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339A -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339A
KR20220136339A KR1020227012651A KR20227012651A KR20220136339A KR 20220136339 A KR20220136339 A KR 20220136339A KR 1020227012651 A KR1020227012651 A KR 1020227012651A KR 20227012651 A KR20227012651 A KR 20227012651A KR 20220136339 A KR20220136339 A KR 2022013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assage
liquid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리우셩 루오
빈 리우
샹양 마
춘라이 난
치엔 천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875287.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52479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187642.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85710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187634.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842073B/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oker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4), 열교환 박스(10), 액체 가열기구(20), 액체 가열기구(20)의 제어 방법, 액체 가열기구(20)의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90)에 있어서,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32)와 열교환 장치(4);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 액체 처리 장치는 낮은 온도의 물 등 액체를 배출할 때 먼저 가열 어셈블리를 통해 물 등 액체를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여 고온 살균을 실현한 다음, 다시 열교환 장치(4)를 통해 높은 온도까지 가열된 물 등 액체를 열교환시켜 사용자가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배출하여 지정된 온도의 물 등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며, 낮은 온도의 물 등 액체를 배출할 때, 사전에 이에 대해 고온 살균 또는 소독을 진행하여 액체 중의 세균 및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배출한 저온 액체가 깨끗하고 위생적이도록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09월 17일에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910875287.5"이고 발명의 명칭이 "액체 처리 장치 및 열교환 장치"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과, 2019년 11월 28일에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각각 "201911187642.6", "201911187634.1"이고 발명의 명칭이 각각 "열교환 박스 및 액체 가열기구", "액체 가열기구 및 이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와 판독 가능 저장매체"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출원은 가전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열교환 박스, 액체 가열기구, 액체 가열기구,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즉열 주전자 타입의 액체 처리 장치는 다양한 온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지만 기존의 즉열 주전자는 비보일링 등급일 때 물을 일정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직접 물을 배출하고, 이러한 경우, 물이 완전히 끓지 않아 물 속의 세균과 미생물이 쉽게 죽지 않게 되므로 즉열 주전자가 비보일링 등급에서 제공하는 온수의 청결과 위생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어떻게 온수등급에 제공되는 온수를 확보할 수 있는 깨끗하고 위생적인 액체 처리 장치를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시점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본 출원은 상기 기술적 과제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첫 번째 양태의 목적은 액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두 번째 양태의 목적은,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세 번째 양태의 목적은, 열교환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네 번째 양태의 목적은, 세 번째 양태의 열교환 박스를 구비한 액체 가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섯 번째 양태의 목적은, 액체 가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여섯 번째 양태의 목적은,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곱 번째 양태의 목적은,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여덟 번째 양태의 목적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첫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 액체 유입 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와 연통되어 내부에 진입한 액체를 열교환시킨 후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할 수 있는 열교환 장치; 상기 액체 유입 통로 및/또는 열교환 장치에 대응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내부에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 가열 어셈블리, 액체 유출 통로 및 열교환 장치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액체 유입 통로는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 등 외부 수원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액체 유입 통로는 또한 내장되거나 외장된 액체 공급 탱크와 연결되어 액체 공급 탱크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액체 유입 통로는 열교환 장치 및 가열 어셈블리와 독립되는 부품 내의 하나의 통로 일 수도 있고, 열교환 장치 내부의 하나의 내장된 통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열 어셈블리는 가열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열 어셈블리는 액체 유입 통로와 대응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 또는 액체 유입 통로 외에 설치되어 액체 유입 통로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거나, 또는 가열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와 대응하여 열교환 장치 내 또는 열교환 장치 외에 설치되어 열교환 장치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론,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를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시켜 열교환 장치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은 먼저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한 후 열교환 장치에 진입하며, 열교환 장치를 거쳐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에서, 액체 유입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 및 열교환 장치와 독립되게 설치한 부품 내의 통로 일 수도 있고, 가열 어셈블리 내부에서 가열통로와 연통되는 내장 통로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열교환 장치는 한편으로 액체 유출 통로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액체 유출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 내의 액체를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배출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열교환 장치를 가열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통로 사이에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로 하여금 가열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이 열교환 장치를 통해 냉각된 후 액체 유출 통로 내에 수송되어 액체 유출 통로에 의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의 액체 유출 통로는 열교환 장치 외부 부품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통로 일 수도 있고, 열교환 장치 내부의 하나의 내장된 통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는 비등 온도보다 낮은 온수(예를 들면 25℃-70℃의 물)을 배출해야 할 경우, 가열 어셈블리를 통해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데, 물이 비등하는 온도까지 가열하고,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후 높은 온도의 물을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하며, 액체 유출 통로 내에서 열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가열 어셈블리를 통해 물을 가열한 후, 가열된 물을 직접 열교환 장치 내에 수송하여 열교환 장치를 통해 냉각한 다음 액체 유출 통로에 배출하고, 액체 유출 통로를 거쳐 배출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게 한다. 이 구조는, 열교환 장치를 통해 높은 온도의 물을 낮은 온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정한 온도 또는 사용자가 직접 마실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냉각된 낮은 온도의 물을 액체 유출 통로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낮은 온도의 물을 배출할 때, 먼저 가열 어셈블리를 통해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여 고온 살균 또는 고온 소독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가열에 의해 물에 있는 세균 및 미생물을 죽일 수 있어 지정된 온도의 물을 배출할 때 물에 있는 세균 등을 미리 제거하여 제품이 온도가 낮은 온수 등을 배출할 때 깨끗하고 위생적이도록 보장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출원의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부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더 구비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 유입 통로가 설치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 내부에 액체 유출 통로가 설치되는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데, 액체 유입 어셈블리는 수원과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 또는 가열통로에 물을 공급하고, 액체 유출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 출구의 물을 배출한다. 이러한 액체 처리 장치에는 독립적인 액체 유입 어셈블리, 열교환 장치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전체 제품의 각 부품이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여 제품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다. 물론, 다른 방안에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 가열 어셈블리 및 열교환 장치를 하나의 입수, 가열, 열교환 및 출수를 일체로 한 하나의 전체적인 부품으로 혼합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방안에서는, 열교환 장치, 액체 유출 통로 및 액체 유입 통로를 일체로 설치하고, 가열 어셈블리를 독립적인 부품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가열 어셈블리와 액체 유입 통로를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와 액체 유출 통로는 일체 일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인 부품일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데,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는 구획 구조이고, 가열 어셈블리와 열교환 장치는 구획 구조이며; 가열 어셈블리가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는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가 열교환 장치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 내에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를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시켜 열교환 장치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은 먼저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한 후 열교환 장치에 진입하며, 열교환 장치를 거쳐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때, 가열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 및 액체 유입 장치와 구획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 즉 가열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 및 액체 유입 장치와 서로 독립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다른 방안에서, 가열 어셈블리는 열교환 장치 및 액체 유입 장치와 일체형 구조, 예를 들면 일체로 조립된 구조 또는 일체로 가공 성형된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 또 다른 방안에서는, 가열 어셈블리를 직접 열교환 장치 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 내에서 직접 액체의 가열을 구현할 수도 있고, 가열 어셈블리를 직접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에서 직접 액체의 가열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열 어셈블리를 열교환 장치 내 또는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할 경우, 가열 어셈블리와 열교환 장치 또는 액체 유입 통로는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구획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열교환 장치 내에 열교환 통로를 설치하여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를 열교환 한 후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할 수 있고, 물론, 열교환 장치 내에 비열교환 통로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비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는 냉각을 거치지 않고 직접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 장치는 열교환으로 물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지만 이는 열교환 장치 내에 진입한 액체가 반드시 모두 열교환을 거친 후 다시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바, 즉 열교환 장치 내의 액체는 열교환을 거치지 않고 직접 유출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포함하되, 제2 열교환 통로는 액체 유입 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와 연통되고, 제1 열교환 통로는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킨다.
이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에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내장되는 동시에 제2 열교환 통로를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와 연결 및 도통시켜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가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여 냉각한 후 다시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거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한 후의 높은 온도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를 흘러 지날 때 이의 온도는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냉각액의 온도보다 높으므로 제1 열교환 통로는 끊임없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흡수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열교환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하는데 이러한 냉각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팬을 설치하여 공랭을 진행하는 것과 같은 기타 냉각 방식을 통해 냉각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는 공랭장치 등 일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제2 열교환 통로는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 어셈블리가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제2 열교환 통로는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수 있어 물 등 액체가 액체 유입 통로, 가열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가 열교환 장치 내에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를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을 직접 가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제2 열교환 통로의 앞부분은 가열에 사용되고, 뒷부분은 물 등 액체에 대해 열교환을 진행하여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제2 열교환 통로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는 한편으로 액체 유입 통로 및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고, 가열통로의 출구는 또 제2 열교환 통로와 연결되므로 본 출원에서 액체 유입 통로-제1 열교환 통로-가열통로 및 제2 열교환 통로는 순차적으로 끝과 끝이 맞닿아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 등 액체가 먼저 열교환 장치의 제1 열교환 통로를 거친 다음 제1 열교환 통로로부터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그 다음 가열통로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에 진입하며, 제2 열교환 통로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의 출구로부터 유출된다. 이러한 설치는,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저온 액체, 즉 가열되지 않은 액체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를 냉각시켜 별도로 냉각액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단독으로 냉각 순환 회로를 설치할 필요도 없이 제품 내부의 액체 유로 구조만 합리적으로 설치하여 냉각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외에,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에서 열교환 한 후,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한 후의 냉각 액체는 직접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여 가열하게 되어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할 경우, 이를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 구조는, 가열 전의 물을 이용하여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흡수한 후의 냉각 액체를 직접 가열통로 내에 수송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로 가열할 수 있어 가열한 후의 물에서의 나머지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가 연통된 후,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지 않고 직접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제1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로 하여금 제2 열교환 통로에서 열교환한 후 제1 열교환 통로를 거쳐 액체 유입 통로에 되돌아와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가열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의 온도를 향상시켜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열을 재활용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는, 액체 유입 통로에 리저버를 연결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가 리저버 내에 진입하도록 한 다음, 제1 열교환 통로의 출입구와 리저버를 연결시키고, 가열통로의 입구도 리저버와 연결시켜 리저버로 하여금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와 냉각 순환 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제2 열교환 통로의 냉각을 구현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저버로 하여금 제1 열교환 통로가 열을 흡입한 후의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액체를 가열하여 열을 재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각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리저버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리저버를 별도로 설치하고, 리저버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와 회로를 형성하여 끊임없이 냉방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 가열 어셈블리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가 형성한 액체 유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순환 회로가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처리 장치가 작동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하지 않을 경우, 가열된 후의 물은 비등하는 물과 같은 대응되는 온도의 뜨거운 물을 직접 배출할 수 있으며,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 경우, 물을 비등과 같은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다시 이를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제품으로 하여금 물을 가열한 후 직접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가열한 후 다시 냉각하여 배출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어 제품의 다원화를 구현하므로 제품이 사용자의 여러 가지 요구를 보다 더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리저버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통로는 액체 유입 통로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가열통로의 입구가 리저버와 연결되어 리저버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로 하여금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경우, 리저버를 가열통로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연결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를 통해 리저버 내에 냉각액을 첨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열교환한 후의 열이 제1 열교환 통로를 통해 리저버 내에 되돌아가도록 한 다음 리저버 내의 액체를 가열하도록 하며, 가열통로도 리저버와 연결되므로 리저버 내에서 열교환한 후의 열을 냉각시켜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물 등 액체를 미리 가열하여 열교환하여 발생한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방안에서는, 가열통로와 리저버를 동시에 직접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시켜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리저버와 가열통로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진입한 저온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으나 제1 열교환 통로를 통해 열교환하여 발생한 열을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방안은 모두 냉각 순환 통로와 액체 유로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냉각 순환 통로가 액체 유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리저버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통로의 입구는 리저버와 연결되어 리저버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리저버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는 제1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리저버 사이에는 제2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제1 열교환 통로와 리저버 사이에는 제3 펌핑 장치가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리저버를 가열통로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연결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의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리저버 내에 냉각액을 첨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열교환한 후의 열이 제1 열교환 통로를 통해 리저버 내에 되돌아가도록 한 다음 리저버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통로도 리저버와 연결되는 것을 감안하여, 리저버 내에서 열교환한 후의 열을 냉각시켜 가열통로 내에 진입한 물 등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열교환 후 발생한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이 방안에 대하여, 리저버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제1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가 제1 펌핑 장치에 의해 리저버 내에서 펌핑되도록 하는 동시에 가열통로의 입구와 리저버 사이에 제2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리저버 내의 액체가 제2 펌핑 장치에 의해 가열통로 내에 펌핑되도록 하고, 제1 열교환 통로와 리저버 사이에 제3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리저버 내의 액체가 제3 펌핑 장치에 의해 제1 열교환 통로 내에 펌핑되도록 하는데, 이 설치는 제3 펌핑 장치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량을 제어하여 열교환 장치의 냉각 효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 제3 펌핑 장치를 오프시켜 제1 열교환 통로의 오픈 또는 오프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제3 펌핑 장치를 통해 냉각 기능의 오픈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 3개의 펌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의 유동 압력이 더 크고 유속이 더 빠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펌핑 장치를 통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액체 유량을 제어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리저버 내에 설치되어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는 온도 수집 소자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온도 수집 소자는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여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에 따라 제1 열교환 통로의 냉각액의 유량을 제어하고 냉각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데, 제2 열교환 통로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액체 처리 장치는, 입구가 가열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1 출구가 제2 열교환 통로와 연결되는 삼방 밸브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액체 유출 어셈블리는, 일단이 삼방 밸브의 제2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액체 유출 통로와 연결되는 브랜치 통로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 및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경우, 가열통로의 출구와 삼방 밸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삼방 밸브의 제1 출구를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에 연결시키는 동시에 삼방 밸브의 제2 출구를 브랜치 통로에 의해 액체 유출 통로와 연결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제1 출구를 통해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하여 열교환 냉각을 진행한 후 다시 액체 유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열교환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2 출구와 브랜치 통로를 통해 직접 액체 유출 통로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가열통로가 가열한 물이 브랜치 통로를 통해 직접 액체 유출 통로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삼방 밸브의 입구와 제2 출구가 차단되는 동시에 삼방 밸브의 입구가 제1 출구와 연통되도록 하여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직접 열교환 장치 내에 진입하도록 하며, 제1 열교환 통로를 통해 열교환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삼방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냉각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배출되도록 하여 끓인 물과 같은 높은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냉각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온도의 저온 액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삼방 밸브의 설치는 끓인 물을 배출하는 기능과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 사이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어 끓인 물 등급과 온수 등급 사이의 전환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여기의 브랜치 통로는 열교환 장치 내에 내장되어 열교환 장치의 일부가 될 수 있는데, 이때 3갈래 통로를 구비한 하나의 열교환 장치를 통해 물 등 액체의 열교환 냉각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유출 어셈블리는 액체 유출 통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액체 유출 노즐을 더 포함한다. 액체 유출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액체 유출 위치, 액체 유출 높이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물 등 액체를 받을 때 보다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거나,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다.
이 설계에서는, 제1 열교환 통로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설치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열교환 장치의 열교환 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절곡 통로는 스네이크형 통로이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연결되는 S형 통로로 조성되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서로 연결된 N형 통로로 조성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는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즉 제1 열교환 통로가 입구로부터 출구까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열교환 효율은 점차 저하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온도는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를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우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를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좌측에 설치하면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의 유동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게 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게 되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열교환 속도와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며, 이러한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양측에 설치되는 열전도 격판을 포함하되; 여기서, 하우징에는 제1 열교환 통로와 대응되게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가 설치되고, 하우징에는 제2 열교환 통로와 대응되게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입구 및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가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하우징과 열전도 격판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 격판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두 부분으로 이격시켜 하우징 내에 두 개의 서로 독립적인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경우, 열전도 격판으로 구획된 두 개의 통로에서의 하나를 제1 열교환 통로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열교환 통로로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 내의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는 열전도 격판에 의해 이격되므로 두 개의 통로 사이의 열 전달이 더 편리하고 효과적이도록 하며, 그 밖에,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가공하기 편리하여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에서 제1 열교환 통로에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고, 하우징에서 제2 열교환 통로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 외부의 액체가 대응되는 출입구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열전도 격판과 제1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과 제1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링; 상기 열전도 격판과 제2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과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밀폐링을 포함하고; 열전도 격판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된다.
이 설계에서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을 통해 이 내부를 두 개의 통로로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의 하우징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므로 각 부품이 모두 비교적 간단하여 가공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을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 즉 열전도 격판의 일부를 제1 케이싱 내에 장착하고 열전도 격판의 다른 일부를 제2 케이싱 내에 장착시킬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하 설계에서는,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에 제1 밀폐링을 설치하여 제1 밀폐링을 통해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의 밀폐를 구현하는 동시에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에 제2 밀폐링을 설치하여 제2 밀폐링을 통해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1 밀폐링과 제2 밀폐링의 설치는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밀폐 연결하는 제3 밀폐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열전도 격판은 제1 케이싱 내에 장착되거나 제2 케이싱 내에 장착된다.
이 설계에서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을 통해 이의 내부를 두 개의 통로로 이격시키는데,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을 제1 케이싱 내 또는 제2 케이싱 내에 장착하고, 제3 밀폐링을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하여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의 하우징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므로 각 부품이 모두 비교적 간단하여 가공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밀폐링을 설치하여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므로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는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이 설계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가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도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냉각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어 제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액체가 제1 열교환 통로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액체가 제1 열교환 통로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한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도록 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케이싱 및/또는 제2 케이싱의 외면에는 방열 핀이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는, 방열 핀을 통해 방열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핀은 제1 케이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싱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에 동시에 방열 핀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는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 설계에서, 제1 케이싱의 내면에 제1 이격 리브를 설치하여 제1 이격 리브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이격 리브는 제1 열교환 통로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1 이격 리브, 또는 제1 이격 리브와 열전도 격판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1 이격 리브와 제1 케이싱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형성하여 각 제1 이격 리브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2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는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 설계에서, 제2 케이싱의 내면에 제2 이격 리브를 설치하여 제2 이격 리브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하고,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2 이격 리브는 제1 열교환 통로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2 이격 리브, 또는 제2 이격 리브와 열전도 격판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2 이격 리브와 제2 케이싱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설치하여 각 제2 이격 리브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액체 공급 탱크;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제4 펌핑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액체 유입 통로는 한편으로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와 연결되어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 등을 통해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는, 액체 공급 탱크를 설치하여 액체 공급 탱크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에 물을 공급하고, 액체 공급 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저장함으로써 워터 파이프와 멀리한 곳에 제품을 장착하여 제품의 사용 위치와 장착 위치가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액체 유입 통로 또는 가열통로에 제4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제4 펌핑 장치를 통해 물이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출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데, 냉각장치는 냉각박스 및 냉각박스 내에 설치되는 냉각액을 포함하고, 액체 유출 통로는 적어도 일부가 냉각액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열교환 장치는 액체 유출 통로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공랭장치이다.
이 설계에서,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냉각장치 내에 냉각액을 설치하며, 액체 유출 통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액 내에 장착시킴으로써 냉각액을 통해 액체 유출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냉각액은 물일 수 있고, 냉각액이 기타 흡열이 양호한 액체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를 공랭장치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공랭장치를 통해 액체 유출 통로를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장치, 공랭장치 및 냉각액을 구비한 냉각박스로 조성된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유출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켜 다중 냉각을 구현할 수 있고, 또 상기 한 가지 냉각 방식을 이용하여 냉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보드 및 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액체 처리 장치는 박스 쉘, 가열 어셈블리, 회로기판 어셈블리, 액체 유입 어셈블리 및 액체 공급 탱크 등을 포함하여 박스 쉘 내에 장착할 수 있고, 박스 쉘은 구체적으로 베이스와 쉘 커버로 조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구체적으로 즉열 주전자, 커피 포트, 두유 제조기, 믹서기 등 제품일 수도 있고, 액체 처리 장치는 또 즉열 주전자, 커피 포트, 두유 제조기, 믹서기를 제외한 브레이킹 머신, 약탕기 등과 같은 기타 제품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의 두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열교환 장치는, 제1 열교환 통로; 제2 열교환 통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열교환 통로는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을 진행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킨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는 액체 처리 장치 내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열교환 장치에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내장되고, 제2 열교환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열교환 통로는 구체적으로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를 열교환 냉각시킬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 액체 유출 어셈블리 및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는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2 열교환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된다.
