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230A -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230A
KR20220136230A KR1020220039036A KR20220039036A KR20220136230A KR 20220136230 A KR20220136230 A KR 20220136230A KR 1020220039036 A KR1020220039036 A KR 1020220039036A KR 20220039036 A KR20220039036 A KR 20220039036A KR 20220136230 A KR20220136230 A KR 2022013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current collector
collector plate
electrode current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가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2013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축전 장치는, 축전 모듈 (20, 20A, 20B) 과, 축전 모듈 (20, 20A, 20B) 에 접속된 제 1 버스바 (22, 22A, 22B) 및 제 2 버스바 (21, 21A, 21B) 를 구비하고, 축전 모듈 (20, 20A, 20B) 은, 제 1 장변부 (80) 및 제 2 장변부 (81) 와, 제 1 단변부 (82) 및 제 2 단변부 (83) 를 포함하고, 축전 모듈 (20, 20A, 20B) 은, 제 1 장변부 (80) 에 형성된 제 1 집전판 (70) 과, 제 2 장변부 (81) 에 형성된 제 2 집전판 (38) 을 포함하고, 제 1 버스바 (22, 22A, 22B) 는, 제 1 집전판 (70) 에 형성된 제 1 접속부 (75) 를 포함하고, 제 2 버스바 (21, 21A, 21B) 는, 제 2 집전판 (38) 에 형성된 제 2 접속부 (65)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전 장치{Power Storage Device}
본 개시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축전 셀이 적층된 축전 모듈을 구비한 축전 장치에 대하여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9266호에 기재된 축전 장치는, 축전 모듈과, 1 쌍의 버스바 모듈과, 수용 케이스를 구비한다.
축전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한다. 수용 케이스는, 축전 모듈의 양측에 배치된 측벽과, 상하면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축전 셀은, 라미네이트 필름과, 라미네이트 필름 내에 수용된 전극체 및 전해액을 포함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9266호
상기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정극 외부 단자 또는 부극 외부 단자의 위치를 변경했을 때에, 버스바의 라우팅 길이가 길어져, 각 외부 단자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워진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스바의 라우팅 길이의 억제를 도모하고, 외부 단자의 탑재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축전 장치는, 복수의 축전 셀이 적층 방향으로 적층된 축전 모듈과, 축전 모듈에 접속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를 구비하고, 축전 모듈을 적층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평면에서 보면, 축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장변부 및 제 2 장변부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변부 및 제 2 단변부를 포함하고, 축전 모듈은, 제 1 장변부에 형성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집전판과, 제 2 장변부에 형성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집전판을 포함하고, 제 1 버스바는, 제 1 집전판에 형성된 제 1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 2 버스바는, 제 2 집전판에 형성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부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1 집전판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접속부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2 집전판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전 장치 (1)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축전 모듈 (20) 및 버스바 (21, 22)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축전 셀 (30)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축전 셀 (30) 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축전 모듈 (20) 에 대하여 적층 방향 (H) 으로 떨어진 위치 (P) 로부터, 축전 모듈 (20) 과 버스바 (21, 22) 를 평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A)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축전 장치 (1A) 에 형성된 축전 모듈 (20)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B)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축전 장치 (1B) 에 형성된 축전 모듈 (20A)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비교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C)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 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 에 나타내는 구성 중,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전 장치 (1)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조축전 (組蓄電) (100) 은, 축전 장치 (1) 와, 냉각 장치 (5, 6) 를 구비한다. 축전 장치 (1) 는, 수용 케이스 (2) 와, 정극 외부 단자 (3) 와, 부극 외부 단자 (4) 를 구비한다.
