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833B1 -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833B1
KR101091833B1 KR1020090079809A KR20090079809A KR101091833B1 KR 101091833 B1 KR101091833 B1 KR 101091833B1 KR 1020090079809 A KR1020090079809 A KR 1020090079809A KR 20090079809 A KR20090079809 A KR 20090079809A KR 101091833 B1 KR101091833 B1 KR 10109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sac
lactic acid
acid bacteri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280A (ko
Inventor
최지휘
박지호
이승현
정은봉
김태현
유희종
김기호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9007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8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마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추출물에서 특이적으로 생육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산균 마늘 배양액은 유산균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숙성시켜 제조된 흑마늘 추출물과 비교하여 평균 2배 이상의 SAC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SAC 고함유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마늘 추출물, 유산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allyl-L-cysteine, SAC

Description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Methods for preparing high quantity of S-allyl-L-cysteine to fermented products of garlic using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마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파, 골파, 양파, 부추, 달래 등과 함께 식물분류학적으로 백합과 식물로 학명은 알리움 사티붐(Allium sativum)이다. 마늘은 비늘줄기로 되어 있는데, 그 속에는 보호엽, 저장엽, 발아엽원기가 각각 하나씩 들어있다. 대부분 몸에 꽃줄기가 형성되고 그의 분화는 지하엽맥 착생인편의 분화와 동시에 일어난다. 우리가 식용하는 마늘은 마늘잎의 지하부 엽액에 형성된 인편인데 인편의 착생위치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한 마늘구에 대략 10개 내외의 인편을 가진다.
SAC(S-allyl-L-cysteine)는 마늘을 숙성시키면 생성되는 수용성 황 화합물로 서, 효소(γ-glutamyltransferase) 작용에 의하여 γ-glutamyl-S-allyl-L-cysteine으로부터 생성된다. SAC는 간 장해 예방 효과, 메틸히드라진(methylhydrazine)으로 유도되는 대장암의 예방, 사람 신경아 세포 종의 증식 저해작용, 항 산화작용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SAC의 체내 동태에 과한 연구는 마우스, 쥐 및 개를 사용한 혈중, 조직, 요, 담즙 중의 SAC 함량을 경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으며, SAC는 흡수, 대사, 체내도 동태, 배설 메커니즘과 더불어 생체 내 이용률(bioavailability)이 높은 것으로 밝혀져 있다. SAC는 흑마늘의 생리활성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도 그 약리효과를 지니고 있는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증명되는 마늘 관련 화합물질이다.
이와 같은 SAC를 함유하는 마늘을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현재까지 SAC를 함유하는 마늘을 제조하는 방법은 65-70%의 습도, 80-85℃ 범위에서 숙성 후 열풍숙성과 자연건조 방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국내 특허공개 10-2008-0074473호에서는 CO2 가스 함유 공간에서 마늘을 저온보관 한 후, 70-90℃의 100-1000 mmHg의 포화 수증기압에서 7-10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마늘은 10-20℃의 차고 건조한 공기를 사용하여, 후 숙성을 시키는 단계를 거쳐 알릴 황 화합물이 강화된 발효 숙성 흑마늘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6-149325에서는 생마늘을 65-70℃에서 습도는 80-85% 범위를 유지하며 25-35일간 숙성을 하며, 건조처리 온도는 15-25℃, 습도 40-65%로 5-10일간 건조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자기발효라 하여, 균을 접종하지 않은 상태로 단순 숙성 건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기술적 특징인 유산균을 이용하여 특이 성분(SAC) 함량을 증가시킨 마늘발효물 제조방법에 관한 보고는 현재까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로 마늘을 발효 및 숙성시켜 마늘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SAC 함량을 증가시킨 마늘 발효물에 대한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마늘 추출물에 특이적으로 생육하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SAC를 고함량 함유하는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늘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SAC(S-allyl-L-cysteine)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국 전통식품인 김치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고, 특이적으로 마늘추출액에서 성장하는 유산균을 선별한 후 이를 마늘 추출액에서 배양(발효) 및 숙성시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액, 발효액의 농축액, 발효액의 건조분말, 및 발효액의 생균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식품에 사용가능한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을 적절히 혼합한 용매로 식품학적으로 공지된 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마늘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 및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 당 마늘 20-80 중량부로 혼합하여 열수추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열수추출은 60 내지 150℃에서 10분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5℃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열수추출 동안 다른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멸균과정도 함께 일어난다.
