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122A -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7122A KR20220137122A KR1020227032025A KR20227032025A KR20220137122A KR 20220137122 A KR20220137122 A KR 20220137122A KR 1020227032025 A KR1020227032025 A KR 1020227032025A KR 20227032025 A KR20227032025 A KR 20227032025A KR 20220137122 A KR20220137122 A KR 202201371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ud
- runner
- partition wall
- plat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76 Panthera tig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스터드로부터 러너에 가압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러너가 변형하여 접속 구조가 파손되는 일 없이,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가 높은 정확도로 스터드에 장착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방화 구역(10)과, 방화 구역(10)에 인접하여 상판(20)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13) 및 아랫 계단실(15)을 구획하는 제1 칸막이벽(30) 및 제2 칸막이벽(40)이 상판(20)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구조(100)로서, 상판(20)의 상측에는 제1 스터드(32)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31)가 설치되고, 상판(20)의 하측에는 제2 칸막이벽(40)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34)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33)가 설치되며, 방화 구역(10)에서 제1 스터드(32)로부터 제2 스터드(34)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50)가, 제1 받침판(80A)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터드(32)에 고정되며, 또한 제2 받침판(80B)을 사이에 두고 제2 스터드(34)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구성하는 벽의 방화(防火)·내화(耐火) 성능은 일본국 건축 기준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벽의 구조, 구성 재료 등에 대해서는 동 건축 기준법에 규정된 내장(內裝) 제한이나 방화·내화 성능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동 건축 기준법은 건축물의 용도나 규모, 지역 지정 등에 기초하여 내화 건축물 또는 준내화 건축물로서 건축물 전체의 구조를 규정하며, 건축물의 용도나 규모, 화재 확산 방지, 피난, 연기 배출, 소화(消火) 등의 관점에서 내장 재료나 내벽 구조, 자재 구조, 배관 관통부 등에 관한 방화·내화 성능을 규제하고 있다. 현행의 동 건축 기준법에서는 건축물 내장 재료의 불연(不燃) 성능이 소정의 불연 등급(불연재, 준불연재 및 난연재)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건축물 벽의 방화·내화 성능은 소정의 구조 종류(내화 구조, 준내화 구조, 방화 구조, 준방화 구조 등)로 분류되어 있다.
한편, 건축물 경량화의 관점에서, 경량 철골제 스터드의 양면에 석고 보드 또는 규산칼슘판 등과 같은 내화 보드가 장착된 건식(乾式) 공법에 의한 내화 칸막이벽이 방화 구역과 그 인접 공간 간의 분리벽으로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 구역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계단실 등이 포함되며, 그에 인접하는 인접 공간에는 엘리베이터 홀이나 통로, 거실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방화 구역을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하고, 방화 구역에 인접하는 철근 콘크리트제 등의 상판(床版)의 상하에 윗 계단실과 아랫 계단실이 배치되는 접속 구조의 시공에 있어, 현장에서 시공되는 상판에는 종종 시공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판의 방화 구역쪽 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러너(runner)를 설치하여 스터드(stud)를 배치하고서(즉, 스터드도 상판의 방화 구역쪽 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룸), 스터드에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를 시공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상하 러너를 상판의 방화 구역쪽 단면으로부터 방화 구역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판에 설치하여 상하 러너에 스터드를 배치하고서, 상하 스터드에 대해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를 시공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종래에 있어, 방화 구역과, 방화 구역에 인접하는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방화 구역(10)의 좌측에는, H형 강 등으로 된 형강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량(床梁,25)에 의해 지지되는, 현장에서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제 상판(20)이 있다. 상판(20)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13) 및 아랫 계단실(15)과 방화 구역(10)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30)과 하측의 제2 칸막이벽(40)이 상판(20)과 상량(25)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90)가 형성된다.
철근 콘크리트제 상판(20)은 시공 오차에 의해 방화 구역쪽 단면(21)에 요철을 갖는다. 이 요철은 도 1에 나타내는 종방향에 걸쳐 존재하는 외에도 도 1의 지면 깊이 방향으로도 존재한다. 그리하여, 상판(20)의 상면에서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30)을 구성하며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 러너(31)가,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1 만큼 방화 구역 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비스나 압정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상판(20)에 고정된다.
한편, 상량(25) 상하의 플랜지(25a)에서 웹(25b)보다 방화 구역쪽에는 러너 받침재(37A,37B)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러너 받침재(37A,37B)에 대해,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가 양쪽 개구를 대향시킨 자세로 비스나 태핑(tapping)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의 내부에 상량 내 스터드(36)가 배치된다. 이들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 역시 상판(20)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1 만큼 방화 구역 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러너 받침재(37A,37B)에 장착된다.
또한, 상량(25)의 아랫쪽 플랜지(25a)의 하면에는 러너 받침재(37C)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러너 받침재(37C)에 대해, 하측의 제2 칸막이벽(40)을 구성하며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싱측 러너(33)가,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1 만큼 방화 구역 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비스나 태핑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러너 받침재(37C)에 장착된다.
