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398A -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398A
KR20220139398A KR1020227032454A KR20227032454A KR20220139398A KR 20220139398 A KR20220139398 A KR 20220139398A KR 1020227032454 A KR1020227032454 A KR 1020227032454A KR 20227032454 A KR20227032454 A KR 20227032454A KR 20220139398 A KR20220139398 A KR 2022013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able
holding device
crimp
suppor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퓨러
Original Assignee
아그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로 아게 filed Critical 아그로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3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16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cone
    • H01R4/502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cone combined with a threaded ferrule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58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onstricting the conductor-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7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딩 장치 및 적어도 소정 영역에서 외부에 위치한 브레이드를 갖는 케이블 상에 이러한 홀딩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딩 장치는 하우징에 베이스 요소 (4) 를 체결하기 위한 베이스 (9) 를 갖는 베이스 요소 (4), 및 베이스 요소 (4) 에 대한 작동연결을 위한 브레이싱 요소 (5), 및 외부 크림프 슬리브 (10) 및 그 안에 배열된 내부 지지 슬리브 (11) 를 갖는 크림프 요소 (6) 를 포함한다. 홀딩 장치 (1) 에 케이블 (2) 이 장착된 상태에서, 브레이드 (3) 는 크림프 슬리브 (10) 와 지지 슬리브 (11) 사이에 배치되고, 실드 브레이드 (4) 는 크림프 슬리브 (10) 및 지지 슬리브 (11) 사이에 크림핑된다.

Description

홀딩 장치
본 발명은 브레이드, 특히 실드 브레이드를 갖는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홀딩 장치는 한편으로는 케이블에 대한 장력 완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적 차폐 및 라인에서의 간섭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외부 케이블 외피 (절연) 아래에 배치된 케이블 브레이드와 전기 접점이 설정된다. 다양한 홀딩 장치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현재의 홀딩 장치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위에 배치되는 슬리브 모양의 베이스 요소,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핑 요소, 및 베이스 요소에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요소상에 클램핑 요소를 위치시킬 수 있는 인장 요소를 포함한다. 적용에 따라, 케이블 브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요소가 마찬가지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가 차폐 스위칭 케이블용 케이블 덕트를 보여주는 DE19523795 이다. 케이블 덕트는 접지된 클램핑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는 노출된 차폐 외피를 둘러싸고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차폐 외피를 재밍한다. 케이블 덕트는 얇은 벽의 크러싱 부분과 두꺼운 벽의 지지 부분으로 구분되는 크러시 슬리브를 추가로 갖는다. 크러싱 부분에 의해 크러시 슬리브는 벗겨지지 않은 스위칭 케이블의 단부 부분위로 밀려나고, 크림핑에 의해 상기 단부 부분과 함께 크러싱된다. 노출된 차폐 외피는 또한 지지 부분 위로 다시 접혀지고, 클램핑 부분을 통해 클램핑 슬리브는 차폐 외피와 함께 지지 부분 위로 밀리고, 마찬가지로 (방사형) 크림핑에 의해 후자와 함께 크러싱된다.
DE102013201531 은 차폐 라인의 쉴드와 하우징 벽 사이의 전기 접촉 연결을 보여준다. 이 라인은 실드와 하우징 벽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슬리브로 둘러싸여 있다. 접촉 슬리브는 라인의 외부 외피상에 크림핑된다.
