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589A -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 Google Patents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589A
KR20220132589A KR1020227029267A KR20227029267A KR20220132589A KR 20220132589 A KR20220132589 A KR 20220132589A KR 1020227029267 A KR1020227029267 A KR 1020227029267A KR 20227029267 A KR20227029267 A KR 20227029267A KR 20220132589 A KR20220132589 A KR 2022013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lkanediyl
compound
mmol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헹 쳉
크리스틴 엠. 타비
산지브 강와르
아쉬비니쿠마르 브이. 가바이
월터 엘. 존슨
얌 비. 포우델
프라산나 시바프라카삼
앤드류 에프. 도넬
패트리스 질
무루가이아 안다판 무루가이아 수바이아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13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톨-유사 수용체 7 (TLR7)의 효능제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암 치료, 특히 항암 면역요법제와 조합하여 또는 백신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의 2020년 7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3/057,644 및 2020년 1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2/966,085의 이익을 청구하고; 그의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시내용의 배경
본 개시내용은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 및 그의 접합체, 및 이러한 효능제 및 그의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톨-유사 수용체 ("TLR")는 특정 클래스의 병원체 내에 보존된 소분자 모티프인 병원체-연관 분자 패턴 ("PAMP")을 인식하는 수용체이다. TLR은 세포의 표면 상에 또는 세포내에 위치될 수 있다. TLR과 동족 PAMP의 결합에 의한 TLR의 활성화는 숙주 내에서 연관된 병원체의 존재- 즉, 감염 -를 신호전달하여, 숙주의 면역계가 감염과 싸우도록 자극한다. 인간은 TLR1, TLR2, TLR3 등으로 명명되는 10종의 TLR을 갖는다.
효능제에 의한 TLR의 활성화는 - TLR7이 가장 많이 연구됨 - 전체적인 면역 반응을 자극함으로써, 실제 병원체 감염 이외의 다양한 상태의 치료에서 백신 및 면역요법제의 작용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백신 보조제로서의 또는 암 면역요법에서 인핸서로서의 TLR7 효능제의 사용에 상당한 관심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Vasilakos and Tomai 2013, Sato-Kaneko et al. 2017, Smits et al. 2008, 및 Ota et al. 2019]을 참조한다.
엔도솜의 막에 위치된 세포내 수용체인 TLR7은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와 연관된 PAMP를 인식한다. 그의 활성화는 제I형 인터페론 예컨대 IFNα 및 IFNβ의 분비를 유도한다 (Lund et al. 2004). TLR7은 2개의 결합 부위를 가지며, 하나는 단일 가닥 RNA 리간드에 대한 것이고 (Berghoefer et al. 2007), 하나는 소분자 예컨대 구아노신에 대한 것이다 (Zhang et al. 2016).
TLR7은 구아노신-유사 합성 효능제 예컨대 1H-이미다조[4,5-c]퀴놀린 스캐폴드에 기반한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및 가르디퀴모드에 결합하고, 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소분자 TLR7 효능제의 검토를 위해, 문헌 [Cortez and Va 2018]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01
프테리디논 분자 스캐폴드에 기반한 합성 TLR7 효능제는 베사톨리모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Desai et al. 2015).
Figure pct00002
퓨린-유사 스캐폴드에 기반한 다른 합성 TLR7 효능제는 빈번하게 화학식 (A)에 따라 개시된 바 있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 R', 및 R"은 구조적 가변기이고, R"은 전형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함유한다.
퓨린-유사 스캐폴드를 갖는 생물활성 분자 및 상태 예컨대 섬유증, 염증성 장애, 암 또는 병원성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대한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한다: Akinbobuyi et al. 2015 and 2016; Barberis et al. 2012; Carson et al. 2014; Ding et al. 2016, 2017a, and 2017b; Graupe et al. 2015; Hashimoto et al. 2009; He et al. 2019a and 2019b; Holldack et al. 2012; Isobe et al. 2009a and 2012; Poudel et al. 2019a and 2019b; Pryde 2010; 및 Young et al. 2019.
기 R"는 피리딜일 수 있다: Bonfanti et al. 2015a and 2015b; Halcomb et al. 2015; Hirota et al. 2000; Isobe et al. 2002, 2004, 2006, 2009a, 2009b, 2011, and 2012; Kasibhatla et al. 2007; Koga-Yamakawa et al. 2013; Musmuca et al. 2009; Nakamura 2012; Ogita et al. 2007; 및 Yu et al. 2013.
화학식 (A)의 6,5-융합 고리계 - 이미다졸 5원 고리에 융합된 피리미딘 6원 고리 -가 변형된 것인 관련 분자의 개시내용이 존재한다. (a) 문헌 [Dellaria et al. 2007, Jones et al. 2010 and 2012, 및 Pilatte et al. 2017]은 피리미딘 고리가 피리딘 고리로 대체된 것인 화합물을 개시한다. (b) 문헌 [Chen et al. 2011, Coe et al. 2017, Poudel et al. 2020a and 2020b, 및 Zhang et al. 2018]은 이미다졸 고리가 피라졸 고리로 대체된 것인 화합물을 기재한다. (c) 문헌 [Cortez et al. 2017 and 2018; Li et al. 2018; 및 McGowan et al. 2016a, 2016b, and 2017]은 이미다졸 고리가 피롤 고리로 대체된 것인 화합물을 기재한다.
문헌 [Bonfanti et al. 2015b and 2016 및 Purandare et al. 2019]는 퓨린 모이어티의 2개의 고리가 마크로사이클에 의해 가교된 것인 TLR7 조정제를 개시하고 있다:
TLR7 효능제는 예를 들어 인지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항체 또는 또 다른 TLR (통상적으로 TLR2)일 수 있는 파트너 분자에 접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한다: Carson et al. 2013, 2015, and 2016, Chan et al. 2009 and 2011, Cortez et al. 2017, Gadd et al. 2015, Lioux et al. 2016, Maj et al. 2015, Vernejoul et al. 2014, 및 Zurawski et al. 2012. 빈번한 접합 부위는 화학식 (A)의 R" 기이다.
문헌 [Jensen et al. 2015]은 TLR7 효능제의 전달을 위한 양이온성 지질 비히클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레시퀴모드를 포함하여, 일부 TLR7 효능제는 이중 TLR7/TLR8 효능제이다. 예를 들어 문헌 [Beesu et al. 2017, Embrechts et al. 2018, Lioux et al. 2016, 및 Vernejoul et al. 2014]을 참조한다.
제1 저자 또는 발명자 및 연도에 따른 본원에 인용된 문헌에 대한 정식 인용은 본 명세서의 말미에 열거되어 있다.
개시내용의 간단한 요약
본 명세서는 TLR7 효능제로서의 활성을 갖는,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방향족계를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한 측면에서,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W는 H, 할로, C1-C3 알킬, CN, (C1-C4 알칸디일)OH,
Figure pct00006
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R2이고;
X1은 O, CH2, NH, S, 또는 N(C1-C3 알킬)이고;
R1은 (C1-C5 알킬),
(C2-C5 알케닐),
(C1-C8 알칸디일)0-1(C3-C6 시클로알킬),
(C1-C8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C2-C8 알칸디일)OH,
(C2-C8 알칸디일)O(C1-C3 알킬),
(C1-C4 알칸디일)0-1(5-6 원 헤테로아릴),
(C1-C4 알칸디일)0-1페닐,
(C1-C4 알칸디일)CF3,
(C2-C8 알칸디일)N[C(=O)](C1-C3 알킬),
또는
(C2-C8 알칸디일)NRxRy
이고;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H, O(C1-C3 알킬), S(C1-C3 알킬), SO2(C1-C3 알킬), C1-C3 알킬, O(C3-C4 시클로알킬), S(C3-C4 시클로알킬), SO2(C3-C4 시클로알킬), C3-C4 시클로알킬, Cl, F, CN, 또는 [C(=O)]0-1NRxRy이고;
R3은 H, 할로, OH, CN,
NH2,
NH[C(=O)]0-1(C1-C5 알킬),
N(C1-C5 알킬)2,
NH[C(=O)]0-1(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O(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4-C8 비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1-C6 알킬),
N[C1-C3 알킬]C(=O)(C1-C6 알킬),
NH(SO2)(C1-C5 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6-원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5-원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007
이고;
R4는 NH2,
NH(C1-C5 알킬),
N(C1-C5 알킬)2,
NH(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008
이고;
R5는 H, C1-C5 알킬, C2-C5 알케닐, C3-C6 시클로알킬, 할로, O(C1-C5 알킬), (C1-C4 알칸디일)OH, (C1-C4 알칸디일)O(C1-C3 알킬), 페닐, NH(C1-C5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Figure pct00009
이고;
R6은 NH2,
(NH)0-1(C1-C5 알킬),
N(C1-C5 알킬)2,
(NH)0-1(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0-1(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0-1(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010
이고;
Rx 및 Ry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와 조합되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2, 또는 3이고;
p는 0, 1, 2, 또는 3이고;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에서
알킬, 시클로알킬, 알칸디일, 비시클로알킬, 스피로알킬, 시클릭 아민, 6-원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5-원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pct00011
의 모이어티는
OH, 할로, CN, (C1-C3 알킬), O(C1-C3 알킬), C(=O)(C1-C3 알킬), SO2(C1-C3 알킬), NRxRy, (C1-C4 알칸디일)OH, (C1-C4 알칸디일)O(C1-C3 알킬)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알킬, 알칸디일, 시클로알킬, 비시클로알킬, 스피로알킬,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pct00012
의 모이어티는 CH2 기가
O, SO2, CF2, C(=O), NH,
N[C(=O)]0-1(C1-C3 알킬),
N[C(=O)]0-1(C1-C4 알칸디일)0-1CF3,
또는
N[C(=O)]0-1(C1-C4 알칸디일)0-1(C3-C5 시클로알킬)
로 대체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LR7 효능제로서 활성을 갖고, 일부는 의도된 작용의 표적 조직 또는 기관에 대한 표적화 전달을 위해 항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PEG화되어 이들의 제약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접합체 또는 그의 PEG화 유도체는 면역계의 활성화에 의한 치료에 적용가능한 상태를 앓는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이러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접합체 또는 그의 PEG화 유도체를 특히 백신 또는 암 면역요법제와 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시내용의 상세한 설명
화합물
화학식 (I)의 한 실시양태에서, m은 0이다.
한 측면에서, 화학식 (I)에서, 하기 모이어티에서
Figure pct00013
1개의 X는 N이고, 다른 것은 CR2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화학식 (I)에서 모이어티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화학식 (I)에서 모이어티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화학식 (I)에서 모이어티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이며, 여기서 1개의 X는 N이고, 다른 2개는 CH이다.
한 측면에서, W는
Figure pct00020
(바람직하게는 n은 1임) 또는
Figure pct00021
이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1, R5, X, 및 W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2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1, R5, 및 W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a)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3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1, R5, 및 R3이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b)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4
R2의 예시적 실시예는 H, OMe, OCHF2, 및 OCF3을 포함하고, 여기서 OMe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화학식 (Ib)에 따른 화합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R3
NH(C1-C5 알킬),
N(C1-C5 알킬)2,
NH(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N[C1-C3 알킬](C1-C6 알킬),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시클릭 아민 모이어티
Figure pct00025
이다.
화학식 (Ib)에 따른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
NH[C(=O)](C1-C5 알킬),
NH[C(=O)](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O)](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또는
NH[C(=O)](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이다.
R5의 예시적 실시양태는 H, Me, OMe, CH2OH, 시클로프로필, F, Cl, 및 CF3을 포함하고, 여기서 H가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화학식 (Ib)에 따른 화합물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
O(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4-C8 비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또는
O(C1-C4 알칸디일)0-1(C1-C6 알킬)
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3 및 R5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c)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6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3 및 R5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d)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7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1, R4 및 R5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e)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28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f)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29
여기서
R1
Figure pct00030
이고;
W는
Figure pct00031
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g)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2
여기서 R1 및 R3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h)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3
여기서 1개의 X는 N이고, 다른 2개는 CH이고, R1 및 R3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기 R1의 예는
Figure pct00034
이다.
바람직하게는, R1
Figure pct00035
로 이루어진 기 ("바람직한 R1 기")로부터 선택된다.
예시적인 기 R3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3은 H, 할로, OH, CN,
NH2,
NH[C(=O)]0-1(C1-C5 알킬),
N(C1-C5 알킬)2,
NH[C(=O)]0-1(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N[C1-C3 알킬]C(=O)(C1-C6 알킬),
6-원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5-원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038
이다.
