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936A -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936A
KR20220142936A KR1020220044544A KR20220044544A KR20220142936A KR 20220142936 A KR20220142936 A KR 20220142936A KR 1020220044544 A KR1020220044544 A KR 1020220044544A KR 20220044544 A KR20220044544 A KR 20220044544A KR 20220142936 A KR20220142936 A KR 2022014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folding
fol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언
Original Assignee
임병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언 filed Critical 임병언
Priority to JP202356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14216A/ja
Priority to EP22788420.2A priority patent/EP4324702A1/en
Priority to PCT/KR2022/005318 priority patent/WO2022220564A1/ko
Publication of KR2022014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도어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전개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하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하부 절첩바와,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중앙 절첩바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Automatic spread trip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도어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전개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차량에 이상이 생기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량을 도로의 갓길에 정차시키거나 이상이 발생한 위치에 멈추게 되어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고 비상 응급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를 의무적으로 구비하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관련 볍규에 따라 삼각형으로 제작되고, 단가 절감을 위해 그 표면상에 광 반사판 또는 반사 필름을 부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반사판 또는 반사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가시거리가 불과 300m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외부에서의 광원이 있을 때에만 반사가 되기에 야간에 차량 운행 중 차량에 이상이 생기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하게 될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935909호는 받침부와 지지부와 발광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후방 차체에 하방의 자석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안전 삼각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 삼각대의 입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안전 삼각대의 설치 및 철수를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자동차들이 주행하는 도로까지 나가서 작업을 해야한다는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운전자들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의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86816호는 베이스브래킷, 바홀더, 표시바, 표시바홀딩수단을 구비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방 각도에 상관없이 표시바를 항상 후속차량을 향해 발광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비상삼각대 설치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해 표시바가 펼쳐져 자동으로 안전 삼각대의 형성이 가능하되, 표시바를 다시 바홀더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표시바를 바홀더로 향해 수동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909호(2018.12.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6816호(2016.12.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도어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전개됨으로써 사고 직후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있어서,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하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하부 절첩바와,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중앙 절첩바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 절첩바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상기 중앙 절첩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과 하부 슬라이딩홀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래와, 일측은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절첩 프레임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 프레임은, 상기 절첩 프레임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화살표 또는 우측 화살표 또는 삼각형 표시가 되도록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시켜 보관 시,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삼각대를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은 상호 간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교체가 필요한 절첩 프레임 간의 결합만을 해제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안전 삼각대가 펼쳐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빠르게 인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주행 중에 안전하게 삼각대를 설치 및 수납할 수 있으며, 삼각대 형성과 동시에 발광부가 점등됨으로써 야간 및 안개 등 운전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중앙 슬라이드부가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표시부를 조작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크게 고정 프레임(100), 절첩 프레임(200), 중앙 슬라이드부(300), 연장 슬라이드부(400), 구동부(500), 제어부(600), 통신부(700) 및 조작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차량의 트렁크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다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상측 내부에 자석(12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마련된 상기 자석(120)에 의하여 차량의 내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중앙 절첩바(210), 제1 상부 절첩바(221)와 제2 상부 절첩바(222)로 형성되는 상부 절첩바(220)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로 형성되는 하부 절첩바(230)의 다수 개의 절첩바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의 일단과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의 일단은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의 일단과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일단은 하부 힌지축(23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이 상기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와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의 타탄과, 상기 하부 힌지축(233)에 의해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타탄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 간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회동이 이루어져 하나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상호 간의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힌지축(24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끝단이 둥글게 형성되되, 상호 간의 끝단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진 부분이 상기 힌지축(240)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240)을 기준으로 회동할 경우, 상호 간에 부딪히지 않으므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용이하게 회동되어 하나의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회동되어 하나의 바 형태로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보관될 경우,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음으로 고정 프레임(100)의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 내부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부에 거치부(280)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270) 일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 상부와 상기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거치부(280)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280) 일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 일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되,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280)가 상기 고정 프레임(100) 중간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10)을 따라 위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280)의 후면에는 가이드 돌기(281)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81)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281)가 삽입 걸림되는 가이드홈(110)이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230)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좌측에 형성된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우측에 형성된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첩바(220)는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제2 상부 절첩바(222)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절첩바(230)는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제2 하부 절첩바(232)로 구비되되,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 