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520A -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3520A KR20220133520A KR1020210038728A KR20210038728A KR20220133520A KR 20220133520 A KR20220133520 A KR 20220133520A KR 1020210038728 A KR1020210038728 A KR 1020210038728A KR 20210038728 A KR20210038728 A KR 20210038728A KR 20220133520 A KR20220133520 A KR 202201335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ba
- red ginseng
- fermented
- strain
- fermen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BTCSSZJGUNDROE-UHFFFAOYSA-N gamma-amin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O)=O BTCSSZJGUNDROE-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29960003692 gamma aminobutyric acid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29920002643 polyglutamic acid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108700022290 poly(gamma-glutamic acid)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4000044283 Toxicodendron succedaneum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OGNSCSPNOLGXSM-UHFFFAOYSA-N (+/-)-DABA Natural products NCCC(N)C(O)=O OGNSCSPNOLGXS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44000063299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41000193744 Bacillus amyloliquefaci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LPUQAYUQRXPFSQ-DFWYDOINSA-M mono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O-]C(=O)[C@@H](N)CCC(O)=O LPUQAYUQRXPFSQ-DFWYDOINSA-M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4223 monosodium glutam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4220 Rhus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3152 Rhus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59243 Toxicodendron radicans Species 0.000 claims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08227 Toxicodendron verniciflu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7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5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08225 Rh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965 immun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9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SVZMEOIVSA-N (+)-G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SVZMEOIVSA-N 0.000 description 2
- RMTXUPIIESNLPW-UHFFFAOYSA-N 1,2-dihydroxy-3-(pentadeca-8,11-di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RMTXUPIIESNLP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ARRXYBJLBIVAK-UEMSJJPVSA-N 3-[(8e,11e)-pentadeca-8,11-dienyl]benzene-1,2-diol;3-[(8e,11e)-pentadeca-8,11,14-trienyl]benzene-1,2-diol;3-[(8e,11e,13e)-pentadeca-8,11,13-trienyl]benzene-1,2-diol;3-[(e)-pentadec-8-enyl]benzene-1,2-diol;3-pentadecylbenzene-1,2-d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OC1=CC=CC(CCCCCCC\C=C\C\C=C\CC=C)=C1O QARRXYBJLBIVAK-UEMSJJPVSA-N 0.000 description 2
- IYROWZYPEIMDDN-UHFFFAOYSA-N 3-n-pentadec-8,11,13-trienyl catec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IYROWZYPEIMD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093951 Ailanthus altissi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SHZGCJCMOBCMKK-UHFFFAOYSA-N D-mannomethylose Natural products CC1OC(O)C(O)C(O)C1O SHZGCJCMOBCM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NNNRSAQSRJVSB-UHFFFAOYSA-N L-rhamnose Natural products CC(O)C(O)C(O)C(O)C=O PNNNRSAQSRJV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29 Lactobacillus brev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57 Lactobacillus brev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7304 Menopausal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YMYPHUHKUWMLA-LMVFSUKVSA-N aldehydo-D-rib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LMVFSUKV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JRPTMORGOIMMI-UHFFFAOYSA-N ethyl 2-amino-4-(trifluoromethyl)-1,3-thiazole-5-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1SC(N)=NC=1C(F)(F)F XJRPTMORGOIM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494 ginsen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12 glutama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9906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1083 no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QTMTQZSOJMZSF-UHFFFAOYSA-N urushi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DQTMTQZSOJMZ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HDTRYLNUVZCQOY-UHFFFAOYSA-N α-D-glucopyranosyl-α-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O)C(O)C(CO)O1 HDTRYLNUVZCQ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CIJNAGGSZNQT-JHSLDZJXSA-N (R)-amygda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H](O[C@@H](C#N)C=2C=CC=CC=2)O1 XUCIJNAGGSZNQT-JHSLDZJXSA-N 0.000 description 1
- VBUYCZFBVCCYFD-JJYYJPOSSA-N 2-dehydro-D-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C(O)=O VBUYCZFBVCCYFD-JJYYJPOSSA-N 0.000 description 1
- PLXMOAALOJOTIY-FPTXNFDTSA-N Aesculin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H]1Oc2cc3C=CC(=O)Oc3cc2O PLXMOAALOJOTIY-FPTXNFDT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DCSYEGIMSA-N Bet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DCSYEGIM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38 Cata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3835 Cata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5559 Cerebral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NBCMONIPIJTSB-BGNCJLHMSA-N Cichori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c2c(OC(=O)C=C2)c1 WNBCMONIPIJTSB-BGNCJLHMSA-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NGQZWQHPSA-N D-Arabitol Natural products OC[C@H](O)C(O)[C@H](O)CO HEBKCHPVOIAQTA-NGQZWQHP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UHFFFAOYSA-N D-Cellobiose Natural products OCC1OC(OC2C(O)C(O)C(O)OC2CO)C(O)C(O)C1O GUBGYTABKSRV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CUHNMECISA-N D-Cell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CUHNMECISA-N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VRPWFDPXSA-N D-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VRPWFDPX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QWWZWVQMSA-N D-arabi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O)[C@H](O)CO HEBKCHPVOIAQTA-QWWZWVQM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description 1
- QWIZNVHXZXRPDR-UHFFFAOYSA-N D-melezitose Natural products O1C(CO)C(O)C(O)C(O)C1OC1C(O)C(CO)OC1(CO)OC1OC(CO)C(O)C(O)C1O QWIZNVHXZXRP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SOOFDHNKSA-N D-rib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SOOFDHNKSA-N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OEXCPVAWSA-N D-tagat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OEXCPVAW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IOVATXLUSA-N D-xy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IOVATXL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SQUHHTBVTRBESD-UHFFFAOYSA-N Hexa-Ac-myo-Inositol Natural products CC(=O)OC1C(OC(C)=O)C(OC(C)=O)C(OC(C)=O)C(OC(C)=O)C1OC(C)=O SQUHHTBVTRBE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KDRXBCSQODPBY-AMVSKUEXSA-N L-(-)-Sorb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AMVSKUEX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PQMKYFCFSA-N L-Fucose Natural products C[C@H]1O[C@H](O)[C@@H](O)[C@@H](O)[C@@H]1O SHZGCJCMOBCMKK-PQMKYFCFSA-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IMJSIDKUSA-N L-arabi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O)[C@@H](O)CO HEBKCHPVOIAQTA-IMJSIDKU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DHVFOXMCSA-N L-fuc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DHVFOXMC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14 L-glutama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OWMBCFKOSA-N L-rib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OWMBCFKO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9541 Lacc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OVRNDRQMDRJTHS-UHFFFAOYSA-N N-acelyl-D-glucosamine Natural products CC(=O)NC1C(O)OC(CO)C(O)C1O OVRNDRQMDRJT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RNDRQMDRJTHS-FMDGEEDCSA-N N-acetyl-beta-D-glucosamine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 OVRNDRQMDRJTHS-FMDGEEDCSA-N 0.000 description 1