차폐 브레이드를 갖는 케이블용으로 알려진 홀딩 장치에서 부적절한 전기 접촉이 종종 발생한다. 이는 특히 높은 차폐 손실을 갖는 열악한 품질의 차폐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브레이드가 과도하게 또는 불충분하게 압축된 경우, 부적절한 전기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품질의 차폐를 위해서는 차폐가 최대인 라인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 호환성이 좋은 홀딩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실드의 접촉 메커니즘은 전기적 요건을 충족하는 것 외에 마찬가지로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설계여야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케이블 브레이드의 개선된 연결을 갖는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브레이드를 갖는 케이블을 위한 것이다.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도체와 브레이드를 보호하는 케이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 외피는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드가 외부에 배열되도록 홀딩 장치가 부착되는 케이블의 조립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케이블은 차폐 케이블일 수 있다. 브레이드는 케이블의 차폐된 브레이드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브레이드를 접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브레이드와는 별도로, 그리고 실시형태에 따라, 케이블은 브레이드 위 또는 아래에 필름/포일, 특히 차폐 포일/필름 (예를 들어, 금속 포일 및/또는 금속화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는 베이스 요소, 베이스 요소에 상호연결된 인장 요소, 및 크림프 요소를 포함한다. 크림프 요소는 특히 크림핑에 의해 크림프 요소에 브레이드를 고정하고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축방향 크림핑이 특히 유리하다. 크림프 요소에 대한 각각 케이블 또는 브레이드의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해제 불가능하여, 안정적이고 내구성 있는 연결이 달성된다. 브레이드를 실드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연결은 오래 지속되는 고품질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축방향 크림핑은 브레이드에 균일한 힘 분포로 대칭 압축을 보장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폐 손실이 낮은 덜 공격적인 연결을 초래한다. 더욱이, 반경방향 압축과 반대로, 예를 들어 균일하게 벌어지지 않은 브레이드로 인해 발생하는 공차의 영향은 축방향 압축의 경우에 감소된다. 그러나, 실드의 접촉에 대한 영향 외에도, 축방향 크림핑은 마찬가지로 케이블 절연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왜냐하면 예를 들어 케이블 절연의 수축과 같은 부정적인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1 개구는 베이스 요소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베이스 요소는 유리하게는 베이스 요소를 하우징에 지지하고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한다. 베이스의 베어링 면은 유리하게는, 베어링 면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하우징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요소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있거나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요소는 예를 들어 베이스 요소를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1 작동 연결 수단을 갖는다. 홀딩 장치는 제 1 작동 연결 수단으로서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추가 작동 연결 유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요소는 인장 요소에 상호 연결되도록 예를 들어 나사산과 같은 추가의 (제 2) 작동 연결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인장 요소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2 개구를 갖는다. 상기 개구는 유리하게는 제 1 개구와 동축이 되도록 배열된다.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형태에서, 인장 요소는 상기 인장 요소를 베이스 요소의 제 2 작동 연결 수단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 3 작동 연결 수단을 갖는다.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형태에서, 인장 요소는 베이스 요소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너트이다. 인장 요소는 베이스 요소와 인장 요소 사이에 배치된 크림프 요소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는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클램핑 요소는 추가로 홀딩 장치에서 케이블을 홀딩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용에 따라, 클램핑 요소는 홀딩 장치와 관련하여 케이블을 밀봉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의 클램핑 요소는 베이스 요소와 인장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는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클램핑 요소는, 예를 들어, 특히 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슬롯은 물결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물결 모양의 슬롯은, 케이블을 측면으로 통합하기 위한 클램핑 요소가 열릴 수 있다 (또는 각각 나팔 모양이 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지만, 조립된 상태의 클램핑 요소는 느슨해지지 않는다. 클램핑 요소는 변형가능한 재료, 특히 연성 재료로 유리하게 제조된다. 클램핑 요소는 유리하게는 특히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고/하거나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재료의 특성에 기인하고/하거나 클램핑 요소의 형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요소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환형 클램핑 요소가 예를 들어 C자 모양을 부여받도록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연속적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가 존재할 때, 크림프 요소는 특히 브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클램핑 요소는 케이블을 홀딩하고, 인장력을 흡수하고, 선택적으로 홀딩 장치와 관련하여 케이블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드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고, 케이블의 전기적 접촉이 케이블의 고정과 별도의 위치에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홀딩 장치는 비틀림-방지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비틀림-방지 장치는 클램핑 요소에 대한 베이스 요소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틀림-방지 장치는 클램핑 요소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지 요소, 및 베이스 요소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요소들은 적어도 영역들에서 서로 결합하며, 클램핑 요소를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요소에 위치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지 요소는 클램핑 요소의 외부 쉘 면에 배열될 수 있다. 외부 쉘 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 또는 클램핑 요소를 통한 케이블의 통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외부 방향) 을 가리킨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지 요소는 또한 베이스 요소의 내부 쉘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의 내부 쉘 면은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1 개구의 방향을 가리킨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지 요소는 리세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지 요소는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영역들에서 리세스에 결합되는 성형된 요소일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는 유리하게는 각각의 쉘 면을 둘러싸도록, 특히 균일한 상호 간격에 있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비틀림-방지 장치, 또는 제 1 및/또는 제 2 유지 요소는 각각 톱니 및/또는 널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널링은 각 쉘 면에서 스탬핑되거나 밀링된 피쳐를 나타낼 수 있다. 널링은 일반적으로 널링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다.
