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130A -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130A
KR20220141130A KR1020210047288A KR20210047288A KR20220141130A KR 20220141130 A KR20220141130 A KR 20220141130A KR 1020210047288 A KR1020210047288 A KR 1020210047288A KR 20210047288 A KR20210047288 A KR 20210047288A KR 20220141130 A KR20220141130 A KR 2022014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onveyor system
missing
unit
distan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21004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130A/ko
Publication of KR2022014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스텝유무 판단부와,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상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상기 N 주기는 크고 상기 T 보다는 짧은 시간인 A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Step missing detection apparatus of passenger conveyor system}
본 발명은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진 검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탑승객을 탑승 이동시켜 주기 위한 스텝에 대하여 빠짐 여부를 검출하여 스텝 빠짐에 의한 탑승객의 안전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은(Escalator)는 사람이나 화물을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또는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로, 계단 또는 경사, 수평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텝 또는 팔레트를 이용하고 있다. 만약 스텝 또는 팔레트가 빠져서 탑승객 또는 화물이 빠진 스텝 또는 팔레트 사이로 빠지면 사람은 사망/또는 중상을 입을 것이고 화물이 빠지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큰 손상이 입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및 팔레트가 검출할 수 있는 부위가 매우 좁고 또한 스텝 또는 팔레트 재질이 다양해서 검출 오류가 발생하여 잠재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스텝 또는 팔레트 검출 포인터가 매우 작아서 그 때 검출을 놓치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이 한 바퀴 돌아 다시 검출 위치까지 와야 재-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텝 또는 팔레트가 빠진 상태로 돌아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사용하는 스텝 또는 팔레트 형상에서는 스텝 빠짐 검출할 수 있는 포인터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검출 오류 및 설계의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 센서 설치 거리가 매우 중요한 포인터 중에 하나이다. 그러다 보니 설치현장에서 조금만 설치를 잘못하면 검출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설치 거리를 맞추려고 설치작업자는 좁은 공간에서 매우 힘들게 설치하여야 하고 승객용 컨베이어 설계 담당자도 설치 위치에 대한 부담감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 센서는 재질 및 시스템에 따라 센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설계자들은 센서에 대한 검증이 매우 오래 걸리거나 수 많은 시행착오 끝에 결정되어야 하는 문제점 때문에 검증 완료될 때까지 잠재적인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을 스텝 또는 팔레트 전-구간 어디에 설치하여도 검출 가능하도록 하여 설계 및 설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을 스텝/또는 전-구간을 여러 번에 걸쳐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 검출에 의한 오류 방지를 통하여 미-검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오류 검출에 의한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 운행 정지에 의한 불가동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에 있어서 스텝 또는 팔레트 어떤 재질이더라도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스텝/또는 팔레트 선택 폭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에 있어서 설치 거리의 유연성을 높여서 설계 및 설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 검출 오류를 최소화하여 스텝 또는 팔레트 빠짐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스텝유무 판단부와,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상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상기 N 주기는 크고 상기 T 보다는 짧은 시간인 A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를 포함한다.
펄스 생성부는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로우(LOW) 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텝 빠짐 처리부는 상기 로우(LOW) 펄스가 상기 A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된 거리는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 상기 스텝의 진동 폭 및 상기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스텝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텝 빠짐 처리부는 상기 상기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와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 및 N번 주기 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거리가 벗어났다는 판단이 M번 연속으로 발생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를 포함한다.
설정된 거리는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 상기 스텝의 진동 폭 및 상기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텝/또는 팔레트 미-검출 오류를 현저히 줄임으로 인해 스텝/또는 팔레트 빠짐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과 검출 오류에 의한 시스템의 정지를 최소화하여 불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센서 설치 위치 및 거리 제약을 받지 않음에 의해 설계 및 설치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한 개의 스텝/또는 팔레트에 여러 번 스캔 펄스를 전송함에 의해 센서 정상동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 의해 안전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센서 부문과 제어 부문을 나눈 분산제어 가능함에 의해 시스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가 스텝 빠짐을 검출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구동을 위한 모터(11)와, 모터의 제동을 수행하는 주 브레이크(30,40)와, 회전수는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50)와, 감속기(50)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11)의 구동력을 각 장치로 전달하는 구동 스프라켓(12)와, 구동 스프라켓(12)에 대향 위치에 놓여지는 터미널기어(13)와, 구동 스프라켓(12)의 회전구동력을 터미널기어(13)로 전달하는 구동체인(15)을 포함한다.
스텝구동부는 터미널기어(13)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23)의 양단에 설치되어 터미널기어(13)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상기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대향 위치에 설치되는 스텝 종동기어(27), 그리고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 구동력을 스텝 종동기어(27)로 전달하는 스텝체인(21)과, 스텝체인(2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다수의 스텝(22)을 포함한다.
