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604A -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604A
KR20220136604A KR1020210042450A KR20210042450A KR20220136604A KR 20220136604 A KR20220136604 A KR 20220136604A KR 1020210042450 A KR1020210042450 A KR 1020210042450A KR 20210042450 A KR20210042450 A KR 20210042450A KR 20220136604 A KR20220136604 A KR 2022013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eam
chazugi
atrophy
muscle atro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187B1 (ko
Inventor
김철영
김영미
이윤정
김지훈
송재숙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87B1/ko
Priority to PCT/KR2022/004284 priority patent/WO2022211396A1/ko
Publication of KR2022013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또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은 근섬유 위축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고, 근육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활성을 높여 근섬유 굵기 감소를 예방하며, 천연물 유래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안전성이 높으므로, 근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atrophy comprising extract of Salvia plebeia R. Br. or compound derived from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또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신체에는 약 460개의 근육이 있으며, 근육은 우리 몸의 자세 및 균형을 유지하거나 이동 등 신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근육은 체중의 45-5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장기이며 에너지 대사 및 열 생성에서도 중요한 역할은 담당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이들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면, 신체활동을 위한 근력이 약화되는 것을 기본으로, 근골격계 퇴화의 악순환 고리가 시작된다. 보행 속도의 감소 및 악력의 약화 등이 근육량 감소의 주된 증상이자 지표가 되며, 이는 추가적으로 낙상, 골절, 관절의 손상, 대사장애 및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근육 소실(Decreased muscle mass)은 신체의 노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고, 근육의 미사용이나 운동량 부족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거나 다른 병적 상태(악액질, 패혈증, 기아, 항암치료, 스트레스 호르몬에의 과도한 노출)가 원인이 되어 2차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제1형 및 제2형 근섬유(muscle fibers)의 반-동화(Anti-anabolic)작용 및 이화(Catabolic)작용으로 인한 근육세포 위축으로 일괄할 수 있다.
따라서, 노화성, 미사용성, 질환성으로 야기될 수 있는 근감소에 대한 한 가지 치료법으로서 근육섬유 단백질들의 감소를 유도하는 상태에서도 근육량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생물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 몸의 스트레스호르몬(Cortisol, Glucocorticoids 등)은 근섬유의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야기하여 반-동화작용 및 이화작용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게 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는 반-동화 작용(Anti-anabolic action)으로서 PI3K/Akt/mTOR Pathway를 저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downstream effectors인 4E-BP1과 p70S6K 등의 활성을 저해시켜 eIF4G(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 G) 및 eIF4E(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 E)의 작동을 막는다. 이는 곧 단백질 합성을 위한 mRNA 번역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써 근섬유의 합성 저해 및 단백질 분해에 의한 근섬유 위축으로 나타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는 근육의 합성 저해뿐만 아니라 단백질을 분해시켜 근육의 위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3K/Akt에 의한 FOXO(Forkhead box O 전사인자) 활성화 및 GSK3(Glycogen synthase kinase 3) 불활성화’로 이어지는 기전에 따라 근위축(Muscle atrophy)을 유도하는 유전자가 Atrogene(Atrogin-1/MAFbx, MuRF-1 등)을 발현하는데, 상기 유전자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Ubiquitin-Proteasome system)으로 대표되는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는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 잎의 모양이 쭈글쭈글 하여 곰보배추, 뱀의 비늘처럼 생겼다고 뱀배추 등으로 불린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향기로운 가지가 달린 풀이라 하여 여지초(枝草)라고 기록되어 있다. 잎은 길이 3~8 cm로 뿌리에서 뭉쳐나고 땅 위로 퍼지며, 2개씩 마주 나며,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앞 뒷면에 간혹 잔털이 있어 잎자루가 길다. 어릴 때에는 쭈글쭈글하고 납작하게 땅에 붙어서 월동하며, 자라면서 잎이 덜 쭈글거리며 완만하게 네모지고 곧게 자란다. 풀 전체를 약용으로 하며 량혈(凉血), 이수(利水), 해독(解毒),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어, 해혈(咳血), 토혈(吐血), 혈뇨(血尿), 인후종통(咽喉腫痛), 치창(痔瘡)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배암차즈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4567호에는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알러지성 천식 억제 활성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2120호에는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통풍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나,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의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알려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골격근(skeletal muscle) 감소를 완화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성분에 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배암차즈기의 추출물 및 이의 유래된 화합물인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또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79456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손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위축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위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섬유다발의 감소, 근육의 염증세포 침윤 및 국소섬유화에 대한 예방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위축은 근감소증(Sarcopenia), 불용성 근위축(Disuse atrophy), 기계적 자극 부재에 의한 근위축, 신경 지배 상실성 근위축(Denervational atrophy), 약물유인성 근 위축(Drug induced atrophy), 영양결핍성 근위축(Malnutritional atrophy), 및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MuRF-1 및 Atrogin-1/MAFb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p70S6K의 인산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