이 구조는,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가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 냉각한 후 다시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한 후의 높은 온도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를 흐를 때 이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냉각액의 온도보다 높아 제1 열교환 통로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끊임없이 흡수할 수 있어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열교환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키는데, 이러한 냉각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기타 냉각 방식을 통해 냉각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팬을 설치하여 공랭하는 것으로, 이때 열교환 장치는 공랭장치 등 일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각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리저버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리저버를 별도로 설치하고, 리저버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와 회로를 형성하여 냉방 능력을 끊임없이 제공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 가열 어셈블리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가 형성한 액체 유로를 독립시켜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순환 회로가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처리 장치가 작동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냉각 순환 회로의 오픈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시키지 않을 경우, 가열한 후의 물은 대응되는 온도의 뜨거운 물, 예를 들면 비등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 경우, 물을 비등과 같이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다시 이를 낮은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배출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제품으로 하여금 물을 가열한 후 직접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저 물을 가열한 후 다시 냉각하여 배출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확장하여 제품의 다원화를 구현하므로 제품이 사용자의 여러 가지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 장치는, 리저버 내에 설치되어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는 온도 수집 소자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온도 수집 소자는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여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에 따라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냉각액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냉각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는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즉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점차 저하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온도는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를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를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좌측에 설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열교환 속도와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가 양측에 설치되는 열전도 격판을 포함하되; 여기서, 하우징에는 제1 열교환 통로와 대응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가 설치되고, 하우징에는 제2 열교환 통로와 대응하여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입구 및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가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는 하우징과 열전도 격판을 포함하되, 하우징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열전도 격판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하우징 내에 두 개의 서로 독립되는 통로가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경우, 열전도 격판이 이격되어 형성한 두 개의 통로에서의 하나를 제1 열교환 통로로 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열교환 통로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 내의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는 열전도 격판에 의해 이격되므로 두 개의 통로 사이의 열 전달이 보다 편리하고 고효율적이도록 하며, 그 밖에,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의 구조도 상대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므로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동시에, 하우징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고, 하우징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 외부의 액체가 대응되는 출입구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열전도 격판과 제1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과 제1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링; 열전도 격판과 제2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과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밀폐링을 포함하고; 열전도 격판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을 통해 이의 내부에서 두 개의 통로를 이격하고,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의 하우징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여 각 부품마다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므로 가공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을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 즉 열전도 격판의 일부를 제1 케이싱 내에 장착하고, 열전도 격판의 다른 한 부분을 제2 케이싱 내에 장착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에 제1 밀폐링을 설치하고, 제1 밀폐링을 통해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를 밀폐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에 제2 밀폐링을 설치하여 제2 밀폐링을 통해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를 밀폐시킨다. 제1 밀폐링과 제2 밀폐링의 설치는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밀폐 연결하는 제3 밀폐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열전도 격판은 제1 케이싱 내에 장착되거나 제2 케이싱 내에 장착된다.
이 설계에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을 통해 이의 내부에서 두 개의 통로를 이격시키는데,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을 제1 케이싱 내 또는 제2 케이싱 내에 장착하고, 제3 밀폐링을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하여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의 하우징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고, 각 부품마다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므로 가공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밀폐링을 설치함으로써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켜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는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이 설계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가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케이싱 및/또는 제2 케이싱의 외면에는 방열 핀이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는, 방열 핀을 통해 방열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핀은 제1 케이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싱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에 동시에 방열 핀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는 제1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 설계에서, 제1 케이싱의 내면에 제1 이격 리브를 설치하여 제1 이격 리브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이격 리브는 제1 열교환 통로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1 이격 리브, 또는 제1 이격 리브와 열전도 격판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1 이격 리브와 제1 케이싱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형성하여 각 제1 이격 리브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2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는 제2 케이싱과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 설계에서, 제2 케이싱의 내면에 제2 이격 리브를 설치하여 제2 이격 리브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하고,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2 이격 리브는 제1 열교환 통로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2 이격 리브, 또는 제2 이격 리브와 열전도 격판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2 이격 리브와 제2 케이싱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설치하여 각 제2 이격 리브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세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가열기구에 사용되는 열교환 박스를 제공하는데, 열교환 박스는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구비하되,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은 제2 열교환 통로와 제1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여기서, 열전도 격판은 제2 열교환 통로와 제1 열교환 통로를 이격시키며,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열교환 박스,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은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열전도 격판은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열교환 박스는 구조가 간단하고 배치가 합리적이며 제품의 전체성이 더 양호하고,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가 열전도 격판에 의해 열교환을 진행함으로써 뜨거운 유체가 신속하게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유체를 미리 가열하여 차가운 유체를 가열할 때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감소할 수 있고, 열전도 격판의 높은 열전도성을 이용하여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의 열전달 속도를 증가시키며 열교환 시간을 단축하여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전도 격판을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이격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에 격벽 형식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사이에 열교환을 형성하는 동시에 서로 혼합되지 않아 뜨거운 유체가 차가운 유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뜨거운 유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 밖에, 본 출원이 제공하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열교환 박스는 아래와 같은 부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바디부는, 열전도 격판에 커버되어 열전도 격판과 밀폐 연결되고, 열전도 격판과 제2 열교환 통로 또는 제1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는 박스 커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박스 커버는 열전도 격판을 커버하고 열전도 격판과 밀폐 연결되는데, 우선, 박스 커버가 열전도 격판을 덮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사이즈 규격에서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고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 효과가 더 높도록 하며, 이 외에,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을 밀폐 연결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누액 및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2 열교환 통로의 매체 사이의 혼합을 방지함으로써 뜨거운 유체가 차가운 유체에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뜨거운 유체의 안전성 및 위생을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커버는 오목 캐비티부를 포함하되, 오목 캐비티부는 일단이 개구를 구비하는 캐비티이고, 오목 캐비티부 내에는 가이드 리브가 분포되며, 열전도 격판은 오목 캐비티부의 개구를 커버한다.
이 설계에서, 박스 커버가 오목 캐비티부를 구비하도록 설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용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오목 캐비티부 내에 가이드 리브가 분포되어 가이드 리브를 통해 유체를 도통시켜 유체가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의 열교환이 더 충분하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바디부는 두 개의 박스 커버를 포함하되,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에는 열전도 격판이 분포되고, 두 개의 박스 커버는 연결되어 열전도 격판 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적어도 하나가 열전도 격판과 연결되도록 클램핑한다.
이 설계에서, 두 개의 박스 커버가 연결되어 열전도 격판 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적어도 하나가 열전도 격판과 연결되도록 클램핑하게 설치함으로써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하나가 열전도 격판과 제1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다른 하나가 열전도 격판과 제2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가 연결되는 동시에 열전도 격판의 장착과 고정을 구현하고, 제품의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이 편리하고, 조립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장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하나에는 임베딩부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용부가 설치되며, 임베딩부는 수용부 내에 임베딩되어 두 개의 상기 박스 커버 사이가 포지셔닝되도록 하거나; 및/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하나에는 버클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이 설치되며, 버클과 걸림홈은 걸림 결합되거나; 및/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하나에는 러그가 설치되고, 러그에는 제1 홀이 설치되며,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다른 하나에는 제2 홀이 설치되고, 제2 홀과 제1 홀은 대응되게 설치되며, 연결부재는 제1 홀 및 제2 홀 내를 관통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를 잠금한다.
이 설계에서, 임베딩부가 수용부 내에 임베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지셔닝하고 미리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임베딩부를 통해 수용부 내에 임베딩되어 포지셔닝 함으로써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의 배합 정밀도가 더 높고 제2 열교환 통로 및 제1 열교환 통로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하나에는 버클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이 설치되며, 버클과 걸림홈은 걸림 결합되게 설치함으로써 버클과 걸림홈의 걸림 결합이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편리한 장점을 구비하도록 하여 제품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두 개의 박스 커버의 연결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연결부재가 제1 홀 및 제2 홀 내를 관통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를 잠금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편리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의 연결 신뢰도를 보장하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바디부는, 열교환 박스가 이격되게 분포된 다수의 열전도 격판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과 각각 밀폐 연결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이 제2 열교환 통로 또는 제1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는 박스 몸체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박스 몸체는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과 각각 밀폐 연결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여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조립이 비교적 편리하며, 생산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두 개의 열전도 격판이 양측으로부터 열을 전달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의 열교환 효과가 더 향상되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몸체는 양단이 관통된 환형체이고, 환형체에는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며 환형체의 가이드 리브는 환형체로 에워싸인 영역 내에 분포되고, 환형체의 양측에는 열전도 격판이 배치되며, 양측의 열전도 격판은 환형체 양단의 개구를 커버한다.
이 설계에서, 박스 몸체를 양단이 관통된 환형체로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사이즈에서 더 큰 용적을 얻을 수 있고, 환형체에 가이드 리브를 설치하여 가이드 리브가 유체를 도통시키는데 유리하며, 유체가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키며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바디부는 두 개의 박스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박스 몸체를 포함하되,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에는 열전도 격판 및 박스 몸체가 분포되고, 두 개의 박스 커버는 열전도 격판 및 박스 몸체를 연결 및 클램핑하거나 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적어도 하나가 열전도 격판 및 박스 몸체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 설계에서, 두 개의 박스 커버가 연결되어 열전도 격판 및 박스 몸체 또는 두 개의 박스 커버에서의 적어도 하나와 열전도 격판 및 박스 몸체가 연결되도록 클램핑하고, 박스 몸체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차가운 유체가 뜨거운 유체와 열교환하여 뜨거운 유체가 충분히 열교환되도록 보장하고, 나아가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인접하는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 사이 또는 인접하는 박스 몸체와 박스 몸체 사이에는 인서트 핏 포지셔닝이 형성되거나; 및/또는 박스 몸체에는 연결부재로 하여금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인접하는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 사이 또는 인접하는 박스 몸체와 박스 몸체 사이에는 인서트 핏 포지셔닝이 형성되므로 조립 작업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지셔닝하고 미리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임베딩부를 통해 수용부 내에 임베딩되어 포지셔닝 함으로써 두 개의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 사이의 배합 정밀도가 더 높고 제1 열교환 통로 및 제2 열교환 통로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박스 몸체에는 연결부재로 하여금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두 개의 박스 커버가 연결 조립되는 동시에 박스 몸체를 연결 고정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 3자의 연결 안정성 및 조립 정밀도를 강화하고 누액의 위험을 저하시켜 제품의 신뢰도 및 밀폐성을 더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박스는 밀폐링을 구비하되, 밀폐링은 박스 바디부 및 열전도 격판과 당접되어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밀폐 연결하거나; 또는 박스 바디부 및 열전도 격판 사이에는 밀폐 접착층이 형성되고, 밀폐 접착층은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접착 고정시킨다.
이 설계에서, 밀폐링은 박스 바디부 및 열전도 격판과 당접되어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밀폐 연결시킴으로써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 사이의 밀폐성을 더 고려하여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 사이가 쉽게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가 서로 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박스 바디부 및 열전도 격판 사이에는 밀폐 접착층이 형성되어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 사이의 밀폐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밀폐 접착층을 이용하여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접착 고정함으로써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이 자리를 바꾸는 것을 더 방지하여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의 연결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에서의 적어도 하나에는 요홈이 설치되고,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의 적어도 일부는 요홈 내에 임베딩되거나; 및/또는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은 열전도 격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설계에서,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의 적어도 일부는 요홈 내에 임베딩되고, 요홈을 통해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의 장착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의 이동을 방지하고,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이 어긋나 발생하게 되는 밀폐 실패 문제를 방지하며,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켜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과 박스 바디부 및 열전도 격판이 연결되는 밀폐 배합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밀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은 열전도 격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밀폐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밀폐링 또는 밀폐 접착층이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 및 위생을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에서의 적어도 하나에는 난류 구조가 구성된다.
이 설계에서는, 난류 구조를 통해 유체의 난류도를 증가시키고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유체와 열전도 격판 사이의 대류 열교환 계수를 증가시키며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고 난류 구조는 매체를 교란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내부 및 제2 열교환 통로 내부의 온도가 더 균일하고 열교환 효과가 더 보증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전도 격판에는 돌기 구조 및/또는 함몰 구조가 구성되되, 돌기 구조 및/또는 함몰 구조는 열전도 격판의 난류 구조로 형성된다.
이 설계에서, 열전도 격판에는 돌기 구조 및/또는 함몰 구조가 구성되므로 열전도 격판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여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돌기 구조 및/또는 함몰 구조를 통해 열전도 격판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두 개의 매체 통로의 열전달 면적을 더 증가시켜 열교환을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박스 내는 열전도 격판에 의해 다수의 공간을 이격하여 형성하고, 공간 내에는 가이드 리브가 분포되며, 가이드 리브는 공간 내에 절곡 형상의 통로를 이격하여 형성한다.
이 설계에서, 가이드 리브는 공간 내에 절곡 형상의 통로를 이격시켜 유체가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완화시켜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가 더 충분한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가이드 리브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난류 리브가 설치되고, 제1 난류 리브는 통로 내에서 돌출되거나; 및/또는 가이드 리브와 열전도 격판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되거나; 및/또는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에는 차단벽이 구비되되, 차단벽과 열전도 격판은 공간을 에워싸서 형성하고, 차단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난류 리브가 설치되며, 제2 난류 리브는 통로 내에서 돌출되거나; 및/또는 가이드 리브는 공간 내에서 스네이크형의 통로를 이격하여 형성한다.
이 설계에서, 가이드 리브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난류 리브가 설치되어 방향을 전환하는 동시에 유체의 흐름 속도를 더 완화시키고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차단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난류 리브가 설치되어 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유체의 흐름 속도를 더 완화시켜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가이드 리브는 공간 내에서 스네이크형의 통로를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더 연장시켜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가 더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전도 격판 양측의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열전도 격판 양측의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는 교차되게 분포된다.
이 설계에서, 열전도 격판 양측의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는 투영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어 열교환 박스 내부의 구조 배치가 더 합리적이고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충분히 이용하는데 유리하여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전달 면적이 더 크고 열교환이 더 효율적이도록 한다.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가 교차되게 분포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더 높게 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 사이에는 병류 열교환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열교환 박스는 제1 연통구, 제2 연통구, 제3 연통구, 제4 연통구를 구비하되, 제2 열교환 통로는 제1 연통구와 제2 연통구를 도통시키고, 제1 열교환 통로는 제3 연통구와 제4 연통구를 도통시키는데; 여기서, 제1 연통구와 제3 연통구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되거나), 및/또는 제2 연통구와 제4 연통구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열전도 격판은 금속부품이거나; 및/또는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는 열전도 부품이거나; 및/또는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 표면에는 핀이 설치된다.
본 방안에서, 열전도 격판은 금속부품, 예를 들면, 열전도 격판은 알루미늄 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 일 수 있는 바, 이렇게 되면 열전도 격판은 열전도 성능이 양호하고 원가가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를 열전도 부품으로 설치함으로써 열교환 박스가 외부와 열교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 박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유체가 더 빨리 방열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교환 박스의 박스 바디부 표면에 핀을 설치함으로써 열교환 박스와 외부가 열교환을 진행하는 능력을 더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네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가열기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액체 유출 노즐, 액체 공급 탱크 및 액체 유출 노즐과 액체 공급 탱크를 잇는 수로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술한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열교환 박스는 수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열교환 박스를 설치함으로써 이상의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은 하나의 열교환 박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수로 시스템은 다수의 열교환 박스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다수의 열교환 박스의 제1 열교환 통로 사이는 직렬 연결되고, 다수의 열교환 박스의 제2 열교환 통로 사이는 직렬 연결된다.
이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이 하나의 열교환 박스를 구비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뜨거운 유체의 열교환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동시에 수로 시스템의 구조가 더 간단하여 제품의 조립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다수의 열교환 박스의 제1 열교환 통로 사이가 직렬 연결되고, 다수의 열교환 박스의 제2 열교환 통로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열교환 박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유체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가 충분히 열교환되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위치는 액체 공급 탱크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다.
이 설계에서는, 수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위치가 액체 공급 탱크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도록 설치함으로써 물이 연결기 원리로 인하여 액체 유출 노즐로부터 직접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열교환 박스의 제1 연통구, 제2 연통구, 제3 연통구 및 제4 연통구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액체 공급 탱크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거나; 및/또는 열교환 박스는 수직되게 안착되거나 수평되게 안착되거나 경사지게 안착된다.
이 설계에서는, 열교환 박스의 제1 연통구, 제2 연통구, 제3 연통구 및/또는 제4 연통구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공급 탱크보다 높은 최고 수위 위치를 더 쉽게 보장하고 조립이 더 편리하도록 하며 조립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물이 연결기 원리로 인하여 액체 유출 노즐로부터 직접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은 가열 어셈블리와 물 분배 박스를 더 구비하되; 물 분배 박스는 액체 공급 탱크와 열교환 박스의 제2 열교환 통로를 연결하고, 액체 공급 탱크는 물 분배 박스를 거쳐 제2 열교환 통로에 물을 공급하며; 물 분배 박스는 제2 열교환 통로와 가열 어셈블리를 연결하고, 제2 열교환 통로는 물 분배 박스를 거쳐 가열 어셈블리에 물을 공급하며; 제1 열교환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 및 액체 유출 노즐을 연결한다.
본 방안에서, 물 분배 박스는 액체 공급 탱크와 열교환 박스의 제2 열교환 통로를 연결하여 액체 공급 탱크 내의 냉수가 물 분배 박스를 거쳐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배출되도록 하여 냉수가 제2 열교환 통로 내 및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뜨거운 물과 충분히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물이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수가 사전 가열 처리를 거치도록 하고, 물 분배 박스는 제2 열교환 통로와 가열 어셈블리를 연결, 즉 물 분배 박스는 제2 열교환 통로와 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제2 열교환 통로 내에서 열교환된 냉수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를 거쳐 가열 어셈블리에 흐르도록 하며, 가열 어셈블리는 사전 가열 처리를 거친 냉수를 가열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파워 및 가열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고 가열 어셈블리의 에너지 소모를 저하시키며, 제품이 에너지를 더 절약하도록 하고, 제1 열교환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 및 액체 유출 노즐을 연결하여 가열 어셈블리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물이 제1 열교환 통로 및 액체 유출 노즐을 거쳐 배출되도록 하여 물 분배 박스를 경유하는 동시에 제2 열교환 통로 및 가열 어셈블리에 물을 공급하며, 제2 열교환 통로의 회수를 받아들여 수로 시스템에서의 각 부품 사이의 파이프 연결이 더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부의 연결 파이프가 더 간결하고 복잡하지 않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 펌프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수로 시스템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로부터 가열 어셈블리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 펌프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수로 시스템의 물 분배 박스, 가열 어셈블리, 제1 펌프 및 제2 펌프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적어도 일부 위치는 액체 공급 탱크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다.
이 설계에서, 제1 펌프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에 흐르도록 구동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고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체가 정체되는 문제를 방지하며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이 고효율적이 되도록 보장한다.
제2 펌프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로부터 가열 어셈블리에 흐르도록 구동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고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체가 정체되는 문제 및 가열 어셈블리가 건조 연소되는 위험을 방지하며 제품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다섯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가열기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액체 유출 노즐, 열교환 박스,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 및 가열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열교환 박스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구비하고, 제1 열교환 통로는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며; 가열 어셈블리는 입수구와 배수구를 구비하고, 입수구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며, 제2 열교환 통로는 배수구 및 액체 유출 노즐과 연결되고;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는 내부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적합한 수로 시스템; 수로 시스템과 연결되어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 시스템; 측온 시스템, 가열 어셈블리 및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측온 시스템이 피드백한 온도정보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 가열 어셈블리가 가열한 후 배출한 물은 먼저 열교환 박스를 거쳐 열교환 처리된 후 다시 액체 유출 노즐을 따라 액체 가열기구에서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열교환 박스를 통해 열교환 처리되어 액체 가열기구가 상이한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온도의 물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비등이 아닌 경우 물을 지정된 온도까지 가열하여 여러 온도의 물을 제공하는 관련 기술에 비해 본 설계는 가열한 후 다시 열교환하여 냉각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살균효과가 더 좋고 사용자의 출수 온도 수요와 식용 안전 수요를 고려하며, 열교환 박스의 제1 열교환 통로 내에서 열교환하여 승온한 후의 물이 가열 어셈블리에 제공되어 제품의 열 회수를 구현하고 제품의 운행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구조에는, 측온 시스템을 설치하여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 어셈블리로 하여금 수로 시스템의 온도 상황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때에 조절하여 수로 시스템의 온도 제어 조절을 이루어 제품 출수 온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실제 출수 온도가 출수 온도 수요를 더 만족시키도록 하고 제품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본 출원이 제공한 액체 가열기구는 아래와 같은 부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측온 시스템은, 입수구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는 제1 측온 소자를 포함하되; 제어 어셈블리는 제1 측온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제1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이 설계에서는, 가열 어셈블리가 흡수한 것은 가능하게 제1 열교환 통로에서 유래된 열교환을 거친 후의 물이고 온도가 비교적 높으며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1 측온 소자를 설치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의 수온을 수집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을 제어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의 열공급량과 열에너지 수요 사이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여 가열 어셈블리가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더 잘 보장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 내의 물이 비등까지 가열되도록 더 잘 보장하여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열교환 박스 내의 열교환 효율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측온 시스템은,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는 제2 측온 소자를 포함하되; 제어 어셈블리는 사익 제2 측온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제2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이 설계에서, 가열 어셈블리가 흡수한 것은 가능하게 제1 열교환 통로에서 유래된 열교환을 거친 후의 물이고 온도가 비교적 높으며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2 측온 소자를 설치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배수구의 수온을 수집하며, 이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을 제어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의 열공급량과 열에너지 수요 사이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여 가열 어셈블리가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더 잘 보장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 내의 물이 비등까지 가열되도록 더 잘 보장하여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열교환 박스 내의 열교환 효율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제어 어셈블리에는 제1 비교기가 설치되는데, 제1 비교기의 한 입력단은 제2 측온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배수구의 온도를 획득하고, 제1 비교기의 다른 한 입력단은 기설정 온도 임계값에 액세스하며, 배수구의 온도는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제1 비교기의 출력 신호는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및/또는 제어 어셈블리에는 제2 비교기가 설치되는데, 제2 비교기의 한 입력단은 제2 측온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배수구의 온도를 획득하고, 제2 비교기의 다른 한 입력단은 비등 온도에 액세스되며, 배수구의 온도는 적어도 비등 온도이며, 제2 비교기의 출력 신호는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비교기는 두 개의 입력단을 구비하고, 비교기는 두 개의 입력단에서 유래된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이 설계에서, 제1 비교기는 제2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배수구의 온도와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배수구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제1 비교기는 신호를 발송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로 하여금 입수구의 유속을 하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하여 가열 어셈블리가 배출한 액체의 온도가 상응하게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살균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고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배수구의 온도가 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비교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또 배수구의 온도가 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비교기의 출력 신호가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로 하여금 입수구의 유속을 상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하게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비교기는 제2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배수구의 온도와 비등 온도를 비교하는데, 배수구의 온도가 오랜 시간동안 비등 온도 및 그 이상일 경우, 제2 비교기는 신호를 발송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감소하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로 하여금 입수구의 유속을 상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하여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2 비교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배수구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또 제2 비교기의 출력 신호가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로 하여금 향상하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가 입수구의 유속을 하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하게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기설정 온도 임계값은 90℃~100℃이거나; 및/또는 비등 온도는 90℃~100℃이다.
