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83A -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83A
KR20220134183A KR1020210039518A KR20210039518A KR20220134183A KR 20220134183 A KR20220134183 A KR 20220134183A KR 1020210039518 A KR1020210039518 A KR 1020210039518A KR 20210039518 A KR20210039518 A KR 20210039518A KR 20220134183 A KR20220134183 A KR 2022013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image information
unit
measuring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이송헌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이근호
이송헌
이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이송헌, 이승헌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21003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183A/ko
Publication of KR2022013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이 노출되도록, 심부에 다각형 구조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판형 구조의 본체(110); 상기 관통공(111)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됨과 아울러,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위한 고유번호정보, 좌표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기준 마커(fiducial marker)(120);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조명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측정위치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MEASURING DEVICE FOR CRACK AND MEASURING METHOD FOR CR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계측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하중의 재하, 건조수축, 크립(creep) 등 다양한 이유로 균열이 발생하는데, 일단 균열이 발생하면 그 균열을 통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여 철근을 부식시킴에 따라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지속적인 측정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균열의 발생 후,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조치는 균열의 폭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그 폭이 확대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지관리는 균열의 폭의 크기가 미세한 시점(초기균열 발생시)부터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미세한 크기의 균열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균열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촬영거리 및 픽셀에 의해 균열의 폭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카메라와 균열면 사이의 촬영각도가 항상 연직방향을 이룰 수 없으므로(촬영 경사도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는 정확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와 각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적 장치를 활용한 측정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8773호 등)가 개발되었으나, 균열 측정시마다 기구를 운반하여야 한다는 점, 측정위치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경우 사용이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87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측정위치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이 가능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이 노출되도록, 심부에 다각형 구조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판형 구조의 본체(110); 상기 관통공(111)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됨과 아울러,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위한 고유번호정보, 좌표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기준 마커(fiducial marker)(120);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조명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를 제시한다.
상기 조명부(130)는,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내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조명하도록 조명등(131)이 설치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을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132); 상기 경사지지부(131)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조명등(1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마커(120)는 아루코 마커(ArUco mark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11)은 4각형 구조이고, 상기 기준 마커(120)는 상기 관통공(111)의 4개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으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대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초기영상정보 획득단계;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상기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는 무경사영상정보 변환단계; 상기 초기영상정보 또는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 균열부 인식단계;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상기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상기 균열부(10)의 폭을 연산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균열부 인식단계는, 인식된 균열부(10)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화면의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된 균열부(1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시스템으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대고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310)와,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320)를 구비한 송신 단말(300); 상기 송신 단말(300)로부터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10)와,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상기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정보 무경사변환부(420)와, 상기 초기영상정보 또는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 균열부 인식부(430)와,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상기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상기 균열부(10)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440)와, 연산된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송신하는 송신부(450)를 구비한 서버(400); 상기 서버(400)로부터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수신하는 수신부(510)와,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표시하는 표시부(520)를 구비한 수신 단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측정위치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이 가능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균열 측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균열 측정기구의 단면도.
도 3은 균열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내지 6은 수신 단말의 표시부의 사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균열 측정기구(100)는 기본적으로, 구조물의 균열이 노출되도록, 심부에 다각형 구조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판형 구조의 본체(110); 관통공(111)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됨과 아울러,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위한 고유번호정보, 좌표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기준 마커(fiducial marker)(120);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조명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종이, 합성수지, 강재 등의 재질에 의한 얇은 판에 의해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관통공(111)을 형성하며, 코너부에 기준 마커(fiducial marker)(120)를 인쇄 등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균열 측정기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관통공(111)을 통해 측정대상이 되는 균열부(10)가 보이도록, 구조물의 표면에 균열 측정기구(100)를 댄다(도 1).
이 상태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얻은 영상정보에 의해,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한다.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에 의해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한다.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이란, 영상정보에서 검출된 복수의 기준 마커(fiducial marker)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의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을 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 기술은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 마커의 자세를 추정하여 기준 마커 위에 가상의 사물을 띄우는 가상현실기술, 증강현실기술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술을 일반적인 방법과 반대로 활용한 것으로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 마커의 자세를 추정한 후, 이들 기준 마커가 모두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변환함과 아울러, 그 기준 마커들의 내부에 위치한 영상정보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한 것이다.
즉,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에 의해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모든 기준 마커들이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함에 따라, 그 기준 마커들의 내부에 위치한 영상정보도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변환되고, 이는 결국 카메라가 균열면의 영상을 연직방향에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한다.
이러한 기준 마커(fiducial marker) 중의 하나인 아루코 마커(ArUco marker)는, n x n 크기의 2차원 비트 패턴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색 태두리 영역으로 구성된다.