또한,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손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 손실은 근관세포의 직경 감소에 의한 질적 손실을 포함하는 의미이고, 근관세포의 수 감소에 의한 양적 손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MuRF-1 및 Atrogin-1/MAFb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p70S6K의 인산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건조된 배암차즈기를 분쇄하여 배암차즈기 분말을 제조하는 배암차즈기 분쇄단계; 및
(b) 상기 분쇄된 배암차즈기 분말을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b)단계 이후,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근위축은 근감소증(Sarcopenia), 불용성 근위축(Disuse atrophy), 기계적 자극 부재에 의한 근위축, 신경 지배 상실성 근위축(Denervational atrophy), 약물유인성 근 위축(Drug induced atrophy), 영양결핍성 근위축(Malnutritional atrophy), 및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또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은 근섬유 위축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고, 근육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활성을 높여 근섬유 굵기 감소를 예방하며, 천연물 유래로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안전성이 높으므로, 근위축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및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과 히스피둘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조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처리하여 근위축을 유도한 음성 대조군,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군, 및 덱사메타손과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군에서 근관세포 C2C12 세포의 굵기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조군, 음성 대조군,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군, 덱사메타손과 배암차즈기 처리군의 MuRF-1와 Atrogin-1/MAFbx의 mRNA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근관세포 C2C12 세포에서 덱사메타손 처리 후,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 시 p70S6K 인산화 정도를 western blot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조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처리하여 근위축을 유도한 음성 대조군, 덱사메타손과 로즈마린산 처리군, 덱사메타손과 히스피둘린 처리군에서 근관세포 C2C12 세포의 굵기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된 화합물인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및/또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근비대 관련 단백질 발현 증가 및 골격근 감소 완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관세포 C2C12에서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을 유도한 후,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근관(myotube)의 직경이 증가하고,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인산화 및/또는 발현 정도가 회복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로서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잎, 꽃봉오리,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물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이 경우 물과 알코올은 1:5 내지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배합비에 따라 방기의 근위축 개선효과가 있는 유효물질 추출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근위축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열수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여과, 농축 또는 건조 과정은 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분무 건조법,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시 식음이 가능한 용도의 산(acid)를 용매에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산(Ace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아미노산(Amino acid), 및 젖산(Lact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용매에 첨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a) 건조된 배암차즈기를 분쇄하여 배암차즈기 분말을 제조하는 배암차즈기 분쇄단계; (b) 상기 분쇄된 배암차즈기 분말을 50% 에탄올의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위축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근위축”은 근육이 위축되거나 근육 섬유의 수 또는 단면적의 감소로 근육량이 감소한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근위축은 근육 단백질의 감소에 의한 생리학적, 조직화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를 동반하며 골격근의 고유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과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 및/또는 히스피둘린은 근섬유의 활성을 상승시키고 근섬유를 보호하는 기능으로부터 상기 근위축으로부터 야기되는 골격근 고유 기능을 유지, 보존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근위축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근위축은 근감소증(Sarcopenia), 불용성 근위축(Disuse atrophy), 기계적 자극 부재에 의한 근위축, 신경 지배 상실성 근위축(Denervational atrophy), 약물유인성 근 위축(Drug induced atrophy), 영양결핍성 근위축(Malnutritional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등을 포함한다.
