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30A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4030A KR20220144030A KR1020210050104A KR20210050104A KR20220144030A KR 20220144030 A KR20220144030 A KR 20220144030A KR 1020210050104 A KR1020210050104 A KR 1020210050104A KR 20210050104 A KR20210050104 A KR 20210050104A KR 20220144030 A KR20220144030 A KR 20220144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heater
- drying
- processor
- pres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8237 rins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506 Brasenia schreber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6—Rinsing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4—Operation time red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4—Operation mode, e.g. delicate washing, economy washing, reduced time, sterilizing, water softener regenerating, odor eliminating or servi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최소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척실 내 식기의 건조효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벽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세척실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및 건조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척실 내 식기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행정 중에는 식기에 묻은 물들이 증발하며 터브 내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건조행정 시에 히터를 사용하면, 가열 공기를 사용하여 빠른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가열공기를 사용한 종래기술들은 공기를 가열하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세척실 내의 오염물들이 건조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건조행정 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오염물들이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건조장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세척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공기의 순환 구조가 단순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최적의 에너지 효율로 세척실 내의 식기의 건조효과를 향상시키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건조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건조행정 중에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척실 내의 식기의 건조효과를 증가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벽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세척실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및 건조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기간이 상기 히터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온 기간 동안 온 시키고 기설정된 오프 기간 동안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의 기설정된 온 기간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최초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최초로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가 오픈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팬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조행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는, 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추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및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추가 없이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설정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는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및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추가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2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2 온도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4 온도로 설정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온도와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세척실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가 터브의 외벽에 배치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조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가 온된 기간이 상기 히터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온 기간 동안 온 시키고 기설정된 오프 기간 동안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및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의 기설정된 온 기간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시점을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시점을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최소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척실 내 식기의 건조효과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건조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건조행정 중에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코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건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의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의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는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15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쿨링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쿨링행정이 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코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건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의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의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는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15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쿨링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쿨링행정이 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2)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실(20)을 형성하는 터브(13)와, 캐비닛(12)에 설치되어 터브(13)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식기세척기(1)는 빌트 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비닛(12)은 생략될 수 있다.
캐비닛(12)은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캐비닛(12)은 개구(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일 면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모듈(410: 411, 412, 413, 414)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2)과 터브(13)는 대략 일면은 개방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체(10)는 캐비닛(12)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2)은 후면판(12e)과, 후면판(12e)의 전방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양측면판(12c, 12d)과, 양측면판(12c, 12d)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판(12f)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12f)은 캐비닛(12)의 전방에 개구(12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판(12f)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도어(1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판(12f)은 양측면판(12c, 12d)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4)는 본체(10)(예: 캐비닛(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4)는 캐비닛(1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4)는 힌지장치(30)에 의해 캐비닛(12)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14)는 도어 개방 장치(미도시)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미도시)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 및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2)의 내부에는 터브(13)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섬프유닛(40)과, 캐비닛(12)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식기가 올려지는 복수의 바스켓(50)과, 복수의 바스켓(50)을 지지하는 가이드랙(60)과, 섬프유닛(40)에서 전달된 물을 복수의 바스켓(50)에 담긴 식기를 향해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71,72,73)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작은 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은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제2바스켓(52) 및 제3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상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제2바스켓(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바스켓(52)은 제1바스켓(51)의 하측 및/또는 제3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중간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바스켓(53)은 제1, 2바스켓(51, 5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하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는 서브바스켓(51)일 수 있다. 