제1 칸막이벽(30)에서는, 윗쪽의 상측 러너(미도시)와 아랫쪽의 하측 러너(31) 사이에 벽의 폭방향(도 1에서 지면 깊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제1 스터드(32)가 배치되며, 제1 스터드(32)의 실내쪽에 제2 벽재(60A)가 장착된다. 한편으로, 제2 칸막이벽(40)에서는, 아랫쪽의 하측 러너(미도시)와 상측 러너(33) 사이에 벽의 폭방향(도 1에서 지면 깊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제2 스터드(34)가 배치되며, 제2 스터드(34)의 실내쪽에 제3 벽재(60B)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의 방화 구역쪽 단면에는, 제1 스터드(32)로부터 제2 스터드(34)에 걸쳐 연장 배치되며 방화 구역(10)에 대향하는 제1 벽재(5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벽재(50), 제2 벽재(60A), 제3 벽재(60B)는, 예를 들어,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가 벽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이루며,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에 대해 비스나 태핑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는 양쪽 다 석고 보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 중 어느 한쪽이 석고 보드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규산칼슘판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윗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2 벽재(60A), 제1 스터드(32), 하측 러너(31) 및 상측 러너(미도시), 제1 벽재(50)에 의해 제1 칸막이벽(30)이 구성된다. 한편으로는, 아랫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3 벽재(60B), 제2 스터드(34), 상측 러너(31) 및 하측 러너(미도시), 제1 벽재(50)에 의해 제2 칸막이벽(4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량(25)의 주위에는 내화 피복재(28)가 스프레이 시공 등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내화(耐火) 성능을 갖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90)가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칸막이벽(30), 제2 칸막이벽(40)에 대해, 예를 들어 대규모 지진이 발생시에 커다란 수평력(H)이 작용하는 경우를 검증한다.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가 상판(20)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1 만큼 방화 구역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제1 칸막이벽(30) 등에 수평력(H)이 작용하면, 제1 칸막이벽(30) 등에는 수평력(H)에 기인하는 면 바깥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리고,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의 돌출쪽 내측 모서리부에는,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로부터 면 바깥 방향으로의 모멘트에 기인하는 가압력(P)이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력(P)에 의해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 중 적어도 일부가 폭 t1보다도 더 방화 구역쪽으로 어긋남으로써,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의 돌출 개소 중 적어도 일부가 꺾여져 휘어서 아래 또는 윗쪽으로 변형된다(변형 δ). 그 결과,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 중 적어도 일부가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접속 구조(90)의 적어도 일부가 파손에 이를 수 있다. 한편, 시공성을 감안하여 제2 스터드(34)의 상단은 상측 러너(33)에 대해 클리어런스를 갖는 상태에서 끼워진다. 그리고, 이 점은 제1 스터드(32)의 상단을 상측 러너(미도시)에 대해 끼우는 경우와, 상량 내 스터드(36)의 상단을 상측 상량 내 러너(35)에 대해 끼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하여,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의 상단이 상측 러너(미도시), 상측 러너(33), 상측 상량 내 러너(35)로부터 이탈하기 쉬워지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큰 수평력(H)이 작용했을 때에는,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가 상측 러너(미도시), 상측 러너(33), 상측 상량 내 러너(35)로부터 이탈함에 의해서도 접속 구조(90)가 파손에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등의 일부를 상판(20)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판(20)의 시공 오차를 허용하면서 상판(20)에 대해 윗쪽의 제1 칸막이벽(30)과 아랫쪽의 제2 칸막이벽(40)이 접속된 접속 구조(90)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지진 등이 일어났을 때 접속 구조(90)가 파손에 이를 우려가 있다.
이에, 바탕 면재의 가로 줄눈과 내장 장식판의 세로 줄눈이 교차하는 줄눈 교차부에 발생할 수 있는 국소적인 내화 성능 열화를 방지하고, 칸막이벽의 내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내화 줄눈재를 구비한 내화 칸막이벽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화 줄눈재는 상하의 수평 내화 구획 간에 연장되는 내화 칸막이벽의 세로 줄눈에 삽입되며, 칸막이벽은, 수평 내화 구획 간에 연장되는 수직의 축조 부재와, 가로 방향으로 배향된 바탕 면재와, 바탕 면재 상에 형성되는 내장 장식판에 의해 구성된다. 내화 줄눈재는, 내장 장식판의 가장자리부와 바탕 면재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내장 장식판의 세로 줄눈의 줄눈 바닥을 안 보이게 하는 줄눈 바닥부를 포함하며, 내화 줄눈재는 적어도 가로 줄눈과 세로 줄눈의 교차부에서 세로 줄눈 내에 배치되어 세로 줄눈의 줄눈 바닥을 폐색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내화 칸막이벽에 의하면, 한쪽 방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칸막이벽의 뒷면 전체에 있어 비교적 그리고 평균적으로 온도 상승할 뿐 국부적으로 고온인 영역은 발생하지 않아서, 우수한 내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내화 칸막이벽을 적용하더라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과제, 즉, 상판의 시공 오차를 허용하면서 상판에 설치된 상하 러너의 변형에 기인하는 접속 구조의 파손을 해소하여 상하 스터드에 대해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를 높은 정확도로 접속시킨다는 과제를 해소할 수는 없다.