바람직한 기 R3
Figure pct00039
이다.
예시적인 기 R4
Figure pct0004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R4
Figure pct00041
이다.
예시적인 기, R5는 H,
Figure pct00042
이다.
바람직하게는, R5는 H 또는 Me이다.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하기 화학식의 모이어티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를 포함한다.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스피로알킬 기는
Figure pct00045
를 포함한다.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하기 화학식의 모이어티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를 포함한다.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비시클로알킬 기는
Figure pct00048
를 포함한다.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하기 화학식의 모이어티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를 포함한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51
이고, 특히
Figure pct00052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53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54
이고, 특히
Figure pct00055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56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57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58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59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60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61
이고, 특히
Figure pct00062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63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64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65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66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67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68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69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70
이고, 특히
Figure pct00071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72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73
이고, 특히
Figure pct00074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75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76
이고, 특히
Figure pct00077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78
이다.
한 측면에서, W는 화학식 (I'), (Ia), (If), 또는 (Ig)와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79
이고,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양태는
Figure pct00080
이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화학식 (If)에 따른 것이다:
Figure pct00081
여기서
R1
Figure pct00082
이고;
W는
Figure pct00083
이다.
상기 예시적인 알킬, 시클로알킬, 스피로알킬, 비시클로알킬 등의 일부, 하기 화학식의 기 및 모이어티는
Figure pct00084
상기 개시내용의 간단한 요약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적인 치환기를 보유하고/거나 1개 이상의 CH2 기가 O, SO2 등으로 임의로 대체된다.
화학식 (Ia)에 따른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구체적 예는 하기 표 A1에 제시된다. 표는 또한 하기 생물학적 활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기 제공된 절차에 따라 결정된, 인간 TLR7 효능작용 리포터 검정 및/또는 인간 전혈에서의 CD69 유전자의 유도. 가장 우측 칼럼은 분석 데이터 (질량 스펙트럼, LC/MS 체류 시간, 및 NMR)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a) 1,000 nM 미만의 인간 TLR7 (hTLR7) 리포터 검정 EC50 값 및 (b) 1,000 nM 미만의 인간 전혈 (hWB) CD69 유도 EC50 값을 갖는다. (검정이 다수회 수행되는 경우에, 보고된 값은 평균임).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Figure pct00101
Figure pct00102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Figure pct00105
Figure pct00106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화합물은 그의 생물학적 특성 및 분석 데이터와 함께 표 A2에 제시된다.
Figure pct00107
Figure pct00108
Figure pct00109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제약 조성물 및 투여
또 다른 측면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되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접합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는 1종 이상의 추가의 제약 활성 성분, 예컨대 생물학적 또는 소분자 약물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또 다른 치료제, 특히 항암제와의 조합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는 담체, 표면 활성제, 증점제 또는 유화제, 고체 결합제, 분산 또는 현탁 보조제, 가용화제, 착색제, 향미제, 코팅, 붕해제, 윤활제, 감미제, 보존제, 등장화제,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부형제의 선택 및 용도는 문헌 [Gennaro, ed.,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에 교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정맥내, 근육내, 피하, 비경구, 척수 또는 표피 투여에 적합하다. 투여 경로에 따라, 활성 화합물은 이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산 및 다른 천연 조건의 작용으로부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어구 "비경구 투여"는 통상적으로 주사에 의한, 경장 및 국소 투여 이외의 다른 투여 방식을 의미하며, 비제한적으로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척수강내, 피막내, 안와내, 심장내, 피내, 복강내, 경기관, 피하, 각피하, 관절내, 피막하, 지주막하, 척수내, 경막외 및 흉골내 주사 및 주입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약 조성물은 비-비경구 경로, 예컨대 국소, 표피 또는 점막 투여 경로를 통해, 예를 들어 비강내로, 경구로, 질로, 직장으로, 설하로 또는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형태일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마이크로에멀젼, 리포솜, 또는 높은 약물 농도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다른 정렬된 구조로 제제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투여 전에 물 중 재구성을 위해, 동결건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일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될 대상체 및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생성시키는 조성물의 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를 기준으로, 이 양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활성 성분의 약 0.01%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약 1% 내지 약 30% 범위일 것이다.
투여 요법은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단일 볼루스가 투여될 수 있거나, 여러 분할 용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용량이 상황의 위급성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비례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비경구 조성물을 투여 단위 형태로 제제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투여 단위 형태"는 치료될 대상체에 대한 단일 투여량으로서 적합화된 물리적 이산 단위를 지칭하며; 각각의 단위는 목적하는 치료 반응을 생성시키도록 계산된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화합물을, 필요한 제약 담체와 함께 함유한다.
투여량은 숙주 체중의 약 0.0001 내지 100 mg/kg, 보다 통상적으로 0.01 내지 5 mg/kg 범위이다. 예를 들어 투여량은 0.3 mg/kg 체중, 1 mg/kg 체중, 3 mg/kg 체중, 5 mg/kg 체중 또는 10 mg/kg 체중 또는 1-10 mg/kg, 또는 대안적으로 0.1 내지 5 mg/kg 범위 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치료 요법은 1주에 1회, 2주마다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1개월에 1회, 3개월마다 1회, 또는 3 내지 6개월마다 1회 투여이다. 바람직한 투여 요법은 하기 투여 스케줄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정맥내 투여를 통한 1 mg/kg 체중 또는 3 mg/kg 체중을 포함한다: (i) 6회 투여량에 대해 4주마다, 이어서 3개월마다; (ii) 3주마다; (iii) 3 mg/kg 체중 1회에 이은 3주마다 1 mg/kg 체중. 일부 방법에서, 투여량은 약 1-1000 μg/mL, 및 일부 방법에서는 약 25-300 μg/mL의 혈장 항체 농도가 달성되도록 조정된다.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질환 증상의 중증도에서의 감소, 질환 무증상 기간의 빈도 및 지속기간에서의 증가, 또는 질환 고통으로 인한 손상 또는 장애의 예방을 생성시킨다. 예를 들어, 종양-보유 대상체의 치료를 위해, "치료 유효량"은 바람직하게는 종양 성장을 비치료 대상체에 비해 적어도 약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0% 억제한다. 치료 유효량의 치료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인간이지만 또 다른 포유동물일 수 있는 대상체에서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증상을 달리 호전시킬 수 있다. 2종 이상의 치료제가 조합 치료로 투여되는 경우에, "치료 유효량"은 개별적으로 각 작용제의 효능이 아닌 조합의 전체로서의 효능을 지칭한다.
제약 조성물은 임플란트, 경피 패치, 및 마이크로캡슐화 전달 시스템을 포함한 제어 또는 지속 방출 제제일 수 있다.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무수물, 폴리글리콜산, 콜라겐,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락트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Sustained and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J.R. Robinson,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8]을 참조한다.
치료 조성물은 의료 장치 예컨대 (1) 무바늘 피하 주사 장치; (2) 마이크로-주입 펌프; (3) 경피 장치; (4) 주입 장치; 및 (5) 삼투 장치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생체내에서 적절한 분포가 보장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료 화합물이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들은 리포솜 중에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는 특이적 세포 또는 기관에 대한 선택적 수송을 증진하기 위한 표적화 모이어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업상 적용성 및 용도
본원에 개시된 TLR7 효능제 화합물은 TLR7의 활성화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TLR7 효능제는 면역-종양학 작용제로도 알려져 있는 항암 면역요법제와 조합으로 사용된다. 항암 면역요법제는 신체의 면역계를 자극하여, 특히 T 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암 세포를 공격하고 파괴함으로써 작용한다. 면역계는 수많은 체크포인트 (조절) 분자를 가져, 면역계가 적당한 표적 세포를 공격하는 것과 면역계가 건강한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일부는 그의 결속이 T 세포 활성화를 촉진하고,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자극제 (상향-조절자)이다. 다른 것은 그의 결속이 T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억제제 (하향-조절자 또는 브레이크)이다. 효능작용 면역요법제의 자극성 체크포인트 분자로의 결합은 후자의 활성화 및 암 세포에 대한 증진된 면역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길항작용 면역요법제의 억제 체크포인트 분자로의 결합은 후자에 의한 면역계의 하향-조절을 방지하고, 암 세포에 대한 격렬한 반응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자극성 체크포인트 분자의 예는 B7-1, B7-2, CD28, 4-1BB (CD137), 4-1BBL, ICOS, CD40, ICOS-L, OX40, OX40L, GITR, GITRL, CD70, CD27, CD40, DR3 및 CD28H이다. 억제 체크포인트 분자의 예는 CTLA-4, PD-1, PD-L1, PD-L2, LAG-3, TIM-3, 갈렉틴 9, CEACAM-1, BTLA, CD69, 갈렉틴-1, CD113, GPR56, VISTA, 2B4, CD48, GARP, PD1H, LAIR1, TIM-1, CD96 및 TIM-4이다.
어떠한 항암 면역요법제의 작용 방식이든지, 그의 유효성은 면역계의 일반적 상향조절 예컨대 TLR7의 활성화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는 암을 앓는 환자에게 항암 면역요법제와 본원에 개시된 TLR7 효능제의 치료상 유효한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투여 시기는 동시, 순차적, 또는 교대일 수 있다. 투여 방식은 전신 또는 국부일 수 있다. TLR7 효능제는 접합체를 통해, 표적화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 치료로 치료될 수 있는 암의 비제한적 예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부신피질 암종, 카포시 육종, 림프종, 항문암, 충수암, 기형양/횡문근양 종양, 기저 세포 암종, 담관암, 방광암, 골암, 뇌암, 유방암, 기관지 종양, 카르시노이드 종양, 심장 종양, 자궁경부암, 척삭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골수증식성 신생물, 결장암, 결장직장암, 두개인두종, 담관암, 자궁내막암, 상의세포종, 식도암, 감각신경모세포종, 유잉 육종, 안암, 난관암, 담낭암, 위장 카르시노이드 종양, 위장 기질 종양, 배세포 종양, 모발상 세포 백혈병, 두경부암, 심장암, 간암, 하인두암, 췌장암, 신장암, 후두암, 만성 골수 백혈병, 구순암 및 구강암, 폐암, 흑색종, 메르켈 세포 암종, 중피종, 구내암, 구강암, 골육종, 난소암, 음경암, 인두암, 전립선암, 직장암, 타액선암, 피부암, 소장암, 연부 조직 육종, 고환암, 인후암, 갑상선암, 요도암, 자궁암, 질암, 및 외음부암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 요법에 사용될 수 있는 항암 면역요법제는 하기를 포함한다: AMG 557, AMP-224,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BMS 936559, 세미플리맙, CP-870893, 다세투주맙, 두르발루맙, 에노블리투주맙, 갈릭시맙, IMP321, 이필리무맙, 루카투무맙, MEDI-570, MEDI-6383, MEDI-6469, 무로모납-CD3,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스파르탈리주맙, 트레멜리무맙, 우렐루맙, 우토밀루맙, 바를리루맙, 본레롤리주맙. 하기 표 B는 그의 대체 명칭 (상표명, 이전 명칭, 연구 코드 또는 동의어) 및 각 표적 체크포인트 분자를 열거한다.
Figure pct00112
TLR7 효능제를 사용하는 조합 치료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암 면역요법제는 길항작용 항-CTLA-4, 항-PD-1 또는 항-PD-L1 항체이다. 암은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포함), 췌장암, 신장암, 두경부암,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포함), 피부암 (흑색종 및 메르켈 피부암 포함), 요로상피암 (방광암 포함), 위암, 간세포성암 또는 결장직장암일 수 있다.
TLR7 효능제를 사용하는 조합 치료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암 면역요법제는 길항작용 항-CTLA-4 항체, 바람직하게는 이필리무맙이다.
TLR7 효능제를 사용하는 조합 치료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암 면역요법제는 길항작용 항-PD-1 항체, 바람직하게는 니볼루맙 또는 펨브롤리주맙이다.
본원에 개시된 TLR7 효능제는 백신 보조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시는 추가로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고, 이는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 제공된다.
