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566A -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566A
KR20220144566A KR1020210051040A KR20210051040A KR20220144566A KR 20220144566 A KR20220144566 A KR 20220144566A KR 1020210051040 A KR1020210051040 A KR 1020210051040A KR 20210051040 A KR20210051040 A KR 20210051040A KR 20220144566 A KR20220144566 A KR 2022014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ange
lid
bin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894B1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21005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용기의 상측에 결착되는 뚜껑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표면에 코팅 시 렉크의 지그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도 뚜껑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는 뚜껑과 결착되기 위한 결착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착대와 용기의 외측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대가 형성되며, 상기 결착대의 외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 표면에 코팅작업 시 렉크의 지그를 용기의 외측 플렌지의 하부에서 지지하여 내부 표면에 지그의 자국이 남지 않게 되므로 깨끗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locking device for case and cap}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용기의 상측에 결착되는 뚜껑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표면에 코팅 시 렉크의 지그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도 뚜껑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소스, 요거트,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있으며, 내부면은 매끄럽게 코팅처리를 하여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용기(10)의 수용부(11) 상측에 구비되는 개구부(12)의 외측에는 뚜껑(20)을 나사결합시켜 용기(10)의 내외부를 차단하고,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거나 섭취할 수 있는 주걱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리드(30)가 용기(10)의 개구부(12) 상측에 걸쳐져 결합되기도 한다.
여기서, 내부리드(30)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보관부(31)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관부(31)의 상측에는 측면으로 절곡되어 용기(10)의 개구부(12) 상단에 걸치도록 형성되는 절곡대(32)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리드(3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40)를 접합하여 용기(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실링부재(40)가 내부리드(30)의 상부 전체를 덮고, 가장자리는 용기(10)의 개구부(12) 측면까지 연장하여 접착하여야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용기(10)는 내부리드(30)의 절곡대(32)가 개구부(12)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결합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며, 내부리드(30)의 보관부(31)에는 별도의 주걱을 넣어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12)에는 뚜껑(20)을 나사 결합하여 용기(10)의 개구부(12)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10)는 내부를 완전히 밀폐 차단하기 위해 내부리드(30)의 상면에 실링부재(40)를 덮은 후, 가장자리는 용기(10)의 개구부(12) 측면에 접착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이는 실링부재(40)가 절곡되어 접착되어야 함에 따라 실링부재(40)의 크기가 커지고 되고, 밀폐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기(10)의 개구부(12) 상단 폭이 넓지 않아 내부리드(30)의 절곡대(32)와 접하는 부분이 많지 않아 밀폐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실링부재(40)를 제거한 후에는 개구부(12)와 절곡대(32)가 접하는 부위로 누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10)는 표면에 코팅작업 시 용기(10)의 외부에 렉크의 지그를 지지하게 되면 지그의 자국이 외부에 남게 되므로, 주로 용기(10)의 수용부(11) 속에 렉크의 지그를 삽입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용기(10)의 내부에도 렉크의 지그가 지지되는 부분에는 코팅이 되지 않아 자국이 남게 되고,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고 매끄럽게 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8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용기의 표면에 코팅작업 시 렉크의 지그에 의한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측에 내부리드의 결착이 용이하고 밀폐력이 향상되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는 뚜껑과 결착되기 위한 결착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착대와 용기의 외측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대가 형성되며, 상기 결착대의 외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개구부 상단에는 내부리드가 결합되되, 내부리드에는 주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 외측으로 절곡되어 용기의 플렌지에 걸쳐지는 절곡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대의 외주연과 뚜껑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렌지는 일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플렌지와 하단플렌지로 구분되며, 상기 내부리드의 절곡대는 하단플렌지에 걸쳐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플렌지에는 