본 개시 내용은, 대지진 등과 같은 경우에 스터드로부터 러너에 가압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러너가 변형하여 접속 구조가 파손되는 일 없이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가 스터드에 높은 정확도로 장착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는,
방화 구역과, 당해 방화 구역에 인접하여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 및 하측의 제2 칸막이벽이 상기 상판에 접속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상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1 스터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가 설치되며,
상기 방화 구역에서 상기 제1 스터드로부터 상기 제2 스터드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가, 제1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되며 또한 제2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되며,
상기 윗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2 벽재와, 상기 제1 스터드와,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고,
상기 아랫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3 벽재와, 상기 제2 스터드와, 상기 상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는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은,
방화 구역과, 당해 방화 구역에 인접하여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 및 하측의 제2 칸막이벽이 상기 상판에 접속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러너 설치 공정과, 스터드 배치 공정과, 칸막이벽 형성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너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상판의 상측에,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1 스터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를 설치하며,
상기 스터드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스터드의 하단을 상기 하측 러너에 수용하여 배치한 후, 당해 제1 스터드의 방화 구역쪽에 제1 받침판을 장착하고, 상기 제2 스터드의 상단을 상기 상측 러너에 수용하여 배치한 후, 당해 제2 스터드의 방화 구역쪽에 제2 받침판을 장착하며,
상기 칸막이벽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방화 구역에서 상기 제1 스터드로부터 상기 제2 스터드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를, 상기 제1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시키며,
상기 윗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2 벽재를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당해 제2 벽재와, 당해 제1 스터드와,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에 의해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고,
상기 아랫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3 벽재를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당해 제3 벽재와, 당해 제2 스터드와, 상기 상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에 의해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한다.
본 개시 내용에 의하면, 대지진 등과 같은 경우에 스터드로부터 러너에 가압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러너가 변형하여 접속 구조가 파손되는 일 없이 방화 구역에 대향하는 벽재가 스터드에 높은 정확도로 장착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있어 방화 구역과, 방화 구역에 인접하는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에 있어 지진시의 수평력이 칸막이벽에 작용했을 때에 파손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에 있어 지진시의 수평력이 칸막이벽에 작용했을 때에 파손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100)는, 방화 구역(10)과, 방화 구역(10)에 인접하여 상판(20)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13) 및 아랫 계단실(15)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30)과 하측의 제2 칸막이벽(40)이 각각 상판(20) 및 상량(25)에 접속됨으로써 형성된다.
접속 구조(100)가 적용되는 방화 구역(10)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계단실, 덕트 샤프트(duct shaft), 배관 샤프트 등이 포함되며, 이들에 인접하는 인접 공간인 윗 계단실(13)과 아랫 계단실(15)에는 엘리베이터 홀, 통로, 거실, 회의실, 관리실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접속 구조(100)가 적용되는 건물은 철골조 건물은 물론이고, RC(Reinforced Concrete)조 건물, 목조 건물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공장이나 창고, 빌딩, 아파트, 일반 주택 등이 적용 대상이다.
철근 콘크리트제의 상판(20)은 현장 시공으로 형성되며, 시공 오차로 인하여 방화 구역쪽 단면(21)에 요철을 갖는다. 이 요철은 도시하는 종방향으로 존재하며, 도 3의 지면 깊이 방향으로도 존재한다.
상판(20)의 상면에서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30)을 구성하며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 러너(31)가,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3 만큼 윗 계단실 쪽으로 세트 백(set back)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판(20)에 대해 비스나 압정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량(25) 상하의 플랜지(25a)에서 웹(25b)보다 방화 구역쪽에는 러너 받침재(37A,37B)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러너 받침재(37A,37B)에 대해,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가 양쪽 개구를 대향시킨 자세로 비스나 태핑(tapping)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의 내부에 상량 내 스터드(36)가 배치된다. 이들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의 방화 구역쪽 플랜지(35a)가,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폭 t3 만큼 아랫 계단실 쪽으로 세트 백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하의 러너 받침재(37A,37B)에 대해 비스나 태핑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의 방화 구역쪽 플랜지(35a)는 상측 러너 받침재(37A)와 하측 러너 받침재(37B) 사이에서 아랫 계단실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량(25)의 아랫쪽 플랜지(25a) 하면에는 러너 받침재(37C)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러너 받침재(37C)에 대해, 하측의 제2 칸막이벽(40)을 구성하며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된 상측 러너(33)가,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아랫 계단실쪽으로 폭 t3 만큼 세트 백된 위치에 배치되며, 비스나 태핑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러너 받침재(37C)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칸막이벽(30)에서는, 윗쪽의 상측 러너(미도시)와 하측 러너(31) 사이에, 벽의 폭방향(도 3에서 지면 깊이 방향)으로 간격(예를 들어, 606mm 이하의 간격으로서 606mm, 455mm 등)을 두고서 립 포함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터드(3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스터드(32)의 