분석 절차
NMR
양성자 핵 자기 공명 (NMR) 스펙트럼을 수득하기 위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였다: 용매 및 내부 표준으로서 DMSO-d6 또는 CDCl3을 사용하여 400 Mz 또는 500 Mhz 브루커 기기에서 NMR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 조 NMR 데이터를 ADC 랩스(ADC Labs)에 의한 ACD 스펙트러스 버전 2015-01 또는 메스트레노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내부 테트라메틸실란 (TMS)으로부터 또는 중수소화 NMR 용매에 의해 추론된 TMS의 위치로부터 백만분율 (ppm) 다운필드로 보고된다. 겉보기 다중도는 단일선-s, 이중선-d, 삼중선-t, 사중선-q 또는 다중선-m으로 보고된다. 광폭화를 나타내는 피크는 br로 또한 나타낸다. 적분은 근사치이다. 적분 강도, 피크 형상, 화학적 이동 및 커플링 상수는 용매, 농도, 온도, pH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NMR 스펙트럼에서 물 또는 용매 피크와 중첩되거나 교환되는 피크는 신뢰가능한 적분 강도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NMR 스펙트럼은 물 피크 억제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가시적이지 않거나 또는 변경된 형상 및/또는 적분을 갖는 중첩 피크를 생성할 수 있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하기 정제용 및/또는 분석용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였다.
LC/MS 조건 A: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2.1 mm x 50 mm, 1.7 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물, 10 mM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물, 10 mM NH4OAc 포함; 온도: 50℃; 구배: 3분에 걸쳐 0%B에서 100%B, 이어서 100%B에서 0.50분 유지; 유량: 1 mL/분; 검출: MS 및 UV (220 nm).
LC/MS 조건 B: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2.1 mm x 50 mm, 1.7 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물, 0.1% TFA 포함; 온도: 50℃; 구배: 3분에 걸쳐 0%B에서 100%B, 이어서 100%B에서 0.50분 유지; 유량: 1 mL/분; 검출: MS 및 UV (220 nm).
LC/MS 조건 C: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2.1 mm x 50 mm, 1.7 μm 입자; 이동상 A: 아세토니트릴, 0.1% TFA 포함; 이동상 B: 물, 0.1% TFA 포함; 온도: 37℃; 구배: 3분에 걸쳐 0%B에서 100%B, 이어서 100%B에서 0.50분 유지; 유량: 1 mL/분; 검출: MS 및 UV (240 nm).
LC/MS 조건 D: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2.1 mm x 50 mm, 1.7 μm 입자; 이동상 A: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 포함; 이동상 B: 물, 0.1% 포름산 포함; 온도: 37℃; 구배: 2.5분에 걸쳐 0%B에서 100%B, 이어서 100%B에서 0.50분 유지; 유량: 1 mL/분; 검출: MS 및 UV (240 nm).
LC/MS 조건 E: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BEH C18 XP (50x2.1 mm) 2.5 μm;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10 mM NH4OAc 포함; 이동상 B:95:5 아세토니트릴: 물, 10 mM NH4OAc 포함; 온도: 50℃; 구배: 3분에 걸쳐 0-100% B; 유량: 1.1 ml/분).
합성 - 일반적 절차
일반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절차는 피라졸로피리미딘 고리계의 1H 또는 2H 위치에서 알킬화된 위치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는 또한 알킬화된 질소를 지칭하는 N1 및 N2 위치이성질체로 각각 지칭됨). 간결하게 하기 위해, N2 위치이성질체는 편의상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들은 초기 생성물 혼합물 중에 존재하고, 예를 들어 정제용 HPLC에 의해 나중에 분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pct00113
위치이성질체의 혼합물은 합성의 초기 단계에서 분리되고, 나머지 합성 단계는 1H 위치이성질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합성은 위치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보유하여 진행되고, 분리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후속 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합성 유기 화학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하기 기재된 것들 또는 그의 변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은 하기 반응식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반응식은 일반적인 기인 것으로 의도되지만, 일부 경우에 구체적인 기 (예를 들어, 메틸 에스테르 또는 메톡시)가 편의상 도시된다.
반응식 1
Figure pct00114
Ra는 반응식 1 및 그의 다른 경우에서, 예를 들어,
Figure pct00115
, 또는 다른 적합한 모이어티일 수 있다.
반응식 1 및 그의 다른 경우에서, RbNHRc는 1급 또는 2급 아민이다. Ra, Rb, 및/또는 Rc는 합성 과정 동안 적절한 시간에 제거되는 보호기에 의해 차폐된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화합물 8을 상기 반응식 1에 약술된 바와 같은 합성 순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피라졸로피리미딘 1을 NBS와의 반응에 의해 브로마이드 2로 전환시킨다.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 벤조에이트로 알킬화한 후에, 화합물 3을 수득한다. 화합물 3을 H2 하에 수소화시켜 화합물 4를 수득한다. 화합물 4를 LiAlH4를 사용하여 알콜 5로 환원시킨다. 알콜 5를 NaOH로 처리하여 아민 6을 제공한다. 아민 6과 SOCl2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 7을 수득한다. 반응식 1의 최종 단계에서, 화합물 8을 클로라이드 7을 RbNHRc로 알킬화함으로써 제조한다.
반응식 2
Figure pct00116
상기 반응식 2는 메틸 4-아미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CAS 등록 번호 923283-54-9) 및 1,3-비스(메톡시카르보닐)-2-메틸-2-티오슈도우레아 (CAS 등록 번호 34840-23-8)를 커플링시켜 화합물 10을 형성함으로써 중간체 5를 제조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한다. 화합물 11을 NBS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사용한 화합물 10의 브로민화에 의해 수득한다.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 벤조에이트로 알킬화한 후에, 화합물 12를 수득한다. 화합물 12를 H2 하에 수소화시켜 화합물 13을 수득한다. 화합물 13을 LiAlH4와의 반응에 의해 알콜 14로 환원시킨다. 중간체 5를 BOP 및 DBU의 존재 하에 화합물 14와 RaNH2의 반응에 의해 합성한다.
반응식 3
Figure pct00117
상기 반응식 3은 메틸 4-니트로-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5 (CAS 등록 번호 1345513-95-2)를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 벤조에이트로 알킬화시켜 화합물 16을 형성함으로써 중간체 4를 제조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한다. 화합물 16을 H2 하에 수소화시켜 화합물 17을 수득한다. 화합물 18을 화합물 17과 1,3-비스(메톡시카르보닐)-2-메틸-2-티오슈도우레아를 반응시켜 수득한다. 중간체 4를 BOP 및 DBU의 존재 하에 화합물 18과 RaNH2의 반응에 의해 합성한다.
반응식 4
Figure pct00118
화합물 1을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 벤조에이트로 직접 알킬화시켜 중간체 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N1이성질체 대 N2이성질체의 비는 일반적으로 덜 유리하다.
반응식 5
Figure pct00119
상기 반응식 5는 중간체 4의 제조를 위한 대안적 방법을 나타낸다. 피라졸로피리미딘 1을 NIS (N-아이오도숙신이미드) 또는 NCS (N-클로로숙신이미드)를 사용하여 아이오다이드 또는 클로라이드 19로 전환시킨다.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 벤조에이트로 알킬화한 후에, 화합물 20을 수득한다. 화합물 20을 H2 하에 수소화시켜 화합물 4를 수득한다.
반응식 6
Figure pct00120
상기 반응식 6은 생성물 8의 제조를 위한 대안적 방법을 나타낸다. 화합물 5와 SOCl2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 21을 수득한다. 클로라이드 7을 RbNHRc로 처리하여 화합물 22를 수득한다. 생성물 8을 화합물 22를 NaOH로 탈보호하여 수득한다.
반응식 7
Figure pct00121
상기 반응식 7은 생성물 8의 제조를 위한 대안적 방법을 나타낸다. 화합물 14와 SOCl2를 반응시켜 클로라이드 23을 수득한다. 클로라이드 7을 RbNHRc로 처리하여 화합물 24를 수득한다. 화합물 25를 화합물 24를 NaOH로 탈보호하여 수득한다. 생성물 8을 BOP 및 DBU의 존재 하에 화합물 25와 RaNH2를 반응시켜 합성한다.
반응식 8
Figure pct00122
화합물 26을 상기 반응식 8에 약술된 바와 같이 화합물 8 (Rc가 H인 경우)과 산 RdCOOH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pct00123
화합물 28을 상기 반응식 9에 약술된 합성 순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4를 NaOH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산 27을 형성하였다. 화합물 27과 RbNHRc를 커플링시켜 생성물 28을 수득한다.
반응식 10
Figure pct00124
화합물 29를 상기 반응식 10에 약술된 바와 같이 클로라이드 7과 알콜 RgOH의 반응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pct00125
화합물 32를 상기 반응식 11에 약술된 합성 순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30을 화합물 2의 알킬화에 의해 수득한다. 화합물 30을 탈보호하여 화합물 31을 수득한다. 생성물 32를 화합물 31을 NaOH로 가수분해하여 수득한다.
반응식 12
Figure pct00126
화합물 36을 상기 반응식 12에 약술된 합성 순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33을 화합물 2의 알킬화 후에 수득한다. 화합물 33을 H2 하에 수소화시켜 화합물 34를 수득한다. 화합물 34는 그리냐르 시약 RiMgBr (여기서 Ri는 예를 들어 저급 알킬임)과의 반응에 의해 화합물 35로 전환시킨다. NaOH를 사용한 화합물 35의 탈보호에 의해 생성물 36을 수득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시약, 용매 및 조건을 사용하여 상기 일반적 절차를 참조함으로써, 또는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하기 구체적 실시예의 절차를 변형시킴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합성 - 구체적 실시예
상기를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하기 비제한적인 하기 예시적인 합성 반응식이 포함된다.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이들 예의 변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범위 내에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독자는 본 개시내용 및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가 철저한 실시예 없이도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101 이상의 번호의 화합물에 대한 분석 데이터는 표 A1 또는 표 A2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시예 A - 화합물 105
Figure pct00127
단계 1. DMF (7 mL) 중 메틸 (7-(부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4 g, 15.13 mmol)의 현탁액에 아세토니트릴 (14 mL) 중 NBS (2.96 g, 16.65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33 mL)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고체를 물 (3 x 20 mL)로 세척하고, 밤새 공기 건조시켜 메틸 (3-브로모-7-(부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343.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2.89 (s, 1H), 9.79 (s, 1H), 7.58 (s, 1H), 3.62 (s, 3H), 3.54 (q, J = 6.8 Hz, 2H), 1.68 - 1.56 (m, 2H), 1.47 - 1.33 (m, 2H), 0.94 (t, J = 7.4 Hz, 3H).
단계 2. Cs2CO3 (5.73 g, 17.59 mmol)을 실온에서 DMF (21.72 ml) 중 메틸 (3-브로모-7-(부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3.32 g, 9.67 mmol) 및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2.279 g, 8.79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0-20% EtOAc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3-((3-브로모-7-(부틸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21.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87 (s, 1H), 7.98 - 7.90 (m, 1H), 7.50 (d, J = 2.2 Hz, 1H), 7.40 (t, J = 5.6 Hz, 1H), 7.16 (d, J = 8.7 Hz, 1H), 5.75 (s, 2H), 3.83 (s, 3H), 3.78 (s, 3H), 3.63 (s, 3H), 3.55 (q, J = 6.6 Hz, 2H), 1.65 - 1.53 (m, 2H), 1.31-1.23 (m, 2H), 0.87 (t, J = 7.4 Hz, 3H).
단계 3. Pd/C (10 wt%, 30 mg, 0.403 mmol)를 실온에서 MeOH (5 mL) 중 메틸 3-((3-브로모-7-(부틸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21 g, 0.40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메틸 3-((7-(부틸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43.2 [M+H]+.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77 (t, J = 5.8 Hz, 1H), 8.09 (s, 1H), 7.96 (dd, J = 8.8, 2.2 Hz, 1H), 7.77 (d, J = 2.1 Hz, 1H), 6.90 (d, J = 8.7 Hz, 1H), 6.03 (s, 2H), 3.93 - 3.75 (m, 11H), 1.73 - 1.63 (m, 2H), 1.31 (h, J = 7.6 Hz, 2H), 0.89 (t, J = 7.4 Hz, 3H).
단계 4. THF 중 LiAlH4 (1M) (1.549 mL, 1.549 mmol)을 0℃에서 THF (8 mL) 중 메틸 3-((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60 mg, 0.15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의 느린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로쉘 염 (1M, 3 m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DCM 중 0-2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7-(부틸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43.2 [M+H]+.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08 (s, 1H), 7.78 (s, 1H), 7.33 - 7.26 (m, 1H), 6.96 (d, J = 2.1 Hz, 1H), 6.89 (d, J = 8.5 Hz, 1H), 5.70 (t, J = 5.4 Hz, 1H), 5.57 (s, 2H), 5.29 (s, 2H), 4.47 (s, 2H), 3.90 (s, 3H), 3.73 (s, 3H), 3.44 (td, J = 7.0, 5.3 Hz, 3H), 1.52 - 1.39 (m, 2H), 1.29 - 1.15 (m, 2H), 0.87 (t, J = 7.4 Hz, 3H).