또한 상기 열수추출 시 마늘을 분쇄하지 않고 통째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마늘을 분쇄하게 되면 마늘 내 효소인 알리네이즈(allinase)의 효소활성에 의하여 SAC 생성기작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SAC 함량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멸균 후 유산균 배양 시 교반을 수행하면 마늘 조직이 풀어지므로 굳이 별도의 분쇄과정을 갖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의 배양 및 숙성은 마늘 추출물에 접종되는 유산균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산균 접종 후 적절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접종 후 30-37℃에서 1-4일간 배양시키고 60-90℃에서 1-2일간 숙성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7℃에서 2-3일간 100 rpm으로 진탕(shaking)하면서 배양(발효)시키고 80℃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마늘추출액에 특이적으로 생육하는 임의의 유산균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페디오 코커스 펜토사세어스 KCCM11004P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M11019P이다. 상기 두 균주는 마늘추출액에서 특이적으로 생육 가능하여 발효 및 숙성과정을 거쳐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적절한 유산균의 선별방법은 다음과 같다. 충분히 숙성한 김치를 믹서로 분쇄하여, 멸균된 생리 식염수로 희석한 액을 채로 걸러 얻은 용액을 배양배지에서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를 MRS 한천배지에 다시 도말하여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들을 선별한다. 각각의 콜로니를 마늘추출액에 접종한 후 배양하여, 1.0×108 CFU/ml 이상의 생균력을 보이는 특이적인 균주를 선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정으로 선별된 마늘 추출물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생존력을 보이는 균주 2종을 선별하고 동정하여 이를 각각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BL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두 균주에 의해 제조된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은 배양 전 마늘추출물 보다 증가된 SAC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2에서,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은 시판 흑마늘 추출물(비교예 1)과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고 생마늘로 제조된 마늘 추출물(비교예 2)은 각각 SAC 함량이 1.77 및 1.65 mg/g인데 반해, 본 발명의 유산균를 이용한 마늘 배양액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 균주의 경우 3.68 mg/g,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 균주의 경우 3.82 mg/g로 나타났다. 이는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은 흑마늘 추출액, 즉 유산균 배 양 전 마늘추출물 보다 2배 이상 증가된 SAC를 함유하는 것이다 [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주 들은 마늘추출액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생존력을 보이면서도 배양 시 마늘추출액의 SAC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참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두 균주이외의 다른 공시 유산균들,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KCCM 40717),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CCM 12452),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KCCM 35469), 류코노스톡 멘센테리커스(Leuconostoc mensentericus KCTC 3506)와 같은 유산균들로 배양한 경우에도 생마늘 추출물(비교예 3)보다 더 많은 SAC를 함유하거나 종래 흑마늘 추출물(비교예 1과 2)과 유사한 SAC 함량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은 유산균배양 과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마늘 고유의 약리효과와 함께, 유산균의 정장(整腸)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늘은 현재 모든 식품에 사용가능한 천연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마늘 배양액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산균 또한 식품목적 사용에 제한이 없는 균주이다. 