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421A -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421A
KR20220146421A KR1020227024655A KR20227024655A KR20220146421A KR 20220146421 A KR20220146421 A KR 20220146421A KR 1020227024655 A KR1020227024655 A KR 1020227024655A KR 20227024655 A KR20227024655 A KR 20227024655A KR 20220146421 A KR20220146421 A KR 2022014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expansion
housing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미야타
준혁 양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0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constriction for localised f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01H85/175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composit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s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는 멀티 링크 퓨즈, 및 상기 멀티 링크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입력 단자(110)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와, 입력 단자(110)와 외부 단자(120)의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113)를 구비하는 버스 바 본체(100)와, 버스 바 본체(100)를 덮는 하우징 본체(400)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H)로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확장 버스 바(500)를 구비하고, 확장 버스 바(500)는, 입력 단자(110)와 겹치는 입력 확장 단자(510)와, 버스 바 본체(10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외측 확장부(520)를 구비하고,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가, 입력 단자(110)와 겹쳐진 상태로, 확장 버스 바(500)와 버스 바 본체(100)가 함께, 하우징 본체(4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에 이용되는 퓨즈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외부 단자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 및 상기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퓨즈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다. 자세한 것은, 전기 회로 중에 의도하지 않는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에, 용단부가 과전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 퓨즈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멀티 링크 퓨즈는 차량 탑재의 배터리와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접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멀티 링크 퓨즈는, 각종 전장품과 접속되는 복수의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차량 탑재의 배터리의 사이에 용단부를 개재시킴으로써,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하고 있다.
또, 이 특허문헌 1의 멀티 링크 퓨즈에서는, 하우징의 일부에, 내부의 버스 바(bus bar)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로부터 버스 바에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의 일부를 노치한 것처럼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버스 바가 노출되는 범위는 비교적 좁아, 충전용 접속 단자가 비교적 큰 경우나, 접속 단자의 형상이 특수한 경우 등은,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하는 것이 어려웠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36509호
그래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하기 쉬운 멀티 링크 퓨즈, 및 상기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는, 입력 단자와, 복수의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 바 본체와, 상기 버스 바 본체를 덮는 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로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확장 버스 바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버스 바는 상기 입력 단자와 겹치는 입력 확장 단자와, 상기 버스 바 본체보다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외측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확장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본체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가, 버스 바 본체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외측 확장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버스 바 본체의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확장 버스 바와 버스 바 본체가 떨어지지 않게 일체적으로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력 단자와 확장 버스 바의 전기적인 접속 정밀도가 높아, 배터리의 충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버스 바 본체의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는 양태이므로, 확장 버스 바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좋은 것이다.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는,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를 덮는 확장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 하우징은, 상기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버스 바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는, 확장 하우징에 의하여 덮여 보호되고 있고, 또한, 확장 하우징은,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외측 확장부에 접속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는, 상기 확장 하우징의 노출창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사람 등이 부주의로 외측 확장부에 접촉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은, 입력 단자와, 복수의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 바 본체와, 상기 버스 바 본체를 덮는 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확장 버스 바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외측 확장부를 상기 버스 바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입력 확장 단자를 상기 입력 단자에 서로 겹친 상태로, 상기 확장 버스 바를, 상기 버스 바 본체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버스 바 본체의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는 양태이므로, 확장 버스 바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좋은 것이다. 또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가, 버스 바 본체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외측 확장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버스 바 본체의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확장 버스 바와 버스 바 본체가 떨어지지 않게 일체적으로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력 단자와 확장 버스 바의 전기적인 접속 정밀도가 높아, 배터리의 충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은,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를 덮음과 더불어, 상기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한 확장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확장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확장 하우징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좋은 것이다. 