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520A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520A
KR20220137520A KR1020210110125A KR20210110125A KR20220137520A KR 20220137520 A KR20220137520 A KR 20220137520A KR 1020210110125 A KR1020210110125 A KR 1020210110125A KR 20210110125 A KR20210110125 A KR 20210110125A KR 20220137520 A KR20220137520 A KR 2022013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rous silica
sensitive
salicylic acid
sensi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기
김진영
김진모
형 최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520A/ko
Publication of KR2022013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저자극적이고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에 저자극적이고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모낭 및 피지선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서, 피지의 과잉 분비, 모낭의 각질화, 여드름 균의 증식 등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피지의 과잉 분비 및 모낭의 각질화에 의해 모낭 내에 존재하는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나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이 촉진되는데, 프로피오나박테리움 아크네스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먹고 배출하는 지방산 또는 자유 지방산은 피부를 자극하거나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키고, 염증 반응을 일으킬 뿐 아니라, 약산성의 건강한 피부를 알칼리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약산성 상태의 피부는 자체적으로 항상성을 유지하고 항균 작용을 하여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pH 7.0 이상의 알칼리화된 피부는 항상성 유지 및 항균 작용에 어려움이 있어, 피부 자체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칼리화된 피부를 약산성의 건강한 피부로 회복시키면서 여드름 균을 살균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항생제, 약제 등을 활용한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살리실산은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 물질로서 활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5182호는 유황, 칼라민 및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여드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키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살리실산은 강산의 한 종류로, 여드름 개선에는 효과적이나, 피부에 자극적이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인 살리실산을 함유하면서도 피부에 저자극적이면서,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에 저자극적이고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4-Terpineol)을 포함하는 유효 물질; 및 pH 감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저자극적이고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인 약물이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4-Terpineol)을 포함하는 유효 물질; 및 pH 감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에 상기 유효 물질이 함침되고,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은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된다.
다공성 실리카
상기 다공성 실리카로는 입경이 1 내지 15 ㎛, 예를 들어 3 내지 9 ㎛이고, 포어 사이즈가 5 내지 70 nm, 예를 들어 5 내지 50 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pH 감응성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5 중량%, 예를 들어 85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공성 실리카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에 함침되는 유효 물질의 총량이 적어져 여드름 개선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가 유효 물질로 다 채워지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이 pH 감응성 물질로 충분히 코팅되지 못하여 유효 물질이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효 물질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에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인 유효 물질이 함침된다. 상기 유효 물질은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을 포함한다.
살리실산은 방향족 옥시 카르복실산인 무색의 고체로, 항염증 및 항균제로서 직접적인 활성을 가지며, 피부를 재생시키고, 박리를 촉진하여 모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항염증 및 항균 활성 뿐 아니라 여드름 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과잉 피지와 모공의 막힘 등을 방지함으로써 여드름 균의 번식 또는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살리실산은 알칼리화된 여드름성 피부의 pH를 낮춰 피부를 약산성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자체의 항상성, 항균 작용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살리실산은 pH 감응성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살리실산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항염 활성, 피부 재생, 모공 막힘 방지 등의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살리실산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를 가득 채우고 남아 경제적이지 못하고, pH 감응성 복합체 표면에 잔류하게 될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4-터피네올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류 등을 살균 소독하는 항균성 오일이며,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4-터피네올은 여드름 균을 살균 소독 또는 항균함으로써, 여드름 균의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4-터피네올은 pH 감응성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4-터피네올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살균 소독, 항균성 등의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4-터피네올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를 가득 채우고 남아 경제적이지 못하고, pH 감응성 복합체 표면에 잔류하게 될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효 물질은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을 1 : 0.1 내지 2, 예를 들어 1 : 0.5 내지 1.5, 다른 예로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을 전술한 배합비로 포함하는 경우, 특정 pH 영역에서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에 안정적인 상태로 함침되어, pH 감응성 복합체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pH 감응성 물질
