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122A -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 Google Patents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122A
KR20240019122A KR1020237042118A KR20237042118A KR20240019122A KR 20240019122 A KR20240019122 A KR 20240019122A KR 1020237042118 A KR1020237042118 A KR 1020237042118A KR 20237042118 A KR20237042118 A KR 20237042118A KR 20240019122 A KR20240019122 A KR 2024001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ight diffusion
resin film
layer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스케 오오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 및 광 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걸쳐 두께가 작아져 있고, 또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에, 상기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가 0.9mrad 이하인, 수지 필름.

Description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용 스크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하는 일이 적어 안전하기 때문에,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각종 교통 수단의 창유리,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켜, 일체화시킨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화상을 투명 스크린에 비추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근년, 자동차 등의 차량용 창유리, 파티션, 쇼윈도 등의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광고 등을 투영 표시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접합 유리를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유리판 등의 2장의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사이에 중간막으로서 배치된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당해 수지 필름에 광 확산성 미립자를 함유시킨 접합 유리가,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6/143566호
그런데, 투명 스크린용으로 사용되는 접합 유리에는, 부분적으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가 있고, 그로 인해, 광 확산성 미립자를 함유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을, 접합 유리의 일부로 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을 접합 유리의 일부 영역으로 하면,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을 접합 유리에 조사할 때에, 표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의 경계에 있어서, 불필요한 광 산란이 발생하고, 그 광 산란에 의해 백색 선이 보이는 등, 시인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광 확산 입자를 함유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을 일부 영역으로 해도, 표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의 경계에 있어서, 불필요한 광 산란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수지 필름, 그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 및,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 및 광 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걸쳐 두께가 작아져 있고, 또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에, 상기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가 0.9mrad 이하인, 수지 필름.
[2]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100질량%에 대한,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이, 0.00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수지 필름.
[3]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의사(擬似)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30~5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B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가 1.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필름.
[4]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60~60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C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가 1.2 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5] 상기 광 확산 입자가, 은 원소 및 티탄 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나노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6] 상기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7] 상기 투명 수지층이,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 확산층이 이들 제1 및 제2 수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8] 상기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이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9] 상기 투명 수지층의 한쪽 면에 이 순서대로 설치되는, 제3 및 제4 수지층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0] 상기 제3 및 제4 수지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상기 [9]에 기재된 수지 필름.
[11] 상기 투명 수지층, 상기 광 확산층,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지층이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투명 수지층, 상기 광 확산층, 및 상기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은,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수지 필름.
[12] 상기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9] 또는 [11]에 기재된 수지 필름.
[13] 상기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4] 상기 광 확산층의 상기 타단측의 선단의 두께가 100μm 이하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5] 상기 광 확산층의 상기 타단측의 형상이 단면 삼각형 또는 단면 사다리꼴인,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6] 상기 광 확산층은, 상기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타단보다 앞의 영역이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이 되도록, 수지 필름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7]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 낮은, 상기 [16]에 기재된 수지 필름.
[18]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 이외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19]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 이외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된 영역의 헤이즈값이 15% 이하인, 상기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0] 두께가 100μm 이상 3.0mm 이하인, 상기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1] 가장 커지는 부분의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가 20μm 이상 500μm 이하인, 상기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2] 상기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광 산란층의 두께보다 큰, 상기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3] 상기 광 확산 입자의 광 확산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광 확산층 100질량% 중, 0.000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4] 상기 광 확산 입자가,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입자, 금속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 탄산칼슘, 유리 플레이크, 및 마이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5]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상기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26] 상기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과, 한 쌍의 유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필름이 한 쌍의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27] 상기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스크린.
[28] 상기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필름, 상기 [26]에 기재된 접합 유리, 또는 상기 [27]에 기재된 스크린을 구비하는, 창유리.
[29] 상기 [26]에 기재된 접합 유리, 또는 상기 [27]에 기재된 스크린과,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하면, 광 확산성 미립자를 함유시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일부 영역으로 해도, 표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의 경계에 있어서, 불필요한 광 산란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지 필름,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최대 강도 A, B, C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를 참조로 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지 필름>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광 확산 입자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 확산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용 스크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광 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조사된 광이 광 확산층에서 확산되므로, 그 확산광에 의해, 조사된 광에 대응하는 화상을, 본 필름을 구비하는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접합 유리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 표시용 스크린에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지 필름(10)은, 상기와 같이, 투명 수지층(11)과, 광 확산층(12)을 구비하고, 광 확산층(12)은, 투명 수지층(11)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10)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은, 수지 필름(10)에 있어서 일부 영역에 설치되고, 수지 필름(10)이 설치되는 영역은, 화상 표시용 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영역(X, Y))이 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은, 영역(Z)(투명 영역(Z)이라고도 함)으로 한다. 수지 필름(10)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이외의 투명 영역(Z)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투명성과 표시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광 확산층(12)은,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OD)(도 1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의 일단(12A)으로부터 일단(12A)의 반대측인 타단(12B)에 걸쳐 두께가 작아지고 있다. 두께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면 되고, 이에 의해, 한 방향(OD)을 따라 광 확산층(12)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한 방향(OD)은, 전형적으로는 필름의 MD(Machine direction)인데, MD에 수직인 TD(Traverse direction)여도 되고, MD, TD 이외의 방향이어도 된다.
그리고, 일단(12A)으로부터 타단(12B)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에, 타단(12B)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X)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의 두께의 기울기가 0.9mrad 이하가 되는 것이다. 광 확산층(12)의 상기 기울기가 0.9mrad보다 커지면, 수지 필름(10)을 갖는 스크린에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을 조사시켰을 때에, 표시 영역과 투명 영역(Z)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광 산란에 의해, 예를 들면 백색의 선형상의 모양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선형상의 모양은, 특히 높은 휘도의 광을 조사시켰을 때에 발생하기 쉽다.
여기서, 광 확산층(12)의 두께의 기울기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12)의 한 방향(OD) 및 필름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영역(X)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의 양 표면(12X, 12Y)을 구성하는 두 변을 잇고,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각도(θ)이다.
양 표면(12X, 12Y)을 구성하는 두 변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θ)는, 광 확산층(12)의 영역(X)에 있어서 일정한 각도여도 되지만, 일단(12A)으로부터 타단(12B)을 향하는 한 방?h(OD)을 따르는 각 위치에 있어서 각도가 변화해도 되고, 그 경우에 있어서는 광 확산층(12)의 타단(12B)과, 타단(12B)으로부터 10%의 위치의 점을 직선으로 잇고, 그 이루는 각도를 θ로 하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10%는, 일단(12A)으로부터 타단(12B)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의 10%이다.