조립된 상태의 크림프 요소는 베이스 요소와 인장 요소, 또는 베이스 요소와 클램핑 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인장 요소를 조임으로써, 클램핑 요소가 크림프 요소와 관련하여 인장되어 배치되고 크림프 요소가 베이스 요소와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크림프 요소는 유리하게는 여러 부분, 특히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림프 요소는 외부 크림프 슬리브 및 그 안에 배열된 내부 지지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 장치에서 케이블이 조립된 상태에서, (노출된) 브레이드가 크림프 슬리브와 지지 슬리브 사이에 배열된다. 크림프 슬리브는, 브레이드가 크림프 슬리브와 지지 슬리브 사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내부 지지 슬리브에 크림핑될 수 있고, 특히 그에 대해 축방향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크림핑을 위해, 크림프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크림핑 영역은 축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양호한 변형 능력과 관련하여, 크림핑 영역은 유리하게는 벽이 얇도록 설계된다. 크림핑 영역은 더 두꺼운 벽을 갖는 크림프 슬리브의 베이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는 지지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에 지지 슬리브를 위치시키기 위해, 크림프 슬리브는, 내부 측에서, 축방향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 슬리브용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림프 슬리브는 지지 슬리브가 수용 공간으로 들어가 정지부에 놓일 때까지 일 측으로부터 지지 슬리브 상으로 축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각각 크림프 슬리브에서의 지지 슬리브의 조립 상태에서, 또는 수용 공간에서, 그리고 크림핑 영역의 (아직)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축방향의 크림핑 영역은 유리하게는 지지 슬리브 너머로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림프 슬리브는, 크림핑시의 변형된 상태에서, 케이블과 관련하여 지지 슬리브를 덮는다. 크림핑 후, 변형된 크림핑 영역은 유리하게는 (지지 슬리브 옆의) 케이블의 영역에 꼭 맞게 놓인다. 후자는 특히 굽힘 하중 하에서 케이블이 더 잘 지지되고 미리 결정된 절단점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브레이드의 포지티브 접촉은, (처음으로) 브레이드가 지지 슬리브에 대해 접히는 폴딩 에지로부터 (변형되지 않은) 크림핑 영역의 말단부까지 측정한 축방향의 길이 C 가, 크림프 슬리브 접촉 표면의 외경 D 에 대해, C/D = 0.3 - 0.5, 특히 C/D = 0.4 - 0.45 의 비율을 갖는 경우에 달성된다. 접촉 표면은 크림프 슬리브와 지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크림핑하도록 축방향 접촉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 표면은 유리하게는 크림프 슬리브의 베이스에, 특히 축방향으로 지지 슬리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크림프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다. 직경 D 는 베이스 요소의 제 1 개구의 최소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차폐 손실이 적은 브레이드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최적의 압축을 초래한다. 또한 적용에 따라, 크림프 슬리브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관통 개구는 기술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브레이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외부 측면에 있는 크림프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영역들에서) 둘러싸는 돌출부를 갖는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한편으로는 베이스 요소 또는 인장 요소의 숄더 상에 안착되는 축방향의 크림프 요소에 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축방향 크림핑의 경우에, 이 돌출부는 마찬가지로 축방향 크림핑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위한 크림핑 도구에서 정지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림핑 영역을 향하는 돌출부의 측면은 축방향에 대해 각을 이루는 크림핑 도구의 크림핑 면이 형성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전기 전도성, 특히 금속성이다. 예를 들어, 크림프 슬리브는 구리, 황동 또는 기타 쉽게 변형 가능한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외피에 실질적으로 놓인다. 빠르고 간단한 조립을 위해, 지지 슬리브는 케이블 외피의 단부에 놓이도록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숄더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형태에서, 지지 슬리브는 예를 들어 단면이 L자형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슬리브는 숄더가 케이블 외피에 닿을 때까지 일 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케이블상에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지지 슬리브의 위치결정 후에, 브레이드는 펼쳐져서 상기 지지 슬리브에 대해 접힐 수 있거나, 또는 지지 슬리브 위로 각각 반전될 수 있다 (적어도 영역들에서). 