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812A -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812A
KR20220145812A KR1020227020398A KR20227020398A KR20220145812A KR 20220145812 A KR20220145812 A KR 20220145812A KR 1020227020398 A KR1020227020398 A KR 1020227020398A KR 20227020398 A KR20227020398 A KR 20227020398A KR 20220145812 A KR20220145812 A KR 2022014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movable
clamping piece
fix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쯔오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쯔오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쯔오 오노 filed Critical 다쯔오 오노
Publication of KR2022014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62B35/0087Arrangements for bypassing lifeline supports without lanyard dis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3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 E04G21/3242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using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6)을 포지하면서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7)와, 슬라이더 본체(7)에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난간(6)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난간(6)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롤러(R1, R2)를 구비하고, 난간(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롤러 중 일방은, 슬라이더 본체(7)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롤러(R1)로 되고, 난간(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롤러 중 타방은, 난간(6)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롤러(R2)로 되어 있고, 가동 롤러(R2)는, 각각, 부세 부재에 의해 난간(6)을 향해 부세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본 발명은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축물의 건축 현장 또는 교량 등의 구축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거나 통행하거나 하기 위한 바닥, 보(梁), 통로 등(이하, 「통로 등」이라고 함)의 단(端), 또는 그 근처에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난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난간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6-4452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로 등의 단을 따르도록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세로 지주(支柱)와, 이웃하는 세로 지주 사이에 걸쳐 놓이는 난간과, 난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명줄을 보유지지 가능한 슬라이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 슬라이더 장치는, 구명줄의 일단이 연결 가능한 것으로서 난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본체와, 슬라이더 본체의 상부와 측부에 각각 난간의 상면과 측면을 주행 가능한 롤러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구명줄을 난간 장치에 연결한 상태로 통로 등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6-44525호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더 장치에서는, 난간이 굽어 있는 경우나, 난간의 도중에 난간을 세로 지주에 연결하기 위한 난간 보유지지 부재나, 난간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부재 등의 장해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통과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난간의 굽어 있는 부분이나, 장해물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통과할 수 있는 슬라이더 장치 및 이 슬라이더 장치를 구비하는 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슬라이더 장치는, 난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명줄을 보유지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난간을 포지(抱持)하면서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상기 난간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롤러 중 일방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롤러로 되고,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롤러 중 타방은, 상기 난간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롤러로 되어 있고, 상기 가동 롤러는, 각각, 부세(付勢) 부재에 의해 상기 난간을 향해 부세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롤러는, 슬라이더 본체에 난간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에 의해 난간 측에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가, 난간의 굽어 있는 부분이나 요철이 있는 부분과 같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 가동 롤러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원근한다.
또한, 난간 장치가, 피장착 부재에 장착되어 기립하는 복수의 세로 지주와, 상기 각 세로 지주에 각각 설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와, 상기 각 난간 보유지지 부재에 보유지지되며 상기 세로 지주 사이에 걸쳐 놓이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슬라이더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 장치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대해서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구명줄을 슬라이더 장치에 장착한 상태로, 통로 등을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세로 지주에 연결되며 상기 난간을 삽입 가능한 소켓과,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난간을 상기 소켓과 함께 협지 가능한 쐐기와, 상기 쐐기를 상기 소켓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쐐기를 상기 소켓에 가압하는 빠짐방지 기구를 가지며, 상기 빠짐방지 기구는, 상기 쐐기에 상기 쐐기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長孔)과, 상기 소켓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볼트 축과, 상기 볼트 축의 외주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볼트 축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에 압축 하중을 부여하는 너트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쐐기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소켓에 항상 가압되기 때문에, 소켓과 난간의 사이에 쐐기를 삽입하여 난간을 세로 지주에 연결한 후에, 쐐기가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축의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의 조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통 형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의 조임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편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은, 상기 난간 보유지지 부재에 보유지지됨과 함께 양단부에 각각 삽통 구멍이 설치된 복수의 봉재와, 인접하는 상기 각 봉재의 서로에 대향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난간 연결 부재는, 상기 봉재를 삽입 가능한 통체와, 상기 통체에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 구멍과, 상기 각 개구 구멍에 각각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 핀과, 상기 각 스톱 핀을 각각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통체에 양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상기 봉재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각 봉재의 상기 삽통 구멍과 상기 통체의 상기 각 개구 구멍을 각각 대향시킨 상태로, 상기 각 스톱 핀이 상기 삽통 구멍과 상기 개구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봉재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봉재를 통체에 삽입하여, 봉재의 삽통 구멍과 통체의 개구 구멍을 대향시킨 상태로, 스톱 핀을 삽통 구멍과 개구 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인접하는 봉재의 단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난간 장치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간 장치는, 상기 세로 지주를 상기 피장착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편 및 고정 협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단과 상기 고정 협지편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져서 상기 세로 지주가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편과 상기 고정 협지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협지편과의 사이에 상기 피장착 부재를 협지 가능한 가동 협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고정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회전 방지되면서 상기 외통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선단에 상기 가동 협지편이 연결되는 가동축을 가지며, 상기 가동축을 상기 외통에 출입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협지편을 상기 고정 협지편에 원근시키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가동 협지편은, 상기 가동축의 선단에 접합되는 1매 판 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1세트의 측단부를 각각 상기 고정 협지편 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로 지주의 기울어짐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구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함께, 고정구가 피장착 부재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에 의하면, 난간의 굽어 있는 부분이나, 요철이 있는 부분과 같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통로 등을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나아가, 각 가동 롤러가 각각 부세 부재에 의해 난간 측으로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가 난간 위를 이동할 때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지주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지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난간 보유지지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보유지지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난간 연결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지주 장치 사이에 난간을 바꾸어 메인 로프를 걸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8의 (A)는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연결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저면도이다.
도 9의 (A)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연결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지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고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에 있어서의 고정구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몇 가지의 도면을 통하여 붙여진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는, 빌딩 등의 건축물의 건축 현장 또는 교량 등의 구축물의 구축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거나 통행하거나 하기 위한 통로 등의 단 또는 그 근처로서, 건축물이나 구축물 등의 건물의 외주에 설치되는 난간 장치(10)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 등의 단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피장착 부재로서의 H형강(2)에 고정구(3)를 통해 장착되어 기립하는 복수의 세로 지주(4)와, 각 세로 지주(4)에 각각 설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로 이루어지는 지주 장치(S)와, 각 난간 보유지지 부재(5A)에 보유지지되어 세로 지주(4, 4) 사이에 걸쳐 놓이는 난간(6)과, 난간(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장치(1)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장치(1)는, 난간(6)을 포지하면서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7)와, 슬라이더 본체(7)에 난간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난간(6)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난간(6)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롤러(R1, R2)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난간 장치(10)의 각 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난간 장치(10)의 건물과 대면하는 측을 건물측이라고 말하고, 그 반대측을 건물반대측이라고 말한다. 또한, 난간 장치(10)를 건물측에서 보았을 때의 난간 장치(10)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상하를, 간단히 「전」 「후」 「좌」 「우」 「상」 「하」라고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로 지주(4)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3)를 통해 H형강(2)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단면 사각 형상의 각진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 지주(4)의 건물반대측인 도 2 중 좌측에는, 손잡이부(8)가 설치되어 있어, 세로 지주(4)를 용이하게 들어 나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손잡이부(8)는 세로 지주(4)의 건물반대측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한편, 세로 지주(4)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둥근 파이프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세로 지주(4)는, H형강(2)에 고정구(3)에 의해 장착되었을 때에, H형강(2)으로부터 건물반대측을 향해 비스듬히 기립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통로 등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작업자가 통로 등을 보행하기 쉬워진다.