서브바스켓(51)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서브바스켓(51)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식기세척기(1)는 터브(13) 내에서 제1바스켓(51)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랙(61)과, 제2바스켓(52)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랙(62)과, 제3바스켓(53)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3가이드랙(6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랙(61, 62, 63)은 바스켓(51, 52, 53)을 각각 인출하기 위한 레일이 될 수 있다.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과 제3가이드랙(63)은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이 터브(13)의 전면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3)의 내측벽(13b, 13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랙(60)은 터브(13)의 좌측벽(13b) 및 우측벽(13c)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과 제3가이드랙(63)을 따라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은 터브(13)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섬프유닛(40)은 캐비닛(12)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섬프유닛(40)은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70)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4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4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공급관(80)을 통해 제1분사노즐(71)과 제2분사노즐(72), 그리고 제3분사노즐(73)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캐비닛(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 히터(42)와,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터브(1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70)은 제1바스켓(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분사노즐(71)과,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의 상측, 즉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분사노즐(72)과, 제3바스켓(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분사노즐(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71)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분사노즐(71)은 제1바스켓(51) 및/또는 제2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72)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분사노즐(72)은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분사노즐(73)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3분사노즐(73)은 제3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식기세척기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50)의 이동시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이 건조장치(100)의 내부로 들어갈 가능성이 적다. 다만,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상벽(13a) 또는 후벽(13d)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장치(100)는 세척실(20)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A'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외측면과 캐비닛(1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 및 흡입구 커버(161)는 터브(13)의 후벽(13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51, 52, 53)은 가이드랙(61, 62, 6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흡입구 커버(161)가 후벽(13d)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흡입구 커버(161)에 의한 바스켓(51, 52, 53)의 움직임 간섭을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바스켓(52)에는 식기(2)가 수납될 수 있는데, 식기(2)는 제2바스켓(52)의 전후 방향 이동시에 흡입구 커버(161)와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흡입구 커버(161)가 후벽(13d)에 인접하므로 제2바스켓(52)의 이동시에 식기(2)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식기(2)의 종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구 커버(161)는 제1가이드랙(61)의 아래 및/또는 제2가이드랙(6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161)는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 커버(161)의 배치는 제1, 2바스켓(51, 52)의 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터브의 측벽(13b, 13c)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높이조절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는 제2바스켓(52)이 세척실(20) 내에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스켓(52)은 제1바스켓(51) 측으로 높이가 올라가거나, 제3바스켓(53) 측으로 높이가 내려갈 수 있다. 다만, 제2바스켓(52)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흡입구 커버(161)와 제2바스켓(52) 간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20) 내의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행정과, 식기에 묻은 이물질 등을 헹구어 내는 헹굼행정, 행굼행정 이후에 세척실(20) 내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거칠 수 있다. 건조행정을 통해 세척실(20) 내의 공기는 상대습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과 같은 다른 유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건조행정 중 세척실(20) 내 공기가 건조장치(100)로 흡입되고, 건조장치(100)에서 다시 세척실(20)로 토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장치(100) 내의 팬(131)이 회전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습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 커버(161)의 복수의 유입구(161c)와, 흡입구 커버(161) 및 흡입구(191) 사이에 마련되는 유입공간(193)을 지나 흡입구(191)로 흐를 수 있다. 유로(190)에는 흡입구(191)와 토출구(19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입공간(193)을 지난 공기는 유로(190)로 유입될 수 있다. 팬(131)은 흡입된 공기가 흡입구(191)와, 유로(190) 내에 배치되는 팬(131),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195)를 순서대로 거쳐 다시 세척실(20) 내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공기를 유로(190)로 흡입하고, 스위치장치(150)를 지나 히터(140)로 흐르도록 유로(190) 내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킬 수 있다.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195)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고, 토출구(192)를 통해 다시 세척실(2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195)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팬(131)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과열되면 히터(140)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히터(140)가 꺼지지 않는다면 과열 공기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하우징(110, 120)이 녹아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스위치장치(150)의 스위치(151)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작동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팬(131) 또는 모터(132)가 고장나지 않더라도 히터(140)가 과열된다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면 가열공기는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온도를 센싱하여 공기의 과열시 히터(140)를 끌 수 있도록 히터(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의 다른 구성요소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전원연결단자(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모스탯(thermostat)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0)는 유로(190) 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대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히터(140)는 스위치장치(15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는 스위치장치(1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95)는 히터(140)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히터(14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195)는 히터(14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히터(14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센서(195)는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예: 도 8의 프로세서(20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히터(14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센서(195)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여 열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하면, 세척실(20) 내의 공기는 흡입구(191)를 거쳐 유로(19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로(190) 내의 공기는 팬(131),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온도센서(195)를 거쳐 토출구(192)를 통해 다시 세척실(20)로 흐를 수 있다. 