그 후, 크림프 슬리브는 상기 브레이드가 지지 슬리브와 크림프 슬리브 사이에 배열되도록 접혀진 플레어 브레이드를 갖는 지지 슬리브 상으로 밀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슬리브 상의 크림프 슬리브의 조립된 상태에서, 브레이드는 크림프 슬리브의 제 1 접촉면과 지지 슬리브의 제 2 접촉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접촉면은, 적어도 영역들에서 (제 1 영역에서) 유리하게는 반경방향 (케이블에 수직) 을 가리키거나 원추형, 특히 축방향으로 원추형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제 1) 영역의 정렬은 축방향 압축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접촉 압력 힘이 한편으로는 이 영역에서 최대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정밀한 방식으로 조정 및/또는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출된 브레이드의 20% 내지 40% 가 이 (제 1) 영역에 유리하게 배열되거나, 접촉면의 20% 내지 40% 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유리하게 정렬된다. 크림프 슬리브의 제 1 접촉면의 제 1 영역은 또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크림프 슬리브의 내부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제 2 영역으로 전이될 수 있다. 한편, 지지 슬리브의 제 2 접촉면의 제 1 영역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지지 슬리브의 외부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제 2 영역으로 전이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영역들에서 원추형인 접촉면도 가능하다. 특히 제 1 영역에서 원추형 실시형태의 장점들 중 하나는 각진 접촉면들이 접촉면을 확대하여 브레이드에서의 전류 소산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각각의 접촉면들의 상이한 영역들은 유리하게는 브레이드에 대한 손상이 감소되도록 둥근 영역들에 의해 서로 전이된다. 이는 지지 슬리브 상에 배열된 제 2 접촉면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양호한 전기 접촉과 관련하여, 제 1 및/또는 제 2 접촉면에는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슬리브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특히 금속성이다. 예를 들어, 지지 슬리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리 또는 황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와 지지 슬리브에 대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크림핑될 부품들의 각각의 온도 의존성이 유사한 정도로 유리하다.
크림프 요소의 축방향 크림핑을 위해 지지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지지 슬리브는 축방향 변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에 지지 슬리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변형 영역은 유리하게는 크림프 슬리브의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단부에 배열된다. 더욱이, 크림프 슬리브에 지지 슬리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그리고 크림핑 이전에, 변형 영역이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영역들에서 케이블과 크림프 슬리브의 크림핑 영역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변형 영역은 예를 들어 지지 슬리브의 내부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변형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릴리프 홈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릴리프 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홈들에 의해, 지지 슬리브는 각각 축방향으로 더 잘 늘어나거나 압축될 수 있다. 홈들은 각각의 경우에 지지 슬리브의 하나의 공급 개구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의 브레이드로부터 홀딩 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하우징으로의 전선의 양호한 경로를 위해, 예를 들어 크림프 요소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 스프링이 베이스 요소와 크림프 요소 사이 (또는 대안적으로 인장 요소와 크림프 요소 사이) 에 배열될 수 있다. 접촉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다.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크림프 요소에 반경방향 접촉 압력 힘을 가한다. 접촉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환형 또는 C-형상이다. 예를 들어, 적층 스프링 또는 라멜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스프링은 베이스 요소 및/또는 크림프 슬리브의 방사상 홈에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의 방사상 홈은 유리하게는 제 1 개구를 둘러싼다. 그러나 실시형태에 따라, 홈들이 인장 요소에 배열되는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홈은 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일 수 있다.
