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0564A1 -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0564A1
WO2022220564A1 PCT/KR2022/005318 KR2022005318W WO2022220564A1 WO 2022220564 A1 WO2022220564 A1 WO 2022220564A1 KR 2022005318 W KR2022005318 W KR 2022005318W WO 2022220564 A1 WO2022220564 A1 WO 20222205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fold
fol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3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병언
Original Assignee
임병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4454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42936A/ko
Application filed by 임병언 filed Critical 임병언
Priority to JP202356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14216A/ja
Priority to CN202290000389.8U priority patent/CN221049584U/zh
Priority to EP22788420.2A priority patent/EP4324702A1/en
Publication of WO20222205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05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tha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a trunk door and automatically deployed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when a vehicle malfunctions or an accident occurs.
  • a conventional safety tripod for a vehicle is manufactured in a triangular shape according to related laws, and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a light reflecting plate or a reflecting film on the surface to reduce unit cost.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5909 has a support part, a support part, and a light emitting part and is fixed to the rear body of the vehicle by a magnet part below,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support of the safety tripod and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tripod.
  • the technology for a safety tripod for vehicles has been announced that can mak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an accident is further increased.
  • Korea Patent No. 10-1686816 discloses an emergency that includes a base bracket, a bar holder, a display bar, and an indicator bar holding means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indicator bar always emits light toward the next vehicle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trunk lid.
  • the display bar is unfolded due to the slide method to automatically form a safety tripod. The problem is that you have to push it in manual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that may occur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by being attached to the inside of a trunk door and automatically deploy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when a vehicle malfunctions or an accident occurs. It is to provide an auto-deployable tripod for vehicles.
  • a fixed frame formed of a housing with one side open;
  • a pair of upper folding bars having one end hinged and rotatable by an upper hinge shaft, a pair of lower folding bars having one end hinged and rotatable by a lower hinge shaft, and formed between the upper folding bar and the lower folding bar and a central folding bar having both ends hinge-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upper folding bar and the lower folding bar,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xing frame and f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or protruding out of the fixing frame Folding frame that unfolds as much as possible;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and fixed so that the folded frame is in a folded state, and releases the fixing of the folded fram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folded frame is in an unfolded state.
  • the central fold bar is composed of a first center slide bar and a second center slide bar that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enter slide bar and the second center slide bar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length of the center fold bar is extended. and a central slide part that rotates the pair of upper fold bars and the pair of lower fold bars as it shrinks so that the fold frame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fixed frame by the driving unit.
  • the central fold bar includes a pair of extended slide bars coupled to exten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fold bar, respectively, and an upper sliding hole and a lower sliding hole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ir of extended slide bars, respectively.
  • a sliding rail cut ou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pair of upper sliders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upper foldable bar,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sliding hole to enable the upper foldable bar to be folded, and slid left and right; and the lower part; It consists of a pair of lower sliders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foldable bars an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ower sliding holes to slide left and right so that the lower foldable bars are foldable, the pair of upper sliders and the pair of The lower slider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to rotate the pair of upper fold bars and the pair of lower fold bars as the length of the central fold bar is extended and contracted, so that the fold frame is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by the driv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tended slide portion
  • the driv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so that the folded frame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fixed frame,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 a pair of pulleys to be couple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pulley,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old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wires for moving the folding frame as the pulley rotates.
  • the driv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clip having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both ends, the fixing projection is fit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folding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fram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 the folded fram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folded frame,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ights that emit light so as to display a left arrow or a right arrow or a triangl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olded frame is unfolded by the driv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wealth.
  • the self-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ore the tripod without occupying a separate space because it is foldable when stored inside the vehicle.
  • the folding frame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by releasing only the coupling between the folding frames requiring replacement.
  • the auto-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side the car and automatically unfolds the safety tripod at the rear of the car in case of an emergency. There is this.
  •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can safely install and store the tripod while driving without getting off the vehicle in an emergency on a highway where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 driving visibility such as fog.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 to (d) are views showing a method in which the central slide portion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a) to (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7 (a) to (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olding frame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for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enter fold bar 220 upper fold bar
  • first upper fold bar 222 second upper fold bar
  • first lower fold bar 232 second lower fold bar
  • first central slide bar 320 second central slide bar
  • sliding rail 421 upper sliding hole
  • fixing clip 542 fixing projection
  • control unit 600 control unit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is largely a fixed frame 100, a folding frame 200, a central slide unit 300, and an extension slide unit 400. , a driving unit 500 , a control unit 600 , a communication unit 700 , and an operation unit 800 .