이 설계에서,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90℃~100℃로 설치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 내의 수온이 대체적으로 90℃~100℃에 놓이도록 하여 양호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등 온도를 90℃~100℃로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해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고, 제품 사용환경과 결합하여 더 정확하게 제품을 제어할 수 있어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측온 시스템은,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는 제3 측온 소자를 포함하되; 제어 어셈블리는 제3 측온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제3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이 설계에서,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를 수집하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 유량, 유속 등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이 피드백 조절은 더 높은 응답 적시성을 가져 신속하게 액체 유출 노즐의 수온을 목표 값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하며, 이 구조는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유량이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출수 유량이 더 안정적이도록 보장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가열기구는,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명령 수신 소자를 더 포함하되; 제어 어셈블리는 명령 수신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제3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 및 명령 수신 소자에서 유래된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속을 제어한다.
이 설계에서, 제어 어셈블리는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 및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속을 저하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냉각 속도는 상응하게 감소되고,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는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할 수 있다.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보다 높을 경우,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속을 상승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냉각 속도는 상응하게 증가하고,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는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까지 신속하게 하락할 수 있다. 이 피드백 조절은 더 높은 응답 적시성과 정확성을 가지고 액체 유출 노즐의 수온을 목표 값까지 신속하게 조절하여 제품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고 안정되게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측온 시스템은,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는 제4 측온 소자를 포함하되; 제어 어셈블리는 제4 측온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제4 측온 소자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이 설계에서,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온수는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고, 이로써 상이한 제1 열교환 통로의 물 흐름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의 안정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가열기구는, 제어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주위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한 주위 온도를 제어 어셈블리에 피드백하는 제5 측온 소자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제5 측온 소자가 주위 온도를 수집하고 제어 어셈블리에 피드백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제어 어셈블리는 주위 온도에 기반하여 공기에 전달되는 열을 판정하여 주위 방열 속도와 결합하여 수로 시스템의 각 측온 포인트의 측량 정확도를 더 정확하게 판정 및 보정함으로써 수로 시스템의 온도 조절이 더 정확하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도록 하여 실제 출수 온도가 사용자의 목표 수요 온도를 더 잘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운행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상기 제어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펌프;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입수구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운행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상기 제어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펌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제1 펌프 및/또는 제2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에 대한 구동을 실현하여 수로 시스템의 구동력 수요를 만족시키고, 제어 어셈블리는 제1 펌프 및/또는 제2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 등 액체 유동 파라미터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 등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더 잘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 박스 내의 열교환 효율을 더 정확하게 제어하고, 나아가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하며, 가열 어셈블리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가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효율에 더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에 대한 조절이 더 정확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은 물 분배 박스를 더 구비하는데; 여기서,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의 제1 펌프는 물 분배 박스와 연결되어 액체로 하여금 제1 열교환 통로와 물 분배 박스 사이에서 유동하도록 구동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의 제2 펌프는 물 분배 박스와 연결되어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로부터 입수구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한다.
이 설계에서는, 물 분배 박스를 설치하여 물 흐름을 이전시키고 분배하도록 하여 수로 시스템 내에서 더 양호하게 물 흐름 분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더 합리적이고 질서가 있게 냉수, 뜨거운 물을 조절 제어하여 수로 시스템 내의 각 위치에서의 수온 분배 및 유량 조절을 양호하게 구현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도록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열 회수 효과가 더 양호하고 제품이 에너지를 더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여섯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에 사용되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 어셈블리로 하여금 수로 시스템의 온도 상황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때에 조절하도록 하여 수로 시스템의 온도 제어 조절을 이루어 제품 출수 온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실제 출수 온도가 출수 온도 수요를 더 만족시키도록 하고 제품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키며 응답 속도가 빠르고 제어 정확도가 높은 장점을 가져 즉열식 액체 가열 제품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수로 시스템에서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적어도 입수구의 온도에 근거하여 파워 파라미터와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제어, 및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 온도를 수집하고, 에너지 보존 관계에 근거하여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 수요 및/또는 살균 온도 수요와 결합하며,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와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대체적으로 예정할 수 있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부하와 에너지 출력이 대체적으로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의 작동의 고효율성을 보장하고 가열 어셈블리가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더 잘 보장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 내의 물이 비등까지 가열되도록 더 잘 보장하여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켜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 수요 부근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즉시성이 양호하고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 안정성도 더 양호하며, 또 제품의 열교환 박스 내의 열교환 효율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수로 시스템에서 가열 어셈블리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 밖에 있으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을 만족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고, 배수구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피드백하여 조절함으로써 배수구의 온도를 더 정확하게 목표 배수 온도 구간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유출 노즐에서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도록 하며,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 고효율성과 정확도를 보장하는데 더 유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보다 낮을 경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적당히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의 유량(또는 유속)을 하향 조절하여 배수구의 온도가 일정한 정도에서 상승되어 목표 배수 온도 구간에 놓이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보다 높을 경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적당히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의 유량(또는 유속)을 증가시켜 배수구의 온도가 일정한 정도에서 하강하여 목표 배수 온도 구간에 놓이도록 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수로 시스템에서 가열 어셈블리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배수구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배수구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 또는 유량을 하향 조절하여 가열 어셈블리가 배출한 액체의 온도가 상응하게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살균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고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배수구의 온도가 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물론, 배수구의 온도가 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저하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가 입수구의 ㅎ유속을 상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수로 시스템에서 가열 어셈블리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1 기설정 기간 내의 배수구의 온도가 적어도 비등 온도이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제1 기설정 기간 시간 범위 내에 수집한 배수구의 온도가 적어도 비등 온도이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상향 조절하여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물론, 배수구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가 상승되도록 설계하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하향 조절할 수도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기설정 온도 임계값은 90℃~100℃이거나; 및/또는 비등 온도는 90℃~100℃이다.
이 설계에서,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90℃~100℃로 설치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 내의 수온이 대체적으로 90℃~100℃에 놓이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살균 효과를 구비하고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등 온도를 90℃~100℃로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해발 수요를 만족시키고, 제품 사용환경과 결합하여 더 정확하게 제품을 제어함으로써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 에너지 절약과 오염 물질 배출 감소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로 시스템에서 가열 어셈블리의 입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상기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상기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2 기설정 기간 내의 상기 입수구의 온도가 상승 추세를 나타내면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입수구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만약 제2 기설정 기간 시간 범위 내에 수집한 입수구의 온도가 상승 추세에 놓이거나 또는 수집한 입수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열 어셈블리의 출수 온도의 안정성을 제때에 제어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 출수 온도가 큰 파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상응하게 더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되어 제품 온도 조절이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액체 유출 노즐 온도 조절의 정확도에 더 유리하며, 또 이렇게 되면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 부하 및 온도 파동성도 더 작아져 열교환 박스의 고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행을 유지시키는데 더 유리하게 된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수로 시스템에서의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높으면 수로 시스템의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량을 상향 조절하는 단계; 만약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량을 하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액체 유출 노즐의 온도를 수집하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 유량, 유속 등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이 피드백 조절은 더 높은 응답 적시성을 가지고 액체 유출 노즐의 수온을 목표 값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구조는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유량이 수요를 만족시키고 출수 유량이 더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수로 시스템의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 및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제2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제1 열교환 통로의 유량을 제2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설치하는데, 여기서,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의 물 흐름량 부하를 더 정확하게 예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의 입수 온도에 따라 제1 열교환 통로의 물 흐름량을 제어하여 열교환 박스의 열이 출력과 입력 사이에서 매칭성이 더 양호하도록 하여 제품의 출수 초기에 높은 정확도의 출수 온도를 획득할 수 있어 즉열 출수 효과가 더 양호하고 액체 유출 노즐 온도 파동이 효과적으로 제어되어 액체 유출 노즐 수온의 안정성이 더 양호하도록 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설계에서,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주위 온도를 수집하는 단계; 주위 온도에 근거하여 제1 보상 파라미터 및/또는 제2 보상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보상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2 보상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는, 주위 온도를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 기반하여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보상함으로써 주위 온도 요소로 인한 출수 온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출수 온도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섯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여기서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실행 가능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이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여섯 번째 양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되기 적합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부가적인 양태와 장점은 아래의 설명 부분에서 더 뚜렷해지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을 거쳐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양태와 장점은 아래 도면과 결합하여 진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고 이해하기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구획구조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다섯 번째 구조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네 번째 구조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제5 구조 모식도이며;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제6 구조 모식도이고;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의 열교환 장치의 구획구조 모식도이며;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의 제1 케이싱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의 제1 케이싱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며;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의 제1 케이싱의 또 다른 구조 모식도이고;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의 제1 케이싱의 네 번째 구조 모식도이며;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저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A-A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B-B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구획구조 모식도이고;
도 2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좌측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3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3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C-C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D-D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3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3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가 한 각도에서의 구획구조 모식도이고;
도 3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가 다른 각도에서의 구획구조 모식도이며;
도 3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3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배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3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우측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좌측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41은 도 37에 도시된 E-E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4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배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45는 도 43에 도시된 F-F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커버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4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4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좌측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5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박스의 우측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1은 도 47에 도시된 G-G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52는 도 47에 도시된 H-H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격판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I-I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5는 도 53에 도시된 J-J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5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격판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격판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5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격판의 좌측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6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좌측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6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한 각도에서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6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다른 한 각도에서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63은 도 59에 도시된 L-L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6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구획구조 모식도이며;
도 65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66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6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일부 구조 블록도이고;
도 6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액체 가열기구의 구획구조 모식도이고;
도 70은 도 68에 도시된 액체 가열기구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M-M 방향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7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구조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7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측온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7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구조 기기의 일부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7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구조 기기의 일부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7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측온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7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측온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7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며;
도 7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구조 블록도이고;
도 8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8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8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8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8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8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8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8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8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 8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9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뚜렷이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결합하여 본 출원을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 출원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수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설명하지만 본 출원은 여기서 설명하는 방식과 다른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아래에서 개시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0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열교환 박스, 액체 가열기구, 액체 가열기구,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첫 번째 양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 가열 어셈블리(2), 액체 유출 통로(32) 및 열교환 장치(4)를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열교환 장치(4)는 액체 유입 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통되어 열교환 장치(4) 내에 진입한 액체를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32)에 수송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2)는 액체 유입 통로 및/또는 열교환 장치(4)와 대응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가열 어셈블리(2) 내에 가열통로를 설치하되, 가열통로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 가열 어셈블리(2), 액체 유출 통로(32) 및 열교환 장치(4)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액체 유입 통로는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 등 외부 수원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액체 유입 통로는 외부 부품 내의 하나의 통로이고, 열교환 장치(4) 내부의 하나의 내장 통로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액체 유입 통로는 또한 내장되거나 외장된 액체 공급 탱크(5)와 연결되어 액체 공급 탱크(5)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가열 어셈블리(2)는 가열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열 어셈블리(2)는 액체 유입 통로와 대응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 또는 액체 유입 통로 외에 설치되어 액체 유입 통로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거나, 또는 가열 어셈블리(2)는 열교환 장치(4)와 대응하여 열교환 장치(4) 내 또는 열교환 장치(4) 외에 설치되어 열교환 장치(4)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론,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2)를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연결시켜 열교환 장치(4)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은 먼저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한 후 열교환 장치에 진입하며, 열교환 장치(4)를 거쳐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32)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유입 통로는 가열 어셈블리(2) 및 열교환 장치(4)와 독립되게 설치한 부품 내의 통로 일 수도 있고, 가열 어셈블리(2) 내부에서 가열통로와 연통되는 내장 통로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열교환 장치(4)는 한편으로 액체 유출 통로(32)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액체를 냉각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액체를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배출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열교환 장치(4)를 가열 어셈블리(2)와 액체 유출 통로(32) 사이에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4)로 하여금 가열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이 열교환 장치(4)를 통해 냉각된 후 액체 유출 통로(32) 내에 수송되어 액체 유출 통로(32)에 의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의 액체 유출 통로(32)는 열교환 장치(4) 외부 부품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통로 일 수도 있고, 열교환 장치(4) 내부의 하나의 내장된 통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는 비등 온도보다 낮은 온수(예를 들면 25℃-70℃의 물)을 배출해야 할 경우, 가열 어셈블리(2)를 통해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데, 물이 비등하는 온도까지 가열하고,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후 높은 온도의 물을 액체 유출 통로(32)에 수송하며, 액체 유출 통로(32) 내에서 열교환 장치(4)를 이용하여 이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가열 어셈블리(2)를 통해 물을 가열한 후, 가열된 물을 직접 열교환 장치(4) 내에 수송하여 열교환 장치(4)를 통해 냉각한 다음 액체 유출 통로(32)에 배출하고, 액체 유출 통로(32)를 거쳐 배출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게 한다. 이 구조는, 열교환 장치(4)를 통해 높은 온도의 물을 낮은 온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정한 온도 또는 사용자가 직접 마실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냉각된 낮은 온도의 물을 액체 유출 통로(32)의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낮은 온도의 물을 배출할 때, 먼저 가열 어셈블리(2)를 통해 물을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여 고온 살균 또는 고온 소독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가열에 의해 물에 있는 세균 및 미생물을 죽일 수 있어 지정된 온도의 물을 배출할 때 물에 있는 세균 등을 미리 제거하여 제품이 온도가 낮은 온수 등을 배출할 때 깨끗하고 위생적이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처리 장치는, 내부에 액체 유입 통로가 설치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 내부에 액체 유출 통로(32)가 설치되는 액체 유출 어셈블리(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3)를 더 포함하는데, 액체 유입 어셈블리(1)는 수원과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4) 또는 가열통로에 물을 공급하고, 액체 유출 어셈블리(3)는 열교환 장치(4) 출구의 물을 배출한다. 이러한 액체 처리 장치에는 독립적인 액체 유입 어셈블리(1), 열교환 장치(4)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전체 제품의 각 부품이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여 제품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다. 물론, 다른 방안에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3)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32), 가열 어셈블리(2) 및 열교환 장치(4)를 하나의 입수, 가열, 열교환 및 출수를 일체로 한 하나의 전체적인 부품으로 혼합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방안에서는, 열교환 장치(4), 액체 유출 통로(32) 및 액체 유입 통로를 일체로 설치하고, 가열 어셈블리(2)를 독립적인 부품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가열 어셈블리(2)와 액체 유입 통로를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4)와 액체 유출 통로(32)는 일체 일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인 부품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2)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데,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연결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2)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1)는 구획 구조이고, 가열 어셈블리(2)와 열교환 장치(4)는 구획 구조이며; 가열 어셈블리(2)가 액체 유입 어셈블리(1)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2)는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2)가 열교환 장치(4)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2)는 열교환 장치(4)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가열 어셈블리(2)를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연결시켜 열교환 장치(4)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은 먼저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한 후 열교환 장치(4)에 진입하며, 열교환 장치(4)를 거쳐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32)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때, 가열 어셈블리(2)는 열교환 장치(4) 및 액체 유입 장치와 구획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 즉 가열 어셈블리(2)는 열교환 장치(4) 및 액체 유입 장치와 서로 독립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물론, 다른 방안에서, 가열 어셈블리(2)는 열교환 장치(4) 및 액체 유입 장치와 일체형 구조, 예를 들면 일체로 조립된 구조 또는 일체로 가공 성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외에, 또 다른 방안에서는, 가열 어셈블리(2)를 직접 열교환 장치(4) 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4) 내에서 직접 액체의 가열을 구현할 수도 있고, 가열 어셈블리(2)를 직접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에서 직접 액체의 가열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열 어셈블리(2)를 열교환 장치(4) 내 또는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할 경우, 가열 어셈블리(2)와 열교환 장치(4) 또는 액체 유입 통로는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구획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열교환 장치(4) 내에 열교환 통로를 설치하여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를 열교환 한 후 액체 유출 통로(32)에 수송할 수 있고, 물론, 열교환 장치(4) 내에 비열교환 통로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비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는 냉각을 거치지 않고 직접 액체 유출 통로(32)에 수송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 장치(4)는 열교환으로 물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지만 이는 열교환 장치(4) 내에 진입한 액체가 반드시 모두 열교환을 거친 후 다시 액체 유출 통로(32)에 수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바, 즉 열교환 장치(4) 내의 액체는 열교환을 거치지 않고 직접 유출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를 포함하되, 제2 열교환 통로(42)는 액체 유입 통로 및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통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열교환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장치(4)에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내장되는 동시에 제2 열교환 통로(42)를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결 및 도통시켜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열교환하여 냉각한 후 다시 액체 유출 어셈블리(3)를 거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높은 온도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흘러 지날 때 이의 온도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냉각액의 온도보다 높으므로 제1 열교환 통로(40)는 끊임없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흡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열교환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하는데 이러한 냉각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팬을 설치하여 공랭을 진행하는 것과 같은 기타 냉각 방식을 통해 냉각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열교환 장치(4)는 공랭장치 등 일 수도 있다.