핸드레일 구동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23)의 중앙에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23)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핸드레일 구동 스프라켓(32)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 스프라켓(32)와 대향 위치에 놓여지는 핸드레일 종동기어(33)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 스프라켓(3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핸드레일 종동기어(33)로 전달하는 핸드레일 구동체인(35)과, 핸드레일 종동기어(33)의 축상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샤프트(31)와, 핸드레일 샤프트(31) 양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대향 위치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종동풀리(38)와,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핸드레일 종동풀리(38) 사이에 설치되어 순회 이동하는 핸드레일(36)을 포함한다. 운행지령이 떨어지면 주 브레이크를 개방과(30, 40) 동시에 모터에(11) 전원이 투입되어 모터가(11) 회전하기 시작하며 모터에(11) 연결된 감속기(50)는 토오크는 증가시키고 속도는 감소시켜 구동 스프라켓(12)을 회전시킨다.
구동 스프라켓(12)의 동력은 구동체인(15)을 통해 터미널 기어(13)로 전달되어, 구동체인(15)의 순환에 의해 터미널기어(13)가 회전하며, 터미널기어(13)와 함께 구동 샤프트(23) 양단의 스텝체인 스프라켓(25) 및 핸드레일 구동 스프라켓(32)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에 의해 스텝체인(21)이 이동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텝 종동기어(27)가 회전하며 스텝체인(21)에 의한 스텝(22) 이동이 이루어지며, 핸드레일 구동 스프라켓(32)의 회전에 의해 핸드레일 구동체인(35)이 순회 이동을 시작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핸드레일 종동기어(33) 및 핸드레일 구동풀리(37)가 회전을 하여 핸드레일(36)의 순회 이동이 시작된다.
반대로 에스컬레이터 운행 정지 지령이 내려지면 모터(11) 전원과 주 브레이크(30,40) 전원이 거의 동시에 차단되고, 전자접촉기로부터 브레이크 레버(30)가 개방되어 브레이크 레버(30가 동작하게 되면 브레이크 드럼(40)과 브레이크 레버(30)에 붙어 있는 라이닝의 마찰에 의해 모터(11)는 감속되다가 정지하게 되며, 모터(11)가 정지하면 감속기(50) 및 이에 연결된 구동체인(15) 및 스텝체인 스프라켓(25)도 순차 정지하는 것에 의해 스텝(22) 및 핸드레일(36)도 이동을 멈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및 정지를 위한 동력전달이 구동체인(15)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동체인(15)에 파단이 발생하면 주브레이크에 있는 브레이크 드럼(20)과 브레이크 레버(30)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에 의해 모터(11)는 정지하더라도, 구동체인(15) 파단으로 터미널기어(13)를 정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동일 축상에 연결되어 있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 스텝체인(21), 스텝(22)을 정지시킬 수가 없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텝(22)이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보조브레이크를 동작시켜서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직접 제동을 수행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100)는 거리 측정 센서(110), 스텝유무 판단부(120), 펄스 생성부(130) 및 스텝 빠짐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센서(110)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T는 800ms이고, N 주기는 100ms 일 수 있다. 이 경우, 거리 측정 센서(110)는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동안 총 8회에 걸쳐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N 주기마다 거리측정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빠졌음')것으로 판단한다.
펄스 생성부(130)는 N 주기마다 스텝유무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펄스 생성부(130)는 스텝유무 판단부(120)에서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고, 스텝유무 판단부(120)에서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로우(LOW)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펄스 생성부(130)로부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A시간 동안 연속적('스텝 빠짐 판단 기준 설정 시간')으로 수신되면,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한다. A 시간은 N 주기보다는 크고 주기 T 보다는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예를 들면, 시간 T는 800ms이고, N 주기는 100ms 이고, A 시간은 400ms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400ms가 넘는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최종적으로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T, N 및 A의 시간들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 등에 의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된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비상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 전송하거나 브레이크(미도시)를 직접제어하여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로우(LOW) 펄스가 A시간('400ms')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가 스텝 빠짐을 검출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거리 측정 센서(110)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22)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110)는 N 주기마다 거리를 측정하여 L1, L2, L3 …, Ln 값을 생성한다. L1, L2, L3 …, Ln의 값은 스텝(22)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측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N 주기마다 거리측정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빠졌음')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L1, L2, L3, L4 …, Ln 값은 10mm, 150mm, 190mm, 150mm …, 192mm이고, 설정된 거리 이내가 8mm ~ 200mm인 경우, 스텝유무 판단부(1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이므로 모두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펄스 생성부(130)는 N 주기마다 스텝유무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스텝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펄스 생성부(130)는 연속적으로 스텝이 존재한다는 펄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펄스 생성부(130)는 스텝유무 판단부(120)에서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고, 스텝유무 판단부(120)에서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로우(LOW)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텝유무 판단부(120)가 스텝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된 거리는 거리측정부로부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거리측정부로부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 스텝의 진동 폭 및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 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 거리는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서 스텝의 진동 폭('상하로 진동하는 폭')을 합하거나 뺀 거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가 10mm이고,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가 200mm이고, 진동폭이 3mm인 경우, 설정거리의 범위는 7mm ('최단거리 - 진동폭') ~ 203mm('최장거리 + 진동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설정 거리는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서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합하거나 뺀 거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가 10mm이고,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가 200mm이고, 측정 오차 거리가 + 3mm ~ - 3mm인 경우, 설정거리의 범위는 7mm ('최단거리 - 진동폭') ~ 203mm('최장거리 + 진동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설정 거리는 진동폭 및 측정 오차 거리를 모두 반영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2번째 스텝이 빠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펄스 생성부(130)로부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900')가 400ms 동안 연속적('스텝 빠짐 판단 기준 설정 시간')으로 수신되면,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한다. 