따라서 모든 형태의 식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마늘 섭취량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식품조성물에 함유되는 마늘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SAC의 유용한 SAC의 효능을 얻기 위한 SAC의 1일 섭취량은 1.0 내지 100 mg/kg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은, 간 기능 개선 효과, 대장암의 예방, 인간 신경아 세포종의 증식 저해작용, 항산화작용 등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의 식품보조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001 내지 9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 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들과 함께,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SAC 함유 마늘 배양액 이외의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며 하기에 예시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SAC 함유 마늘 배양액 이외 함유하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슈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SAC 함유 마늘 배양액”은 마늘 또는 마늘추출물을 기질로 하여 유산균 또는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여 배양(발효)과정과 숙성과정을 거쳐 SAC를 함유한 마늘발효액과 함께 유산균 균체도 함유되어 있는 발효액 또는 추출액을 말한다. 또한 용어 “SAC 고함유”는 마늘 추출물에 유산균을 배양하기 전 보다 배양 후 마늘추출물에 함유된 SAC 함량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마늘 추출물에서 생장 가능한 유산균의 선별
충분히 숙성한 김치를 믹서로 분쇄하여, 멸균된 생리 식염수로 희석한 액을 채로 걸러 얻은 용액을 BCP plate count 한천배지 (100 g 당 펩톤 0.5 g, 이스트 발효추출물 0.25 g, 포도당 0.1 g, 폴리솔베이트 80 0.1 g, 엘 시스테인 0.01 g, 브로모크레졸 퍼플 0.005 g, 한천 1.5 g)에 37℃, 2일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57개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콜로니를 MRS(100 g 당 포도당 2 g, 트윈 80 0.1 g, 암모늄 시트레이트 0.2 g, 초산염 0.5 g, 가수황산마그네슘 0.01 g, 무수황산망간 0.005 g, 2염기 인산칼륨 0.2 g, 비프 추출물 1 g, 효모 추출물 0.5 g, 단백질효소처리 펩톤 1 g) 한천배지에 획선 도말하여, 37℃에서 3일 배양한 후, 검경하여 간 균 형태의 콜로니 10종, 쌍구균 형태의 콜로니 5종을 선별하였다. 각각의 콜로니를 10% 마늘멸균액(마늘과 물 1:10(w/v) 추출액의 멸균액)에 접종한 후 37℃에서, 1일간 배양하여, 1.0×108 CFU/ml 이상의 생균력을 보이는 특이적인 균주 2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들은 (사)한국종균협회에 균주동정분석을 의뢰하여 생화학적 패턴으로 균체를 동정하는 방법인 API 분석을 통해, 각각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와 99% 유사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과 99.9%의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를 BL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BL2로 명명하였다. 상기 두 균주를 (사)한국종균협회에 국제특허균주로서 기탁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BL1은 KCCM11004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는 KCCM11019P로 균주번호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마늘 발효액의 제조
먼저, 마늘 발효액의 제조에 사용할 유산균 균주로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Pediococcus pentosaceus BL1; KCCM11004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Lactobacillus plantarum BL2; KCCM11019P)를 MRS(Lactobacilli MRS Broth, DIFCO. Co.)배지에 37℃에서 1일간 정치 배양하여 각 균주의 배양액 500 ml을 제조하였다. 껍질을 깐 생마늘 10 ㎏을 이온수 20 L에 넣어 121℃ 30분간 멸균(멸균과 동시에 열수추출)한 ‘마늘 멸균액’에, 상기 균주 배양액을 접종한 후, 발효조(37 ℃, 100 rpm, 0 bar)에서 2일간 발효하였다 (도 1a와 1b는 마늘 발효액 내 두 균주의 현미경 사진). 상기 발효액을 80℃에서 1일간 숙성시켜 마늘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늘 발효액을 열처리한 후 여과/농축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농축액(고형분함량 60%) 5 kg을 얻었다.
실시예 3.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액 분말의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10 kg을 이온수 20 L에 넣어 121℃ 30분간 멸균(멸균과 동시에 열수추출)한 마늘 멸균액에, 실시예 2에서 배양한 각 균주 배양액 500 ml을 접종한 후, 발효조(37℃, 100 rpm, 0 bar)에서 2일간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80℃에서 1일간 숙성하여 마늘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늘 추출액을 열처리 한 후 여과/농축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농축액(고형분함량 30%)을 얻었다. 상기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를 수행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농축액 분말 3 kg을 얻었다.