토출구(192)는 하우징(110, 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120) 내부에 마련되는 응축수를 세척실(2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의 내측에는 유출포트(174)가 형성되고, 유출포트(174)에는 블레이드(171)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1)는 유로(190) 내의 공기가 터브(13)의 하부로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171)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10, 120), 팬 어셈블리(130), 히터(140), 스위치장치(150) 및 유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토출구 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건조장치(100)에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일부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장치(100)는 유로(190)를 통과하는 공기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미도시)는 유로(190)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유로(190)를 살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190)를 건조시키고 유로(190)의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은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 120)은 팬(131), 히터(140), 스위치장치(150) 등 건조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 120)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응축수가 발생하더라도 아래 방향으로 흘러 응축수가 세척실(2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결합하여 내부에 유로(19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흡입구 커버(161) 및 토출구 커버(170)에 의해 터브(13)의 측벽(13b, 13c)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161)와 토출구 커버(170)는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베이스(110a), 커버 결합부(111), 수용리브(112), 하우징 결합부(113), 흡입포트(114), 토출포트(115), 단자 보호부(116), 온도센서 수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결합되기 위한 제1커버 결합부(111a)와, 토출구 커버(170)와 결합되기 위한 제2커버 결합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베이스(110a)로부터 각각의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 또는 토출구 커버(17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의 외측에는 커버 씰링부재(18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커버 결합부(1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건조장치(100)와 터브(13)간의 사이를 씰링할 수 있다.제1하우징(110)의 하우징 결합부(113)는 제2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부(123)와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하우징 결합부(11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하우징 결합부(113)는 제1하우징(110)의 상부, 중간, 하부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포트(114)는 유로(190)의 흡입구(19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토출포트(115)는 유로(190)의 토출구(19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보호부(116)는 베이스(110a)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 보호부(116)는 전방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참조). 단자 보호부(116)는 히터(140)의 전원연결단자(143)를 보호할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전방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건조장치(100) 내의 응축수가 전원연결단자(14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 수용부(117)는 제1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 수용부(117)는 온도센서(195)가 유로(190) 내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온도센서(195)를 제1하우징(110)에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베이스(120a), 팬 수용부(121), 스위치장치 결합부(122), 하우징 결합부(123), 히터 수용부(124), 이격리브(127), 가이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수용부(121)는 팬 어셈블리(13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수용부(121)에는 팬 어셈블리(130)의 안착부(133)가 수용될 수 있다. 팬 수용부(121)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팬 수용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장치 결합부(122)는 스위치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히터 수용부(124)는 히터(14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외측에는 이격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리브(127)는 제2하우징(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캐비닛(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 참조). 이격리브(127)는 제2하우징(120)의 외면과 캐비닛의 내면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120)과 캐비닛의 측면판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장치(100)와 캐비닛(12) 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히터(140)에 의한 열이 캐비닛(12)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비닛(12)과 건조장치(1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격리브(127)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이격리브(127)는 4개로 도시되었으나 이격리브(127)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128)는 유로(190) 내의 공기가 세척실(20) 내로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제1하우징(1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 결합부(123)는 제1하우징(110)의 하우징 결합부(113)와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하우징 결합부(12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하우징 결합부(123)는 제2하우징(120)의 상부, 중간, 하부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30)는 팬(131), 모터(132), 안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공기가 유로(19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팬(131)은 유로(190) 내에서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은 유로(190) 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4, 5 참조). 팬(131)은 원심팬이 될 수 있다. 다만 팬(131)의 위치 및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132)는 팬(131)과 연결되어 팬(131)을 구동시킬 수 있다. 팬 안착부(133)는 팬(131) 및 모터(132)를 커버하며 팬(131) 및 모터(132)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팬 안착부(133)는 제2하우징(120)의 팬 수용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히터(140)는 히터 케이스(141), 시즈히터(142), 전원연결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41)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시즈히터(142)를 수용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41)는 내부의 시즈히터(142)가 보호되도록 히터(1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시즈히터(142)는 튜브형 히터일 수 있다. 시즈히터(142)를 사용하므로 하우징(110, 120) 내에 응축수가 있어도 히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행정 이전에 세척행정 또는 헹굼행정으로 인해 하우징(110, 12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여도 히터(140)의 기능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식기세척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시즈히터(142)의 양단에 연결되어 시즈히터(14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전방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143) 측으로 응축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도 3참조).