pH 감응성 물질은 pH 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물질로, 본 발명에서 pH 감응성 물질은 pH 변화에 따라 산성 조건에서는 유성에 용해되고, 염기성 조건에서는 수성에 용해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pH 감응성 물질은 pH 4.0 미만의 산성 조건에서는 유성에 용해되고, pH 7.0 이상의 염기성 조건에서는 수성에 용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은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된다. 따라서, 약산성의 건강한 피부에서는, pH 감응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지 않아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된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 유효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반면, 염기성의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에서는, pH 감응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로부터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갖는 pH 감응성 물질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피부의 pH에 따라 선택적으로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건강한 약산성의 피부에서는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이 피부와 접촉되지 않고, 여드름성 피부 등의 염기성 피부에서만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이 피부와 접촉되므로,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한 제형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메도폼 델타-락톤(Meadowfoam delta-lact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분자량이 70 X 106 내지 200 X 106 g/mol, 예를 들어 100 X 106 내지 160 X 106 g/mol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감응성 물질은 pH 감응성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5 중량%, 다른 예로 2.5 내지 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H 감응성 물질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이 충분히 코팅되지 않아 다공성 실리카 포어 내의 유효 물질이 보호되기 어려우며, pH 변화와 관계 없이 유효 물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유효 물질의 방출이 급격히 이루어져 서방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저자극성, 제형 안정성, 여드름 개선 효과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pH 감응성 물질이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과도하게 코팅되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로부터 유효 물질의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되는 코팅층의 두께는 0.07 내지 0.4 ㎛, 예를 들어 0.08 내지 0.12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이 충분히 코팅되지 않아 다공성 실리카 포어 내의 유효 물질이 보호되기 어려우며, pH 변화와 관계 없이 유효 물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유효 물질의 방출이 급격히 이루어져 서방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pH 감응성 물질이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과도하게 코팅되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로부터 유효 물질의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H 감응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 코팅 후 고압 공정 단계를 추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0.01 중량%, 예를 들어 0.000001 내지 0.00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pH 감응성 복합체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고, 피부 자극성이 증가하고,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수렴 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패치,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 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바디클렌저,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 4-터피네올, pH 감응성 물질 및 다공성 실리카 이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주름 개선제, 항노화제, 항산화제, 탄력 개선제, 미백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항염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여드름 개선제, 피지분비 억제제, 트러블 방지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향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을 포함하는 유효 물질; 및 pH 감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유효 물질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효 물질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에 pH 감응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1) 다공성 실리카에 유효 물질을 함침시키는 단계
살리실산을 4-터피네올에 가온(약 40 ℃)하에 분산하여 유효 물질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밀폐형 헨셀믹서에 다공성 실리카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혼합액을 스프레이 분사기로 분사하여, 다공성 실리카 내의 포어에 혼합액을 함침시켰다. 필요에 따라, 건조, 가열, 냉각, 초음파, 교반, 진동 처리 등이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2) 유효 물질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에 pH 감응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용매에 pH 감응성 물질을 분산 용해시킨다. 상기 용매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물, 프로필렌 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유효 물질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와 상기 분산 용해된 pH 감응성 물질을 혼합하여,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을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한다. 