  • the fixed frame 100 is installed inside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as a housing with one side open. make it possible
  • the fixed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120 inside the upper side,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the magnet 120 provided in the fixed frame 100 .
  • the foldable frame 200 includes a central foldable bar 210, an upper foldable bar 220 and a first lower foldable bar formed of a first upper foldable bar 221 and a second upper foldable bar 222 ( 231 ) and a plurality of fold bars of the lower fold bar 230 formed of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
  • first upper fold bar 221 and one end of the second upper fold bar 222 are rotatably hinged by an upper hinge shaft 223 , and one end of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 and one end of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is hinged rotatably by a lower hinge shaft 233 , and the central fold bar 21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fold bar 220 and the lower fold bar 230 .
  • the tartan of the first upper fold bar 221 and the second upper fold bar 222 both ends of which are hinged at one end by the upper hinge shaft 223,
  • Each end is hinged to the tartan of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to which each end is hinged by the lower hinge shaft 233 .
  • first upper fold bar 221 and the second upper fold bar 222, and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are rotated between the fold
  • the frame 200 is f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00 or unfolded to protrude out of the fixed frame 100 .
  • the ends of the upper foldable bar 220 and the lower foldable bar 230 are rounded so that rotation between the upper foldable bar 220 and the lower foldable bar 230 is smoothly made.
  • the ends of the upper folded bar 220 and the lower folded bar 230 are rotated to form a single bar, so that the ends are formed to be stepped and coupled by the hinge shaft 240 .
  • the ends of the upper foldable bar 220 and the lower foldable bar 230 are formed to be round, and the hinge shaft 240 is coupled by the hinge shaft 240 so that the ends are formed to have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m. ), since they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the upper folded bar 220 and the lower folded bar 230 can be easily rotated to form a single bar.
  • the upper foldable bar 220 and the lower foldable bar 230 formed in the above shape are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00 in the form of one bar and stored, the upper foldable bar 220 And since the lower folding bar 230 does not occupy a lot of space inside the fixed frame 100, the fixed frame 100 can be made compact, so that the user does not occupy a lot of space inside the vehicle trunk, making it easier to carry. be able to
  • the folding fram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radle 280 on the upper portion, and one side of the cradle 270 has an upper portion of the folded frame 200 and the upper hinge. It is hinged by a shaft 223 , and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art 280 is fixed to the fixing frame 100 .
  •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80 is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one side of the folding frame 200 ,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the fixing frame 100 , and the folding frame 200 is the fixing frame 100 .
  • the holder 280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110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0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It should be securely inserted and stored.
  • a guide protrusion 281 may be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80 , and the guide protrusion 28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00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28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uide groove 110 into which the is inserted may be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entral fold bar 210 includes a first central slide bar 310 and a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sli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s the length of the central fold bar 210 is extended and contracted, the pair of upper fold bar 220 and the pair of lower fold bar 230 are rotated to rotate the
  • the folded frame 200 may include a central slide unit 300 to be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fixed frame 100 by the driving unit 500 .
  • the center fold bar 2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center slide bar 310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center slide bar 320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the first center slide bar 31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are slid left and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so that the length of the central fold bar 210 is extended and contracted.
  • the upper fold bar 220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fold bar 221 and a second upper fold bar 222
  • the lower fold bar 230 includes a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a second fold bar 231 .
  • the bar 320 is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fold bar 222 and a second lower fold bar 232 that are hinged to the right end and are rotatable.
  • FIG. 3 (a) to (d) are views showing a method in which the central slide part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FIG. 3 As shown in a), a first rack gear and a second rack gear are formed on one end of the surface of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so that the first rack gear and the As the pinion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inion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ack gears,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slidably move, so that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moved to the first By being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central slide bar 310 , the central fold bar 21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is provided with a pinion fixed by a fixing pin on one side, the pinion is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by mov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long the rack gear form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central fold bar 210 is formed. It slides left and right.
  • a first coupling groove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an end of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provided.
  • the surface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are not separated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stably mov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first central slide bar ( As it is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310 , the central fold bar 21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 surfaces
  •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ail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coupling rail, so that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moved to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It is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center fold bar 210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method of withdrawing and inserting between the central fold bars 210 a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slid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central slide bar 310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is the central slide. It may be formed interchangeably between the bar 310 and the second central slide bar 320 .