시인성의 관점에서, 영역(X)에 있어서의 광 확산층(12)의 두께의 기울기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바람직하게는 0.88mrad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mrad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mrad 이하이다.
또, 광 확산층(12)의 영역(X)에 있어서의 두께의 기울기는, 표시 영역이나, 수지 필름 전체의 면적을 일정 이하로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mrad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rad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rad 이상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영역(X) 이외의 영역을, 영역(Y)(도 1 참조)로 한다.
광 확산층(12)에 있어서, 영역(Y)으로부터 영역(X)에 걸쳐 연속적으로 광 확산층(12)의 두께는 감소하면 된다. 따라서, 영역(X)뿐만 아니라 영역(Y)에 있어서도, 광 확산층(12)의 두께는 감소하면 되고, 그 영역(Y)의 두께가 감소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의 기울기는, 시인성의 관점에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단, 두께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영역(X)과 동일하게 0.9mrad 이하로 해도 되지만, 반드시 0.9mrad 이하로 할 필요는 없다.
수지 필름(1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투명 수지층(11)은, 제1 수지층(11A)과, 제2 수지층(11B)을 구비하고, 광 확산층(12)은, 이들 제1 및 제2 수지층(11A, 11B) 사이에 배치되며, 수지층(11A, 11B) 사이에 매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광 확산층(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고,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선단보다 앞의 영역(즉, 영역(Z))에서는, 제1 수지층(11A, 11B)이 직접 적층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되어, 실질적으로 1개의 수지층(일체층(11C))으로 구성된다. 영역(Z)은, 투명성이 높은 제1 및 제2 수지층(11A, 11B)으로 구성됨으로써, 투명 영역이 된다. 한편, 표시 영역(즉, 영역(X, Y))은, 투명한 영역이 되지만, 광 확산층(12)에 광 확산 입자가 배합됨으로써, 전형적으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투명 영역(영역(Z))보다 낮아진다.
또,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 광 확산층(1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단면 사다리꼴이고, 타단(12B) 측의 선단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 되지만, 단면 삼각형을 가져도 된다. 선단의 두께(두께(D1)라고도 함)는, 예를 들면 100μm 이하인데,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μm 이하이다. 선단의 두께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화상 표시를 위해서 광을 조사하면, 광 확산층(12)의 선단에 있어서 불필요한 광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시인성이 양호해지기 쉽다. 두께(D1)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고, 0μm 이상이면 되지만, 실용적으로는 예를 들면 5μm 이상이다.
또, 광 확산층(12)의 타단(12B) 측의 선단을 구성하는 선단면은, 일반적으로 두께 방향을 따르는 면인데, 두께 방향에 대해, 적당히(예를 들면, 두께 방향에 대해 60° 미만 정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되고, 또, 표면(12X, 12Y)에 곡면을 통해 접속하는 면이어도 되고, 곡면형상의 둥그스름함을 갖는 면이어도 된다.
또, 광 확산층의 폭(E)(즉, 일단(12A)으로부터 타단(12B)까지의 거리)은, 용도에 따라 변경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인데, 예를 들면 10mm 이상 5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mm 이상 3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 1m 이하이다.
또, 수지 필름(10)은, 투명 수지층(11)과, 광 확산층(12)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1)의 양면(즉, 제1 및 제2 수지층(11A, 11B) 각각)이 접합 유리(25)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 부재(21, 22)에 접착하면 된다.
단, 수지 필름(10)은, 투명 수지층(11) 및 광 확산층(12) 이외에 수지층을 가져도 된다. 이들 이외의 수지층은, 1층의 수지층이 설치되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수지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11)의 한쪽 면에 1 이상의 수지층이 설치되어도 되고, 투명 수지층(11)의 양면 각각에 1 이상의 수지층이 설치되어도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투명 수지층(11)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적어도 2개의 수지층이 설치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수지층(13, 14)이 이 순서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11)(제1 수지층(11A))과, 제4 수지층(14)이, 예를 들면 접합 유리(25)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 부재(21, 22)에 접착하면 된다.
투명 수지층(11) 및 광 확산층(12) 이외에 수지층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성능을 수지 필름(10)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11)의 한쪽 면에 2개의 수지층(제3 및 제4 수지층(13, 14))을 설치함으로써, 각 수지층의 가소제량을 조정하고, 또,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수산기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차음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11) 및 광 확산층(12) 이외의 수지층(예를 들면, 제3 및 제4 수지층(13, 14))은, 투명 수지층이며, 이에 의해, 투명 영역(Z)이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은, 상기한 수지층 이외의 층을 가져도 되고, 예를 들면, 각 수지층 사이에 접착층, 배리어층 등의 다른 층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 각 유리 부재와 수지층 사이에도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 광 확산층(12)은, 도 1, 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광 확산층(12)은, 도 1, 2의 구성에서는, 일단(12A)으로부터 타단(12B)을 향해 두께가 변화되는 영역(두께 변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두께 변화 영역 이외의 영역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두께 변화 영역의 일단(12A) 측의 두께(D2)의 부분(즉, 가장 두께가 커지는 부분)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L)로 형성되어도 된다. 단, 이 경우도 타단(12B) 측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은, 상기와 같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을 가지면 된다.
또, 광 확산층(12)은, 수지 필름(10)의 한 방향(OD)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수지 필름(10)의 양단에는, 광 확산층(12)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영역(영역(X, Y))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광 확산층(12)이 설치되지 않는 투명 영역(Z)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광 확산층(12)이 양단에 설치되는 경우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D2)의 부분이 일정한 길이(L)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10)에 있어서, 광 확산층(12)의 일단(12A)은, 필름(10)의 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데, 필름(10)의 단부에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고, 필름(10)의 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수지 필름의 두께)
수지 필름의 두께(즉, 수지 필름 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3.0mm 이하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를 10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3.0mm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μm 이상이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두께, 및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의 두께(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의 두께(D3), 제3 및 제4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평균 두께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10점 평균에 의해 구하면 된다.
(광 산란층의 두께)
본 발명에 있어서, 광 확산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500μm 이하이다. 광 확산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광 확산층에서 일정한 광 산란이 발생하여, 스크린에 사용했을 경우에, 적당한 휘도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광 확산층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μm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이다. 또한, 광 확산층의 두께란, 광 확산층(12)의 두께가 가장 커지는 부분의 두께(D2)(도 1~4 참조)이며, 통상은, 광 확산층(12)의 일단(12A) 측 부분의 두께이다.