- MBLBDJOUHNCFQT-LXGUWJNJSA-N N-acetylglucosamine Natural products CC(=O)N[C@@H](C=O)[C@@H](O)[C@H](O)[C@H](O)CO MBLBDJOUHNCFQT-LXGUWJNJ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KXNBNKWCZZMJT-UHFFFAOYSA-N O4-alpha-D-Mannopyranosyl-D-mannose Natural products O=CC(O)C(O)C(C(O)CO)OC1OC(CO)C(O)C(O)C1O DKXNBNKWCZZM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YRXSINWFIIFAE-UHFFFAOYSA-N O6-alpha-D-Galactopyranosyl-D-galactose Natural products OCC1OC(OCC(O)C(O)C(O)C(O)C=O)C(O)C(O)C1O AYRXSINWFIIF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KPPEIDJGJGRGK-UHFFFAOYSA-N Panacen Natural products CCC1=CC=CC2=C1C1OC(C=C=CBr)CC1O2 SKPPEIDJGJGR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7297 Pepsin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4 Peps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LCFGWHYROZGBI-JJKGCWMISA-M Potassium gluconate Chemical compound [K+].OC[C@@H](O)[C@@H](O)[C@H](O)[C@@H](O)C([O-])=O HLCFGWHYROZGBI-JJKGCWMISA-M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JZRPKSSGSA-N Salic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CO)cccc1 NGFMICBWJRZIBI-JZRPKSSG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738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028 Stutte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UHFFFAOYSA-N UNPD196149 Natural products OC1C(O)C(CO)OC1(CO)OC1C(O)C(O)C(O)C(COC2C(C(O)C(O)C(CO)O2)O)O1 MUPFEKGTMRGP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IPILFWXSMYKGL-UHFFFAOYSA-N acetylcholine Chemical compound CC(=O)OCC[N+](C)(C)C OIPILFWXSMYK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73 acetyl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DPYQTVNSSA-N aldehydo-D-fuc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DPYQTVNSSA-N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BXKVDMCESA-N aldehydo-L-rhamnose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BXKVDMCESA-N 0.000 description 1
- PYMYPHUHKUWMLA-WISUUJSJSA-N aldehydo-L-xyl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ISUUJSJ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6 aldehydo-L-xyl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DTRYLNUVZCQOY-LIZSDCNHSA-N alpha,alpha-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STGXQOJASA-N alpha-D-lyx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H](O)[C@@H](O)[C@H]1O SRBFZHDQGSBBOR-STGXQOJASA-N 0.000 description 1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UHFFFAOYSA-N alpha-salicin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C=CC=C1CO NGFMICBWJRZI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837 amygda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YZLOSXFCSIDECK-UHFFFAOYSA-N amygdalin Natural products OCC1OC(OCC2OC(O)C(O)C(O)C2O)C(O)C(O)C1OC(C#N)c3ccccc3 YZLOSXFCSIDE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6 antineoplas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181 antineoplastic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33 bile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522 cellular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27 cerebral blood flow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4 decarbox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XHCADAYNFIFUHF-TVKJYDDYSA-N esc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C1)O)=CC2=C1OC(=O)C=C2 XHCADAYNFIFUHF-TVKJYDD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96 esc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WRMZKLXZLNBBK-UHFFFAOYSA-N esculin Natural products OC1OC(COc2cc3C=CC(=O)Oc3cc2O)C(O)C(O)C1O AWRMZKLXZLNB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GHHWSRCTPQFFC-UHFFFAOYSA-N eucalyptosin A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C#N)C=2C=CC=CC=2)OC(CO)C(O)C1O YGHHWSRCTPQF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4 exci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13 ferric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GUCUJZIJSA-N galac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GUCUJZIJSA-N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CQUJWQHSSA-N gentio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CQUJWQH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9161 ginsen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GPIVLXJG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O)[C@@H]1O CDAISMWEOUEBRE-GPIVLXJG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51 intracranial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NPFOYSMITVOQOS-UHFFFAOYSA-K iron(III) citrate Chemical compound [Fe+3].[O-]C(=O)CC(O)(CC([O-])=O)C([O-])=O NPFOYSMITVOQOS-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60 malt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WIZNVHXZXRPDR-WSCXOGSTSA-N melezitose Chemical compound O([C@@]1(O[C@@H]([C@H]([C@@H]1O[C@@H]1[C@@H]([C@@H](O)[C@H](O)[C@@H](CO)O1)O)O)CO)CO)[C@H]1O[C@H](CO)[C@@H](O)[C@H](O)[C@H]1O QWIZNVHXZXRPDR-WSCXOGSTSA-N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ABXHMFFYSA-N melib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ABXHMFF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ZFYZTMLRSA-N methyl alpha-D-gluc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ZFYZTMLRSA-N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VEIUFWFVSA-N methyl alpha-D-man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H](CO)[C@@H](O)[C@H](O)[C@@H]1O HOVAGTYPODGVJG-VEIUFWFVSA-N 0.000 description 1
- ZBDGHWFPLXXWRD-JGWLITMVSA-N methyl beta-D-xylopyranoside Chemical compound CO[C@@H]1OC[C@@H](O)[C@H](O)[C@H]1O ZBDGHWFPLXXWRD-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HOVAGTYPODGVJG-UHFFFAOYSA-N methyl beta-galactoside Natural products COC1OC(CO)C(O)C(O)C1O HOVAGTYPODGVJ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59 moto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780 n-acetylglucos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7 nattō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5 nerv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H adjust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1202 peps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5004 poison ivy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7 polyace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75 potass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4 potassium gluc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9 potassium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6 potassium gluc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ZQSKZDJDSA-N raffin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O2)O)O1 MUPFEKGTMRGPLJ-ZQSKZDJD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ZXFHETKHSA-N rib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ZXFHETKHSA-N 0.000 description 1