홀딩 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할 케이블 단부의 케이블의 브레이드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홀딩 장치는 개별 부품들이 설치 순서대로 노출된 케이블에 이미 나사결합된다는 점에서 후속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장 요소를 먼저 케이블에 밀어 넣은 다음, 지지 슬리브를 밀어 넣는다. 방사형 숄더를 통해 지지 슬리브를 케이블 외피의 단부까지 밀어 넣고 그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후, 케이블의 브레이드가 벌어지고, 상기 브레이드가 지지 슬리브 주위에 배치된다. 지지 슬리브 너머로 돌출된 브레이드가 절단될 수 있다. 또는 부품들을 적용하기 전에 브레이드의 크기를 올바르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크림프 슬리브를 케이블과 지지 슬리브 상으로 밀어 넣는다. 그 다음 크림프 슬리브와 지지 슬리브는 크림핑되고, 특히 축방향으로 크림핑되어, 유리하게는 그 사이에 브레이드가 해제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축방향 크림핑의 경우, 케이블은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동안 조립 도구에 크림프 요소와 함께 배치되고 그 안에 크림핑된다. 이 단계후, 베이스 요소를 케이블상으로 밀어 넣는다. 베이스 요소는 유리하게는 크림프 요소에 대한 정지부를 갖는다. 베이스 요소는 인장 요소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가 있는 경우, 지지 슬리브를 누르기 전에 클램핑 요소를 케이블 상으로 밀어 넣는다. 대안적으로, 클램핑 요소가 대응하는 슬롯을 가질 때, 상기 클램핑 요소는 또한 그 후에 케이블 상에 측방향으로 클립핑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크림프 요소는 인장 요소와 베이스 요소 사이에, 또는 존재한다면 클램핑 요소와 베이스 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케이블이 브레이드 아래에 포일/필름, 특히 차폐 포일/필름을 갖는 경우, 이 포일/필름은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포일/필름은 반전되지 않고서 케이블을 따라 더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포일/필름이 브레이드 위에 배열될 때, 포일/필름이 브레이드의 뒤로 접히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거가 특히 편리하다.
압축 동안, 도구는 또한 엠보싱을 남길 수 있다. 엠보싱은 크림프 슬리브의 외부 측면, 예를 들어 크림핑 영역 및/또는 크림핑 면에 배열될 수 있다. 엠보싱은 예를 들어 도구 파라미터, 압축 횟수, 가압력, 제조업체 로고 등과 같은 사용된 크림핑 파라미터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은 사용자를 위한 품질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개시에 따른 홀딩 장치의 변형예를 부분 사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홀딩 장치의 변형예를 측면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 은 크림프 요소를 갖는 케이블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 는 케이블 (2) 에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 (1) 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케이블 (2) 은 도체를 둘러싸는 브레이드 (3), 특히 차폐된 브레이드를 갖는 도체 (18) 를 포함한다. 중간 절연체 (17) 는 브레이드 (3) 와 도체 (18) 사이에 배치된다. 브레이드 (3) 는 케이블 외피 (19) 에 의해 외부로부터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케이블 및 구성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케이블 외피 (19) 는 홀딩 장치 (1) 의 영역에서 제거되고, 브레이드 (3) 의 단부가 노출된다.