고정구(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개구하는 협지편(31)과, 협지편(31)의 상방측의 변인 상벽(부호로 나타내지 않음)의 건물측(도 2 중 우측)에 설치되는 조임 부재(32)를 구비한다. 그리고, 협지편(31)의 상벽의 건물반대측(도 2 중 좌측)에는, 세로 지주(4)가 연결되어 있다.
조임 부재(32)는, 협지편(31)의 상벽의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중심 구멍이 대향하도록 협지편(31)의 상벽에 용접된 고정 너트(32a)와, 고정 너트(32a)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 부재(32b)와, 볼트 부재(32b)의 하단에 연결되는 그릇형의 접시부(32c)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 부재(32)의 접시부(32c)와 협지편(31)의 하방측의 변인 하벽(부호로 나타내지 않음)의 사이에 H형강(2)을 배치한 상태로, 볼트 부재(32b)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 부재(32b)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H형강(2)이 접시부(32c)와 협지편(31)의 하벽에 의해 협지된다. 이에 의해, 고정구(3)는 세로 지주(4)를 H형강(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주(4)를 H형강(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볼트 부재(32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지주(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는,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측이 건물측을 향하도록 세로 지주(4)에 연결되는 단면 C자 형상의 소켓(51)과, 소켓(51) 내에 삽입 가능한 쐐기(52)와, 쐐기(52)를 소켓(5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쐐기(52)를 소켓(51)에 가압하는 빠짐방지 기구(A)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51)은, 상하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벽부(51a) 및 하벽부(51b)와, 상벽부(51a)와 하벽부(51b)의 일단끼리를 접속하는 측벽부(51c)와, 상벽부(51a)의 타단을 안쪽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상측 가이드 벽부(51d)와, 하벽부(51b)의 타단을 안쪽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하측 가이드 벽부(51e)를 갖는다. 상벽부(51a)는, 세로 지주(4)에 대해 수평이고, 또한,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하벽부(51b)는, 상벽부(51a)에 대해 도 3, 도 4에서 우측 아래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측벽부(51c)에는, 건물측에서 보아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 구멍(51f, 51f)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52)는,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51)의 하벽부(51b)를 따르도록 경사지는 저판부(52a)와, 저판부(52a)의 각 측방측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기립하는 측방판부(52b, 52b)와, 각 측방판부(52b)의 저판부반대측 단부로부터 안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하여 소켓(51)의 상벽부(51a)와 대향하는 돌출판부(52c)를 가져서 단면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쐐기 본체(5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쐐기 본체(52A)의 기단(基端)인 도 4 중 우단에는, 쐐기 본체(52A)의 우측개구를 막는 평판 형상의 폐색판(52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빠짐방지 기구(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52)의 저판부(52a)에 형성되어 쐐기(52)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52d)과, 소켓(51)의 하벽부(51b)를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하여 쐐기(52)의 장공(52d)에 삽입되는 볼트 축(53)과, 볼트 축(53)의 외주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54)과, 볼트 축(53)의 외주와 코일 스프링(54)의 내측의 사이에 장착되는 통 형상의 스페이서(55)와, 볼트 축(53)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코일 스프링(54)에 압축 하중을 부여하는 너트(56)를 구비한다. 나아가, 코일 스프링(54) 및 스페이서(55)와 너트(56)의 사이에는, 상측 와셔(57)가 개장(介裝)되어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54) 및 스페이서(55)와 저판부(52a)의 사이에는, 하측 와셔(58)가 개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빠짐방지 기구(A)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볼트 축(53)을 쐐기(52)의 장공(52d)에 삽입한다. 그 후, 볼트 축(53)에 대해 하측 와셔(58), 스페이서(55), 코일 스프링(54), 상측 와셔(57)를 이 순서로 장착한다. 그리고, 너트(56)를 스페이서(55)가 상측 와셔(57)와 하측 와셔(58)에 협지될 때까지 조인다. 마지막으로 너트(56)를 반회전 정도 느슨하게 하여, 너트(56)의 조임 하중이 스페이서(55)를 통해 쐐기(52)의 저판부(52a)에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쐐기(52)의 저판부(52a)에는,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만이 작용하므로, 쐐기(52)는,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소켓(51)의 하벽부(51b)에 가압되면서, 소켓(51) 내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빠짐방지 기구(A)는, 쐐기(52)를 소켓(5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쐐기(52)를 소켓(51)에 가압하여, 쐐기(52)와 소켓(51)의 사이에 큰 마찰력을 생기게 하고 있으므로, 쐐기(52)의 소켓(51)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55)는 각 와셔(57, 58)를 통해 너트(56)와 쐐기(52)의 저판부(52a)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와셔(58)의 내경을 스페이서(55)를 삽입 가능한 크기로 하여, 스페이서(55)를 하측 와셔(58)의 내주에 삽입하고, 스페이서(55)를 너트(56)와 볼트 축(53)의 볼트 헤드와의 사이에 개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페이서(55)를 너트(56)와 소켓(51)의 하벽부(51b)의 사이에 개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너트(56)를 조였을 때에, 너트(56)의 조임 하중이 쐐기(52)의 저판부(52a)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너트(56)를 조인 후에 반회전 정도 느슨하게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난간(6)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사각 형상의 파이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봉재(6a)와, 인접하는 봉재(6a)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부재(9)를 구비한다. 봉재(6a)의 각 단부의 하벽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삽통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6a)에는, H형강(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 형상의 것이나, 통로 등의 코너 등의 부분에 맞추어 만곡하는 형상의 것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봉재(6a, 6a)를 조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간(6)을 통로 등의 진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난간 보유지지 부재(51A)에 난간(6)을 보유지지시킬 때에는, 소켓(51) 내에 난간(6)을 삽입한 상태로, 쐐기(52)의 폐색판(52e)을 해머 등의 공구로 두드려서 쐐기(52)를 소켓(51)의 하벽부(51b)와 난간(6)의 사이에 때려 넣는다. 그러면, 소켓(51)의 상벽부(51a)와 쐐기(52)의 사이에 난간(6)이 협지되므로, 난간 보유지지 부재(51A)는 난간(6)을 보유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쐐기(52)는,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에 의해 항상 소켓(51)에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쐐기(52)와 소켓(51)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커진다. 그 때문에, 빠짐방지 기구(A)는, 소켓(51)과 난간(6)의 사이에 압입된 쐐기(52)가, 진동 등에 의해 느슨해져서 쐐기(52)가 빠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은, 너트(56)의 조임량에 의해 결정되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 축(53)의 외주에 통 형상의 스페이서(5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너트(56)를 상측 와셔(57)를 통해 스페이서(55)에 당접할 때까지 조이면, 너트(56)의 조임량이 항상 일정해진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에 편차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너트(56)를 조인 후에 반회전 정도 느슨하게 하고 있지만, 반회전 정도밖에 느슨하게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에는 거의 편차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스페이서(55)는, 코일 스프링(54)의 외주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코일 스프링(54)의 내주에 설치되면, 스페이서(55)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와셔(57, 58)의 일방 또는 양쪽 모두를 생략하고, 코일 스프링(54)을 너트(56)와 쐐기(52)의 사이에 직접 개장시켜도 된다. 다만, 상측 와셔(57)를 코일 스프링(54)과 너트(56)의 사이에 개장시킨 경우, 코일 스프링(54)이 탄발력을 발휘할 때에 생기는 회전력이 상측 와셔(57)에 작용하므로, 이 회전력이 너트(56)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너트(56)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와셔(58)를 코일 스프링(54)과 저판부(52a)에 개장시킨 경우, 코일 스프링(54)이 저판부(52a)에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난간 보유지지 부재(5A)의 소켓(51)에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 구멍(51f, 51f)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장착 구멍(51f)에 도시하지 않는 샤클(shackle)을 장착하고, 각 단부에 도시하지 않는 심블이 설치된 메인 로프(O)를 해당 심블을 통해 상기 샤클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지주 장치(S, S) 사이에 난간(6)을 대체하여 메인 로프(O)를 걸쳐 놓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지주(4)의 중간에도 난간 보유지지 부재(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 보유지지 부재(5B)의 구성은, 장착 구멍(51f)을 갖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세로 지주(4)의 상단에 설치된 난간 보유지지 부재(5A)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세로 지주(4)에 설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5A, 5B)의 수는 적절히 결정되면 되고, 세로 지주(4)의 중간에 배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5B)는 생략되어도 된다.