  •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ntral fold bar 210 includes a pair of extended slide bars 410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fold bar 210 to extend,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extended slides.
  • a pair of lower sliders 44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foldable bar 230 can be folded is inserted into the lower sliding hole 422 and slides left and right, and the pair of upper sliders 430 ) and the pair of lower sliders 440 are sli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s the length of the central fold bar 210 is extended and contracted, the pair of upper fold bars 220 and the pair of lower sections
  • the folded frame 200 may include an extension slide part 400 that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fixed frame 100 by the driving part 500.
  • the central folding bar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folding bar 220 and the lower folding bar 230 and parallel to the fixing frame 100 .
  • the sliding rail 42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fold bar 210, respectively, and the upper sliding hole 421 and the lower sliding hole 422 may be cu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have.
  •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fold bar 210 have the sliding rail 420 to reinforce mechanical rigidity inside the sliding rail 420 when the central fold bar 210 and the sliding rail 420 are connected. ), the extension slide bar 410 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center may be installed to extend, respectively.
  • the upper slider 430 is respec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fold bar 220 and is respectively in the upper sliding hole 421 of the sliding rail 420 so that the upper fold bar 220 is foldable. It can be inserted and slid left and right.
  • the lower sliders 430 are respec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lower foldable bars 230 and are respectively in the lower sliding holes 422 of the sliding rails 420 so that the lower foldable bars 230 are foldable. It can be inserted and slid left and right.
  • the upper foldable bar 220, the central foldable bar 210, and the lower foldable bar 230 descend, and the upper slider 430 and the lower slider 440 descend, respectively.
  • the upper folding bar 220 is moved with the central folding bar 210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folded bar 210 may be spread in a mountain shape, and the lower folded bar 230 may be spread out in a valley shap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folded bar 210 .
  • the upper slider 430 and the lower slider 440 which are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upper slider 430 and the lower slider 440, mov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441 can make a simple folding motion.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 the foldable frame 200 has an upper sliding ball 432 and a lower sliding ball 432 so that the upper slider 430 and the lower slider 440 can move smoothly left and right when sliding on the sliding rail 420 , respectively.
  • a ball 442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upper sliding ball 43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ider 430 and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upp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rail 420.
  • the sliding rail The movement of the upper slider 430 may be more smoothly induced while rolling due to friction with the 420 .
  • the lower sliding ball 44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lider 440 and protrudes downward so that the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rail 420.
  • the sliding rail The movement of the lower slider 440 may be more smoothly induced while rolling due to friction with the 420 .
  • the upper folding bar 220 and the lower folding bar 230 on the central folding bar 210 are left or
  • the toothed gear 431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iece 441, respectively, and the inner side of the central folding bar 210,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are balanced and unfolded without being biased to the right.
  • a rack gear 411 meshing with the toothed gear 431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driving unit 5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100 , and is formed of a rotating shaft 510 , a driving motor 520 , a pulley 530 , and a wire 540 , and the folding frame 200 . ) is fixed so that it is in a folded state, but by releasing the fixing of the folding frame 2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folding frame 200 is in an unfolded state.
  • the rotating shaft 5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d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100 so that the folded frame 200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fixed frame 100 .
  • the driving motor 5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10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510 .
  • the driving motor 520 is a through-type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510 from one side. may be, and the rotation shaft 510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52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520 .
  • the pulley 53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510 , and the wire 5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ulley 530 ,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lding frame 200 to connect the pulley 530 . ) moves the folding frame 200 as it rotates.
  • the folding frame 200 may be f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00 by the driving unit 500 or unfolded to protrude outward.
  • the folding frame 200 is stacked in a line in the order of the central folding bar 210, the lower folding bar 230, and the upper folding bar 220 to be inserted and stored in a straight line.
  • the central folding bar 210 when the wire 5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wound by the rotation of the pulley 530 and the folded frame 200 is unfolded outside by its own weight from the fixed frame 100 , the central folding bar 210 ) and the hinge coupling between the lower fold bar 230 and the central fold bar 210, the lower fold bar 230 and the hinge coupling between the center fold bar 210, and the central fold bar 210 and the The lower folding bar 230 is rotated so that the shape of the folding frame 200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 the folding frame 200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and a torsion spring 260 may be further provided to be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torsion spring 260 . is provided at a portion hinged with the hinge shaft 240 between the central fold bar 210 and the upper fold bar 220 and the lower fold bar 230 to supply force to automatically unfold only by a certain angle. do.