홀딩 장치 (1) 는 베이스 요소 (4) 및 베이스 요소에 상호연결될 수 있는 인장 요소 (5) 를 포함한다. 베이스 요소 (4) 는 홀딩 장치 (1) 를 예컨대 하우징 등 (미도시) 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요소 (4) 는 하우징에서의 지지를 위한 베어링 면을 갖는 베이스 (9) 를 갖는다. 하우징과 관련하여 홀딩 장치 (1) 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 (23) 이 베이스 (9)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경우, 인장 요소 (5) 는 클램핑 너트이지만, 인장 요소의 다른 실시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베이스 요소 (4) 는 케이블 (2) 의 통과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개구 (7) 를 갖는 한편, 인장 요소 (5) 는 케이블 (2) 의 통과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 (8) 를 갖는다. 인장 요소 (5) 는 특히 베이스 요소 (4) 와 인장 요소 (5) 사이에 배치된 클램핑 요소 (22) 를 클램핑하고 케이블 (2) 을 홀딩하여 선택적으로 케이블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클램핑 요소 (22) 는 유리하게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크림프 요소 (6) 는 베이스 요소 (4) 와 인장 요소 (5) 사이에 배열된다. 축방향의 크림프 요소 (6) 는 클램핑 요소 (22) 와 베이스 요소 (4)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접촉 스프링 (20) 은 베이스 요소 (4) 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며, 접촉 스프링 (20) 은 제 1 개구 (7) 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홈 (21) 에 배열된다. 접촉 스프링 (20) 은 크림프 요소 (6) 와 베이스 요소 (4) 사이의 개선된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크림프 요소 (6) 는 외부 크림프 슬리브 (10) 및 외부 크림프 슬리브내에 배열되고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내부 지지 슬리브 (11) 를 포함한다. 크림프 요소 (6) 가 있는 케이블 (2) 이 도 3 에 나와 있다. 이미지의 하부 부분에는, 변형되지 않은 크림프 슬리브 (10) 가 표시되어 있다 (크림핑 전). 도면의 상부 부분에는, 변형된 크림프 슬리브 (10) 가 도시되어 있다 (크림핑 후). 두 상태에서, 브레이드 (3) 는 크림프 슬리브 (10) 와 지지 슬리브 (11) 사이에 배열된다. 크림핑 후에, 크림프 요소 (6) 는 유리하게는 케이블 (2) 에 고정 연결된다. 변형된 크림핑 영역 (12) 은 지지 슬리브 (11) 주위에서 그리고 영역들에서 케이블 (2) 주위에서 꼭 맞을 수 있다. 각각 크림핑 또는 크림핑 도구의 결과로서 엠보싱 (25) 이 크림프 슬리브 (10) 의 외부 측면상에, 예를 들어 크림핑 영역 (12) 에 배열될 수 있다. 크림핑 전에, 변형가능한 크림핑 영역 (12) 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크림핑 영역 (12) 은, 크림프 슬리브 (10) 에서의 지지 슬리브 (11) 의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를 넘어 돌출된다 (도면의 하부 부분 참조). 도시된 변형예에서, 축방향으로 (변형되지 않은) 크림핑 영역 (12) 의 단부로부터 브레이드의 폴딩 에지까지 정의된 길이 C 는 크림프 슬리브 (10) 의 접촉 표면 (26) 의 외경 D 에 관하여 C/D = 0.3 - 0.5 의 비율을 갖는다 (도 2 참조). 접촉 표면 (26) 은 크림핑을 위해 크림프 슬리브 (10) 및 지지 슬리브 (11) 주위에 축방향 접촉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크림핑을 위해, 외측의 크림프 슬리브 (10) 는 둘러싸는 돌출부 (24) 를 갖는다. 후자는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베이스 요소 (4) 의 정지부 (14) 에 지지된다.
또한,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 변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 (15) 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케이블 (2) 과 마주하는 그 내부 측의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 변형의 경우에 스트레인 릴리프 홈 및/또는 크러싱 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홈들을 갖는다. 변형된 상태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 슬리브 (11) 는 케이블 외피 (19) 의 단부에 안착하기 위한 방사상 숄더 (16) 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축방향의 크림프 슬리브 (10) 는 지지 슬리브 (11) 를 위한 정지부 (14)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슬리브 (11) 및 후자를 통해 크림프 슬리브 (10) 가 케이블 (2) 상에 쉽고 빠르게 위치될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 (10) 가 개구 (13) 를 통해 조립된 상태에서 개재 브레이드 (3) 가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관통 개구 (13) 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변형된 상태에서, 지지 슬리브 (11) 는 크림프 슬리브 (10) 와 케이블 (2) 에 의해 둘러싸이고 홀딩된다.