- NGFMICBWJRZIBI-UJPOAAIJSA-N sali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C=C1CO NGFMICBWJRZIBI-UJPOAAIJ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0668 sal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UHFFFAOYSA-N scyllo-inosotol Natural products OC1C(O)C(O)C(O)C(O)C1O CDAISMWEOUEB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32 sed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4 se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29 sexual behaviou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8 spin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793 sucr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7 thromb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ULSWEULPANCDV-PIXUTMIVSA-N tura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O)CO)O[C@H]1O[C@H](CO)[C@@H](O)[C@H](O)[C@H]1O RULSWEULPANCDV-PIXUTMI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5 visc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5—Amino acids other than alpha- or beta amino acids, e.g. gamma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8—Gamma-amino butyr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 A23Y2220/67—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고초균인 바실러스 균주와 신규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를 이용한 이단발효를 통해 γ-PGA 및 GABA가 증진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은 γ-PGA, GABA,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여 있기에 식품 및 기능성 식품, 화장품, 사료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고초균인 바실러스 균주와 신규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를 이용한 이단발효를 통해 γ-PGA 및 GABA가 증진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은 γ-PGA, GABA,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여 있기에 식품 및 기능성 식품, 화장품, 사료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홍삼(紅蔘)은 수삼(水蔘,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를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말한다.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 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와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최근 홍삼의 면역 개선, 피로 회복, 혈액순환 개선, 항산화, 갱년기 증상 완화, 항암 효과 등 다양한 효과들이 임상 및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옻나무는 뿌리,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 심재(心材), 수지(樹脂), 칠엽(漆葉), 종자 등도 약용으로 쓰고 있으며, 절상 치료, 소적(消積), 구충(驅蟲), 어혈제, 신경통, 관절염, 피부병, 결핵균억제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옻나무의 주성분으로는 건칠이란 생칠속의 우루시올(Urushiol)이 락케이즈(laccase)의 작용으로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생성된 검은색의 수지(resin)이란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최근에는 옻나무에서 MU2 및 머틸 칼레이르라는 항암물질이 국내에서 추출되었는데, 이는 인체노화방지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기존의 항암치료제보다 암세포 증식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GABA)은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사람에 있어서는 신경계 및 혈액에 함유되어 있고, 이의 대부분은 뇌의 골수에 존재하여 아세틸 콜린이라 불리는 신경전달 물질은 증가시키고, 뇌 기능을 촉진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 GABA는 신경전달물질, 뇌기능 촉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오래 전부터 혈압저하작용, 이뇨작용 등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뇌졸중 치료제로서 의약품에도 등록되어 있다. GABA 함유 차, 쌀 및 콩 발효 식품, 김치 등에서 분리한 유산균들이 GABA를 고농도로 생산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는데 실제 일본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이용하여 GABA를 고농도 생산함으로써 식품에 실제 응용하고 있다.
또한, 일본 소주에서부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를 배양하여 직접 GABA를 만드는 방법까지 보고되고 있다. 이런 고혈압 예방, 뇌기능 촉진 등의 효과는 계속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GABA의 산업적 응용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홍삼을 이용하여 γ-PGA, GABA,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된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홍삼은 국내에서 잘 알려진 건강기능식품으로 6년된 수삼의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증기를 통해 오랜 시간 찐 후 건조한 것을 홍삼이라 한다. 이 홍삼으로부터 물과 주정 등 용매를 통해 추출 및 여과하여 농축한 것을‘홍삼농축액’이라고 하는데, 인삼에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하는 트리테르페니드(Triterpenid)계 인삼사포닌이 함유되어 있고, 항암 활성, 면역기능 조절, 항산화 활성 및 노화 억제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삼을 통해 제조한 홍삼에는 인삼에는 없는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근 홍삼의 면역 개선, 피로 회복, 혈액순환 개선, 항산화, 갱년기 증상 완화, 항암 효과 등 다양한 효과들이 임상 및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이러한 홍삼은 발효를 통해 특정 진세노사이드를 강화하며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생활 습관성 질병 및 만성 질환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기능식품의 소비 또한 증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종래의 고초균과 신규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의 혼합 발효를 통해 점질물, γ-PGA, GABA,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물질이 강화된 발효홍삼 제품을 개발하였다.
상세하게, 본 발명자들은 홍삼농축액(RGC)을 희석한 5% 홍삼 희석액에 발효성 당으로 포도당 및 탈지유(skim milk)를 첨가한 후 점질물 r-PGA와 GABA 생산의 전구물질인 MSG를 소정량 첨가하여 고초균으로 1차 발효하고, 다시 신균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를 접종하여 2차 발효를 통해 이단발효(또는 복합발효)를 최적화하는 경우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한 신규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는 종래에 알려진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EJ2014와 대비하여 GABA 전환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초균과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법을 통해 고농도 감마-폴리글루타민산(gamma-poly glutamic acid; γ-PGA)과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를 포함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γ-PGA 및 GABA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ABA(γ-aminobutyric acid) 생산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KCCM 12782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홍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을 희석하여 얻은 희석액에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 글루코오스(glucose), 및 탈지유(skim milk)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에 고초균 스타터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1차 발효시킴으로써 1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 (4) 상기 1차 발효물에 대하여 탈지유(skim milk) 및 글루코오스(gluc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 스타터(starter)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을 2차 발효시킴으로써 2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γ-PGA 및 GABA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초균과 신규한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법을 통해 감마-폴리글루타민산(gamma-poly glutamic acid; γ-PGA)과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혼합 발효 형태인 2단 발효를 수행함으로써 풍미가 우수하고 점질물, GABA, 혈전용해효소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기능성 음료 및 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신규 젖산균을 동정하기 위해 균주를 MRS 배지에 도말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동정을 위한 BLAST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계통수(Phylogenetic tree)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홍삼농축액(RGC)에 대한 고초균인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홍삼농축액(RGC)에 대한 고초균인 B. velezensis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옻나무희석액(TVE)의 고초균인 B. velezensis MK 및 L.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홍삼농축액(RGC)의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 시 발효물의 pH 및 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홍삼농축액(RGC)의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 시 점조도(Consistency index) 및 점질물양(Mucilage conten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의 발효물의 pH 및 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na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 내 생존 가능한 박테리아 수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2는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의 TLC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옻나무희석액(TVE)의 B. velezensis MK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의 TLC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L. plantarum EJ2014 균주와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GABA 생성 능력을 glucose 2%, MSG 3%가 첨가된 MRS broth에서 배양 후 TL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
도 15는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와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해 이단발효 시 티로신 함량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홍삼농축액(RGC) 시료의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결과이다.