  • a fixing clip 541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540 , and the fixing clip 541 is attached to the first lower folde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ed bar 232 .
  • the fold frame 200 runs from the rear and runs too far
  • the rhombus-shaped tripod serves to hold the tripod in the shape of a rhombus so that it is not supported properly by external forces such as strong winds generated from the vehicle and is not shaken or twisted in the direction.
  • the fixing clip 541 has fixing protrusions 54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o be fixed to the first upper folding bar 221 , the second upper folding bar 222 and the central folding bar 210 . It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25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542 and serves to stably fix the folded frame 200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100 .
  • the fixing protrusion 54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clip 541 and is formed thicker than the body of the fixing clip 541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50,
  • any shape such as a sphere, a rectangle, a square, may be sufficient.
  • the fixing clip 54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 shape, a 'C' shape, a 'U' shape, and an 'I' shape, and the shape of the fixing clip 541 can be freely changed. It is possible to do
  • the fixing clip 541 is formed in a 'U' shape to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and the wire 540 is connected to the pulley.
  •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coupled to the fixing clip 541 and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are wound by the rotation of the 530, the fold frame 200 is fixed.
  • the fixing protrusion 542 of the fixing clip 541 coupled to the first lower folding bar 231 is the first upper folding bar 221 and the central folding bar.
  • the fixing protrusion 542 of the fixing clip 541 coupled to the second lower folding bar 232 is the second upper folding bar ( 222) and the central folding bar 210, it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25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lding frame 200 due to the fixing clip 541. to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unfold.
  • the fixing clip 541 is formed in a 'C' shape to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lower folde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ed bar 232 , and both ends of the fixing clip 541 .
  • the fixing protrusions 542 formed on the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fixing protrusion 54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clip 541, and the fixing protrusion 54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clip 541 is bent into a hook shape.
  • the fixing protrusion 542 is formed so as not to be caught in the fixing groove 250, so that it is simply the first lower fold bar (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may be provided to hold the role.
  • the fixing protrusion 542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fixing clip 541 is extended to the rear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250 formed in the central folding bar 210 .
  •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second lower fold bar coupled with the fastening clip 541 so that the fold frame 200 is stably fixed and stored inside the fixed frame 100
  • the fixing protrusion 54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clip 541 coupled to the first lower folding bar 2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folding bar 210 and the first upper folding bar ( 221)
  • the fixing protrusion 54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clip 541 coupled to the second lower folding bar 232 i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folding bar 210 and the first lower folding bar.
  • FIG. 6 (a) to (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the mounting part 280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not shown), and is fixed to the fixing frame 100 by the weight (not shown).
  • a weight not shown
  • the folding frame 200 is twis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hen there is a lot of wind outsid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slope, so that the rear vehicle is folded frame 200 Avoid situations where you misunderstand the pattern of
  • the inclination is maintained by the weight (not shown), so that the rear vehicle can more clearly recognize the pattern of the folding frame 200 .
  • the magnet 120 which is connected and inserted through the auxiliary wire 130 inside the fixed frame 100, is taken out from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100 and attached to th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is to be fix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rear vehicle can know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accident.
  • the auxiliary wire 130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agnet 120 ,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0 , and the fixed frame 100 and The connected auxiliary wire 130 is stored in a wound state inside the fixing frame 100, so that the auxiliary wire 130 is drawn ou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ce to be attached to the vehicle, and the magnet 120 is easily attached. make it possible
  • FIG. 7 (a) to (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olding frame of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lded fram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on one surface, and the folded frame 200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500 .
  •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us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is preferably an LED lamp.
  • a left arrow pattern formed by blinking the first upper fold bar 221 , the first lower fold bar 231 and the center fold bar 210 , the second upper fold bar 222 , A right arrow pattern formed by blinking the second lower fold bar 232 and the center fold bar 210, the first upper fold bar 221, the second upper fold bar 222, and the center fold bar A triangular pattern formed by blinking 210 may be formed.
  • the folded frame 200 may display an emergency situation to a subsequent vehicle by forming a triangular pattern, a left and right arrow pattern, and the like us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may supply electricity using a power line using a vehicle battery or an internal rechargeable battery.
  • the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may be normally charged from the vehicle's battery.
  • FIG. 8 is a block diagram for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n automatically 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lf-deployable tripod for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600 , a communication unit 700 , and an operation unit 800 .