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과열된 경우에 히터(140)를 오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히터(140)가 꺼지지 않는다면 과열 공기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하우징(110, 120)이 녹아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스위치장치(150)의 스위치(151)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작동 예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면 가열공기는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온도를 센싱하여 공기의 과열시 히터(140)를 끌 수 있도록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흡입구 커버(161)는 유로(190)의 흡입구(191) 및 제1하우징(110)의 흡입포트(114)를 커버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를 통해 세척행정 또는 헹굼행정 중 흡입구(191)로 이물질 또는 세척수가 건조장치(100)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베이스부(161a)와 돌출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1b)는 유입공간(193)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161a)로부터 세척실(2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공간(193)을 통해 세척실(20) 내의 공기가 유로(19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건조장치(100), 프로세서(200), 메모리(300), 사용자 인터페이스(400), 센서 모듈(500) 및/또는 세척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00)에 연결된 식기세척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건조장치(100) 또는 세척모듈(600))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0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50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310)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310)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메인 프로세서(210)(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220)(예: 건조장치(100) 제어용 프로세서 또는 세척모듈 제어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1)가 메인 프로세서(210) 및 보조 프로세서(220)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220)는 메인 프로세서(210)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20)는 메인 프로세서(210)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식기세척기(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0) 또는 센서 모듈(5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휘발성 메모리(310)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각종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모듈(410)과,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0)은,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0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식기세척기(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0)은, 예를 들면, 마이크, 키(예: 버튼), 또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0)은 복수 개의 버튼 또는 복수 개의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버튼 또는 각각의 터치 패드는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에 사용될 각각의 명령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410)은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버튼(예: 도 1의 411),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버튼(예: 도 1의 412), 열풍 건조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제3 버튼(예: 도 1의 413), 건조 향상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제4 버튼(예: 도 1의 414) 등의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0: 411, 412, 413, 414)이 촉각적 입력(tactile input)을 수신하는 버튼(또는 터치패드)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 모듈(410)은 도어(14)의 상면 및/또는 도어(14)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입력 모듈(410)의 위치는 제한 없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모듈(410)은 청각적 입력(audio input)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 모듈(420)은 식기세척기(1)의 현재 상태 또는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예: 건조장치(100))의 현재 상태 등을 외부(예: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스위치장치(150)에 의해 히터(14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출력 모듈(420)을 제어하여 건조장치(100)의 고장 사실을 외부에 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모듈(420)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식기세척기(1)의 환경 상태(예: 식기 오염 정도), 세척모듈(600)의 환경 상태(예: 세척수 온도), 또는 건조장치(100)의 환경 상태(예: 유로(19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500)은 건조장치(100)의 히터(140)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히터(140)의 하류에 배치되는 온도센서(195) 및/또는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섬프유닛(40)에 배치되는 세척수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500)은 세척실(20) 내부에 저장된 식기들의 오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식기세척기(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출력 모듈(42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서버)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척코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0)의 입력 모듈(410)을 통해 세척코스 및/또는 세척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1000).
일 실시예에서, 세척코스는 자동 코스, 표준 코스, 강력 코스, 유리잔 코스, 급속 코스, 헹굼 건조 코스 또는 내부 세척 코스 등 다양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코스의 종류에 따라 세척 순서, 물 소비량, 세척 온도 및/또는 세척 소요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 코스가 선택되면, 식기세척기(1)는 센서 모듈(500)을 통해 판단된 식기 오염 정도에 알맞은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표준 코스가 선택되면, 식기세척기(1)는 하기에서 설명할 예비 세척행정(1100) 없이, 메인 세척행정(1200)과 헹굼행정(1300)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강력 코스가 선택되면, 식기세척기(1)는 예비 세척행정(1100), 메인 세척행정(1200) 및 헹굼행정(1300)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옵션은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또 다른 행정을 추가하거나, 선택된 세척코스의 설정을 일부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세척옵션은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건조행정을 추가하는 옵션(이하 '열풍 건조 옵션'),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건조행정의 추가 없이 헹굼수의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옵션(이하 '건조 향상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코스에서,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 온도가 55℃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표준 코스에 더하여 건조 향상 옵션이 추가된 경우, 헹굼수 온도는 80℃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준 코스에 더하여 건조 향상 옵션이 추가된 경우, 헹굼행정(1300) 이후 쿨링행정(1500)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풍 건조 옵션 및/또는 건조 향상 옵션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모듈(410)은 열풍 건조 옵션 및/또는 건조 향상 옵션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행정'은 건조장치(100)의 팬(131)과 히터(140)를 이용하여 열풍을 세척실(20)로 공급하는 행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장치(100)의 팬(131)만을 동작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은 쿨링행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코스 및 세척옵션을 선택 받은 것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행정들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식기세척기(1)에서 수행할 수 있는 행정들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세척코스 및 세척옵션에 따라 일부 행정이 생략될 수도 있고, 일부 행정이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1)는 예비 세척행정(110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비 세척행정(1100)은 메인 세척행정(1200) 이전에 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척수를 세척실(20) 내부로 분사하여, 식기에 존재하는 비교적 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행정이다.
일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1)는 예비 세척행정(1100)을 수행한 후 메인 세척행정(1200)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세척행정(1200)은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섬프유닛(40)에 제공하는 세척수 급수 행정(1210)과, 분사유닛(70)을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가열하여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 행정(1220)과, 섬프유닛(40) 및/또는 분사유닛(70)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세척수 배수 행정(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1)는 메인 세척행정(1200)을 수행한 후 헹굼행정(1300)을 수행할 수 있다.
헹굼행정(1300)은 헹굼에 사용되는 헹굼수를 섬프유닛(40)에 제공하는 헹굼수 급수 행정(1310)과, 분사유닛(70)을 통해 섬프유닛(40)에 저장된 헹굼수를 분사하거나, 가열하여 분사하는 헹굼수 분사 행정(1320)과, 섬프유닛(40) 및/또는 분사유닛(70)에 저장된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 배수 행정(1330)을 포함할 수 있다.
헹굼수 분사 행정(1320)에서는 세척실(20) 내부로 복수 회 헹굼수가 분사될 수 있다.