실내쪽에는 제2 벽재(6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2 칸막이막(40)에서는, 아랫쪽의 하측 러너(미도시)와 상측 러너(33) 사이에, 벽의 폭방향(도 3에서 지면 깊이 방향)으로 간격(예를 들어, 606mm 이하의 간격으로서 606mm, 455mm 등)을 두고서 립 포함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터드(3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 스터드(34)의 실내쪽에는 제3 벽재(66)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는 립(rib) 포함 건축용 강(鋼)으로 된 바탕재 이외에도 각형 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에 적용되는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는, 일반 구조용 경량 형강(JIS G 3350), 용융 아연 도금 강판(JIS G 3302)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로는, 45~500×45~75×8~32이면서 두께가 0.4mm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고, 각형 강의 형상 칫수로는 45~500×45~350이면서 두께가 0.4mm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에 적용되는 건축용 강으로 된 바탕재에는 일반 구조용 경량 형강(JIS G 3350), 융융 아연 도금 강판(JIS G 3302) 등이 적용되며, 45~500×35~75이면서 두께가 0.4mm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의 방화 구역쪽 단면에서 제1 스터드(32)로부터 제2 스터드(34)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5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벽재(50), 제2 벽재(63), 제3 벽재(66)는 모두, 예를 들어,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가 벽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가지며,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에 대해 비스나 태핑 나사 등의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는 양쪽 다 석고판이나 석고 보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 중 한쪽은 석고판이나 석고 보드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쪽은 규산칼슘판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석고 보드에는, 예를 들어, JIS A 6901에서 규정되는 두께 9.5mm~25mm의 석고 보드가 적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주)요시노 석고 제조의 "타이거 보드(등록상표)· 타입 Z"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면재(51,61,64)와 상측 면재(52,62,65)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접착제로는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제1 벽재(50)에서의 상량(25) 아랫쪽 위치에서, 제1 벽재(50)를 구성하는 하측 면재(51)와 상측 면재(5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폭이 10mm 이하인 단차 간격 부분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단차 간격 부분에는 폴리우레탄계나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실링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상판(20) 상에는 바닥 마감재가 시공되며, 상측 면재(62,65)의 표면에는 몰딩이나 도장 등에 의해 내장 마감이 이루어지고 내장 마감면이 실내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상판(20) 윗쪽에 시공된 바닥 마감재와 내장 마감면에 걸치도록 걸레받이가 시공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벽재(50)와 제2 벽재(32)는 두께가 t2인 제1 받침판(80A)을 사이에 두고 비스나 태핑 나사, 스테이플 등과 같은 고정 부재(7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벽재(50)와 제2 스터드(34)는 마찬가지로 두께 t2의 제2 받침판(80B)을 사이에 두고 고정 부재(7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벽재(50)와 상량 내 스터드(36)는 마찬가지로 두께 t2의 제3 받침판(80C)을 통해 고정 부재(7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은 석고판, 석고 보드, 강화 석고 보드, 불연 적층 석고 보드, 섬유 강화 시멘트판, 글래스 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유리 섬유 펠트(glass fiber felt), 암면 펠트(rock wool felt) 등에 의해 형성되며, 두께는 25mm 이하 정도이고 폭이 40mm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은, 각각 2개 이상의 받침판을 겹치게 하여 전체적으로 두께가 25mm를 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방화 구역(10)에서 제1 벽재(50)가 설치되는 설치 라인(L1)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는 각각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의 두께 t2 만큼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 쪽으로 세트 백(set back)되어 있다. 그 결과,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의 방화 구역쪽 플랜지(35a))는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윗 계단실쪽 및 아랫 계단실쪽으로 각각 폭 t3 만큼 세트 백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시에 제1 칸막이벽(30)이나 제2 칸막이벽(40)에 수평력(H)이 작용하여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등으로부터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등으로 가압력(P)이 작용한 경우에도,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등이 변형하지 않는댜. 따라서,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등의 변형으로 인한 접속 구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이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와 제1 벽재(5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장에서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제 상판(20)이 시공 오차에 의해 방화 구역쪽 단면(21)에 요철을 가지더라도,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에 대해 제1 벽재(50)를 높은 정확도로 장착시킬 수 있다.
접속 구조(100)에서는,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과 제1 벽재(5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암면 등으로 형성되는 내화재(85)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상량(25)의 주위에는 스프레이 시공 등에 의해 내화 피복재(28)가 형성되어 있다. 내화 피복재(28)는, 예를 들어, 펠트 상(狀)으로 형성된 내열 암면과 난연성 부직포의 적층체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화 성능을 갖는 제1 칸막이벽(30)과 제2 칸막이벽(40)을 구비하고, 상량(25)의 주위에 내화 피복재(2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과 제1 벽재(50) 사이의 틈새에 내화재(85)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내화 성능이 우수한 접속 구조(100)가 형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고, 또한 도 3을 다시 참조함으로써,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4, 도 5, 도 3는 순서대로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방법은 상판 시공 공정, 러너 설치 공정, 스터드 배치 공정, 칸막이벽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형강으로 형성되는 상량(25)에 의해 지지되도록 철근 콘크리트제 상판(20)을 현장 시공한다(상판 시공 공정).