(투명 수지층의 두께)
투명 수지층의 두께(D3)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광 산란층의 두께보다 커지면 되고, 예를 들면 80μm 이상 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8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2.5mm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의 두께는, 20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8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3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11)의 두께(D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1)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다른 쪽 표면까지의 거리이다.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의 두께)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수지층(13, 14)이 설치되는 경우, 수지 필름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차음성 등의 각종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3 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3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상 25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μm 이상 200μm 이하이다. 또, 제4 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6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상 50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상 400μm 이하이다.
(최대 강도비)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당해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의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30~5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B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 유리는,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JIS R 3211(1998)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이며, 가시광 투과율 90.4%의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의사 태양광은,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해 조사한다.
파장 430~460nm는, 청색광이 나타나는 파장이며, 파장 530~560nm는 녹색광이 나타나는 파장이다. 따라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광 확산 입자에 의해 녹색광에 비해 청색광이 과도하게 확산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수지 필름을 스크린에 사용하여, 표시 영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색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는, 0.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 입자에 의해 녹색광이 과도하게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는,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의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60~60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C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가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30~460nm는, 청색광이 나타나는 파장이고, 파장 560~600nm는 적색광이 나타나는 파장이다. 따라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를 1.2 이하로 함으로써, 광 확산 입자에 의해 적색광에 비해 청색광이 과도하게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수지 필름을 스크린에 사용하여, 표시 영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색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는, 1.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 입자에 의해 적색광이 과도하게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강도 A, B, C는 각각, 430~460nm의 파장역, 530~560nm의 파장역, 560~600nm 각각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의 값이다.
또, 최대 강도 A, B, C의 값은, 접합 유리의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의사 태양광을 조사하고, 다른 쪽 면에 있어서 측정하면 되는데, 의사 태양광은, 영역(Y)에 조사하고, 그 의사 태양광을 조사한 위치에 있어서 최대 강도를 측정하면 된다. 또, 의사 태양광은, 광 확산층의 최대 두께가 되는 부분 및 그 근방에 조사하고, 최대 두께가 되는 부분, 또는 가능한 한 최대 두께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 B, C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최대 강도비는,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광 확산 입자의 종류, 입경, 입도 분포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한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확산 입자를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광 확산 입자의 입도 분포를 제어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투과율)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영역(Y)의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과율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하며, JIS R 3212(2015)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영역(Y)의 상기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면, 표시 영역에 있어서도 일정한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어, 각종 창유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투과율은,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과율은, 수지 필름의 투명성 확보의 관점에서, 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실용적으로는 99% 이하이며, 또, 수지 필름에 있어서 광을 적절히 확산하는 관점에서, 9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역(Y)의 투과율은, 상기와 같이, 광 확산층의 두께가 변화함으로써, 위치마다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투과율이 가장 낮아지는 부분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상기의 범위이면 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영역(Z)(즉, 투명 영역)의 투과율이, 상기한 영역(Y)의 투과율보다 높아지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과율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하며, JIS R 3212(2015)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영역(Z)의 상기 투과율을 75% 이상으로 하면, 투명 영역(Z)에 있어서 우수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어, 각종 창유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투과율은,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과율은, 수지 필름의 투명성 확보의 관점에서, 높으면 높을수록 좋지만, 실용적으로는 99% 이하이다.
(헤이즈값)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영역(Y)의 헤이즈값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표시 영역에 있어서도 수지 필름의 투명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헤이즈값은, 투명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헤이즈값은, 광 확산 입자에 의해 일정량의 광을 확산시켜 적절히 화상 표시를 행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다. 또한, 헤이즈값은, JIS K671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역(Y)의 헤이즈값은, 상기와 같이, 광 확산층의 두께가 변화됨으로써, 위치마다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헤이즈가 가장 높아지는 부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상기의 범위이면 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영역(Z)(즉, 투명 영역)의 헤이즈값은, 표시 영역보다 낮아지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헤이즈값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투명 영역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투명성 및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헤이즈값은, 투명성 및 시인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영역(Z)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0% 이상이면 된다.
[광 확산 입자]
본 발명의 수지 필름에 사용되는 광 확산 입자로서는, 실리카 등의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알루미나 등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등의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 알루미늄, 은, 플라티나, 금, 티탄, 니켈, 주석, 인듐, 주석-코발트 합금 등의 금속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 탄산칼슘,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 필름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광 확산성, 색 재현성 등을 양호하게 하기 쉬운 관점에서,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 금속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금속 입자, 금속 산화물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에 있어서의 금속 원소로서는, 은 원소 또는 티탄 원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은 원소 및 티탄 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자, 또는 다이아몬드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은 입자, 산화티탄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가 더욱 바람직하고, 은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 확산 입자는, 코어-셸 입자여도 된다. 예를 들면, 광 확산 입자는, 상기한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 금속 입자, 다이아몬드 입자 등 중 어느 하나를 코어로 하고, 다른 재료에 의해 피막된 코어-셸 입자인 것도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금속 입자를 코어로 하고, 상기한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나,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과 폴리머의 복합체를 셸로 하는 금속 입자(코어-셸 입자)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를 코어로 하고, 상기한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나,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과 폴리머의 복합체를 셸로 하는 금속 입자(코어-셸 입자) 등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금속 산화물 입자 대신에, 금속과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코어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반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코어로 하고 금속을 셸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된다. 또한, 광 확산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을 셸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되고,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과 폴리머의 복합물을 셸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된다. 또, 광 확산 입자는, 상기 혼합물을 셸로 하는 코어-셸 입자, 및 상기 복합물을 셸로 하는 코어-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금속 입자를 코어로 하는 금속 입자(코어-셸 입자)가 바람직하다. 또, 금속 산화물 입자를 코어로 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코어-셸 입자)도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양쪽을 포함하는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확산 입자는, 은 등의 은 원소를 포함하는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되고, 산화티탄 등의 티탄 원소를 포함하는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되고, 은 원소 및 티탄 원소 양쪽을 포함하는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입자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은 입자(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은 나노 입자)는, 은 입자를 코어로 하고,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폴리머의 복합물 등을 셸로 하는 입자여도 된다.
또, 코어-셸 입자로서는, 실리카를 코어로 하고, 은 혹은 그 외 금속을 셸로 하는 입자여도 된다.