수용 케이스 (2) 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케이스 (2) 는, 천판 (10) 과, 바닥판 (11) 과, 측벽 (12, 13) 과, 단벽 (端壁) (14, 15) 을 포함한다. 측벽 (12) 및 측벽 (13) 은 폭 방향 (W) 으로 배열되어 있고, 측벽 (12) 및 측벽 (13)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벽 (14) 및 단벽 (15) 은 길이 방향 (L) 으로 배열되어 있고, 단벽 (14) 및 단벽 (15) 은 폭 방향 (W)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3) 및 부극 외부 단자 (4) 는, 천판 (10)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3) 및 부극 외부 단자 (4) 는 폭 방향 (W) 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 (5) 는 측벽 (12) 에 배치되어 있고, 냉각 장치 (6) 는 측벽 (13) 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 (5) 및 냉각 장치 (6) 내에는 냉각액 (C) 이 흐르고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냉각 장치 (5) 및 냉각 장치 (6) 는, 그 일부를 단면으로 보고 있으며,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II-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축전 장치 (1) 는, 축전 모듈 (20) 과, 축전 모듈 (20) 에 접속된 버스바 (21, 22) 와, 팽창 흡수재 (23, 24) 와, 절연 부재 (25, 26) 와, 절연막 (27) 을 포함한다.
도 3 은, 축전 모듈 (20) 및 버스바 (21, 22)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전 모듈 (20) 은, 적층 방향 (H) 으로 적층된 복수의 축전 셀 (30, 31, 32) 과, 복수의 접속 부재 (33, 34) 를 포함한다.
축전 셀 (31, 32) 은 축전 셀 (3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축전 셀 (3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는, 축전 셀 (30)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축전 셀 (30) 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축전 셀 (30) 은, 전극체 (35) 와, 외장체 (36) 와, 정극 집전판 (37) 과, 부극 집전판 (38) 을 포함한다.
외장체 (36) 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장체 (36) 는, 전극체 (35) 와, 도시하지 않은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외장체 (36) 는, 상측 필름 (39A) 및 하측 필름 (39B) 을 포함한다. 상측 필름 (39A) 은 전극체 (35) 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하측 필름 (39B) 은 전극체 (35) 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필름 (39A) 의 외주연부와, 하측 필름 (39B) 의 외주연부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전극체 (35) 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체 (35) 는, 적층 방향 (H) 으로 적층된 복수의 정극 시트 (42) 와, 복수의 세퍼레이터 (43) 와, 복수의 부극 시트 (44) 를 포함한다. 또한, 정극 시트 (42) 및 부극 시트 (44) 의 사이에 세퍼레이터 (43) 가 배치되어 있다.
정극 시트 (42) 는, 알루미늄박 (45) 과, 알루미늄박 (45) 의 표리면에 형성된 정극 합재층을 포함한다. 부극 시트 (44) 는, 동박 (46) 과, 동박 (46) 의 표리면에 형성된 부극 합재층을 포함한다.
알루미늄박 (45) 은, 전극체 (35) 의 일방의 측면 (47) 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동박 (46) 은 전극체 (35) 의 타방의 측면 (48) 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측면 (47) 및 측면 (48) 은 폭 방향 (W) 으로 배열되어 있고,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은 알루미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은 측면 (47)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정극 집전판 (37) 에는 복수의 알루미늄박 (45) 이 용접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의 상면에는 접착제 (52) 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 (52) 는 상측 필름 (39A) 과 정극 집전판 (37) 을 접착하고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의 하면에는 접착제 (53) 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 (53) 는 하측 필름 (39B) 과 정극 집전판 (37) 을 접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제 (52, 53) 는 폭 방향 (W) 에 있어서 외장체 (36) 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은 폭 방향 (W) 에 있어서 외장체 (36) 및 접착제 (52, 53)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37) 은, 외장체 (36) 및 접착제 (52, 53) 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 (50) 를 포함한다.
부극 집전판 (38) 은 구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부극 집전판 (38) 은 측면 (48) 측에 배치되어 있고, 부극 집전판 (38) 에는 복수의 동박 (46) 이 용접되어 있다.
부극 집전판 (38) 의 상면에는 접착제 (54) 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 (54) 는 부극 집전판 (38) 및 상측 필름 (39A) 을 접착하고 있다. 부극 집전판 (38) 의 하면에는 접착제 (55) 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 (55) 는, 부극 집전판 (38) 및 하측 필름 (39B) 을 접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제 (54, 55) 는 폭 방향 (W) 에 있어서 외장체 (36) 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나와 있다.
부극 집전판 (38) 은 폭 방향 (W) 에 있어서 외장체 (36) 및 접착제 (54, 55) 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부극 집전판 (38) 은 외장체 (36) 및 접착제 (54, 55) 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 (51) 를 포함한다.
