아니라, 더 약한 강도로 2차 이미지(ghost image)까지 함께 지각하게 된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한 가지 방법은, 유리 사이의 중간층으로 수직 단면이 쐐기형(wedge-shaped) 것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쐐기형 중간층은 권취성과 작업성이 떨어지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등록번호 제 10-1310022 호,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국내공개특허 제 10-2018-0081782 호, 쐐기형 필름의 권취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면서도 이중상 방지 기능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층, 그리고 상기 제1층의 내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Ÿ‡지부를 적어도 그 일부 또는 전체에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층의 굴절률보다 크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거리는 필름의 폭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Ÿ‡지부의 일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타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측정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는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로 하였을 때 10%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Ÿ‡지부는 0.1 내지 0.8도의 Ÿ‡지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Ÿ‡지부와 상기 제1층은 0.08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Ÿ‡지부의 길이는 7 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Ÿ‡지부는 상기 필름 전체의 폭을 100%로 보았을 때, 가장자리로부터 10 내지 5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Ÿ‡지부는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800 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은 티올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그 내부 또는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경계에 위치하는 차음 기능성을 갖는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은 굴절률이 1.5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굴절률이 1.5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는,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위에서 설명한 접합용 적층필름;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는 전체적인 두께가 일정하여 실질적으로 비Ÿ‡지형태를 가지면서도 의도하는 부분에 이중상 방지 기능을 가져, 보관, 이동, 작업성 등이 Ÿ‡지형 필름보다 우수한 전방표시장치용 접합필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2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5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단면이 Ÿ‡지 형태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적용하는 경우, 필름의 표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권취하면 두꺼운 쪽은 단단히 권취되고 얇은 쪽은 느슨하게 권취되면서 주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이동과 보관에 불편함을 가져오며 주름진 부분을 제거한 후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굴절률에 변화를 준 내부 Ÿ‡지 형태를 접합용 필름에 도입하는 방법으로 이중상 방지 효과 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 내지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층(10), 그리고 상기 제1층의 내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Ÿ‡지부(22)를 적어도 그 일부 또는 전체에 포함하는 제2층(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층의 굴절률보다 크다.
상기 Ÿ‡지부(22)는 쐐기형태(wedge-shaped)를 갖는 층을 의미하며,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전체Ÿ‡지), 이중상 형성을 방지하고자 하는 일부 위치를 특정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부분Ÿ‡지).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전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층(10)의 실질적으로 내부에 제2층(20)이 위치하며, 상기 제2층의 적어도 일부는 Ÿ‡지 형태를 갖는 Ÿ‡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Ÿ‡지 형태가 아닌 제1면과 제2면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일반 적층필름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층의 재료와 Ÿ‡지부의 재료가 갖는 굴절률이 서로 달라,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고, 통상적인 필름과 달리 상기 필름으로부터 1 내지 2 미터의 위치에서 이중상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단일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Ÿ‡지부(22)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일 수 있고,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Ÿ‡지부가 삼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등변삼각형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고).
상기 Ÿ‡지부(22)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일부가 원 또는 타원의 호 형상을 일부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형상을 일부 포함하는 Ÿ‡지부의 형상은 단면에서 꼭지점과 상기 호 형상 사이의 불연속부가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도 4 참고).
예시적으로, 상기 Ÿ‡지부(22)가 원 또는 타원의 호 형상을 일부 포함하는 것인 경우, 상기 Ÿ‡지부에 포함되는 호는 상기 삼각형 형상의 밑변에 접하도록 또는 밑변과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과 상기 호가 접하는 접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꼭지점과 상기 호 형상 사이의 불연속부가 상기 Ÿ‡지부에서 제외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Ÿ‡지부(22)가 원 또는 타원의 호 형상을 일부 포함하는 것인 경우, 상기 Ÿ‡지부에 포함되는 호는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밑변에 접하도록 또는 밑변과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옆면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가상의 점과 상기 호가 접하는 접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사다리꼴 형상과 상기 호 형상 사이의 불연속부가 상기 Ÿ‡지부에서 제외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Ÿ‡지부(22)는 Ÿ‡지각(A)이 0.1 내지 0.8 도 일 수 있고, 0.2 내지 0.7 도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Ÿ‡지부(22)는 Ÿ‡지각(A)은 0.3 내지 0.6 도일 수 있고, 0.32 내지 0.58 도일 수 있으며, 0.34 내지 0.43 도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중상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상기 Ÿ‡지각은 상기 Ÿ‡지부의 형태가 삼각형인 경우 꼭지점에서의 각도가 상기 Ÿ‡지각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Ÿ‡지부의 형태가 사다리꼴인 경우 사다리꼴의 옆면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각도가 상기 Ÿ‡지각에 해당한다.