나아가, 가열 어셈블리(2)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제2 열교환 통로(42)는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 어셈블리(2)가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2)는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2)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제2 열교환 통로(42)는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수 있어 물 등 액체가 액체 유입 통로, 가열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2)가 열교환 장치(4) 내에 설치될 경우, 가열 어셈블리(2)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설치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을 직접 가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제2 열교환 통로(42)의 앞부분은 가열에 사용되고, 뒷부분은 물 등 액체에 대해 열교환을 진행하여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는 한편으로 액체 유입 통로 및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고, 가열통로의 출구는 또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결되므로 본 출원에서 액체 유입 통로-제1 열교환 통로(40)-가열통로 및 제2 열교환 통로(42)는 순차적으로 끝과 끝이 맞닿아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물 등 액체가 먼저 열교환 장치(4)의 제1 열교환 통로(42)를 거친 다음 제1 열교환 통로(40)로부터 가열통로에 진입하고, 그 다음 가열통로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42)에 진입하며,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열교환한 후, 액체 유출 통로(32)의 출구로부터 유출된다. 이러한 설치는,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진입한 저온 액체, 즉 가열되지 않은 액체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진입한 액체를 냉각시켜 별도로 냉각액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단독으로 냉각 순환 회로를 설치할 필요도 없이 제품 내부의 액체 유로 구조만 합리적으로 설치하여 냉각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외에,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 열교환 한 후,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한 후의 냉각 액체는 직접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여 가열하게 되어 가열통로 내에서 가열할 경우, 이를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 구조는, 가열 전의 물을 이용하여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흡수한 후의 냉각 액체를 직접 가열통로 내에 수송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로 가열할 수 있어 가열한 후의 물에서의 나머지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방안에서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가 연통된 후,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지 않고 직접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유입 통로로부터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 진입한 액체로 하여금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 열교환한 후 제1 열교환 통로(40)를 거쳐 액체 유입 통로에 되돌아와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가열통로 내에 진입한 액체의 온도를 향상시켜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열을 재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액체 유입 통로에 리저버(44)를 연결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가 리저버(44) 내에 진입하도록 한 다음,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입구와 리저버(44)를 연결시키고, 가열통로의 입구도 리저버(44)와 연결시켜 리저버(44)로 하여금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냉각 순환 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의 냉각을 구현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저버(44)로 하여금 제1 열교환 통로(40)가 열을 흡입한 후의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액체를 가열하여 열을 재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각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리저버(4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저버(44)를 별도로 설치하고, 리저버(44)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와 회로를 형성하여 끊임없이 냉방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1), 가열 어셈블리(2)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3)가 형성한 액체 유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순환 회로가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처리 장치가 작동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하지 않을 경우, 가열된 후의 물은 비등하는 물과 같은 대응되는 온도의 뜨거운 물을 직접 배출할 수 있으며,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 경우, 물을 비등과 같은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다시 이를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제품으로 하여금 물을 가열한 후 직접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가열한 후 다시 냉각하여 배출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어 제품의 다원화를 구현하므로 제품이 사용자의 여러 가지 요구를 보다 더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어셈블리(2)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리저버(44)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통로는 액체 유입 통로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가열통로의 입구가 리저버(44)와 연결되어 리저버(44)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2)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와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4)로 하여금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경우, 리저버(44)를 가열통로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연결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를 통해 리저버(44) 내에 냉각액을 첨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열교환한 후의 열이 제1 열교환 통로(40)를 통해 리저버(44) 내에 되돌아가도록 한 다음 리저버(44) 내의 액체를 가열하도록 하며, 가열통로도 리저버(44)와 연결되므로 리저버(44) 내에서 열교환한 후의 열을 냉각시켜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물 등 액체를 미리 가열하여 열교환하여 발생한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방안에서는, 가열통로와 리저버(44)를 동시에 직접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시켜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리저버(44)와 가열통로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진입한 저온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으나 제1 열교환 통로(40)를 통해 열교환하여 발생한 열을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방안은 모두 냉각 순환 통로와 액체 유로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냉각 순환 통로가 액체 유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44)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가열통로의 입구는 리저버(44)와 연결되어 리저버(44)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리저버(44)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는 제1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가열통로의 입구와 리저버(44) 사이에는 제2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리저버(40) 사이에는 제3 펌핑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저버(44)를 가열통로의 입구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연결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의 액체 유입 통로를 통해 리저버(44) 내에 냉각액을 첨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열교환한 후의 열이 제1 열교환 통로(40)를 통해 리저버(44) 내에 되돌아가도록 한 다음 리저버(44)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통로도 리저버(44)와 연결되는 것을 감안하여, 리저버(44) 내에서 열교환한 후의 열을 냉각시켜 가열통로 내에 진입한 물 등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열교환 후 발생한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이 방안에 대하여, 리저버(44)와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 제1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액체 유입 통로 내의 액체가 제1 펌핑 장치에 의해 리저버 내에서 펌핑되도록 하는 동시에 가열통로의 입구와 리저버(44) 사이에 제2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리저버(44) 내의 액체가 제2 펌핑 장치에 의해 가열통로 내에 펌핑되도록 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와 리저버(44) 사이에 제3 펌핑 장치를 설치하여 리저버(44) 내의 액체가 제3 펌핑 장치에 의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 펌핑되도록 하는데, 이 설치는 제3 펌핑 장치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량을 제어하여 열교환 장치의 냉각 효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 제3 펌핑 장치를 오프시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오픈 또는 오프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제3 펌핑 장치를 통해 냉각 기능의 오픈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 3개의 펌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의 유동 압력이 더 크고 유속이 더 빠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펌핑 장치를 통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액체 유량을 제어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처리 장치는, 리저버(44) 내에 설치되어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는 온도 수집 소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온도 수집 소자는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여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에 따라 제1 열교환 통로(40)의 냉각액의 유량을 제어하고 냉각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2)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데, 제2 열교환 통로(42)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액체 처리 장치는, 입구가 가열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1 출구가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결되는 삼방 밸브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액체 유출 어셈블리(3)는, 일단이 삼방 밸브의 제2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결되는 브랜치 통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2) 내에는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가열통로가 액체 유입 통로 및 열교환 장치(4)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 장치(4)가 가열통로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도록 할 경우, 가열통로의 출구와 삼방 밸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삼방 밸브의 제1 출구를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에 연결시키는 동시에 삼방 밸브의 제2 출구를 브랜치 통로에 의해 액체 유출 통로(32)와 연결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제1 출구를 통해 열교환 통로 내에 진입하여 열교환 냉각을 진행한 후 다시 액체 유출 통로(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열교환 장치(4)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2 출구와 브랜치 통로를 통해 직접 액체 유출 통로(32)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한편으로는 가열통로가 가열한 물이 브랜치 통로를 통해 직접 액체 유출 통로(32)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삼방 밸브의 입구와 제2 출구가 차단되는 동시에 삼방 밸브의 입구가 제1 출구와 연통되도록 하여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직접 열교환 장치(4) 내에 진입하도록 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를 통해 열교환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삼방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냉각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배출되도록 하여 끓인 물과 같은 높은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가열통로가 가열한 후의 물이 냉각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온도의 저온 액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삼방 밸브의 설치는 끓인 물을 배출하는 기능과 온수를 배출하는 기능 사이의 전환을 구현할 수 있어 끓인 물 등급과 온수 등급 사이의 전환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여기의 브랜치 통로는 열교환 장치(4) 내에 내장되어 열교환 장치(4)의 일부가 될 수 있는데, 이때 3갈래 통로를 구비한 하나의 열교환 장치를 통해 물 등 액체의 열교환 냉각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액체 유출 어셈블리(3)는 액체 유출 통로(32)의 출구와 연결되는 액체 유출 노즐(34)을 더 포함한다. 액체 유출 노즐(34)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액체 유출 위치, 액체 유출 높이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물 등 액체를 받을 때 보다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 통로(40)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거나,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 열교환 통로(40)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설치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열교환 장치(4)의 열교환 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절곡 통로는 스네이크형 통로이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연결되는 S형 통로로 조성되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서로 연결된 N형 통로로 조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는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는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즉 제1 열교환 통로(40)가 입구로부터 출구까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열교환 효율은 점차 저하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온도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를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우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를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좌측에 설치하면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의 유동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게 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게 되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열교환 속도와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며, 이러한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하우징(46); 하우징(46) 내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양측에 설치되는 열전도 격판(48)을 포함하되; 여기서, 하우징(46)에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대응되게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되는 제1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되는 제1 출구가 설치되고, 하우징(46)에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대응되게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는 제2 입구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는 제2 출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장치(4)는 하우징(46)과 열전도 격판(48)을 포함하고, 하우징(46)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열전도 격판(48)은 하우징(46)의 내부 공간을 두 부분으로 이격시켜 하우징(46) 내에 두 개의 서로 독립적인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경우, 열전도 격판(48)으로 구획된 두 개의 통로에서의 하나를 제1 열교환 통로(40)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열교환 통로(42)로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4) 내의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는 열전도 격판(48)에 의해 이격되므로 두 개의 통로 사이의 열 전달이 더 편리하고 효과적이도록 하며, 그 밖에,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4)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가공하기 편리하여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46)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에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고, 하우징(46)에서 제2 열교환 통로(42)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4) 외부의 액체가 대응되는 출입구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6)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케이싱(462); 제1 케이싱(462)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464); 열전도 격판(48)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48)과 제1 케이싱(462)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링(466); 상기 열전도 격판(48)과 제2 케이싱(464)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48)과 제2 케이싱(464)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밀폐링(468)을 포함하고; 열전도 격판(48)이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이 내부를 두 개의 통로로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4)의 하우징(46)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므로 각 부품이 모두 비교적 간단하여 가공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48)을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 즉 열전도 격판(48)의 일부를 제1 케이싱(462) 내에 장착하고 열전도 격판(48)의 다른 일부를 제2 케이싱(464) 내에 장착시킬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하 설계에서는,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제1 밀폐링(466)을 설치하여 제1 밀폐링(466)을 통해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밀폐를 구현하는 동시에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제2 밀폐링(468)을 설치하여 제2 밀폐링(468)을 통해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1 밀폐링(466)과 제2 밀폐링(468)의 설치는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6)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케이싱(462); 제1 케이싱(462)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어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밀폐 연결하는 제3 밀폐링(도면 미도시)을 포함하되; 여기서, 열전도 격판(48)은 제1 케이싱(462) 내에 장착되거나 제2 케이싱(464) 내(이 실시예의 도면 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이의 내부를 두 개의 통로로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4)의 하우징(46)을 다수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각 부품마다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므로 가공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밀폐링을 설치함으로써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 사이를 밀폐시키므로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는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가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도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냉각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되어 제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액체가 제1 열교환 통로(40)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액체가 제1 열교환 통(40)로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한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도록 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 및/또는 제2 케이싱(464)의 외면에는 방열 핀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열 핀을 통해 방열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4)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핀은 제1 케이싱(46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싱(464)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에 동시에 방열 핀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462)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는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싱의 내면에 제1 이격 리브(4622)를 설치하여 제1 이격 리브(4622)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이격 리브(4622)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1 이격 리브(4622), 또는 제1 이격 리브(4622)와 열전도 격판(48)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1 이격 리브(4622)와 제1 케이싱(462)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형성하여 각 제1 이격 리브(4622)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는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케이싱(464)의 내면에 제2 이격 리브(4642)를 설치하여 제2 이격 리브(4642)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 또는 제2 열교환 통로의 길이를 증가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2 이격 리브(4642)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2 이격 리브(4642), 또는 제2 이격 리브(4642)와 열전도 격판(48)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2 이격 리브(4642)와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설치하여 각 제2 이격 리브(4642)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액체 공급 탱크(5);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열교환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제4 펌핑 장치(6)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유입 통로는 한편으로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와 연결되어 사용자 가정의 워터 파이프 등을 통해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액체 공급 탱크(5)를 설치하여 액체 공급 탱크(5)를 통해 액체 유입 통로에 물을 공급하고, 액체 공급 탱크(5)를 설치하여 물을 저장함으로써 워터 파이프와 멀리한 곳에 제품을 장착하여 제품의 사용 위치와 장착 위치가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액체 유입 통로 또는 가열통로에 제4 펌핑 장치(6)를 설치하여 제4 펌핑 장치(6)를 통해 물이 가열통로 내에 진입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출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교환 장치(4)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데, 냉각장치는 냉각박스 및 냉각박스 내에 설치되는 냉각액을 포함하고, 액체 유출 통로(32)는 적어도 일부가 냉각액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열교환 장치(4)는 액체 유출 통로(32)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공랭장치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냉각장치 내에 냉각액을 설치하며, 액체 유출 통로(32)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액 내에 장착시킴으로써 냉각액을 통해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냉각액은 물일 수 있고, 냉각액이 기타 흡열이 양호한 액체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설계에서, 열교환 장치(4)를 공랭장치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공랭장치를 통해 액체 유출 통로(32)를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장치(4), 공랭장치 및 냉각액을 구비한 냉각박스로 조성된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액체를 냉각시켜 다중 냉각을 구현할 수 있고, 또 상기 한 가지 냉각 방식을 이용하여 냉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처리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보드 및 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7)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처리 장치는 박스 쉘(8), 가열 어셈블리(2), 회로기판 어셈블리(7), 액체 유입 어셈블리(1) 및 액체 공급 탱크(5) 등을 포함하여 박스 쉘(8) 내에 장착할 수 있고, 박스 쉘(8)은 구체적으로 베이스와 쉘 커버로 조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액체 처리 장치는 구체적으로 즉열 주전자, 커피 포트, 두유 제조기, 믹서기 등 제품일 수도 있고, 액체 처리 장치는 또 즉열 주전자, 커피 포트, 두유 제조기, 믹서기를 제외한 브레이킹 머신, 약탕기 등과 같은 기타 제품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두 번째 양태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4)를 제공하는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처리 장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1), 액체 유출 어셈블리(3) 및 액체 유입 어셈블리(1)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3) 사이에 연결된 가열 어셈블리(2)를 포함하되, 도 8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를 포함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는 가열 어셈블리(2)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3) 사이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열교환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장치(4)는 액체 처리 장치 내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열교환 장치(4)에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내장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는 가열 어셈블리(2)와 액체 유출 어셈블리(3)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열교환 통로(40)는 구체적으로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열교환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를 열교환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열교환 냉각한 후 다시 액체 유출 어셈블리(3)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높은 온도의 액체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흐를 때 이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냉각액의 온도보다 높아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 등 액체의 열을 끊임없이 흡수할 수 있어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열교환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키는데, 이러한 냉각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기타 냉각 방식을 통해 냉각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팬을 설치하여 공랭하는 것으로, 이때 열교환 장치(4)는 공랭장치 등 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각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리저버(4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저버(44)를 별도로 설치하고, 리저버(44)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와 회로를 형성하여 냉방 능력을 끊임없이 제공함으로써 액체 유출 통로(32) 내의 물 등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입 어셈블리(1), 가열 어셈블리(2) 및 액체 유출 어셈블리(3)가 형성한 액체 유로를 독립시켜 냉각 순환 회로와 액체 유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순환 회로가 독립적으로 오픈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액체 처리 장치가 작동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냉각 순환 회로의 오픈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시키지 않을 경우, 가열한 후의 물은 대응되는 온도의 뜨거운 물, 예를 들면 비등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냉각 순환 회로를 오픈할 경우, 물을 비등과 같이 높은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다시 이를 낮은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배출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제품으로 하여금 물을 가열한 후 직접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저 물을 가열한 후 다시 냉각하여 배출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확장하여 제품의 다원화를 구현하므로 제품이 사용자의 여러 가지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 장치(4)는, 리저버(44) 내에 설치되어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는 온도 수집 소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온도 수집 소자는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여 리저버(44) 내의 액체의 온도에 따라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냉각액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냉각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 통로(40)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거나,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 열교환 통로(40)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설치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 및/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열교환 장치(4)의 열교환 효과를 증가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절곡 통로는 스네이크형 통로이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연결되는 S형 통로로 조성되거나 또는 절곡 통로가 다수의 끝과 끝이 서로 연결된 N형 통로로 조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는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는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의 온도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즉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로부터 출구까지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점차 저하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온도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를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 예를 들면 우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를 열교환 장치(4)의 동일측, 예를 들면 모두 좌측에 설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열교환 속도와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4)는, 하우징(46); 하우징(46) 내에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양측에 설치되는 열전도 격판(48)을 포함하되; 여기서, 하우징(46)에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대응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되는 제1 입구 및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되는 제1 출구가 설치되고, 하우징(46)에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대응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는 제2 입구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는 제2 출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장치(4)는 하우징(46)과 열전도 격판(48)을 포함하되, 하우징(46)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열전도 격판(48)은 하우징(46)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하우징(46) 내에 두 개의 서로 독립되는 통로가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경우, 열전도 격판(48)이 이격되어 형성한 두 개의 통로에서의 하나를 제1 열교환 통로(40)로 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열교환 통로(42)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4) 내의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는 열전도 격판(48)에 의해 이격되므로 두 개의 통로 사이의 열 전달이 보다 편리하고 고효율적이도록 하며, 그 밖에, 이러한 구조의 열교환 장치(4)의 구조도 상대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므로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다. 동시에, 하우징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고, 하우징(46)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대응되게 입구를 설치하여 열교환 장치(4) 외부의 액체가 대응되는 출입구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6)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케이싱(462); 제1 케이싱(462)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464); 열전도 격판(48)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48)과 제1 케이싱(462)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링(466); 열전도 격판(48)과 제2 케이싱(464)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48)과 제2 케이싱(464)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밀폐링(468)을 포함하고; 열전도 격판(48)이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이의 내부에서 두 개의 통로를 이격하고,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4)의 하우징(46)을 다수의 부품으로 구획하여 각 부품마다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므로 가공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장착할 경우, 열전도 격판(48)을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 즉 열전도 격판(48)의 일부를 제1 케이싱(462) 내에 장착하고, 열전도 격판(48)의 다른 한 부분을 제2 케이싱(464) 내에 장착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제1 밀폐링(466)을 설치하고, 제1 밀폐링(466)을 통해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 사이를 밀폐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제2 밀폐링(468)을 설치하여 제2 밀폐링(468)을 통해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를 밀폐시킨다. 제1 밀폐링(466)과 제2 밀폐링(468)의 설치는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6)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케이싱(462); 제1 케이싱(462)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어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밀폐 연결하는 제3 밀폐링(도면 미도시)을 포함하되; 여기서, 열전도 격판(48)은 제1 케이싱(462) 내에 장착되거나 제2 케이싱(464) 내(이 실시예의 도면 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을 통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다음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이의 내부에서 두 개의 통로를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설치는 열교환 장치(4)의 하우징(46)을 다수의 부품으로 분해하고, 각 부품마다 모두 비교적 간단하도록 하므로 가공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가공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밀폐링을 설치함으로써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 사이를 밀폐시켜 제1 케이싱(462),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된 곳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는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제1 출구와 제2 출구가 하우징(46)의 동일측에 위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액체의 흐름 방향이 일치, 즉 냉각액의 진입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진입구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고, 냉각액의 출구 방향과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뜨거운 물의 출구 방향도 일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설치를 거친 후, 제일 차가운 냉각액은 제일 뜨거운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열교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입구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열교환 통로(42)의 입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 출구의 액체와 열교환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출구의 액체는 제1 열교환 통로(40) 입구의 액체와 열교환하는데, 이러한 설치는 서로 열교환하는 액체의 온도가 비교적 근접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높지 않아 제품의 냉각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 및/또는 제2 케이싱(464)의 외면에는 방열 핀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열 핀을 통해 방열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4)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핀은 제1 케이싱(46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케이싱(464)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케이싱(462)과 제2 케이싱(464)에 동시에 방열 핀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462)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는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68)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싱(462)의 내면에 제1 이격 리브(4622)를 설치하여 제1 이격 리브(4622)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1 이격 리브(4622)는 제1 열교환 통(40)로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1 이격 리브(4622)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1 이격 리브(4622), 또는 제1 이격 리브(4622)와 열전도 격판(48)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1 이격 리브(4622)와 제1 케이싱(462)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형성하여 각 제1 이격 리브(4622)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가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는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케이싱(464)의 내면에 제2 이격 리브(4642)를 설치하여 제2 이격 리브(4642)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의 길이를 증가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 또는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의 액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제2 이격 리브(4642)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다수의 제2 이격 리브(4642)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제2 이격 리브(4642), 또는 제2 이격 리브(4642)와 열전도 격판(48)이 연결되는 곳, 또는 제2 이격 리브(4642)와 제2 케이싱(464)이 연결되는 곳에 간격을 설치하여 각 제2 이격 리브(4642) 앞뒤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세 번째 양태의 실시예는 액체 가열기구(20)에 사용되는 열교환 박스(10)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액체 가열기구(20)는 보온병(포트), 음수기 등을 포함하고, 열교환 박스(10)는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을 구비하되,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구체적으로는 도면에서의 제2 열교환 통로(42) 및/또는 제1 통로(42a) 및/또는 제2 통로(42b)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데,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아래 문장에서 42a와 42b를 구별하여 설명하지 않는 곳에서는 모두 제2 열교환 통로(42)로 설명하지만,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제2 열교환 통로(42)에 대한 추가적인 한정이 아니고, 충돌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1 통로(42a) 및/또는 제2 통로(42b)에 적용될 수 있다)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여기서,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이격시키며,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박스(10),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열교환 박스(10)는 구조가 간단하고 배치가 합리적이며 제품의 전체성이 더 양호하고,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가 열전도 격판(48)에 의해 열교환을 진행함으로써 뜨거운 유체가 신속하게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유체를 미리 가열하여 차가운 유체를 가열할 때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감소할 수 있고, 열전도 격판(48)의 높은 열전도성을 이용하여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의 열전달 속도를 증가시키며 열교환 시간을 단축하여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이격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에 격벽 형식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사이에 열교환을 형성하는 동시에 서로 혼합되지 않아 뜨거운 유체가 차가운 유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뜨거운 유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26,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는, 열전도 격판(48)에 커버되어 열전도 격판(48)과 밀폐 연결되고, 열전도 격판(48)과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는 박스 커버(구체적으로는 도면에서의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를 포함한다. 우선, 박스 커버는 열전도 격판(48)을 커버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사이즈 규격에서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고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 효과가 더 높도록 하며, 이 외에,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을 밀폐 연결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누액 및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40)의 매체 사이의 혼합을 방지함으로써 뜨거운 유체가 차가운 유체에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뜨거운 유체의 안전성 및 위생을 향상시킨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은 오목 캐비티부(1111)를 포함하되, 오목 캐비티부(1111)는 일단이 개구를 구비하는 캐비티이고, 오목 캐비티부(1111) 내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며, 열전도 격판(48)은 오목 캐비티부(1111)의 개구를 커버한다.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이 오목 캐비티부(1111)를 구비하도록 설치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용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오목 캐비티부(1111) 내에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어 가이드 리브(170)를 통해 유체의 방향을 전환시켜 유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저하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의 열교환이 더 충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은 측벽 및 저벽을 구비하고, 측벽 및 저벽은 개구를 구비하는 캐비티를 에워싸서 한정하며, 저벽에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고, 유체는 오목 캐비티부(1111) 내에서 가이드 리브(170)를 따라 유동하여 유체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로 하여금 열교환 박스(10) 내에서 더 오래 머물도록 함으로써 더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가 더 양호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20, 도 38,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는 두 개의 박스 커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을 포함하되,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는 열전도 격판(48)이 분포되고,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은 열전도 격판(48)을 연결 및 클램핑한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하나는 열전도 격판(48)과 제2 열교환 통로(42)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다른 하나는 열전도 격판(48)과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며,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은 연결되는 동시에 열전도 격판(48)을 장착 및 고정시켜 제품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편리하도록 하여 조립 속도를 향상시키고 장착 시간을 단축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2, 도 23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오목 캐비티부(1111)의 개구와 제1 케이싱(462)의 오목 캐비티부(1111)의 개구는 대향되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격판(48)은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 의해 클램핑되는데,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열전도 격판(48)은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을 구비하고, 열전도 격판(48)의 한 측벽과 제2 케이싱(464)은 제2 열교환 통로(42)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열전도 격판(48)의 다른 한 측벽과 제1 케이싱(462)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적어도 하나가 열전도 격판(48)과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열전도 격판(48)의 고정 효과가 더 양호하고 열전도 격판(48)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하나에는 임베딩부(1112a)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용부(1112b)가 설치되며, 임베딩부(1112a)는 수용부(1112b) 내에 임베딩되어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를 포지셔닝한다. 예를 들면, 도 26,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딩부(1112a)는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범프를 포함하고, 수용부(1112b)는 범프와 맞물리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범프는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이 미리 포지셔닝 되도록 한다.