광 확산 입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면 1nm 이상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가시광선이 광 확산 입자에 의해 적절히 확산되고, 예를 들면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색 재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광 확산성을 양호하게 하고, 예를 들면 상기한 강도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쉬워져, 색 재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광 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3n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nm 이상 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nm 이상 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광 확산 입자는, 가시광선을 적절히 광 확산시켜, 색 재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른바 나노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확산 입자로서는, 은 원소 및 티탄 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은 나노 입자, 산화티탄 나노 입자, 나노 다이아몬드가 더욱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은 나노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나노 입자란, 평균 입자경이 1μm 이하(1000nm 이하)의 입자이고, 나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900nm 이하이다. 나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하한값은, 상기의 광 확산 입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데, 나노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50nm 이상이어도 되고, 110nm 이상이어도 된다.
광 확산 입자는, 예를 들면 상기한 강도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쉬워지고, 또, 색 재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조성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조성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3종의 입자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셸 입자에서는, 코어 및 셸의 재질이 동일하고, 또한 각 입자에 대한 셸의 질량 비율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종의 입자를 사용하면 된다.
또, 광 확산 입자는, 상기 강도비가 원하는 범위가 되도록 입도 분포를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기한 강도비를 상기한 범위로 하기 쉬워져, 색 재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작은 입경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편이 좋고, 특히 10nm 이하의 입자의 함유는 적은 편이 좋다. 10nm 이하의 입자가 많이 함유되는 경우, 단파장 측의 광이 보다 분산되기 쉬워진다. 또, 투명성 및 표시성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광 산란 입자를 혼합해도 된다.
광 확산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판상, 인편상 등의 박편상이어도 되고, 구상 또는 구상에 근사한 형상(대략 구상), 다면체상 또 다면체에 근사한 형상(예를 들면, 다면체의 일부가 곡면이 된 형상, 대략 다면체), 부정 형상 등이어도 된다.
광 확산 입자는, 예를 들면 애스펙트비가 3 미만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 이하여도 된다. 광 확산 입자는, 애스펙트비를 낮게 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작게 하면서도, 광 확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구상 또는 대략 구상의 광 확산 입자는, 일반적으로 애스펙트비가 2 이하이며, 1에 가까운 값이 된다.
또한, 애스펙트비는, 입자의 장경과, 단경의 비를 구하면 되고, 박편상의 광 확산 입자에서는, 장경/두께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애스펙트비는, SEM 등의 현미경 관찰에 의해 측정하고, 예를 들면 50개의 입자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애스펙트비로 하면 된다.
수지 필름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즉,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필름 100질량%에 대해, 0.00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시 영역에 있어서 적당히 광 확산할 수 있어, 적절히 화상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광 확산 입자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차광되는 일 없이, 표시 영역에 있어서도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헤이즈값 및 투과율을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광 확산 입자의 상기 수지 필름 100질량% 중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질량%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08질량%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9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이다.
또한,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 확산 입자는, 광 확산층의 두께가 변화되기 때문에, 그에 맞춰 함유 비율도 변화되지만, 상기한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필름의 표시 영역 전체에 있어서의, 광 확산 입자의 수지 필름 전층에 대한 함유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 광 확산 입자의 광 확산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광 확산층 100질량% 중, 0.000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층에 있어서의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광 확산층에 있어서, 적당히 광 확산할 수 있어, 적절히 화상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광 확산 입자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차광되는 일 없이, 수지 필름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상기 관점에서, 광 확산 입자의 광 확산층 100질량% 중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질량%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9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하이다.
광 확산층은,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광 확산 입자가 열가소성 수지 중에 분산된다. 광 확산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광 확산층을 투명 수지층에 접착시키기 쉬워진다. 동일하게, 투명 수지층(즉, 제1 및 제2 수지층)도,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광 확산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A)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투명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B)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각각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A), (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이 높아져,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A), (B)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 특히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인 경우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쉬워,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내관통성, 차음성 등의 접합 유리에 필요해지는 특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열가소성 수지 (A), (B)로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상세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광 확산층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 수지층(제1 및 제2 수지층)도,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층에 함유되는 가소제는, 가소제 (A)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투명 수지층에 함유되는 가소제는, 가소제 (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광 확산층이나 투명 수지층은,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고, 그 결과, 수지 필름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하면, 접합 유리의 유연성을 향상시켜,내관통성이나 차음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광 확산층은, 광 확산 입자 및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필름을 화상 표시용 스크린에 사용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는,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광 확산층과 광 확산 입자의 굴절률 차가 커지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광 확산층이나 투명 수지층은 가소제를 가짐으로써, 접합 유리 등을 구성하는 유리 부재, 또는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다른 수지층 등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소제 (A), (B) 각각은, 열가소성 수지 (A), (B)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에 함유시키면 특히 효과적이다. 가소제 (A), (B)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 확산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A)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A)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다. 또, 투명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B)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B)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B)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들 관점에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 (A), (B) 각각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질량부 이상이다.
또, 함유량 (A), (B)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질량부 이하이다. 이들 함유량 각각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필름의 굽힘 강성 등의 기계 특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A), (B) 각각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수지여도 되지만, 서로 같은 종류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A), (B)는,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수지층의 조성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 수지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수지여도 되지만, 서로 같은 종류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B)는,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은,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수지층도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의 종류도, 서로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또, 상기한 함유량 (A)와 함유량 (B)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모두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범위는, 상기 함유량 (B)와 같다. 또,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수지층에 사용되는 가소제의 종류는, 서로 상이해도 되지만,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제1 및 제2 수지층) 각각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이, 광 확산층 또는 투명 수지층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수지 필름에 있어서,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예를 들면, 제3 및 제4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의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면, 각 수지층을 다른 수지층이나 유리 부재 등에 접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각각 열가소성 수지 (C), 열가소성 수지 (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C), (D))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A), (B)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열거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것 중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 특히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인 경우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쉬워,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내관통성, 차음성 등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필요해지는 특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등에서, 열가소성 수지 (A), (B)와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지 필름이 제3 및 제4 수지층을 갖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A), (B)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C), (D)는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세는 후술한다.
수지 필름에 있어서,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 필름에 있어서 제3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4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지 필름이 제3 및 제4 수지층을 갖는 경우, 광 확산층, 투명 수지층, 그리고 제3 및 제4 수지층이 모두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함유되는 가소제는, 가소제 (C), 가소제 (D)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C)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C)의 함유량은 함유량 (C)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고, 제4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D)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D)의 함유량은 함유량 (D)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수지 필름은, 상기한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이,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접합 유리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내관통성도 향상된다. 또한, 유리판 등의 유리 부재 또는 수지 필름의 다른 수지층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도,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소제를 함유시키면 특히 효과적이다.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C), (D)) 각각은, 가소제 (A), (B)와 동일한 종류여도 되고, 상이한 종류여도 된다. 또,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C), (D))는 서로 동일한 종류여도 되고, 상이한 종류여도 된다.