검은색 테두리 영역은 마커를 빨리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의 2차원 비트 패턴은 흰색 셀과 검정색 셀의 조합으로서,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위한 고유번호정보, 좌표정보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니다.
균열 측정기구(100)의 관통공의 구조 및 기준 마커(120)의 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관통공(111)이 4각형 구조이고, 기준 마커(120)는 관통공(111)의 4개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된 실시예가 현시점에서 가장 쉽고 정확하게 구현가능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균열부(10)는 미리 입력된 균열영상정보, 균열에 대한 정의 등을 활용하여, 초기영상정보 또는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도 3 내지 5).
이와 같이 인식된 균열부(10)는 화면에 표시되는데, 만약 균열부(10)의 표시가 잘못된 경우, 화면의 터치에 의해 표시된 균열부(10)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면, 균열부(10)의 폭을 연산할 수 있다.
종래의 카메라를 이용한 균열 측정장치에서도, 이와 같이 픽셀을 이용하여 균열의 폭을 연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이는 카메라와 균열면 사이의 촬영각도가 항상 연직방향을 이룰 수 없으므로(촬영 경사도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므로), 정확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상술한 기준 마커(120)가 표시된 균열 측정기구(100) 및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이용하여, 촬영된 초기영상정보를 항상 경사도가 0°인 상태(카메라가 균열면의 영상을 연직방향에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므로, 어떠한 카메라 각도로 균열면을 촬영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조물의 어두운 곳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야간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핸드폰)의 조명을 이용하여 균열면을 촬영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정한 조도에 의해 촬영하기 어렵다는 점, 적목현상 등에 의해 명확한 촬영이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균열 측정기구(100)의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조명하도록, 본체(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조명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열면을 일정한 조도로 조명함으로써, 미세균열까지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명부(130)가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내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조명하도록 조명등(131)(LED 등)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이는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을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132); 경사지지부(131)의 내측에 설치된 조명등(131);을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조명등(131)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40)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측정작업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3 내지 6)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균열 측정시스템은 송신 단말(300), 서버(400), 수신 단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단말(300)은, 구조물의 표면에 균열 측정기구(100)를 대고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에 의해,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310)와,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320)를 구비한다.
즉, 송신 단말(300)로는 카메라(촬영부)(310)가 장착된 스마트폰, 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촬영부)(310)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카메라의 경우 서버(400)에 대하여 영상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320)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별도의 송신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서버(400)(클라우드 서버 등)는, 송신 단말(300)로부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10)와,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상기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정보 무경사변환부(420)와, 초기영상정보 또는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 균열부 인식부(430)와,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균열부(10)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440)와, 연산된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송신하는 송신부(4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한다.
초기영상정보 또는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데, 이는 미리 입력된 균열영상정보, 균열에 대한 정의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균열부(10)의 크기(폭, 길이)를 연산한다.
종래의 카메라를 이용한 균열 측정장치에서도, 이와 같이 픽셀을 이용하여 균열의 폭을 연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이는 카메라와 균열면 사이의 촬영각도가 항상 연직방향을 이룰 수 없으므로(촬영 경사도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므로), 정확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기준 마커(120) 및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이용하여, 촬영된 초기영상정보를 항상 경사도가 0°인 상태(카메라가 균열면의 영상을 연직방향에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므로, 어떠한 카메라 각도로 균열면을 촬영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균열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관리자의 수신 단말(500)(스마트폰, PC 등)은, 서버(400)로부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수신하는 수신부(510)와,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화면 등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부(520)를 구비한다.