도 2 로 되돌아와, 축전 셀 (31) 은, 정극 집전판 (60) 과, 부극 집전판 (61) 과, 외장체 (62) 를 포함하고, 외장체 (62) 내에는 전극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60) 은 정극 집전판 (37) 과 마찬가지로, 노출부 (63) 를 포함한다. 부극 집전판 (61) 은, 부극 집전판 (38) 과 마찬가지로, 노출부 (64) 를 포함한다.
축전 셀 (32) 은, 정극 집전판 (70) 과, 부극 집전판 (71) 과, 외장체 (72) 를 포함하고, 외장체 (72) 내에는 전극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정극 집전판 (70) 은 정극 집전판 (37) 과 마찬가지로, 노출부 (73) 를 포함한다. 부극 집전판 (71) 은, 부극 집전판 (38) 과 마찬가지로, 노출부 (74) 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극 집전판 (37) 과 부극 집전판 (61) 과 정극 집전판 (70) 은, 적층 방향 (H) 으로 배열되어 있고, 부극 집전판 (38) 과 정극 집전판 (60) 과 부극 집전판 (71) 은, 적층 방향 (H) 으로 배열되어 있다.
접속 부재 (33) 는, 정극 집전판 (37) 의 노출부 (50) 와, 부극 집전판 (61) 의 노출부 (64) 를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 (34) 는, 정극 집전판 (60) 의 노출부 (63) 와, 부극 집전판 (71) 의 노출부 (74) 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버스바 (21) 는, 부극 집전판 (38) 의 노출부 (51) 의 상면에 용접되어 있다. 버스바 (22) 는, 정극 집전판 (70) 의 노출부 (73) 의 하면에 용접되어 있다.
버스바 (21) 는, 접속판 (65) 과, 세로벽 (66) 과, 받침대 (67) 와, 돌기 (68) 를 포함한다. 접속판 (65) 은 노출부 (51) 의 상면에 용접되어 있다. 접속판 (65)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축전 모듈 (20) 보다 단벽 (14)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판 (65) 은,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부극 집전판 (38) 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 (66) 은 단벽 (14) 측에 위치하는 접속판 (65) 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세로벽 (66) 은, 접속판 (65) 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67) 는 세로벽 (66)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 (68) 는 받침대 (67) 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 (68) 의 상단부는, 도 1 에 나타내는 부극 외부 단자 (4) 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바 (22) 는, 접속판 (75) 과, 세로벽 (76) 과, 받침대 (77) 와, 돌기 (78) 를 포함한다. 접속판 (75) 은, 정극 집전판 (70) 의 노출부 (73) 의 하면에 용접되어 있다. 접속판 (75)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축전 모듈 (20) 보다 단벽 (14)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판 (75) 은,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정극 집전판 (70) 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77) 는 세로벽 (76)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 (78) 는 받침대 (77) 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 (78) 의 상단부는, 도 1 에 나타내는 정극 외부 단자 (3) 에 접속되어 있다.
도 6 은, 축전 모듈 (20) 에 대하여 적층 방향 (H) 으로 떨어진 위치 (P) 로부터, 축전 모듈 (20) 과 버스바 (21, 22) 를 평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 (P)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축전 모듈 (20) 및 버스바 (21, 22) 를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이 도 6 에 있어서, 축전 모듈 (20) 은, 장변부 (80) 와, 장변부 (81) 와, 단변부 (82) 와, 단변부 (83) 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변부 (80, 81) 와, 단변부 (82, 83) 는, 외장체 (36) 의 외주연부에 위치하고 있다.
장변부 (80, 81) 는,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어 있고, 장변부 (80) 및 장변부 (81) 는 폭 방향 (W) 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단변부 (82) 및 단변부 (83) 는, 폭 방향 (짧은 방향) (W) 으로 연장되어 있고, 단변부 (82) 및 단변부 (83) 는, 길이 방향 (L) 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정극 집전판 (37) 과, 부극 집전판 (61) 과, 정극 집전판 (70) 은, 장변부 (80) 에 위치하고 있다. 정극 집전판 (70) 은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고, 정극 집전판 (70)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극 집전판 (38) 과, 정극 집전판 (60) 과, 부극 집전판 (71) 은, 장변부 (81) 에 위치하고 있고, 부극 집전판 (38) 은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바 (21) 의 접속판 (65) 은, 부극 집전판 (38) 에 접속됨과 함께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접속판 (65) 은, 부극 집전판 (38) 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22) 의 접속판 (75)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접속판 (75) 은 정극 집전판 (70) 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 팽창 흡수재 (23) 는, 축전 모듈 (20) 의 상면과, 수용 케이스 (2) 의 천판 (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 흡수재 (24) 는, 축전 모듈 (20) 의 하면과, 수용 케이스 (2) 의 바닥판 (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팽창 흡수재 (23, 24) 는, 포장체와, 포장체 내에 충전된 다일러탠시재를 포함한다.