상기 불용성 근위축은 노화·질병 등에 의한 활동 제약, 오랜 침상생활, 부목(cast) 또는 석고고정(Gips) 시행 등에 의해 근육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며, 말초신경 손상, 암, 패혈증 등의 다양한 임상 질환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침상안정, 및 노화과정 등이 동반된다. 상기 기계적 자극 부재 및 신경 지배 상실성 근위축은 미토콘드리아의 양적 감소와 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증가시켜, 산화적 손상에 의한 근육세포의 세포자살(apoptosis)에 의한 근위축을 유발한다. 상기 근이영양증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횡문근 형질막 구성성분인 디스트로핀-당단백질 복합체 형성부재로 발생하는 근육 위축과 근력 약화를 주 증상으로 한다.
또한, 코티솔(cortisol)은 다양한 급성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체내에서 분비될 수 있는 물질로,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이의 기전에 따라 신체의 근육 위축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합성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이상 반응으로서 스테로이드성 근병증(steroid induced atrophy), 근육실질의 손상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켜 간접적으로 근손실을 예방하는 것을 넘어 근섬유의 굵기 내지 근량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분해에 의한 근육 위축 유도를 억제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상술한 근위축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근위축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근위축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실현하는데 필요하거나 또는 충분한 양으로 해당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양의 결정은 대상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양으로서, 다른 독성을 야기하지 않는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되는 질병 또는 병태, 투여되는 조성물의 형태, 피험체의 크기, 또는 질병 또는 병태의 심각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기술자라면 과도한 실험을 동반하지 않고 개별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따라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 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생쥐, 인간 등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들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및 웨이퍼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와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착색제, 보존제, 감미제, 향미제, 안정화제, 희석제, 방부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으로 또는 정맥 내, 피하, 비강 내 또는 복강 내 등과 같은 비경구적으로 사람과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설하 적용도 포함한다. 비경구적 투여는 피하주사, 근육 내 주사 및 정맥 주사와 같은 주사법 및 점적법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 및/또는 히스피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및/또는 근감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은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배암차즈기 지상부를 구매하여 분쇄기를 통해 평균 입경 기준으로 0.30 내지 0.50 mm로 분쇄하고, 에탄올과 물의 50:50 혼합용매로 1 내지 4 시간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을 Rotary vaccum evaporator를 통해 농축한 후 Heto Power Dry LL3000을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500 g의 배암차즈기, 279 g 원물로부터 14.9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배암차즈기의 추출물의 구성성분 확인을 위하여 배암차즈기 추출물 및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표준품과 히스피둘린(hispidulin) 표준품을 HPLC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HPLC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Column Shiseido Capcell Pak UG120 (4.6 x 250 mm, 5 μm)
Solvent condition acetonitrile with 0.1% formic acid (A), water with 0.1% formic acid (B), 0 min, 95% B; 10 min, 80% B; 55 min, 60% B.
Flow rate 1 ml/min
UV 254 nm
상기 HPLC 결과,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로즈마린산과 히스피둘린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In vitro 에서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근위축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 확인
2-1. C2C12 세포의 배양 및 분화 유도
본 실험에서 사용한 C2C12 mouse myoblast cell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제공받았고,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 U/mL penicillin, 100 μg/mL streptomycin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을 성장배지로 사용하여 5% CO2, 37°C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C2C12 myoblast를 12 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하여 세포밀도가 80~85% 되었을 때, 분화배지(2% horse serum, 100 U/mL penicillin, 100 μg/mL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를 사용하여 이틀마다 새 배지로 교체해주며 6일동안 분화하였다.