  • the control unit 600 may control the folding frame 200 by interworking with the emergency light or impact detection unit of the vehicle, and when the emergency light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receives an impact detection signal from the impact detection unit In this case, the folding frame 200 may be operated. That is, the control unit 600 may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in the folded frame 200 .
  • control unit 600 may receive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manipulation unit 80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700 to control the folded frame 200 , and receive the manipulation signal from the manipulation unit 800 to receive a triangular shape.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may be lit to form a shape of left and right arrows.
  • control unit 600 may be used to induce a lane change in the vehicle behind by forming a plurality of patterns 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
  • the communication unit 7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800 by a user's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70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on unit 800 . do.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tilize a known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in a short distance, such as Bluetooth, Zigbee, or infrared.
  • the communication unit 700 and the operation unit 800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ower supply line, a signal transmission line, etc. can
  • the manipulation unit 800 may generate a manipul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folded frame 200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manipulation signal may receive an input of a lighting mode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folded frame 200 , and the manipulation unit 800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100 .
  • manipulation unit 800 may be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remotely transmitting a manipulation signal, or may be directly installed in a vehicle.
  • the self-deploying tripod for a vehicle may form a plurality of patterns.
  • the control unit 600 may display a triangular pattern and a left and right arrow pattern by turning 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of the folded frame 200 .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may flash a left arrow to inform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head and guide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may blink a right arrow shap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n the first lane to inform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head in case of a vehicle accident and guide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70 may flash a triangular shape to inform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head in case of a vehicle accident and guide the vehicle to slow down.
  • the safety tripod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unfolds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the vehicle in the rear can quickly recognize the sudden stop of the vehicle in front,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 a tripod in an emergency situation on a highway where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a tripod can be installed safely while driving without getting off the vehicle. be able to d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도어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전개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차량에 이상이 생기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량을 도로의 갓길에 정차시키거나 이상이 발생한 위치에 멈추게 되어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고 비상 응급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를 의무적으로 구비하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관련 볍규에 따라 삼각형으로 제작되고, 단가 절감을 위해 그 표면상에 광 반사판 또는 반사 필름을 부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는 반사판 또는 반사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가시거리가 불과 300m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외부에서의 광원이 있을 때에만 반사가 되기에 야간에 차량 운행 중 차량에 이상이 생기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하게 될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935909호는 받침부와 지지부와 발광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후방 차체에 하방의 자석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안전 삼각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 삼각대의 입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안전 삼각대의 설치 및 철수를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자동차들이 주행하는 도로까지 나가서 작업을 해야한다는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운전자들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의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86816호는 베이스브래킷, 바홀더, 표시바, 표시바홀딩수단을 구비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방 각도에 상관없이 표시바를 항상 후속차량을 향해 발광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비상삼각대 설치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해 표시바가 펼쳐져 자동으로 안전 삼각대의 형성이 가능하되, 표시바를 다시 바홀더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표시바를 바홀더로 향해 수동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도어 내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전개됨으로써 사고 직후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에 있어서,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하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하부 절첩바와,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중앙 절첩바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 절첩바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상기 중앙 절첩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과 하부 슬라이딩홀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래와, 일측은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절첩 프레임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 프레임은, 상기 절첩 프레임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화살표 또는 우측 화살표 또는 삼각형 표시가 되도록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시켜 보관 시,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삼각대를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은 상호 간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교체가 필요한 절첩 프레임 간의 결합만을 해제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안전 삼각대가 펼쳐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빠르게 인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주행 중에 안전하게 삼각대를 설치 및 수납할 수 있으며, 삼각대 형성과 동시에 발광부가 점등됨으로써 야간 및 안개 등 운전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중앙 슬라이드부가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표시부를 조작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100 : 고정 프레임
110 : 가이드홈 120 : 자석
130 : 보조와이어
200 : 절첩 프레임
210 : 중앙 절첩바 220 : 상부 절첩바
221 : 제1 상부 절첩바 222 : 제2 상부 절첩바
223 : 상부 힌지축 230 : 하부 절첩바
231 : 제1 하부 절첩바 232 : 제2 하부 절첩바
233 : 하부 힌지축 240 : 힌지축
250 : 고정홈 260 : 비틀림 스프링
270 : 발광부 280 : 거치부
281 : 가이드 돌기
300 : 중앙 슬라이드부
310 : 제1 중앙 슬라이드바 320 : 제2 중앙 슬라이드바
400 : 연장 슬라이드부
410 : 연장 슬라이드바 411 : 렉기어
420 : 슬라이딩 레일 421 : 상부 슬라이딩홀
422 : 하부 슬라이딩홀 430 : 상부 슬라이더
431 : 톱니기어 432 : 상부 슬라이딩볼
440 : 하부 슬라이더 441 : 연결편
442 : 하부 슬라이딩볼
500 : 구동부
510 : 회전축 520 : 구동모터
530 : 도르래 540 : 와이어
541 : 고정클립 542 : 고정돌기
600 : 제어부
700 : 통신부
800 : 조작부
C : 차량
D : 트렁크도어