이중상 형성 방지 효과를 갖기 위해, 상기 제2층(20)의 굴절률(특히 Ÿ‡지부의 굴절률)은 상기 제1층(10)의 굴절률과 비교하여 고귤절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22)와 상기 제1층(10)은 0.08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고, 0.1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22)와 상기 제1층(10)은 0.11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0.12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22)와 상기 제1층(10)은 0.5 이하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고, 0.3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가질 수 있고, 0.2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굴절률 차이 특징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은 1 내지 2 미터 사이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이중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유리하다. 상기 굴절률 차이는 굴절률이 큰 것에서 작은 것을 뺀 값으로 양수로 표현하며, 제2층의 굴절률에서 제1층의 굴절률을 뺀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층과 제2층(또는 Ÿ‡지부)의 이러한 굴절률 차이와 함께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갖는다는 특징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22)의 일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타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측정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두께는, 접합용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로 하였을 때 10%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고, 5%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2%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Ÿ‡지부는 단면에서 관찰하여 가장 두꺼운 부분과 Ÿ‡지부 중에서 가장 얇은 쪽을 각각 일 말단과 타 말단으로 칭한다(이하 동일함).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22)의 일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타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측정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Ÿ‡지 형상을 갖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Ÿ‡지 형상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일 말단과 타 말단에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 차이가 일정 수준 이내라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평균 두께를 100%로 보았을 때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일 말단과 타 말단에서 측정한 두께의 차이가 10%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일 말단과 타 말단에서 측정한 두께의 차이가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평균 두께를 100%로 보았을 때 5%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고 2%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Ÿ‡지 형상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i) 일 말단에서 제1면과의 접점과 타 말단에서 제1면과의 접점을 잇는 가상의 선의 연장선과 ii) 일 말단에서 제2면과의 접점과 타 말단에서 제2면과의 접점을 잇는 가상의 선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에서의 각도가 0.01도 이하일 수 있고, 0.0057도 이하일 수 있으며, 0.0045도 이하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두 연장선이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도를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은 적층필름의 전체적인 형상에 의해서 이중상 맺힘 기능성을 갖기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굴절율 조절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이중상 맺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거리는 필름의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면의 일말단과 타말단에서의 그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Ÿ‡지 구조를 필름 내부에 도입하여 필름 전체적으로 비Ÿ‡지형태를 가지면서도 Ÿ‡지형 필름 유사하게 이중상 방지 효과를 갖는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권취의 용이성, 작업 용이성 등이 크게 향상된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Ÿ‡지부(22)의 경우 전면Ÿ‡지 또는 부분Ÿ‡지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의 길이(L)는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 또는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폭을 100%로 보았을 대 85% 이상인 길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Ÿ‡지부의 길이(L)는 7 cm 이상일 수 있고, 7.5 cm 이상일 수 있으며, 8 cm 이상일 수 있고, 9 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Ÿ‡지부(22)가 이러한 길이를 갖는 경우 내부Ÿ‡지 형태로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필름 제조에 보다 용이하다.
상기 Ÿ‡지부(22)는 상기 적층필름(100) 전체의 폭을 100%으로 보았을 때, 가장자리로부터 10 내지 5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10 내지 4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10 내지 3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상기 Ÿ‡지부(22)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이 적용된 적층체(예시: 접합유리)에 원활한 이중상 방지 효과를 얻기에 유리하다.