2-2. 덱사메타손으로 근위축 유도 및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처리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은 근육의 합성 저해 및 단백질 분해를 야기하여 근육의 위축을 유도한다.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상기 실시예 2-1에서 분화를 유도한 C2C12 세포에 상기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을 유도하고 근위축이 유도된 세포에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대조군(control)은 분화가 완료된 C2C12 근관세포에 1% Penicillin만 첨가된 분화배지를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2)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서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1% Penicillin이 첨가된 분화배지를 1 μM의 Dexamethasone 조성이 갖춰지도록 제조 후, 분화가 완료된 C2C12에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3)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군은 상기 (1)의 대조군과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배암차즈기 추출물 30 μg/mL의 조성으로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4) 덱사메타손 및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군은 상기 (2)의 음성 대조군과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배암차즈기 추출물 30 μg/mL의 조성으로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2-3. C2C12 myotube diameter의 측정
상기 실시예 2-2에서 48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한 각 대조군과 실험군들을 Automated cell imaging system인 JuLi™Stage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Cell processing program인 ImageJ를 이용하여 촬영을 마친 각 세포들의 굵기를 세포군당 50개씩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 데이터 정리하였다(표 2).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 Dex 처리군 배암차즈기 Dex +배암차즈기
C2C12 근관세포의 상대 굵기
(% of control)
100% 71.3%a 103.9% 98.8b
(Dex : 덱사메타손 (1 μM), 배암차즈기 : 배암차즈기 추출물(30 μg/ml))
a: 대조군 대비 유의미 (p< 0.05), b Dex 처리군(음성 대조군) 대비 유의미 (p<0.01)
상기 실험 결과, 덱사메타손 처리에 의해 C2C12 myotube의 굵기가 감소하며,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에 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보다 구체적으로, (1) 기본 분화배지 투여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덱사메타손 1 μM 투여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28.7% 감소하였다(p<0.05). (2) 기본 분화배지 투여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배암차즈기 30 μg/ml 투여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3.9%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범위였다. (3) 기본 분화배지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추가적으로 배암차즈기 30 μg/ml를 투여한 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38.6% 증가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p<0.01)한 수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덱사메타손으로 유도된 근위축 모델에서 유의미한(38.6%) 회복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2-4. 근위축 관련 mRNA 발현량 및 단백질 인산화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2-2에서 48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한 각 대조군과 실험군들을 근위축 유발 경로에 작용하는 atrogin-1/MAFbx 및 MuRF-1의 mRNA의 발현량을 Real time-PCR로 측정하고,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근합성 경로에 작용하는 p70S6K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Atrogin-1/MAFbx과 MuRF-1의 mRNA의 발현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덱사메타손 처리에 의하여 C2C12 myotubes에서 Atrogin-1/MAFbx과 MuRF-1의 mRNA의 발현량이 증가하며, 배암차즈기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각각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3).
대조군 Dex 처리군 배암차즈기 Dex +배암차즈기
Atrogin-1 mRNA 1 3.37 0.53 1.87
MuRF-1 mRNA 1 2.28 0.86 0.73
보다 구체적으로, (1) 기본 분화배지 투여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덱사메타손 1 μM 투여군에서 atrogin-1/MAFbx과 MuRF-1의 mRNA 발현량이 각각 3.37배, 2.28배 증가하였다. (2) 대조군에 비하여 배암차즈기 30 μg/ml 투여군에서 atrogin-1/MAF의 mRNA 발현량은 0.53배, MuRF-1의 mRNA 발현량은 0.86배 감소하였다. (3) 대조군 대비 덱사메타손 1 μM과 배암차즈기 30 μg/ml를 투여한 군에서 atrogin-1/MAFbx의 mRNA 발현량은 1.87배 였으며, MuRF-1의 mRNA 발현량은 0.73배로 나타났으며, (4) 기본 분화배지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덱사메타손 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atrogin-1/MAFbx mRNA의 발현량은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44.5% 감소하였으며, MuRF-1의 mRNA 발현량은 68.0%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덱사메타손에 의한 근세포의 위축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kt/mTOR pathway의 하위 기전인 p70S6K의 인산화 정도를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한 결과,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서 대조군 대비 p70S6K 단백질의 인산화가 61% 감소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상기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인산화 정도를 58.3% 회복함으로써 단백질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3. In vitro 에서 배암차즈기 유래 화합물의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 확인
3-1. 덱사메타손으로 근위축 유도 및 배암차즈기 유래 화합물의 처리
배암차즈기 유래 화합물의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상기 실시예 2-1에서 분화를 유도한 C2C12 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을 유도하고 근위축이 유도된 세포에 배암차즈기 추출물에서 유래된 화합물인 로즈마린산 또는 히스피둘린을 처리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대조군(control)은 분화가 완료된 C2C12 근관세포에 1% Penicillin만 첨가된 분화배지를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2)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서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1% Penicillin이 첨가된 분화배지를 1 μM의 Dexamethasone 조성이 갖춰지도록 제조 후, 분화가 완료된 C2C12에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3) 덱스메타손 및 로즈마린산 처리군은 상기 (2)의 음성 대조군과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로즈마린산 30 μM의 조성으로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4) 덱스메타손 및 히스피둘린 처리군은 상기 (2)의 음성 대조군과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로즈마린산 30 μM의 조성으로 48시간동안 처리하여 제작하였다.