도 17은 홍삼농축액(RGC) 시료의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NO) 생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LPS가 처리되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홍삼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LPS가 처리되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L. plantarum KS2020의 API 50CHL 키트 결과를 토대로 균주를 동정한 결과이다.
도 21은 L. plantarum KS2020의 API 50CHL 키트 결과로 반응전(좌) 및 반응후(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동정을 위한 BLAST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계통수(Phylogenetic tree)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홍삼농축액(RGC)에 대한 고초균인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홍삼농축액(RGC)에 대한 고초균인 B. velezensis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옻나무희석액(TVE)의 고초균인 B. velezensis MK 및 L.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한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홍삼농축액(RGC)의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 시 발효물의 pH 및 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홍삼농축액(RGC)의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 시 점조도(Consistency index) 및 점질물양(Mucilage conten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의 발효물의 pH 및 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na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 내 생존 가능한 박테리아 수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2는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의 TLC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옻나무희석액(TVE)의 B. velezensis MK 및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를 이용한 이단발효 시 발효물의 TLC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L. plantarum EJ2014 균주와 L. plantarum KS2020 균주의 GABA 생성 능력을 glucose 2%, MSG 3%가 첨가된 MRS broth에서 배양 후 TLC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
도 15는 홍삼농축액(RGC)의 B. velezensis WK2019와 L. plantarum 균주(L. plantarum EJ2014, L. plantarum KS2020)에 의해 이단발효 시 티로신 함량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홍삼농축액(RGC) 시료의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결과이다.
도 17은 홍삼농축액(RGC) 시료의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NO) 생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LPS가 처리되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홍삼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LPS가 처리되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L. plantarum KS2020의 API 50CHL 키트 결과를 토대로 균주를 동정한 결과이다.
도 21은 L. plantarum KS2020의 API 50CHL 키트 결과로 반응전(좌) 및 반응후(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초균과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법을 통해 감마-폴리글루타민산(gamma-poly glutamic acid; γ-PGA)과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 추출물 또는 옻 추출물에 고초균(Bacillus subtilis)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HA (KCCM 10775P) 균주 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WK2019 (KCCM 12589P)를 이용한 1차 발효를 수행한 후 젖산균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로 2차 발효를 통해 혼합 발효를 수행함으로써 풍미가 우수하고 점질물, GABA, 펩티드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는 종래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EJ2014와 대비하여 GABA 전환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발효물 제조방법보다 고농도 γ-PGA, GABA, 펩티드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은 GABA(γ-aminobutyric acid) 생산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KCCM 12782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된 것으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KCCM 12782P로 수탁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1) 홍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을 희석하여 얻은 희석액에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 글루코오스(glucose), 및 탈지유(skim milk)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에 고초균 스타터(starter)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1차 발효시킴으로써 점질물인 감마-폴리글루탐산(γ-polyglutamic acid, γ-PGA)이 생성된 추출물 1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 (4) 상기 1차 발효물에 대하여 탈지유(skim milk) 및 글루코오스(gluc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KCCM 12782P) 균주 스타터(starter)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을 2차 발효시킴으로써 점질물 및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 GABA)이 생성된 2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 발효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1) 단계는 홍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홍삼 또는 옻나무를 물과 또는/및 주정 등의 용매를 통해 추출 및 여과하여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말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2) 단계는 상기 농축액을 희석하여 얻은 희석액에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 글루코오스(glucose), 및 탈지유(skim milk)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타터(starter)"란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을 말한다. 따라서 스타터 미생물의 종류는 그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게 되며 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중에서 스타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등이 있으며, 이것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HA(Bacillus subtilis HA)(KCCM 10775P) 균주는 전통 청국장에서 분리 및 동정한 균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WK2019 (KCCM 12589P)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 및 동정한 균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MK 균주는 맥아에서 분리 및 동정한 균주로서 공지된 균주이다.
상기 (1) 단계에서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HA (KCCM 10775P) 균주 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WK2019 (KCCM 12589P)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1) 단계에서 옻나무 추출물을 준비한 경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MK 균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질물"에는 "감마-폴리글루탐산(gamma-poly glutamic acid; γ-PGA)"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γ-PGA는 글루탐산 단량체(monomer glutamic acid)의 a-아미노기와 γ-카르복실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amide linkage)에 의해 결합된 동종 중합체(homopolymer)이다. 일본의 전통발효식품인 낫토(natto)의 점액성물질이 고초균(Bacillus)에 의해 생산되는 대표적인 γ-PGA로서 바실러스 낫토 사와무라(Bacillus natto Sawamura)에 의해 생산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γ-PGA는 수용성, 음이온성, 무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식용 등의 다양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EJ2014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KCCM 12782P로 수탁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ma amino butyric acid; GABA)"은 4-아미노부틸산으로써 L-글루타메이트(L-glutamate) 기질이 탈탄산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이에 관여하는 효소로는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제(glutamate decarboxylase; GAD)가 있으며 피리독시드-5'-포스페이트(pyridoxid-5'-phosphate) 의존성 경로로 합성된다. GABA는 단백질에서는 발견이 되지 않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뇌나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혈류를 개선하며 뇌의 산소공급을 증가시켜 뇌의 대사촉진 및 뇌 기억을 증진시키는 뇌의 영양제로 알려져 있다. GABA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가 신경을 활성화시키는 것과는 달리 신경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신경세포의 기능과 정보처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감각 뇌에서 방향 민감성, 각도 민감성 반응 등을 결정하며 정교한 운동기능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의 뇌혈류 촉진효과와 산소공급 증가효과는 뇌세포의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뇌졸중의 후유증 및 뇌동맥경화증 등에 개선효과가 나타나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바실러스 균주 스타터는 상기 단계 (2)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될 수 있는 바,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1차 발효를 진행하여 고농도의 γ-PGA를 포함하는 추출물 1차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3)에서 1차 발효는 30℃ 내지 50℃의 발효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진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2℃의 발효 온도에서 2일 동안 진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4) 단계는 상기 1차 발효물에 대하여 탈지유(skim milk) 및 글루코오스(gluc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홍삼농축액을 사용하는 경우 (4) 단계에서 탈지유 및 글루코오스를 모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5)에서 2차 발효 시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가 1차 발효물에 잔존하는 MSG를 GABA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추출물 2차 발효액은 고농도의 γ-PGA 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GABA를 더 포함하여 다양한 생리 활성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계 (5)에서 2차 발효는 25℃ 내지 35℃의 발효 온도에서 7 내지 15일 동안 진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물은 혼합 발효액은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거나 알러지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바, 고농도의 GABA를 포함함으로써 인지능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면역 활성 또는 알러지 반응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GABA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 발효물, 또는 상황버섯 추출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고, 건강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제조 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불면증 개선, 스트레스 해소, 우울증 완화, 혈압강하, 면역 증진 등의 다양한 효과를 위한 보조제로 섭취될 수 있다.
