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296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296A
KR20220143296A KR1020210049649A KR20210049649A KR20220143296A KR 20220143296 A KR20220143296 A KR 20220143296A KR 1020210049649 A KR1020210049649 A KR 1020210049649A KR 20210049649 A KR20210049649 A KR 20210049649A KR 20220143296 A KR20220143296 A KR 2022014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er
holder
coup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뷔징요하네스
권종욱
김진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296A/ko
Priority to PCT/KR2022/004283 priority patent/WO2022220441A1/ko
Publication of KR2022014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96A/ko
Priority to US18/456,238 priority patent/US202304043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26B23/06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인접한 유체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는 스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를 커버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된 스위치장치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행정 중에는 식기에 묻은 물들이 증발하며 터브 내 측벽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건조행정 시에 가열된 공기를 사용하면 빠른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살균효과도 얻을 수 있다.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히터가 사용될 수 있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히터가 과열되는 경우 히터 주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의 사용시에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히터 주변의 구성요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흡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인접한 유체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는 스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를 커버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센싱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체결부재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홀더는 상기 히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로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홀더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 사이를 씰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씰링부 및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씰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씰링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터브의 측벽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유체는 상기 터브 내에 마련되는 세척실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로 흡입되는 공기이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서 상기 스위치 및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스위치는 상기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히터를 지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히터의 하류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팬, 스위치, 히터 및 온도센서는 순차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온도센서의 아래에 마련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센싱부의 돌출 방향이 상기 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식기세척기.
상기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터브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란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측벽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세척실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도록 상기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스위치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및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센싱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상기 유로 내부로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헤드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상기 스위치는 상기 히터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서 상기 스위치 및 히터의 위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히터를 지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히터의 아래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는 서모스탯 및 상기 서모스탯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서모스탯과 결합되며, 상기 서모스탯으로 열을 전달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서모스탯은 상기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여 히터 주변의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건조장치에서 흡입구 커버와 제1하우징의 결합관계 및 토출구 커버와 제1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터브, 건조장치 및 토출구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2)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실(20)을 형성하는 터브(13)와, 캐비닛(12)에 설치되어 터브(13)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식기세척기(1)는 빌트 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비닛(12)은 생략될 수 있다.
캐비닛(12)는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캐비닛(12)는 개구(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캐비닛(12)와 터브(13)는 대략 일면은 개방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체(10)는 캐비닛(12)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2)은 후면판(12e)과, 후면판(12e)의 전방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양측면판(12c, 12d)과, 양측면판(12c, 12d)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판(12f)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12f)은 캐비닛(12)의 전방에 개구(12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판(12f)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도어(1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판(12f)은 양측면판(12c, 12d)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4)는 캐비닛(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4)는 캐비닛(1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4)는 힌지장치(30)에 의해 캐비닛(12)과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2)의 내부에는 터브(13)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모으는 섬프유닛(40)과, 캐비닛(12)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식기가 올려지는 복수의 바스켓(50)과, 복수의 바스켓(50)을 지지하는 가이드랙(60)과, 섬프유닛(40)에서 전달된 물을 복수의 바스켓(50)에 담긴 식기를 향해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71,72,73)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작은 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0)은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제2바스켓(52) 및 제3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상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제2바스켓(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바스켓(52)은 제1바스켓(51)의 하측 및/또는 제3바스켓(53)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중간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바스켓(53)은 제1, 2바스켓(51, 5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터브(13)의 하부에서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스켓(51)은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는 서브바스켓(51)이 될 수 있다. 