헹굼수의 온도가 높은 경우, 헹굼행정(1300)에서 식기가 가열될 수 있으며, 헹굼행정(1300)이 종료된 후 식기의 잠열에 의해 식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헹굼행정(1300)에서 세척실(20) 내부로 분사되는 헹굼수는, 메인 세척행정(1200) 및/또는 예비 세척행정(1100)에서 세척실(20)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수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헹굼수 분사 행정(1320) 중 마지막 헹굼수 분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온도는 그 이전 헹굼수 분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1)는 헹굼행정(1300)을 수행한 후 건조행정(1400)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행정(1400)은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세척실(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세척실(2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행정이다.
일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1)는 건조행정(1400)을 수행한 후 쿨링행정(1500)을 수행할 수 있다.
쿨링행정(1500)은 세척실(20)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행정으로,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쿨링행정(1500)은 건조행정(1400)의 일부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건조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 13 및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행정 중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과 더불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의 시작(2000)에 기초하여 팬(131)을 동작시킬 수 있다(210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의 시작 시점(t1)에 팬(131)을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건조행정이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예: 5초)이 경과하면 팬(131)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팬(131)의 동작 시점은 온도센서(195)로부터 획득된 온도정보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행정 중 히터(140)의 최초 동작 시점(t2)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T1)(예: 55℃) 이하로 떨어진 것(2200의 예)에 응답하여 히터(140)를 최초로 동작시킬 수 있다(2300). 건조행정은 헹굼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시작되기 때문에, 헹굼수 분사 행정(1320)에서 가열된 세척실(20) 내부의 온도가 비교적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T1) 이하로 떨어진 시점(t2)에 히터(140)를 최초로 동작시킴으로써 헹굼행정에서 공급된 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가열 공기에 의한 하우징(110, 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140)를 동작시키기 이전에 팬(131)을 동작시킴으로써, 팬(131)의 고장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세척코스별 헹굼수의 온도에 따라 히터(140)의 최초 동작 시점을 가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을 시작할 때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T1)(예: 55℃) 이하인 경우 건조행정의 시작과 동시에 히터(140)를 동작시키거나, 건조행정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히터(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에서 측정된 온도와 무관하게 건조행정의 시작과 동시에 히터(140)를 동작시키거나, 건조행정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히터(14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히터(140)의 최초 동작 시점을 기반으로 히터(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24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140)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하고, 다시 온시키는 방식으로 히터(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동작된 이후에 온도센서(195)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 중(2550의 아니오)에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예: 85℃)에 도달하기 전 까지(2500의 아니오) 제1 기간(ot1)(예: 3분) 동안 히터(140)를 온시키고 제2 기간(ot2)(예: 2분) 동안 히터(140)를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즉, 프로세서(200)는 히터를 기설정된 온 기간(ot1) 동안 온 시키고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 동안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기간이 히터(140)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도록 제1 기간(ot1)과 제2 기간(ot2)을 설정할 수 있다.
히터(140)가 온된 기간이 히터(140)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면 건조장치(100)는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실(20) 내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기의 건조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히터(140)의 최초 동작 시점(t2)과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 80℃)에 도달한 시점의 시간차에 기초하여 제1 기간(ot1)과 제2 기간(ot2)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 중에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예: 85℃)에 도달하지 않는다면(2500의 아니오) 제1 기간(예: 3분) 동안 히터(140)를 온시키고 제2 기간(예: 2분) 동안 히터(140)를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 중에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에 도달하지 않고 건조행정이 종료되면(2550의 예) 건조행정이 종료된 시점(t3)부터 히터(140)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2800).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것(2500의 예)에 응답하여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히터(140)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2600). 즉,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시점(t4)에 히터(14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지막으로 히터(140)가 온된 기간(ot3)은 미리 설정된 제1 기간(ot1)보다 짧아질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건조행정의 종료 시점 이전에 히터(140)가 오프된 경우,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팬(131)의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것(2500의 예)에 응답하여 곧바로 건조행정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27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장치(100)의 토출구(192) 근처 온도를 특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고, 특정 범위 내에서 평균적인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조행정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의 기설정된 온 기간(ot1; 예: 3분)의 잔여 시간(rt) 동안 히터(14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경우 히터(140)가 온된 기간(ot3)은 기설정된 온 기간(ot1)보다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의 기설정된 온 기간이 3분이라고 가정할 때, 히터(14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된 후 2분이 경과한 시점(t4)에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하면, 히터(140)는 나머지 1분(rt)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다음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 예: 2분) 동안 지속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40)의 특정 온/오프 반복 회차에서 히터의 오프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히터(140)의 오프 기간은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시점(t4)을 기준으로 한 잔여 시간(rt)과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을 합한 기간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행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특정 범위 내에서 