단계 5. NaOH (10M, 5.02 mL, 50.2 mmol)를 실온에서 디옥산 (25 mL) 중 메틸 (7-(부틸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04 g, 2.509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4℃에서 밤새 가열하고,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DCM 중 0-3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4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57.2 [M+H]+.
단계 6. SOCl2 (0.410 ml, 5.61 mmol)를 실온에서 THF (4.60 ml) 중 (3-((5-아미노-7-(부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 (0.1 g, 0.28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N7-부틸-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75.2 [M+H]+.
단계 7. DMF (0.5 mL) 중 N7-부틸-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10 mg, 0.027 mmol) 및 3-메톡시아제티딘 (13.94 mg, 0.160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05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하기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01, 화합물 102, 화합물 103, 화합물 104, 화합물 106, 화합물 107, 화합물 108, 화합물 109, 화합물 110, 화합물 111, 화합물 112, 화합물 113, 화합물 114, 화합물 115, 화합물 116, 화합물 117, 화합물 118, 화합물 119, 화합물 120, 화합물 121, 화합물 122, 화합물 123, 화합물 124, 화합물 125, 화합물 126, 화합물 127, 화합물 129, 화합물 130, 화합물 131, 화합물 132, 화합물 133, 화합물 134, 화합물 135, 화합물 137, 화합물 138, 화합물 142, 및 화합물 151.
실시예 B - 화합물 128
Figure pct00128
DIEA (6.07 μl, 0.035 mmol)를 실온에서 DMF (1 mL) 중 N7-부틸-1-(2-메톡시-5-((메틸아미노)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화합물 132, 9.9 mg, 0.027 mmol), 3-(디메틸아미노)프로판산 (3.45 mg, 0.029 mmol) 및 HATU (12.22 mg, 0.032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28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하기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36, 화합물 146, 화합물 147, 및 화합물 148.
실시예 C - 화합물 139
Figure pct00129
NaH (60%) (6.40 mg, 0.160 mmol)를 실온에서 DMF (0.5 mL) 중 옥세탄-3-올 (11.86 mg, 0.16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DMF (0.5 mL) 중 N7-부틸-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10 mg, 0.02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면서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화합물 139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함)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하기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41, 화합물 143, 및 화합물 144.
실시예 D - 화합물 145
Figure pct00130
단계 1. Cs2CO3 (0.380 g, 1.166 mmol)을 실온에서 DMF (2 mL) 중 메틸 (3-브로모-7-(부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2 g, 0.583 mmol) 및 3-(브로모메틸)-4-메톡시벤조니트릴 (0.132 g, 0.583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에 걸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0-70% EtOAc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3-브로모-7-(부틸아미노)-1-(4-시아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88.1 [M+H]+.
단계 2. 메탄올 (2 mL) 중 메틸 (3-브로모-7-(부틸아미노)-1-(5-시아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81 mg, 0.166 mmol) 및 Pd/C 10wt% (20 mg, 0.166 mmol)의 혼합물을 H2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한 후, 여과물을 농축시켜 메틸 (7-(부틸아미노)-1-(4-시아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10.2 [M+H]+.
단계 3. 디옥산 (1.5 mL) 중 메틸 (7-(부틸아미노)-1-(5-시아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42.6 mg, 0.104 mmol) 및 10N NaOH (0.208 mL, 2.081 mmol)의 혼합물을 54℃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45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실시예 E - 화합물 149
Figure pct00131
단계 1. DMF (30 mL) 중 메틸 3-(브로모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3.6 g, 13.89 mmol), 메틸 4-니트로-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2.377 g, 13.89 mmol) 및 K2CO3 (2.496 g, 18.06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0-50% EtOAc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1-(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벤질)-4-니트로-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50.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s, 1H), 7.98 (dd, J = 8.6, 2.2 Hz, 1H), 7.89 (d, J = 2.2 Hz, 1H), 7.15 (d, J = 8.7 Hz, 1H), 5.52 (s, 2H), 3.98 (s, 3H), 3.82 (d, J = 5.1 Hz, 6H).
단계 2. THF (9 mL) 및 MeOH (9 mL) 중 메틸 1-(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벤질)-4-니트로-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 g, 2.86 mmol) 및 포름산암모늄 (0.903 g, 14.31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Zn (0.599 g, 9.1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메틸 4-아미노-1-(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벤질)-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20.1 [M+H]+.
단계 3. 1,3-비스(메톡시카르보닐)-2-메틸-2-티오슈도우레아 (0.452 g, 2.192 mmol) 및 메틸 4-아미노-1-(2-메톡시-5-(메톡시카르보닐)벤질)-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0.7 g, 2.192 mmol)의 혼합물을 MeOH (18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아세트산 (0.627 mL, 10.96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탄올 중 소듐 메톡시드 (4.37M) (5.02 mL, 21.92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이를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pH를 5로 조정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메틸 3-((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88.1 [M+H]+.
단계 4. DMSO (5 mL) 중 스피로[2.3]헥산-5-일메탄아민 (0.201 g, 1.808 mmol), 메틸 3-((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35 g, 0.904 mmol)의 용액을 DBU (0.545 mL, 3.61 mmol) 및 BOP (0.799 g, 1.807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DCM 중 0-2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4-메톡시-3-((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7-((스피로 [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81.2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65 (s, 1H), 7.96 - 7.87 (m, 2H), 7.25 (d, J = 2.2 Hz, 1H), 7.23 - 7.03 (m, 2H), 5.76 (s, 2H), 3.88 (d, J = 6.6 Hz, 3H), 3.74 (s, 3H), 3.69 - 3.52 (m, 5H), 2.84 - 2.68 (m, 1H), 2.08 - 1.90 (m, 2H), 1.86 - 1.77 (m, 2H), 0.34 (s, 4H).
단계 5. THF (3 mL) 중 메틸 4-메톡시-3-((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벤조에이트 (0.122 g, 0.254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LiAlH4 (0.127 mL, 0.254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20분 후, 반응물을 메탄올의 느린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로쉘 염 (1M, 3 m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DCM 중 0-3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53.2 [M+H]+.
단계 6. NaOH (10N, 0.350 mL, 3.50 mmol)를 실온에서 디옥산 (2 mL) 및 DMSO (1 mL) 중 메틸 (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79.1 mg, 0.17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4℃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DCM 중 0-3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3-((5-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95.2 [M+H]+.
단계 7. SOCl2 (0.221 mL, 3.04 mmol)를 실온에서 THF (1.5 mL) 중 (3-((5-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 (60 mg, 0.15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N7-(스피로[2.3]헥산-5-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13.2 [M+H]+.
단계 8. DMF (0.5 mL) 중 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N7-(스피로[2.3]헥산-5-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10 mg, 0.024 mmol) 및 3-메톡시아제티딘 (2.110 mg, 0.024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49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화합물 150을 본 실시예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F - 화합물 152
Figure pct00132
단계 1. NaOH (10N, 0.237 mL, 2.372 mmol)를 실온에서 DMSO (1 mL) 중 메틸 4-메톡시-3-((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벤조에이트 (57 mg, 0.119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4℃에서 밤새 가열하고, 6 N HCl을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3-((5-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산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09.2 [M+H]+.
단계 2. DIEA (8.53 μl, 0.049 mmol)를 실온에서 DMF (0.5 mL) 중 1-메틸피페리딘-4-아민 (16.77 mg, 0.147 mmol), 3-((5-아미노-7-((스피로[2.3]헥산-5-일메틸)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산 (10 mg, 0.024 mmol) 및 HATU (12.10 mg, 0.032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52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화합물 153을 본 실시예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G - 화합물 154
Figure pct00133
단계 1. DMSO (5 mL) 중 메틸 3-((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5 g, 1.072 mmol)의 혼합물을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0.763 g, 2.145 mmol), 2,3,4,6,7,8,9,10-옥타히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 (0.5 mL, 3.32 mmol)에 이어서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 (0.949 g, 2.145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 혼합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MeOH로 희석하고, 여과하여 출발 물질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물질을 실리카 겔 (건조 로딩) 헥산-EtOAc 0-100% 상에서 정제하여 메틸 (S)-3-((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59 g, 0.734 mmol, 68.4%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m/z 803.3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84 (s, 1H), 7.98 - 7.81 (m, 1H), 7.66 - 7.31 (m, 10H), 7.30 - 7.19 (m, 2H), 7.14 - 7.06 (m, 1H), 6.71 - 6.58 (m, 1H), 5.87 - 5.59 (m, 2H), 4.77 - 4.53 (m, 1H), 3.80 - 3.75 (m, 3H), 3.75 - 3.71 (m, 3H), 3.67 - 3.61 (m, 2H), 3.60 - 3.56 (m, 3H), 1.95 - 1.77 (m, 2H), 1.64 - 1.42 (m, 2H), 1.29 - 1.10 (m, 2H), 0.92 (s, 9H), 0.78 (br t, J=7.3 Hz, 3H)
단계 2. 파르 병에 메틸 (S)-3-((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59 g, 0.734 mmol), 메탄올 (10 mL), 및 Pd/C (20 mg, 0.188 mmol)를 첨가하였다. 수소화 반응을 50 psi 하에 25℃에서 2시간 동안 진행되도록 하였다. 물질을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메틸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466 g, 0.624 mmol, 85%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m/z 725.4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76 - 7.66 (m, 3H), 7.62 (s, 5H), 7.55 - 7.42 (m, 8H), 7.42 - 7.33 (m, 2H), 7.31 - 7.06 (m, 1H), 5.93 - 5.68 (m, 1H), 3.85 - 3.68 (m, 5H), 1.98 - 1.80 (m, 2H), 1.79 - 1.68 (m, 1H), 1.62 - 1.39 (m, 3H), 1.38 - 1.23 (m, 2H), 1.01 (s, 9H), 0.92 (s, 3H), 0.87 (t, J=7.3 Hz, 3H), 0.83 - 0.77 (m, 1H)
단계 3. 20 mL 섬광 바이알에 메틸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460 mg, 0.635 mmol), 디옥산 (4 mL) 및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라이드 (TREAT-HF™, 1.3 mL, 7.98 mmol)를 채웠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OH (6 mL, 30.0 mmol)를 첨가한 다음, 이어서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5N HCl로 중화시키고, V10 증발기 상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Z 정제용, 50 g 칼럼, DMSO/ 물 중에 로딩함, 14분에 걸쳐 0.05% TFA를 함유하는 물 중 0에서 60% MeCN)하여 (S)-3-((5-아미노-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산 (100 mg, 0.241 mmol, 38.0% 수율)을 백색 동결건조된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51.2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2.74 - 12.22 (m, 2H), 7.81 - 7.62 (m, 3H), 7.57 (s, 1H), 7.47 - 7.35 (m, 1H), 7.16 - 7.06 (m, 1H), 6.96 - 6.84 (m, 1H), 5.56 (br d, J=14.7 Hz, 2H), 4.53 - 4.17 (m, 2H), 3.61 (s, 3H), 1.51 (br d, J=6.4 Hz, 2H), 1.36 - 1.17 (m, 2H), 1.01 - 0.80 (m, 2H), 0.56 (t, J=7.4 Hz, 3H).
단계 4. 20 mL 섬광 바이알에 (S)-3-((5-아미노-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산 (30 mg, 0.072 mmol), HATU (33.0 mg, 0.087 mmol), (R)-1-메틸피롤리딘-3-아민 (14.50 mg, 0.145 mmol) 및 DMF (1.5 mL)를 채웠다. DIPEA (0.038 mL, 0.217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30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54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실시예 H - 화합물 157
Figure pct00134
단계 1a. DMSO (30 mL) 및 EtOH (10 mL) 중 메틸 3-((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1.1 g, 2.359 mmol) 및 Pd/C (0.500 g, 2.359 mmol, 선행 특허에서 제조됨)의 혼합물을 80℃에서 H2 하에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CH2Cl2 중 0-1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3-((5-아미노-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30.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0.99 (s, 1H), 7.90 (dd, J = 8.6, 2.2 Hz, 1H), 7.61 (s, 1H), 7.21 - 7.12 (m, 2H), 6.10 (s, 2H), 5.65 (s, 2H), 3.91 (s, 3H), 3.75 (s, 3H).
단계 1b. DMSO (2 mL) 중 메틸 3-((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1 g, 0.258 mmol, BBRC에 의해 제조됨) 및 K2CO3 (0.107 g, 0.774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물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CH2Cl2 중 0-10% MeOH로 정제하여 메틸 3-((5-아미노-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30.1 [M+H]+.