또,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질량부 이상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수지 필름의 유연성이 높아져, 수지 필름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와 같이, 제3 및 제4 수지층을 함유하는 경우,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함유량 (A), (B), 또한, 제4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및 제4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 이상과 같이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고, 또한 수지 필름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하면, 수지 필름은 차음 성능이 높아진다.
차음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함유량 (C)는,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상이다. 또, 함유량 (C)는,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이다. 함유량 (C)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필름을 접합 유리에 사용했을 때의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지기 쉬워진다.
한편, 함유량 (D)는, 수지 필름의 취급성,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질량부 이상이다. 또, 함유량 (D)는, 굽힘 강성 등의 기계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질량부 이하이다.
또, 광 확산층 이외의 수지층(예를 들면,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이, 각 수지층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혹은, 제1 및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제4 수지층)은, 상기한 광 확산 입자를 함유해도 되지만,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에 대한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설계되면 된다. 그리고,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은, 상기한 광 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그 함유량이 소량이거나, 혹은, 광 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 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광 확산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거나, 또는 함유시켜도 소량(적어도 광 확산층보다 적은 함유량)으로 함으로써, 각 수지층에 있어서, 광 산란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된다. 그에 의해, 수지 필름을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광 확산층 이외의 각 수지층(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혹은, 제1 및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05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1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이하,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단순히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 하여 설명한다. 또, 광 확산층, 투명 수지층, 제3 수지층,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개별의 구성에 대해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D)」로 하여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다. 즉,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PVA)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99.9몰%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 평균 중합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필름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수지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의 함유량 (C)를 55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평균 중합도를 2000 이상으로 하는 것도 적합하며, 2500 이상으로 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평균 중합도는, 제3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 각각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게 해도 되고, 같게 해도 되고, 높게 해도 된다. 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평균 중합도는, 제3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평균 중합도를 높게 하면, 제3 수지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해도 각종 성능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원료가 되는 PVA의 평균 중합도와 같으며, PVA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1~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3~5인 알데히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 또는 5인 알데히드,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의 알데히드이다.
상기 탄소수가 1~10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 특히 바람직하게는 4이다. 아세탈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부티랄기가 특히 바람직하고,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A), (B)가, 모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3 및 제4 수지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 확산층 및 투명 수지층에 추가하여, 제3 및 제4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A), (B), (C), (D) 모두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 필름은, 복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모든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또한 제4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D)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수산기량)은 각각, 예를 들면 2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하한 이상으로 하면, 수지 필름의 접착력이 양호해지고, 또, 차음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성 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석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이고, 또, 예를 들면 38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수지 필름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가 가소제를 흡수하여,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이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수산기의 함유율을 20몰% 이상으로 하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다.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제3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제3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경우, 그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이에 의해, 차음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이다. 또, 상기 수산기의 각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또한 제4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D)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중의 잔류 알데히드량을 경감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의 각 아세탈화도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아세탈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또,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중의 잔류 알데히드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아세탈화도란, 아세탈기가 부티랄기이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를 의미한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면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또한 제4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D)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 필름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B), (D)의 각 아세틸화도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져, 가소제를 대량으로 배합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아세틸화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필름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에 대해서는,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와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상이해도 된다. 따라서, 상기 평균 중합도, 수산기량, 아세탈화도, 및 아세틸화도 각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비(非)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되고, 또, 고온 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된다. 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의 가수분해물 등과 같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변성체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JIS K 6730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질량%이다. 아세트산비닐 함량을 이들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리판 등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수지 필름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했을 때에는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양호해지기 쉬워진다. 또, 아세트산비닐 함량을 이들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파단 강도가 높아져,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양호해진다.
(아이오노머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다양한 아이오노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텔레켈릭 아이오노머, 폴리우레탄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스크린의 기계 강도, 내구성, 투명성 등이 양호해지는 점, 유리판이 무기 유리인 경우 유리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에틸렌계 아이오노머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가 투명성과 강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불포화 카르복시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로서는, 당해 공중합체가 갖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를 75~99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르복시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1~25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가 갖는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 또는 가교함으로써 얻어지는 아이오노머 수지인데, 당해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는, 통상은 1~90%이고, 바람직하게는 5~85%이다.
아이오노머 수지에 있어서의 이온원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을 들 수 있고, 나트륨, 아연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복시산을, 고온, 고압 하에서 라디칼 공중합을 행하여,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그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와, 상기의 이온원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 또한, 폴리아민 등의 쇄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수지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디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리티올 및 함황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기 유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유리판이 유기 유리인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지방족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하드 세그먼트가 되는 스티렌 모노머 중합 블록과, 소프트 세그먼트가 되는 공역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 또는 그 수첨 블록을 갖는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 수소 첨가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불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쇄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의 보존 안정성, 및,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의 재료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trans-2-부텐, cis-2-부텐, 1-펜텐, trans-2-펜텐, cis-2-펜텐, 1-헥센, trans-2-헥센, cis-2-헥센, trans-3-헥센, cis-3-헥센, 1-헵텐, trans-2-헵텐, cis-2-헵텐, trans-3-헵텐, cis-3-헵텐, 1-옥텐, trans-2-옥텐, cis-2-옥텐, trans-3-옥텐, cis-3-옥텐, trans-4-옥텐, cis-4-옥텐, 1-노넨, trans-2-노넨, cis-2-노넨, trans-3-노넨, cis-3-노넨, trans-4-노넨, cis-4-노넨, 1-데센, trans-2-데센, cis-2-데센, trans-3-데센, cis-3-데센, trans-4-데센, cis-4-데센, trans-5-데센, cis-5-데센, 4-메틸-1-펜텐, 및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
이하, 각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가소제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A), (B), (C), (D))에 대해 합쳐서 설명한다.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에스테르 가소제 등의 인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가소제란, 상온(23℃), 상압(1기압)에서 액상이 되는 가소제이다.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각 알킬렌 단위가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또는 3이고, 알킬렌 단위의 반복 수가 2~10, 바람직하게는 2~4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콜로서는,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또는 3이며, 반복 단위가 1인 모노알킬렌글리콜이어도 된다.
글리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탄소수 3~10의 유기산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2-에틸펜탄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이다. R1 및 R2의 유기기는,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이다.