상기 발효물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개선 등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재료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홍삼농축액(Red ginseng concentrate, 이하‘RGC’임)은 고려금산홍삼(Geumsa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고초균(1차 발효) 및 젖산발효(2차 발효) 시 γ-PGA와 GABA 생성을 위하여 첨가한 부원료인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SG)와 글루코오스(glucose)는 각각 CJ Cheiljedang (Seoul, Korea), Samyang Genex Corporation(Incheon, Korea)에서 구입하였고, 펩타이드(peptide) 생성을 위해 첨가한 탈지유(skim milk)는 서울우유(Seoul, Kore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MRS 배지는 Difco™ Lactobacilli MRS(Becton, Dicknson and Company, Sparks, MD, USA)사의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특급 시약들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준비예 2> 균주 동정
(1) 시료채취 및 유산균 분리
가정에서 제조한 김치 시료를 수거하여, 1차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김치액에 0.1% pepsin solution(pH 2.0; Sigma-Aldrich Co.)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연속 배양을 위해 2시간 동안 반응한 용액을 0.3% 담즙염(pH 6 ~ 7; Sigma-Aldrich Co.)에 접종하였다. 반응액을 BCP(Bromocresol-purple)지시약을 첨가한 MRS 배지에 도말하고, 30℃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 후, 젖산 생산에 의해 노랗게 형성된 콜로니(colony)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콜로니를 3회 이상 MRS agar medium에 순수 배양한 것을 동결보관 및 유지하여 균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2) 균주의 특징 분석 및 동정
선별된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API 50CHL kit를 통해 분석 결과(그림 20,21), 균주의 속종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확인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은 잘 알려진 Gram(+), Catalase(-)인 혐기성-통성 혐기성 간균으로 발효에 사용하는 당은 하기 표 1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 | 결과 | 당 | 결과 | ||
0 | Control | - | 25 | Esculin ferric citrate | + |
1 | Glycerol | + | 26 | Salicin | + |
2 | Erythritol | - | 27 | D-cellobiose | + |
3 | D-arabinose | - | 28 | D-maltose | + |
4 | L-arabinose | - | 29 | D-lactose(bovine origin) | + |
5 | D-ribose | + | 30 | D-melibiose | + |
6 | D-xylose | - | 31 | D-saccharose(sucrose) | + |
7 | L-xylose | - | 32 | D-trehalose | + |
8 | D-adonitol | - | 33 | Inulin | - |
9 | Methyl-βD-xylopyranoside | - | 34 | D-melezitose | + |
10 | D-galactose | + | 35 | D-raffinose | - |
11 | D-glucose | + | 36 | Amidon(starch) | - |
12 | D-fructose | + | 37 | Glycogen | - |
13 | D-mannose | + | 38 | Xylitol | - |
14 | L-sorbose | - | 39 | Gentiobiose | + |
15 | L-rhamnose | - | 40 | D-turanose | + |
16 | Dulcitol | - | 41 | D-Lyxose | - |
17 | Inositol | - | 42 | D-tagatose | - |
18 | D-mannitol | + | 43 | D-fucose | - |
19 | D-sorbitol | + | 44 | L-fucose | - |
20 | Methyl-αD-mannopyranoside | - | 45 | D-arabitol | - |
21 | Methyl-αD-glucopyranoside | - | 46 | L-arabitol | - |
22 | N-acetylglucosamine | + | 47 | potassium gluconate | - |
23 | amygdalin | + | 48 | potassium 2-ketogluconate | - |
아울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라스트(Blast)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등록된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고 계통도 작성(MEGA-X Program)한 결과로서, 본 발명자는 상기 균주를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 plantarum) 균주로 동정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KS2020로 명명하여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에 2020년 9월 9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 12782P)(도 2 및 도 3).
<준비예 3> 균주 스타터(starter) 제조
1차 발효에 사용되는 고초균인 Bacillus subtilis HA 균주를 MRS 배지에 접종하여 42℃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영양배지(Nutrient broth)에 접종하여 42℃에서 24시간 160 rpm으로 진탕배양 하였다.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균체를 멸균수로 희석하여 10배 농축하여 Bacillus subtilis HA 스타터를 제조하였다. 또 다른 고초균인 Bacillus velezensis WK2019 균주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아울러, 옻나무 추출액의 발효를 위해 맥아에서 분리된 B. velezensis MK 균주 스터터는 MRS 배지에 B. velezensis MK 균주를 접종하고 42℃에서 24시간 배양 후 5% 탈지유 배지(skim milk broth)에 접종하여 42℃에서 24시간 160rpm으로 진탕 배양하여 스타터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동정한 신규 균주인 L. plantarum KS2020 균주는 MRS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배양 후 스타터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고초균 발효(1차 발효)를 위한 최적 균주 선별 및 발효
점질물의 생산 최적화를 위한 균주 선별을 목적으로 121℃, 15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고압증기멸균 과정을 거친 5% 홍삼농축액(red ginseng concentrate, RGC)에 40% 글루코스, 50% MSG를 사용하여 각각 2%(w/v), 5%(w/v) 농도로 혼합하였다. 특히, 10% 탈지유 용액(w/v)을 각각 전체 부피의 10%, 2%, 5%, 2.5%가 되도록 첨가 후 1차 고초균 발효(alkaline fermentation)를 위해서 B. subtilis HA 균주 또는 B. velezensis WK2019 균주의 농축 스타터를 5% 접종하여 진탕배양기(SI-900R,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에서 42℃, 160 rpm으로 2일 동안 진탕배양한 후 점질물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최적 균주로서 채택하였다(도 5, 표 2).