B : 차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크게 고정 프레임(100), 절첩 프레임(200), 중앙 슬라이드부(300), 연장 슬라이드부(400), 구동부(500), 제어부(600), 통신부(700) 및 조작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차량의 트렁크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다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상측 내부에 자석(12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마련된 상기 자석(120)에 의하여 차량의 내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중앙 절첩바(210), 제1 상부 절첩바(221)와 제2 상부 절첩바(222)로 형성되는 상부 절첩바(220)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로 형성되는 하부 절첩바(230)의 다수 개의 절첩바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의 일단과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의 일단은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의 일단과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일단은 하부 힌지축(23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이 상기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와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의 타탄과, 상기 하부 힌지축(233)에 의해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타탄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 간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회동이 이루어져 하나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상호 간의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힌지축(24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끝단이 둥글게 형성되되, 상호 간의 끝단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진 부분이 상기 힌지축(240)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240)을 기준으로 회동할 경우, 상호 간에 부딪히지 않으므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용이하게 회동되어 하나의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회동되어 하나의 바 형태로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보관될 경우,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음으로 고정 프레임(100)의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 내부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부에 거치부(280)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270) 일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 상부와 상기 상부 힌지축(223)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거치부(280)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280) 일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 일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되,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280)가 상기 고정 프레임(100) 중간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10)을 따라 위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280)의 후면에는 가이드 돌기(281)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81)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281)가 삽입 걸림되는 가이드홈(110)이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230)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좌측에 형성된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우측에 형성된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첩바(220)는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제2 상부 절첩바(222)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절첩바(230)는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제2 하부 절첩바(232)로 구비되되,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 좌측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우측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제2 하부 절첩바(232)로 구비되어진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중앙 슬라이드부가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표면 일측 끝단에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 사이에 구비된 피니언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정회전 및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됨으로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는 일측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어진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이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표면에 형성된 랙기어를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이동됨으로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 끝단 내측면에 제1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상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돌기 일측이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됨에 따라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는 상, 하부 내측 벽면에 한 개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는 상기 제2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레일을 따라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가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앙 절첩바(210) 간의 인출 및 삽입되는 방식은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수단이 상기 중앙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320) 간에 바뀌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뿐만 아니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410)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41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하부 슬라이딩홀(422)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420)과, 상기 상부 절첩바(22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440)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44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230)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절첩바(21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사이에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이 좌우 방향으로 절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연결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내부에서 기계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길이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상기 연장 슬라이드바(410)가 각각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는 상기 상부 절첩바(220)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430)는 상기 하부 절첩바(230)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하강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가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421)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422)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절첩바(220)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상부에서 산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하부에서 골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 중에서 서로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는 동시에 좌우 이동하여 절첩 운동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편(441)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 프레임(200)에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가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슬라이딩볼(432)과 하부 슬라이딩볼(4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볼(432)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마찰로 인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43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볼(442)은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20)과의 마찰로 인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44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하부로 인출되면서 하방으로 펼쳐질 때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에서 상기 상부 절첩바(220)와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양측이 균형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상기 연결편(44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톱니기어(431)와, 상기 중앙 절첩바(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톱니기어(431)와 치합되는 렉기어(4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510), 구동모터(520), 도르래(530) 및 와이어(540)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510)은 봉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520)는 상기 