또, 구체적인 글리콜에스테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등의 탄소수 4~12의 이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10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10의 알코올은, 직쇄여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환상 구조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박산디부틸, 아젤라산디옥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헵틸노닐, 디-(2-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기름 변성 세박산알키드 등이어도 된다.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 4~9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9의 환상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코올로 제조된 아디프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유기 인계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가소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디-(2-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DBEA),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 안정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은, 이들 첨가제를 함유함으로써, 내구성이 높아지고, 태양광 등의 광조사 환경 하에서 장기간 사용한 후에 있어서도 화상 표시가 양호해진다. 내구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수지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 안정화제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첨가제는, 적어도 광 확산층에 함유시키면 되는데, 광 확산층에 추가하여, 다른 수지층(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 또는 투명 수지층 그리고 제3 및 제4 수지층)에도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층은, 상기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 안정화제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층에 추가하여, 다른 수지층(예를 들면, 투명 수지층, 또는 투명 수지층 그리고 제3 및 제4 수지층)도,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 안정화제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말론산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페논 골격을 갖는 화합물, 트리아진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에이트 골격을 갖는 화합물, 힌더드아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태양광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태양광 등의 조사에 의해 수지 필름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1)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탄소수가 1~8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 4~20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8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 원자이다.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수소 원자이고, Y1 및 Y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산기이다.]
식 (1)에 있어서, R1, R2의 알킬기는, 직쇄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는, 직쇄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R1, R2로서, 예를 들면,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를 들 수 있다. R1은, 이들에 추가하여, 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옥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특히, 수소 원자, 메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옥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X의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는데,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Y1 및 Y2는 어느 한쪽만이 수산기여도 되고, 양쪽이 수산기여도 된다. 또, Y2가 적어도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3-[3-ter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옥틸, 3-(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 2-(3,5-디-ter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4-디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각 수지층(예를 들면, 확산층, 투명 수지층(혹은, 제1 및 제2 수지층), 및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 이상 2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의해 각 수지층이 열화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2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수지층에 색조가 착색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함유량에 걸맞는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자외선 흡수제의 상기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5질량부 이상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 1.1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화합물, 인산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수지 필름이 산화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중에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페놀계 화합물이 적합하다.
상기 페놀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비스(3,3'-t-부틸페놀)부틸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2-에틸-2-부틸프로필렌-4,6-트리터셔리부틸페놀포스파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트리스[2-터셔리부틸-4-(3-터셔리히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황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온산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나,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각 수지층(예를 들면, 확산층, 투명 수지층(혹은, 제1 및 제2 수지층), 및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 이상 2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산화 열화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2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함유량에 걸맞는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자외선 흡수제의 상기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4질량부 이상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6질량부 이상 1.1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 안정제)
광 안정제로서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안정제는, 태양광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수지 필름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로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열화를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인 것도 바람직하다.
광 안정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로서는, BASF SE 제조 「Tinuvin 765」 및 「Tinuvin 622SF」, 그리고 ADEKA Corporation 제조 「Adeka Stab LA-52」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로서는, BASF SE 제조 「Tinuvin XT-850FF」 및 「Tinuvin XT-855FF」, 그리고 ADEKA Corporation 제조 「Adeka Stab LA-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는 힌더드아민 광 안정제로서는, BASF SE 제조 「Tinuvin 770DF」, 및 Clariant AG 제조 「Hostavin N24」 등을 들 수 있다.
각 수지층(예를 들면, 확산층, 투명 수지층(혹은, 제1 및 제2 수지층), 및 제3 및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광 안정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01질량부 이상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0.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함유량에 걸맞는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광 안정제의 상기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05질량부 이상 0.4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 0.2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각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상기 첨가제 이외에도, 적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카르복시산 금속염, 차열 재료 등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필름은,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얻어, 수지 조성물로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제1 수지층, 광 확산층, 및 제2 수지층, 또는, 제1 수지층, 광 확산층,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및 제4 수지층 등)을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각 층을 적층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은, 공압출 등에 의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을 성형하면서 각 층(제1 수지층, 광 확산층, 및 제2 수지층, 또는, 제1 수지층, 광 확산층,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및 제4 수지층 등)을 적층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출은, 예를 들면 다층용 피드 블록을 부착하여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공압출에서는, 제1 수지층, 광 확산층, 및 제2 수지층을 형성할 때에, 수지의 공급량 등을 조정하여,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형성하면 된다.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광 확산 입자, 가소제, 그 외의 첨가제 등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련 장치 등에 의해 혼합하여 얻으면 된다. 예를 들면, 공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압출기로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면 된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추가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 부재와, 한 쌍의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수지 필름을 구비한다.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사용되면 되고, 한 쌍의 유리 부재는,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되면 된다. 또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접합 유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는 스크린으로서 사용된다.
접합 유리에 있어서, 각 유리 부재는, 수지 필름(10)의 양 표면 각각에 적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1)과, 광 확산층(12)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10)에서는, 투명 수지층(11)의 양 표면에 유리 부재(21, 22) 각각이 적층되면 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11)과, 광 확산층(12)에 추가하여, 제3 및 제4 수지층(13, 14)을 갖는 수지 필름(10)에서는, 투명 수지층(11)의 표면에 한쪽의 유리 부재(21)가, 제4 수지층(14)의 표면에 다른 쪽의 유리 부재(22)가 적층되면 된다.
(유리 부재)
접합 유리에서 사용하는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을 사용하면 된다. 유리판은, 무기 유리, 유기 유리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무기 유리가 바람직하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리어 유리, 클리어 플로트 유리, 플로트 판유리, 강화 유리, 착색 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자외선 흡수 판유리, 적외선 반사 판유리, 적외선 흡수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유리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리라 불리는 것이 사용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폴리에스테르판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2장의 유리 부재는, 서로 동종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이 무기 유리이고, 다른 쪽이 유기 유리여도 되지만, 2장의 유리 부재 양쪽이 무기 유리이거나, 또는 유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부재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 3mm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장의 유리 부재 사이에, 수지 필름을 끼워, 압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2장의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150℃ 및 1~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예를 들면 복수의 수지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하여, 수지 필름을 성형하면서 접합 유리를 제조해도 된다.
[스크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스크린에 사용된다. 스크린은, 화상 표시용 스크린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 등을 구성하는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조사되고, 그 조사된 광이, 수지 필름에서 확산하여, 스크린 상에서 화상으로서 표시되면 된다.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접합 유리이지만, 상기한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한, 접합 유리일 필요는 없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유리 부재의 한쪽 면에 수지 필름이 접착되고, 당해 수지 필름이 다른 유리 부재에 접착하지 않는, 이른바 외부착 스크린이어도 된다. 접합 유리 이외의 스크린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는, 상기에서 설명한 유리 부재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화상 표시 스크린은, 배면 투사형이어도 되고, 정면 투사형이어도 되는데, 배면 투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 투사형으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고(高)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화상 관찰을 행하게 하는 스크린이다. 또, 정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한쪽 면(즉,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조사된 면)으로부터, 화상 관찰을 행하게 하는 스크린이다.