단계 2. THF (20 mL) 중 메틸 3-((5-아미노-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274 g, 0.832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LiAlH4 (THF 중 2M) (0.416 mL, 0.832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1시간 후 LCMS는 반응의 완결을 나타냈다. 반응물을 메탄올의 느린 첨가에 의해 켄칭한 다음, 로쉘 염 (1M, 10 m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CH2Cl2 중 0-1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5-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02.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55 (s, 1H), 7.17 (dd, J = 8.3, 2.1 Hz, 1H), 6.96 (d, J = 8.4 Hz, 1H), 6.51 (d, J = 2.1 Hz, 1H), 6.10 (s, 2H), 5.62 (s, 2H), 4.96 (t, J = 5.8 Hz, 1H), 4.28 (d, J = 5.4 Hz, 2H), 3.81 (s, 3H).
단계 3. DMSO (5 mL) 중 5-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올 (0.13 g, 0.431 mmol),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0.307 g, 0.863 mmol)의 용액을 BOP (0.382 g, 0.863 mmol) 및 DBU (0.260 mL, 1.726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CH2Cl2 중 0-1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S)-(3-((5-아미노-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39.3 [M+H]+.
단계 4. THF (2 mL) 중 (S)-(3-((5-아미노-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 (0.24 g, 0.376 mmol) 및 SOCl2 (0.545 mL, 7.51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S)-N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57.3 [M+H]+.
단계 5. (S)-3-((5-아미노-1-(2-메톡시-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일)아미노)헥산-1-올 (화합물 157). DMF (0.5 mL) 중 (S)-N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15 mg, 0.023 mmol) 및 1-메틸피페라진 (13.71 mg, 0.137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라이드 (0.022 mL, 0.137 mmol) 및 DMSO (0.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5%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5-45%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57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하기 화합물을 본 실시예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55, 화합물 156 및 화합물 158.
실시예 I - 화합물 164
Figure pct00135
단계 1. 메틸 3-((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6 g, 1.287 mmol, 선행 특허에서 제조됨), Pd (dppf)2Cl2 (0.094 g, 0.129 mmol), K2CO3 (0.534 g, 3.86 mmol) 및 트리메틸보록신 (0.899 mL, 6.43 mmol)의 혼합물을 12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CH2Cl2 중 0-1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3-((5-아미노-7-히드록시-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44.2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0.91 (s, 1H), 7.87 (dd, J = 8.5, 2.0 Hz, 1H), 7.19 - 7.12 (m, 2H), 6.08 (s, 2H), 5.55 (s, 2H), 3.88 (s, 3H), 3.73 (s, 3H), 2.21 (s, 3H).
단계 2. THF (20 mL) 중 메틸 3-((5-아미노-7-히드록시-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12 g, 0.350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LiAlH4 (THF 중 2M) (0.175 mL, 0.350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2시간 후 LCMS는 반응의 완결을 나타냈다. 반응물을 메탄올의 느린 첨가에 의해 켄칭한 다음, 로쉘 염 (1M, 10 m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CH2Cl2 중 0-2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5-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16.2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16 (d, J = 8.3 Hz, 1H), 6.96 (d, J = 8.3 Hz, 1H), 6.54 (s, 1H), 6.09 (s, 2H), 5.54 (s, 2H), 4.96 (t, J = 5.7 Hz, 1H), 4.28 (d, J = 5.5 Hz, 2H), 3.80 (s, 3H), 2.22 (s, 3H).
단계 3. DMSO (2 mL) 중 5-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올 (74.8 mg, 0.237 mmol) 및 BOP (210 mg, 0.474 mmol)의 용액에 DMSO (2 mL) 중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506 mg, 1.423 mmol) 및 DBU (0.143 mL, 0.949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CH2Cl2 중 0-20% MeOH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S)-(3-((5-아미노-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53.5 [M+H]+.
단계 4. SOCl2 (0.333 mL, 4.59 mmol)를 실온에서 THF (2 mL) 중 (S)-(3-((5-아미노-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페닐)메탄올 (0.15 g, 0.23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S)-N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71.5 [M+H]+.
단계 5. 1-메틸피페라진 (17.90 mg, 0.179 mmol)을 DMF (0.5 mL) 중 (S)-N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3-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7-디아민 (20 mg, 0.03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SO (0.5 mL) 중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라이드 (0.029 mL, 0.17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1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10-5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켜 화합물 164를 수득하였다.
하기 화합물을 본 실시예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59, 화합물 161, 및 화합물 162.
실시예 J - 화합물 169
Figure pct00136
단계 1. 1,4-디옥산 (38.3 ml) 및 H2O (4.26 ml) 중 메틸 5-브로모-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2.239 g, 8.51 mmol, US 2015/0299104에 따라 제조됨) 및 삼염기성 인산칼륨 (5.42 g, 25.5 mmol)의 실온 혼합물을 N2로 30분 동안 폭기하였다. 메틸보론산 (0.764 g, 12.77 mmol) 및 XPhos Pd G2 (0.167 g, 0.21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로 2분 동안 폭기하고, 80℃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H2O (200 mL) 및 포화 수성 NaCl (2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혼합된 분획을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25% EtOAc-헥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칼럼 둘 다로부터의 생성물을 합하여 메틸 2-플루오로-4-메톡시-5-메틸벤조에이트 (1.563 g, 93%)를 수득하였다.
LC-MS m/z 199 [M+H]+.
1H NMR (400 MHz, DMSO-d6) δ 7.67 (dd, J=8.6, 0.7 Hz, 1H), 6.95 (d, J=13.2 Hz, 1H), 3.87 (s, 3H), 3.80 (s, 3H), 2.13 (s, 3H).
단계 2. CCl4 (19.72 ml) 중 메틸 2-플루오로-4-메톡시-5-메틸벤조에이트 (1.563 g, 7.89 mmol)의 실온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1.474 g, 8.28 mmol) 및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0.130 g, 0.789 m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7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CCl4 (2 x 2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였다. 혼합된 분획을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15% EtOAc-헥산)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칼럼 둘 다로부터의 생성물을 합하여 메틸 5-(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1.73 g, 79%)를 수득하였다.
LC-MS m/z 277/279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0 (d, J=8.5 Hz, 1H), 7.09 (d, J=13.2 Hz, 1H), 4.67 (s, 2H), 3.95 (s, 3H), 3.82 (s, 3H).
단계 3. DMF (27.8 ml) 중 메틸 (3-브로모-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60 g, 5.55 mmol) (반응식 2, 상기 화합물 11)의 실온 용액에 Cs2CO3 (5.43 g, 16.6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5-(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1.539 g, 5.5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냉각 조를 제거하고, 이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 (150 mL)에 첨가하고,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H2O (3 x 10 mL), MeOH (3 x 10 mL), 및 Et2O (3 x 10 mL)로 세척하여 메틸 5-((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1.191 g, 44%)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84/486 [M+H]+.
1H NMR (400MHz, DMSO-d6) δ 11.82 - 11.58 (m, 1H), 11.51 - 11.31 (m, 1H), 7.59 (d, J=8.3 Hz, 1H), 7.07 (d, J=13.1 Hz, 1H), 5.68 (s, 2H), 3.84 (s, 3H), 3.79 (s, 3H), 3.75 (s, 3H).
단계 4. DMSO (7834 μl) 중 메틸 5-((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569 mg, 1.175 mmol)의 실온 현탁액에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HCl (691 mg, 1.763 mmol) (US 2020/0038403 A1, 도 8, 화합물 71a)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80 mg, 1.763 mmol)에 이어서 1,8-디아자비시클로 [5.4.0]운데스-7-엔 (879 μl, 5.8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52 mg, 0.12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 (80 mL)의 교반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H2O (2 x 5 mL)로 세척한 다음, 이를 EtOAc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포화 수성 NaCl (1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8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40% EtOAc-CH2Cl2)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S)-5-((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455 mg, 47%)를 갈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21/823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80 (s, 1H), 7.55 (dd, J=7.9, 1.5 Hz, 2H), 7.50 - 7.46 (m, 2H), 7.46 - 7.32 (m, 5H), 7.27 - 7.21 (m, 2H), 7.03 (d, J=13.1 Hz, 1H), 6.68 (br d, J=8.5 Hz, 1H), 5.77 - 5.69 (m, 1H), 5.67 - 5.59 (m, 1H), 4.70 - 4.60 (m, 1H), 3.74 (s, 6H), 3.65 (t, J=6.5 Hz, 2H), 3.58 (s, 3H), 1.91 - 1.83 (m, 2H), 1.61 - 1.43 (m, 2H), 1.27 - 1.13 (m, 2H), 0.91 (s, 9H), 0.80 (t, J=7.4 Hz, 3H).
단계 5. EtOH (22.15 ml) 중 메틸 (S)-5-((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0.455 g, 0.554 mmol)의 실온 용액을 배기시킨 다음, N2 (3x)로 재충전한 다음, 탄소 상 팔라듐 (10 wt% (건량 기준), 습윤 지지체) (0.088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배기시킨 다음, H2로 재충전하고, H2 (풍선)의 분위기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로 30분 동안 퍼징한 다음, 이것을 N2의 블랭킷 하에 셀라이트(CELITE)™을 통해 여과하고, EtOH (2 x 15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메틸 (S)-5-((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423 mg, 정량적)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43 [M+H]+.
1H NMR (400 MHz, DMSO-d6) δ 8.03 (s, 1H), 7.56 - 7.49 (m, 3H), 7.50 - 7.46 (m, 2H), 7.43 - 7.32 (m, 4H), 7.29 - 7.24 (m, 2H), 7.04 (d, J=13.1 Hz, 1H), 5.85 - 5.78 (m, 1H), 5.73 - 5.66 (m, 1H), 4.68 - 4.58 (m, 1H), 3.76 (s, 3H), 3.77 (br s, 3H), 3.73 (s, 3H), 3.70 - 3.62 (m, 2H), 1.92 (br dd, J=5.3, 3.2 Hz, 2H), 1.67 - 1.51 (m, 2H), 1.29 - 1.14 (m, 2H), 0.91 (s, 9H), 0.82 (t, J=7.3 Hz, 3H).
단계 6. THF (5112 μl) 및 MeOH (568 μl)의 혼합물 중 메틸 (S)-5-((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2-플루오로-4-메톡시벤조에이트 (422 mg, 0.568 mmol)의 0℃ 용액에 수소화붕소리튬 (THF 중 2 M 용액) (2840 μl, 5.68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수소화붕소리튬 (284 μL, 0.56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수소화붕소리튬 (1.14 mL, 2.2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4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키고, MeOH (2 mL)를 천천히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를 H2O (5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NaCl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100% EtOAc-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4-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97.6 mg, 49%)를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15 [M+H]+.
1H NMR (400 MHz, DMSO-d6) δ 9.50 (s, 1H), 7.88 (s, 1H), 7.57 - 7.54 (m, 2H), 7.50 - 7.46 (m, 2H), 7.44 - 7.33 (m, 4H), 7.27 - 7.22 (m, 2H), 6.89 (d, J=12.1 Hz, 1H), 6.78 (d, J=8.5 Hz, 1H), 6.07 (d, J=8.5 Hz, 1H), 5.70 - 5.64 (m, 1H), 5.61 - 5.55 (m, 1H), 5.03 (t, J=5.6 Hz, 1H), 4.61 - 4.51 (m, 1H), 4.32 - 4.22 (m, 2H), 3.74 (s, 3H), 3.65 - 3.59 (m, 2H), 3.58 (s, 3H), 1.89 - 1.72 (m, 2H), 1.52 - 1.41 (m, 2H), 1.21 - 1.05 (m, 2H), 0.92 (s, 9H), 0.78 (t, J=7.3 Hz, 3H).
단계 7. THF (2853 μl) 중 티오닐 클로라이드 (104 μl, 1.427 mmol)의 0℃ 용액에 THF (2853 μ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4-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204 mg, 0.28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THF와 혼합하고, 진공 (2x) 하에 농축시켜 조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클로로메틸)-4-플루오로-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733 [M+H]+.
단계 8. MeCN (1.140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클로로메틸)-4-플루오로-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042 g, 0.057 mmol)의 실온 용액을 메틸아민 (THF 중 2 M 용액) (0.086 ml, 0.171 mmol)에 첨가한 다음,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60 ml, 0.34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 mL)에 녹이고, 포화 수성 NaHCO3 (2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2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NaCl (2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4-플루오로-2-메톡시-5-((메틸아미노)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728 [M+H]+.