절연 부재 (25) 는, 측벽 (12) 으로부터 축전 모듈 (20) 에 도달하도록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정극 집전판 (37) 의 노출부 (50) 와, 부극 집전판 (61) 의 노출부 (64) 와, 접속 부재 (33) 와, 버스바 (22) 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 부재 (25)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 부재 (26) 는, 측벽 (13) 으로부터 축전 모듈 (20) 에 도달하도록 충전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 (21) 의 적어도 일부와, 부극 집전판 (38) 의 노출부 (51) 와, 정극 집전판 (60) 의 노출부 (63) 와, 부극 집전판 (71) 의 노출부 (74) 는, 절연 부재 (26) 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전 장치 (1) 는, 예를 들어, 전동 차량에 탑재된다. 그리고, 축전 장치 (1) 는 충방전을 반복한다.
축전 장치 (1) 가 충방전하면, 축전 모듈 (20) 은 적층 방향 (H) 으로 팽창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 팽창 흡수재 (23, 24) 가 변형하여, 축전 모듈 (20) 이 팽창하도록 변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써, 축전 모듈 (20) 이 팽창하도록 변형되었다고 해도, 팽창 흡수재 (23, 24) 를 통해서, 수용 케이스 (2) 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케이스 (2)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전동 차량이 주행 등 하면, 전동 차량에 탑재된 축전 장치 (1) 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축전 장치 (1) 의 길이 방향 (L) 의 중앙이, 진동의 파복이 되도록, 축전 장치 (1) 가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축전 장치 (1) 의 중앙부의 변위 속도는, 충방전시에 축전 모듈 (20) 이 팽창되는 속도보다도 빠르다. 팽창 흡수재 (23, 24) 는, 다일러탠시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른 변형에 대한 강성이 높다. 그 때문에, 팽창 흡수재 (23, 24) 는 변형하기 어려워지고, 축전 장치 (1) 의 진동이 억제된다.
축전 장치 (1) 가 충방전할 때에, 축전 모듈 (20) 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 때, 절연 부재 (25) 는, 노출부 (50, 64, 73) 와, 접속 부재 (33) 와, 버스바 (22) 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 (50, 64, 73) 와 접속 부재 (33) 와 버스바 (22) 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전 모듈 (20) 내의 열은, 절연 부재 (25) 에 양호하게 방열된다. 절연 부재 (25) 에 전달된 열은, 측벽 (12) 을 통하여 냉각 장치 (5) 에 방열된다. 특히, 버스바 (22) 의 접속판 (75) 은,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정극 집전체 (70) 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스바 (22) 를 통하여, 양호하게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절연 부재 (26) 는, 버스바 (21) 의 적어도 일부와, 노출부 (51, 63, 74) 와, 접속 부재 (34) 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21) 와 노출부 (51, 63, 74) 와 접속 부재 (34) 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전 모듈 (20) 내의 열은, 절연 부재 (26) 에 양호하게 방열된다. 절연 부재 (26) 에 전달된 열은, 측벽 (13) 을 통하여 냉각 장치 (6) 에 방열된다. 이와 같이, 축전 모듈 (20) 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특히, 버스바 (21) 의 접속판 (65) 도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 (21) 를 통하여 양호하게 외부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도 6 에 있어서, 버스바 (21) 의 접속판 (65) 은, 부극 집전판 (38) 에 접속됨과 함께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접속판 (65) 은, 부극 집전판 (38) 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부극 외부 단자 (4) 가 단벽 (14)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판 (65) 의 단벽 (14) 측의 단부에, 세로벽 (66) 등을 접속함으로써 간단하게, 부극 외부 단자 (4) 에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버스바 (22) 의 접속판 (75)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L) 에 있어서, 접속판 (75) 은 정극 집전체 (70) 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정극 외부 단자 (3) 가 단벽 (14)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판 (75) 의 단벽 (14) 측의 단부에, 세로벽 (76) 등을 접속함으로써 간단하게, 정극 외부 단자 (3) 에 접속할 수 있다.