좌측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우측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제2 하부 절첩바(232)로 구비되어진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중앙 슬라이드부가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표면 일측 끝단에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 사이에 구비된 피니언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정회전 및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됨으로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는 일측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어진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이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표면에 형성된 랙기어를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이동됨으로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 끝단 내측면에 제1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상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돌기 일측이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는 상, 하부 내측 벽면에 한 개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는 상기 제2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레일을 따라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앙 절첩바(210) 간의 인출 및 삽입되는 방식은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수단이 상기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간에 바뀌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뿐만 아니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410)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41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하부 슬라이딩홀(422)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420)과, 상기 상부 절첩바(22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440)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44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230)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사이에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이 좌우 방향으로 절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연결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내부에서 기계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길이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상기 연장 슬라이드바(410)가 각각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430)는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하강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가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상부에서 산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하부에서 골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 중에서 서로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는 동시에 좌우 이동하여 절첩 운동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편(441)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 프레임(200)에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가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슬라이딩볼(432)과 하부 슬라이딩볼(4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볼(432)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마찰로 인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볼(442)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마찰로 인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하부로 인출되면서 하방으로 펼쳐질 때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에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양측이 균형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상기 연결편(44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톱니기어(431)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톱니기어(431)와 치합되는 렉기어(4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510), 구동모터(520), 도르래(530) 및 와이어(540)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510)은 봉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회전축(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520)는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관통형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520)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5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530)는 상기 회전축(510)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540)는 일측은 상기 도르래(53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5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힐 경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기 하부 절첩바(230) 및 상기 상부 절첩바(220) 순으로 일렬로 적층되어 일자형으로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풀리게 되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외부로 펼쳐질 경우,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힌지결합과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기 하부 절첩바(230)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간의 힌지결합으로 인해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회동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형상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26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26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와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에 상기 힌지축(240)으로 힌지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일정한 각도만큼만 자동으로 펴지도록 힘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540)의 타측 끝단에는 고정클립(54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클립(541)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로부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일정한 각도만큼만 펴지도록 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후방에서 질주하며 지나치는 차량으로부터 야기된 강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올바르게 지지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방향이 비틀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마름모 형상의 삼각대가 앞, 뒤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은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에 상기 고정돌기(542)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어진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고정클립(541) 양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2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립(541) 몸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542)의 형상에 있어서는 구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그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은 'C'자형, 'ㄷ'자형, 'U'자형, 'I'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고정클립(541)의 형상에 있어서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클립(541)은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의 안쪽 면과 결합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상기 고정클립(541)과 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에 결합된 상기 고정클립(541)의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일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에 결합된 상기 고정클립(541)의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립(541)으로 인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클립(541)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과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후면과 결합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클립(541) 양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상,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542)는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542)가 상기 고정홈(250)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단순히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보관되기 위해 상기 고정클립(541)과 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결합되어진 상기 고정클립(54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 일측 및 제1 상부 절첩바(221)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와 결합되어진 상기 고정클립(54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 타측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됨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80)는 무게추(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된 