회전축(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520)는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관통형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520)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5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530)는 상기 회전축(510)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540)는 일측은 상기 도르래(53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5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힐 경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기 하부 절첩바(230) 및 상기 상부 절첩바(220) 순으로 일렬로 적층되어 일자형으로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풀리게 되며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외부로 펼쳐질 경우,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의 힌지결합과 상기 중앙 절첩바(210), 상기 하부 절첩바(230)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간의 힌지결합으로 인해 상기 중앙 절첩바(21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가 회동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형상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비틀림 스프링(26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260)은 상기 중앙 절첩바(210)와 상기 상부 절첩바(220) 및 상기 하부 절첩바(230) 간에 상기 힌지축(240)으로 힌지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일정한 각도만큼만 자동으로 펴지도록 힘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540)의 타측 끝단에는 고정클립(54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클립(541)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로부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일정한 각도만큼만 펴지도록 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후방에서 질주하며 지나치는 차량으로부터 야기된 강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올바르게 지지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방향이 비틀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마름모 형상의 삼각대가 앞, 뒤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은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에 상기 고정돌기(542)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어진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고정클립(541) 양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2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립(541) 몸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542)의 형상에 있어서는 구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그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은 'C'자형, 'ㄷ'자형, 'U'자형, 'I'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고정클립(541)의 형상에 있어서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클립(541)은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의 안쪽 면과 결합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540)가 상기 도르래(53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상기 고정클립(541)과 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에 결합된 상기 고정클립(541)의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일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에 결합된 상기 고정클립(541)의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 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립(541)으로 인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클립(541)은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과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의 후면과 결합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클립(541) 양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상,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542)는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542)가 상기 고정홈(250)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단순히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541) 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2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보관되기 위해 상기 고정클립(541)과 결합된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와 결합되어진 상기 고정클립(54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 일측 및 제1 상부 절첩바(221)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와 결합되어진 상기 고정클립(54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542)는 상기 중앙 절첩바(210) 타측 및 제1 하부 절첩바(231)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50)에 끼움결합됨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80)는 무게추(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추(미도시)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된 기울기와 상관없이 해당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에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차량이 비탈길을 주행하는 경우 등과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외부 환경조건에 의해 비틀어져 후방 차량이 절첩 프레임(200)의 문양을 잘못 이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상기 무게추(미도시)에 의해 기울기가 유지되어 후방 차량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문양을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사고로 인해 차량이 90도로 회전되어질 경우에도 후방 차량이 전방 사고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트렁크에 상기 자석(120)으로 부착되어진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를 분리하여 차량의 측면에 상기 자석(120)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0) 내부에 보조와이어(130)를 통해 연결되어 삽입되어있는 상기 자석(120)을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로부터 꺼내어 차량의 문 또는 지붕에 부착시킴으로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가 차량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후방 차량이 전방 사고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와이어(1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자석(120)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연결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연결된 상기 보조와이어(13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차량에 부착하려는 곳의 높이에 맞춰 상기 보조와이어(130)를 인출시켜 상기 자석(12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절첩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일면에 복수 개의 발광부(2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LED 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1 하부 절첩바(231)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좌측 화살표 문양과,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상기 제2 하부 절첩바(23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우측 화살표 문양과 상기 제1 상부 절첩바(221), 상기 제2 상부 절첩바(222) 및 상기 중앙 절첩바(210)를 점멸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이용하여 삼각형 문양, 좌우 화살표 문양 등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차량에게 비상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원선 또는 내부 충전지 등을 이용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지(미도시)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평상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의 표시부를 조작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제어부(600), 통신부(700) 및 조작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차량의 비상등 또는 충격 감지 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의 비상등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 유지되는 경우 또는 충격 감지 유닛으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조작부(800)의 조작 신호를 상기 통신부(7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8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받아 삼각형태, 좌우 화살표 형태 등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복수의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후방 차량에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8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7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700)는 상기 조작부(8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등 근거리에서 전달 가능한 공지의 통신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상기 통신부(700)와 상기 조작부(8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력 공급 및 조작 신호 전달을 위해 전력 공급선, 신호 