도 7 은,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A)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전 장치 (1A) 에 있어서는, 정극 외부 단자 (3A) 는 단벽 (15) 측에 위치하고 있고, 부극 외부 단자 (4A) 는 단벽 (14) 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은, 축전 장치 (1A) 에 형성된 축전 모듈 (20A)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버스바 (21A) 는, 버스바 (21)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스바 (22A) 는, 접속판 (75A) 과, 세로벽 (76A) 과, 받침대 (77A) 와, 돌기 (78A) 를 포함한다. 접속판 (75A) 은, 정극 집전판 (70) 에 용접되어 있다. 세로벽 (76A) 은, 접속판 (75A) 의 단벽 (15) 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받침대 (77A) 는, 세로벽 (76A)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 (78A) 는 받침대 (77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로벽 (76A) 의 접속 위치를 단벽 (15) 측으로 함으로써, 간단하게 정극 외부 단자 (3A) 에 접속할 수 있다.
도 9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B)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전 장치 (1B) 에 있어서는, 정극 외부 단자 (3B) 는, 측벽 (12) 측이면서, 단벽 (15) 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극 외부 단자 (4B) 는, 측벽 (12) 측이면서, 단벽 (14)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 은, 축전 장치 (1B) 에 형성된 축전 모듈 (20B)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버스바 (22B) 는, 버스바 (22A)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스바 (21B) 는, 접속판 (65B) 과, 라우팅판 (69B) 과, 세로벽 (66B) 과, 받침대 (67B) 와, 돌기 (68B) 를 포함한다.
접속판 (65B) 은, 부극 집전판 (38) 에 용접되어 있고,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라우팅판 (69B) 은, 단벽 (14) 측에 위치하는 접속판 (65B) 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라우팅판 (69B) 은, 접속판 (65B) 의 단부로부터 측벽 (12) 을 향하여 폭 방향 (W)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변부 (82) 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벽 (66B) 은, 측벽 (12) 측의 라우팅판 (69B) 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 (67B) 는 세로벽 (66B)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 (68B) 는 받침대 (67B)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부극 외부 단자 (4B) 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단변부 (82) 의 길이는, 장변부 (80, 81) 의 길이보다 짧아, 라우팅판 (69B) 의 길이는 짧다.
도 11 은, 비교예에 관련된 축전 장치 (1C)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축전 장치 (1C) 에서는, 축전 모듈 (20C) 에 형성된 정극 집전판 및 부극 집전판은, 단변부 (82) 측 또는 단변부 (83)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및 부극 외부 단자는, 단벽 (14)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3C) 는 측벽 (12) 측에 형성되어 있고, 부극 외부 단자 (4C) 는 측벽 (13) 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스바 (22C) 는, 단변부 (82) 에 배치된 정극 집전판에 접속되어 있고, 버스바 (21C) 는, 단변부 (83) 에 배치된 부극 집전판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바 (21C) 는, 부극 집전판에 접속된 접속판 (65C) 과, 라우팅판 (69C) 과, 세로벽 (66C) 과, 받침대 (67C) 와, 돌기 (68C) 를 포함한다.
라우팅판 (69C) 은, 접속판 (65C) 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벽 (66C) 은 라우팅판 (69C) 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받침대 (67C) 는 세로벽 (66C) 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대 (67) 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 (68C) 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 (68C) 는 부극 외부 단자 (4C) 에 접속되어 있다.