이어서, 상판(20)의 윗쪽에, 제1 칸막이벽(30)을 형성하는 제1 스터드(32)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31)를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판(20)을 지지하는 상량(25)의 아랫쪽 플랜지(25a)에, 제2 칸막이벽(40)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34)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33)를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시킨다.
상량(25)의 상하 플랜지(25a) 중 웹(25b)보다 방화 구역쪽에, 러너 받침재(37A,37B)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고, 러너 받침재(37A,37B)에 대해,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를 양쪽 개구를 대향시킨 자세로 하여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들 상하의 상량 내 러너(35) 내부에는 상량 내 스터드(36)를 배치한다.
이 때, 방화 구역(10)에서 제1 벽재(50)가 설치되는 설치 라인(L1)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상량 내 러너(35)를 각각 설치 라인(L1) 상의 기점(Q)으로부터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의 두께 t2 만큼 윗 계단실쪽 및 아랫 계단실쪽으로 세트 백(set back)시킨 위치에 설치한다(이상, 러너 설치 공정). 그리고, 러너 설치 공정에 이어서, 상량(25)의 주위에 내화 피복재(28)를 스프레이 시공 등에 의해 형성하고, 상판(20)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21) 옆쪽에 내화재(85)를 충전시킨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터드(32)의 하단을 하측 러너(31)에 수용되도록 배치한다. 한편, 상측 러너(미도시)에 대해서는, 제1 스터드(32)의 상단이 끼워진다. 그리고, 제1 스터드(32)의 방화 구역쪽에 제1 받침판(80A)을 장착한다.
또한, 제2 스터드(34)의 상단을 상측 러너(33)에 수용되도록 배치한다. 한편, 하측 러너(미도시)에 대해서는, 제2 스터드(34)의 하단이 끼워진다. 그리고, 제2 스터드(34)의 방화 구역쪽에 제2 받침판(80B)을 장착한다.
또한, 상량 내 스터드(36)의 방화 구역쪽 측면에 제3 받침판(80C)을 설치한다. 여기에서, 제1 스터드(32), 제2 스터드(34), 상량 내 스터드(36)에 대해, 제1 받침판(80A), 제2 받침판(80B), 제3 받침판(80C)이 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나 접착제, 태핑 나사 등에 의해 임시 고정된다. 이 때, 점착제의 종류로는 아크릴 수지계, 폴리아미드계, 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등의 점착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두께 3mm 이하, 폭 100mm 이하의 치수를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받침판(80C)이 상량 내 스터드(36)에 미리 임시 고정되어 있어서, 러너 설치 공정에서 상량 내 스터드(36)를 설치했을 때에 제3 받침판(80C)의 설치도 동시에 완료할 수 있다(이상, 스터드 배치 공정).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화 구역(10)에서 제1 스터드(32)로부터 제2 스터드(34)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50)를, 제1 받침판(80A)을 사이에 두고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1 스터드(32)에 고정하고, 제2 받침판(80B)을 사이에 두고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2 스터드(34)에 고정하며, 제3 받침판(80C)을 사이에 두고 고정 부재(70)에 의해 상량 내 스터드(36)에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 부재(70)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제1 스터드(32) 등에 임시 고정되어 있던 제1 받침판(80A) 등이 제1 스터드(32) 등에 대해 강고하게 본 고정된다.
또한, 윗 계단실(13)을 형성하는 제2 벽재(63)를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1 스터드(32)에 고정함으로써, 제2 벽재(63), 제1 스터드(32),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미도시), 제1 벽재(50)에 의해 제1 칸막이벽(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아랫 계단실(15)을 형성하는 제3 벽재(66)를 고정 부재(70)에 의해 제2 스터드(34)에 고정함으로써, 제3 벽재(66), 제2 스터드(34), 상측 러너(33), 하측 러너(미도시), 제1 벽재(50)에 의해 제2 칸막이벽(40)을 형성하여, 접속 구조(100)가 시공된다(이상, 칸막이벽 형성 공정).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방법에 따르면, 하측 러너(31), 상측 러너(33) 등이 상판(20)에 대해, 요철을 갖는 방화 구역쪽 단면(21)으로부터 윗 계단실쪽 및 아랫 계단실쪽으로 소정량 세트 백(set back)시킨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진 등이 일어났을 때에 하측 러너(31) 등이 파손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제1 벽재(50)가 제1 받침판(80A) 등을 사이에 두고 제1 스터드(32) 등에 높은 정확도로 장착된 접속 구조(100)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등에 대해 그 밖의 구성 요소가 조합되는 식으로 한 다른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본 개시 내용이 여기에서 나타내는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본 개시 내용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응용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20년 3월 1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20-04953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방화 구역
13 윗 계단실
15 아랫 계단실
20 상판
25 상량
28 내화 피복재
21 방화 구역쪽 단면
30 제1 칸막이벽
31 하측 러너
32 제1 스터드
33 상측 러너
34 제2 스터드
35 상량 내 러너
36 상량 내 스터드
37A 제1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37B 제2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37C 제3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40 제2 칸막이벽
50 제1 벽재
51 하측 면재
52 상측 면재
60A,63 제2 벽재
60B,66 제3 벽재
61,64 하측 면재
62,65 상측 면재
70 고정 부재
80A 제1 받침판
80B 제2 받침판
80C 제3 받침판
85 내화재
100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접속 구조)
13 윗 계단실
15 아랫 계단실
20 상판
25 상량
28 내화 피복재