단계 9. 1,4-디옥산 (570 μl) 중 단계 8로부터의 조 물질의 실온 용액에 1,4-디옥산 중 4 N HCl (570 μ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4-디옥산 (0.3 mL)과 혼합하고, 농축시켜 조 메틸 (S)-(1-(4-플루오로-2-메톡시-5-((메틸아미노)메틸)벤질)-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490 [M+H]+.
단계 10. 1,4-디옥산 (570 μl) 및 MeOH (0.285 mL)의 혼합물 중 단계 9로부터의 조 물질의 실온 용액에 10 M 수성 NaOH (57.0 μl, 0.57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32.6 μl, 0.570 mmol)을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다음, 이를 H2O (0.3 mL) 및 DMF (1.7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0.45 μm 나일론 시린지 필터),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으로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4%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4-44%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69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10.4 mg, 41%).
이들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65, 화합물 166, 화합물 167, 화합물 168, 화합물 171, 화합물 172, 화합물 173, 화합물 175 및 화합물 176. (일부 경우에, 단계 8에 대해 하기 변형을 가하였다: 출발 아민이 염인 경우에 추가 당량의 i-Pr2NEt를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는 60℃ 내지 80℃의 범위였다).
실시예 K - 화합물 170
Figure pct00137
단계 1. 사염화탄소 (20 mL) 중 메틸 6-메톡시-5-메틸니코티네이트 (491 mg, 2.71 mmol), NBS (627 mg, 3.52 mmol), 및 AIBN (111 mg, 0.677 mmol)의 혼합물을 8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0%에서 50%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5-(브로모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493mg)를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84 - 8.74 (m, 1H), 8.28 - 8.18 (m, 1H), 4.54 - 4.46 (m, 2H), 4.15 - 4.07 (m, 3H), 3.98 - 3.89 (m, 3H)
단계 2. DMF (5 mL) 중 메틸 5-(브로모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233 mg, 0.896 mmol) 및 메틸 (3-브로모-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215 mg, 0.747 mmol)의 혼합물에 Cs2CO3 (730 mg, 2.240 mmol)을 첨가하였다. 16시간 후,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LiCl (10% 수성,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메탄올로 연화처리하여 단리시켜 메틸 5-((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133mg)를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469.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1.69 (br s, 1H), 11.45 (br s, 1H), 8.72 (d, J=2.2 Hz, 1H), 7.85 (d, J=2.2 Hz, 1H), 5.73 (s, 2H), 3.99 - 3.92 (m, 3H), 3.83 (s, 3H), 3.76 (s, 3H).
단계 3. DMSO (5 mL) 중 메틸 5-((3-브로모-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215 mg, 0.460 mmol),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245 mg, 0.690 mmol), BOP (305 mg, 0.690 mmol), 및 DBU (0.312 mL, 2.071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BOP (305 mg, 0.690 mmol) 및 DBU (0.312 mL, 2.07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DCM (50 mL)과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0%에서 100%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S)-5-((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191mg)를 수득하였다.
LC-MS m/z 804.4 [M+H]+.
단계 4. MeOH (10 mL) 중 메틸 (S)-5-((3-브로모-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191 mg, 0.237 mmol) 및 Pd-C (200 mg, 0.094 mmol)의 현탁액을 N2로 3회 퍼징한 다음 (이들 사이에서 배기), H2로 3회 퍼징하였다 (이들 사이에서 배기). 혼합물을 수소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을 통해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메틸 (S)-5-((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172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726.3 [M+H]+.
단계 5. THF (3 mL) 및 메탄올 (0.600 mL)의 혼합물 중 메틸 (S)-5-((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6-메톡시니코티네이트 (172 mg, 0.237 mmol)의 용액에 LiBH4 (2M THF) (0.592 mL, 1.185 mmol)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추가의 LiBH4 (2M THF) (0.592 mL, 1.185 mmol)를 첨가하였다. 16시간 후,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와 1% 타르트레이트 K/Na 수성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0%에서 100%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65mg)를 수득하였다.
LC-MS m/z 698.5 [M+H]+.
단계 6. DCM (10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65 mg, 0.236 mmol)의 용액에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201 mg, 0.473 mmol)을 첨가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헥산 중 EtOAc 0%에서 100%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포르밀-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66mg)를 수득하였다.
LC-MS m/z 696.5 [M+H]+.
단계 7. DCM (3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포르밀-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33 mg, 0.047 mmol) 및 N1,N1,N2-트리메틸에탄-1,2-디아민 (24.23 mg, 0.237 mmol)의 용액에 소듐 트리아세톡시 보로히드라이드 (70.4 mg, 0.332 mmol)를 첨가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2시간 후, 포화 탄산나트륨 2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메탄올 2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37mg)를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782.5 [M+H]+.
단계 8.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037 g, 0.047 mmol)의 용액에 HCl (4N 디옥산) (3 ml, 12.00 mmol)을 첨가하였다. 16시간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S)-(1-((5-(((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6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544.3 [M+H]+.
단계 9. 디옥산 (3 mL) 중 메틸 (S)-(1-((5-(((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2-메톡시피리딘-3-일)메틸)-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25.6 mg, 0.047 mmol) 및 NaOH (10N) (50 μl, 0.500 mmol)의 용액을 50℃로 가열하였다. 24시간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DMF:HOAc (1:1) 2 mL로 희석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7%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7-47%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70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 (11mg)을 통해 건조시켰다.
실시예 L - 화합물 160
Figure pct00138
단계 1. DMF (3 mL) 중 메틸 (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7-히드록시-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화합물 23, 130 mg, 0.344 mmol)에 3-메톡시아제티딘 (90 mg, 1.032 mmol) 및 DIPEA (0.240 mL, 1.37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V-10을 통해 제거하고, 물질을 실리카 겔 (건조 로딩) 0-20% DCM-MeOH 상에서 정제하여 메틸 (7-히드록시-1-(2-메톡시-5-((3-메톡시아제티딘-1-일)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30 mg, 0.303 mmol, 88%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m/z 429.4 [M+H]+.
단계 2. DMSO (1.5 mL) 중 메틸 (7-히드록시-1-(2-메톡시-5-((3-메톡시아제티딘-1-일)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65 mg, 0.152 mmol)에 (S)-3-아미노-1-시클로프로필프로판-1-올 (34.9 mg, 0.303 mmol), DBU (0.091 mL, 0.607 mmol) 및 bop (134 mg, 0.30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M NaOH (1 mL, 5.00 mmol)로 처리하고, 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1%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30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60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실시예 M - 화합물 163
Figure pct00139
단계 1. DMSO (8 mL) 중 메틸 3-((7-히드록시-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53 g, 1.368 mmol)의 혼합물을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3-아민 (1.402 g, 4.10 mmol), 2,3,4,6,7,8,9,10-옥타히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 (0.619 mL, 4.10 mmol)으로 처리한 다음, 이어서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 (1.210 g, 2.74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용매 혼합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물질을 40g 콤비플래쉬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80% EtOAc/헥산 분획을 농축시켜 메틸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0.32 g, 0.450 mmol, 32.9%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711.5.
단계 2. THF (7469 μl) 및 MeOH (830 μl) 중 메틸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590 mg, 0.83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붕소리튬 (THF 중 2 M 용액) (4150 μl, 8.30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 동안 기체 발생).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키고, H2O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여, 고체의 침전을 유발하였다. 혼합물을 H2O (5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모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층을 진탕시켰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NaCl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CH2Cl2; 40 g 실리카 겔; 선형 구배 0-100% EtOAc-CH2Cl2에 이어서 0-10% MeOH-CH2Cl2중 용액으로서 로딩함)에 의해 정제하였다. 불순물을 EtOAc 구배로 용리시키고, 생성물을 MeOH 구배로 용리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THF (2 mL)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0.062 mL, 0.843 mmol)로 처리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DMF (2 mL) 중에 재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트리히드로플루오라이드 (0.343 mL, 2.109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으며, 이 때 LCMS는 반응의 완결을 나타냈다. 콤비플래쉬 24 g 칼럼 상에서 정제하였다. 5% MeOH/DCM 분획으로 메틸 (S)-(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7-((1-히드록시펜탄-3-일)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40 mg, 0.302 mmol, 36% 수율)를 농후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5% MeOH/DCM 분획으로 (S)-3-((5-아미노-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일)아미노)펜탄-1-올 (40 mg, 0.099 mmol, 12%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M+H] = 405.3.
단계 3. DMSO (1 mL) 중 (S)-3-((5-아미노-1-(5-(클로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7-일)아미노)펜탄-1-올 (0.099 mmol, 40 mg)의 용액에 1-메틸피페라진 (0.494 mmol, 49.5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정제용 LC/MS에 의해 하기 조건으로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05%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05%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및 UV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화합물 163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백색 고체, 6.7 mg, 9% 수율).
실시예 N - 화합물 178
Figure pct00140
단계 1. DMF (50 mL) 중 2-클로로-5-메틸피리딘-4-올 (5.00 g, 34.8 mmol)의 교반 용액을 0℃에서 냉각시켰다. NaH (1.39 g, 34.8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후, 메틸 아이오다이드 (2.61 mL, 41.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석유 에테르 중 15%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2-클로로-4-메톡시-5-메틸피리딘 (5.2 g, 32.7 mmol, 94% 수율)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58.2.
1H NMR (400MHz, DMSO-d6) δ = 8.00 (s, 1H), 7.33 (s, 1H), 3.89 (s, 3H), 2.17 (s, 3H).
단계 2. DMF (100 mL) 및 메탄올 (100 mL) 중 2-클로로-4-메톡시-5-메틸피리딘 (5.750 g, 36.5 mmol)의 교반 용액에 TEA (15.26 mL, 109 mmol)를 첨가하였다. 질소로 5분 동안 퍼징한 후, PdCl2(dppf)-CH2Cl2 부가물 (5.96 g, 7.3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O 기체 (10 kg 압력) 하에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메탄올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석유 에테르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메틸 4-메톡시-5-메틸피콜리네이트 (5.00 g, 27.6 mmol, 76% 수율)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182.2.
1H NMR (400MHz, DMSO-d6) δ = 8.36 (s, 1H), 7.90 (s, 1H), 3.99 (s, 3H), 3.84 (s, 3H), 2.22 (s, 3H).
단계 3. 사염화탄소 (100 mL) 중 메틸 5-메톡시-4-메틸피콜리네이트 (5.00 g, 27.6 mmol)의 용액에, AIBN (0.906 g, 5.52 mmol) 및 NBS (5.89 g, 33.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석유 에테르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메틸 4-(브로모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5.1 g, 14.51 mmol, 52.6% 수율)를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260.1.
1H NMR (400MHz, DMSO-d6) δ = 8.59 (s, 1H), 8.13 (s, 1H), 4.66 (s, 2H), 4.03 (s, 3H), 3.86 (s, 3H).
단계 4. DMF (20 mL) 중 메틸 (7-히드록시-3-아이오도-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600 g, 4.78 mmol)의 교반 용액에, Cs2CO3 (3.11 g, 9.55 mmol) 및 메틸 4-(브로모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242 g, 4.7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클로로포름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메틸 4-((7-히드록시-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100 g, 1.968 mmol, 41.2%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15.2 [M+H]+.
1H NMR (400MHz, DMSO-d6) δ = 11.71 (s, 1H), 11.40 (s, 1H) 8.51 (s, 1H), 7.43 (s, 1H), 5.73 (s, 2H), 4.04 (s, 3H), 3.80 (s, 3H), 3.73 (s, 3H).
단계 5. DMSO (10 mL) 중 메틸 4-((7-히드록시-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100 g, 2.139 mmol)의 교반 용액에, DBU (0.967 mL, 6.42 mmol), BOP (1.419 g, 3.21 mmol) 및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0.761 g, 2.139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클로로포름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메틸 (S)-4-((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10 g, 1.188 mmol, 55.5%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52.8 [M+H]+.
단계 6. 메탄올 (15 mL) 중 메틸 (S)-4-((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30 g, 1.526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소 상 10% 팔라듐 (0.812 g, 0.76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하에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메탄올 및 DCM (40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50℃ 하에 농축시켜 메틸 (S)-4-((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050 g, 1.418 mmol, 93% 수율)를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26.3 [M+H]+.
단계 7. 0℃에서 THF (10 mL):메탄올 (3 mL) 중 메틸 (S)-4-((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00 g, 1.378 mmol)의 교반 용액에 LiBH4 (10.33 mL, 20.6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콤비 플래쉬 (실리카 겔 60-120 메쉬; 용리액으로서 클로로포름 중 5% 메탄올)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고진공을 사용하여 50℃에서 농축시켜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2-(히드록시메틸)-5-메톡시피리딘-4-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170 g, 0.173 mmol, 12.55%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98.3 [M+H]+.