서브바스켓(51)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서브바스켓(61)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기 세척기(1)는 터브(13) 내에서 제1바스켓(51)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랙(61)과, 제2바스켓(52)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랙(62)과, 제3바스켓(53)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3가이드랙(6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랙(61, 62, 63)은 바스켓(51, 52, 53)을 각각 인출하기 위한 레일이 될 수 있다.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과 제3가이드랙(63)은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이 터브(13)의 전면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3)의 내측벽(13b, 13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랙(60)은 터브(13)의 좌측벽(13b) 및 우측벽(13c)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과 제3가이드랙(63)을 따라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은 터브(13)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섬프유닛(40)은 캐비닛(12)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섬프유닛(40)은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70)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4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4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공급관(80)을 통해 제1분사노즐(71)과 제2분사노즐(72), 그리고 제3분사노즐(73)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캐비닛(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 히터(42)와,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터브(1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70)은 제1바스켓(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분사노즐(71)과,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의 상측, 즉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분사노즐(72)과, 제3바스켓(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분사노즐(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71)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분사노즐(71)은 제1바스켓(51) 및/또는 제2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분사노즐(72)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분사노즐(72)은 제2바스켓(52)과 제3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분사노즐(73)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3분사노즐(73)은 제3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식기 세척기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일벽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50)의 이동시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이 건조장치(100)의 내부로 들어갈 가능성이 적다. 다만,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상벽(13a) 또는 후벽(13d)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장치(100)는 세척실(20) 내의 공기를 가열시켜 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A'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외측면과 캐비닛(12)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 및 흡입구 커버(161)는 터브(13)의 후벽(13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51, 52, 53)은 가이드랙(61, 62, 6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흡입구 커버(161)가 후벽(13d)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흡입구 커버(161)에 의한 바스켓(51, 52, 53)의 움직임 간섭을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바스켓(52)에는 식기(2)가 수납될 수 있는데, 식기(2)는 제2바스켓(52)의 전후 방향 이동시에 흡입구 커버(161)와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흡입구 커버(161)가 후벽(13d)에 인접하므로 제2바스켓(52)의 이동시에 식기(2)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식기(2)의 종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구 커버(161)는 제1가이드랙(61)의 아래 및/또는 제2가이드랙(6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제1가이드랙(61)과 제2가이드랙(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161)는 제1바스켓(51)과 제2바스켓(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 커버(161)의 배치는 제1, 2바스켓(51, 52)의 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터브의 측벽(13b, 13c)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높이조절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는 제2바스켓(52)이 세척실(20) 내에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바스켓(52)은 제1바스켓(51) 측으로 높이가 올라가거나, 제3바스켓(53) 측으로 높이가 내려갈 수 있다. 다만, 제2바스켓(52)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흡입구 커버(161)와 제2바스켓(52) 간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실(20) 내의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행정과, 식기에 묻은 이물질 등을 헹구어 내는 헹굼행정, 행굼행정 이후에 세척실(20) 내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거칠 수 있다. 건조행정을 통해 세척실(20) 내의 공기는 상대습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과 같은 다른 유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건조행정 중 세척실(20) 내 공기가 건조장치(100)로 흡입되고, 건조장치(100)에서 다시 세척실(20)로 토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장치(100) 내의 팬(131)이 회전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습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 커버(161)의 복수의 유입구(161c)와, 흡입구 커버(161) 및 흡입구(191) 사이에 마련되는 유입공간(193)을 지나 흡입구(191)로 흐를 수 있다. 유로(190)는 흡입구(191)와 토출구(1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공간(193)을 지난 공기는 유로(190)로 유입될 수 있다. 팬(131)은 흡입된 공기가 흡입구(191)와, 유로(190) 내에 배치되는 팬(131),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200)를 순서대로 거쳐 다시 세척실(20) 내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공기를 유로(190)로 흡입하고,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를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유로(190) 내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킬 수 있다.