평균적인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의 기설정된 온 기간(ot1; 예: 3분)의 잔여 시간 동안 히터(140)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히터(140)가 오프된 시점(t4)으로부터 히터(140)의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 예: 2분)이 경과하면 히터(140)를 다시 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40)가 온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경우 히터(140)가 온된 기간(ot3)은 기설정된 온 기간(ot1)보다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의 기설정된 온 기간(ot1)이 3분이고, 히터(140)의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이 2분이라고 가정할 때, 히터(14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된 후 2분이 경과한 시점에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T2)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는 기설정된 오프 기간(ot2) 동안 오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분의 행정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더불어 건조행정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5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쿨링행정 중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쿨링행정이 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이 종료되면 쿨링행정이 시작되도록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예: 건조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300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의 종료에 응답하여 일시적으로 팬(131)을 오프시킬 수 있으며, 쿨링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팬(131)을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3100).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의 종료되더라도 팬(131)을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쿨링행정에서 팬(131)이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척실(20) 내부의 기온는 효율적으로 떨어질 수 있고, 세척실(20) 내부의 식기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건조행정에서는 세척실(2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때문에, 세척실(20) 내부의 기온이 상승한 상태로 건조행정이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 내부의 식기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 고온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도어(14)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어 개방 장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T3)(예: 35℃)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3200의 예) 팬(131)을 오프시킴으로써 쿨링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T3)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팬(131)을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쿨링행정이 종료되면 출력 모듈(420)을 통해 외부에 세척코스의 종료를 알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온도센서(195)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3 기준 온도(T3)(예: 35℃) 이하로 떨어진 시점(t5)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여 도어(14)를 오픈할 수 있다(3300).
프로세서(200)는 출력 모듈(420)을 통해 외부에 도어(14)의 오픈 사실을 알릴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도어(14)가 오픈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pd1) 동안 팬(131)을 동작시킬 수 있다(3400).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14)가 오픈된 상태에서 팬(131)이 동작되는 경우 외부 공기와 세척실(20) 내부 공기와의 순환의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도어(14)가 오픈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pd1) 동안 팬(131)을 동작시키는 경우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pd1)이 경과하면 출력 모듈(420)을 통해 외부에 세척코스의 종료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력 모듈(420)을 통해 세척코스의 종료 사실을 인지한 시점에서 식기의 온도가 충분히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고온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팬(131)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예비 세척행정(1100)에서의 세척수 배수 단계 및/또는 메인 세척행정(1200)에서의 세척수 배수 단계(1230) 및/또는 헹굼행정(1300)에서의 헹굼수 배수 단계(1330)와 같이 유로(19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염려가 없는 행정을 진행하는 중에 팬(131)을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팬(131)을 동작시키고, 팬(131)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감지하여 팬(13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건조행정(1400)이 시작되기 전 또는 히터(140)가 동작하기 전에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행정(1400)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세척 코스 및/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입력과 코스를 시작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팬(131)을 동작시키고, 팬(131)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감지하여 팬(13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헹굼행정(1300)이 시작되기 이전에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1400)을 생략하는 대신 헹굼행정(1300)에서의 헹굼수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행정(1300)이 시작되기 이전에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200)는 열풍 건조 옵션을 건조 향상 옵션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헹굼행정(1300)이 시작되기 이전에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 모듈(4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건조 향상 옵션으로의 변경 의사를 물을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에게 건조 향상 옵션으로의 변경 의사를 물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00)는 헹굼행정(1300)에서의 마지막 헹굼수 분사 단계가 종료된 후 건조행정(1400)이 시작하기 이전 또는 건조행정(1400)이 시작된 직후에 팬(131)을 동작시키고, 팬(131)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감지하여 팬(13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헹굼행정(1300)이 종료된 후에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200)는 건조행정(1400)에 대응되는 기간에 아무 동작 없이 대기 모드가 유지되도록 히터(140) 및 팬(131)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 모듈(420)을 통해 외부에 팬(131)의 고장 사실을 알리거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를 통해 외부에 팬(131)의 고장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출력 모듈(420) 및/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팬(131)의 고장에 따라 '열풍 건조 옵션'이 '건조 향상 옵션'으로 변경되었음을 알리거나, 건조행정(1400) 시의 동작이 변경(예: 대기 모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모듈(410)을 통해 세척행정을 진행하기 위한 시작 명령을 수신한 시점부터 헹굼행정(1300)의 시작 시점 사이의 어느 시점에서 팬(131)을 동작시켜 팬(131)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고, 이 때,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헹굼행정(1300)에서의 헹굼수 온도를 높게 설정하고, 건조행정(1400)에서 팬(131)과 히터(14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헹굼행정(1300)의 시작 시점과 건조행정(1400)의 시작 직후 시점 사이의 어느 시점에서 팬(131)을 동작시켜 팬(131)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고, 이 때, 팬(131)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행정(1400)에 