실시예 4. 유산균을 이용한 흑마늘 발효액의 생균 분말의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10 kg을 이온수 20 L에 넣어 121℃ 30분간 멸균(멸균과 동시에 열수추출)한 마늘 멸균액에, 실시예 2에서 배양한 각 균주 배양액 500 ml을 접종한 후, 발효조(37℃, 100 rpm, 0 bar)에서 2일간 발효하였다. 상기 마늘 발효액을 동결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유산균의 마늘 추출 생균 분말(유산균 수 1.0× 108 CFU/ml) 3.5 kg을 얻었다.
비교예 1.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바이오폴리스 발효흑마늘 10 kg을 20 L 이온수에 넣은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농축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농축액에 대한 하나의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생마늘을 이용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10 kg을 20 L 이온수에 넣은 후, 121℃에서 60분간 멸균 및 열수추출 하였다. 이 멸균액을 8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및 숙성시켜 마늘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 마늘추출액을 여과 농축하여 생마늘을 이용한 마늘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생마늘 추출물의 제조
껍질을 깐 생마늘 10 kg을 20 L 이온수에 넣은 후, 121℃에서 60분간 멸균 및 열수추출하여 생마늘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 생마늘 추출액을 여과 농축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마늘 멸균액에서 다양한 유산균의 배양
동결 보존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를 각각 40 ml의 MRS배지에 2 ml 접종한 후, 37℃에서 1일간 정치배양 하였다. 정치배양한 40 ml의 배양액을 마늘 300 g에 이온수 700 ml을 첨가하여 멸균한 마늘멸균액 1L에 접종하여, 37℃에서 2일간 정치배양 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생균수 확인법을 통하여 생균수를 확인하였다.
[표 1]. 마늘 멸균액내의 유산균 생균 확인 실험
Figure 112009052673691-pat00001
표 1에서, 마늘 멸균액에서 높은 생균수를 보이는 유산균들은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asei, Pediococcus pentosaceus BL1, Lactobacillus plantarum BL2였으며, 특히 김치에서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BL1과 Lactobacillus plantarum BL2 균주가 월등히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의 마늘 배양 농축액의 제조에 적합 한 균주로서 이들 균주를 선택하였다.
실험예 2. HPLC를 이용한 균주별 SAC의 함량 분석
먼저, 실시예 2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마늘 추출액, 비교예 1의 시판 흑마늘 추출물, 비교예 2의 생마늘을 이용한 마늘 추출물, 및 비교예 3의 생마늘 추출물의 샘플을 각각 채취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 여러 균주들(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asei, Leuconostoc mensentericus)의 마늘 발효액 샘플도 동시에 채취하였다. 다음으로, 채취된 추출물들의 SAC(S-allyl-L-cysteine)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70 μl 붕산염 버퍼(Borate buffer)에 상기 샘플 10 μl을 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20 μl 분석 시약(AccQ Fluor Reagent; Waters)을 가한 후 55℃ 항온기(water bath)에서 10분간 가온하였다. 이 후 3차 증류수 100 μl을 혼합하여 샘플 전량을 200 μl로 하였다. 검량을 위하여 SAC 표준품(LKT Laboratories, inc.)을 샘플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분석용 샘플을 HPLC (1525 Binary pump, 2487 dual absorbance detector, 717 plus autosampler, waters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칼럼은 Nova-PakTM C18 (AccQ TagTM 3.9 mm*150 mm*4 μ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초산-인산 버퍼(acetate-phosphate buffer), 60%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로 Gradient법을 사용하였으며, 검출 파장은 254 nm, 분석시간은 50분이었다.