또, 본 발명의 스크린은,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에 대한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의 적합값, 및 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의 적합값에 대해, 상기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설명한 값과 같다.
또한, 스크린의 최대 강도는, 스크린의 어느 한쪽 면으로부터 의사 태양광을 조사하고, 다른 쪽 면에 있어서 측정하면 된다. 최대 강도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의 투과율 및 헤이즈값에 대한 적합값도 상기 2장의 기준 유리를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제조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설명한 값과 같아, 이들 기재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스크린의 투과율은, JIS R3212(2015)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고, 헤이즈값은 JIS K671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접합 유리를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도 제공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한 접합 유리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고,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에 의해 접합 유리에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배면 투사형이어도, 정면 투사형이어도 되지만, 배면 투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30)은, 접합 유리(31)와, 광원 장치(32)를 구비한다. 접합 유리(31)는, 상기한 접합 유리의 어떠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30)은, 광원 장치(32)가 접합 유리(31)의 한쪽 면(배면(31B))에 광을 조사하고, 그 조사한 광에 의해 접합 유리(31)의 다른 쪽 면(전면(31F))으로부터 화상을 표시시킨다. 전면(31F) 측에 표시된 화상은, 접합 유리(31)의 전방에 있는 관찰자(OB)에 의해 시인된다. 전면(31F)으로부터 표시되는 화상은, 동영상 등의 영상이어도 되지만, 정지화면이나, 문자, 아이콘, 상표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시지, 로고 등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 장치(32)는,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종래 사용되어 있는 광원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영상 등의 각종 화상을 비추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사용한다. 프로젝터로서는, 이른바 DLP(등록상표) 프로젝터로 알려진,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표시 시스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 아이콘, 고정 메시지 등, 비추는 화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프로젝터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화상에 따른 일정한 광을 접합 유리(31)에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배면 투사형에 있어서, 접합 유리(31)에 조사되는 광은, 표시 화상에 대해, 좌우 반전된 화상에 대응한 광이다. 좌우 반전된 화상에 대응한 광을 조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상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좌우 반전시켜도 되고, 반전 미러 등을 사용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30)에 있어서, 광원 장치(32)로부터 발해진 광은, 접합 유리(31)에 직접 조사되어도 되지만, 반사 미러, 반전 미러 등의 광학 부재를 통해 접합 유리(31)에 조사되어도 된다. 또, 화상 표시 시스템(30)에 있어서는, 접합 유리 대신에 접합 유리 이외의 스크린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종 창유리에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철도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교통 수단용 창유리, 또는 건축용 창유리 등에 사용 가능하다.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은, 각종 창유리에 사용함으로써, 창유리에 영상, 메시지, 로고 등의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가정용 전기 기기 등의 각종 전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자동차의 창유리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의 창유리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중 어느 것에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용 창유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축물 내부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창유리의 내측의 표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각종 화상을 표시하면 된다. 동일하게, 교통 수단용 창유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통 수단 내부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각종 화상을 표시하면 된다.
또, 건축, 교통 수단용의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창유리의 내측의 면에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보닛, 트렁크 등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등에 외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이들 유리의 내측의 면에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종 물성의 측정 및 평가는, 이하와 같이 행했다.
[각도(θ)의 측정 방법]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각도(θ)는, OD 및 두께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광 확산층의 타단과, 타단으로부터 10% 위치의 점을 직선으로 잇고, 그 이루는 각도를 θ로 했다.
[필름의 전체 두께]
필름의 전체 두께는, Olympus Corporation 제조 현미경 「DSX500」을 이용하여, 10점 평균에 의해 평균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본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는, 필름의 전체 두께가 투명 수지층의 두께(D3)가 된다.
[광 확산층의 두께(D1, D2)]
광 확산층에 대해, Olympus Corporation 제조 현미경 「DSX500」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여, 광 확산층의 두께(D1, D2)를 측정했다.
[광 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
광 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Horiba Ltd. 제조 「LA-960」을 이용하여,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했다.
[최대 강도 A, B, C]
암실 하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라 시뮬레이터(Asahi Spectra Co., Ltd. 제조, 「HAL-320W」)의 출사단(50)을, 접합 유리(51)의 한쪽 표면(51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30cm(거리(L1))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접합 유리에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다.
접합 유리(51)의 다른 쪽 표면(51B)의 측정 위치로부터의 거리(L2)가 35cm가 되는 위치에 배치한 휘도계(52)(Topcon Technohouse Corporation 제조, 「SR-3AR」)에 의해, 접합 유리(51)의 다른 쪽 표면(51B)에 있어서의, 각 파장에 있어서의 강도를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에 대해, 각 파장 범위에서의 최대 강도를 각각 최대 강도 A, B, C로 했다. 또한, 의사 태양광은, 영역(Y)에 있어서의 광 산란층이 최대 두께가 되는 접합 유리 단부 및 그 근방에 조사하고, 측정 위치도 유리 단부로 했다. 또, 각 파장에 있어서의 강도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 표면(51B)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θ)가 45°가 되는 위치로부터 휘도계(52)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솔라 시뮬레이터의 출력은, 솔라 시뮬레이터의 최대 출력(100%)으로 했다.
[투과율]
각 실시예, 비교에서 얻은 접합 유리의 영역(Y, Z)의 투과율은, JIS R3212(2015)에 준거하여 분광 광도계(Hitachi High-Tech Science Corporation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한, 영역(Y)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광 확산층의 두께가 가장 커지는 부분, 즉 투과율도 가장 낮아지는 부분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헤이즈값]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접합 유리의 영역(Y, Z)의 헤이즈값은 JIS K6714에 준거하여,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제조 HAZE METER 「HM-150N」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영역(Y)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광 확산층의 두께가 가장 커지는 부분, 즉 헤이즈값도 가장 높아지는 부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측정했다.