도시된 홀딩 장치 (1) 의 조립을 위해, 케이블 외피 (19) 아래에 있는 케이블 (2) 의 브레이드가 먼저 노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인장 요소 (5) 는 케이블 (2) 에 나사결합되고 그 다음에는 클램핑 요소 (22) 및 지지 슬리브 (11) 가 뒤따를 수 있다. 방사상 숄더 (16) 에 의해 지지 슬리브 (11) 는 케이블 외피 (19) 의 단부까지 푸시업되어 그곳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 (2) 의 브레이드 (3) 는 이후에 펼쳐져서 지지 슬리브 (11) 주위에 배치된다. 돌출된 브레이드 (3) 는 절단될 수 있다. 그 후, 크림프 슬리브 (10) 는 케이블 (2) 과 지지 슬리브 (11) 상으로 밀어진다. 그런 다음 브레이드 (3) 는 크림프 슬리브 (10) 와 지지 슬리브 (1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이 단계후, 베이스 요소 (4) 는 케이블 (2) 상으로 밀리고 인장 요소 (5) 에 상호연결된다.
1 홀딩 장치
2 케이블
3 브레이드
4 베이스 요소
5 인장 요소
6 크림프 요소
7 제 1 개구
8 제 2 개구
9 베이스
10 크림프 슬리브
11 지지 슬리브
12 크림핑 영역
13 관통 개구
14 정지부
15 변형 영역
16 방사상 숄더
17 중간 절열재
18 도체
19 케이블 외피
20 접촉 스프링
21 홈
22 클램핑 요소
23 시일
24 돌출부
25 엠보싱
26 접촉 압력면

Claims (15)

  1. 적어도 부분적 외부 브레이드 (braid: 3) 를 갖는 케이블 (2) 용의 홀딩 장치 (1) 로서, 상기 홀딩 장치는
    a. 베이스 요소 (4) 로서
    i. 상기 케이블 (2) 의 통과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개구 (7),
    ii. 하우징에 상기 베이스 요소 (4) 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9) 를 갖는, 상기 베이스 요소 (4),
    b. 상기 케이블 (2) 의 통과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 (8) 를 갖는, 상기 베이스 요소 (4) 에 대한 상호연결을 위한 인장 요소 (5),
    c. 크림프 요소 (6) 로서,
    i. 외부 크림프 슬리브 (10) 및 그 안에 배열된 내부 지지 슬리브 (11) 를 갖고,
    ii. 상기 홀딩 장치 (1) 에서 상기 케이블 (2) 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드 (3) 는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와 상기 지지 슬리브 (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및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서로 크림핑되는, 상기 크림프 요소 (6)
    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및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으로 크림핑되는, 홀딩 장치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는, 크림핑 전의 비변형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림핑 영역 (12) 을 포함하는, 홀딩 장치 (1).
  4. 제 3 항에 있어서,
    크림핑 전에 그리고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에 상기 지지 슬리브 (11) 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크림핑 영역 (12) 은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를 넘어서 돌출하는, 홀딩 장치 (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 (3) 의 폴딩 에지로부터 상기 크림핑 영역 (12) 의 원위 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측정된 길이 C 는,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의 접촉 표면 (26) 의 외경 D 에 관하여 C/D = 0.3 - 0.5 의 비율을 갖는, 홀딩 장치 (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관통 개구 (13) 를 가져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드 (3) 가 상기 관통 개구 (13) 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홀딩 장치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가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를 위한 정지부 (14) 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홀딩 장치 (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 변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영역 (15) 을 갖는, 홀딩 장치 (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케이블 외피 (19) 의 단부에 안착하기 위한 방사상 숄더 (17) 를 갖는, 홀딩 장치 (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요소 (6) 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스프링 (20) 이 상기 베이스 요소 (4) 또는 상기 인장 요소에 배열되는, 홀딩 장치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 (20) 은 상기 베이스 요소 (4) 의 그리고/또는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의 방사상 홈 (21) 에 배열되는, 홀딩 장치 (1).
  13. 홀딩 장치 (1) 의 조립 방법으로서,
    a.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홀딩 장치 (1) 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부분적 외부 브레이드 (3) 를 갖는 케이블 (2) 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인장 요소 (5) 를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미는 단계;
    d. 상기 지지 슬리브 (11) 를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미는 단계;
    e. 상기 지지 슬리브 (11) 주위로 상기 브레이드 (3) 를 펼치고 접는 단계;
    f.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를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그리고 상기 지지 슬리브 (11) 주위로 미는 단계;
    g.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및 상기 지지 슬리브 (11) 를 크림핑하는 단계;
    h. 상기 베이스 요소 (4) 를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미는 단계;
    i.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밀어 넣은 상기 인장 요소 (5) 를 상기 베이스 요소 (4) 에 상호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의 조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슬리브 (11) 상으로 밀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 (22) 가 먼저 상기 케이블 (2) 상으로 밀어지는, 홀딩 장치의 조립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 (10) 및 상기 지지 슬리브 (11) 는 축방향으로 크림핑되는, 홀딩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227032454A 2020-02-20 2021-02-19 홀딩 장치 KR20220139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195/20A CH717156A2 (de) 2020-02-20 2020-02-20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s Kabels.