또, 버스 바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는, 확장 하우징에 의하여 덮여 보호되고 있고, 또한, 확장 하우징은,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외측 확장부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 및 상기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도 1(a)는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버스 바 본체의 정면도, 도 1(b)는 확장 버스 바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하우징 본체의 한쪽 하우징 분할편의 정면도, 도 2(b)는 다른 한쪽의 하우징 분할편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확장 하우징의 한쪽의 확장 하우징 분할편의 정면도, 도 3(b)는 다른 한쪽의 확장 하우징 분할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멀티 링크 퓨즈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멀티 링크 퓨즈의 버스 바 본체(100), 및 확장 버스 바(50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a)는 버스 바 본체(100)의 정면도, 도 1(b)는 확장 버스 바(500)의 정면도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타발(punching)하고,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와, 회로부(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입력 단자(110)는 회로부(130)에 연결되고, 외부 단자(120)는 용단부(113)를 사이에 두고, 회로부(130)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으로부터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는, 용단부(113)가 용단되어, 외부 단자(12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단자(110)에는, 배터리 등에 접속된 단자를 삽입 통과시켜 고정하는 연결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입력 단자(110)에는, 후술하는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단자(120)에도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21)이, 회로부(130)에도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입력 단자(110)와 외부 단자(120)를 접속하는 부분인 회로부(13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양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버스 바(500)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타발하고,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확장 단자(510)와, 대략 정방형의 외측 확장부(5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입력 확장 단자(5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와 겹쳐져 밀착하여, 입력 단자(110)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입력 확장 단자(510)는 배터리 등에 접속된 단자를 삽입 통과시켜 고정하는 연결 구멍(511)과, 후술하는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확장 단자(510)가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에 겹쳐졌을 때에, 연결 구멍(511)은 입력 단자(110)의 연결 구멍(111)과, 관통 구멍(512)은 입력 단자(110)의 관통 구멍(112)과 각각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확장부(5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클립 형상의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외측 확장부(52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확장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확장부(520)의 하단(523)측은,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와 겹쳐져 밀착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하우징의 연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24)은, 버스 바 본체(100)의 관통 구멍(131)과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용 접속 단자가 부주의로 빠지지 않도록, 외측 확장부(520)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볼록부(5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외측 확장부(520)는, 클립 형상의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하기 쉽게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충전용 접속 단자를 삽입 통과시켜 고정하기 위해, 외측 확장부(520)에 연결 구멍을 형성하는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럼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멀티 링크 퓨즈의 하우징 본체(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400)는, 한 쌍의 하우징 분할편(200)과 하우징 분할편(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는 한쪽의 하우징 분할편(200)의 내측을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다른 한쪽의 하우징 분할편(300)의 외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를 수용하는 상단측 수용부(210)와, 버스 바 본체(100)의 용단부(113)를 수용하는 중앙측 수용부(220)와, 버스 바 본체(100)의 외부 단자(120)의 상단측(용단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수용부(230)와,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의 중앙 부근을 수용하는 입력 단자 수용부(240)를 구비한다. 또, 상단측 수용부(210)에는,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의 관통 구멍(131)에 관통시키는 연결 돌기(21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측 수용부(210)에는, 후술하는 확장 하우징의 일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단측 수용부(230)에는, 버스 바 본체(100)의 외부 단자(120)의 관통 구멍(121)에 관통시키는 연결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 단자 수용부(240)에는,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의 관통 구멍(112)에 관통시키는 연결 돌기(24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3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하우징 분할편(200)에 수용된 버스 바 본체(100)를 사이에 끼워 덮을 수 있도록, 하우징 분할편(200)과 대응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300)은, 하우징 분할편(200)의 상단측 수용부(210)의 연결 돌기(211)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301)과, 하우징 분할편(200)의 하단측 수용부(230)의 연결 돌기(231)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302)과, 하우징 분할편(200)의 입력 단자 수용부(240)의 연결 돌기(241)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303)을 구비하고 있다. 또, 하우징 본체(400) 내에 수용된 버스 바 본체(100)의 용단부(113)가,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우징 분할편(300)에는 투명한 수지로 만든 시인창(視認窓, 3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멀티 링크 퓨즈의 확장 하우징(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확장 하우징(800)은, 한 쌍의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과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는 한쪽의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내측을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다른 한쪽의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외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를 수용하는 수용부(610)를 구비한다. 또, 수용부(610)는, 수용부(610) 내에 수용된 외측 확장부(52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표면에서부터 이면에 걸쳐 관통된 노출창(620)을 구비한다. 또한, 수용부(610)의 양측에는,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의 관통 구멍(522)에 관통시키는 연결 돌기(61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하단 측에는, 하우징 분할편(200)의 끼워 맞춤 구멍(212)과 대응된 형상으로, 끼워 맞춤 구멍(212)과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에 수용된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를 사이에 끼워 덮을 수 있도록,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과 대응된 형상을 하고 있다. 또,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은, 확장 하우징(800) 내에 수용된 외측 확장부(52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표면에서부터 이면에 걸쳐 관통된 노출창(720)을 구비한다.