용기 상단 전체를 밀폐 차단하도록 실링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대가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의 폭이 넓어지며 형성되되, 상기 확장대와 결착대의 하단부 사이에는 측면이격대와 연통되는 하단이격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내면에 코팅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시에, 렉크의 지그는 용기의 외측면과 결착대의 사이 이격대를 통해 플렌지의 하단에 고정하여 지그의 자국이 보이지 않도록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 표면에 코팅작업 시 렉크의 지그를 용기의 외측 플렌지의 하부에서 지지하여 내부 표면에 지그의 자국이 남지 않게 되므로 깨끗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리드의 전체가 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넓은 플렌지면에 패킹을 밀착 접착할 수 있어서 밀폐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용기와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내용물, 특히 소스, 음료,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10)와 수용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개구부(112), 그리고, 개구부(112)의 상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렌지(120) 및 플렌지(120)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착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렌지(120)는 일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플렌지(121)와 하단플렌지(122)로 구분되며, 플렌지(120)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결착대(130)는 용기(100)의 개구부(11) 외측벽면에서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측면이격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착대(130)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대(130)의 외측에는 뚜껑(200)이 나사 결합되며, 이를 위해 뚜껑(200)의 내주연에는 결착대(130)의 나사와 대접되는 형태의 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100)의 개구부(112) 상단에는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내부리드(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리드(300)는 주걱 등의 삽입 보관이 가능하도록 보관부(310)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은 용기(10)의 플렌지(120)에 구분 형성되는 하단플렌지(122)에 걸쳐지도록 절곡대(320)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절곡대(320)는 하단플렌지(122)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리드(300)의 상부에는 실링부재(400)가 결합되어 용기(100)의 수용부(110) 내부를 차단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400)는 종래와 달리 상단플렌지(121)의 상면이 넓기 때문에 개구부(112)의 측면까지 접착될 필요없이 상단플렌지(121)에 접착되는 것만으로도 완전한 밀폐력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실링부재(400)는 PE 재질의 발포패킹 형태로 가압 접합될 수도 있고, 은박지 소재의 얇은 박막 형태로 상단플렌지(121)에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대(130)의 하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며 확장대(150)가 형성되어, 용기(100) 내부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확장대(150)와 결착대(130)의 하단부 사이에는 하단이격대(160)가 형성되어 측면이격대(1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기(100)의 표면에 코팅을 하기 위해 렉크의 지그를 결착대(130)와 용기(10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대(140)를 통해 플렌지(120)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하고, 용기(100) 전체의 표면을 코팅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코팅작업을 완료한 후 렉크의 지그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용기(100)로부터 렉크의 지그를 제거하여도 지그가 접하였던 용기(100)의 표면은 플렌지(120)의 하면에 위치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가 않게 된다. 따라서, 깨끗하게 코팅된 용기(100)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110)에 내용물이 수용된 후에는 개구부(112) 상단에 내부리드(30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즉, 내부리드(300)의 절곡대(320)가 플렌지(120)의 하단플렌지(122) 위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기존에는 내부리드(300)의 절곡대(320)가 용기(100)와 접하는 부분이 좁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하단플렌지(122)에 절곡대(320)가 걸리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되게 된다.
내부리드(300)의 보관부(310)에는 내용물을 덜어서 사용하기 위한 주걱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단플렌지(121)에는 실링부재(400) 접착되어 용기(100)의 개구부(112)를 차단 및 밀폐함으로써,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리드(300) 및 주걱 등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달이 실링부재(400)가 상단플렌지(121)에만 접착되는 것만으로도 용기(10)의 수용부(110) 전체를 완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100)에 형성되는 결착대(130)에는 뚜껑(200)이 결합되는데, 결착대(130)에 형성된 나사와 뚜껑(20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를 서로 나사 결합시키다. 따라서, 뚜껑(200)이 용기(100)의 수용부(110) 상측 개구부(112)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내부리드(300)를 가압하여 수용부(110) 및 개구부(112)를 완전 밀폐 차단시키게 된다.