난간 연결 부재(9)는,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6a)를 삽입 가능한 통체(11)와, 통체(11)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 구멍(11a, 11a)과, 각 개구 구멍(11a)에 각각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 핀으로서의 핀 로드(12)와, 각 핀 로드(12)를 각각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13)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1)는 단면 사각 형상의 파이프 재료로서, 봉재(6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개구 구멍(11a, 11a)은, 통체(11)의 하벽(11b)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통체(11)의 중앙에는, 통체(11)의 내부를 밖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창(11c)이 설치되어 있다.
통체(11)에는,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1)의 외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여 개구 구멍(11a)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편(14a, 14a)과, 각 수직편(14a, 14a)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편(14b)을 가져 핀 로드(12)를 보유지지하는 케이스(14)가, 개구 구멍(11a)마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의 접속편(14b)에는, 개구 구멍(11a)과 대향하는 위치에 핀 구멍(14c)이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수직편(14a)은, 각각, 일단측으로부터 절결되어 핀 로드(1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오목홈(14d)을 구비하고 있다. 즉, 오목홈(14d)은, 각 수직편(14a)에 대해 핀 로드(12)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 로드(12)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4)에 설치된 핀 구멍(14c)과 통체(11)에 설치된 개구 구멍(11a)에 선단부가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본체(12a)와, 핀 본체(12a)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형상의 스톱퍼(12b)와, 핀 본체(12a)의 기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서의 링(12c)을 갖는다. 그리고, 핀 로드(12)를 축 주위로 회전시켜, 스톱퍼(12b)를 케이스(14)의 오목홈(14d)에 걸면, 핀 로드(12)는 개구 구멍(11a)에 삽입되지 않은 위치에서 고정된다.
나아가, 코일 스프링(13)은, 핀 로드(12)의 스톱퍼(12b)와 케이스(14)의 접속편(14b)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고, 핀 로드(12)를 개구 구멍(11a)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난간 연결 부재(9)에 의해, 인접하는 봉재(6a, 6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통체(11)의 양측으로부터 각 봉재(6a, 6a)를 각각 삽입하고, 창(11c)을 통하여 각 봉재(6a, 6a)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각 봉재(6a, 6a)의 단부를 통체(11)의 중앙 위치에서 대향시킴과 함께 각 봉재(6a)의 삽통 구멍(6b)과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을 대향시킨다. 여기서, 봉재(6a)의 삽통 구멍(6b)은, 봉재(6a)의 단부가 통체(11)의 중앙 부근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체(11)의 중앙에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창(11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봉재(6a)가 통체(11)에 대해 어느 정도 삽입되어 있는지를 시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봉재(6a)의 삽통 구멍(6b)과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을 용이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핀 로드(12)를 축 주위로 회전시켜 스톱퍼(12b)를 케이스(14)의 오목홈(14d)으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각 봉재(6a)의 삽통 구멍(6b)과 통체(11)의 각 개구 구멍(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각 핀 로드(12)의 핀 본체(12a)를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에 삽입하면, 인접하는 각 봉재(6a, 6a)의 단부가 각각 통체(11)에 고정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각 봉재(6a)의 단부끼리가, 통체(11)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이 때, 코일 스프링(13)이 스톱퍼(12b)를 통체(11)의 외주에 가압하도록 하여, 핀 로드(12)를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기 때문에, 핀 로드(12)는,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도 6의 (A) 중 우측의 핀 로드(12)를 참조).
반대로, 인접하는 각 봉재(6a, 6a)의 단부끼리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링(12c)을 잡고 코일 스프링(13)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핀 로드(12)를 빼냄과 함께, 핀 로드(12)를 축 주위로 회전시켜, 핀 로드(12)의 스톱퍼(12b)를 케이스(14)에 설치된 오목홈(14d)에 걸어 핀 로드(12)를 고정한다. 그러면, 케이스(14)는, 핀 로드(12)를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으로부터 뺀 상태로, 보유지지할 수 있다 (도 6의 (A) 중 좌측의 핀 로드(12)를 참조).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난간 연결 부재(9)의 구성은 일례이며, 상기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형태로서, 난간 연결 부재(9A)가,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1)의 하벽(11b)에 있어서의 각 개구 구멍(11a, 11a) 사이에 설치되어 통체(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축(15)과, 지지 축(15)을 보유지지하는 제1 브래킷(16)과, 해당 지지 축(15)에 감겨져 고정되는 코일부(17a)와 코일부(17a)의 양단부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아암부(17b)를 갖는 스프링 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7)과, 각 아암부(17b)에 고정됨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부세되어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에 삽입되는 스톱 핀으로서의 제1 핀 부재(18)를 가지고 구성되어도 된다.
이 난간 연결 부재(9A)에 의해, 인접하는 봉재(6a, 6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의 (A)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핀 부재(18)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7)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개구 구멍(11a)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통체(11)에 봉재(6a)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1 핀 부재(18)의 선단을 통체(11)의 외주에 접촉시키면서, 봉재(6a)를 통체(11)에 삽입해 가면,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이 대향했을 때에, 제1 핀 부재(18)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7)의 부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통 구멍(6b)에 삽입되므로, 인접하는 봉재(6a, 6a)의 단부끼리가 통체(11)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난간 연결 부재(9B)가,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1)의 하벽(11b)에 있어서의 각 개구 구멍(11a, 11a)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브래킷(19)과, 제2 브래킷(19)에 보유지지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의 스프링 본체(20a)와, 스프링 본체(20a)의 양단부로부터 통체(1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지지부(20b)를 갖는 스프링 부재로서의 판스프링(20)과, 지지부(20b)에 고정됨과 함께 판스프링(20)에 의해 부세되어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에 삽입되는 스톱 핀으로서의 제2 핀 부재(21)를 가지고 구성되어도 된다.