전달선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8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20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조작 신호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점등모드 및 동작모드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8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800)는 원격으로 조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일 수 있으며, 차량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는 복수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절첩 프레임(200)의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를 점등하여 삼각형 문양, 좌우 화살표 문양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이 우측에 있는 갓길에 정차해 있는 상황에는 좌측 화살표를 점멸하여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차량의 차로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차량이 1차로에 정차해 있는 상황에는 우측 화살표 형태를 점멸하여 차량 사고 시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차량의 차로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270)는 삼각형태를 점멸하여 차량 사고 시 전방 차량의 상황을 알리고 서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자동차의 후미에 안전 삼각대가 펼쳐짐으로써, 후방의 차량이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빠르게 인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상 상황 시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주행 중에 안전하게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삼각대 형성과 동시에 발광부가 점등됨으로써 야간 및 안개 등 운전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일측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하부 힌지축에 의해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하부 절첩바와,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중앙 절첩바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접히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쳐지는 절첩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접힌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서로 맞물리는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제2 중앙 슬라이드바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앙 슬라이드바와 상기 제2 중앙 슬라이드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중앙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첩바는,
    상기 중앙 절첩바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장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연장 슬라이드바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슬라이딩홀과 하부 슬라이딩홀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결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상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절첩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절첩바가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딩홀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슬라이더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앙 절첩바의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절첩바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절첩바를 회동시켜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 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중심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래와,
    일측은 상기 도르래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절첩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절첩 프레임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고정홈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절첩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프레임은,
    상기 절첩 프레임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절첩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측 화살표 또는 우측 화살표 또는 삼각형 표시가 되도록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PCT/KR2022/005318 2021-04-15 2022-04-13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WO202222056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63334A JP2024514216A (ja) 2021-04-15 2022-04-13 車両用自動展開式三角表示板
CN202290000389.8U CN221049584U (zh) 2021-04-15 2022-04-13 车辆用自动展开式三角架
EP22788420.2A EP4324702A1 (en) 2021-04-15 2022-04-13 Automatically deployed tripod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94 2021-04-15
KR20210049194 2021-04-15
KR1020220044544A KR20220142936A (ko) 2021-04-15 2022-04-11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KR10-2022-0044544 2022-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564A1 true WO2022220564A1 (ko) 2022-10-20

Family

ID=8364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318 WO2022220564A1 (ko) 2021-04-15 2022-04-13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24702A1 (ko)
JP (1) JP2024514216A (ko)
WO (1) WO202222056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578U (ja) * 1992-03-11 1993-10-0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三角表示板兼用トランクリッド固定装置
EP0818353A2 (en) * 1996-07-11 1998-01-14 Howard-Lloyde Enterprise Co., Ltd. Vehicle safety light assembly
KR101537049B1 (ko) * 2014-03-20 2015-07-15 임윤택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101686816B1 (ko) 2016-08-25 2016-12-15 이장수 비상삼각대 설치장치
KR101829390B1 (ko) * 2016-10-26 2018-02-19 양성목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KR101935909B1 (ko) 2017-10-13 2019-01-07 주식회사 태건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2223899B1 (ko) * 2019-06-28 2021-03-04 임병언 차량의 자동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578U (ja) * 1992-03-11 1993-10-0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三角表示板兼用トランクリッド固定装置
EP0818353A2 (en) * 1996-07-11 1998-01-14 Howard-Lloyde Enterprise Co., Ltd. Vehicle safety light assembly
KR101537049B1 (ko) * 2014-03-20 2015-07-15 임윤택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101686816B1 (ko) 2016-08-25 2016-12-15 이장수 비상삼각대 설치장치
KR101829390B1 (ko) * 2016-10-26 2018-02-19 양성목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KR101935909B1 (ko) 2017-10-13 2019-01-07 주식회사 태건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2223899B1 (ko) * 2019-06-28 2021-03-04 임병언 차량의 자동 안전 삼각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4702A1 (en) 2024-02-21
JP2024514216A (ja)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8521A1 (ko) 비상삼각대 설치장치
WO2017065511A1 (ko) 비상 알림 경고장치
HU204727B (en) Warning triangle for motor vehicles
WO2014204115A1 (ko) 자동차용 비상 신호 장치
US4565152A (en) Safety flag
WO2022220564A1 (ko)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WO2020262883A1 (ko) 차량의 자동 안전 삼각대
US6487818B1 (en) Lighted parking gate
WO2012150754A2 (ko)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WO2019139221A1 (ko)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WO2018135760A1 (ko) 휴대용 차량 비상 안전표시등
WO2017014377A1 (ko) Led 안전 삼각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매트
WO2017022907A1 (ko)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20120050612A (ko) 차량용 실내 안전 삼각대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WO2016072580A1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WO2017039266A1 (ko) 안전삼각대
WO2019031821A1 (ko)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후방 차량 배려 시스템
WO2015130038A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20220142936A (ko) 차량용 자동 전개식 삼각대
KR101868735B1 (ko) 시인성이 향상된 led 삼각대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KR20047348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
WO2020111661A1 (ko) 차량용 자동차광장치
WO2020076073A1 (ko) 차량용 안전 표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884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8702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23563334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84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884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