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20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고, 토출구(192)를 통해 다시 세척실(2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은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및 온도센서(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팬(131)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과열되면 히터(140)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히터(140)가 꺼지지 않는다면 과열 공기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하우징(110, 120)이 녹아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스위치장치(150)의 스위치(151)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작동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팬(131) 또는 모터(132)가 고장나지 않더라도 히터(140)가 과열된다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면 가열공기는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온도를 센싱하여 공기의 과열시 히터(140)를 끌 수 있도록 히터(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의 다른 구성요소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140)는 유로(190) 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대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히터(140)는 스위치장치(15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는 스위치장치(15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200)는 히터(140)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히터(14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200)는 히터(14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히터(14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센서(200)는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히터(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척실(20) 내의 공기는 흡입구(191)를 거쳐 유로(19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190) 내의 공기는 팬(131), 스위치장치(150), 히터(140), 온도센서(200)를 거쳐 토출구(192)를 통해 다시 세척실(20)로 흐를 수 있다. 토출구(192)는 하우징(110, 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120) 내부에 마련되는 응축수를 세척실(2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의 내측에는 유출포트(174)가 형성되고, 유출포트(174)에는 블레이드(171)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1)는 유로(190) 내의 공기가 터브(13)의 하부로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171)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건조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10, 120), 팬 어셈블리(130), 히터(140), 스위치장치(150) 및 유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건조장치(100)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토출구 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은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 120)은 팬(131), 히터(140), 스위치장치(150) 등 건조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 120)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응축수가 발생하더라도 아래 방향으로 흘러 응축수가 세척실(20) 내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110, 120)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결합하여 내부에 유로(19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흡입구 커버(161) 및 토출구 커버(170)에 의해 터브(13)의 측벽(13b, 13c)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161)와 토출구 커버(170)는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베이스(110a), 커버 결합부(111), 수용리브(112), 하우징 결합부(113), 흡입포트(114), 토출포트(115), 단자 보호부(116), 온도센서 수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결합되기 위한 제1커버 결합부(111a)와, 토출구 커버(170)와 결합되기 위한 제2커버 결합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베이스(110a)로부터 각각의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 또는 토출구 커버(17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11)의 외측에는 커버 씰링부재(18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커버 결합부(1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건조장치(100)와 터브(13)간의 사이를 씰링할 수 있다. .
커버 씰링부재(180)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건조장치(100)와 터브(13)간의 사이를 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커버 씰링부재(180)는 터브(13)와 건조장치(100) 간의 결합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터브(13)와 제1하우징(110)의 사이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버 씰링부재(180)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가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때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를 씰링하는 제1커버 씰링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버 씰링부재(180)는 토출구 커버(170)가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때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를 씰링하는 제2커버 씰링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참조).
수용리브(112)는 커버 결합부(111)로부터 흡입포트(114) 또는 토출포트(115)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용리브(1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용리브(112)는 제1커버 결합부(111a)의 일단에서 흡입포트(11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수용리브(112a)와, 제2커버 결합부(111b)의 일단에서 토출포트(115)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수용리브(112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수용리브(112)는 결합부재(162)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62c)와 토출구 커버(170)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73)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 및 토출구 커버(170)는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도 10 참조).
제1하우징(110)의 하우징 결합부(113)는 제2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부(123)와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하우징 결합부(11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하우징 결합부(113)는 제1하우징(110)의 상부, 중간, 하부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포트(114)는 유로(190)의 흡입구(19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토출포트(115)는 유로(190)의 토출구(19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보호부(116)는 베이스(110a)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 보호부(116)는 전방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 참조). 단자 보호부(116)는 히터(140)의 전원연결단자(143)를 보호할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전방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건조장치(100) 내의 응축수가 전원연결단자(14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 수용부(117)는 제1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 수용부(117)는 온도센서(200)가 유로(190) 내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온도센서(200)를 제1하우징(110)에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베이스(120a), 팬 수용부(121), 스위치장치 결합부(122), 하우징 결합부(123), 히터 수용부(124), 이격리브(127), 가이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수용부(121)는 팬 어셈블리(13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수용부(121)에는 팬 어셈블리(130)의 안착부(133)가 수용될 수 있다. 팬 수용부(121)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팬 수용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장치 결합부(122)는 스위치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히터 수용부(124)는 히터(14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외측에는 이격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리브(127)는 제2하우징(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캐비닛(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 참조). 