이 난간 연결 부재(9B)에 의해, 인접하는 봉재(6a, 6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순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의 난간 연결 부재(9A)와 마찬가지의 순서이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는, 각 세로 지주(4)의 상단에 설치된 난간 보유지지 부재(5A, 5A) 사이에 걸쳐 놓여진 난간(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 슬라이더 장치(1)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간(6)을 포지하면서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7)와, 슬라이더 본체(7)에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난간(6)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난간(6)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2세트의 쌍을 이루는 롤러(R1, R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 본체(7)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간(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난간(6)의 가로 폭보다 폭이 넓은 상벽부(7a)와, 상벽부(7a)의 각 측단으로부터 각각 하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부(7b, 7c)와, 각 측벽부(7b, 7c)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안쪽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7d, 7d)를 가져서 단면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7d, 7d) 사이의 거리는, 난간(6)의 가로 폭보다 짧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나아가, 각 돌출부(7d, 7d) 사이의 거리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지주(4)의 상단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에 있어서의 세로 지주(4) 위를 주행할 때에, 돌출부(7d, 7d) 사이의 스페이스를 세로 지주(4)가 통과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에 있어서의 세로 지주(4) 위를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본체(7)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난간(6)을 포지할 수 있음과 함께 난간(6)에 있어서의 세로 지주(4) 위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7)의 상벽부(7a)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장치(1)의 주행 방향에 대해 전후에는, 각각 절결(도시하지 않음)와, 해당 절결 내에 삽입되어 난간(6)의 상면을 주행 가능한 상부 롤러(R3)와, 이 상부 롤러(R3)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상부 롤러용 브래킷(22)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본체(7)의 일방 측벽부(7b)와 타방 측벽부(7c)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개구부(7e, 7f)가, 슬라이더 본체(7)의 전후 방향을 따라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7)의 일방 측벽부(7b)와 타방 측벽부(7c)의 전단과 후단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바깥쪽을 향해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부(7g, 7h)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부(7g, 7h)는, 예를 들면, 이웃하는 난간(6, 6)끼리가 난간 연결 부재(9)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건물측에서 보아서 앞뒤로 어긋나 있었다 하더라도, 슬라이더 본체(7)가, 난간(6)으로부터 옆의 난간(6)으로 옮겨갈 때에 슬라이더 본체(7)를 안내하여 원활하게 난간(6, 6) 사이의 이동을 실현한다. 그리고,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7)의 일방 측벽부(7b)에는, 각각, 각 개구부(7e)를 통해 난간(6)의 일방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고정 롤러(R1)와, 고정 롤러(R1)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고정 롤러용 브래킷(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7)의 일방 측벽부(7b)의 고정 롤러(R1, R1) 사이에는, 구명줄을 장착 가능한 구명줄 장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7)의 타방 측벽부(7c)에는, 각각, 각 개구부(7f)를 통하여 난간(6)의 타방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가동 롤러(R2)와, 가동 롤러(R2)를 난간(6)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이 1개씩 설치되어 합계 2개 설치되어 있다.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은, 슬라이더 본체(7)의 타방 측벽부(7c)에 있어서의 개구부(7f)의 상하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고 서로 대향하는 장공(26e, 26f)을 갖는 상판부(26a) 및 하판부(26b)와, 각 판부(26a, 26b)의 단부끼리를 접속함과 함께 개구 구멍(26d)을 갖는 저판부(26c)를 갖는 스프링 케이스(26)를 구비한다. 나아가,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은, 스프링 케이스(2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가동 롤러(R2)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가동 브래킷(28)과, 가동 브래킷(28)에 연결됨과 함께 스프링 케이스(26)의 개구 구멍(26d)에 삽통되는 로드(27)를 구비한다. 게다가,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은, 로드(27)의 외주에 장착됨과 함께 스프링 케이스(26)의 저판부(26c)와 가동 브래킷(28)의 사이에 개장되어 가동 브래킷(28)을 통해 가동 롤러(R2)를 난간(6)을 향해 부세하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29)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브래킷(28)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판부(28a, 28a)와, 각 평판부(28a)의 일단끼리를 접속하는 접속판부(28b)를 가져서 단면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케이스(2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대향하는 평판부(28a, 28a) 사이에는, 가동 롤러(R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28c)이 걸쳐 놓여져 있다. 나아가, 가동 브래킷(28)의 접속판부(28b)에는, 로드(27)의 일단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로드(27)의 기단에는, 개구 구멍(26d)의 직경보다 외경이 큰 스톱퍼 링(30)이 설치되어 있어, 가동 브래킷(28)이 스프링 케이스(26)로부터 탈락하지 않고서 스프링 케이스(26)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톱퍼 링(3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27)의 기단에 나사 홈을 설치하여 해당 나사 홈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스톱퍼 링(30)은, 로드(27)의 기단에 용접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동 브래킷(28)의 평판부(28a, 28a)는, 스프링 케이스(26)의 상판부(26a) 및 하판부(26b)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브래킷(28)이 스프링 케이스(26) 내를 이동할 때에, 가동 브래킷(28)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가 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브래킷(28)의 평판부(28a, 28a) 사이에 걸쳐 놓여진 회전축(28c)은, 양쪽 평판부(28a, 28a)를 관통하는 볼트(28d)와, 볼트(28d)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볼트(28d)를 평판부(28a)에 고정하는 너트(28e)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28c)이 평판부(28a)로부터 도면 중 상하로 돌출하여, 스프링 케이스(26)에 설치된 장공(26e, 26f)을 통하여 스프링 케이스(26)의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스프링 케이스(26)의 상판부(26a)와 하판부(26b)에 설치된 장공(26e, 26f)은, 가동 브래킷(28)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고, 가동 브래킷(28)의 이동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회전축(28c)에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브래킷(28)은, 회전축(28c)이 스프링 케이스(26)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스프링 케이스(26) 내를 도면 중 좌우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다만, 회전축(28c)이 평판부(28a)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공(26e, 26f)은, 생략되어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는, 난간(6)의 상면을 주행 가능한 2개의 상부 롤러(R3)와, 난간(6)의 일방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2개의 고정 롤러(R1)와, 이들 고정 롤러(R1)와 함께 난간(6)을 사이에 두고 난간(6)의 타방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2개의 가동 롤러(R2)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장치(1)는, 이들 롤러(R1, R2, R3)에 의해 난간(6)의 외주를 주행시킴으로써, 난간(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가동 롤러(R2)는,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에 의해, 난간(6)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난간(6) 측으로 부세되고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의 굽어 있는 부분이나,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나 난간 연결 부재(9)의 요철이 있는 부분과 같은 슬라이더 장치(1)의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가동 롤러(R2)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원근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는, 난간(6)의 굽어 있는 부분을 주행할 때에는, 굽은 곳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나 난간 연결 부재(9) 등의 장해물이 있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장해물을 타고 넘어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에서는, 각 가동 롤러(R2)가 각각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부세되고 있으므로, 고정 롤러(R1)와 