component (mL) | A1) | B2) |
50% RGC | 20 | |
40% glucose | 10 | |
50% MSG | 20 | |
10% skim milk | 50 | |
D, W. | 90 | |
HA starter | 10 | - |
WK2019 starter | - | 10 |
Total | 200 | |
1)A : B. subtilis HA, 2) B : B. velezensis WK2019 |
<실험예 2> 고초균 발효(1차 발효)
점질물의 생산 최적화를 위해, 발효 조건을 최적화하여 발효시켰다. 상세하게, 121℃, 15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고압증기멸균 과정을 거친 50% 홍삼농축액(RGC), 40% 글루코오스, 50% MSG, 10% 탈지유(Skim milk) 용액(w/v)을 각각 전체 부피의 10%, 2%, 5%, 2.5%가 되도록 첨가 후 B. velezensis WK2019 균주 스타터 5%를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42℃, 160 rpm으로 2일 동안 진탕 배양한 후 발효물의 이화학적 분석을 하였다(도 6 및 표 2).
<실험예 3>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복합발효)
실험예 2에서 수득한 고초균에 의한 1차 발효물을 이용하여 GABA 생산 최적화를 위해 젖산균을 통한 2차 혼합 발효를 위해, 먼저 고초균 발효를 진행한 1차 발효물에 L. plantarum EJ2014 스타터 또는 L. plantarum KS2020 스타터를 각각 1%(v/v) 접종한 홍삼농축액 배지를 항온배양기(IS-971R, JeioTech. Kimpo, Korea)에서 30℃로 7일간 정치 배양 후 홍삼발효물의 이화학적 분석을 하였다(도 6 및 표 3).
Component (mL) | A1) | B2) |
50% RGC | 20 | |
40% glucose | 10 | |
50% MSG | 20 | |
10% skim milk | 50 | |
D. W. | 90 | |
WK2019 starter | 10 | |
Total | 200 | |
Fermented RGC | 200 | |
40% glucose | 10 | |
10% skim milk | 100 | |
D. W. | 86 | |
EJ2014 starter | 4 | - |
KS2020 starter | - | 4 |
Total | 400 | |
1)A : L. plantarum EJ2014, 2) B : L. plantarum KS2020 |
<실험예 5>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이단발효(복합발효)
농업법인(주)옻가네의 발효를 통해 우루시올이 제거된 참옻 발효진액을 옻나무 추출물로써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옻나무 추출물을 실험예 1 내지 4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초균의 경우 B. subtilis MK를 사용하여 이단발효를 수행하였다(표 4).
Component (mL) | A1) | B2) | C3) | D4) |
TVE | 60 | |||
50% glucose | - | 8 | ||
50% MSG | 20 | |||
MK starter | 10 | |||
D, W. | 110 | 102 | ||
Total | 200 | |||
10% skim milk | 200 | |||
EJ2014 starter | 4 | - | 4 | - |
KS2020 starter | - | 4 | - | 4 |
Total (mL) | 404 | |||
1)A : glucose 0%, EJ2014 starter, 2)B : glucose 0%, KS2020 starter, 3)C : glucose 2%, EJ2014 starter, 4)D : glucose 2%, KS2020 starter |
<실시예 1> 홍삼발효물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1-1. 고초균 발효 시 pH 및 산도 변화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오스 2%, MSG 5%, 탈지유 2.5% 첨가한 조건에서 1차 고초균 발효 0일차 pH 6.40, 산도(acidity) 0.20%에서 1차 접종 균주인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 조건에서 각각 pH 6.66, 6.96, 및 산도(acidity) 0.24%, 0.21%로 나타내었다. 발효 시작 후 2일차에 pH 7.48, 7.67, 및 산도(acidity) 0.15%, 0.14%로 pH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8).
1-2. 고초균 발효 시 점조도 및 점질물 생성 변화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오스(glucose) 2%, MSG 5%, 탈지유(skim milk) 2.5% 첨가한 조건에서 고초균인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 균주 스타터를 이용한 발효 2일간의 점조도 및 점질물 생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점조도는 B. subtilis HA, 및 B. velezensis WK2019 균주는 0 일차일 때 각각 0.00 Pa-sn, 0.00 Pa-sn에서 1일차일 때 0,05 Pa-sn, 0.14 Pa-sn까지 증가한 후 2일차에 B. subtilis HA는 0.05 Pa-sn, B. velezensis WK2019는 0.08 Pa-sn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질물의 경우 B. subtilis HA, B. velezensis Wk2019는 각각 1일차 3.90%, 2.80%로 나타났고, 발효 2일차에 B. subtilis HA는 감소하였으며, B. velezensis WK2019는 증가하여 각각 2.00%, 4.20%의 점질물 함량을 나타내었다(도 9).
1-3.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한 혼합 발효 시 pH 및 산도 변화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오스(glucose) 2%, MSG 5%, 탈지유(skim milk) 2.5% 첨가한 조건에서 고초균으로 1차 발효 0일차 pH 6.53, 산도(acidity) 0.16%에서 발효 2일차 pH 7.79, 산도(acidity) 0.09%로 pH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초균인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와 젖산균인 L. plantarum KS2020을 이용하여 2차 혼합 발효가 진행되면, 발효 7일차 발효물의 pH는 크게 감소하여 B. subtilis HA를 고초균으로 사용한 경우 pH 4.68, B. velezensis WK2019를 고초균으로 사용한 경우 4.80를 보였다. 아울러, 산도(acidity)는 B. subtilis HA를 고초균으로 사용한 경우 1.57%, B. velezensis WK2019를 고초균으로 사용한 경우 1.30%를 나타내었다(도 10).