기울기와 상관없이 해당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에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차량이 비탈길을 주행하는 경우 등과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외부 환경조건에 의해 비틀어져 후방 차량이 절첩 프레임(200)의 문양을 잘못 이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상기 무게추(미도시)에 의해 기울기가 유지되어 후방 차량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문양을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사고로 인해 차량이 90도로 회전되어질 경우에도 후방 차량이 전방 사고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트렁크에 상기 자석(120)으로 부착되어진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분리하여 차량의 측면에 상기 자석(120)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0) 내부에 보조와이어(130)를 통해 연결되어 삽입되어있는 상기 자석(120)을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부터 꺼내어 차량의 문 또는 지붕에 부착시킴으로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후방 차량이 전방 사고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와이어(1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자석(120)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연결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연결된 상기 보조와이어(13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차량에 부착하려는 곳의 높이에 맞춰 상기 보조와이어(130)를 인출시켜 상기 자석(12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일면에 복수 개의 발광부(2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LED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좌측 화살표 문양과,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우측 화살표 문양과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이용하여 삼각형 문양, 좌우 화살표 문양 등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차량에게 비상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원선 또는 내부 충전지 등을 이용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지(미도시)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평상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표시부를 조작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제어부(600), 통신부(700) 및 조작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차량의 비상등 또는 충격 감지 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의 비상등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유지되는 경우 또는 충격 감지 유닛으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조작부(800)의 조작 신호를 상기 통신부(7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8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받아 삼각형태, 좌우 화살표 형태 등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복수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후방 차량에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8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7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700)는 상기 조작부(8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등 근거리에서 전달 가능한 공지의 통신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상기 통신부(700)와 상기 조작부(8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력 공급 및 조작 신호 전달을 위해 전력 공급선, 신호 전달선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8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작 신호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점등모드 및 동작모드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8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800)는 원격으로 조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일 수 있으며, 차량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복수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하여 삼각형 문양, 좌우 화살표 문양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이 우측에 있는 갓길에 정차해 있는 상황에는 좌측 화살표를 점멸하여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차량의 차로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이 1차로에 정차해 있는 상황에는 우측 화살표 형태를 점멸하여 차량 사고 시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차량의 차로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삼각형태를 점멸하여 차량 사고 시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서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안전 삼각대가 펼쳐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빠르게 인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주행 중에 안전하게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삼각대 형성과 동시에 발광부가 점등됨으로써 야간 및 안개 등 운전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100 : 고정 프레임
110 : 가이드홈 120 : 자석
130 : 보조와이어
200 : 절첩 프레임
210 : 중앙 절첩바 220 : 상부 절첩바
221 : 제1 상부 절첩바 222 : 제2 상부 절첩바
223 : 상부 힌지축 230 : 하부 절첩바
231 : 제1 하부 절첩바 232 : 제2 하부 절첩바
233 : 하부 힌지축 240 : 힌지축
250 : 고정홈 260 : 비틀림 스프링
270 : 발광부 280 : 거치부
281 : 가이드 돌기
300 : 중앙 슬라이드부
310 : 제1 중앙 슬라이드바 320 : 제2 중앙 슬라이드바
400 : 연장 슬라이드부
410 : 연장 슬라이드바 411 : 렉기어
420 : 슬라이딩 레일 421 : 상부 슬라이딩홀
422 : 하부 슬라이딩홀 430 : 상부 슬라이더
431 : 톱니기어 432 : 상부 슬라이딩볼
440 : 하부 슬라이더 441 : 연결편
442 : 하부 슬라이딩볼
500 : 구동부
510 : 회전축 520 : 구동모터
530 : 도르래 540 : 와이어
541 : 고정클립 542 : 고정돌기
600 : 제어부
700 : 통신부
800 : 조작부
C : 차량
D : 트렁크도어
B : 차체

Claims (6)

  1.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하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하부 절첩바와,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중앙 절첩바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상기 중앙 절첩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과 하부 슬라이딩홀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래와,
    일측은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절첩 프레임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프레임은,
    상기 절첩 프레임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화살표 또는 우측 화살표 또는 삼각형 표시가 되도록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KR1020220044544A 2021-04-15 2022-04-11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KR20220142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63334A JP2024514216A (ja) 2021-04-15 2022-04-13 車両用自動展開式三角表示板
EP22788420.2A EP4324702A1 (en) 2021-04-15 2022-04-13 Automatically deployed tripod for vehicle
PCT/KR2022/005318 WO2022220564A1 (ko) 2021-04-15 2022-04-13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9194 2021-04-15
KR1020210049194 2021-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936A true KR20220142936A (ko) 2022-10-24

Family

ID=8380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544A KR20220142936A (ko) 2021-04-15 2022-04-11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9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16B1 (ko) 2016-08-25 2016-12-15 이장수 비상삼각대 설치장치
KR101935909B1 (ko) 2017-10-13 2019-01-07 주식회사 태건 차량용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16B1 (ko) 2016-08-25 2016-12-15 이장수 비상삼각대 설치장치
KR101935909B1 (ko) 2017-10-13 2019-01-07 주식회사 태건 차량용 안전 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US4565152A (en) Safety flag
KR102018275B1 (ko) 차량 비치용 led 자동 안전삼각대
KR20170000497U (ko) 트렁크 거치형 안전 표지판
KR101251037B1 (ko) 차량용 실내 안전 삼각대
KR102223899B1 (ko) 차량의 자동 안전 삼각대
KR101066683B1 (ko) 안전삼각대를 구비한 라인트레이서
KR20120036112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KR20220142936A (ko)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EP4324702A1 (en) Automatically deployed tripod for vehicle
CN221049584U (zh) 车辆用自动展开式三角架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101605197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US10994652B2 (e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rear vehicle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ame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531285B1 (ko) 지면 설치 가능한 램프 점등용 안전 표시구
US3213419A (en) Telescopically mounted stop light for vehicle
KR200252711Y1 (ko) 자동차의 야간정차 표시장치
KR200488866Y1 (ko) 차량용 안전 표지판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173143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JP3172616U (ja) 自動車用雨よけ装置
KR101791922B1 (ko) 다단형 경광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