이격리브(127)는 제2하우징(120)의 외면과 캐비닛의 내면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120)과 캐비닛의 측면판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장치(100)와 캐비닛 (12)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히터(140)에 의한 열이 캐비닛(12)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비닛(12)과 건조장치(1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격리브(127)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이격리브(127)는 4개로 도시되었으나 이격리브(127)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128)는 유로(190) 내의 공기가 세척실(20) 내로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제1하우징(11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 결합부(123)는 제1하우징(110)의 하우징 결합부(113)와 결합되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하우징 결합부(12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하우징 결합부(123)는 제2하우징(120)의 상부, 중간, 하부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30)는 팬(131), 모터(132), 안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팬(131)은 세척실(20) 내의 공기가 유로(19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팬(131)은 유로(190) 내에서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은 유로(190) 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4, 5 참조). 팬(131)은 원심팬이 될 수 있다. 다만 팬(131)의 위치 및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132)는 팬(131)과 연결되어 팬(131)을 구동시킬 수 있다. 팬 안착부(133)는 팬(131) 및 모터(132)를 커버하며 팬(131) 및 모터(132)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팬 안착부(133)는 제2하우징(120)의 팬 수용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히터(140)는 히터 케이스(141), 시즈히터(142), 전원연결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41)는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시즈히터(142)를 수용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141)는 내부의 시즈히터(142)가 보호되도록 히터(1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시즈히터(142)는 튜브형 히터일 수 있다. 시즈히터(142)를 사용하므로 하우징(110, 120) 내에 응축수가 있어도 히터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행정 이전에 세척행정 또는 헹굼행정으로 인해 하우징(110, 120) 내에 응축수가 발생하여도 히터(140)의 기능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식기 세척기(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시즈히터(142)의 양단에 연결되어 시즈히터(14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43)는 전방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143) 측으로 응축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도 3 참조).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과열된 경우에 히터(140)를 오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히터(140)가 꺼지지 않는다면 과열 공기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하우징(110, 120)이 녹아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스위치장치(150)의 스위치(151)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작동 예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면 가열공기는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장치(150)는 히터(140)의 온도를 센싱하여 공기의 과열시 히터(140)를 끌 수 있도록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흡입구 커버(161)는 유로(190)의 흡입구(191) 및 제1하우징(110)의 흡입포트(114)를 커버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를 통해 세척 행정 또는 헹굼 행정 중 흡입구(191)로 이물질 또는 세척수가 건조장치(100)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베이스부(161a)와 돌출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a)는 흡입구(191)를 커버하여 흡입구(191)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a)는 커버부(161a)가 될 수 있다. 돌출부(161b)는 유입공간(193)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161a)로부터 세척실(2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공간(193)을 통해 세척실(20) 내의 공기가 유로(19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건조장치에서 흡입구 커버와 제1하우징의 결합관계 및 토출구 커버와 제1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B-B'로 건조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을 사이에 두고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도 4, 5 참조). 이에 따라,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제1하우징(1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를 용이하게 제1하우징(110)에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다.
결합부재(162)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162c)와 제1하우징(110)의 제1수용리브(112a)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리브(162c)와 제1수용리브(112a)가 서로 간섭되어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흡입구 커버(161), 결합부재(162), 체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결합부재(162)와 체결부재(16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 커버(161)는 체결부재(163)를 수용하는 체결부(161d)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61d)는 결합부재(16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161d) 및 체결부재(16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162)는 흡입구 커버(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162)는 제1하우징(110)과 흡입구 커버(16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16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62)는 유입포트(162a), 방지부(162b), 결합리브(162c)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포트(162a)는 세척실(20)에서 유입구(161c)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로(190)로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실(20) 내의 공기는 복수의 유입구(161c), 유입포트(162a), 흡입포트(114)를 차례로 지나 흡입구(191)로 흐를 수 있다. 방지부(162b)는 흡입구 커버(161)의 하부에 마련되는 유입구(161c)에서 공기가 아닌 이물질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흡입구 커버(16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리브(162c)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리브(162c)는 결합부재(162)의 외측에 마련되어 수용리브(11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었을 때, Y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수용리브(112), 결합리브(162c)가 배열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는 터브(13)의 측벽(13b, 13c)을 사이에 두고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 커버(1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100)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토출구 커버(17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 터브(13)가 배치됨으로써 터브(13)의 측벽(13b, 13c)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는 회전하여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리브(173)와 제1하우징(110)의 제2수용리브(112b)가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는 블레이드(171), 외주돌기(172), 결합리브(17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리브(173)는 유출포트(174)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173)는 토출구 커버(17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리브(173)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의 결합리브(173)는 제1하우징(110)에 마련되는 제2수용리브(112b)와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었을 때, 토출구 커버(170)의 결합리브(173)와 제2수용리브(112b)가 서로 간섭되어 토출구 커버(170)는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리브(173)는 결합부재(162)는 외측에 마련되어 제2수용리브(112b)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Y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2수용리브(112b), 결합리브(173)가 배열될 수 있다(도 10 참조).