3-2. C2C12 myotube diameter의 측정
상기 실시예 3-1에서 48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한 각 대조군과 실험군들을 Automated cell imaging system인 JuLi™Stage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Cell processing program인 ImageJ를 이용하여 촬영을 마친 각 세포들의 굵기를 세포군당 50개씩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해 데이터 정리하였다(표 4).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 Dex 처리군 Dex +로즈마린산 Dex +히스피둘린
C2C12 근관세포의 상대 굵기
(% of control)
100% 77.4% 100.6% 104.3%
(Dex : 덱사메타손 (1 μM), 로즈마린산, 히스피둘린 (30 μM))
상기 실험 결과, 덱사메타손 처리에 의해 C2C12 myotube의 굵기가 감소하며, 배암차즈기 유래 화합물인 로즈마린산 또는 히스피둘린 처리에 의해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5).
보다 구체적으로, (1) 기본 분화배지 투여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덱사메타손 1 μM 투여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22.6% 감소하였다. (2) 기본 분화배지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추가적으로 로즈마린산 30 μM을 투여한 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23.2% 증가하였다. (3) 기본 분화배지에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추가적으로 히스피둘린 30 μM을 투여한 군에서 C2C12 근관세포의 굵기가 26.9%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암차즈기 추출물에서 유래한 로즈마린산과 히스피둘린 처리 시 각각 덱사메타손으로 유도된 근위축 모델에서 근관세포의 굵기가 증가하는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축은 근감소증(Sarcopenia), 불용성 근위축(Disuse atrophy), 기계적 자극 부재에 의한 근위축, 신경 지배 상실성 근위축(Denervational atrophy), 약물유인성 근 위축(Drug induced atrophy), 영양결핍성 근위축(Malnutritional atrophy), 및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근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MuRF-1 및 Atrogin-1/MAFb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p70S6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6
    .
  9.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손실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 손실은 근관세포의 직경 감소에 의한 질적 손실 및 근관세포의 수 감소에 의한 양적 손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MuRF-1 및 Atrogin-1/MAFb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관세포에서 p70S6K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히스피둘린(hispidu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8
    .
  1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 건조된 배암차즈기를 분쇄하여 배암차즈기 분말을 제조하는 배암차즈기 분쇄단계; 및
    (b) 상기 분쇄된 배암차즈기 분말을 물(H2O),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하는 단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20210042450A 2021-04-01 2021-04-01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0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50A KR102605187B1 (ko) 2021-04-01 2021-04-01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2/004284 WO2022211396A1 (ko) 2021-04-01 2022-03-28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50A KR102605187B1 (ko) 2021-04-01 2021-04-01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04A true KR20220136604A (ko) 2022-10-11
KR102605187B1 KR102605187B1 (ko) 2023-11-23

Family

ID=8345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450A KR102605187B1 (ko) 2021-04-01 2021-04-01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5187B1 (ko)
WO (1) WO20222113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67B1 (ko) 2015-06-11 2017-1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곰보배추 특정 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6282A (ja) * 2008-04-21 2009-11-05 Nagase & Co Ltd 抗als剤
FR2948567B1 (fr) * 2009-07-31 2017-11-03 Inst De Rech Pour Le Dev Utilisation de l'acide rosmarinique et de ses derives pour traiter la ciguatera
KR101487935B1 (ko) * 2012-05-21 2015-02-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곰보배추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tat3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4749A (ko) * 2019-02-27 2020-09-04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살비아(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67B1 (ko) 2015-06-11 2017-1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곰보배추 특정 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ang et al., 'Salvia plebeia R. Br. : an overview about its traditional uses, chemical constituents, pharmacology and modern applications',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121 (2020) 1095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187B1 (ko) 2023-11-23
WO2022211396A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EP2596798B1 (en) Plectranthus amboinicus fraction having anti-arthritis activity
US11147847B2 (en) Extracts from plants of the Moringaceae family and methods of making
KR101986229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133909A (ko)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2708B1 (ko)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KR102171518B1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93540B1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05187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8214B1 (ko) 증포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
US2021034645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KR102288366B1 (ko) 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2190001B1 (ko)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1158A (ko)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064908B2 (en)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KR101824329B1 (ko) 목단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2954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과 인삼이 혼합된 생약 혼합 추출물, 및 내독소를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