21 방화 구역쪽 단면
30 제1 칸막이벽
31 하측 러너
32 제1 스터드
33 상측 러너
34 제2 스터드
35 상량 내 러너
36 상량 내 스터드
37A 제1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37B 제2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37C 제3 러너 받침재(러너 받침재)
40 제2 칸막이벽
50 제1 벽재
51 하측 면재
52 상측 면재
60A,63 제2 벽재
60B,66 제3 벽재
61,64 하측 면재
62,65 상측 면재
70 고정 부재
80A 제1 받침판
80B 제2 받침판
80C 제3 받침판
85 내화재
100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접속 구조)
Claims (10)
- 방화 구역과, 당해 방화 구역에 인접하여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 및 하측의 제2 칸막이벽이 상기 상판에 접속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상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1 스터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화 구역에서 상기 제1 스터드로부터 상기 제2 스터드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가, 제1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되고 또한 제2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윗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2 벽재와, 상기 제1 스터드와,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고,
상기 아랫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3 벽재와, 상기 제2 스터드와, 상기 상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는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상측 러너가 각각 상기 상판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으로부터 윗 계단실쪽 및 아랫 계단실쪽으로 상기 제1 받침판 및 상기 제2 받침판의 두께만큼 세트 백되어 있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러너는 상기 상판에 대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러너는 러너 받침재에 대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당해 러너 받침재가 상기 상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상량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량에 상기 러너 받침재가 고정되며, 당해 러너 받침재에 상기 상측 러너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과 상기 제1 벽재 사이에 내화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재, 상기 제2 벽재 및 상기 제3 벽재 모두가 하측 면재와 상측 면재가 벽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건물.
- 방화 구역과, 당해 방화 구역에 인접하여 상판의 상하에 있는 윗 계단실 및 아랫 계단실을 구획하는 상측의 제1 칸막이벽 및 하측의 제2 칸막이벽이 상기 상판에 접속되어 있는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러너 설치 공정과, 스터드 배치 공정과, 칸막이벽 형성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너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상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1 스터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하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의 상단이 수용되는 상측 러너를 설치하며,
상기 스터드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스터드의 하단을 상기 하측 러너에 수용시켜 배치한 후에, 당해 제1 스터드의 방화 구역쪽에 제1 받침판을 장착하고, 상기 제2 스터드의 상단을 상기 상측 러너에 수용시켜 배치한 후에, 당해 제2 스터드의 방화 구역쪽에 제2 받침판을 장착하며,
상기 칸막이벽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방화 구역에서 상기 제1 스터드로부터 상기 제2 스터드에 걸쳐 연장 구비되는 제1 벽재를, 상기 제1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시키며,
상기 윗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2 벽재를 상기 제1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당해 제2 벽재와, 당해 제1 스터드와,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에 의해 상기 제1 칸막이벽을 형성하고,
상기 아랫 계단실을 형성하는 제3 벽재를 상기 제2 스터드에 고정시키고, 당해 제3 벽재와, 당해 제2 스터드와, 상기 상측 러너와, 상기 제1 벽재에 의해 상기 제2 칸막이벽을 형성하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하측 러너와 상기 상측 러너를 각각 상기 상판에서의 방화 구역쪽 단면으로부터 윗 계단실쪽 및 아랫 계단실쪽으로 소정량 세트 백시켜 상기 상판에 설치하고,
상기 소정량은 상기 칸막이벽 형성 공정에서 설치되는 상기 제1 벽재의 설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제1 받침판 및 상기 제2 받침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량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상판을 시공하는 상판 시공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러너 설치 공정에서는 상기 상량에 고정되어 있는 러너 받침재에 대해 상기 상측 러너를 고정시키는 것인,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49538 | 2020-03-19 | ||
JPJP-P-2020-049538 | 2020-03-19 | ||
PCT/JP2020/037445 WO2021186770A1 (ja) | 2020-03-19 | 2020-10-01 | 間仕切壁と床版の接続構造とその施工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7122A true KR20220137122A (ko) | 2022-10-11 |
Family
ID=7777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2025A KR20220137122A (ko) | 2020-03-19 | 2020-10-01 |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2116803B2 (ko) |
EP (1) | EP4098823A4 (ko) |
JP (1) | JP7465577B2 (ko) |
KR (1) | KR20220137122A (ko) |
CN (1) | CN114981508B (ko) |
AU (1) | AU2020436409B2 (ko) |
BR (1) | BR112022013661A2 (ko) |
CA (1) | CA3164279A1 (ko) |
MX (1) | MX2022011211A (ko) |