건조장치(100)는 스위치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장치(150)는 센싱부(151a)를 포함하는 스위치(151), 스위치(151)를 제2하우징(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152), 홀더(152)와 제2하우징(120)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1)는 히터(140)의 상류에 배치되어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가열될 경우 히터(14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51)는 히터(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가열된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센싱할 수 있다.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140)를 오프시켜 공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구(191)는 팬(131)의 회전축(P1)과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팬(131)은 흡입구의 공기를 원활히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팬(131)의 회전축(P1)과 스위치(151)의 축 방향(P2)은 평행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터브, 건조장치 및 토출구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씰링부재(180)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건조장치(100)와 터브(13)간의 사이를 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장치(100)가 터브(13)에 결합될 때, 커버 씰링부재(180)는 터브(13)와 건조장치(100) 간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터브(13)와 제1하우징(110)의 사이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커버 씰링부재(18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버 씰링부재(180)는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가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때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를 씰링하는 제1커버 씰링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버 씰링부재(180)는 토출구 커버(170)가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때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를 씰링하는 제2커버 씰링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커버 씰링부재(180)를 수용하도록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토출구 커버(170)를 향해 돌출되는 수용돌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돌기(118)는 커버 씰링부재(180)가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커버 씰링부재(18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토출구 커버(170),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이 결합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제1하우징(110)과 토출구 커버(170)가 결합됨으로써, 건조장치(100)는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수용리브(112b)와 토출구 커버(170)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7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는 건조장치(100)를 터브(13)의 내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 커버(170)의 결합리브(173)는 제1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제2수용리브(112b)를 터브(13)의 내측, 즉 세척실(20)의 내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된 제2커버 씰링부재(182)는 압축될 수 있고,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은 씰링될 수 있다.
토출구 커버(170)는 외주부(170a)와 내주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용리브(112b)가 결합리브(173)에 의해 터브(13)의 내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제2수용리브(112b)는 상하 방향으로 외주부(170a) 및 내주부(17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토출구 커버(170)와 제1하우징(110)이 결합되는 경우로 설명되었으나,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160)와 제1하우징(110)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리브(112a)와 결합부재(162)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62c)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62)는 건조장치(100)를 터브(13)의 내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62)의 결합리브(162c)는 제1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제1수용리브(112a)를 터브(13)의 내측, 즉 세척실(20)의 내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3) 및 제1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된 제1커버 씰링부재(181)는 압축될 수 있고, 터브(13)와 제1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은 씰링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리브(112a)와 결합부재(162)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62c)의 결합 및 제2수용리브(112b)와 토출구 커버(170)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73)의 결합으로 인해 건조장치(100)는 터브(13)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C-C'로 절단한 단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스위치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온도조절장치(100)로 지칭될 수 있다. 스위치장치(150)는 스위치(151), 홀더(152), 체결부재(153) 및 씰링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장치(150)는 상기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스위치(151)는 센싱부(151a), 결합부(151b), 스위칭부(151c), 단자(151d) 및 결합홀(151e)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51a)는 유로(190) 내에 마련되어 유로(190) 내의 공기 온도를 센싱하고, 공기가 과열된 경우 히터(140)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또는 모터(132)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스위치(151)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히터(140)가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센싱부(151a)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고, 스위칭부(151c)는 히터(14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칭부(151c)는 히터(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결합부(151b)는 센싱부(151a)의 외측에 마련되어 스위치(151)가 홀더(152) 및 스위치장치 결합부(122)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51b)는 Y방향을 따라 홀더(152) 및 스위치장치 결합부(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51b)는 결합부(151b)에 마련되는 결합홀(151e)에 의해 제2하우징(12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홀(151e)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c)가 결합되어 스위치(151)가 제2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칭부(151c)는 유로(19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위칭부(151c)는 히터(140)를 온 또는 오프 시키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부(151c)의 외측에는 단자(151d)가 마련될 수 있다. 단자(151d)는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미도시)와 스위치(15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스위치(15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151)는 히터(140)를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151)와, 히터(140)를 완전히 꺼버리는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151)의 개수 또는 기능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위치(151)만으로 히터(140)를 온 또는 오프하거나, 완전히 꺼지도록 할 수 있다.