송신 단말(300)과 수신 단말(500)은 동일한 기기(스마트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상이한 기기(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스마트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 단말(300)과 수신 단말(500)이 동일한 기기(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관한 앱을 다운받아 스마트폰에 대하여 위 송신 단말(300)과 수신 단말(5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기준 마커 및 균열부(10)를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서버(400)에 전송한 후, 다시 연산(처리)된 균열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표시부)(520)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송신 단말(300)과 수신 단말(500)이 상이한 기기(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관한 앱을 다운받아 스마트폰에 대하여 위 수신 단말(5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송신 단말)에 의해 기준 마커 및 균열부(10)를 촬영하고, 카메라(송신 단말)의 송신부(320)(카메라의 송신장치 또는 별도의 송신장치)에 의해 영상 정보를 서버(400)에 전송한 후, 다시 연산(처리)된 균열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표시부)(520)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균열부 100 : 균열 측정기구
110 : 본체 111 : 관통공
120 : 기준 마커 130 : 조명부
131 : 조명등 132 : 경사지지부
300 : 송신 단말 310 : 촬영부
320 : 송신부 400 : 서버
410 : 수신부 420 : 영상정보 무경사변환부
430 : 균열부 인식부 440 : 연산부
450 : 송신부 500 : 수신 단말
510 : 수신부 520 : 표시부

Claims (8)

  1. 구조물의 균열이 노출되도록, 심부에 다각형 구조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판형 구조의 본체(110);
    상기 관통공(111)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됨과 아울러, 카메라 자세 추정(camera pose estimation)을 위한 고유번호정보, 좌표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기준 마커(fiducial marker)(120);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조명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는,
    상기 관통공(111) 내부에 위치한 구조물의 균열을 내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조명하도록 조명등(131)이 설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관통공(111) 내측을 향하여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132);
    상기 경사지지부(131)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조명등(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커(120)는 아루코 마커(ArUco mar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1)은 4각형 구조이고, 상기 기준 마커(120)는 상기 관통공(111)의 4개의 코너의 좌표가 인식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코너부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으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대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초기영상정보 획득단계;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상기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는 무경사영상정보 변환단계;
    상기 초기영상정보 또는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 균열부 인식단계;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상기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상기 균열부(10)의 폭을 연산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측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부 인식단계는,
    인식된 균열부(10)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화면의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된 균열부(1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측정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열 측정기구(100)를 이용한 균열 측정시스템으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상기 균열 측정기구(100)를 대고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노출된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310)와,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320)를 구비한 송신 단말(300);
    상기 송신 단말(300)로부터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 및 상기 균열부(10)의 초기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10)와, 상기 기준 마커(1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자세 추정에 의해 상기 초기영상정보를 경사도가 0°인 상태의 영상정보인 무경사영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정보 무경사변환부(420)와, 상기 초기영상정보 또는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로부터 균열부(10)를 인식하는 균열부 인식부(430)와, 상기 무경사영상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기준 마커(120) 사이의 간격의 픽셀과, 상기 균열부(10)의 픽셀을 비교하여, 상기 균열부(10)의 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440)와, 연산된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송신하는 송신부(450)를 구비한 서버(400);
    상기 서버(400)로부터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수신하는 수신부(510)와, 상기 균열부(10)의 영상, 크기를 표시하는 표시부(520)를 구비한 수신 단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 측정시스템.
KR1020210039518A 2021-03-26 2021-03-26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KR20220134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18A KR20220134183A (ko) 2021-03-26 2021-03-26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18A KR20220134183A (ko) 2021-03-26 2021-03-26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83A true KR20220134183A (ko) 2022-10-05

Family

ID=8359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518A KR20220134183A (ko) 2021-03-26 2021-03-26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1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5209A (zh) * 2024-01-31 2024-03-08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金属板材切割装置及其切割预警方法
KR102661717B1 (ko) * 2023-10-19 2024-04-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양식 어류 형질 측정용 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73A (ko) 2004-12-15 2005-02-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한 균열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73A (ko) 2004-12-15 2005-02-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한 균열측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17B1 (ko) * 2023-10-19 2024-04-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양식 어류 형질 측정용 작업대
CN117655209A (zh) * 2024-01-31 2024-03-08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金属板材切割装置及其切割预警方法
CN117655209B (zh) * 2024-01-31 2024-04-16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金属板材切割装置及其切割预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1138B (zh) 基于视觉测量的变形监测方法
KR100499764B1 (ko) 디지털 이미지에서 객체를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28052A1 (e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20134183A (ko) 조명부를 구비한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US20150369593A1 (en) Orthographic image capture system
CN102484724A (zh) 投影图像区域检测装置
KR102251393B1 (ko) 균열 측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측정방법
CN103189827A (zh) 对象显示装置以及对象显示方法
WO2008107720A1 (en) Colour enhanced laser imagery
CN110285770B (zh) 一种桥梁挠度变化测量方法、装置及设备
JP644083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読取装置、領域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82250A (zh) 指纹识别装置及指纹识别方法
KR100878889B1 (ko)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CN206258111U (zh) 一种使用远心镜头的影像测量装置
JP3501610B2 (ja) 三次元座標測定方法
KR20220013757A (ko) 구조물의 균열 측정시스템
TW201512676A (zh) 圖像分析系統及方法
JP2002228417A (ja) クラック測定装置
US119025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the non-uniformity of an image sensor
JPH1140996A (ja) 部品装着装置およびその認識位置校正方法
CN108291852A (zh) 用于确定手持式装置盖板玻璃中的应力的设备和方法
JP2013190281A (ja) 設置状態検出システム、設置状態検出装置、及び設置状態検出方法
CN106092016B (zh) 一种基于深度传感器的林木材积自动检尺系统及方法
WO2014046325A1 (ko) 3차원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14992A (ja) 画像処理を用いた液面高さ計測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