가동 롤러(R2)에 의해 난간(6)을 단단히 협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가동 롤러용 브래킷(25)의 구성은 일례이며,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 장치(1)는, 난간(6)을 포지하면서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7)와, 슬라이더 본체(7)에 난간(6)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2위치에 설치되며 난간(6)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난간(6)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2세트의 쌍을 이루는 롤러(R1, R2)를 구비하고, 난간(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롤러 중 일방은, 슬라이더 본체(7)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롤러(R1)로 되고, 난간(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롤러 중 타방은, 난간(6)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롤러(R2)로 되어 있고, 가동 롤러(R2)는, 각각,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난간(6)을 향해 부세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롤러(R2)는, 슬라이더 본체(7)에 난간(6)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난간(6) 측으로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의 굽어 있는 부분이나, 난간 보유지지 부재(5A)나 난간 연결 부재(9) 등의 요철이 있는 부분과 같은 슬라이더 장치(1)의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 가동 롤러(R2)가 원활한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원근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장치(1)는, 난간(6)의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대해서도 통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각 가동 롤러(R2)가 각각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난간(6) 측으로 부세되고 있어, 가동 롤러(R2)의 난간(6)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지므로,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 상을 이동할 때에, 가동 롤러(R2)와 난간(6)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유격이 생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 본체(7)에는, 난간(6)의 측면을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는 롤러(고정 롤러(R1) 및 가동 롤러(R2))가, 2세트 설치되어 있지만, 3세트 이상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 본체(7)의 도 10 중 우측에 배치되는 롤러를 고정 롤러(R1)로 하고, 슬라이더 본체(7)의 도 10 중 좌측에 배치되는 롤러를 가동 롤러(R2)로 하고 있지만, 고정 롤러(R1)와 가동 롤러(R2)는 서로 바꾸어 배치되어도 되고, 고정 롤러(R1)와 가동 롤러(R2)가 좌우에서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부세 부재는, 코일 스프링(29)에는 한정되지 않고, 가동 롤러(R2)를 난간(6)을 향해 부세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고무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는, 피장착 부재로서의 H형강(2)에 장착되어 기립하는 복수의 세로 지주(4)와, 각 세로 지주(4)에 각각 설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5A)와, 각 난간 보유지지 부재(5A)에 보유지지되어 세로 지주(4, 4) 사이에 걸쳐 놓이는 난간(6)과, 난간(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 장치(1)가, 난간(6)의 주행을 방해하는 부분의 형상에 대해서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구명줄을 슬라이더 장치(1)에 장착한 상태로, 통로 등을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난간 보유지지 부재(5A, 5B)는, 세로 지주(4)에 연결되어 난간(6)을 삽입 가능한 소켓(51)과, 소켓(51)에 삽입되어 난간(6)을 소켓(51)과 함께 협지 가능한 쐐기(52)와, 쐐기(52)를 소켓(5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쐐기(52)를 소켓(51)에 가압하는 빠짐방지 기구(A)를 가지며, 빠짐방지 기구(A)는, 쐐기(52)에 쐐기(52)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52f)과, 소켓(51)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돌출하여 쐐기(52)의 장공(52f)에 삽입되는 볼트 축(53)과, 볼트 축(53)의 외주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54)과, 볼트 축(53)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코일 스프링(54)에 압축 하중을 부여하는 너트(56)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쐐기(52)가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소켓(51)에 항상 가압되기 때문에, 소켓(51)과 난간(6)의 사이에 쐐기(52)를 삽입하여 난간(6)을 세로 지주(4)에 연결한 후에, 쐐기(52)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쐐기(52)는, 소켓(51)의 하벽부(51b)와 난간(6)의 사이에 압입되고 있었지만, 쐐기(52)를 소켓(51)의 상벽부(51a)를 따르도록 설치하여, 쐐기(52)를 소켓(51)의 상벽부(51a)와 난간(6)의 사이에 압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 축(53)의 외주에 너트(56)의 조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통 형상의 스페이서(55)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56)를 스페이서(55)에 당접할 때까지 조이면, 너트(56)의 조임량이 항상 일정해지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에 편차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너트(56)를 조인 후에 반회전 정도 느슨하게 하고 있지만, 반회전 정도밖에 느슨하게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4)의 부세력에는 거의 편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에서는, 난간(6)은, 난간 보유지지 부재(5A, 5B)에 보유지지됨과 함께 양단부에 각각 삽통 구멍(6b)이 설치된 복수의 봉재(6a, 6a)와, 인접하는 각 봉재(6a, 6a)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부재(9)를 가지며, 난간 연결 부재(9)는, 봉재(6a)를 삽입 가능한 통체(11)와, 통체(11)에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 구멍(11a)과, 각 개구 구멍(11a)에 각각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 핀(핀 로드(12))과, 각 스톱 핀을 각각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코일 스프링(13))를 가지며, 통체(11)에 양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봉재(6a)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각 봉재(6a)의 삽통 구멍(6b)과 통체(11)의 각 개구 구멍(11a)을 각각 대향시킨 상태로, 각 스톱 핀이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봉재(6a, 6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봉재(6a)를 통체(11)에 삽입하여, 봉재(6a)의 삽통 구멍(6b)과 통체(11)의 개구 구멍(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스톱 핀을 삽통 구멍(6b)과 개구 구멍(11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인접하는 봉재(6a)의 단부끼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난간(6)을 분해할 때에는, 스톱 핀을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빼내기만 하면 되고, 공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이 난간 연결 부재(9)는, 통체(11)와 스톱 핀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난간 장치(10A)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A)의 구성은, 고정구(3)의 구성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공통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구(40)는, 도 12,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편(41a) 및 고정 협지편(41b)과, 지지편(41a)의 일단과 고정 협지편(41b)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편(41c)을 가져서 세로 지주(4)가 고정되는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지지편(41a)과 고정 협지편(41b)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가동 협지편(44)과, 지지편(41a)에 장착되며 가동 협지편(44)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부(42)를 갖는다. 도 13, 도 14에는, 본 실시형태의 고정구(40)만이 나타내어져 있고, 세로 지주(4)나 H형강(2)은 생략되어 있다.
본체부(41)는, 금속제로서, 단조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지지편(41a), 고정 협지편(41b) 및 연결편(41c)이 이음매 없이 일체화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C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41)의 고정 협지편(41b)에는, 보강용의 리브(43)가 건물측에서 보아서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협지편(41b)은, 건물측에서 보아서 전후 방향으로 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41)의 재질 및 성형 방법, 및, 리브(43)의 위치, 수, 및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41a), 고정 협지편(41b) 및 연결편(41c)은, 그 일부가 별체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과 용접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접합되어 본체부(41)로서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41)의 지지편(41a)과 고정 협지편(41b)에는, 조작부(4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41d)과 삽통 구멍(41e)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지지편(41a)에 있어서의 장착 구멍(41d)의 건물반대측에, 구멍(41f)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41f)의 가장자리 부분에 세로 지주(4)의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접합된다. 이에 의해, 세로 지주(4)가 지지편(41a) 상으로 기립한다.