임베딩부(1112a)가 수용부(1112b) 내에 임베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지셔닝하고 미리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임베딩부(1112a)를 통해 수용부(1112b) 내에 임베딩되어 포지셔닝 함으로써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의 배합 정밀도가 더 높고 제2 열교환 통로(42) 및 제1 열교환 통로(40)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2,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하나에는 버클(1113a)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1113b)이 설치되며, 버클(1113a)과 걸림홈(1113b)은 걸림 결합된다. 상세하게, 버클(1113a)은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의 개구를 향해 연장되고, 버클(1113a)은 걸림홈(1113b) 내에 삽입되어 제2 케이싱(464)이 제1 케이싱(462)과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버클(1113a)과 걸림홈(1113b)의 걸림 결합은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편리한 장점을 가져 제품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두 개의 박스 커버의 연결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케이싱(464)(제1 케이싱(462))은 저벽과 측벽을 구비하고, 저벽과 측벽은 과도하게 이어지며, 버클(1113a)은 연결암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연결암은 제2 케이싱(464)의 측벽에 설치되고, 연결암의 일부는 제2 케이싱(464)의 측벽에 당접되며,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은 커버되어 연결암의 다른 일부가 제1 케이싱(462)의 측벽에 당접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암이 동시에 제2 케이싱(464)의 측벽 및 제1 케이싱(462)의 측벽에 당접되어 스토핑하도록 하여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2,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하나에는 러그가 설치되고, 러그에는 제1 홀(1114a)이 설치되며,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다른 하나에는 제2 홀(1114b)이 설치되고, 제2 홀(1114b)과 제1 홀(1114a)은 대응되게 설치되며, 연결부재(예를 들면 스크류, 볼트)는 제1 홀(1114a) 및 제2 홀(1114b) 내를 관통하여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을 잠금한다.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편리하여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의 연결 신뢰도를 보장하고 제품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돌출되는 임베딩부(1112a)가 형성되며, 임베딩부(1112a)에는 제1 홀(1114a)이 형성되고, 제1 케이싱(462)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며, 러그에는 수용부(1112b)(예를 들면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부(1112b)의 저벽에는 제2 홀(1114b)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임베딩부(1112a)는 수용부(1112b) 내에 임베딩되고, 제1 홀(1114a)과 제2 홀(1114b)은 도킹되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홀(1114a)과 제2 홀(1114b)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이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는, 열교환 박스(10)가 이격되게 분포된 다수의 열전도 격판(48)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과 각각 밀폐 연결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이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는 박스 몸체(112)를 포함한다. 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편리하여 생산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며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이 양측으로부터 열을 전달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의 열교환 효과가 추가로 향상되도록 한다.
나아가, 도 34,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몸체(112)는 양단이 관통된 환형체(1121)이고, 환형체(1121)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설치되며 환형체(1121)의 가이드 리브(170)는 환형체(1121)로 에워싸인 영역 내에 분포되고, 환형체(1121)의 양측에는 열전도 격판(48)이 배치되며, 양측의 열전도 격판(48)은 환형체 (1121)양단의 개구를 커버한다. 박스 몸체(112)를 양단이 관통된 환형체(1121)로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사이즈에서 더 큰 용적을 얻을 수 있고, 환형체(1121)에 가이드 리브(170)를 설치하여 가이드 리브(170)가 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데 유리하며, 유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키며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31,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는 두 개의 박스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박스 몸체(112)를 포함하되,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에는 열전도 격판(48) 및 박스 몸체(112)가 분포되고, 두 개의 박스 커버는 열전도 격판(48) 및 박스 몸체(112)를 연결 및 클램핑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박스 바디부(110)는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 및 하나의 박스 몸체(112)를 포함하되, 제2 케이싱(464)의 개구는 제1 케이싱(462)의 개구와 대향되고, 박스 몸체(112)는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위치하는데, 여기서, 열교환 박스(10)는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을 구비하고, 그 중의 한 열전도 격판(48)은 제2 케이싱(464)과 박스 몸체(112)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한 열전도 격판(48)은 제1 케이싱(462)과 박스 몸체(112)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이 제1 통로(42a)를 에워싸서 형성하도록 하고, 제1 케이싱(462)과 열전도 격판(48)이 제2 통로(42b)를 에워싸서 형성하도록 하며,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과 박스 몸체(112)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제1 통로(42a)와 제2 통로(42b)를 설치하여 차가운 유체로 하여금 유통하도록 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를 설치하여 뜨거운 유체가 유통하도록 하고, 이로써 제1 통로(42a)와 제2 통로(42b)가 동시에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열교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의 냉각 속도를 추가로 향상시키도록 한다.
나아가, 도 34,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에는 제1 도통구(11a) 및 제3 도통구(12a)가 설치되고, 제1 통로(42a)는 제1 도통구(11a)와 제3 도통구(12a)를 도통시키며, 제1 케이싱(462)에는 제2 도통구(11b) 및 제4 도통구(12b)가 설치되고, 제2 통로(42b)는 제2 도통구(11b)와 제4 도통구(12b)를 도통시키며, 박스 몸체(112)에는 제3 연통구(13)와 제4 연통구(14)가 설치되고,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3 연통구(13)와 제4 연통구(14)를 도통시키는데, 여기서, 제1 도통구(11a), 제3 도통구(12a)는 제2 케이싱(464)의 저벽에 설치되고, 제2 도통구(11b), 제4 도통구(12b)는 제1 케이싱(462)의 저벽에 설치되며, 제3 연통구(13)와 제4 연통구(14)는 박스 몸체(112)의 측벽에 설치되어 각 연통구의 파이프가 연결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는, 박스 바디부(110)가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 및 하나의 박스 몸체(112)를 포함하도록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제2 케이싱(464)의 개구와 제1 케이싱(462)의 개구가 대향되고, 박스 몸체(112)가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위치하되, 여기서, 열교환 박스(10)는 하나의 열전도 격판(48)을 구비하고, 열전도 격판(48)은 제2 케이싱(464)과 박스 몸체(112) 사이에 위치하며, 박스 몸체(112)는 제1 케이싱(462)과 연통되고, 제2 케이싱(464)과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를 에워싸서 형성하며, 열전도 격판(48), 제1 케이싱(462) 및 박스 몸체(112)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를 설치하여 뜨거운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를 설치하여 차가운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데, 제1 열교환 통로(40)의 용적이 제2 열교환 통로(42)의 용적보다 크기 때문에, 즉 열교환 박스(10) 내의 차가운 유체의 함량이 뜨거운 유체의 함량보다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차가운 유체가 뜨거운 유체와 열교환하여 뜨거운 유체가 충분히 열교환되도록 보장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설계하여 열전도 격판(48) 및 박스 몸체(112)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열전도 격판(48) 및 박스 몸체(112)의 고정 효과가 더 양호하고, 열전도 격판(48) 및 박스 몸체(112)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쉽게 어긋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인접하는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112) 사이 또는 인접하는 박스 몸체(112)와 박스 몸체(112) 사이에는 인서트 핏 포지셔닝이 형성된다. 이는 조립 작업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두 개의 박스 커버 사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포지셔닝하고 미리 고정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임베딩부(1112a)를 통해 수용부(1112b) 내에 임베딩되어 포지셔닝 함으로써 두 개의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112) 사이의 배합 정밀도가 더 높고 제2 열교환 통로(42) 및 제1 열교환 통로(40)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가장자리에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돌출되는 임베딩부(1112a)(예를 들면 범프)가 형성되며, 제1 케이싱(462)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수용부(1112b)(예를 들면 수용홈)이 형성되며, 박스 몸체(112)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대향되는 양측이 구비되는데, 여기서, 러그에서 제2 케이싱(464)을 향하는 일측에는 임베딩부(1112a)와 맞물리는 수용부(1112b)가 형성되고, 러그에서 제1 케이싱(462)을 향하는 일측에는 수용부(1112b)와 맞물리는 임베딩부(1112a)가 설치되어 제2 케이싱(464)과 박스 몸체(112)가 연결될 경우, 제2 케이싱(464)의 임베딩부(1112a)가 박스 몸체(112)의 수용부(1112b)가 임베딩되도록 배합하고 포지셔닝하여 제1 케이싱(462)이 박스 몸체(112)와 연결될 경우, 제1 케이싱(462)의 수용부(1112b)가 박스 몸체(112)의 임베딩부(1112a)와 임베딩되도록 배합하고 포지셔닝함으로써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 및 박스 몸체(112)를 포지셔닝 할 수 있다.
나아가, 박스 몸체(112)에는 연결부재로 하여금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홀(1122)이 설치되어 두 개의 박스 커버가 연결 조립되는 동시에 박스 몸체(112)를 연결 고정하여 두 개의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112) 3자의 연결 안정성 및 조립 정밀도를 강화하고 누액의 위험을 저하시켜 제품의 신뢰도 및 밀폐성을 더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64)의 가장자리에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돌출되는 임베딩부(1112a)(예를 들면 범프)가 형성되며, 임베딩부(1112a)에 제1 홀(1114a)이 형성되고, 제1 케이싱(462)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며, 러그에는 수용부(1112b)(예를 들면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부(1112b)의 저벽에는 제2 홀(1114b)이 형성되며, 박스 몸체(112)의 가장자리에는 러그가 구비되고, 러그에는 대향되는 양측이 구비되는데, 여기서, 러그에서 제2 케이싱(464)을 향하는 일측에는 임베딩부(1112a)와 맞물리는 수용부(1112b)가 형성되고, 러그에서 제1 케이싱(462)을 향하는 일측에는 수용부(1112b)와 맞물리는 임베딩부(1112a)가 설치되며, 박스 몸체(112)의 러그에는 관통되는 관통홀(1122)이 형성되어 제2 케이싱(464)과 박스 몸체(112)가 연결될 경우, 제2 케이싱(464)의 임베딩부(1112a)가 박스 몸체(112)의 수용부(1112b)가 임베딩되도록 배합하고 포지셔닝하여 제1 케이싱(462)이 박스 몸체(112)와 연결될 경우, 제1 케이싱(462)의 수용부(1112b)가 박스 몸체(112)의 임베딩부(1112a)와 임베딩되도록 배합하고 포지셔닝하는 동시에 제1 홀(1114a), 제2 홀(1114b) 및 관통홀(1122)이 도킹되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홀(1114a), 제2 홀(1114b) 및 관통홀(11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 및 박스 몸체(112)가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2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밀폐링(120)(예를 들면 고무 링 또는 실리콘 링)을 구비하고, 밀폐링(120)은 박스 바디부(110) 및 열전도 격판(48)과 당접되어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을 밀폐 연결시킴으로써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밀폐성을 더 고려하여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 사이가 쉽게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가 서로 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 및 열전도 격판(48) 사이에는 밀폐 접착층(130)(예를 들면 이 형성되고 밀폐 접착층(130)은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을 접착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밀폐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밀폐 접착층(130)을 이용하여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을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이 자리를 바꾸는 것을 더 보장하고,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의 연결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에서의 적어도 하나에는 요홈(140)이 설치되고,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은 적어도 일부가 요홈(140) 내에 임베딩된다. 요홈(140)을 통해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의 장착 위치를 제공하여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이 어긋남으로 인한 밀폐 실패 문제를 방지하며,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켜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이 박스 바디부(110) 및 열전도 격판(48)과 연결되는 밀폐 배합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밀폐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은 열전도 격판(48)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로써 폐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밀폐링(120) 또는 밀폐 접착층(130)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 및 위생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37, 도 38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의 박스 바디부(110)와 열전도 격판(48)에서의 적어도 하나에는 난류 구조(150)가 구성된다. 난류 구조(150)를 통해 매체의 유속이 느려져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가 더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난류 구조(150)는 매체를 교란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2 열교환 통로(42) 내부 및 제1 열교환 통로(40) 내부의 온도가 더 균일하고 열교환 효과가 더 보증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구조(150)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유체의 유동 방향과 서로 경사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구조(150)는 유체의 유동 방향과 서로 수직되도록 설계하여 난류 효과가 더 바람직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7, 도 51,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격판(48)에는 돌기 구조(151a) 및/또는 함몰 구조(151b)가 구성되는데, 돌기 구조(151a) 및/또는 함몰 구조(151b)는 열전도 격판(48)에서의 난류 구조(150)로 형성된다. 열전도 격판(48)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여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며, 돌기 구조(151a) 및/또는 함몰 구조(151b)를 통해 열전도 격판(48)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두 개의 매체 통로의 열전달 면적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열교환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4 및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격판(48)의 일부의 국부 영역에는 다수의 돌기 구조(151a)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의 국부 영역에는 다수의 함몰 구조(151b)가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데, 여기서 인접하는 돌기 구조(151a) 사이에는 함몰 구조(151b)가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 구조(151a)와 함몰 구조(151b)가 교대로 분포하여 열전도 격판(48)이 대체적으로 물결 모양 또는 스네이크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56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격판(48)에는 다수의 돌출된 리브가 설치되고, 리브는 난류 구조(150)를 형성하며, 난류 작용을 구현하는 동시에 리브를 이용하여 열전도 격판(48)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시켜 열전도 격판(48)의 두 개의 대향되는 측면에 리브가 각각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 격판(48) 양측에 위치하는 유체가 모두 리브에 의해 교란되어 열교환 효과가 더 양호하고, 나아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가 긴 막대기 형상을 이루어 다수의 리브가 병렬 및 이격되게 열전도 격판(48)에 분포됨으로써 리브가 동시에 일정한 방향 전환 작용을 구비하여 열전도 격판(48)의 기능이 더 풍부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 내는 열전도 격판(48)에 의해 다수의 공간을 이격하여 형성하는데, 여기서, 다수의 공간의 수량은 두 개의 또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하고, 공간 내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며, 가이드 리브(170)는 공간 내에서 절곡 형상의 통로(160)를 이격하여 형성한다. 이렇게, 유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연장하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완화시켜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가 더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7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난류 리브(152)가 설치되고, 제1 난류 리브(152)는 통로(160) 내에 돌출되며, 이로써 가이드 리브(170)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유체의 흐름 속도를 더 완화시켜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70)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되어 더 큰 열교환 면적을 얻을 수 있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이드 리브(170)는 박스 바디부(110)에 설치되는 바,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170)는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에 설계되고,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은 저벽 및 측벽을 구비하며, 열전도 격판(48)은 저벽과 이격되게 분포되는 동시에 측벽에 당접되어 열전도 격판(48), 저벽 및 측벽이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저벽에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고, 가이드 리브(170)의 높이는 측벽의 높이보다 낮아 유체가 가이드 리브(170)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간격에서 유통되도록 하여 더 큰 열전달 면적을 얻을 수 있고, 유체는 열전도 격판(48)과 더 충분히 접촉하여 열교환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의 박스 바디부(110)는 차단벽(113)을 구비하되, 차단벽(113)과 열전도 격판(48)은 공간을 에워싸서 형성하고, 차단벽(113)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난류 리브(153)가 설치되며, 제2 난류 리브(153)는 통로(160) 내에 돌출되어 방향을 전환시키는 동시에 유체의 흐름 속도를 더 완화시켜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70)는 공간 내에서 스네이크형의 통로(160)를 이격하여 형성한다. 유체가 제2 열교환 통로(42)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서의 유동 경로를 더 연장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매체 및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매체가 더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격판(48) 양측의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가 투영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어 열교환 박스(10) 내부의 구조 배치가 더 합리적이고,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충분히 이용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의 열전달 면적이 더 커지고 열교환이 더 효율적이도록 할 수 있다.
열전도 격판(48) 양측의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가 교차되게 분포되어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더 높게 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를 설치하여 병류 열교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48,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제1 연통구(11), 제2 연통구(12), 제3 연통구(13), 제4 연통구(14)를 구비하되,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열교환 통로(42)는 제1 연통구(11)와 제2 연통구(12)를 도통시키고,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3 연통구(13)와 제4 연통구(14)를 도통시키는데, 여기서, 제1 연통구(11)와 제3 연통구(13)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되거나, 및/또는 제2 연통구(12)와 제4 연통구(14) 사이의 위치는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열전도 격판(48)은 금속부품, 예를 들면, 열전도 격판(48)은 알루미늄 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일 수 있는 바, 이렇게 되면 열전도 격판(48)은 열전도 성능이 양호하고 원가가 저렴한 장점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의 박스 바디부(110)는 열전도 부품, 예를 들면, 박스 바디부(110)는 열전도 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박스 바디부(110)는 알루미늄 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가공하여 제조되어 열교환 박스(10)가 외부와 열교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박스(10)의 온도를 더 저하시키는데 유리하여 뜨거운 유체가 더 발리 방열할 수 있도록 하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의 박스 바디부(110) 표면에는 핀(180)이 설치되어 열교환 박스(10)와 외부가 열교환을 진행하는 능력을 더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네 번째 양태의 실시예는 액체 가열기구(20)를 제공하는데, 도 59, 도 60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액체 유출 노즐(34), 액체 공급 탱크(5) 및 액체 유출 노즐(34)과 액체 공급 탱크(5)를 잇는 수로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열교환 박스(10)는 수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20)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열교환 박스(10)를 설치함으로써 이상의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세하게, 도 61, 도 62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기구(20)는 박스 쉘(8), 회로기판 어셈블리, 수증기 분리박스 어셈블리(230) 등을 더 구비한다. 박스 쉘(8)은 액체 공급 탱크(5), 수로 시스템을 수용하고,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전원 어셈블리(221) 및 제어 어셈블리(222)를 포함하며, 수증기 분리박스 어셈블리(230)는 가열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분리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은 하나의 열교환 박스(10)를 구비하는데, 상세하게, 열교환 박스(10)는 제1 매체 통로와 제2 매체 통로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1 매체 통로는 냉수로 하여금 유통하도록 하며, 제2 매체 통로는 뜨거운 물로 하여금 유통하도록 하고, 열교환 박스(10)는 제1 연통구(11), 제2 연통구(12), 제3 연통구(13), 제4 연통구(14)를 구비하는데, 제2 열교환 통로(42)는 제1 연통구(11)와 제2 연통구(12)를 도통시키고, 냉수는 제1 연통구(11)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 유입되어 제2 연통구(12)를 따라 유출되며,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3 연통구(13)와 제4 연통구(14)를 도통시키고, 뜨거운 물은 제4 연통구(14)로부터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 유입되어 제3 연통구(13)를 따라 유출되며, 액체 공급 탱크(5)와 제1 연통구(11)는 연통되어 냉수를 공급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은 제3 연통구(13)와 연통되어 냉각한 후의 뜨거운 물이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의 수로 시스템은 다수의 열교환 박스(10)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다수의 열교환 박스(10)의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는 직렬 연결되고, 다수의 열교환 박스(10)의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는 직렬 연결된다. 열교환 박스(10)를 증가하는 것을 통해 유체의 유동 경로를 연장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가 충분히 열교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수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위치가 액체 공급 탱크(5)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아 물이 연결기 원리로 인하여 액체 유출 노즐(34)로부터 직접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열교환 박스(10)의 제1 연통구(11), 제2 연통구(12), 제3 연통구(13) 및 제4 연통구(14)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액체 공급 탱크(5)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아 액체 공급 탱크(5)보다 높은 최고 수위 위치를 더 쉽게 보장하고 조립이 더 편리하도록 하며 조립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물이 연결기 원리로 인하여 액체 유출 노즐(34)로부터 직접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3 및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수직되게 안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수평되게 안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는 경사지게 안착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수로 시스템은 가열 어셈블리(2)와 물 분배 박스(212)를 더 구비하되; 물 분배 박스(212)는 액체 공급 탱크(5)와 열교환 박스(10)의 제2 열교환 통로(42)를 연결하고, 액체 공급 탱크(5)는 물 분배 박스(212)를 거쳐 제2 열교환 통로(42)에 물을 공급하며; 물 분배 박스(212)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가열 어셈블리(2)를 연결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는 물 분배 박스(212)를 거쳐 가열 어셈블리(2)에 물을 공급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는 가열 어셈블리(2) 및 액체 유출 노즐(34)을 연결한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배 박스(212)는 제1 수용실과 제2 수용실을 구비하되, 여기서 제1 수용실은 액체 공급 탱크(5)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어 액체 공급 탱크(5)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물 분배 박스(212)를 통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액체 공급 탱크(5)에서의 냉수가 제1 수용실 내에 배출되도록 하고, 제1 수용실을 거쳐 제2 열교환 통로(42)에 배출되며, 액체 공급 탱크(5)에서 온 냉수는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뜨거운 물과 충분히 열교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뜨거운 물이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냉수는 사전 가열되며, 제2 열교환 통로(42)가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과 연통, 즉 제1 수용실, 제2 수용실 및 제2 열교환 통로(42)가 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의 충분히 열교환한 후 제2 수용실에 환류하고, 가열 어셈블리(2)는 제2 수용실과 연통하여 가열 어셈블리(2)가 냉수를 비등할 때까지 충분히 가열하는데, 냉수가 이미 사전 가열 처리를 거쳤으므로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시간 및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제품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며 제품이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와 액체 유출 노즐(34)을 연통시켜 충분히 열교환한 후의 뜨거운 물이 최종적으로 액체 유출 노즐(34)을 거쳐 유출되도록 한다.
