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83Y1 -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83Y1
KR200493583Y1 KR2020160005571U KR20160005571U KR200493583Y1 KR 200493583 Y1 KR200493583 Y1 KR 200493583Y1 KR 2020160005571 U KR2020160005571 U KR 2020160005571U KR 20160005571 U KR20160005571 U KR 20160005571U KR 200493583 Y1 KR200493583 Y1 KR 200493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ap
pair
opening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21U (ko
Inventor
안시은
Original Assignee
안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은 filed Critical 안시은
Priority to KR2020160005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는 상단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되는 캡 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 일부 및 상기 캡 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하며, 탈착을 위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연성 재질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본 고안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에 캡을 일체형으로 구현함을 통해 캡의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장품을 사용 또는 사용 후 개구를 손쉽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크림 등의 화장품 내용물이 내장되는 화장품 용기는 뚜껑이 나선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개폐되도록 되어 화장품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화장품용기에 뚜껑의 나선 조임에 의하여 뚜껑이 화장품 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콤팩트 등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납된 용기본체에 뚜껑이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토록 결합된다.
이는, 용기 본체와 뚜껑이 상호 걸림지지에 의하여 화장품용기에 뚜껑이 닫힘이 유지되도록 되어 용기본체에 뚜껑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뚜껑을 용기 본체의 개구에 스크류 방식을 통해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장품을 사용하거나 사용 후에 개구를 개폐하는 경우, 별도의 구성품인 뚜껑을 용기 본체의 개구로부터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뚜껑을 분실하거나, 밀폐가 정확히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43387호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에 캡을 일체형으로 구현함을 통해 캡의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장품을 사용 또는 사용 후 개구를 손쉽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는 상단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되는 캡 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 일부 및 상기 캡 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하며, 탈착을 위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연성 재질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는 원형의 둘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는, 시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경계로부터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타면부는, 상기 캡 부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타면부는 상기 캡부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몸체부와, 상기 캡 부 및 상기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강 부재가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보강 부재의 일단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보강 부재의 타단은, 상기 캡 부의 외측 둘레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몸체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외측 용기 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개구가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가 상기 외측 용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용기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용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에는, 외측을 따르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끼움 결합되는 밀폐 돌기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용기 몸체에는, 상기 개구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기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측 돌기 라인과 끼움 결합되는 내측 밀폐 돌기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에 캡을 일체형으로 구현함을 통해 캡의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장품을 사용 또는 사용 후 개구를 손쉽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부의 내부에 탄성의 보강 부재를 매설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캡 부를 개폐하는 경우에 개폐에 따르는 연결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회 반복 사용시 탄성을 이용하여 개폐의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가 도시되는 화장품 용기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가 도시되는 화장품 용기의 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는 크게 용기 몸체부(100)와, 캡 부(200) 및 연결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 몸체부(100)
도 1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몸체부(100)는 상단 중앙부에 개구(110b)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110b)와 연통되며,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몸체부(100)는 외측 용기 몸체(120)와, 내측 용기 몸체(11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용기 몸체(120)에는 내부 공간(120a)이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내부 공간(120a)을 상방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는, U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용기 몸체(120)의 내부 공간(120a)에 삽입된다.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의 상단에는 개구(110b)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110b)와 연통되는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110a)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는 외측 용기 몸체(120)의 내부 공간(1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측 테두리는, 외측 용기 몸체(12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된다.
따라서, 내측 용기 몸체(110)는 외측 용기 몸체(120)의 내부 공간(120a)에 삽입되는 상태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의 외측 테두리에는, 단차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11)는 외측을 따라 하향 단차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캡 부(200)
본 고안에 따르는 캡 부(200)는 개구(110b)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상단에 탈착된다.
상기 캡 부(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단차부(111)에 끼움 결합되는 밀폐 돌기 라인(2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 용기 몸체(110)에는 내측 돌기 라인(11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돌기 라인(112)은, 내측 용기 몸체(110)의 개구(1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 부(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측 돌기 라인(112)과 끼움 결합되는 내측 밀폐 돌기 라인(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캡 부(200)가 개구(110b)를 밀폐하는 경우, 단차부(111)는 밀폐 돌기 라인(210)과 결합되고, 내측 돌기 라인(112)은 상기 내측 밀폐 돌기 라인(220)과 결합되어, 개구(110b)를 다중으로 밀폐 할 수 있다.
연결부(300)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300)는 상술한 용기 몸체부(100) 및 캡 부(2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 몸체부(100) 및 캡 부(200), 연결부(300)는 서로 동일한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300)는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는, 시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몸체부(100)와 캡 부(200)는 원형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경계로부터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W2>W1)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타면부는, 상기 캡 부(200)의 외측 둘레에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100)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타면부는 상기 캡 부(200)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는 캡 부(200)를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경우, 폴딩되는 부재로, 폴딩시 양측을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라짐으로써 캡 부(200) 회전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몸체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르는 개구(110b)는 지름이 일정한 원형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르는 화장품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캡 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용기 몸체부(100)의 개구(110b)를 회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0)는 용기 몸체부(100)와 캡 부(200)와 일체를 이루며,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용기 몸체부(100)의 개구(110b)를 개방하는 경우, 캡 부(200)는 연결부(30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방을 따라 회전 동작될 있다.
이때, 연결부(300)는 캡 부(200)와 외측 용기 몸체(120)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는 캡 부(200)가 상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펼쳐지면서 증가되는 폭 만큼 펼쳐지는 상태를 이룬다.
반면에, 개구(110b)를 밀폐하는 경우, 캡 부(200)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개구(110b)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는 캡 부(200)가 하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접혀지면서 증가되는 폭 만큼 접힐 수 있다.
더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일면부와 타면부는 캡 부(200)의 외측 둘레 및 용기 몸체부(100)의 외측 둘레의 곡률을 따르는 곡률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캡 부(200)가 폴딩되는 경우, 캡 부(200)와 용기 몸체부(100)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폴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르는 연결부(300)는 용기 몸체부(100) 및 캡 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기 몸체부(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는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일면부는 캡 부(200)의 외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310)의 타면부에는 링 형상의 결합 링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링은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 링은, 개구(110b)의 외측 둘레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결합 링을 개구(110b)의 외측 둘레에 끼워 설치하는 경우, 캡 부(200)를 용기 몸체부(100)에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연결부(300)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 결합 링을 개구(110b)의 외측 둘레로부터 분리하고, 다른 결합 링을 갖는 연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결합 링이 끼워져 걸치는 걸침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에 캡을 일체형으로 구현함을 통해 캡의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장품을 사용 또는 사용 후 개구를 손쉽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연결부의 내부에 탄성의 보강 부재를 매설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캡 부를 개폐하는 경우에 개폐에 따르는 연결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회 반복 사용시 탄성을 이용하여 개폐의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기 몸체부
110 : 내측 용기 몸체
110a : 수용 공간
110b : 개구
111 : 단차부
112 : 내측 둘기 라인
120 : 외측 용기 몸체
120a : 내부 공간
200 : 캡 부
210 : 말폐 돌기 라인
220 : 내측 밀폐 돌기 라인