조작부(42)는, 장착 구멍(41d)에 삽입되어 지지편(41a)에 기립한 상태로 고정되는 사각통 형상의 외통(42a)과, 이 외통(42a) 내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가동축(42b)과, 외통(42a)의 상단을 막는 덮개부(42c)와, 가동축(42b)의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42d)와, 덮개부(42c)를 관통하여 외통(42a) 내로 삽입되어 너트(42d)에 나사결합되는 볼트(42e)와, 덮개부(42c)와 너트(42d)의 사이에 위치하며 볼트(42e)에 고정되는 빠짐방지 링(42f)을 갖는다. 지지편(41a)에 형성된 장착 구멍(41d)은 외통(42a)의 외주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통(42a)의 하단부가 장착 구멍(41d)에 삽통되어, 그 상하의 가장자리와 외통(42a)의 외주가 용접된다.
덮개부(42c)는 L자 형상으로서, 각 면이 세로 지주(4)의 외주와 외통(42a)의 상단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42c)의 외통(42a)의 상단에 용접된 부분의 중앙에는, 그 두께를 관통하는 삽통 구멍(42g)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통 구멍(42g)에 볼트(42e)의 나사축(42h)이 삽통되어 있다. 볼트(42e)는, 그 나사축(42h)과, 이 나사축(42h)의 선단에 위치하며 외경이 나사축(42h)의 외경보다 큰 볼트 헤드(42i)를 포함한다. 삽통 구멍(42g)의 직경은, 볼트 헤드(42i)의 외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볼트(42e)의 나사축(42h)을 덮개부(42c) 위로부터 외통(42a) 내로 삽입하면, 볼트 헤드(42i)가 덮개부(42c)에 걸려서, 나사축(42h)만이 외통(42a) 내로 삽입된다.
외통(42a) 내로 삽입된 나사축(42h)의 외주로서 덮개부(42c)의 근방에, 빠짐방지 링(42f)이 용접된다. 이 빠짐방지 링(42f)의 외경은, 삽통 구멍(42g)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외통(42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나아가, 빠짐방지 링(42f)으로부터 볼트 헤드(42i)까지의 거리는, 덮개부(42c)의 판두께보다 약간 길다. 이에 의해, 볼트(42e)의 외통(42a)에 대한 둘레 방향의 회전이 허용됨과 함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볼트(42e)가 외통(42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빠짐방지 링(42f)은, 그 내주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로 되어 있고, 볼트(42e)의 나사축(42h)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외통(42a)에 있어서의 덮개부(42c)의 바로 아래에는, 건물측(도 14 중 우측)으로 개구하는 개구 창(42j)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그 개구 창(42j)으로부터 외통(42a) 내로 빠짐방지 링(42f)을 삽입하고, 덮개부(42c)의 상방으로부터 외통(42a) 내로 삽입한 나사축(42h)의 외주에 빠짐방지 링(42f)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빠짐방지 링(42f)을 나사축(42h)의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빠짐방지 링(42f)을 나사축(42h)에 용접한다.
이와 같이, 빠짐방지 링(42f)을 너트로 함으로써, 빠짐방지 링(42f)을 볼트(42e)의 나사축(42h)의 임의의 위치에서 가(假)멈춤한 상태로 용접할 수 있으므로, 빠짐방지 링(42f)을 볼트(42e)에 고정하기 쉽다. 그러나, 빠짐방지 링(42f)은, 내주에 나사홈이 없는 단순한 링이어도 된다. 나아가, 빠짐방지 링(42f)을 대체하여, 핀 등을 볼트(42e)의 나사축(42h)에 직교하도록 삽입하여 볼트(42e)의 빠짐방지부로 해도 되고, 볼트(42e)가 외통(42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부재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외통(42a) 내로 삽입된 나사축(42h)의 외주로서 빠짐방지 링보다 하측에는, 너트(42d)가 나사결합된다. 그 너트(42d)의 하단에는, 가동축(42b)의 상단이 용접되어 있어, 가동축(42b)과 너트(42d)가 일체로 되어 움직인다. 너트(42d)의 외주 형상은 사각 기둥 형상이며, 각 측면이 사각통 형상인 외통(42a)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한다. 나아가, 원통 형상의 가동축(42b)의 외경은, 너트(42d)의 1변의 길이(서로 대향하는 측면 간의 거리)와 동등하고, 가동축(42b)의 둘레 방향의 4군데가 외통(42a)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외통(42a) 내를 슬라이딩하는 가동축(42b)이 외통(42a) 내에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서로 미끄럼 접촉하는 외통(42a)의 내주 형상과 너트(42d)의 외주 형상이 모두 진원이 아닌 형상이다. 이 때문에, 가동축(42b)은, 그 너트(42d)에 의해 외통(42a)에 대한 둘레 방향의 회전이 저지(회전 방지)된다.
또한,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축(42b)은, 외통(42a)의 하단 개구로부터 외통(42a) 내에 삽입되어, 하단을 외통(42a)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고정 협지편(41b)에 형성된 삽통 구멍(41e)은, 가동축(42b)의 삽통을 허용 가능한 크기이며, 조작부(42)를 본체부(41)에 조립할 때에 삽통 구멍(41e)을 통하여 가동축(42b)을 외통(42a)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축(42b)의 축방향 길이가 지지편(41a)과 고정 협지편(41b)의 간격보다 길더라도, 지지편(41a)에 고정된 외통(42a) 내로 가동축(42b)을 삽통할 수 있다. 또한, 외통(42a) 밖으로 돌출하는 가동축(42b)의 하단에는, 가동 협지편(44)이 용접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볼트(42e)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송 나사에 의해 가동축(42b)이 너트(42d)와 함께 보내져서 외통(42a)으로부터 퇴출하여, 가동 협지편(44)이 고정 협지편(41b)에 접근한다. 또한, 볼트(42e)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축(42b)이 너트(42d)와 함께 되돌아와서 외통(42a) 내로 침입하여, 가동 협지편(44)이 고정 협지편(41b)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42)는, 이송 나사 기구에 의해 가동축(42b)을 외통(42a)에 출입시켜, 가동 협지편(44)을 고정 협지편(41b)에 대해 원근하게 한다.