나아가, 제1 수용실과 제2 수용실은 서로 연결되어 제1 수용실이 제2 수용실에 물을 보충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에서 온 물이 부족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수용실이 충분한 물을 가열 어셈블리(2)에 공급하도록 보장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가 건조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제1 수용실과 제2 수용실 사이가 제1 수용실로부터 제2 수용실을 향해 도통하고 제2 수용실로부터 제1 수용실까지 만료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사전 가열된 냉수가 제1 수용실에 환류되어 제1 수용실 내의 냉수와 열교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한편으로는 사전 가열된 냉수가 신속하게 냉각되어 열손실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수용실 내의 냉수가 승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수용실 내의 냉수가 제2 열교환 통로(42)에 유입한 후 제2 열교환 통로(42)의 냉수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뜨거운 물과 충분한 온도차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량을 보장하고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로 시스템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212)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42)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 펌프(213)를 구비하는데, 상세하게, 제1 펌프(213)가 물 분배 박스(212)의 제1 수용실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고, 냉수를 구동하여 제1 수용실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42)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성한다. 유체 흐름의 고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체가 정체되는 문제를 방지하며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이 고효율적이 되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로 시스템은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212)로부터 가열 어셈블리(2)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 펌프241를 구비하는데, 상세하게, 제2 펌프(214)가 물 분배 박스(212)의 제2 수용실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고, 냉수를 구동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로부터 제2 수용실을 향해 유동하도록 구성한다. 유체 흐름의 고효율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체가 정체되는 문제를 방지하며 가열 어셈블리(2)가 건조 연소되는 위험을 방지하며 제품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수로 시스템의 물 분배 박스(212), 가열 어셈블리(2), 제1 펌프(213) 및 제2 펌프(214)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적어도 일부 위치는 액체 공급 탱크(5)의 최고 수위 위치보다 높다. 이렇게 되면 수로 시스템과 액체 유출 노즐(34), 액체 공급 탱크(5)가 커넥터를 형성하여 물이 직접 액체 유출 노즐(34)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9 내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박스 커버(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싱(464) 및/또는 제1 케이싱(462)을 구비), 박스 몸체(112) 및 열전도 격판(48)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열교환 박스(10)는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 및 적어도 하나의 박스 몸체(112)를 구비하되, 제2 케이싱(464)은 제1 케이싱(462)과 대향되는 동시에 이격되게 분포되고, 박스 몸체(112)는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 사이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제2 케이싱(464), 제1 케이싱(462)과 박스 몸체(112) 사이에는 열전도 격판(48)이 설치되고, 제2 케이싱(464)과 제1 케이싱(462)은 연결되는 동시에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을 클램핑한다. 여기서,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은 제2 열교환 통로(42)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두 개의 열전도 격판(48)과 박스 몸체(112)는 제1 열교환 통로(40)를 에워싸서 형성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의 양측에는 제2 열교환 통로(42)가 각각 분포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는 냉수로 하여금 유통하도록 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는 뜨거운 물로 하여금 유통하도록 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냉수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뜨거운 물은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열교환한다. 이렇게 되면,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냉수 및 뜨거운 물을 이격시켜 냉수 및 뜨거운 물로 하여금 열전도 격판(48)을 통해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물이 신속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수를 가열할 수 있어 이가 가열 어셈블리(2)에 진입할 때 이를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는 투영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어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충분히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킨다.
제2 열교환 통로(42)의 진입구 방향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 방향과 일치, 즉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는 역류하도록 분포되어 역류 열교환의 방식을 이용하여 온도가 더 낮은 출수 온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 사이 및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 사이가 각각 밀폐 연결되도록 하여 냉수, 뜨거운 물이 서로 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 박스(10) 누출을 방지하여 뜨거운 물의 음용 안전성 및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는 밀폐링(120)을 구비하되, 밀폐링(120)은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위치하여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갭에 당접되어 밀폐하며, 밀폐링(120)은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위치하여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갭에 당접되어 밀폐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는 밀폐 접착층(130)을 구비하되, 밀폐 접착층(130)은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위치하여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을 접착 고정하고, 밀폐 접착층(130)은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 사이에 위치하여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을 접착 고정한다.
나아가, 박스 커버에는 환형을 이루는 요홈(140)이 설치되고, 밀폐링(120) 및/또는 밀폐 접착층(130)은 적어도 일부가 요홈(140) 내에 임베딩되어 밀폐링(120) 및/또는 밀폐 접착층(13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며, 밀폐 신뢰도를 보장한다.
더 나아가, 열교환 박스(10) 내는 열전도 격판(48)에 의해 다수의 공간을 이격하여 형성하는데, 공간 내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고, 가이드 리브(170)는 공간 내에 절곡 형상의 물 흐름 통로(160)를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물 흐름의 유동 거리를 증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70)는 박스 커버에 설치되는 바, 상세하게, 박스 커버는 오목 캐비티부(1111)를 구비하고, 오목 캐비티부(1111)는 일단이 개구를 구비한 캐비티이며, 오목 캐비티부(1111) 내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되고, 열전도 격판(48)은 오목 캐비티부(1111)의 개구를 커버하며, 나아가, 가이드 리브(170)는 박스 커버에 설치되어 열전도 격판(48)과 일정한 간격을 가짐으로써 박스 커버와 열전도 격판(48)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70)는 박스 몸체(112)에 설치되는 바, 상세하게, 박스 몸체(112)는 양단이 관통되는 환형체(1121)이고, 환형체(1121)에는 가이드 리브(170)가 설치되는 동시에 환형체(1121)의 가이드 리브(170)는 환형체(1121)가 에워싸서 형성한 영역 내에 분포되며, 환형체(1121)의 양측에는 열전도 격판(48)이 각각 분포되고, 양측의 열전도 격판(48)은 환형체(1121) 양단의 개구를 커버하며, 나아가, 가이드 리브(170)는 박스 몸체(112)에 설치되는 동시에 열전도 격판(48)과 일정한 간격을 가짐으로써 박스 몸체(112)와 열전도 격판(48)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70)는 열전도 격판(48)에 설치되는 바, 상세하게, 열전도 격판(48)은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가지고, 각 측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170)가 분포된다.
더 나아가, 물 흐름 통로(160)에는 난류 구조(150)가 설치되고, 난류 구조(150)를 통해 물의 난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물과 열전도 격판(48) 사이의 대류 열교환 계수를 증가시키고, 열교환량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난류 구조(150)는 물 흐름 방향을 따라 설계할 수도 있고 물 흐름 방향과 경사지게 설계할 수도 있으며, 또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난류 구조(150)와 물 흐름 방향을 수직되게 설치하는데, 이렇게 되면 더 바람직한 난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난류 구조(150)는 난류 리브를 포함하되, 난류 리브는 박스 커버 및/또는 박스 몸체(112)에 설치되어 제2 열교환 통로(42) 및/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에 삽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난류 구조(150)는 열전도 격판(48)에 설치되어 난류를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 격판(48)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열전도 격판(48)에는 돌기 구조(151a) 및/또는 함몰 구조(151b)가 구성되는데, 돌기 구조(151a) 및/또는 함몰 구조(151b)는 열전도 격판(48)의 난류 구조(150)로 형성된다. 또는, 열전도 격판(48)에 다수의 리브 플레이트 구조가 구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리브 플레이트 구조는 열전도 격판(48)의 난류 구조(150)로 형성된다.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 열전도 격판(48)은 알루미늄 판 또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 박스 커버와 박스 몸체(112)는 높은 열전도 재료로 가공된다. 나아가, 박스 커버의 외부에 핀(180)을 설치하고 핀(180)을 통해 외부와의 열교환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은 상기 열교환 박스(10)를 가지는 액체 가열기구(20)를 더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액체 가열기구(20)는 포트, 보온병, 음수기, 정수기 등을 포함한다.
이하, 액체 가열기구(20)가 즉열 물병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액체 가열기구(20)는 액체 유출 노즐(34), 액체 공급 탱크(5) 및 액체 유출 노즐(34)과 액체 공급 탱크(5)를 잇는 수로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열교환 박스(10)는 수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세하게, 수로 시스템은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어셈블리(2), 물 펌프, 회로기판 어셈블리(예를 들어 설명하면,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전원 어셈블리(221) 및 제어 어셈블리(222)를 포함), 물 분배 박스(2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수 파이프에는 열교환 박스(10)가 연속되게 연결된다. 나아가, 열교환 박스(10)는 판형 열교환 박스(10)이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즉열 물병에 있어서, 이의 열교환 박스(10)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포함하는데, 상세하게, 물 분배 박스(212)는 제1 수용실과 제2 수용실을 구비하되, 여기서 제1 수용실은 액체 공급 탱크(5) 및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연통되어 액체 공급 탱크(5)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물 분배 박스(212)를 통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액체 공급 탱크(5)에서의 냉수가 제1 수용실 내에 배출되도록 하고, 제1 수용실을 거쳐 제2 열교환 통로(42)에 배출되며, 액체 공급 탱크(5)에서 온 냉수는 제2 열교환 통로(42)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뜨거운 물과 충분히 열교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뜨거운 물이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냉수는 사전 가열되며, 제2 열교환 통로(42)가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과 연통, 즉 제1 수용실, 제2 수용실 및 제2 열교환 통로(42)가 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물의 충분히 열교환한 후 제2 수용실에 환류하고, 가열 어셈블리(2)는 제2 수용실과 연통하여 가열 어셈블리(2)가 냉수를 비등할 때까지 충분히 가열하는데, 냉수가 이미 사전 가열 처리를 거쳤으므로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시간 및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제품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며 제품이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와 액체 유출 노즐(34)을 연통시켜 충분히 열교환한 후의 뜨거운 물이 최종적으로 액체 유출 노즐(34)을 거쳐 유출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 탱크(5)-물 분배 박스(212)의 제1 수용실-제2 열교환 통로(42)-물 분배 박스(212)의 제2 수용실은 수로 시스템의 물 수송 파이프를 형성하고, 물 분배 박스(212)의 제2 수용실-가열 어셈블리(2)-제1 열교환 통로(40)-액체 유출 노즐(34)은 수로 시스템의 출수 파이프를 형성하며, 물 분배 박스(212)를 통해 제2 열교환 통로(42) 및 가열 어셈블리(2)에 동시에 물을 공급하고, 제2 열교환 통로(42)의 회수를 받아들여 수로 시스템에서의 각 부품 사이의 파이프 연결이 더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부의 연결 파이프가 더 간결하고 복잡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열교환 박스(10)의 적어도 일부가 액체 공급 탱크(5)의 최대 수위보다 높도록 설치하는데, 상세하게, 열교환 박스(10)의 출수 연통구가 액체 공급 탱크(5)의 최대 수위보다 높도록 설치하여 액체 공급 탱크(5) 내의 물이 연결기 원리로 인하여 열교환 박스(10)의 출수 연통구로부터 직접 유출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의 위치가 액체 공급 탱크(5)의 최대 수위보다 낮을 경우, 열교환 박스(10)의 연통구와 연결된 파이프의 일부가 액체 공급 탱크(5)의 최대 수위보다 높도록 설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는 제품에 수직으로 안착되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열교환 박스(10)는 제품에 수평으로 안착된다.
물 펌프는 제1 펌프(213) 및 제2 펌프(214)를 포함하되, 제1 펌프(213)는 액체를 구동하여 물 분배 박스(212)로부터 제2 열교환 통로(42)를 향해 유동하도록 하고, 제2 펌프(214)는 액체를 구동하여 물 분배 박스(212)로부터 가열 어셈블리(2)를 향해 유동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제1 펌프(213)는 역류 방지 밸브로서, 물 분배 박스(212)의 물이 환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열교환 박스 및 액체 가열기구에 있어서, 열교환 박스 내에 제1 매체 통로와 제2 매체 통로가 형성되고, 열전도판은 제1 매체 통로와 제2 매체 통로를 이격시켜 열교환 박스의 구조가 간단하고 배치가 합리적이며 제품의 전체성이 더 양호하고, 차갑고 뜨거운 유체가 열전도판을 통해 열교환하여 뜨거운 유체가 신속하게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유체를 미리 가열하여 차가운 유체를 가열할 때 비등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를 감소할 수 있으며, 열전도판의 높은 열전도성을 이용하여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의 열전달 속도를 증가시키고, 열교환 시간을 단축하여 열교환 박스의 열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전도판을 통해 제1 매체 통로와 제2 매체 통로를 이격시켜 차갑고 뜨거운 유체 사이에 격벽 형식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매체 통로 내의 매체와 제2 매체 통로 내의 매체 사이에 열교환을 형성하는 동시에 서로 혼합되지 않아 뜨거운 유체가 차가운 유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뜨거운 유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다섯 번째 양태의 실시예는 액체 가열기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수로 시스템(30), 측온 시스템(70) 및 제어 어셈블리(2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30)은 액체 유출 노즐(34), 열교환 박스(10),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 및 가열 어셈블리(2)를 구비하고; 열교환 박스(10)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를 구비하되, 제1 열교환 통로(40)는 제2 열교환 통로(42)와 열교환하고; 가열 어셈블리(2)는 입수구(331)와 배수구(332)를 구비하되, 입수구(331)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되고 제2 열교환 통로(42)는 배수구(332) 및 액체 유출 노즐(34)와 연통되며;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는 수로 시스템(3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적합하다.
수로 시스템(30)의 하나의 작업 조건에서, 가열 어셈블리(2)는 물을 가열하고,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물은 배수구(332)를 거쳐 제2 열교환 통로(42)에 배출되며, 제2 열교환 통로(42)를 흐른 후 액체 유출 노즐(34)을 따라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가 열교환하므로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 배출한 물은 제2 열교환 통로(42)를 흐르는 과정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물질과 열교환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물이 액체 유출 노즐(34)을 따라 배출하기 전에 효과적인 냉각을 거치게 되어 액체 가열기구가 상이한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이한 온도의 물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구조에서는 가열 어셈블리(2)로 하여금 물을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하도록 할 수 있어 물에서의 대부분의 세균을 제거하여 식용 안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는 비등이 아닌 등급에서 물을 지정 온도까지 가열하여 멀티 등급 온도 출수를 제공하는 관련 기술에 비해 사용자가 상이한 온도 등급의 수온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살균 효과가 보다 보장되어 사용자의 출수 온도 수요와 식용 안전 수요를 고려할 수 있고, 열교환 박스(10)의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서 열교환하여 승온한 후의 물이 가열 어셈블리(2)에 공급되어 제품의 열 회수를 구현하고 제품의 운행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수로 시스템(30)과 서로 연결되어 수로 시스템(30)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칩, 회로기판 등 일 수 있으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는데, 여기서, 제어 어셈블리(222)는 측온 시스템(70), 가열 어셈블리(2) 및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측온 시스템(70)이 피드백한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3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적합하다. 이렇게 되면 수로 시스템의 온도 제어 조절을 이루어 제품 출수 온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실제 출수 온도가 출수 온도 수요를 더 만족시키도록 하고 제품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제1 측온 소자(710)를 포함하는데, 제1 측온 소자(710)는 입수구(331)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1 측온 소자(71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적어도 제1 측온 소자(710)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를 제어한다. 여기서, 가열 어셈블리(2)가 흡수한 것은 가능하게 제1 열교환 통로(40)에서 유래된 열교환을 거친 후의 물이고 온도가 비교적 높으며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1 측온 소자(710)를 설치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의 수온을 수집하며, 이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을 제어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의 열공급량과 열에너지 수요 사이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여 가열 어셈블리(2)가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더 잘 보장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2) 내의 물이 비등까지 가열되도록 더 잘 보장하여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열교환 박스(10) 내의 열교환 효율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측온 소자(710)는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에 설치되고, 일부가 입수구(331) 내에 삽입되어 입수구(331) 내의 수온을 수집하거나, 또는 입수구(331) 외에 위치하여 입수구(331)의 파이프 온도를 수집함으로써 입수구(331)의 파이프 온도에 기반하여 입수구(331) 내의 수온을 반영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입수구(331)의 수온에 기반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의 정확도와 안정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로 시스템(30)의 가열 어셈블리(2)의 상류 위치에 펌프(구체적으로는 도 77에서의 제2 펌프(214)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 또는 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펌프 또는 밸브와 입수구(331)가 연결되거나, 또는 파이프를 거쳐 펌프 또는 밸브와 입수구(331)를 가운데 위치하도록 연결한다. 제어 어셈블리(222)는 펌프의 작동 파라미터(예컨대 유량, 회전 속도, 빈도 등) 또는 밸브의 오프닝을 조절함으로써 입수구(331)의 유량, 유속 등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고, 펌프 또는 밸브를 입수구(331)의 상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고온수가 이 펌프 또는 밸브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펌프 또는 밸브의 사용수명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는 수요에 따라 펌프 또는 밸브를 수로 시스템(30)의 가열 어셈블리(2)의 하류측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입수구(331)의 유량, 유속 등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제2 측온 소자(720)를 포함하되, 제2 측온 소자(720)는 배수구(332)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2 측온 소자(72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적어도 제2 측온 소자(720)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을 제어한다. 여기서, 가열 어셈블리(2)가 흡수한 것은 가능하게 제1 열교환 통로(40)에서 유래된 열교환을 거친 후의 물이고 온도가 비교적 높으며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2 측온 소자(720)를 설치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의 수온을 수집하며, 이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을 제어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의 열공급량과 열에너지 수요 사이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여 가열 어셈블리(2)가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더 잘 보장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2) 내의 물이 비등까지 가열되도록 더 잘 보장하여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열교환 박스(10) 내의 열교환 효율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측온 소자(720)는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에 설치되고, 일부가 배수구(332) 내에 삽입되어 배수구(332) 내의 수온을 수집하거나, 또는 배수구(332) 외에 위치하여 배수구(332)의 파이프 온도를 수집함으로써 배수구(332)의 파이프 온도에 기반하여 배수구(332) 내의 수온을 반영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배수구(332)의 수온에 기반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의 정확도와 안정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어셈블리(222)에는 제1 비교기(510)가 설치되되, 제1 비교기(510)의 한 입력단은 제2 측온 소자(7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배수구(332)의 온도를 획득하고, 제1 비교기(510)의 다른 한 입력단은 기설정 온도 임계값에 액세스되며, 배수구(332)의 온도는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제1 비교기(510)의 출력 신호는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331)의 유속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배수구(332)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제1 비교기(510)는 신호를 발송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로 하여금 입수구(331)의 유속을 하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가 배출한 액체의 온도가 상응하게 상승하도록 하여 살균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고 식용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배수구(332)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비교기(510)는 신호 출력을 진행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331)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물론, 배수구(332)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제1 비교기(510)의 출력 신호가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가 입수구(331)의 유속을 상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 온도 임계값은 90℃~100℃이다. 더 나아가, 해발이 1000미터보다 낮은 위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제품에 대하여, 기설정 온도 임계값이 95℃~100℃라고 추가로 설치한다. 이렇게 되면 제품의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기설정 온도 임계값은 가열 대기 액체(예컨대 물)의 비등 온도 일 수도 있고 비등 온도보다 약간 낮을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방안에서의 기설정 온도 임계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90℃~100℃ 및 95℃~100℃의 한정을 받지 않는 바, 실제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구체적인 살균 수요에 근거하여 기설정 온도 임계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하나씩 나열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설계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모두 본 방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어셈블리(222)에는 제2 비교기(520)가 설치되되, 제2 비교기(520)의 한 입력단은 제2 측온 소자(7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배수구(332)의 온도를 획득하고, 제2 비교기(520)의 다른 한 입력단은 비등 온도에 액세스되며, 배수구(332)의 온도는 적어도 비등 온도이고, 제2 비교기(520)의 출력 신호는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331)의 유속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배수구(332)의 온도가 오랜 시간동안 비등 온도(예를 들면 100℃) 및 그 이상일 경우, 제2 비교기(520)는 신호를 발송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로 하여금 입수구(331)의 유속을 상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함으로써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배수구(332)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2 비교기(520)는 신호 출력을 진행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입수구(331)의 유속이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물론, 배수구(332)의 온도가 비등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2 비교기(520)의 출력 신호가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향상시키도록 트리거하거나 및/또는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가 입수구(331)의 유속을 하향 조절하도록 트리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등 온도는 90℃~100℃이다. 이렇게 되면 제품의 살균효과가 더 보장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방안에서의 비등 온도의 구체적인 수치는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90℃~100℃의 한정을 받지 않는 바, 실제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주변 기압 및 구체적인 비등 온도 요구에 근거하여 상술한 비등 온도의 구체적인 수치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하나씩 나열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설계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모두 본 방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제3 측온 소자(730)를 포함하되, 제3 측온 소자(730)는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3 측온 소자(73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적어도 제3 측온 소자(730)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등)를 제어한다. 