홀더(152)는 스위치(151)를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52)는 히터(140)에 인접한 공기의 온도를 스위치(151)의 센싱부(151a)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152)는 방열판(152)으로 지칭될 수 있다.
홀더(152)는 커버부(152a), 연장부(152b), 스위치 홀(152c), 체결부재(153) 홀(152d)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52a)는 씰링부재(154)와, 스위치(151)의 결합부(151b)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52a)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52a)는 씰링부재(15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52b)는 커버부(152a)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52b)는 제2하우징(120)의 스위치장치 결합부(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홀(152c)은 스위치(151)의 센싱부(151a)가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 홀(152c)을 통해 센싱부(151a)는 홀더(152) 보다 유로(19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 홀(152c)은 센싱부(151a)가 하우징(110, 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센싱부(151a)에 대응되는 홀(152c)이 될 수 있다. 스위치 홀(152c)을 통해 센싱부(151a)가 유로(190) 내부로 더 돌출되어 히터의 과열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체결부재 홀(152d)은 홀더(152), 씰링부재(154), 스위치(151) 및 제2하우징(1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153)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 홀(152d)은 체결부재의 삽입부(153b)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154)는 제1씰링부(154a), 제2씰링부(154b), 스위치 홀(154d) 및 체결부재 홀(154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씰링부(154a)는 홀더(152)와 스위치(151) 사이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씰링부(154a)는 홀더(152)와 결합부(151b) 사이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씰링부(154a)는 결합부(151b)와 홀더(152)의 사이에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씰링부(154b)는 홀더(152)와 제2하우징(12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씰링부(154b)는 홀더(152)와 스위치장치 결합부(122)의 사이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씰링부(154b)는 스위치장치 결합부(122)와 홀더(152)의 사이에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씰링부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씰링부재(154)는 체결부재(153)와 제2하우징(12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 홀(154d)은 스위치(151)의 센싱부(151a)가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 홀(154e)은 체결부재(153)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 홀(154e)은 체결부재(153)의 삽입부(153b)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53)는 홀더(152), 씰링부재(154), 스위치(151) 및 제2하우징(12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재(153)는 복수 또는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53)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하우징(120)은 스위치장치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장치 결합부(122)는 스위치(151), 씰링부재(154), 홀더(152) 및 체결부재(153)와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장치 결합부(122)는 안착부(122a), 스위치 홀(122b), 결합돌기(122c), 체결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2a)는 스위치(151) 및 씰링부재(154)가 안착될 수 있다. 스위치 홀(122b)은 스위칭부(151c)와 단자(151d)가 통과되도록 스위칭부(151c) 및 단자(151d)와 대응되는 형상을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122c)는 스위치(151)의 결합부(151b)와 결합되도록 제2하우징(120)으로부터 스위치(15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122d)는 체결부재(153)가 제2하우징(120)과 결합되도록 체결부재의 삽입부(15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보스(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126)는 체결부재(153)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스(126)는 삽입부(153b)를 수용할 수 있다. 보스(126)는 제2하우징(1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스(126)는 Y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보스(126)는 유로(190) 내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센싱부(151a)의 온도 센싱에 관해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세척실(20)로부터 유로(19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팬(131)을 지날 수 있다. 팬(131)을 통과한 공기는 팬(131)의 하류에 배치되는 스위치장치(150)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스위치장치(150)의 하류에는 히터(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 스위치장치(150) 및 히터(140)는 Z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 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만약 팬(131) 또는 모터(132)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히터(140)의 비정상적인 가동으로 히터(140)가 과열될 수 있다. 스위치(151)는 히터(140)로 인해 유로(190) 내의 공기가 과열되면 히터(140)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31)의 고장으로 인해 공기는 냉각되지 못하고, 히터(140)가 계속해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유로(190) 내의 공기는 과열될 수 있다. 이 때, 히터(140)의 위에 배치되는데, 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면 가열공기는 위로 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151)의 센싱부(151a)는 체결부재(153)의 헤드(153a) 보다 유로(19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센싱부(151a)가 헤드(153a) 보다 더 돌출되므로 공기의 온도 측정시 방해를 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151a)가 정확도가 높게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151a)는 빠르게 스위치장치(150) 또는 히터(140)에 인접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스위칭부(151c)는 히터(140)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히터(140)가 꺼지면 공기는 더 이상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 120)이 녹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 세척기
10; 본체
12; 캐비닛
13; 터브
20; 세척실