따라서, 가동 협지편(44)과 고정 협지편(41b)의 사이에 H형강(2)을 배치한 상태로, 볼트(42e)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축(42b)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H형강(2)이 가동 협지편(44)과 고정 협지편(41b)에 의해 협지되므로, 고정구(40)는, 세로 지주(4)를 H형강(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주(4)를 H형강(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볼트(42e)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계속해서, 가동 협지편(44)은, 1매의 사각 형상의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축(42b)의 하단에 접합되는 평판부(44a)와, 평판부(44a)의 좌우단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구부러지는 절곡부(44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가동 협지편(44)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접시부(32c)와 같이, 그릇형으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그릇형으로 하면 기장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의 굽힘강도를 보다 높게 하기 위해, 가동 협지편(44)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고정구(40)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에, 가동 협지편(44)의 굽힘강도를 높이면서, 고정구(40)의 대형화를 억제하기 위해, 가동 협지편(44)을 1매의 평판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평판 형상의 가동 협지편(44)은, 그릇형의 가동 협지편(44)에 비해 기장이 짧으므로, 굽힘강도를 높게 하기 위해 가동 협지편(44)의 두께를 두껍게 하더라도, 고정구(40)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가동 협지편(44)은, 가동축(42b)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변형에 의해, 가동 협지편(44)에 있어서의 H형강(2)과 당접하는 당접면에 볼록부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가동 협지편(44)은, 해당 볼록부의 한군데에서 H형강(2)에 당접하게 된다. 그러면, 세로 지주(4)에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 가동 협지편(44)이 H형강(2)에 대해 볼록부의 한군데에서만 당접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구(40)가 미끄러져 H형강(2)으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은, 평판부(44a)의 좌우단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구부러지는 절곡부(44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이 H형강(2)에 대해 적어도 2군데에서 당접한다. 그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을 단지 1매의 평판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세로 지주(4)에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구(40)가 미끄러져 H형강(2)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은, 1매 판 형상의 평판부(44a)의 좌우단을 하방측을 향해 절곡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을 그릇형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 협지편(44)의 기장이 짧다. 그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의 두께를 두껍게 하더라도, 고정구(40)의 대형화는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통로 등으로부터 낙하하여 난간(6)에 작업자의 체중이 작용함으로써 난간(6)이 구부러지거나 하여 세로 지주(4)에 난간(6)의 연장 방향의 도 12 중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고정구(40)가 세로 지주(4)와 함께 좌 또는 우로 기울어지려고 하여, 가동 협지편(44)에 굽힘력이 부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협지편(44)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굽힘강도(강성)를 높게 하고 있으므로, 그 부하에 의해 가동 협지편(44)이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작업자가 통로 등으로부터 낙하한 경우, 세로 지주(4)에는,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 외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도 작용한다. 그리고, 세로 지주(4)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 가동 협지편(44)의 후방측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가동 협지편(44)에 대해서는, 가동 협지편(44)의 전방측을 후방측에 대해 절곡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의 절곡부(44b)는, 평판부(44a)의 좌우단, 즉, 평판부(44a)에 있어서의 난간(6)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1세트의 측단부를 하방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로 지주(4)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가동 협지편(44)의 전방측을 절곡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굽힘강도가 특히 높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에 의하면, 세로 지주(4)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도, 가동 협지편(44)이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고정구(40)에서는, 고정구(4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세로 지주(4)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의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 지주(4)에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구(40)가 미끄러져 H형강(2)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A)에 있어서, 세로 지주(4)를 피장착 부재로서의 H형강(2)에 고정하는 고정구(4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편(41a) 및 고정 협지편(41b)과, 지지편(41a)의 일단과 고정 협지편(41b)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편(41c)을 가져서 세로 지주(4)가 고정되는 본체부(41)와, 지지편(41a)과 고정 협지편(41b)의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 협지편(41b)과의 사이에 피장착 부재를 협지 가능한 가동 협지편(44)과, 지지편(41a)에 고정되는 외통(42a)과, 외통(42a)에 회전 방지되면서 외통(42a)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선단에 가동 협지편(44)이 연결되는 가동축(42b)을 가지며, 가동축(42b)을 외통(42a)에 출입시킴으로써 가동 협지편(44)을 고정 협지편(41b)에 원근시키는 조작부(42)를 가지며, 가동 협지편(44)은, 1매 판 형상의 평판부(44a)와, 평판부(44a)에 있어서의 난간(6)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1세트의 측단부를 각각 고정 협지편(41b) 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44b)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협지편(44)의 기장이, 그릇형으로 형성된 가동 협지편(44)의 기장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강도 확보를 위해 가동 협지편(44)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였다 하더라도, 고정구(40)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A)에 의하면, 고정구(40)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가동 협지편(44)의 판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여 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세로 지주(4)에 큰 모멘트가 작용하여도, 가동 협지편(44)이 크게 변형되어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은, 평판부(44a)에 있어서의 난간(6)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1세트의 측단부를 고정 협지편(41b) 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44b)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동 협지편(44)은, 세로 지주(4)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동 협지편(44)의 전방측을 절곡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굽힘강도가 높다. 그 때문에, 세로 지주(4)에 후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가동 협지편(44)이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가동 협지편(44)은, 평판부(44a)에 있어서의 1세트의 측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44b)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이 H형강(2)에 대해 적어도 2군데에서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을 단지 1매의 평판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세로 지주(4)에 난간(6)에 건물측에서 보아서 우방향 또는 좌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구(40)가 미끄러져 H형강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난간 장치(10A)에 의하면, 고정구(4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세로 지주(4)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의 세로 지주(4)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 지주(4)에 좌방향 또는 우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구(40)가 미끄러져 H형강(2)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44b)는, 난간(6)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평판부(44a)의 1세트의 측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라 하더라도, 가동 협지편(44)이 H형강(2)에 대해 2군데에서 당접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는 발휘된다. 그러나, 이 경우, 세로 지주(4)에 난간(6)의 연장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고정구(40)가 세로 지주(4)와 함께 기울어지려고 하여, 가동 협지편(44)에 굽힘력이 부하될 때에, 각 절곡부(44b)가 각각 H형강(2)에 대해 점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절곡부(44b)를 난간(6)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평판부(44a)의 1세트의 측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경우, 세로 지주(4)에 난간(6)의 연장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고정구(40)가 세로 지주(4)와 함께 기울어지려고 하여, 가동 협지편(44)에 굽힘력이 부하될 때에, 각 절곡부(44b)가 각각 H형강(2)에 대해 선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커져, 보다 H형강(2)으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워진다.
한편, H형강(2)에 당접하는 위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평판부(44a)의 당접면에 리브를 용접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세로 지주(4)에 난간(6)의 연장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여, 가동 협지편(44)에 굽힘력이 부하될 때에, 리브에 힘이 집중하기 때문에, 리브가 평판부(44a)로부터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절곡부(44b)는, 평판부(44a)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걱정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협지편(44)이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어 있어, 굽힘에 대한 강도가 높다. 이 때문에, 가동 협지편(44)에 굽힘력이 작용하더라도, 가동 협지편(4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가동 협지편(44)의 굽힘에 대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으면, 가동 협지편(44)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에 한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개조,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본원은, 2020년 3월 6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20-03858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1: 슬라이더 장치 2: H형강(피장착 부재)
3, 40: 고정구 4: 세로 지주
5A, 5B: 난간 보유지지 부재 6: 난간
6a: 봉재 6b: 삽통 구멍
7: 슬라이더 본체 9, 9A, 9B: 난간 연결 부재
10, 10A: 난간 장치 11: 통체
11a: 개구 구멍 12: 핀 로드(스톱 핀)
13: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 17: 비틀림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
18: 제1 핀 부재(스톱 핀) 20: 판스프링(스프링 부재)
21: 제2 핀 부재(스톱 핀) 29: 코일 스프링(부세 부재)
41: 본체부 41a: 지지편
41b: 고정 협지편 41c: 연결편
42: 조작부 42a: 외통
42b: 가동축 44: 가동 협지편
44a: 평판부 44b: 절곡부
51: 소켓 52: 쐐기
52f: 장공 53: 볼트 축
54: 코일 스프링 55: 스페이서
56: 너트 A: 빠짐방지 기구
R1: 고정 롤러 R2: 가동 롤러

Claims (6)

  1. 슬라이더 장치로서,
    난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명줄을 보유지지 가능한 슬라이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을 포지(抱持)하면서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의 측면을 사이에 둠과 함께 상기 난간의 측면을 주행 가능한 복수의 쌍을 이루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롤러 중 일방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 롤러로 되고,
    상기 난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롤러 중 타방은, 상기 난간에 대해 원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롤러로 되어 있고,
    상기 가동 롤러는, 각각, 부세(付勢) 부재에 의해 상기 난간을 향해 부세되고 있는, 슬라이더 장치.