또한,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양측에는,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연결 돌기(611)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711)이, 연결 돌기(6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노출창(620)과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노출창(720)은 앞뒤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과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에 의해,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를 사이에 끼우도록 수용했을 때에,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노출창(620)으로부터 외측 확장부(520)의 이면측이,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노출창(720)으로부터 외측 확장부(520)의 표면측이, 각각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노출된 외측 확장부(520)의 표면 및 이면의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클립 형상의 충전용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일부에는, 후술하는 커버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동축(7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도 4부터 도 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H)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부터 도 8은,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H)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또, 도 4부터 도 8에 나타내는 멀티 링크 퓨즈(H)의 제조 공정에서는, 멀티 링크 퓨즈(H)는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작업원에 의해 조립되거나, 또는,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조립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립되어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를 하우징 분할편(200)에 수용함과 더불어,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을 하우징 분할편(20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00)의 상단측에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을 대고,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끼워 맞춤 돌기(612)를 하우징 분할편(200)의 끼워 맞춤 구멍(212)에 끼워 맞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을 하우징 분할편(200)에 연결 고정한다. 끼워 맞춤 돌기(612)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끼워 맞춤 구멍(212)에 연결된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은, 상방으로 빠지지 않게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00)의 각 연결 돌기(211)를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의 각 관통 구멍(131)에, 하우징 분할편(200)의 각 연결 돌기(231)를 버스 바 본체(100)의 외부 단자(120)의 각 관통 구멍(121)에, 하우징 분할편(200)의 연결 돌기(241)를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의 관통 구멍(112)에 각각 삽입 통과시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를 하우징 분할편(200)에 수용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버스 바(500)를 하우징 분할편(200) 및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에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의 관통 구멍(11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 돌기(241)를,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의 관통 구멍(512)에 관통시켜,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를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에 밀착되도록 서로 겹치게 한다. 또,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의 관통 구멍(1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 돌기(211)를,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의 하단(523)에 형성된 관통 구멍(524)에 관통시켜, 외측 확장부(520)의 하단(523)을 버스 바 본체(100)의 회로부(130)에 밀착되도록 서로 겹치게 한다. 또한,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를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수용부(610)에 수용하고,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연결 돌기(611)를 외측 확장부(520)의 관통 구멍(522)에 관통시킨다.
그러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버스 바(500)가 하우징 분할편(200) 및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 확장 버스 바(500)가 수용된 상태로, 외측 확장부(520)가 버스 바 본체(100)보다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또, 버스 바 본체(100)와 확장 버스 바(500)는, 연결 돌기(241, 211)에 의하여, 서로 떨어지지 않게 일체적으로 고정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구성에 의하여, 버스 바 본체(100)와 확장 버스 바(500)는, 서로 떨어지지 않게 일체적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300) 및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을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200)에 수용된 버스 바 본체(100) 및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를 덮어 사이에 끼우도록, 하우징 분할편(300)을 하우징 분할편(200)에 부착한다. 그 때, 버스 바 본체(100) 또는 확장 버스 바(50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하우징 분할편(200)의 각 연결 돌기(211)를, 하우징 분할편(300)의 각 삽입 통과 구멍(301)에 삽입 통과시킨다. 마찬가지로, 버스 바 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하우징 분할편(200)의 각 연결 돌기(231)를 하우징 분할편(300)의 삽입 통과 구멍(302)에, 연결 돌기(241)를 하우징 분할편(300)의 삽입 통과 구멍(303)에 각각 삽입 통과시킨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에 수용된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를 덮어 사이에 끼우도록,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을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에 부착한다. 그때, 외측 확장부(52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의 각 연결 돌기(611)를,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의 삽입 통과 구멍(711)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러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본체(100)가, 하우징 분할편(200)과 하우징 분할편(300)에 의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본체(400)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다. 또, 확장 버스 바(500)가, 하우징 본체(400)와, 확장 하우징 분할편(600) 및 확장 하우징 분할편(700)에 의하여 구성되는 확장 하우징(800)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돌출되어 있는 각 연결 돌기(611, 211, 231, 241)의 선단을 국소적으로 과열하여 주위와 용착시킴으로써, 하우징 본체(400) 및 확장 하우징(800)은 강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하우징(800)의 안측의 노출창(620)과 표면측의 노출창(720)으로부터 외측 확장부(520)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주의로 외측 확장부(520)에 접촉하지 않게, 외측 확장부(520)를 덮는 커버부(900)를 부착한다. 