대응되는 기간에 아무 동작 없이 대기 모드가 유지되도록 히터(140) 및 팬(131)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행정이 시작하기 전에 팬(13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건조행정 중 팬(131)의 미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헹굼행정(1300)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온도는 건조성능을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조장치(100)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과 더불어 헹굼수의 온도를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세척코스별로 기설정된 헹굼수 목표 온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척코스(예: 표준코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헹굼수 목표 온도는 제1 온도(A)(예: 55℃)일 수 있고, 제2 세척코스(예: 강력코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헹굼수 목표 온도는 제2 온도(B)(예: 6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헹굼수의 목표 온도는 헹굼수 배수 행정(1330) 직전에 수행되는 헹굼수 분사 행정(1320) 중 마지막 헹굼수 분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식기세척기(1)는 제1 옵션(열풍 건조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식기세척기(1)는 제2 옵션(건조 향상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세척코스와 제1 옵션 또는 제2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옵션의 추가 없이 제1 세척코스만을 선택한 경우와 비교하여 헹굼수의 목표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세척코스와 제1 옵션 또는 제2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옵션의 추가 없이 제2 세척코스만을 선택한 경우와 비교하여 헹굼수의 목표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A)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2 온도(B)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과 제1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A)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만큼 높은 온도(A+A1)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과 제1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2 온도(B)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만큼 높은 온도(B+B1)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세척코스와 제1 옵션을 선택하면 헹굼수의 목표 온도는 제1 온도(A)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만큼 높은 온도(A+A1)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세척코스와 제1 옵션을 선택하면 헹굼수의 목표 온도는 제2 온도(B)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만큼 높은 온도(B+B1)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코스별로 제1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헹굼수의 목표 온도의 상승폭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는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척코스의 헹굼수 목표 온도(A)가 제2 세척코스의 헹굼수 목표 온도(B)보다 낮은 경우,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예: 10℃)는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예: 7℃)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와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는 약 15℃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코스별로 열풍 건조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헹굼수의 목표 온도의 상승폭을 상이하게 제한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며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과 제2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A)보다 제3 미리 설정된 온도(A2)만큼 높은 온도(A+A2)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과 제2 옵션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두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2 온도(B)보다 제4 미리 설정된 온도(B2)만큼 높은 온도(B+B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세척코스와 제2 옵션을 선택하면 헹굼수의 목표 온도는 제1 온도(A)보다 제3 미리 설정된 온도(A2)만큼 높은 온도(A+A2)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세척코스와 제2 옵션을 선택하면 헹굼수의 목표 온도는 제2 온도(B)보다 제4 미리 설정된 온도(B2)만큼 높은 온도(B+B2)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옵션은 헹굼수 분사 행정(1320) 중 마지막 헹굼수 분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온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식기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옵션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미리 설정된 온도(A2)는 제1 미리 설정된 온도(A1)보다 높을 수 있고, 제4 미리 설정된 온도(B2) 제2 미리 설정된 온도(B1)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세척기(1)는 열풍 건조 옵션이 선택된 경우, 건조 향상 옵션이 선택된 경우보다 헹굼수의 목표 온도의 상승폭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과 건조 성능 향상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식기세척기(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00)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식기세척기(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식기세척기(1)와 스마트폰)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3: 터브 14: 도어
20: 세척실 100: 건조장치
131: 팬 140: 히터
150: 스위치장치 190: 유로
191: 흡입구 192: 토출구
195: 온도센서 200: 프로세서
300: 메모리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500: 센서 모듈 600: 세척 모듈
13: 터브 14: 도어
20: 세척실 100: 건조장치
131: 팬 140: 히터
150: 스위치장치 190: 유로
191: 흡입구 192: 토출구
195: 온도센서 200: 프로세서
300: 메모리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500: 센서 모듈 600: 세척 모듈
Claims (20)
-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벽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세척실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및
건조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기간이 상기 히터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온 기간 동안 온 시키고 기설정된 오프 기간 동안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의 기설정된 온 기간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최초로 동작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최초로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를 오픈하는 식기세척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가 오픈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건조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팬이 고장 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건조행정을 생략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추가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및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추가 없이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2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설정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는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제2 세척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및 선택된 세척코스에 대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추가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1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헹굼행정에서 