혼합 방법으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pH 감응성 물질은 0.07 내지 0.4 ㎛, 예를 들어 0.08 내지 0.12 ㎛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이 충분히 코팅되지 않아 다공성 실리카 포어 내의 유효 물질이 보호되기 어려우며, pH 변화와 관계 없이 유효 물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유효 물질의 방출이 급격히 이루어져 서방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pH 감응성 물질이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과도하게 코팅되어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로부터 유효 물질의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H 감응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 코팅 후 고압 공정 단계를 추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 단계 및 (2) 단계 이후, 필요에 따라, 건조, 가열, 냉각, 초음파, 교반, 진동 처리 등이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팅 후, 오븐(70 ℃)에서 12 시간 건조하여 용매를 휘발하는 단계,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교반하는 단계, 아토마이져(예컨대, 3,425 rpm, 5분 적용, 40 mesh)를 이용하여 입도를 균질화하는 단계, 여과하는 단계(예컨대, 2000 mesh 적용), 및 고압 처리하여 코팅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 처리 단계에서 가해지는 압력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200 내지 1,200 bar, 예를 들어 600 내지 1,200 bar, 다른 예로 1,000 내지 1,200 bar일 수 있다. 압력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균질화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 물질의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더 이상 균질화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고압 공정을 적용한 균질화 단계를 거칠 경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pH 감응성 물질이 더욱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쳐 코팅된 다공성 실리카의 입도가 균일해질 경우, 다공성 실리카 포어 내의 유효 물질이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여드름 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압 공정을 적용한 균질화 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반복 회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1 내지 7회, 예를 들어 2 내지 3회일 수 있다. 반복 회수가 증가될수록 더욱 균일한 코팅이 형성되나,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pH 변화에 맞춰 방출되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더 이상 균질화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살리실산을 4-터피네올에 가온(약 40 ℃)하에 분산하여 유효 물질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밀폐형 헨셀믹서에 다공성 실리카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혼합액을 스프레이 분사기로 분사하여, 다공성 실리카 내의 포어에 혼합액을 함침시켰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pH 감응성 물질(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분산 용해시킨 후,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된 유효 물질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와 함께 혼합하여,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을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하였다. 이를 상온으로 냉각하고 건조시켜, 각 실시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다공성 실리카, 살리실산, 4-터피네올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의 양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로부터 방출된 살리실산의 함량을 하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사용하여, pH 감응성 복합체 1.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렌 글라이콜 5.0 중량%, 잔탄검 0.05 중량% 및 증류수 88.95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하기 방법으로 여드름 개선 효과 및 자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살리실산 방출량(HPLC 분석법)
화장품 사용한도 성분 분석법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에 따라, 각 조성물 복합체(10% in 1,3-BG Solution) 5g을 샘플로 준비하고, pH 7.5 베이스 아가(Agar) 배지에 각 샘플을 담지하고, 1시간마다 pH를 변화시켜 가며 총 5시간 동안 함침시키고(트리에탄올아민을 이용하여 pH 변화), 매 시간마다 방출된 유효성분을 HPLC로 분석하여, 살리실산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여드름 개선 효과(페이퍼 디스크법)
한국 미생물 보존 센터로부터 분양 받은 여드름 균(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KCTC3314))을 배지에 배양한 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5g을 접종하여, 여드름 균이 사멸한 부분(원형)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여드름 개선 효과는 하기 기준에 따라 0-5로 평가하였다.
5: 5 cm 이상
4: 4 cm 이상 5 cm 미만
3: 3 cm 이상 4 cm 미만
2: 2 cm 이상 3 cm 미만
1: 1 cm 이상 2 cm 미만
0: 0 cm 이상 1 cm 미만
자극도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Safety testing guidelines)에 따라 자극도를 실험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실험 대상자들의 등을 70% 에탄올로 닦고 건조시킨 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키트(IQ Ultra chamber)에 20 μl씩 적하시킨 다음 부착하였다. 48 시간 동안 폐쇄 첩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skin marker)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고, 첩포 제거 30 분 및 24 시간 후에 확대경(SK101-3X, SeKi optical, Korea) 아래서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다.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하기 표 2의 기준으로 판정하였으며, 하기 식 1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식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실시예 1-3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살리실산이 서서히 방출되었고, 서방성 제형으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피부 자극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비교예 1-2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살리실산의 방출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서방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자극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비교예 3-4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살리실산의 방출양이 매우 적었고,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여드름 개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5]
하기 표 4의 조성 및 공정에 따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5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고압 공정은 1,000-1,200 bar의 압력으로 진행하였다.