[표 2]. 균주별 마늘 멸균 배양액 내의 SAC 함량
Figure 112009052673691-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은 유산균 발효를 이용하지 않은 흑마늘 추출물인 비교예 1, 2와 비교할 때 2배 이상의 SAC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유산균 균주들 보다 평균 2배 이상의 SAC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SAC 함량이 증가된 유산균 발효 마늘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균주들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 멸균액에서 특이적으로 생육 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산균 마늘 배양액은 유산균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숙성시켜 제조된 흑마늘추출물과 비교하여 평균 2배 이상의 SAC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SAC 함량이 증가된 본 발명의 유산균 마늘 배양액은 기능성 식품으로서 개발가능하며, 다른 식품의 첨가물로서 사용되어 SAC의 약리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마늘 발효액 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BL1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마늘 발효액 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2의 현미경 사진
도 2는 마늘추출물에 접종된 유산균들의 생균수와 SAC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7)

  1. 마늘 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어스 KCCM11004P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M11019P에서 선택된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 및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SAC(S-allyl-L-cysteine)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발효물은 유산균 배양 전 마늘추출물 보다 증가된 SA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물 100 중량부 당 마늘 20-80 중량부로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의 배양 및 숙성은 유산균 접종 후 30-37℃에서 1-4일간 배양시키고 70-90℃에서 1-2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
  7. 제 6항에 따른 SAC 고함유 마늘 발효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90079809A 2009-08-27 2009-08-27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09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809A KR101091833B1 (ko) 2009-08-27 2009-08-27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809A KR101091833B1 (ko) 2009-08-27 2009-08-27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280A KR20110022280A (ko) 2011-03-07
KR101091833B1 true KR101091833B1 (ko) 2011-12-12

Family

ID=4393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809A KR101091833B1 (ko) 2009-08-27 2009-08-27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8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657A (ko) * 2014-04-14 2015-10-23 한국식품연구원 마늘의 유기황 화합물의 생물전환 방법
KR20160028735A (ko) 2014-09-04 2016-03-14 김성수 소이바이오틱스 유산균생산물질을 함유하는 발효 흑마늘 요구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8929B1 (ko) 2017-07-25 2018-11-15 샘표식품 주식회사 알릴 메르캅탄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식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52B1 (ko) * 2012-03-06 2013-02-01 (재)남해마늘연구소 마늘 함유 발효 식품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4611A (ko) 2022-10-19 2024-04-26 (재)남해마늘연구소 Sac 및 s1pc 함량이 높고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있는 숙성마늘 및 그 동결건조분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33B1 (ko) * 2006-08-17 2007-05-08 주식회사 신원에프아이 자극적 향미가 완화된 건강 증진용 마늘 소재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33B1 (ko) * 2006-08-17 2007-05-08 주식회사 신원에프아이 자극적 향미가 완화된 건강 증진용 마늘 소재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657A (ko) * 2014-04-14 2015-10-23 한국식품연구원 마늘의 유기황 화합물의 생물전환 방법
KR101631315B1 (ko) * 2014-04-14 2016-06-20 한국식품연구원 마늘의 유기황 화합물의 생물전환 방법
KR20160028735A (ko) 2014-09-04 2016-03-14 김성수 소이바이오틱스 유산균생산물질을 함유하는 발효 흑마늘 요구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8929B1 (ko) 2017-07-25 2018-11-15 샘표식품 주식회사 알릴 메르캅탄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280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13B1 (ko) 복분자와 클로렐라 혼합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원료 및그의 제조방법
Wang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the hypoglycem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fermentation adaptability in apple juice
US8691220B2 (en) Powdery malted rice extract composition
KR101330864B1 (ko)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467837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증진하고 항산화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발효 홍삼 농축액 제조 방법
KR100701254B1 (ko)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액
KR10140203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20090083505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bljh101을 이용한인삼추출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KR1010918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13878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토마토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2004073050A (ja) 発酵処理植物の製造方法及び乳酸発酵処理物
KR101962570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6591A (ko) 인삼류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류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CN114304618B (zh) 一种发酵富集蒲公英根活性成分的方法及其应用
KR2017012026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1407231B1 (ko)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463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569B1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81096A (ko) 손바닥 선인장 열매 발효분말 및 발효유의 제조방법
KR101203096B1 (ko) 생리활성을 갖는 발효 쑥 및 발효 솔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963133B1 (ko) 복분자와 클로렐라 혼합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식품 및그의 제조방법
Jansone et al.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and fermented cabbage ju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