<실시예 2> 홍삼발효물의 생균수 변화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스 2%, MSG 5%, 탈지유(skim milk) 2.5% 첨가한 조건에서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를 이용하여 1차 발효 시 생균수는 발효 0일차 8.10 log CFU/mL에서 2일차에 9.54 log CFU/mL까지 증가하였다. 아울러, L. plantarum EJ2014 또는 L. plantarum KS20202를 이용하여 2차 발효 시 각각 0일차 7.14, 7.25 log CFU/mL에서 발효 7일차 8.97, 9.16 log CFU/mL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HA, 또는 B. velezensis WK2019를 이용한 경우 생균수는 2차 발효 기간 동안 두 조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7일차 각각 6.91, 6.50 log CFU/mL로 나타내었다(도 11).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의 우수한 GABA 생산능 확인
3-1. 홍삼발효물에서의 GABA 생산능 확인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스 2%, MSG 5%, 탈지유(skim milk) 2.5% 첨가한 조건에서 1차 B. velezensis WK2019에 의해서 배양된 점질물 배양액을 이용하여 L. plantarum EJ2014 또는 L. plantarum KS2020을 이용한 혼합 발효 기간 동안 MSG에서 GABA 전환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해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L. plantarum EJ2014 경우 발효 5일차까지 MSG가 잔존하며 7일차에 GABA 전환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고, L. plantarum KS2020의 경우 발효 3일차에 MSG가 모두 소진되면서 GABA 전환이 완료되어 약 2% 이상의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GABA 생산 우수 균주인 L. plantarum EJ2014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신규 젖산균인 L. plantarum KS2020이 전구물질 MSG로부터 GABA전환이 보다 짧은 발효 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면서 GABA 생성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12).
3-2. 옻나무 발효물에서의 GABA 생산능 확인
옻나무 추출액의 1차 고초균 발효물은 글루코스 2%, MSG 5% 첨가 후에 B. velezensis MK을 5% 탈지유에서 배양시킨 스타터를 5% 접종하여 점질물을 함유한 1차 고초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2차 발효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5% 탈지유를 첨가한 후 젖산균인 L. plantarum EJ2014 또는 L. plantarum KS2020을 1% 수준으로 접종하고 혼합 발효(도 7) 하여 GABA 생산을 비교하였다.
젖산균과의 혼합 발효에서 발효 기간 동안 MSG에서 GABA 전환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L. plantarum KS2020을 사용한 B, D 조건에서 발효 3일차부터 GABA 전환이 이루어져 5일차에 MSG가 대부분 소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L. plantarum EJ2014를 사용한 A, C 조건에서는 발효 5일 동안 GABA 전환이 미비하였다. 결과적으로 L. plantarum KS2020이 옻나무 추출액의 고초균 및 젖산균 혼합 발효를 통해서 GABA 생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3-3. L. plantarum EJ2014와 L. plantarum KS2020의 GABA 생성능 비교
50% MRS 배지에 글루코스 2%, MSG 3%가 추가된 배지에 젖산균인 L. plantarum EJ2014 또는 L. plantarum KS2020을 1 loop 씩 접종 후 7일 동안 배양하여 MSG에서 GABA 전환 정도를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해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L. plantarum EJ2014 EJ2014 경우 발효 7일차까지 MSG가 잔존하며 GABA 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것을 확인되었고, L. plantarum KS2020의 경우 발효 1일차에 GABA 생성이 뚜렷하게 확인되었고 MSG의 소진은 3일차에 완전히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의 GABA 생산 우수 균주인 L. plantarum EJ2014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신규 젖산균인 L. plantarum KS2020이 전구물질 MSG로부터 GABA 전환이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이루어지면서 GABA 생성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실시예 4> 홍삼발효물의 타이로신 함량 측정
홍삼농축액(RGC) 5%, 글루코스 2%, MSG 5%, 탈지유 2.5% 첨가한 조건에서 1차 고초균 WK2019로 발효된 후 2차 젖산균 발효시에 탈지유가 추가로 첨가되어 혼합 발효를 수행하였다. 혼합 발효 기간 동안 발효물에 존재하는 펩티드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타이로신 함량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고초균 발효 0일차 59.07 mg%에서 2일차 143.33 mg%로 증가한 후 혼합 발효가 진행되며 혼합 발효 7일차 A, B 조건 각각 117.53, 120.56 mg%로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도 15).
<실시예 5> 홍삼발효물의 면역활성 확인
5-1.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RGC1), RGC 1-22), RGC 2-73)은 식품공전에 따른 고형분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 3.6, 8.4, 6.6%의 고형분 함량을 나타냈다(RGC1) : 20배 희석한 홍삼농축액, RGC 1-22) : B. velezensis WK2019로 발효한 발효물, RGC 2-73) :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KS2020로 혼합 발효한 발효물).
아울러, 홍삼농축액 및 발효기간에 따른 홍삼농축액 발효물의 농도(10 ~ 1000배 희석액) RAW264.7 대식세포(macrophage)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 3종 RGC1), RGC 1-22), RGC 2-73) 모두 전 농도에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도 16).
5-2.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 생성 증진을 통한 면역활성
RAW264.7 대식세포에서 홍삼농축액 및 발효기간에 따른 홍삼농축액 발효물의 산화질소(NO) 생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 전의 홍삼농축액의 희석농도에서 산화질소 생성은 음성 대조군과 비슷하게 산화질소 생성이 미약하면서 면역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1차 고초균 발효한 홍삼발효물(RGC 1-2)을 처리한 경우 산화질소 생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면역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특히 희석배수가 250배일 때 29.00 μM으로 가장 높은 산화질소 발생량을 보여 대식세포의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면역증진 기능성 소재로 알려진 r-PGA의 500ug/mL 농도에서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하여 혼합 발효한 홍삼발효물(RGC 2-7)의 경우 희석배수가 50배일 때 가장 좋은 대식세포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17). 이는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하여 혼합 발효한 홍삼발효물이 면역 활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6> 홍삼발효물의 항염증 효과
6-1. LPS가 처리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평가
RGC1), RGC 1-22), RGC 2-73)은 식품공전에 따른 고형분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 3.6, 8.4, 6.6%의 고형분 함량을 나타냈다(RGC1) : 20배 희석한 홍삼농축액, RGC 1-22) : B. velezensis WK2019로 발효한 발효물, RGC 2-73) : B. velezensis WK2019 및 L. plantarum KS2020로 혼합 발효한 발효물). 또한, 홍삼농축액 및 발효기간에 따른 홍삼농축액 발효물의 농도에 따른 LPS가 처리된 RAW264.7 대식세포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 3종 RGC1), RGC 1-22), RGC 2-73) 모두 전 농도에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도 18).