이 피드백 조절은 높은 응답 적시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액체 유출 노즐(34)의 수온을 목표값까지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3 측온 소자(730)는 액체 유출 노즐(34)에 설치되고, 일부가 액체 유출 노즐(34) 내에 삽입되어 액체 유출 노즐(34) 내의 수온을 수집하거나, 또는 액체 유출 노즐(34) 외에 위치하여 액체 유출 노즐(34)의 파이프 온도를 수집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34)의 파이프 온도에 기반하여 액체 유출 노즐(34) 내의 수온을 반영한다. 이렇게 되면 액체 유출 노즐(34)의 수온에 기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나아가, 액체 가열기구는,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명령 수신 소자를 더 포함하는데; 제어 어셈블리(222)는 명령 수신 소자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적어도 제3 측온 소자(730)에서 유래된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 및 명령 수신 소자에서 유래된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속을 저하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냉각 속도가 상응하게 감소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는 신속하게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보다 높으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속을 향상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냉각 속도가 상응하게 증가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는 신속하게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이 지시하는 온도까지 하락할 수 있다. 이 피드백 조절은 높은 응답 적시성 및 정확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액체 유출 노즐(34)의 수온을 목표값까지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명령 수신 소자는 예를 들면 신호 인터페이스이고, 액체 가열기구 조작 패널에서 유래되거나 또는 단말기기에서 유래된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을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더 상세하게, 수로 시스템(30)의 제1 열교환 통로(40)의 상류 위치 또는 하류 위치에 펌프(구체적으로는 도 77에서의 제1 펌프(213)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 또는 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펌프 또는 밸브와 제1 열교환 통로(40)가 연결되거나, 또는 파이프를 거쳐 펌프 또는 밸브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가운데 위치하도록 연결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펌프 또는 밸브가 제1 열교환 통로(40)와 직렬 연결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밸브가 제1 열교환 통로(40)와 병렬되어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한 바이패스 조절을 이루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제어 어셈블리(222)는 펌프의 작동 파라미터(예컨대 유량, 회전 속도, 빈도 등) 또는 밸브의 오프닝을 조절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속을 제어하여 제어 어셈블리(222)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속을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온 시스템(70)은 제4 측온 소자(740)를 포함하되, 제4 측온 소자(740)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고, 수집 결과에 근거하여 상응한 신호를 발송하여 응답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4 측온 소자(74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는 적어도 제4 측온 소자(740)에서 유래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4 측온 소자(740)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입단 위치에 설치되고, 일부가 제1 열교환 통로(40) 내에 삽입되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수온을 수집하거나,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 외에 설치되어 제1 열교환 통로(40)의 파이프 온도를 수집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의 파이프 온도에 기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수온을 반영한다. 이렇게 되면, 제1 열교환 통로(40)의 수온에 기반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를 들면 유량, 유속, 유체 온도 등)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의 온도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에 근거하여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 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는데, 본 방안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를 수집하고,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량, 유속, 유체 온도 등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 능력이 필요한 열교환 부하량에 도달하도록 상응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가 목표 수온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액체 유출 노즐(34) 온도가 양호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렇게 되면 열교환 박스(10)가 높은 에너지 효율 운행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로 시스템(30) 내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상류 위치 또는 하류 위치에는 펌프(구체적으로는 도 77에서의 제1 펌프(213)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 또는 밸브를 설치할 수 있고, 펌프의 작동 파라미터(예컨대 유량, 회전 속도, 빈도 등) 또는 밸브의 오프닝을 제어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속, 유량을 제어하여 제어 어셈블리(222)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속, 유량을 조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열교환 부하량에서, 수집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가 낮으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유속을 감소시켜 열교환 공급 상황이 열교환 부하량과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34) 온도가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34) 온도가 안정적이도록 한다. 일정한 열교환 부하량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가 높으면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입원을 전환시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열교환 공급량이 열교환 부하량과의 적합성이 더 양호하도록 하여 액체 유출 노즐(34) 온도가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34) 온도가 안정적이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 유량, 유속 등이 열교환 부하량과의 적응성이 더 양호하도록 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가 고효율적인 열교환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되면 일정한 정도에서 제품의 구동력 수요를 절약하여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하며, 또한 일정한 정도에서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열교환 면적 수요를 감소시켜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기구는 제5 측온 소자(80)를 더 포함하되, 제5 측온 소자(80)는 제어 어셈블리(222)와 연결되고, 제5 측온 소자(80)는 주위 온도를 수집하며, 수집된 주위 온도를 제어 어셈블리(222)에 피드백한다. 이렇게 되면, 제어 어셈블리(222)는 주위 온도에 기반하여 공기에 전달되는 열을 판정하여 주위 방열 속도와 결합하여 수로 시스템(30)의 각 측온 포인트의 측량 정확도를 더 정확하게 판정 및 보정함으로써 수로 시스템(30)의 온도 조절이 더 정확하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도록 하여 실제 출수 온도가 사용자의 목표 수요 온도를 더 잘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출수 온도가 주위 온도보다 높고 온도차가 비교적 클 경우, 온도차가 가져온 출수 온도의 정확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출수 온도를 약간 향상, 예를 들면 출수 온도를 0.1℃~1℃ 향상시켜 사용자가 실제로 얻은 뜨거운 물의 온도와 목표 출수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더 작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위 온도가 비교적 낮을 경우, 주위 온도를 통해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로부터 액체 유출 노즐(34)까지의 방열량을 예측함으로써 열교환 박스(10)의 열교환 부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여 열교환 박스(10)가 뜨거운 물에 대해 더 정확하게 방열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는 제1 펌프(213)를 포함한다. 제1 펌프(213)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와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1 펌프(213)의 운행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제1 펌프(213)를 이용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박스(10) 내의 열교환 효율을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2)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가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효율에 더 양호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의 조절 제어가 더 정확하며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는 제2 펌프(214)를 포함한다. 제2 펌프(214)는 입수구(331)와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222)와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2 펌프(214)의 운행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제2 펌프(214)를 이용하여 입수구(331)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박스(10) 내의 열교환 효율을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2)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가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효율에 더 양호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도록 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의 조절 제어가 더 정확하며,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은 물 분배 박스(212)를 더 구비하는데; 여기서,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의 제1 펌프(213)는 물 분배 박스(212)와 연결되어 액체로 하여금 제1 열교환 통로(40)와 물 분배 박스(212) 사이에서 유동하도록 구동한다. 이렇게 되면, 제1 펌프(213)는 구동력을 제공하여 액체가 물 분배 박스(21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에서 유통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에 강제적인 열교환이 형성되어 열교환 효율이 더 높고 열교환량의 제어 가능성이 더 양호하여 액체 유출 노즐(34)의 수온과 온도 안정성을 저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은 물 분배 박스를 더 구비하는데212; 여기서,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의 제2 펌프(214)는 물 분배 박스(212)와 연결되어 액체로 하여금 물 분배 박스(212)로부터 입수구(331)를 향해 유동하도록 구동한다. 이렇게 되면, 제2 펌프(214)는 구동력을 제공하여 액체가 물 분배 박스(212)와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 사이에서 유통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이로써 가열 어셈블리(2)의 유입 유량, 유입 속도가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효율에 더 잘 적응하도록 하여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도록 하고, 유압 구동 작용을 이용하여 수로 시스템(30)에서의 구동력 수요와 유량 조절 수요를 만족시켜 제2 열교환 통로(42) 내의 유량과 유속을 조절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효율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수온과 온도 안정성을 더 잘 담보할 수 있다.
여기서, 수로 시스템(30)은 물 분배 박스(212)를 이용하여 물 흐름을 이전 및 분배함으로써 수로 시스템(30) 내에서 물 흐름 분배를 더 잘 진행할 수 있고, 냉수, 뜨거운 물을 더 합리적이고 질서 있게 조절 제어하여 수로 시스템(30) 내의 각 위치의 수온 분배와 유량 조절 제어를 양호하게 구현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제품의 열 회수 효과가 더 양호하며 제품이 에너지를 더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30)은 물 분배 박스(212)와 액체 공급 탱크(5)를 구비한다. 물 분배 박스(212)는 인터페이스 사이를 도통시키고 물 흐름을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물 분배 박스(212)는 제1 인터페이스, 제2 인터페이스, 제3 인터페이스 및 제4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되,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펌프(213)와 연통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제2 펌프(214)와 연통되며, 제3 인터페이스는 액체 공급 탱크(5)와 연통되고, 제4 인터페이스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연통된다. 여기서, 물 분배 박스(212)의 내부에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형성되는데, 제1 챔버는 제1 펌프(213)와 액체 공급 탱크(5)를 도통시키고, 제2 챔버는 제2 펌프(214)와 제1 열교환 통로(40)를 도통시킨다. 여기서,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를 향해 도통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단방향 밸브 또는 일정한 위치 높이를 가지는 통공/통로에 의해 구현된다. 이는 액체 공급 탱크(5)가 가열 어셈블리(2)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열교환 통로(40)와 가열 어셈블리(2)가 연결(즉 제1 열교환 통로(40)와 가열 어셈블리(2) 사이가 물 분배 박스(212)에 의해 가운데 위치하도록 연결됨)되도록 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에서 배출된 물이 가열 어셈블리(2)에 들어가 가열됨으로써 열을 회수하고 제품의 에너지 절약을 구현하며; 그 밖에,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제2 챔버에서 시작하여 제1 챔버에서 마감되므로 제2 챔버 내의 뜨거운 물이 제1 챔버에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제품의 열 손실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에너지 절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품의 작업 조건에서, 액체 공급 탱크(5)가 제공하는 물은 제1 챔버에 진입하고, 제1 펌프(213)가 작동되어 제1 챔버 내의 물이 제1 열교환 통로(40)에 진입하도록 구동하며, 제1 열교환 통로(40)로부터 배출된 후 물 분배 박스(212)의 제2 챔버에 되돌아간다. 제2 펌프(214)가 작동되어 제2 챔버 내의 물이 가열 어셈블리(2)에 진입하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를 향해 도통을 형성하므로 제2 챔버로부터 가열 어셈블리(2)에 입력한 물은 액체 공급 탱크(5)에 제공한 물일 수도 잇고 제1 열교환 통로(40)가 배출한 물일 수도 있으며, 액체 공급 탱크(5)가 제공한 물과 제1 열교환 통로(40)가 배출한 물의 집합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온 소자(710), 제2 측온 소자(720), 제3 측온 소자(730), 제4 측온 소자(740) 및 제5 측온 소자(80)는 온도 센서이다. 예컨대 제1 측온 소자(710), 제2 측온 소자(720), 제3 측온 소자(730), 제4 측온 소자(740) 및 제5 측온 소자(80)는 서미스터 온도 센서, 열전대 온도 센서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도 68 내지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적인 실시예는 액체 가열기구, 예를 들면 즉열 주전자(물병)를 제공한다. 즉열 주전자(물병) 내에는 수로 시스템(30)이 형성되고, 수로 시스템(30)에는 측온 시스템(70)이 연결되며, 측온 시스템(70)은 수로 시스템(30) 내의 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칩(즉 제어 어셈블리(222)이고, 제어판이라고도 함)으로 하여금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 또는 물 펌프(즉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의 유속을 제어하여 수온을 제어하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즉열 주전자(물병)는 더 구체적으로 냉각 모듈(즉 열교환 박스(10))을 구비한 즉열 물병이다. 즉열 주전자(물병)는 물을 신속하게 가열시키는 가열 어셈블리(2), 물 펌프, 물을 저장하기 적합한 액체 공급 탱크(5), 회로기판 어셈블리(예컨대 전원 어셈블리(221)와 제어판을 포함), 물 수송 파이프 및 출수 파이프를 더 구비하는데, 물 수송 파이프는 가열 어셈블리(2)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출수 파이프는 가열 어셈블리(2)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출수 파이프에는 하나의 냉각 모듈(즉 열교환 박스(10))가 연속되게 연결된다. 수로 시스템(30)에는 다수의 측온 소자가 더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어셈블리(2)는 가열 챔버(333), 가열 챔버(333)에 물을 유입시키는 입수구(331) 및 가열 챔버(333)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332)를 구비하고, 가열 챔버(333) 내에는 가열부재(334)가 설치되며, 제어 어셈블리(222)는 가열부재(334)와 연결되어 가열부재(334)의 파워를 제어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조절하도록 한다. 여기서, 입수구(331)에는 제1 측온 소자(710)가 설치되고, 배수구(332)에는 제2 측온 소자(720)가 설치되며, 제1 측온 소자(710)는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 온도t1를 수집하고, 제2 측온 소자(720)는 가열 어셈블리(2)의 출수 온도t2를 수집한다.
도 71과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모듈은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를 구비한다. 제1 열교환 통로(40)의 진입구는 제1 펌프(213)를 거쳐 물 분배 박스(212)와 연통된다. 제1 열교환 통로(40)의 출구는 물 분배 박스(212) 및 제2 펌프(214)를 거쳐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와 연통된다.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가 유입하는 것은 제1 열교환 통로(40)가 배출한 물을 흡수한 것이므로 온도가 비교적 높고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가열 어셈블리(2)가 가열한 후의 물이 비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하므로 제1 측온 소자(710)를 설치하여 입수구(331) 위치에 대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해야 하고, 제2 펌프(214) 또는 가열 파워를 제어하여 출수 온도가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온 소자(720)가 수집한 t2의 목표 온도 T2는 90℃~100℃이고, 일반적으로, 해발이 1000미터보다 낮을 경우, 목표 온도 T2는 추가로 95℃~100℃이다. t2가 목표 온도 T2보다 낮을 경우,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제2 펌프(214)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것을 통해 t2의 온도를 향상시킨다. T2가 오랜 시간동안 100℃ 일 경우, 가열 파워를 감소시키거나 제2 펌프(214)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t2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나아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제3 측온 소자(730)를 더 포함하되, 제3 측온 소자(730)는 액체 유출 노즐(34)에 설치되어 액체 유출 노즐(34)의 실제 유출되는 온도t3을 감지하고, t3의 목표 온도 T3이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 등급이다. t3이 목표 온도T3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경우, 제1 펌프(213)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속을 조절하여 t3의 온도를 조절한다.
나아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 시스템(70)은 제4 측온 소자(740)를 더 포함하되, 제4 측온 소자(740)는 제1 열교환 통로(40)의 상류 위치에 설치, 예컨대, 물이 제1 열교환 통로(40)에 진입하기 전의 통로 내에 제4 측온 소자(740)가 설치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온도t4를 감지한다. t4의 수온이 냉각한 후의 출수 온도t3에 영향을 미치므로 t4의 온도 상황에 따라 상이한 냉각수 물 흐름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출수 온도의 안정을 담보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시스템(30) 밖에 제5 측온 소자(80)가 더 설치되는데, 제5 측온 소자(80)는 공기의 온도t5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공기에 전달된 열을 예측함으로써 출수 온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도 68 내지 도 77과 같이 아래에서는 제품 구조와 결합하여 제품의 특징을 추가로 상세히 설명한다. 액체 가열기구는 수로 시스템(30), 측온 시스템(70) 제어 어셈블리(222), 박스 쉘(8), 액체 공급 탱크(5) 등을 구비한다.
도 68, 도 69 및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쉘(8)에는 출수 헤드(610)가 설치되고, 액체 가열기구는 출수 부품(310)을 구비하며, 출수 부품(310)는 적어도 일부가 출수 헤드(610) 내에 수용되고, 액체 유출 노즐(34)은 출수 부품(3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출수 헤드(610) 위치를 거쳐 물을 받기 편리하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 부품(310)은 액체 유출 노즐(34), 스팀 유출 파이프(311), 진입구 및 캐비티(313) 등을 포함한다. 캐비티(313)는 액체 유출 노즐(34), 스팀 유출 파이프(311) 및 진입구(312)와 연통된다. 여기서, 캐비티(313)는 진입구(312)로부터 물과 수증기가 진입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은 캐비티(313)의 저부에 형성되어 캐비티(313) 내의 물이 모두 배출되도록 한다. 스팀 유출 파이프(311)는 캐비티(313)의 내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스팀 유출 파이프(311)에서 캐비티(313)와 멀리한 내저면의 일단에는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기체 유입구의 위치는 액체 유출 노즐(34) 및 진입구(312)의 위치보다 높아 스팀 유출 파이프(311)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박스(10)는 판형 열교환기와 같은 것이다. 열교환 박스(10)는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를 구비하되,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는 열전도판에 의해 이격되어 제1 열교환 통로(40)와 제2 열교환 통로(42) 사이의 고효율적인 열교환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본 방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기타 실시에서는 열교환 박스(10)를 쉘 앤 튜프 타입의 열교환기 또는 이중관식 열교환기 등과 같은 파이프형 열교환기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1과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는 제1 펌프(213)와 제2 펌프(214)를 포함하되, 제1 펌프(213)와 제2 펌프(214)는 상응하게 물 분배 박스(212)와 제1 열교환 통로(40) 사이 및 물 분배 박스(212)와 가열 어셈블리(2) 사이에서 구동하여 유량 및 유속 등을 조절한다.
가열 어셈블리(2)는 가열 챔버(333)와 가열부재(334)(예를 들면 방열관 등)를 구비하되, 가열부재(334)는 적어도 일부가 가열 챔버(333) 내에 수용되어 가열 챔버(333) 내의 물을 가열한다. 여기서, 가열 챔버(333)의 상부에는 비등 챔버(335)가 설치되고, 가열 챔버(333) 내에서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는 비등 챔버(335) 내에 분포되며, 비등 챔버(335)의 기공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가열 챔버(333) 또는 비등 챔버(335)에는 입수구(331) 및/또는 배수구(332)가 설치되어 가열 챔버(333)의 입수와 배수를 제공한다.
박스 쉘(8) 하부에는 바닥커버 어셈블리(340)가 설치되고, 바닥커버 어셈블리(340)에는 물 분배 박스(212)가 설치되며, 제1 펌프(213)와 제2 펌프(214)가 물 분배 박스(212)에 분포된다.
제어 어셈블리(222)는 제어판을 포함하되, 액체 공급 탱크(5)가 제어판의 측면에 위치하고, 박스 쉘(8) 내의 제어판의 아래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열교환 박스(10), 가열 어셈블리(2),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320) 등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구체적인 실시예는 측온 시스템(70)이 탐지한 각 포인트의 온도를 통해 가열 파워 및 펌프의 펌프 유속, 유량 등을 제어하여 비등하는 물의 온도 및 출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살균 효과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이한 출수 온도에 대한 수요 및 출수 온도의 안정성을 만족시켜 제품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품의 한 작업 조건에서, 가열 어셈블리(2)의 입수구(331)의 제1 측온 소자(710) 및 배수구(332)의 제2 측온 소자(720)는 대응되는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의 출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예를 들어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의 출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예컨대 90℃~100℃)하면 제2 펌프(214)의 유량/유속 또는 가열 어셈블리(2)의 가열 파워를 조절하여 가열 어셈블리(2)의 배수구(332)의 출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에 놓이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액체 유출 노즐(34)이 배출한 물이 비등을 거쳐 양호한 살균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품의 다른 한 작업 조건에서, 액체 유출 노즐(34)의 제3 측온 소자(730)는 상응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여 출수 온도 상황을 결정하고, 적어도 제3 측온 소자(730)가 측정하여 얻은 실제 온도에 근거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예컨대 제1 펌프(213)를 제어하여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량, 유속 등을 조절)를 조절함으로써 액체 유출 노즐(34)의 온도가 제어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온도 내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열교환 통로(40)의 유입 위치에는 제4 측온 소자(740)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데, 제4 측온 소자(740)가 수집한 제1 열교환 통로(40)의 입수 온도와 결합하여 제1 펌프(213)를 추가로 제어함으로써 제1 열교환 통로(40) 내의 유량 또는 유속 등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가 더 정교하게 제어하고, 액체 유출 노즐(34)의 출수 온도도 더 안정되게 할 수 있다. 그 밖에, 제4 측온 소자(80)를 설치하여 주위 온도를 수집하되, 공기 온도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각 부분의 측온 정확성과 조절 제어 정확성을 더 보증하여 출수 온도의 정확함과 안정을 더 보증할 수 있다.
도 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여섯 번째 양태의 실시예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양태의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에 사용되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302,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
단계S1304, 수집된 수로 시스템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 장치로 하여금 수로 시스템의 온도 상황에 따라 제때에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하여 수로 시스템의 온도 제어 조절을 이루어 제품 출수 온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실제 출수 온도가 출수 온도 수요를 더 만족시키도록 하고 제품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키며 응답 속도가 빠르고 제어 정확도가 높은 장점을 가져 즉열식 액체 가열 제품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4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404, 적어도 입수구의 온도에 근거하여 파워 파라미터와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제어하며,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만약 제품을 제어하여 액체를 100℃까지 가열하여 양호한 살균을 구현하는 작업 조건에서, 수집한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온도가 45℃이면 이 입수구의 온도가 45℃라는 정보에 따라 승온 수요가 55℃(즉 100℃와 45℃의 차이)라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바, 이렇게 되면,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이 승온 수요에 기반하여 적합한 가열장치의 파워 파라미터와 입수구의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예정할 수 있고, 가열장치의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조절함과 동시에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조절함으로써 살균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출수구 출수량의 수요도 보장하여 발열장치의 출수 온도가 항상 목표 설정된 이 살균 온도(예컨대 100℃)에 놓이도록 제어하므로 발열장치의 출수 온도의 변동량이 크지 않고 출수구의 출수 온도의 변동량도 크지 않아 열교환 장치의 열교환이 더 고효율적이 되도록 한다.
물론, 본 방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제품 출수구 온도를 50℃에 놓이도록 제어하고 살균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 조건에서, 수집한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온도가 20℃이면, 이 입수구의 온도가 20℃라는 정보에 따라 승온 수요가 30℃(즉 50℃와 20℃의 차이)라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바, 이렇게 되면,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이 승온 수요에 기반하여 적합한 가열장치의 파워 파라미터와 입수구의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예정할 수 있고, 가열장치의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조절함과 동시에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조절함으로써 출수구의 출수량 수요와 온도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발열장치의 출수 온도가 항상 목표 설정된 이 출수온도(예컨대 50℃)에 놓이도록 제어하므로 발열장치의 출수 온도의 변동량이 크지 않고 출수구의 출수 온도의 변동량도 크지 않게 된다.