스텝 빠짐 처리부(140)는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된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동안 반복적인 적('예를 들면, 100ms')으로 스텝 유무를 판단하고,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주기 T ('예를 들면, 800ms') 이내에 최종 스텝의 빠짐을 판단하고 비상정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의 빠짐 판단 및 비상정지까지 T 시간 이내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스텝의 빠짐을 판단하고 정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200)는 거리 측정 센서(210) 및 스텝 빠짐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센서(110)는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T는 800ms이고, N 주기는 100ms 일 수 있다. 이 경우, 거리 측정 센서(110)는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동안 총 8회에 걸쳐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스텝 빠짐 처리부(220)는 N번 주기 마다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거리가 벗어났다는 판단이 M번 연속으로 발생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스텝 빠짐 처리부(220)는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설정된 거시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거리는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거리측정부로부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 스텝의 진동 폭 및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스텝 빠짐 처리부(220)는 거리가 벗어났다는 판단이 M번 연속('예를 들면, 4번')으로 발생하면 최종적으로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번 연속 발생하는 총 시간의 합은 N 주기보다는 크고 주기 T 보다는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스텝 빠짐 처리부(220)는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된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텝 빠짐 처리부(220)는 비상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 전송하거나 브레이크(미도시)를 직접제어하여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300)는 거리 측정 센서(310), 스텝유무 판단부(320), 펄스 생성부(330) 및 스텝 빠짐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센서(310), 스텝유무 판단부(320) 및 펄스 생성부(330)를 포함할 스텝의 주변에 구비되고, 스텝 빠짐 처리부(340)는 거리 측정 센서(310), 스텝유무 판단부(320) 및 펄스 생성부(330)와는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거리 측정 센서(310), 스텝유무 판단부(320) 및 펄스 생성부(330)와 같이 스템의 빠짐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은 스텝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고, 스텝 유무를 판단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340)는 승객용 컨베이서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는 구성들이 있는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은 일부 구성요소들이 별개로 구현되고,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110 : 거리 측정 센서
120 : 스텝유무 판단부
130 : 펄스 생성부
140 : 스텝 빠짐 처리부

Claims (7)

  1.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스텝유무 판단부;
    상기 N 주기마다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상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상기 N 주기보다는 크고 상기 시간 T 보다는 짧은 시간인 A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를 포함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스텝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에서 상기 스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로우(LOW) 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빠짐 처리부는,
    상기 로우(LOW) 펄스가 상기 A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 상기 스텝의 진동 폭 및 상기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스텝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스텝 빠짐 처리부는 상기 거리측정 센서와, 상기 스텝유무 판단부 및, 상기 펄스 생성부와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6. 여러개의 스텝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1개의 스텝이 이동하는 시간 T 동안 상기 스텝까지의 거리를 N 주기마다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 및
    상기 N번 주기 마다 상기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텝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거리가 벗어났다는 판단이 M번 연속으로 발생하면 상기 스텝이 빠졌다고 판단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비상 정지하도록 처리하는 스텝 빠짐 처리부;를 포함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단 거리 및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상기 스텝까지의 최장 거리에 상기 스텝의 진동 폭 및 상기 거리측정부의 측정 오차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KR1020210047288A 2021-04-12 2021-04-12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KR20220141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88A KR20220141130A (ko) 2021-04-12 2021-04-12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88A KR20220141130A (ko) 2021-04-12 2021-04-12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30A true KR20220141130A (ko) 2022-10-19

Family

ID=8380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288A KR20220141130A (ko) 2021-04-12 2021-04-12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1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588B2 (en) Conveyor safety control
EP2347986B1 (en) Elevator installation
EP1464919B1 (en) Chain wea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5519775B2 (ja) コンベアの離脱した踏段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100117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JP4504407B2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たるみ量診断装置および診断方法
AU2018203298B2 (en) 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343696A (ja) エレベータ管理
EP2687471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US201703555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vator brake capability
CN105923477A (zh) 电梯
CN101934968A (zh) 扶手驱动控制装置
JP2009083941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用伝達条体の弛み量測定装置
KR20220141130A (ko)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장치
EP2213606B1 (en) Elevator device
JP4455312B2 (ja) 表面汚染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JP5022736B2 (ja) 乗客コンベア運転装置
KR102519342B1 (ko)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텝 빠짐 검출 시스템
KR102273547B1 (ko)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의 늘어난 길이 측정 장치
CN112875480B (zh) 乘客输送机以及磨损检测装置
JP2007099494A (ja) エレベータ調速機の動作試験装置
JP2006062766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移動検出装置
JP2008143695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H0952669A (ja)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
CN114057079B (zh) 乘客输送机的链条伸长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