50; 바스켓
60; 가이드랙
100; 건조장치
110; 제1하우징
120; 제2하우징
130; 팬 어셈블리
140; 히터
150; 스위칭장치
160; 흡입구 커버 어셈블리
170; 토출구 커버
190; 유로
200; 온도센서

Claims (20)

  1.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흡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인접한 유체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는 스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를 커버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센싱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체결부재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히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로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홀더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 사이를 씰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씰링부; 및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씰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씰링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터브의 측벽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터브 내에 마련되는 세척실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로 흡입되는 공기이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서 상기 스위치 및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히터를 지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히터의 하류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스위치, 히터 및 온도센서는 순차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온도센서의 아래에 마련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돌출 방향이 상기 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식기세척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터브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6.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측벽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세척실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유로 내의 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히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도록 상기 히터의 상류에 배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스위치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및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와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센싱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상기 유로 내부로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헤드 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히터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유로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유로 내에서 상기 스위치 및 히터의 위에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히터를 지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히터의 아래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마련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히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에 인접한 공기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오프 시키는 서모스탯; 및
    상기 서모스탯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서모스탯과 결합되며, 상기 서모스탯으로 열을 전달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서모스탯은 상기 홀더 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049649A 2021-04-16 2021-04-16 식기 세척기 KR20220143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49A KR20220143296A (ko) 2021-04-16 2021-04-16 식기 세척기
PCT/KR2022/004283 WO2022220441A1 (ko) 2021-04-16 2022-03-28 식기 세척기
US18/456,238 US20230404359A1 (en) 2021-04-16 2023-08-25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49A KR20220143296A (ko) 2021-04-16 2021-04-16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96A true KR20220143296A (ko) 2022-10-25

Family

ID=8363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649A KR20220143296A (ko) 2021-04-16 2021-04-1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04359A1 (ko)
KR (1) KR20220143296A (ko)
WO (1) WO20222204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28B1 (ko) * 2007-01-05 2007-12-07 허정석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온도감지구조
JP5385204B2 (ja) * 2010-04-06 2014-01-0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温風供給装置
CN108742458B (zh) * 2018-06-21 2024-02-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US20200100644A1 (en) * 2018-09-28 2020-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a drying system
JP7042446B2 (ja) * 2018-10-05 2022-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4359A1 (en) 2023-12-21
WO2022220441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2493966B1 (ko) 세탁기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KR20220143296A (ko) 식기 세척기
US20230210342A1 (en) Dishwasher
KR20220143290A (ko) 식기 세척기
US11564553B2 (en) Dish washer
KR20230089884A (ko) 식기 세척기
EP4268700A1 (en) Dishwasher
KR2024005093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 방법
US20240032769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180993A1 (en) Dishwasher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US20240122440A1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hwasher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US20210244256A1 (en) Dishwasher
US20230210345A1 (en) Dishwasher
KR20230129884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0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