6-2. LPS가 처리된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LPS가 처리되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시료 3종의 산화질소(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 3종에서 공통적으로 10배 희석 구간에서 산화질소 생성이 감소되면서 항염증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하여 혼합 발효한 홍삼발효물(RGC 2-7)의 경우 15.11 μM으로 나타났다(도 19). 이는 고초균 및 젖산균을 이용하여 혼합 발효한 홍삼발효물이 염증을 억제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고초균과 신규한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의 혼합 발효하여 점질물, γ-PGA, GABA, 펩티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물질이 강화된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 발효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 GABA(γ-aminobutyric acid) 생산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KCCM 12782P) 균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 (1) 홍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을 희석하여 얻은 희석액에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mono sodium glutamate; MSG), 글루코오스(glucose), 및 탈지유(skim milk)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에 고초균 스타터(starter)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1차 발효시킴으로써 1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
(4) 상기 1차 발효물에 대하여 탈지유(skim milk) 및 글루코오스(gluc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KS2020 (KCCM 12782P) 균주 스타터(starter)를 접종 및 배양하여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을 2차 발효시킴으로써 2차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2)에서 고초균은 (1) 단계에서 홍삼 추출물을 준비한 경우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HA (KCCM 10775P) 균주 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WK2019 (KCCM 12589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2)에서 고초균은 (1) 단계에서 옻나무 추출물을 준비한 경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MK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3)에서 고초균 스타터는 상기 단계 (2)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3)에서 1차 발효는 30℃ 내지 50℃의 발효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3)에서 1차 발효 시 고초균은 단계 (2)에서 혼합한 MSG를 γ-PGA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5)에서 2차 발효는 25℃ 내지 35℃의 발효 온도에서 5 내지 15일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5)에서 2차 발효 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는 1차 발효물에 잔존하는 MSG를 GABA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
- 제 11 항에 따른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γ-PGA 및 GABA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728A KR102588661B1 (ko) | 2021-03-25 | 2021-03-25 |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728A KR102588661B1 (ko) | 2021-03-25 | 2021-03-25 |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3520A true KR20220133520A (ko) | 2022-10-05 |
KR102588661B1 KR102588661B1 (ko) | 2023-10-12 |
Family
ID=8359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8728A KR102588661B1 (ko) | 2021-03-25 | 2021-03-25 |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866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0397A (ko) * | 2007-06-15 | 2008-12-18 |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KR20090040025A (ko) * | 2007-10-19 | 2009-04-23 |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
KR20140044161A (ko) * | 2012-10-04 | 2014-04-1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초균과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를 통한 γ-PGA와 GABA가 증진된 발효물 제조방법 |
KR101616187B1 (ko) | 2014-06-19 | 2016-04-29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
KR20170072162A (ko) * | 2015-12-16 | 2017-06-2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면역 증진 또는 알러지 억제 효과가 있는 γ-PGA 및 GABA가 강화된 한방 소재 혼합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8728A patent/KR102588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0397A (ko) * | 2007-06-15 | 2008-12-18 |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KR20090040025A (ko) * | 2007-10-19 | 2009-04-23 |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
KR20140044161A (ko) * | 2012-10-04 | 2014-04-1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초균과 젖산균을 이용한 이단발효를 통한 γ-PGA와 GABA가 증진된 발효물 제조방법 |
KR101616187B1 (ko) | 2014-06-19 | 2016-04-29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
KR20170072162A (ko) * | 2015-12-16 | 2017-06-2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면역 증진 또는 알러지 억제 효과가 있는 γ-PGA 및 GABA가 강화된 한방 소재 혼합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이삼빈 등.,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P06-05(2020.10.23.)*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8661B1 (ko)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6986B1 (ko) |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 |
KR101402031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 |
KR101616187B1 (ko) |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 |
KR101621141B1 (ko) | 혼합발효를 통한 펩타이드 및 gaba가 증진된 울금 발효물 제조방법 | |
CN101974440B (zh) | 一种近平滑假丝酵母真菌及其在普洱茶生产中的应用 | |
CN116019185B (zh) | 一种副干酪乳杆菌在制备发酵枸杞中的应用 | |
KR101091833B1 (ko) |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 |
CN106085788B (zh) | 一种人参枸杞醋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20190018204A (ko) | 위액산 내성과 담즙산 내성이 탁월하고 높은 가바 생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cp02 균주,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 및 발효식품 | |
KR101980450B1 (ko) | 진세노사이드 Rd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활성산양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46713B1 (ko) | 항비만 활성을 가진 다시마 발효물의 제조방법 | |
KR102133721B1 (ko) | 감 잎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CN106119065B (zh) | 一种猴头菇红枣醋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09628350B (zh) | 植物乳杆菌及其应用 | |
KR20110081672A (ko) |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 |
KR100945310B1 (ko) | 신경세포사 보호기작을 지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부취너리 ms와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방법 | |
KR102588661B1 (ko) |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S2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γ-PGA 및 GABA 함유 홍삼발효물 또는 옻나무발효물의 제조방법 | |
KR20030075996A (ko) | 고초균과 효모균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07231B1 (ko) |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 |
KR102466825B1 (ko) | 사포닌에 대해 생물전환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bla-9 균주, 이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증대된 발효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에 따른 발효 홍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101771488B1 (ko) |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nrr1207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 인삼과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제제 조성물 | |
KR940010265B1 (ko) | 발효야채 음료의 제조방법 | |
KR20150088588A (ko) | 신규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 고생산성 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cfm11 및 이의 용도 | |
KR102479410B1 (ko) |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발효 홍삼 | |
KR101473635B1 (ko) |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홍삼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