Claims (8)

  1. 상단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단에 탈착되는 캡 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 일부 및 상기 캡 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하며, 탈착을 위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연성 재질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외측 용기 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개구가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가 상기 외측 용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용기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 용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외측을 따라 하향 단차지는 형상이고,
    상기 내측 용기 몸체는, 상기 단차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캡 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끼움 결합되는 밀폐 돌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돌기 라인과 끼움 결합되는 내측 밀폐 돌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캡 부가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단차부는 상기 밀폐 돌기 라인과 결합되고, 상기 내측 돌기 라인은 상기 내측 밀폐 돌기 라인과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다중으로 밀폐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경계로부터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캡 부의 외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타면부에는 링 형상의 결합 링이 연결되며, 상기 결합 링은, 상기 개구의 외측 둘레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타면부는, 상기 캡 부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단위 연결 부재의 타면부는 상기 캡부의 외측 둘레를 따르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와, 상기 캡 부 및 상기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강 부재가 매설되되,
    상기 다수의 보강 부재의 일단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둘레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보강 부재의 타단은, 상기 캡 부의 외측 둘레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60005571U 2016-09-26 2016-09-26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KR200493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1U KR200493583Y1 (ko) 2016-09-26 2016-09-26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1U KR200493583Y1 (ko) 2016-09-26 2016-09-26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1U KR20180000921U (ko) 2018-04-04
KR200493583Y1 true KR200493583Y1 (ko) 2021-04-26

Family

ID=6196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71U KR200493583Y1 (ko) 2016-09-26 2016-09-26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57Y1 (ko) 2023-06-07 2024-01-17 손명우 물배출 원터치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9059B (zh) * 2017-06-27 2022-07-15 埃姆弗西斯进出口及分销有限公司 分配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622Y1 (ko) * 2005-10-14 2005-12-2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KR200476920Y1 (ko) * 2013-03-27 2015-04-16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513351B1 (ko) * 2013-07-22 2015-04-21 정규열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622Y1 (ko) * 2005-10-14 2005-12-2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KR200476920Y1 (ko) * 2013-03-27 2015-04-16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513351B1 (ko) * 2013-07-22 2015-04-21 정규열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57Y1 (ko) 2023-06-07 2024-01-17 손명우 물배출 원터치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1U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6145B2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448713B1 (ko) 화장품 용기
KR101481544B1 (ko) 결합형 화장품 용기
BR112015030937B1 (pt) Sistema de dispenser de lenços recarregável
KR200493583Y1 (ko)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BR112014011914B1 (pt) Membrana para selar um bico de uma embalagem para alimento, gargalo para uma embalagem para alimento, tampa arranjada com um gargalo, e, embalagem para alimento
JP2017510388A (ja) 二重ブラシスティックタイプマスカラ化粧容器
KR101299487B1 (ko) 화장품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BR112015018124B1 (pt) Sistema de fechamento, recipiente, e, distribuidor estanque à água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7270Y1 (ko)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101674267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170000489U (ko) 접이식 음식 보관 용기
JP6894277B2 (ja) 粉末容器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EP3025872B1 (en) Case for covering the bristles of a paint brush
KR20080000506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PL191688B1 (pl) Przykrywka wieczka puszki na napoj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