[비교예 5-6]
하기 표 4의 조성 및 공정에 따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5-6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비교예 3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사용하여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5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 및 이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방출된 살리실산 함량, 여드름 개선 효과 및 자극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감응성 복합체의 입도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실시예 4-5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살리실산이 서서히 방출되었고, 서방성 제형으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시예 4-5의 pH 감응성 복합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피부 자극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고압 공정을 거친 실시예 4-5의 pH 감응성 복합체는 균일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3과 비교예 5는 실시예 4, 5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나, 고압 공정이 시행되지 않거나, 1회 시행된 것으로,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예이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5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살리실산의 방출양이 매우 적었고,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여드름 개선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5의 pH 감응성 복합체는 불균일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6은 실시예 4, 5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나, 고압 공정이 4회 시행된 것으로, pH 감응성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예이다. 비교예 6의 pH 감응성 복합체에서는 균일한 입도분포가 나타났으나, 살리실산의 방출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서방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자극도가 높게 나타났다.

Claims (6)

  1. 다공성 실리카; 살리실산 및 4-터피네올(4-Terpineol)을 포함하는 유효 물질; 및 pH 감응성 물질을 포함하는 pH 감응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포어 내에 상기 유효 물질이 함침되고,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은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되며,
    상기 pH 감응성 물질로 코팅되는 코팅층의 두께가 0.07 내지 0.4 ㎛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입경이 1 내지 15 ㎛이고, 포어 사이즈가 5 내지 70 nm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물질은 살리실산과 4-터피네올을 1 : 0.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성 물질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메도폼 델타-락톤(Meadowfoam delta-lact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다공성 실리카 80 내지 95 중량%, 상기 살리실산 0.01 내지 10 중량%, 상기 4-터피네올 0.0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pH 감응성 물질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pH 감응성 복합체를 0.00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0125A 2021-04-02 2021-08-20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7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25A KR20220137520A (ko) 2021-04-02 2021-08-20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348A KR102294435B1 (ko) 2021-04-02 2021-04-02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0125A KR20220137520A (ko) 2021-04-02 2021-08-20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48A Division KR102294435B1 (ko) 2021-04-02 2021-04-02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20A true KR20220137520A (ko) 2022-10-12

Family

ID=77465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48A KR102294435B1 (ko) 2021-04-02 2021-04-02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0125A KR20220137520A (ko) 2021-04-02 2021-08-20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348A KR102294435B1 (ko) 2021-04-02 2021-04-02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44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957A1 (en) * 2014-02-07 2015-08-13 Unilever N.V. A topical composition
WO2018166758A1 (en) * 2017-03-16 2018-09-20 Unilever N.V.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 and antimicrobial lipid
KR102018128B1 (ko) * 2018-03-30 2019-09-04 한국콜마주식회사 여드름 개선을 위한 pH 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435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5599C (en) Cosmetic composition
RU2537235C2 (ru) Мягко действующие несмываем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US4478853A (en)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US4970220A (en)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US4670185A (en) Aqueous vesicle dispersion having surface charge
CA2317471C (en) Dry emollient compositions
CN1838935B (zh) 单线态氧消除剂及使用它的组合物
JP2008533037A (ja) 過酸化ベンゾイ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4524421A (ja) 局所施用向け被膜形成組成物及び活性作用物質の送達のためのその利用
DE102006056814A1 (de) Das Wundreiben verhindernde, Bornitrid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JP2001139451A (ja) ジェル状化粧料
KR102018128B1 (ko) 여드름 개선을 위한 pH 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221821A (ja) 皮膚化粧料
KR20200125628A (ko) 스킨 케어 유익성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2294435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839826B1 (ko)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각질세포 모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A2524375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1408924A1 (en)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4444073B2 (ja) 化粧料
KR20140094187A (ko)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가발포성 화장료 조성물
EP3426223B1 (en) A antiperspirant composition having long-lasting odor protection
JP2000128724A (ja) 皮膚外用剤
JP2001097838A (ja) 加齢臭抑制組成物
KR100777543B1 (ko) 젤타입 화장수 조성물
EP3166588B1 (de) Verwendung eines speziellen proteins zur verminderung der transpiration des kör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