이 커버부(900)는, 합성 수지제로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장의 판 형상의 측벽(910 및 920), 및, 확장 하우징(800)의 회동축(730)에 연결되는 축 구멍(93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멀티 링크 퓨즈(H)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완성된 멀티 링크 퓨즈(H)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본체(4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입력 단자(110) 및 입력 확장 단자(510)에, 배터리 등의 전원에 접속된 단자를 연결하고, 하우징 본체(40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외부 단자(120)에 각종 전장품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멀티 링크 퓨즈(H)의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각 외부 단자(120)를 통하여 각종 전장품에 공급하고 있고, 과도한 전류가 흘렀을 때는, 멀티 링크 퓨즈(H)의 용단부(113)가 용단되어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또, 평상시는, 사람 등이 부주의로 외측 확장부(520)에 접촉되지 않게, 커버부(900)를 회동축(73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켜, 노출창(620, 72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외측 확장부(520)를, 커버부(900)로 덮어 가린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가 다 된 경우 등의 긴급시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커버부(900)를 회동축(73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켜, 외측 확장부(52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충전용의 다른 배터리(예를 들면, 다른 차량 등에 탑재된 배터리 등)에 접속된 충전용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외측 확장부(520)에 접속하여, 멀티 링크 퓨즈(H)의 입력 단자(110) 및 입력 확장 단자(510)에 접속된 배터리(다 된 쪽)를 충전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H)에 의하면,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가, 버스 바 본체(10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외측 확장부(52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가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와 겹쳐진 상태로, 확장 버스 바(500)와 버스 바 본체(100)가 떨어지지 않게 일체적으로 하우징 본체(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력 단자(110)와 확장 버스 바(500)의 전기적인 접속 정밀도가 높아, 배터리의 충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확장 버스 바(500)의 입력 확장 단자(510)가 버스 바 본체(100)의 입력 단자(110)와 겹쳐진 상태로 하우징 본체(400)에 고정되는 양태이므로, 확장 버스 바(500)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H)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좋은 것이다. 특히, 버스 바 본체(100)와 확장 버스 바(500)의 일부를 함께, 하우징 분할편(200)과 하우징 분할편(300)으로 사이에 끼워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버스 바 본체(100)와 확장 버스 바(500)의 전기적인 접속 정밀도가 높고, 또, 확장 버스 바(500)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H)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도 8에서는, 입력 단자(110)의 연결 구멍(111)과 입력 확장 단자(510)의 연결 구멍(511)이 겹쳐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연결 구멍(111)과 연결 구멍(511)에 볼트 형상의 충전용 접속 단자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로 체결하면, 입력 단자(110)와 입력 확장 단자(510)가 강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입력 단자(110)와 확장 버스 바(500)의 전기적인 접속 정밀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도 8에서는, 입력 단자(110)와 입력 확장 단자(510)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입력 단자(110)와 입력 확장 단자(510)가 전체적으로 서로 겹쳐져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입력 단자(110)와 입력 확장 단자(510)가 다른 형상이라도 좋고, 입력 단자(110)와 입력 확장 단자(510)는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버스 바 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 버스 바(500)의 외측 확장부(520)는, 확장 하우징(800)에 의하여 덮여 보호되고 있다. 또한, 확장 하우징(800)은, 외측 확장부(52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외측 확장부(520)에 접속할 수 있다. 또, 확장 하우징(800)의 노출창을 개폐하는 커버부(9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람 등이 부주의로 외측 확장부(520)에 접촉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확장 하우징(800)은 하우징 본체(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확장 하우징(800)의 조립을, 멀티 링크 퓨즈(H)의 동일한 제조 라인 내에서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좋은 것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 링크 퓨즈(H)의 확장 하우징(800)은, 커버부(90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버부(900)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멀티 링크 퓨즈(H)는, 확장 하우징(800)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확장 하우징(800)을 구비하지 않고, 외측 확장부(520) 전체를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해도 좋다. 또, 멀티 링크 퓨즈(H)의 확장 하우징(800)에는, 이면과 표면의 양쪽에, 노출창(620)과 노출창(720)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충전용 접속 단자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임의의 수의 노출창을,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충전용 접속 단자는, 클립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부분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열화하거나, 몇 번이나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표면에 도금 처리 등을 실시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부분을 버스 바 본체(100)에 직접 설치하면, 버스 바 본체(100) 전체를 도금 처리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제조 비용이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버스 바 본체(100)와는 별체의 확장 버스 바(500)를 설치함으로써, 확장 버스 바(500)에만 도금 처리를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멀티 링크 퓨즈, 및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예, 조합이 가능하며, 이들의 변형예,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버스 바 본체
110: 입력 단자
113: 용단부
120: 외부 단자
400: 하우징 본체
500: 확장 버스 바
510: 입력 확장 단자
520: 외측 확장부
H: 멀티 링크 퓨즈

Claims (5)

  1. 입력 단자와, 복수의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 바 본체와,
    상기 버스 바 본체를 덮는 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로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확장 버스 바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버스 바는, 상기 입력 단자와 겹치는 입력 확장 단자와, 상기 버스 바 본체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외측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입력 확장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확장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 본체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를 덮는 확장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 하우징은, 상기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하우징의 노출창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퓨즈.