상기 Ÿ‡지부(22)는 일 말단과 타 말단 중에서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1800 um 이하일 수 있고, 1200 um이하일 수 있으며, 800 um 이하일 수 있고, 780 um 이하일 수 있으며, 760 um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두께를 100%라 하였을 때, 상기 Ÿ‡지부(22)의 일 말단과 타 말단 중에서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30 내지 99%일 수 있고, 50 내지 98%일 수 있으며, 60 내지 97%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층(10)과 상기 제2층(20) 외에 기능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이중상 방지기능 이외의 기능을 갖는 층일 수 있고, 차음층일 수 있다.
상기 차음층은 상기 제1층(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음층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층(10)의 표면과 제2층(2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층(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층(20)은 굴절률이 1.55 이상일 수 있고, 1.57 이상일 수 있으며, 1.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층(20)은 굴절율이 2.0 이하일 수 있고, 1.7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층의 굴절율은 수지 자체의 굴절률이 아니라 첨가제 등이 혼합된 상태에서 굴절율을 의미한다.
상기 제1층(10)은 굴절률이 1.50 이하일 수 있고, 1.49 이하일 수 있으며, 1.4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층(10)은 굴절율이 1.3 이상일 수 있고, 1.37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층의 굴절율은 수지 자체의 굴절률이 아니라 첨가제 등이 혼합된 상태에서 굴절율을 의미한다.
상기 제1층(10)과 상기 제2층(20)의 굴절율은 첨가제를 추가하여 조절할 수 있고, 적용하는 수지의 종류 자체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도 있으며, 첨가제와 수지의 종류 두 가지를 모두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층(10)과 상기 제2층(20)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제1층(1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층(1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6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7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층필름(100)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강도와 모듈러스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층(10)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함유량이 2 몰% 미만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몰% 이상 2 몰%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층(10)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 함유량이 30 몰%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50 몰%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제1층(10)이 유리 등의 기재와 우수하게 접합되면서도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층(10)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600 내지 3,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고, 중합도가 1,700 내지 2,5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내관통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하이드를 합성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데하이드는 그 종류를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데하이드는, n-부틸 알데하이드, 이소부틸 알데하이드, n-배럴 알데하이드, 2-에틸 부틸 알데하이드, n-헥실 알데하이드 및 이들의 블랜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데하이드로 n-부틸 알데하이드를 적용하는 경우 제조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유리의 굴절율과 그 차이가 적은 굴절율 특성을 갖고 유리 등과의 접합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층(10)은 상기 제1층(10)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가소제를 24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24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접합용 적층필름에 적절한 접합력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면에서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4G7),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부티레이트(3GH),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헵타노에이트(3G7), 디부톡시에톡시에틸 아디페이트(DBEA), 부틸 카르비톨 아디페이트(DBEEA), 디부틸 세바케이트(DBS), 비스 2-헥실 아디페이트(DH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 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n-헵타노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층(20)은 상기 제1층(10)과 비교하여 고굴절율을 갖는 층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층(20)은 상기 제1층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고굴절율 재료가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아닌 이종수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층(20)은 황 함유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또는 인 함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 함유 수지로는 선형 티오에테르(thioether), 설폰(sulfone), 고리형 티오펜(cyclic thiophene), 티아디아졸(thiadiazole), 티안트렌(thianthr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잔기를 포함하는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함유 수지의 경우 Br, 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인 함유 수지는 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에 인을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황 함유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또는 인 함유 수지는 고굴절 물질인 산화지르코늄, ZnCl, 티투빈 P 들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층(20)에는 황 함유 수지가 적용될 수 있고, 티올 폴리우레탄 수지(thiol polyurethane resin)가 단독으로 또는 첨가제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층에 황 함유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고분자의 중합도가 커지더라도 광학 특성의 손상이 적고 Ÿ‡지부로부터 얻고자 하는 안정적인 고굴절율 효과를 얻는데 유리하다.