CH00195/20 2020-02-20
PCT/EP2021/054134 WO2021165461A1 (de) 2020-02-20 2021-02-19 Halte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398A true KR20220139398A (ko) 2022-10-14

Family

ID=7467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454A KR20220139398A (ko) 2020-02-20 2021-02-19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91916A1 (ko)
EP (1) EP4107816A1 (ko)
JP (1) JP2023514273A (ko)
KR (1) KR20220139398A (ko)
CN (1) CN115136417A (ko)
BR (1) BR112022016244A2 (ko)
CA (1) CA3165195A1 (ko)
CH (1) CH717156A2 (ko)
MX (1) MX2022010173A (ko)
WO (1) WO20211654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3795C1 (de) 1995-06-29 1996-12-19 Siemens Ag Kabeldurchführung für ein geschirmtes Schaltkabel
DE10140687B4 (de) * 2001-08-24 2006-11-02 Nucellsys Gmbh Steckerleitung
JP2005158640A (ja) * 2003-11-28 2005-06-16 Hirose Electric Co Ltd 多極コネクタ
DE102013201531B4 (de) 2013-01-30 2017-02-09 Leoni Bordnetz-Systeme Gmbh Elektrische Kontaktverbindung
DE202013006413U1 (de) * 2013-07-17 2014-10-22 Leoni Bordnetz-Systeme Gmbh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Abschirm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an einem Gehäuse sowie vor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US9510491B2 (en) * 2014-02-17 2016-11-29 Lear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hield termination device
CH713542A2 (de) * 2017-03-03 2018-09-14 Agro Ag Kabelverschraubung für ein Kabel mit mindestens einem Leiter und ein diesen umgebendes Schirmgefle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717156A2 (de) 2021-08-31
EP4107816A1 (de) 2022-12-28
US20230091916A1 (en) 2023-03-23
BR112022016244A2 (pt) 2022-10-11
JP2023514273A (ja) 2023-04-05
WO2021165461A1 (de) 2021-08-26
MX2022010173A (es) 2022-09-12
CA3165195A1 (en) 2021-08-26
CN115136417A (zh)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4940B1 (en) Ground structure for shield wire and method for grounding wire
KR102355339B1 (ko) 차폐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
EA012357B1 (ru) Собранный узел или блок, состоящи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из двух разных по размеру типов резьб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кабеля
JP6341528B2 (ja) 弾性ブッシュ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H06314577A (ja) シールド電線接続用端子
CN107592949B (zh) 电缆/线缆插入装置
US6048227A (en) Connector backshell
IL97992A (en) Metallic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220139398A (ko) 홀딩 장치
JP4473367B2 (ja) 防水型同軸コネクタ
US5752849A (en) Tool-less phone jack-to-cable connector
JP6250102B1 (ja) 接地金具及びケーブル端末部
JP7164568B2 (ja) コネクタ
US20210159615A1 (en) Crimp Connection And Crimp Method For A Crimp Assembly With At Least One Retention Shoulder
EP0991138A2 (en)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arthing element
US10862227B2 (en) Connection adapter for electrical plug
CN110534982A (zh) 连接器装置
KR20200034128A (ko)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US11967812B2 (en) Contacting system
US6355888B2 (en) Device for fixing electrical lines
KR20050084235A (ko) 케이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조합하기 위한 방법
KR20210117814A (ko) 전력케이블과 도체터미널의 접속구조
US20230352884A1 (en) High Speed Cable Braid Termination Using a Coil Spring
GB2610045A (en) Cable junction box with earth wire
JP2024059341A (ja) シールド電線、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