이 축전 장치 (1C) 에 있어서, 버스바 (21C) 를 라우팅하기 위해서, 라우팅판 (69C)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전 장치 (1B) 에 있어서도, 버스바 (21B) 를 라우팅하기 위해서, 라우팅판 (69B)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라우팅판 (69B) 의 길이 (L1) 는, 라우팅판 (69C) 의 길이 (L2) 보다 짧다. 그 때문에, 버스바 (21B) 쪽이 버스바 (21C) 보다 라우팅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어, 장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21B) 의 접속판 (65B) 의 길이는, 버스바 (21C) 의 접속판 (65C) 의 길이보다 길다. 그 때문에, 접속판 (65B) 쪽이 접속판 (65C) 보다 양호하게 방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전 장치 (1, 1A, 1B) 에 의하면, 정극 외부 단자 (3) 및 부극 외부 단자 (4) 의 탑재 위치를 변경했다고 해도, 버스바의 라우팅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정극 외부 단자 (3) 및 부극 외부 단자 (4) 의 탑재 위치를 각종으로 변경할 수 있어, 축전 장치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축전 셀 내에 전해액이 수용된 액계의 전지 셀에 대해 설명했지만, 축전 셀 내에 고체 전해질이 수용된 고체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2)

  1. 복수의 축전 셀이 적층 방향으로 적층된 축전 모듈과,
    상기 축전 모듈에 접속된 제 1 버스바 및 제 2 버스바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모듈을 상기 적층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평면에서 보면, 상기 축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장변부 및 제 2 장변부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변부 및 제 2 단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모듈은, 상기 제 1 장변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집전판과, 상기 제 2 장변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집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버스바는, 상기 제 1 집전판에 형성된 제 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제 2 집전판에 형성된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전판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집전판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축전 장치.
KR1020220039036A 2021-03-31 2022-03-29 축전 장치 KR20220136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0854 2021-03-31
JP2021060854A JP7416005B2 (ja) 2021-03-31 2021-03-31 蓄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230A true KR20220136230A (ko) 2022-10-07

Family

ID=8095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036A KR20220136230A (ko) 2021-03-31 2022-03-29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0688A1 (ko)
EP (1) EP4068481A3 (ko)
JP (1) JP7416005B2 (ko)
KR (1) KR20220136230A (ko)
CN (1) CN1151492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9266A (ja)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162B2 (ja) 2002-08-22 2010-06-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気自動車
KR100726065B1 (ko) 2004-12-22 2007-06-08 에스케이 주식회사 고출력 리튬 단전지 및 고출력 리튬 단전지를 구비한고출력 리튬 전지 팩
US20120052365A1 (en) * 2010-08-27 2012-03-01 Chun-Chieh Chang Advanced high durability lithium-ion battery
CN103296241A (zh) * 2012-03-02 2013-09-11 深圳市比亚迪锂电池有限公司 一种电连接件以及一种电池
WO2015178456A1 (ja) * 2014-05-22 2015-11-26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装置
KR20160089133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08140761B (zh) * 2015-10-22 2020-08-04 远景Aesc 日本有限公司 组电池及其制造方法
CN106887560A (zh) * 2015-12-15 2017-06-23 东莞乔登节能科技有限公司 一体式导电连接片及其成型方法
JP2019175676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2020035653A (ja) * 2018-08-30 2020-03-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7294043B2 (ja) 2019-10-08 2023-06-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装置のテスト自動化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スクリプト生成装置
GB202006918D0 (en) 2020-05-11 2020-06-24 Qdot Tech Ltd Tab cooling for batter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9266A (ja)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8481A3 (en) 2023-03-01
EP4068481A2 (en) 2022-10-05
CN115149219A (zh) 2022-10-04
US20220320688A1 (en) 2022-10-06
JP2022156915A (ja) 2022-10-14
JP7416005B2 (ja)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095B2 (ja) 載置構造物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3401976B1 (en) Battery pack
JP7045564B2 (ja) セル組立体に対する初期加圧力強化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84303A1 (en) Battery Module
JP2017197093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7106008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7136998B2 (ja) カバー構造物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子デバイス並びに自動車
JP2015191836A (ja) 電池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2023526640A (ja) 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20220320663A1 (en) Power storage device
KR20220136230A (ko) 축전 장치
EP4068469A1 (en) Power storage device
JP2023530324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CN115149162B (zh) 蓄电装置
CN115149174B (zh) 蓄电单元及车辆
EP4075583A1 (en) Power storage device
US20230395927A1 (en) Power storage device
EP4071906A1 (en) Power storage
EP4068451A1 (en) Power storage device
JP2023538386A (ja) 多並列バッテリーセル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5794615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動自転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