상기 기능층(30)으로 차음기능층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54 내지 76 중량% 포함할 수 있고, 60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함유량이 8 몰%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 내지 30 몰%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200 내지 3,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고, 중합도가 1,600 내지 2,4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특성과 가소제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층(30)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30 내지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의 범위로 상기 가소제를 상기 기능층(30)에 포함하는 경우 적층필름의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제1층(10)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관통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도 5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의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광투과 적층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300)는 제1광투과층(200); 상기 제1광투과층(20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접합용 적층필름(100);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투과층(200)과 상기 제2광투과층(2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광투과성 유리, 또는 광투과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300)는, 제1광투과층(200)과 제2광투과층(200)이 갖는 광투과 특성은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에 의하여 양측의 광투과층이 접합되고 내충격성, 내관통성과 같은 안전유리 등에 필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300)는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300)는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300)는 차음특성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유리(윈드실드 포함), 건축물 소재 등으로 적용 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다.
제조예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은 아래와 같다.
제1폴리비닐부틸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중합도 1700, 수산기 함량 45 몰%, 아세틸기 함량 1 몰%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렌헥사노에이트(3G8)(입수처: PROVIRON사 PROVIST 1766)
티올폴리우레탄 수지: 싸이올폴리우레탄 수지 (SKC 제조)
1) 실험예 1
제1층은 제1폴리비닐부틸알 수지 73 중량%와 가소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제1층용 조성물을 적용하고, 제2층은 티올폴리우레탄 수지를 적용하며, 소형압출기를 적용하여 공압출 방식으로 도 1의 (b)의 형태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층을 적용하지 않은 예를 비교예로, 두께 약 780 um의 필름을 폭 방향 300 mm, 길이 방향 300 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1층과 제2층을 모두 적용한 실시예 1과 2로 아래 표 1의 Ÿ‡지각과 Ÿ‡지부 길이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Ÿ‡지부의 형태는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적용했다.
2) 평가예
이중상 여부: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양 면에 2.1 T(mm, 이하 동일함)을 통상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적층유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층유리는 지면에 수직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약 38.5 도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한 후 1.5 m 거리의 광원에서 빛을 투과하고 반사되는 빛이 1 내지 2 미터 사이의 거리에서 이중상 일치화가 관찰되는 경우 P 로, 관찰되지 않는 경우 F로 평가하였다.
Ÿ‡지각(A, 도) Ÿ‡지부길이(L, mm) 이중상여부
비교예 - - F
실시예 1 0.174 80 P
실시예 2 0.435 100 P
위의 표 1의 결과를 참고하면, 비교예의 경우는 거리와 무관하게 이중상이 관찰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 내지 2 미터 거리 내에서 이중상 일치화가 관찰되어, 필름 전체적으로 Ÿ‡지 형상이 아닌 필름 내부에 Ÿ‡지 형상을 갖는 형태의 접합용 적층필름도 이중상 방지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필름 전체적으로 균일한 필름 두께를 가져서 권취시에도 주름 발생 문제가 없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층 20: 제2층
22: Ÿ‡지부 30: 기능층
100: 접합용 적층필름 200: 제1광투과층, 제2광투과층
300: 광투과 적층체

Claims (13)

  1.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층, 그리고
    상기 제1층의 내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Ÿ‡지부를 적어도 그 일부 또는 전체에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층의 굴절률보다 큰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거리는 필름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접합용 적층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의 일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타 말단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측정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는 적층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로 하였을 때 10% 이하의 두께 차이를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는 0.1 내지 0.8도의 Ÿ‡지각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와 상기 제1층은 0.08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의 길이는 7 cm 이상인, 접합용 적층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는 상기 필름 전체의 폭을 100%으로 보았을 때, 가장자리로부터 10 내지 50%의 위치에 배치되는, 접합용 적층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Ÿ‡지부는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800 um 이하인, 접합용 적층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접합용 적층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그 내부 또는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경계에 위치하는 차음 기능성을 갖는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접합용 적층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굴절률이 1.55 이상인, 접합용 적층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굴절률이 1.50 미만인, 접합용 적층필름.