TW (1) | TWI837438B (ko) |
WO (1) | WO20211867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23660A1 (en) * | 2022-04-11 | 2023-10-12 |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 Building with noncombustible exterior structural wall |
TWI823712B (zh) * | 2022-12-12 | 2023-11-21 | 楊豐溢 | 鋼結構建築外殼之構造 |
US20240218662A1 (en) * | 2022-12-29 | 2024-07-04 | Feng-Yi Yang | Steel-structure building envelope |
TWI844457B (zh) * | 2023-08-25 | 2024-06-01 | 楊豐溢 | 可架設鷹架之鋼結構建築外殼及其鷹架架設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9691A (ja) | 2001-04-11 | 2002-10-23 | Yoshino Gypsum Co Ltd |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材 |
Family Cites Families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346634A (fr) * | 1963-01-31 | 1963-12-20 | Knauf Geb | Cloison démontable pour bâtiments |
US3636672A (en) * | 1969-12-12 | 1972-01-25 | Steelcraft Mfg Co | Snap-in jamb anchor |
US4869037A (en) * | 1985-10-25 | 1989-09-26 | Murphy John J | Wall construction |
US5027572A (en) * | 1989-08-17 | 1991-07-02 | W. R. Grace & Co.-Conn. | Moisture and vapor barrier in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s |
US5113631A (en) * | 1990-03-15 | 1992-05-19 | Digirolamo Edward R | Structural system for supporting a building utilizing light weight steel framing for walls and hollow core concrete slabs for floors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5761864A (en) * | 1994-08-31 | 1998-06-09 | Nonoshita; Tadamichi | Thermally insulated building and a building panel therefor |
DE19745840A1 (de) * | 1997-10-16 | 1999-04-22 | Goesele Karl | Baugruppe, welche zwei flächige Gebäudeelemente umfaßt, sowie Gebäudeelemente zur Verwendung in einer solchen Baugruppe |
CA2226595C (en) * | 1998-01-12 | 2003-12-02 | Emco Limited | Composite vapour barrier panel |
JP2000320050A (ja) * | 1999-03-05 | 2000-11-21 | Shimizu Corp | 間仕切壁構造 |
JP2005273328A (ja) * | 2004-03-25 | 2005-10-06 | Taisei Corp | 建物における重要室の避雷システム |
CN100472016C (zh) * | 2004-04-28 | 2009-03-25 | 吉野石膏株式会社 | 板式建材、板式建材的制造方法以及板式建材的施工方法 |
JP2007218009A (ja) * | 2006-02-20 | 2007-08-30 | Nippon Kenko Kk | 内装材の取付構造 |
JP4658006B2 (ja) * | 2006-08-30 | 2011-03-23 | 株式会社奥村組 |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仮設制震パネル |
US7832174B2 (en) * | 2007-10-15 | 2010-11-16 | Way Alven J | Multi-storey insulated concrete form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
JP2010071021A (ja) * | 2008-09-22 | 2010-04-02 | Takenaka Komuten Co Ltd | 軽量鉄骨間仕切り壁とその構築方法 |
WO2011155992A1 (en) * | 2010-06-08 | 2011-12-15 | Collins Arlan E | Lift-slab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tory buildings using pre-manufactured structures |
US9027307B2 (en) * | 2010-06-08 | 2015-05-12 | Innovative Building Technologies, Llc |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s using premanufactured structures |
US8950132B2 (en) * | 2010-06-08 | 2015-02-10 | Innovative Building Technologies, Llc | Premanufactured structures for constructing buildings |
JP5613466B2 (ja) * | 2010-06-09 | 2014-10-22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コンクリート壁取付構造 |
US8839582B2 (en) * | 2011-05-31 | 2014-09-23 | Charbel Tannious Aboukhalil | Wainscot wall panel system |
US8966845B1 (en) * | 2014-03-28 | 2015-03-03 | Romeo Ilarian Ciuperca | Insulated reinforced foam sheathing, reinforced vapor permeable air barrier foam pane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
JP6368551B2 (ja) * | 2014-06-04 | 2018-08-01 | 大成建設株式会社 | 既存建物の免震化方法 |
WO2016096162A1 (en) * | 2014-12-19 | 2016-06-23 | Siniat International Sas | Seismic protective structure for board partitions |
CN106149922A (zh) * | 2015-04-10 | 2016-11-23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拆装隐形隔墙系统及其拆装方法 |
CN205088820U (zh) * | 2015-09-28 | 2016-03-16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轻钢龙骨石膏板隔墙底部的支设结构 |
CN205348394U (zh) * | 2015-11-18 | 2016-06-29 | 文登蓝岛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整体装配式墙体及其钢梁包覆节点 |
CN205677114U (zh) * | 2016-05-19 | 2016-11-09 | 山东大学 | 用于装配式内框轻质隔墙的安装节点 |
CN105888107A (zh) * | 2016-05-23 | 2016-08-24 | 青岛海川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轻质隔墙竖向安装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
US10472820B2 (en) * | 2017-05-11 | 2019-11-12 | Timothy Dennis Lutz | Exterior insulated finish wall assembly |