[강광원 조사 시의 시인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수직 방향으로 35cm 떨어진 위치에 출사단을 배치한 솔라 시뮬레이터(Asahi Spectra Co., Ltd. 제조, 「HAL-320W」)로부터 출력 100%로 의사 태양광을 조사하고, 접합 유리를 다른 쪽 면으로부터 관찰했다. 그 때, 표시 영역과, 투명 영역의 경계가 분명히 보이지 않는 경우를 「A」, 보이는 경우를 「B」로 평가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이하와 같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PVB: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량 30.5mol%, 아세틸화도 1mol%, 아세탈화도 68.5mol%
(가소제)
3GO: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광 확산 입자)
은 나노 입자:은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구조를 갖는 입자(Lux Labs, Inc. 제조 「은 나노 구체」)
나노 다이아몬드:Daicel Corporation 제조 「DINNOVARE」, 나노 다이아몬드 입자
산화티탄 입자:산화티탄 입자를 코어로 하는, 코어-셸 구조를 갖는 입자(Lux Labs, Inc. 제조 「산화티탄 나노 구체」)
[실시예 1]
(수지 필름의 제조)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를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 확산 입자로서의 은 나노 입자를 혼련하여, 광 확산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은 나노 입자는, 광 확산층에 대한 은 나노 입자의 함유량이 0.0057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를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1 및 제2 수지층(투명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 수지층용, 광 확산층용, 및 제2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이 적층순으로, 광 확산층의 두께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점차 감소하도록 조정하면서 공압출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세로 100cm×가로 100cm)을 얻었다.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각 치수는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았다. 또한, 횡 방향은,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방향이며, 도 1에 있어서의 OD와 일치하는 방향이다. 이하도 동일하다.
(접합 유리의 제조)
JIS R3202(2011)에 준거한, 2장의 클리어 유리(세로 50cm×가로 80cm×두께 2.5mm, 가시광 투과율 90.4%, Central Glass Co., Ltd. 제조)와, 세로 50cm×가로 80cm의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수지 필름을 2장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로 옮기고, 추가로 90℃에서 30분간 유지해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가압착했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으로, 가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6, 비교예 1, 2]
각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가소제의 함유량, 및 광 확산 입자의 종류 및 함유량을 표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함과 더불어, 광 확산층의 폭(E)을 변경하고, 각도(θ)를 표 1,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표 1, 2에 있어서의 「부수/phr」은,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질량부)이다.
※표 1, 2에 있어서의 「부수/wt%」는, 광 확산 입자의 광 확산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질량%)이다.
이상과 같이, 각 실시예에서는, 수지 필름의 일부 영역에 설치한 광 확산층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두께를 작게 하고, 또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에,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X)에 있어서,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를 0.9mrad 이하로 했다. 그로 인해, 강한 광을 조사해도, 영역(X)과, 광 확산층이 설치되지 않는 투명 영역(Z)의 경계에 있어서 광 산란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지 않아, 시인성이 양호해졌다.
그에 반해, 비교예에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두께가 작아지는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를 0.9mrad보다 크게 했다. 그로 인해, 강한 광을 조사하면, 영역(X)과, 광 확산층이 설치되지 않는 투명 영역(Z)의 경계에 있어서 광 산란이 발생하여, 선형상의 백색 선이 보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없었다.
10: 수지 필름(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투명 수지층
11A: 제1 수지층 11B: 제2 수지층
12: 광 확산층(광 확산층) 12A: 일단
12B: 타단 13: 제3 수지층
14: 제4 수지층 21, 22: 유리 부재
25, 31, 51: 접합 유리(스크린) 30: 화상 표시 시스템
32: 광원 장치 OB: 관찰자
D1, D2, D3: 두께 E: 폭
OD: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 θ: 각도
X, Y, Z: 영역

Claims (16)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 및 광 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 확산층이,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걸쳐 두께가 작아져 있고, 또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거리를 100%로 했을 경우에, 상기 타단으로부터 10%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의 기울기가 0.9mrad 이하인, 수지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100질량%에 대한, 광 확산 입자의 함유량이, 0.00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수지 필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의사(擬似)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30~5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B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B)가 1.0 이하인, 수지 필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유리의 상기 광 확산층이 설치되는 영역에 대해,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의사 태양광을 조사했을 때의 투과광의 430~46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A와, 560~600nm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 C의 비(최대 강도 A/최대 강도 C)가 1.2 이하인, 수지 필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입자가, 은 원소 및 티탄 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나노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지 필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수지 필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이,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 확산층이 이들 제 1 및 제2 수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수지 필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 및 광 확산층이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의 한쪽 면에 이 순서대로 설치되는, 제3 및 제4 수지층을 구비하는, 수지 필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지층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수지 필름.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 상기 광 확산층,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지층이 모두 가소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투명 수지층, 상기 광 확산층, 및 상기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은, 수지 필름.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상기 타단측의 선단의 두께가 100μm 이하인, 수지 필름.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상기 타단측의 형상이 단면 삼각형 또는 단면 사다리꼴인, 수지 필름.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수지 필름.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필름과, 한 쌍의 유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필름이 한 쌍의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스크린.
KR1020237042118A 2021-06-11 2022-06-08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KR20240019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8355 2021-06-11
JP2021098355 2021-06-11
PCT/JP2022/023130 WO2022260083A1 (ja) 2021-06-11 2022-06-08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122A true KR20240019122A (ko) 2024-02-14

Family

ID=8442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118A KR20240019122A (ko) 2021-06-11 2022-06-08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53696A1 (ko)
JP (1) JPWO2022260083A1 (ko)
KR (1) KR20240019122A (ko)
CN (1) CN117480138A (ko)
TW (1) TW202313354A (ko)
WO (1) WO20222600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566A1 (ja) 2015-03-06 2016-09-15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6813B2 (ja) * 1989-09-29 1999-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ォトクロミック感光着色領域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CN105722802A (zh) * 2013-11-14 2016-06-2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6736958B2 (ja) * 2016-04-26 2020-08-05 Agc株式会社 透過型透明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CN114340894B (zh) * 2019-11-28 2022-10-0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夹层玻璃、及图像显示系统
EP4067071A4 (en) * 2019-11-28 2024-01-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IM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566A1 (ja) 2015-03-06 2016-09-15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3354A (zh) 2023-04-01
WO2022260083A1 (ja) 2022-12-15
JPWO2022260083A1 (ko) 2022-12-15
EP4353696A1 (en) 2024-04-17
CN117480138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0638B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22907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8159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20210170719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2200300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22060240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2260084A1 (ja)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KR20240019122A (ko)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WO2022255393A1 (ja)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JP2022189700A (ja)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JP738133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自動車ルーフ用合わせガラス
WO2024071339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22184685A (ja)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WO202407133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そ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TW202342281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KR2023006634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용 적층체
JP202405261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