단계 8. THF (3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2-(히드록시메틸)-5-메톡시피리딘-4-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200 g, 0.287 mmol)의 교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 (0.105 mL, 1.433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2-(클로로메틸)-5-메톡시피리딘-4-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226 g, 0.271 mmol, 95%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18.2 [M+H]+.
단계 9. DMF (2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2-(클로로메틸)-5-메톡시피리딘-4-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112 g, 0.156 mmol)의 교반 용액에, 메틸아민 HCl (0.021 g, 0.313 mmol) 및 K2CO3 (0.065 g, 0.46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2 mL) 중에 용해시켰다. 물 (1 mL) 중 HCl (5.21 μl, 0.1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1,4-디옥산 (1 mL)에 녹이고, 여기에 물 (1 mL) 중 NaOH (0.044 g, 1.10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담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LC/MS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15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10-mM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10-mM NH4OAc 포함; 구배: 10% B에서 0-분 유지, 25분에 걸쳐 10-45% B, 이어서 100% B에서 5-분 유지; 유량: 15 mL/분; 칼럼 온도: 25℃)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78 (0.04 g, 2.4% 수율)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77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O - 화합물 174
Figure pct00141
단계 1. 아세토니트릴 (150.0 mL) 중 2-메틸피리딘-3-올 (10.0 g, 92 mmol)의 교반 용액에, 아세토니트릴 (350.0 mL) 중 NBS (33.4 g, 188 mmol)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상에 흡수시키고, 이스코 콤비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클로로포름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4,6-디브로모-2-메틸피리딘-3-올 (11.0 g, 39.6 mmol, 43.2%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68.0 [M+H]+.
1H NMR (300 MHz, DMSO-d6) δ = 9.98 (s, 1H), 7.70 (s, 1H), 2.41 (s, 3H).
단계 2. THF (150.0mL) 중 4,6-디브로모-2-메틸피리딘-3-올 (10.0 g, 37.5 mmol)의 교반 용액에 n-BuLi (31.5 mL, 79 mmol)를 -78℃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H2O (30.0 mL, 1665 mmol)를 첨가한 다음, 이어서 1.5 N HCl 용액 (30.0 mL)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브로모-2-메틸피리딘-3-올 (5.1 g, 25.5 mmol, 68.1% 수율)을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88.1 [M]+.
1H NMR (300 MHz, DMSO-d6) d = 10.10 (br s, 1H), 7.24 (d, J=8.7 Hz, 1H), 7.08 (d, J=8.3 Hz, 1H), 2.34 - 2.23 (m, 3H).
단계 3. 아세토니트릴 (40.0 mL) 중 6-브로모-2-메틸피리딘-3-올 (4.0 g, 21.27 mmol)의 교반 용액에, Cs2CO3 (20.79 g, 63.8 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MeI (1.995 mL, 3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석유 에테르로 헹구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6-브로모-3-메톡시-2-메틸피리딘 (4.0 g, 18.81 mmol, 88% 수율)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02.0 [M+H]+.
1H NMR (300 MHz, 클로로포름-d) δ = 7.23 - 7.14 (m, 1H), 6.90 (d, J=8.7 Hz, 1H), 3.75 (s, 3H), 2.37 (s, 3H).
단계 4. DMF (40.0 mL): MeOH (40.0 mL) 중 6-브로모-3-메톡시-2-메틸피리딘 (4.0 g, 19.80 mmol)의 교반 용액에, TEA (8.28 mL, 59.4 mmol), PdCl2(dppf)-CH2Cl2 (3.23 g, 3.96 mmol)를 질소 퍼징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CO 기체 (10 bar 압력) 하에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DCM으로 희석한 다음,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고, 과량의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이스코 콤비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메틸 5-메톡시-6-메틸피콜리네이트 (2.62 g, 14.32 mmol, 72.3%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82.0 [M+H]+.
1H NMR (300 MHz, DMSO-d6) δ = 7.98 - 7.91 (m, 1H), 7.49 - 7.40 (m, 1H), 3.92 - 3.87 (m, 3H), 3.86 - 3.80 (m, 3H), 2.42 - 2.36 (m, 3H).
단계 5. 클로로포름 (25.0 mL) 중 메틸 5-메톡시-6-메틸피콜리네이트 (2.5 g, 13.80 mmol)의 교반 용액에, NBS (2.95 g, 16.56 mmol) 및 AIBN (0.453 g, 2.7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고, 과량의 DCM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이스코 콤비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담갈색 고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물 중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6-(브로모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6 g, 5.84 mmol, 42.4%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62.0 [M+H]+.
1H NMR (300 MHz, DMSO-d6) δ = 11.17 - 10.94 (m, 1H), 8.08 (d, J=8.7 Hz, 1H), 7.66 - 7.57 (m, 1H), 4.73 - 4.58 (m, 2H), 3.99 - 3.97 (m, 3H), 3.87 - 3.84 (m, 3H), 2.57 - 2.56 (m, 1H), 2.57 (s, 5H).
단계 6. DMF (20.0 mL) 중 메틸 (7-히드록시-3-아이오도-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2.0 g, 5.97 mmol)의 교반 용액에, Cs2CO3 (3.89 g, 11.94 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메틸 6-(브로모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552 g, 5.97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이스코 콤비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클로로포름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메틸 6-((7-히드록시-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1.08 g, 1.764 mmol, 29.6%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15.0 [M+H]+.
단계 7. DMSO (3.0 mL) 중 메틸 6-((7-히드록시-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0.32 g, 0.622 mmol)의 교반 용액에, DBU (0.281 mL, 1.867 mmol), BOP (0.413 g, 0.933 mmol) 및 (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아민 (0.266 g, 0.74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이스코 콤비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메틸 (S)-6-((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0.189 g, 0.220 mmol, 35.3%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52.2 [M+H]+.
단계 8. MeOH (5.0 mL) 중 메틸 (S)-6-((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3-아이오도-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0.16 g, 0.188 mmol)의 교반 용액에, Pd-C (0.100 g, 0.0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기체 (주머니)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고, 과량의 메탄올 : DCM (1:1)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및 석유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S)-6-((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0.118 g, 0.135 mmol, 71.8% 수율)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26.3 [M+H]+.
단계 9. THF (3.5 mL): MeOH (1.5 mL) 중 메틸 (S)-6-((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5-메톡시피콜리네이트 (0.1 g, 0.138 mmol)의 교반 용액에, LiBH4 (THF 중 2M) (0.344 mL, 0.68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LiBH4 (THF 중 2M) (0.689 mL, 1.37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수성 NH4Cl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6-(히드록시메틸)-3-메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11 g, 0.128 mmol, 93% 수율)를 회백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98.3 [M+H]+
단계 10. MeOH (1.5 mL) 중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6-(히드록시메틸)-3-메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1 g,0.143 mmol)의 교반 용액에, 수성 HCl (0.1 mL, 1.152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완전히 농축시키고, DCM과 공증류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및 석유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S)-(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6-(히드록시메틸)-3-메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HCl (85 mg, 0.141 mmol, 98% 수율)을 담녹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60.2 [M+H]+.
단계 11. 디옥산 (1.0 mL): 물 (1.0 mL) 중 메틸 (S)-(7-((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6-(히드록시메틸)-3-메톡시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HCl (80 mg, 0.161 mmol)의 교반 용액에, NaOH (32.3 mg, 0.80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역상 정제용 HPLC (칼럼: 워터스 엑스브리지 C18, 15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10-mM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10-mM NH4OAc 포함; 구배: 7% B에서 0-분 유지, 20분에 걸쳐 7-25% B, 이어서 100% B에서 5-분 유지; 유량: 15 mL/분; 칼럼 온도: 25℃)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74 (26.4 mg, 0.064 mmol, 40.0% 수율)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P - 화합물 179
Figure pct00142
단계 1. THF/헥산 중 리튬 디이소부틸-tert-부톡시알루미늄 히드라이드 용액, 0.25 M (50 mL, 12.50 mmol)을 THF (25.8 mL) 중 메틸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조에이트 (1.87 g, 2.58 mmol)의 용액에 0℃에서 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3시간, 98% 전환율). 용액을 냉수로 희석하고, AcOEt로 3회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물질을 실리카 겔 (헥산-EtOAc 0-100%)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1.56 g, 2.238 mmol, 87% 수율)를 수득하였다.
LC-MS m/z 697.5[M+H]+.
단계 2.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 옥시) 헥산-3-일) 아미노)-1-(5-(히드록시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 3-d] 피리미딘-5-일) 카르바메이트 (0.51 g, 0.732 mmol)를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무수 CH2Cl2 (5 mL) 중에 용해시켜 25℃에서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을 0℃로 냉각시킨 후, Et3N (0.306 ml, 2.195 mmol) 및 Ms-Cl (0.114 ml, 1.464 mmol)을 첨가하였다. 15분 후에 반응이 완결되었고, 이를 빙수 및 DCM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액을 농축시켜 메틸 (S)-(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2-메톡시-5-(메톡시메틸)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 (0.35 g, 67.3% 수율)를 수득하였다. 물질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3. (3S,4S)-4-아미노테트라히드로-2H-피란-3-올 히드로클로라이드 (70 mg, 0.456 mmol) 및 DIPEA (0.073 mL, 0.418 mmol)를 DMF (1 mL) 중 (S)-3-((7-((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5-((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라졸로[4,3-d]피리미딘-1-일)메틸)-4-메톡시벤질 메탄술포네이트 (108 mg, 0.139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제1 중간체 메틸 (7-(((S)-1-((tert-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산-3-일)아미노)-1-(5-(((3S,4S)-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1,4-디옥산 중 HCl (3 mL, 12.00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LC/MS는 제2 중간체 메틸 (7-(((S)-1-히드록시헥산-3-일)아미노)-1-(5-(((3S,4S)-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메틸)-2-메톡시벤질)-1H-피라졸로[4,3-d]피리미딘-5-일)카르바메이트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MeOH 중 5M NaOH로 희석한 다음,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로 목적 물질을 확인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LC/MS를 통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3% B에서 0-분 유지, 30분에 걸쳐 3-43%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물질을 추가로 정제용 LC/MS에 의해 하기 조건으로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0.05%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0.05% TFA 포함; 구배: 0% B에서 0-분 유지, 25분에 걸쳐 0-40%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켰다.
물질을 추가로 정제용 LC/MS에 의해 하기 조건으로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C18, 200 mm x 19 mm, 5-μm 입자;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 물, NH4OAc 포함; 구배: 1% B에서 0-분 유지, 25분에 걸쳐 1-41% B, 이어서 100% B에서 0-분 유지; 유량: 20 mL/분; 칼럼 온도: 25℃. 분획 수집은 MS 신호에 의해 개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원심 증발을 통해 건조시켜 화합물 179 (15.9 mg, 0.031 mmol, 22.38% 수율)를 수득하였다.
하기 화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합물 180, 화합물 181, 화합물 182, 화합물 183, 및 화합물 184.
실시예 Q - 출발 물질 및 중간체
하기 차트는 본원에 개시된 TLR7 효능제의 제조를 위한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로서 유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반응식은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사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화될 수 있다. 사용된 시약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많은 경우에 그의 사용은 상기 실시예에서 입증되었다.
차트 1
Figure pct00143
차트 2
Figure pct00144
차트 3
Figure pct00145
생물학적 활성
TLR7 효능제로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하기 절차에 의해 검정될 수 있다.
인간 TLR7 효능제 활성 검정
이 절차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의 인간 TLR7 (hTLR7) 효능제 활성을 검정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인간 TLR7-분비 배아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SEAP) 리포터 트랜스진을 보유하는 조작된 인간 배아 신장 블루 세포 (HEK-블루™ TLR 세포; 인비보젠(Invivogen))를 비-선택적인 배양 배지 (10% 소 태아 혈청 (시그마(Sigma))이 보충된 DMEM 고-글루코스 (인비트로겐(Invitrogen))) 중에 현탁시켰다. HEK-블루™ TLR7 세포를 384-웰 조직-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고 (웰 당 15,000개 세포), 16-18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 (100 nl)을 HEK-블루™ TLR 세포를 함유하는 웰에 분배하고,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8시간 처리 후, 10 마이크로리터의 새로 제조된 퀀티-블루™ 시약 (인비보젠)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37℃, 5% CO2), SEAP 수준을 엔비전 플레이트 판독기 (OD = 620 n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수 최대 유효 농도 값 (EC50; 검정 기준선과 최대값 사이의 반응 중간값을 유도하는 화합물 농도)을 계산하였다.