도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5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504,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 밖에 있으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을 만족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예를 들면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은 살균 목표 온도 구간, 더 구체적으로, 이 살균 목표 온도 구간은 90℃~100℃, 나아가 92℃~97℃, 더 나아가 94℃~95℃ 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은 출수 목표 온도 구간, 더 구체적으로, 이 출수 목표 온도 구간은 30℃~100℃, 나아가 60℃~90℃, 더 나아가 65℃~85℃ 일 수 있으며, 제품의 기능 또는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이 수치 구간을 구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보다 낮을 경우,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적당히 향상시키거나 및/또는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유량(또는 유속)을 하향 조절하고, 배수구의 온도가 일정한 정도에서 상승되어 목표 배수 온도 구간에 놓이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보다 높을 경우,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적당히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유량(또는 유속)을 증가시켜 배수구의 온도가 일정한 정도에서 하강하여 목표 배수 온도 구간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6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604, 만약 배수구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저하시킨다.
더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설정 온도 임계값은 90℃~100℃ 일 수 있다. 가열장치 내의 수온이 대체적으로 90℃~100℃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살균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식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발이 1000미터보다 낮은 위치에 사용하는 제품에 대하여, 기설정 온도값을 95℃~100℃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품의 살균 효과를 더 보장할 수 있다.
본 방안은 가열장치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것을 통해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 또는 유량을 피드백하여 조절함으로써 살균 효과와 출수구 온도의 안정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방안에서의 기설정 온도 임계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90℃~100℃ 및 95℃~100℃의 한정을 받지 않는 바, 실제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구체적인 살균 수요에 근거하여 기설정 온도 임계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하나씩 나열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설계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모두 본 방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7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704, 제1 기설정 기간 내의 배수구의 온도가 적어도 비등 온도이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더 예를 들어 설명하면, 비등 온도는 90℃~100℃이다. 이는 여러 가지 해발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환경과 결합하여 제품을 더 정확하게 조절 제어할 수 있어 살균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등 온도는 95℃~100℃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방안에서의 비등 온도의 구체적인 수치는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90℃~100℃의 한정을 받지 않는 바, 실제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주변 기압 및 구체적인 비등 온도 요구에 근거하여 기설정 온도 임계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하나씩 나열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설계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모두 본 방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방안은 제1 기설정 기간(제1 기설정 기간의 값은 3s~500s, 나아가 10s~400s, 더 나아가 15s~200s) 내의 가열장치의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는 것을 통해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유속 또는 유량을 피드백하여 조절하는데, 배수구의 온도가 오랜 시간동안 100℃ 일 경우, 가열 파워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2 펌프의 유속을 증가하여 배수구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제품이 오랜 시간동안 높은 파워로 운행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렇게 되면 부품의 유지 보호 및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 감소에 더 유리하게 된다.
도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8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804, 제2 기설정 기간 내의 입수구의 온도가 상승 추세를 나타내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해할 수 있다 시피, 본 방안에서의 가열장치에 유입된 물은 적어도 일부가 제1 매체 통로의 배수에서 유래되는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의 열교환량이 변화되고, 제1 매체 통로의 배수 온도도 상응하게 변화되어 가열장치의 입수 온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본 방안에서, 만약 제2 기설정 기간(제2 기설정 기간의 값은 2s~300s, 나아가 5s~200s, 더 나아가 6s~30s) 내에 가열장치의 입수구가 승온을 유지하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증가시켜 가열장치의 출수 온도의 안정성을 제때에 제어하여 가열장치의 출수 온도에 큰 파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출수구의 온도가 상응하게 더 안정되고 정확하여 제품 온도 조절이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출수구 온도 조절의 정확도를 조절하는데 더 유리하며, 이렇게 되면, 열교환 장치의 열교환 부하 및 온도 파동성이 더 작아져 열교환 장치가 고효율적으로 안정되게 운행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도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902, 수로 시스템에서의 출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1904, 만약 출수구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높으면 수로 시스템의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상향 조절하고; 만약 출수구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하향 조절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만약 제품이 수신한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가 60℃이고, 수집한 출수구의 온도가 58℃이면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하향 조절하는데, 이렇게 되면 제2 매체 통로가 제1 매체 통로를 향한 방열량이 감소되어 출수구의 온도가 60℃까지 신속하게 상승할 수 있고, 만약 수집한 출수구의 온도가 65℃이면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상향 조절하는데, 이렇게 되면, 제2 매체 통로가 제1 매체 통로를 향한 방열량이 증가하여 출수구의 온도가 60℃까지 신속하게 하락할 수 있다. 물론, 만약 수집한 출수구의 온도가 60℃이면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은 현재 유량을 유지하면 된다. 이 피드백 조절은 더 높은 응답 적시성을 가지고 액체 유출 노즐의 수온을 목표 값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구조는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유량이 수요를 만족시키고 출수 유량이 더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002, 수로 시스템의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
단계S2004,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 및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제2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제1 매체 통로의 유량을 제2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품이 수신한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가 55℃인 작업 조건에서, 만약 수집한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가 20℃이면 에너지 보존 법칙 및 열교환 장치의 열교환 효율에 근거하여 가열장치가 배출한 물을 55℃까지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교환량을 예정할 수 있고, 이 필요한 열교환량과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가 20℃인 것에 근거하여 제1 매체 통로에 필요한 제2 유량 파라미터를 예정할 수 있으며, 제1 매체 통로의 유량을 제2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즉열 성능이 더 양호하도록 하며 출수 온도가 갑자기 추웠다 더웠다 하지 않고 더 안정적이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 체험을 더 잘 보증할 수 있으며, 응답 적시성이 양호하고 제어가 더 정확한 장점을 구비하게 된다.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102, 주위 온도를 수집;
단계S2104, 주위 온도에 근거하여 제1 보상 파라미터 및/또는 제2 보상 파라미터를 생성;
단계S2106,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보상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2 보상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주위 온도를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 기반하여 가열 파워 및/또는 수로 시스템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보상하여 주위 온도 요소로 인한 출수 온도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출수 온도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집한 주위 온도가 8℃이고 필요한 출수 온도가 80℃인 경우, 이로써 물을 받는 과정에서 배출한 물이 주위에 대한 방열량을 예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보상 파라미터 및/또는 제2 보상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가열 파워를 제1 보상 파라미터(하나의 예정된 보상값/스케일 팩터 일 수도 있고, 기설정 곡선 또는 기설정 공식에 따라 계산한 값일 수도 있는데,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정확도 수요가 상이하므로 이 보상값/스케일 팩터, 기설정 곡선 및 기설정 공식은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요구하고 한정하지 않는다)까지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매체 통로의 물의 양을 제2 보상 파라미터(하나의 예정된 보상값/스케일 팩터 일 수도 있고, 기설정 곡선 또는 기설정 공식에 따라 계산한 값일 수도 있는데,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정확도 수요가 상이하므로 이 보상값/스케일 팩터, 기설정 곡선 및 기설정 공식은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요구하고 한정하지 않는다)까지 감소시켜 실제 배수 온도가 80℃보다 조금 높아 뜨거운 물의 방열 손실을 적당히 보상하도록 하며, 이로써 사용자가 획득한 뜨거운 물의 온도는 80℃에 더 근접하여 사용 체험이 양호, 예를 들면 물에 불리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수요를 더 정확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상기 나열한 상황에 한정되지 않는 바, 실제로는 주위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피드백하여 조절하거나 및/또는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구체적으로는 제1 매체 통로의 유량/유속, 가열장치의 입수구의 유량 등을 조절)를 제어하여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와 병합하여 실시함으로써 그 중의 제어 파라미터 오브젝트가 양호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제어 오차를 감소시키고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더 이상 하나씩 나열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설계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모두 본 방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물론, 본 설계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 나열한 상황에 한정되지 않는 바, 이해할 수 있다 시피, 상기 임의의 실시예는 충돌되지 않는 형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바, 상세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202, 수로 시스템에서의 가열장치의 입수구와 출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2204, 적어도 입수구의 온도에 근거하여 파워 파라미터와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제어하며,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
단계S2206,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 밖에 있으면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 및/또는 입수구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수구의 온도가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을 만족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우선 입수구의 온도에 근거하여 파워 파라미터와 제1 유량 파라미터를 예정하고, 가열장치의 가열 파워를 파워 파라미터까지 제어하며, 입수구의 유량을 제1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하여 가열장치가 가열한 후의 물의 온도가 필요로 하는 가열 후의 수온과의 편차가 크지 않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살균 효과를 가지는 물을 획득할 수 있어 위생 안전성이 양호하고 가열장치의 작동 효율을 동시에 겸하여 제품의 에너지 절약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다음, 배수구의 온도를 수집하고 배수구의 온도에 기반하여 피드백 조절을 진행함으로써 더 정교하게 배수구의 온도를 제어하여 목표 배수 온도 구간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살균 효과가 더 보장되고, 물의 질량이 더 보장되며 제품의 에너지 절약도 추가로 최적화된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302, 수로 시스템의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를 수집;
단계S2304,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 및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제2 유량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제1 매체 통로의 유량을 제2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
단계S2306, 수로 시스템에서의 출수구의 온도를 수집;
단계S2308, 만약 출수구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높으면 수로 시스템의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상향 조절한다. 만약 출수구의 온도가 목표 온도 명령 또는 목표 등급 명령과 대응되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하향 조절한다.
이렇게 되면, 우선 제1 매체 통로의 입수 온도에 근거하여 제1 매체 통로의 제2 유량 파라미터를 예정하고 제1 매체 통로의 유량을 제2 유량 파라미터까지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제품의 즉열 성능이 더 양호하고 출수 온도가 갑자기 추웠다 더웠다 하지 않고 더 안정적이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 체험을 더 잘 보증할 수 있으며, 응답 적시성이 양호하고 제어가 더 정확한 장점을 구비하게 된다. 다음, 출수구의 온도에 따라 제1 매체 통로 내의 유량을 피드백하여 조절하는데, 이 피드백 조절은 더 높은 응답 적시성을 가지고 액체 유출 노즐의 수온을 목표 값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출수 온도가 더 정확하고 안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 구조는 액체 유출 노즐의 출수 유량이 수요를 만족시키고 출수 유량이 더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곱 번째 양태의 실시예에서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어셈블리(222)를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서(521) 및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22)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521)가 메모리(522)에 저장된 실행 가능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장치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여덟 번째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90)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 및 실행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상기 임의의 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의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액체 가열기구의 제어 방법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기기(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방면의 실시예의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매체(디스크 스토리지, CD-ROM,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선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선도에서의 각 과정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선도에서의 과정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발생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이 흐름도의 한 과정 또는 다수의 과정 및/또는 블록선도의 한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로 하여금 특정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산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 과정 또는 다수의 과정 및/또는 블록선도의 한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기기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과정 또는 다수의 과정 및/또는 블록선도의 한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하도록 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시에 위치한 임의의 참조부호를 청구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구성하지 말아야 한다. 단어 "포함"은 청구범위에 나열되지 않은 부품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품 전에 위치하는 단어 "일" 또는 "하나"는 다수의 이러한 부품이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약간의 상이한 부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당히 프로그래밍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약간의 장치를 나열한 유닛 청구범위에서, 이러한 장치에서의 약간은 동일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어 제1, 제2 등의 사용은 임의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단어를 명칭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용어 "상", "하", "내", "외"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하는 것으로서, 단지 본 출원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유닛이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구비하고 특정된 방위 구조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히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모두 일반화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장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일 수도 있고 중간에 매개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용어가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합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구현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은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90에서의 도면부호와 부품 명칭 사이의 대응 관계는 아래와 같다.
1-액체 유입 어셈블리, 2-가열 어셈블리, 3-액체 유출 어셈블리, 32-액체 유출 통로, 34-액체 유출 노즐, 4-열교환 장치, 40-제1 열교환 통로, 42-제2 열교환 통로, 42a-제1 통로, 42b-제2 통로, 44-리저버, 46-하우징, 462-제1 케이싱, 4622-제1 이격 리브, 464-제2 케이싱, 4642-제2 이격 리브, 466-제1 밀폐링, 468-제2 밀폐링, 48-열전도 격판, 5-액체 공급 탱크, 6-제4 펌핑 장치, 7-회로기판 어셈블리, 8-박스 쉘, 10-열교환 박스, 11-제1 연통구, 11a-제1 도통구, 11b-제2 도통구, 12-제2 연통구, 12a-제3 도통구, 12b-제4 도통구, 13-제3 연통구, 14-제4 연통구, 110-박스 바디부, 1111-오목 캐비티부, 1112a-임베딩부, 1112b-수용부, 1113a-버클, 1113b-걸림홈, 1114a-제1 홀, 1114b-제2 홀, 112-박스 몸체, 1121-환형체, 1122-관통홀, 113-차단벽, 120-밀폐링, 130-밀폐 접착층, 140-요홈, 150-난류 구조, 151a-돌기 구조, 151b-함몰 구조, 152-제1 난류 리브, 153-제2 난류 리브, 160-통로, 170-가이드 리브, 180-핀, 20-액체 가열기구, 212-물 분배 박스, 213-제1 펌프, 214-제2 펌프, 221-전원 어셈블리, 222-제어 어셈블리, 230-수증기 분리박스 어셈블리, 30-수로 시스템, 310-출수 부품, 311-스팀 유출 파이프, 312-진입구, 313-캐비티, 320-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 331-입수구, 332-배수구, 333-가열 챔버, 334-가열부재, 335-비등 챔버, 340-바닥커버 어셈블리, 510-제1 비교기, 520-제2 비교기, 521-프로세서, 522-메모리, 610-출수 헤드, 70-측온 시스템, 710-제1 측온 소자, 720-제2 측온 소자, 730-제3 측온 소자, 740-제4 측온 소자, 80-제5 측온 소자, 90-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laims (20)

  1. 액체 유입 통로;
    액체 유출 통로;
    상기 액체 유입 통로 및 상기 액체 유출 통로와 연통되어 내부에 진입한 액체를 열교환시킨 후 상기 액체 유출 통로에 수송할 수 있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액체 유입 통로 및/또는 상기 열교환 장치에 대응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내부에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상기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가열통로가 설치되는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액체 유입 통로가 설치되는 액체 유입 어셈블리; 및
    내부에 상기 액체 유출 통로가 설치되는 액체 유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상기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통로가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상기 열교환 장치 사이에 연결될 경우,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상기 액체 유입 어셈블리는 구획 구조이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상기 열교환 장치는 구획 구조이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상기 액체 유입 어셈블리에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상기 열교환 장치에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열교환 장치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열교환 통로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 및 상기 액체 유출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열교환 통로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여 상기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 상기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상기 제2 열교환 통로는 상기 가열통로를 통해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상기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가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열교환 통로가 상기 가열통로를 통해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상기 가열통로의 입구와 연통되거나, 또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 및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연결되어 냉각 순환 회로를 형성하는 리저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 가열통로가 설치될 경우, 상기 리저버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가열통로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가열통로의 입구와 상기 리저버가 연결되어 상기 리저버를 통해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는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가열통로의 입구는 상기 리저버와 연결되어 상기 리저버를 통해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상기 리저버와 상기 액체 유입 통로 사이에는 제1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가열통로의 입구와 상기 리저버 사이에는 제2 펌핑 장치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상기 리저버 사이에는 제3 펌핑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리저버 내의 액체의 온도를 수집하는 온도 수집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는 상기 가열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열교환 통로가 상기 가열통로를 통해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통될 경우, 상기 액체 처리 장치는,
    입구가 상기 가열통로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1 출구가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연결되는 삼방 밸브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액체 유출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삼방 밸브의 제2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액체 유출 통로와 연결되는 브랜치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2.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 통로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는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입구와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의 입구는 상기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의 출구와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의 출구는 상기 열교환 장치의 동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상기 제2 열교환 통로가 양측에 설치되는 열전도 격판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대응하여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입구 및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입구 및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상기 열전도 격판과 상기 제1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도 격판과 상기 제1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1 밀폐링;
    상기 열전도 격판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도 격판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밀폐링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격판이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2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이 연결된 곳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을 밀폐 연결하는 제3 밀폐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열전도 격판은 상기 제1 케이싱 내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2 케이싱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측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케이싱 및/또는 상기 제2 케이싱의 외면에는 방열 핀이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제1 이격 리브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2 이격 리브가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제2 이격 리브는 상기 제2 케이싱과 상기 열전도 격판 사이의 통로를 왕복으로 절곡되는 절곡 통로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액체 공급 탱크;
    상기 액체 유입 어셈블리와 상기 열교환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제4 펌핑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처리 장치.
  18. 액체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
    제1 열교환 통로;
    제2 열교환 통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열교환 통로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을 진행하여 상기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장치.
  19. 액체 가열기구에 사용되는 열교환 박스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박스는 박스 바디부와 열전도 격판을 구비하되, 상기 박스 바디부와 상기 열전도 격판은 제2 열교환 통로와 제1 열교환 통로를 에워싸서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열전도 격판은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상기 제1 열교환 통로를 이격시키며, 상기 제2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와 상기 제1 열교환 통로 내의 매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박스.
  20. 액체 유출 노즐, 열교환 박스,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 및 가열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상기 열교환 박스는 제1 열교환 통로와 제2 열교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교환 통로는 상기 제2 열교환 통로와 열교환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입수구와 배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입수구는 상기 제1 열교환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 열교환 통로는 상기 배수구 및 상기 액체 유출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는 내부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데 적합한 수로 시스템;
    상기 수로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수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 시스템;
    상기 측온 시스템, 상기 가열 어셈블리 및 상기 유동 파라미터 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측온 시스템이 피드백한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가열 파워 및/또는 상기 수로 시스템 내의 액체 유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기구.
KR1020227012651A 2019-09-17 2020-02-07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KR20220136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75287.5A CN112524793B (zh) 2019-09-17 2019-09-17 液体处理装置
CN201910875287.5 2019-09-17
CN201911187642.6A CN112857100B (zh) 2019-11-28 2019-11-28 液体加热器具
CN201911187642.6 2019-11-28
CN201911187634.1 2019-11-28
CN201911187634.1A CN112842073B (zh) 2019-11-28 2019-11-28 液体加热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PCT/CN2020/074472 WO2021051738A1 (zh) 2019-09-17 2020-02-07 液体处理装置、换热装置、液体加热器具和控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339A true KR20220136339A (ko) 2022-10-07

Family

ID=7488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651A KR20220136339A (ko) 2019-09-17 2020-02-07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95482B2 (ko)
KR (1) KR20220136339A (ko)
WO (1) WO2021051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1625B (zh) * 2022-04-29 2023-10-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即热饮水机及其出水温度控制方法与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621A (en) * 1984-07-23 1986-08-05 Bloomfield Industries, Inc. Beverage-making device
CN1430026A (zh) * 2001-12-31 2003-07-16 王永尧 热温凉即时开水器
WO2004006739A1 (en) * 2002-07-16 2004-01-22 Bunn-O-Matic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200970140Y (zh) * 2006-11-07 2007-11-07 王宇 一种全自动电子茶壶
CN201044720Y (zh) * 2007-04-16 2008-04-09 张国勋 防复烧节能自助饮水机
CN201674946U (zh) * 2010-05-21 2010-12-22 张国勋 多功能速冷豆浆机
JP2016007391A (ja) 2014-06-25 2016-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飲料生成装置
JP2016200316A (ja) 2015-04-08 2016-1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熱交換装置、冷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2018130420A (ja) 2017-02-17 2018-08-2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給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95482B2 (ja) 2024-06-04
WO2021051738A1 (zh) 2021-03-25
JP2022548161A (ja)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582B1 (ko)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JP5764156B2 (ja) 給水機とそれに使用される熱電ヒートポンプ装置
CN213488345U (zh) 供液装置
KR20220136339A (ko) 액체 처리 장치, 열교환 장치, 액체 가열기구 및 제어 방법
CN112842073B (zh) 液体加热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GB2575652A (en) Heat interface unit
WO2021143292A1 (zh) 冷却结构及压力锅
CN112857100B (zh) 液体加热器具
KR20028872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CN218074565U (zh) 液体分布器和电热水壶
CN215176073U (zh) 一种电源外置的冷暖垫一体机
CN112524793B (zh) 液体处理装置
CN218074522U (zh) 一种冷却液箱及电热水壶
CN221242547U (zh) 冰凉白开制水系统以及饮水机
CN114391757B (zh) 一种智能化数字营养冲调机用储水式热胆
CN117694724A (zh) 电热水壶及液体分布器
CN117731154A (zh) 电热水壶
CN220852770U (zh) 一种壁挂式管线机
CN211178031U (zh) 配水装置和液体加热器具
CN216907615U (zh) 一种具有快速降温功能的电热水壶
CN217483093U (zh) 一种速冷式制水设备
TWI672098B (zh) 具溫控功能寵物飲水機
WO2022142942A1 (zh) 加热组件及热水器
CN111336846B (zh) 用于壁挂炉的板式换热器和壁挂炉
CN213850142U (zh) 制冷装置及咖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