  13.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항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0190050952A 2019-04-30 2019-04-30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0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52A KR102203164B1 (ko) 2019-04-30 2019-04-30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202080011302.2A CN113365811B (zh) 2019-04-30 2020-01-16 接合用层合薄膜及包括其的透光层叠体
PCT/KR2020/000785 WO2020222401A1 (ko) 2019-04-30 2020-01-16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DE112020000857.6T DE112020000857B4 (de) 2019-04-30 2020-01-16 Verbundfolie zum Verkleben und lichtdurchlässiges Laminat umfassend diese Verbundfolie
US17/466,135 US11506885B2 (en) 2019-04-30 2021-09-03 Bonding laminated film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52A KR102203164B1 (ko) 2019-04-30 2019-04-30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12A true KR20200126812A (ko) 2020-11-09
KR102203164B1 KR102203164B1 (ko) 2021-01-13

Family

ID=730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952A KR102203164B1 (ko) 2019-04-30 2019-04-30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6885B2 (ko)
KR (1) KR102203164B1 (ko)
CN (1) CN113365811B (ko)
DE (1) DE112020000857B4 (ko)
WO (1) WO20202224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905A (ko) * 2021-04-26 2022-11-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599A (ko) * 2003-08-22 2006-11-2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KR101310022B1 (ko) 2005-03-17 2013-09-24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KR20190019160A (ko) * 2016-07-18 2019-02-2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장착된 센서를 위한 최적화된 빔 경로를 갖는 차량 복합 창 페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1654B2 (ja) * 2002-12-25 2009-11-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339672B2 (ja) 2003-11-28 2009-10-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
CN101038349A (zh) * 2005-12-26 2007-09-19 旭硝子株式会社 用于车辆的层压玻璃
US7656585B1 (en) * 2008-08-19 2010-02-02 Microvision, Inc. Embedded relay lens for head-up displays or the like
MX2016007527A (es) * 2013-12-12 2016-11-25 Saint Gobain Pelicula termoplastica para un cristal de vidrio laminado que tiene un inserto de cuña continuo no lineal en la direccion vertical en algunas secciones.
EA034765B1 (ru) * 2015-06-11 2020-03-18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Прое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исплея на лобовом стекле (длс)
US11554574B2 (en) * 2015-09-30 2023-01-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3390041A1 (de) * 2015-12-14 2018-10-24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m aufrollen einer keilförmigen folie
FR3051922B1 (fr) 2016-05-26 2018-06-29 Saint-Gobain Glass France Pare-brise de vehicule pour affichage tete haut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KR20240033125A (ko) * 2017-06-07 2024-03-12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599A (ko) * 2003-08-22 2006-11-2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용 중간막
KR101310022B1 (ko) 2005-03-17 2013-09-24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KR20190019160A (ko) * 2016-07-18 2019-02-2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장착된 센서를 위한 최적화된 빔 경로를 갖는 차량 복합 창 페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 제 10-2018-0081782 호, 쐐기형 필름의 권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905A (ko) * 2021-04-26 2022-11-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65811A (zh) 2021-09-07
WO2020222401A1 (ko) 2020-11-05
US11506885B2 (en) 2022-11-22
DE112020000857B4 (de) 2024-02-01
KR102203164B1 (ko) 2021-01-13
CN113365811B (zh) 2022-09-13
DE112020000857T5 (de) 2021-11-18
US20210396996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50B1 (ko) 일부 섹션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의 비선형 연속 쐐기형 삽입물을 갖는 적층형 유리 판유리를 위한 열가소성 필름
KR101868249B1 (ko) 일부 섹션에서 수직 방향에서의 비선형 연속 쐐기형 삽입물을 갖는 적층형 유리 판유리를 위한 열가소성 필름
JP6568356B2 (ja) 車両用フロントガラスの製造方法
KR102601319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US10710434B2 (en) Laminated glass
KR102274626B1 (ko) 열가소성 조합필름의 제조 방법
EP3330238B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method for producing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WO2017057624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398542B1 (ko) 적층 유리판용 열가소성 필름
KR102203164B1 (ko)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114670518A (zh) 接合用层压膜及透光层压体
KR102237613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EP4353697A1 (en)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KR102585993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52498B1 (ko) 티오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필름, 티오우레탄층 제조용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237614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23922B1 (ko)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적층체
KR102254664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317548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US20220266573A1 (en) Laminated film for bonding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including same
KR102223184B1 (ko)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적층체
US20220143949A1 (en) Lamination film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including same
EP4349794A1 (en)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KR20240019122A (ko)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JP202405261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