  4. 입력 단자와, 복수의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 바 본체와,
    상기 버스 바 본체를 덮는 하우징 본체를 구비하는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확장 버스 바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용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외측 확장부를 상기 버스 바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입력 확장 단자를 상기 입력 단자에 서로 겹친 상태로, 상기 확장 버스 바를, 상기 버스 바 본체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버스 바의 외측 확장부를 덮음과 더불어, 상기 외측 확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구비한 확장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KR1020227024655A 2020-03-09 2021-02-18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KR20220146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9540A JP7177502B2 (ja) 2020-03-09 2020-03-09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JP-P-2020-039540 2020-03-09
PCT/JP2021/006059 WO2021182054A1 (ja) 2020-03-09 2021-02-18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421A true KR20220146421A (ko) 2022-11-01

Family

ID=7766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655A KR20220146421A (ko) 2020-03-09 2021-02-18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47348A1 (ko)
JP (1) JP7177502B2 (ko)
KR (1) KR20220146421A (ko)
CN (1) CN115066734A (ko)
WO (1) WO20211820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509A (ja) 2017-08-22 2019-03-07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を用いたバッテリーの充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3263A1 (de) * 2007-07-17 2009-01-29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en Verdrahtungskabelbaum eines Fahrzeugs
JP5384846B2 (ja) * 2008-04-03 2014-01-08 矢崎総業株式会社 救援端子構造
JP5189920B2 (ja) * 2008-07-25 2013-04-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595821B2 (ja) * 2010-07-30 2014-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ユニット
JP5944788B2 (ja) * 2012-08-10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620701B2 (ja) * 2016-08-10 2019-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救援端子部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7226190B2 (ja) * 2019-08-27 2023-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509A (ja) 2017-08-22 2019-03-07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を用いたバッテリーの充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7348A1 (en) 2023-02-16
JP2021141008A (ja) 2021-09-16
WO2021182054A1 (ja) 2021-09-16
JP7177502B2 (ja) 2022-11-24
CN115066734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611A (en) Fuse assembly
US7592892B2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EP1548785B1 (en) Fusible link unit
JP6524051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US10269524B2 (en) Multiple fuse device
CN112956068B (zh) 电池模块
WO2011126140A1 (en) Fuse unit
JP6510482B2 (ja) 導体ユニットの固定構造
CN108231616B (zh) 电压检测构造和电压检测模块
JP6183701B2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
EP3490028A1 (en) Battery module
GB2197759A (en) Electric fuse
JP5944787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4687552B2 (ja) 一体型ヒューズ
WO2014024793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220146421A (ko) 멀티 링크 퓨즈, 및 이 멀티 링크 퓨즈의 제조 방법
EP3526805A1 (en) Fuses with integrated metals
CN109326931B (zh) 分布式小型配电器、导线系统和制造方法
KR20190021158A (ko) 다련형 퓨즈, 및 상기 다련형 퓨즈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JP2985737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回路保護装置
JP4699629B2 (ja) 車両用多極形ヒューズ素子
WO2024127804A1 (ja) ヒューズ
JP7412035B1 (ja)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2013084453A (ja) ヒューズセット及び電気接続箱
JP7495255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