CA2980203A1 (en) * | 2017-09-26 | 2019-03-26 | Mod Panel Manufacturing Ltd. | Pre-fabricated deflection absorbent modular wall system |
CN107489212B (zh) * | 2017-09-27 | 2023-01-03 | 杭州铁木辛柯建筑结构设计事务所有限公司 | 免承重力防剪切屈曲钢板剪力墙 |
CN207484757U (zh) * | 2017-11-06 | 2018-06-12 | 四川福克斯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多厚度可调节全钢防火隔断墙结构 |
TWI791780B (zh) * | 2018-03-04 | 2023-02-11 | 日商吉野石膏股份有限公司 | 隔間壁構造及其施工方法 |
US11105092B2 (en) * | 2018-06-15 | 2021-08-31 | Specified Technologies Inc. | Fire blocking gasket for window wall conditions |
US10995497B1 (en) * | 2018-06-30 | 2021-05-04 | James P. Horne | Furring and flashing strip system |
JP7192363B2 (ja) | 2018-09-28 | 2022-12-20 | マツダ株式会社 | レーザ溶接方法及びレーザ溶接装置 |
DK3839169T3 (da) * | 2018-10-05 | 2023-10-02 | Yoshino Gypsum Co | Byggeoverflademateriale med magnetisk lag |
CN109235634A (zh) * | 2018-10-15 | 2019-01-18 | 沈阳建筑大学 | 薄壁工字钢轻木组合结构承重保温墙板-楼板节点 |
CN209339376U (zh) * | 2018-12-10 | 2019-09-03 | 信息产业电子第十一设计研究院科技工程股份有限公司 | 砌体填充墙与梁的柔性连接结构 |
CN219411402U (zh) * | 2023-03-10 | 2023-07-25 |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双层龙骨墙体及用于该墙体的隔声减振垫 |
-
2020
- 2020-10-01 CA CA3164279A patent/CA3164279A1/en active Pending
- 2020-10-01 US US17/759,650 patent/US12116803B2/en active Active
- 2020-10-01 KR KR1020227032025A patent/KR2022013712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10-01 WO PCT/JP2020/037445 patent/WO20211867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0-01 EP EP20925988.6A patent/EP4098823A4/en active Pending
- 2020-10-01 BR BR112022013661A patent/BR112022013661A2/pt unknown
- 2020-10-01 JP JP2022508038A patent/JP7465577B2/ja active Active
- 2020-10-01 AU AU2020436409A patent/AU2020436409B2/en active Active
- 2020-10-01 MX MX2022011211A patent/MX2022011211A/es unknown
- 2020-10-01 CN CN202080092325.0A patent/CN114981508B/zh active Active
- 2020-11-09 TW TW109139040A patent/TWI837438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9691A (ja) | 2001-04-11 | 2002-10-23 | Yoshino Gypsum Co Ltd |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86770A1 (ja) | 2021-09-23 |
BR112022013661A2 (pt) | 2022-09-27 |
TWI837438B (zh) | 2024-04-01 |
EP4098823A4 (en) | 2024-01-31 |
JPWO2021186770A1 (ko) | 2021-09-23 |
EP4098823A1 (en) | 2022-12-07 |
CN114981508B (zh) | 2024-03-08 |
MX2022011211A (es) | 2022-10-07 |
CA3164279A1 (en) | 2021-09-23 |
CN114981508A (zh) | 2022-08-30 |
US12116803B2 (en) | 2024-10-15 |
AU2020436409B2 (en) | 2023-11-23 |
US20230085256A1 (en) | 2023-03-16 |
TW202136621A (zh) | 2021-10-01 |
AU2020436409A1 (en) | 2022-08-04 |
JP7465577B2 (ja) | 2024-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37122A (ko) | 칸막이벽과 상판의 접속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US8769898B2 (en) | Structural infill wall panel module | |
US8322096B2 (en) | Wall system for a building | |
KR102039324B1 (ko) |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CN101946049A (zh) | 半帘式幕墙 | |
EP4079984B1 (en) | Panel and self-supporting modular facade cladding system including said panel | |
JP2003171988A (ja) | 耐火構造の耐力壁としての外壁および床 | |
RU2793696C1 (ru) |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ежду перегородками и плитой пере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
JP7313870B2 (ja) | 耐火被覆構造および耐火被覆工法 | |
US3707818A (en) | Shaft cavity wall and stud | |
JP2002369891A (ja) | 防火区画壁 | |
JP7547311B2 (ja) | 階段室の施工方法及び階段室構造 | |
JP7405548B2 (ja) | 壁構造 | |
WO2018146017A1 (en) | Facade for a building, process for producing a facade and construction set for a facade of a building | |
EP1953300B1 (en) | Arrangement for joining wood-based construction elements | |
JPH0913497A (ja) | パネルを用いた建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WO2023140777A1 (en) | A collaborating joist and suspended ceil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ystem | |
Loebus et al. | The multifunctional TES-façade joint | |
JPH06294174A (ja) | 小屋裏界壁構造 | |
JP2024065922A (ja) | 耐火気密構造及び耐火建築物 | |
JP2019173283A (ja) | 合成耐火目地構造 | |
TWM585810U (zh) | 樓承板 | |
PL242452B1 (pl) | Warstwowa płyta konstrukcyjna | |
JP2019152046A (ja) | 合成耐火ジョイナー | |
ITMI981604A1 (it) | Sala operatoria prefabbricata a struttura interna monolitic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