사용되는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제2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1 온도보다 제1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3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과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헹굼수의 목표온도를 상기 제2 온도보다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은 제4 온도로 설정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온도와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온도는 서로 상이한 식기세척기. - 세척실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세척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유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배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건조장치가 터브의 외벽에 배치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조행정의 시작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가 온된 기간이 상기 히터가 오프된 기간보다 길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건조행정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온 기간 동안 온 시키고 기설정된 오프 기간 동안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및
상기 히터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의 기설정된 온 기간의 잔여 시간 동안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떨어진 시점을 상기 히터의 최초 동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0104A KR20220144030A (ko) | 2021-04-16 | 2021-04-16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CN202280028889.7A CN117157003A (zh) | 2021-04-16 | 2022-03-24 | 洗碗机及用于控制该洗碗机的方法 |
PCT/KR2022/004126 WO2022220432A1 (ko) | 2021-04-16 | 2022-03-24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EP22788289.1A EP4298982A4 (en) | 2021-04-16 | 2022-03-24 |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30128038A KR20230143129A (ko) | 2021-04-16 | 2023-09-25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US18/373,411 US20240016363A1 (en) | 2021-04-16 | 2023-09-27 |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18/379,916 US20240032769A1 (en) | 2021-04-16 | 2023-10-13 |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0104A KR20220144030A (ko) | 2021-04-16 | 2021-04-16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8038A Division KR20230143129A (ko) | 2021-04-16 | 2023-09-25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4030A true KR20220144030A (ko) | 2022-10-26 |
Family
ID=836397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0104A KR20220144030A (ko) | 2021-04-16 | 2021-04-16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KR1020230128038A KR20230143129A (ko) | 2021-04-16 | 2023-09-25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8038A KR20230143129A (ko) | 2021-04-16 | 2023-09-25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20240016363A1 (ko) |
EP (1) | EP4298982A4 (ko) |
KR (2) | KR20220144030A (ko) |
CN (1) | CN117157003A (ko) |
WO (1) | WO202222043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76742C (zh) * | 2002-11-01 | 2006-09-27 | 三星电子株式会社 | 洗碗机及控制洗碗机的方法 |
CN1235539C (zh) * | 2002-11-01 | 2006-01-11 | 三星电子株式会社 | 洗碗机控制方法 |
KR20050059677A (ko) * | 2003-12-15 | 2005-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JP5385204B2 (ja) * | 2010-04-06 | 2014-01-08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温風供給装置 |
GB2512988B (en) * | 2013-02-12 | 2015-06-10 | Lg Electronics Inc |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20170105595A1 (en) * | 2015-10-20 | 2017-04-20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User interface for a dishwasher |
KR102496333B1 (ko) * | 2016-06-30 | 2023-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CN108742458B (zh) * | 2018-06-21 | 2024-02-20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
US20200100644A1 (en) * | 2018-09-28 | 2020-04-02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ishwasher appliance with a drying system |
JP7042446B2 (ja) * | 2018-10-05 | 2022-03-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WO2020074176A1 (en) * | 2018-10-08 | 2020-04-16 | Arcelik Anonim Sirketi | A dishwasher comprising a heater |
-
2021
- 2021-04-16 KR KR1020210050104A patent/KR2022014403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3-24 WO PCT/KR2022/004126 patent/WO20222204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3-24 EP EP22788289.1A patent/EP4298982A4/en active Pending
- 2022-03-24 CN CN202280028889.7A patent/CN117157003A/zh active Pending
-
2023
- 2023-09-25 KR KR1020230128038A patent/KR202301431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09-27 US US18/373,411 patent/US20240016363A1/en active Pending
- 2023-10-13 US US18/379,916 patent/US2024003276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98982A1 (en) | 2024-01-03 |
KR20230143129A (ko) | 2023-10-11 |
CN117157003A (zh) | 2023-12-01 |
WO2022220432A1 (ko) | 2022-10-20 |
US20240032769A1 (en) | 2024-02-01 |
US20240016363A1 (en) | 2024-01-18 |
EP4298982A4 (en) | 2024-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6333B1 (ko)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
TWI412347B (zh) | Tableware cleaning machine | |
KR101208280B1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080282568A1 (en) | Dryer | |
JP4951987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US20040200508A1 (en) | Dishwasher having air generator | |
WO2013014871A1 (ja) | 食器洗い乾燥機 | |
JP2011072770A (ja) | 食器洗い機 | |
KR20120022427A (ko) |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 |
JP2010233651A (ja) | 食器洗浄機 | |
KR20220144030A (ko)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
KR102443320B1 (ko)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 |
JP6887764B2 (ja) | 洗浄機 | |
JPH07338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100783428B1 (ko) |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온도감지구조 | |
KR20090124148A (ko) | 식기세척기 | |
JP2004283209A (ja) | 食器乾燥機 | |
KR20230129884A (ko)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20143296A (ko) | 식기 세척기 | |
JP2020171550A (ja) | 洗浄機 | |
JP5923481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JP7229191B2 (ja) | 食器洗浄機 | |
KR20220143290A (ko) | 식기 세척기 | |
JP2018011711A (ja) | 洗浄機 | |
JP2009213813A (ja) | 食器洗い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