  2. 난간 장치로서,
    피장착 부재에 장착되어 기립하는 복수의 세로 지주와,
    상기 각 세로 지주에 각각 설치되는 난간 보유지지 부재와,
    상기 각 난간 보유지지 부재에 보유지지되며 상기 세로 지주 사이에 걸쳐 놓이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항에 기재된 슬라이더 장치를 구비하는, 난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세로 지주에 연결되며 상기 난간을 삽입 가능한 소켓과,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난간을 상기 소켓과 함께 협지 가능한 쐐기와,
    상기 쐐기를 상기 소켓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쐐기를 상기 소켓에 가압하는 빠짐방지 기구를 가지며,
    상기 빠짐방지 기구는,
    상기 쐐기에 상기 쐐기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長孔)과,
    상기 소켓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볼트 축과,
    상기 볼트 축의 외주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볼트 축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에 압축 하중을 부여하는 너트를 갖는, 난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축의 외주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측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의 조임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통 형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난간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난간 보유지지 부재에 보유지지됨과 함께 양단부에 각각 삽통 구멍이 설치된 복수의 봉재와, 인접하는 상기 각 봉재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연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난간 연결 부재는, 상기 봉재를 삽입 가능한 통체와, 상기 통체에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 구멍과, 상기 각 개구 구멍에 각각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 핀과, 상기 각 스톱 핀을 각각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상기 통체에 양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상기 봉재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각 봉재의 상기 삽통 구멍과 상기 통체의 상기 각 개구 구멍을 각각 대향시킨 상태로, 상기 각 스톱 핀이 상기 삽통 구멍과 상기 개구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봉재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난간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주를 상기 피장착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편 및 고정 협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단과 상기 고정 협지편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갖고 상기 세로 지주가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편과 상기 고정 협지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협지편과의 사이에 상기 피장착 부재를 협지 가능한 가동 협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고정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회전 방지되면서 상기 외통 내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선단에 상기 가동 협지편이 연결되는 가동축을 갖고, 상기 가동축을 상기 외통에 출입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협지편을 상기 고정 협지편에 원근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협지편은, 상기 가동축의 선단에 접합되는 1매 판 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난간의 연장 방향에서 대향하는 1세트의 측단부를 각각 상기 고정 협지편 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난간 장치.
KR1020227020398A 2020-03-06 2021-01-26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KR20220145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8586 2020-03-06
JP2020038586A JP7474435B2 (ja) 2020-03-06 2020-03-06 スライダ装置および手摺装置
PCT/JP2021/002572 WO2021176886A1 (ja) 2020-03-06 2021-01-26 スライダ装置および手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812A true KR20220145812A (ko) 2022-10-31

Family

ID=7761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398A KR20220145812A (ko) 2020-03-06 2021-01-26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7980A1 (ko)
EP (1) EP4115954A4 (ko)
JP (1) JP7474435B2 (ko)
KR (1) KR20220145812A (ko)
CN (1) CN115243768A (ko)
WO (1) WO2021176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8389B (zh) * 2023-04-18 2023-09-26 江苏鼎控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扶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525A (ko) 2013-08-15 2016-04-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기구 살균 어댑터 구동 피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6408A (en) * 1991-05-23 1992-12-09 Inveteck Plc Rail trolley for fall arrest equipment.
JPH07314428A (ja) * 1994-05-23 1995-12-05 Komatsu Ltd 型枠の締結装置
JP2004036163A (ja) * 2002-07-02 2004-02-05 Fujimoto Kogyo Kk 安全対策用支柱
JP5845885B2 (ja) * 2011-12-26 2016-01-20 株式会社竹屋 遊技機固定装置
JP6438236B2 (ja) * 2014-08-27 2018-12-12 小野 辰雄 連結具
KR20140005708U (ko) * 2014-10-14 2014-11-06 김대식 내진 및 방진용 배관고정장치
JP6795934B2 (ja) * 2016-09-14 2020-12-02 小野 辰雄 手摺装置
JP6774277B2 (ja) * 2016-09-14 2020-10-21 小野 辰雄 命綱取付け用ガイド
JP6894694B2 (ja) * 2016-11-29 2021-06-30 小野 辰雄 支柱装置
JP7222621B2 (ja) * 2018-07-09 2023-02-15 辰雄 小野 手摺装置
JP7230378B2 (ja) 2018-09-06 2023-03-01 日本電気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525A (ko) 2013-08-15 2016-04-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기구 살균 어댑터 구동 피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4435B2 (ja) 2024-04-25
EP4115954A4 (en) 2024-03-20
CN115243768A (zh) 2022-10-25
JP2021137376A (ja) 2021-09-16
EP4115954A1 (en) 2023-01-11
US20230017980A1 (en) 2023-01-19
WO2021176886A1 (ja)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6900B1 (en) Bearing and fastener guide assemblies for fastener driving tool
KR101361681B1 (ko) 추락 방지 조립체
EP1921226B1 (en) Support device
KR20220145812A (ko) 슬라이더 장치 및 난간 장치
KR101805361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US9032851B2 (en) Adjustment device for an auxiliary fence
KR101670646B1 (ko) 스탠션 바
JP2017206945A (ja) 引戸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40039212A (ko) 인장 유지 금속 로킹 타이 및 공압식 수동 공구
KR101805796B1 (ko) 작업용 안전난간 이탈 방지장치
JP6438236B2 (ja) 連結具
JP2011111324A (ja) 乗客コンベヤの欄干装置
JP2021139186A (ja) 支柱装置及び手摺装置
KR20180094688A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JP6373659B2 (ja) 安全誘導ポールと、その保管用コンテナ
CA3060772A1 (en) Improvements to a support device
JP7009318B2 (ja) 乗客コンベア
JP2021008771A (ja) 支柱装置及び手摺装置
JP7222621B2 (ja) 手摺装置
KR101635348B1 (ko) 스탠션 바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JP594381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20010001357U (ko) 승강기 안전 작업난간대
CA2531929C (en) Fastener driving tool having improved bearing and fastener guide assemblies
JP4703359B2 (ja) 吊り下げ式伸縮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