100 : 용기 110 : 수용부
120 : 플렌지 130 : 결착대
140 : 측면이격대 150 : 확장대
160 : 하단이격대 200 : 뚜껑
300 : 내부리드 310 : 보관부
320 : 절곡대 400 : 실링부재

Claims (7)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수용부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는 뚜껑과 결착되기 위한 결착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결착대와 용기의 외측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측면이격대가 형성되며,
    상기 결착대의 외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 상단에는 내부리드가 결합되되, 내부리드에는 주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 외측으로 절곡되어 용기의 플렌지에 걸쳐지는 절곡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대의 외주연과 뚜껑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는 일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단플렌지와 하단플렌지로 구분되며, 상기 내부리드의 절곡대는 하단플렌지에 걸쳐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플렌지에는 용기 상단 전체를 밀폐 차단하도록 실링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대가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의 폭이 넓어지며 형성되되,
    상기 확장대와 결착대의 하단부 사이에는 측면이격대와 연통되는 하단이격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면에 코팅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시에, 렉크의 지그는 용기의 외측면과 결착대의 사이 이격대를 통해 플렌지의 하단에 고정하여 지그의 자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KR1020210051040A 2021-04-20 2021-04-20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KR10257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40A KR102572894B1 (ko) 2021-04-20 2021-04-20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40A KR102572894B1 (ko) 2021-04-20 2021-04-20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66A true KR20220144566A (ko) 2022-10-27
KR102572894B1 KR102572894B1 (ko) 2023-08-29

Family

ID=8381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040A KR102572894B1 (ko) 2021-04-20 2021-04-20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435A (en) * 1986-01-23 1987-02-03 Sun Coast Plastics, Inc. Plastic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KR20070005720A (ko) * 2004-04-08 2007-01-10 더 글래드 프로덕츠 컴파니 통기식 스핀 잠금 용기
KR101382883B1 (ko) 2013-10-21 2014-04-08 김진우 화장품 용기 뚜껑
JP2019177944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容器
KR20190128022A (ko) * 2018-05-04 2019-11-14 (주) 제이티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435A (en) * 1986-01-23 1987-02-03 Sun Coast Plastics, Inc. Plastic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KR20070005720A (ko) * 2004-04-08 2007-01-10 더 글래드 프로덕츠 컴파니 통기식 스핀 잠금 용기
KR101382883B1 (ko) 2013-10-21 2014-04-08 김진우 화장품 용기 뚜껑
JP2019177944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容器
KR20190128022A (ko) * 2018-05-04 2019-11-14 (주) 제이티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94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0937A1 (en) Food and Drink Packing Vessel
WO2004028389A3 (de) Verpackung zum lagern von substanzen
JP6893393B2 (ja) 吐出容器
RU2433044C2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оборудованная отрывной мембраной
JP5295901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当該注出キャップ付き二重容器
ATE265375T1 (de) Mehrkammerbehalter
US11072473B2 (en) Flip-top tube with tamper-evident seal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RU2382729C2 (ru) Крышка из фольг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повторную герметизацию
ITMI971934A1 (it) Contenitore per un dispositivo di azionamento
KR20220144566A (ko) 용기와 뚜껑의 결착구조
JP5917391B2 (ja) 注出容器
JP6585061B2 (ja) スリットストッパを備える、流体を分注し保護するための装置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200493583Y1 (ko)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US20200270010A1 (en) Method of packaging for solar mounting attachments
JP6026271B2 (ja) 注出容器
CN207536428U (zh) 一种密封包装瓶
CN205615854U (zh) 一种新型无胶带插口纸箱
AU2000276540A1 (en) Method for sealing a pouring opening of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a sealed pouring opening
KR20230013482A (ko) 다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화장품 용기
JP2008062985A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6975889B2 (ja) フィルムパック用貼付式ノズル、及び内容物塗布方法
KR20060054146A (ko) 폐쇄 장치
JP3683043B2 (ja) 湿気硬化型シーリング材の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