인간 혈액에서의 제I형 인터페론 유전자 (MX-1) 및 CD69의 유도
제I형 인터페론 (IFN) MX-1 유전자 및 B-세포 활성화 마커 CD69의 유도는 TLR7 경로의 활성화시 발생하는 하류 이벤트이다. 하기는 TLR7 효능제에 반응하는 그의 유도를 측정하는 인간 전혈 검정이다.
헤파린첨가 인간 전혈을 인간 대상체로부터 수거하고, 1mM의 시험 TLR7 효능제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혈액을 RPMI 1640 배지로 희석하고, 에코(Echo)를 사용하여 웰당 10 nL을 적가하여 최종 농도 1uM (혈액 10uL 중 10nL)를 수득하였다. 30초 동안 진탕기에서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덮고, 챔버에 37℃에서 o/n=17시간 동안 두었다. 고정/용해 완충제를 제조하고 (H2O 중 5x->1x, 37℃에서 가온; Cat# BD 558049),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투과화 완충제 (얼음 상)를 유지하였다.
표면 마커 염색 (CD69)의 경우: 표면 Abs: 0.045ul hCD14-FITC (써모피셔(ThermoFisher) Cat # MHCD1401) + 0.6ul hCD19-ef450 (써모피셔 Cat # 48-0198-42) + 1.5ul hCD69-PE (cat# BD555531) + 0.855ul FACS 완충제를 제조했다. 3ul/웰을 첨가하고, 1분 동안 1000 rpm 회전시키고,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하고, 얼음 상에 30분 동안 두었다. 30분 후에 70uL의 미리가온된 1x 고정/용해 완충제를 사용하여 자극을 중지시키고, 펠릭스 메이트를 사용하여 재현탁시키고 (15회, 각 플레이트에 대해 팁을 바꿈), 37℃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HCS 플레이트 세척기로 흡인하고,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한 다음, 이어서 dPBS 70uL로 세척하고, 2xs (2000rpm, 5분 동안) 펠릿화하고, FACS 완충제 50ul로 세척하고, 1xs (2000rpm, 5분 동안) 펠릿화하였다.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세포내 마커 염색 (MX-1)의 경우: 50ul의 BD 투과화 완충제 III을 첨가하고,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얼음 상에서 30분 동안 (암소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50uL의 FACS 완충제 2X (투과화 후에 회전 @2300rpm x 5분)로 세척한 다음,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MX1 항체()(4812)-알렉사 647: 노부스 바이올로지칼스(Novus Biologicals) #NBP2-43704AF647) 20ul FACS bf + 0.8ul hIgG + 0.04ul MX-1을 함유하는 20ul의 FACS 완충제에 재현탁시켰다. 1000rpm로 1분 동안 회전시키고, 진탕기에서 30초 동안 혼합하고, 샘플을 암소에서 실온에서 45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이어서 2x FACS 완충제로 세척하였다 (투과 후에 회전 @2300rpm x 5분). 20ul (35uL, 웰 당 총계)의 FACS 완충제를 재현탁시키고, 호일로 덮고, 4℃에서 두어 다음날 판독하였다. 플레이트를 i큐플러스(iQuePlus)에서 판독하였다. 결과를 툴세트에 기록하고, 커브 마스터에서 IC50 곡선을 생성한다. y-축 100%를 1uM의 레시퀴모드로 설정한다.
마우스 혈액에서의 TNF-알파 및 제I형 IFN 반응 유전자의 유도
TNF-알파 및 제I형 IFN 반응 유전자의 유도는 TLR7 경로의 활성화시 발생하는 하류 이벤트이다. 하기는 TLR7 효능제에 반응하는 마우스 전혈에서의 그의 유도를 측정하는 검정이다.
헤파린첨가 마우스 전혈을 Pen-Strep을 함유한 RPMI 1640에 의해 5:4 (50 uL 전혈 및 배지 40 uL)의 비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혈액 90 uL의 부피를 팔콘(Falcon) 편평 바닥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웰로 옮기고, 플레이트를 4℃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0% DMSO 스톡 중 시험 화합물을 농도 반응 검정 동안 동일한 배지에서 20배 희석한 다음, 이어서 희석된 시험 화합물 10 uL을 웰에 첨가하여 최종 DMSO 농도가 0.5%가 되었다. 대조군 웰은 5% DMSO를 함유하는 10 uL 배지를 수용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17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배양 배지 100 uL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원심분리하고, 상청액 130 uL을 ELISA (인비트로젠, 카탈로그 번호 88-7324, 써모-피셔 사이언티픽(Thermo-Fisher Scientific)에 의함)에 의한 TNFa 생산의 검정에 사용하기 위해 제거하였다. 인비트로젠 mRNA 캐처 플러스 키트 (Cat#K1570-02)로부터의 DTT를 함유한 mRNA 캐처 용해 완충제 (1x) 70 uL 부피를 웰 내의 나머지 70 uL 샘플에 첨가하고, 5회 상하로 피펫팅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 - 10분 동안 진탕한 다음, 이어서 프로테이나제 K 2 uL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20 mg/mL). 이어서,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5 - 20분 동안 진탕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추가로 가공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동결된 샘플을 해동시키고, mRNA를 인비트로젠 mRNA 캐처 플러스 키트 (Cat# K1570-02)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서에 따라 추출하였다. RNA 추출로부터의 절반 수율의 mRNA를 사용하여 인비트로젠 슈퍼스크립트 IV VILO 마스터 믹스 (Cat# 11756500)를 사용하여 20 μL 리버스 트랜스크립타제 반응물 중에 cDNA를 합성하였다. 택맨(TaqMan)® 실시간 PCR을 써모피셔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로부터의 퀀트스튜디오 실시간 PCR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실시간 PCR 반응을 마우스 IFIT1, IFIT3, MX1 및 PPIA 유전자 발현에 대해 상업적으로 예비설계된 택맨 검정 및 택맨 마스터 믹스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실행하였다. PPIA를 하우스키핑 유전자로서 사용하였다. 제조업체의 권장사항을 따랐다. 모든 미가공 데이터 (Ct)를 평균 하우스키핑 유전자 (Ct)에 의거해 정규화하고, 이어서 비교 Ct (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적 분석에 대한 상대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 (RQ)하였다.
정의
"지방족"은 명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거나 (예를 들어, "C3 지방족", "C1-5 지방족", "C1-C5 지방족" 또는 "C1 내지 C5 지방족"에서와 같으며, 후자 3개의 어구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모이어티에 대한 동의어임) 또는 탄소 원자의 수가 명확하게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불포화 지방족 모이어티의 경우에는 2 내지 4개의 탄소)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비-방향족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유사한 이해가 C2-4 알켄, C4-C7 시클로지방족 등에서와 같은 다른 유형에서의 탄소의 수에 적용된다. 유사한 맥락에서, "(CH2)1-3"과 같은 용어는 이러한 용어가 CH2, CH2CH2, 및 CH2CH2CH2를 나타내도록, 아래첨자가 1, 2, 또는 3인 것에 대한 약칭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알킬"은 포화 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의 수의 지정에 대한 동일한 규정이 적용가능하다. 예시로서, C1-C4 알킬 모이어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부틸, 1-부틸, 2-부틸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칸디일" (때때로 "알킬렌"으로도 지칭됨)은 알킬 기의 2가 대응물, 예컨대
Figure pct00146
를 의미한다.
"알케닐"은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의 수의 지정에 대한 동일한 규정이 적용가능하다. 예시로서, C2-C4 알케닐 모이어티는 에테닐 (비닐), 2-프로페닐 (알릴 또는 프로프-2-에닐), 시스-1-프로페닐, 트랜스-1-프로페닐, E- (또는 Z-) 2-부테닐, 3-부테닐, 1,3-부타디에닐 (부트-1,3-디에닐)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키닐"은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여기서 탄소 원자의 수의 지정에 대한 동일한 규정이 적용가능하다. 예시로서, C2-C4 알키닐 기는 에티닐 (아세틸레닐), 프로파르길 (프로프-2-이닐), 1-프로피닐, 부트-2-이닐 등을 포함한다.
"시클로지방족"은 1 내지 3개의 고리를 가지며, 각각의 고리가 3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비-방향족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은 각각의 고리가 포화된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케닐"은 적어도 1개의 고리가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키닐"은 적어도 1개의 고리가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예시로서,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및 아다만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 특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다. "시클로알칸디일" (때때로 "시클로알킬렌"으로도 지칭됨)은 시클로알킬 기의 2가 대응물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비시클로알칸디일" (또는 "비시클로알킬렌") 및 "스피로시클로알칸디일" (또는 "스피로알킬렌")은 비시클로알킬 및 스피로알킬 (또는 "스피로시클로알킬") 기의 2가 대응물을 지칭한다. 예시로서,
Figure pct00147
모이어티의 예는
Figure pct00148
이고,
Figure pct00149
모이어티의 예는
Figure pct00150
이다.
"헤테로시클로지방족"은 그의 적어도 1개의 고리 내에서, 3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탄소가 N, O, 또는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로 대체된 것인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여기서 N 및 S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N은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는 5- 내지 6-원 크기인 1개의 고리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시클로알키닐"은 그의 적어도 1개의 고리가 이렇게 하여 변형된, 각각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또는 시클로알키닐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예시적인 헤테로시클로지방족 모이어티는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1,3-디옥사닐,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푸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술폰,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술폭시드, 티오모르폴리닐 술폰, 1,3-디옥솔라닐, 테트라히드로-1,1-디옥소티에닐, 1,4-디옥사닐, 티에타닐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로알킬렌"은 헤테로시클로알킬 기의 2가 대응물을 의미한다.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티오", 및 "아릴티오"는 각각 -O(알킬), -O(아릴), -S(알킬), 및 -S(아릴)을 의미한다. 예는 각각 메톡시, 페녹시, 메틸티오 및 페닐티오이다.
보다 좁은 의미가 지정되지 않는 한, "할로겐" 또는 "할로"는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을 의미한다.
"아릴"은 각각의 고리가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적어도 1개의 고리가 방향족인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계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를 갖는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고리계 내의 고리는 서로 융합될 수 있거나 (나프틸에서와 같음) 또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비페닐에서와 같음), 비-방향족 고리에 융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인다닐 또는 시클로헥실페닐에서와 같음). 추가 예시로서, 아릴 모이어티는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다닐, 비페닐, 페난트릴, 안트라세닐 및 아세나프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릴렌"은 아릴 기의 2가 대응물, 예를 들어 1,2-페닐렌, 1,3-페닐렌, 또는 1,4-페닐렌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각각의 고리가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적어도 1개의 고리가 N, O, 또는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고리인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 고리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를 갖는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여기서 N 및 S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N은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 함유 방향족 고리는 다른 유형의 고리에 융합될 수 있거나 (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에서와 같음) 또는 다른 유형의 고리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페닐피리딜 또는 2-시클로펜틸피리딜에서와 같음). 추가 예시로서,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N-옥소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퀴노잘리닐, 나프티리디닐, 벤조푸라닐, 인돌릴, 벤조티오페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페노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디벤조푸라닐, 카르바졸릴, 디벤조티오페닐, 아크리디닐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렌"은 헤테로아릴 기의 2가 대응물을 의미한다.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C1-C5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에서와 같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또는 "임의로 치환된" 어구의 사용에 의해서와 같이 모이어티가 치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낸 경우에, 이러한 모이어티는 1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수에 있어서 1 내지 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에 있어서 1 또는 2개를 가질 수 있다. 치환기 및 치환 패턴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치환기가 부착되는 모이어티를 고려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뿐만 아니라 본원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모이어티가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또는 "임의로 치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모이어티는 비치환된다.
"아릴알킬", "(헤테로시클로지방족)알킬", "아릴알케닐", "아릴알키닐", "비아릴알킬" 등은, 예를 들어 벤질, 페네틸, N-이미다조일에틸, N-모르폴리노에틸 등에서와 같이, 경우에 따라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모이어티에서 개방 (비충족) 원자가를 갖는, 경우에 따라 아릴, 헤테로시클로지방족, 비아릴 등의 모이어티로 치환된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반대로, "알킬아릴", "알케닐시클로알킬" 등은,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메틸페닐 (톨릴) 또는 알릴시클로헥실에서와 같이, 경우에 따라 알킬, 알케닐 등의 모이어티로 치환된 아릴, 시클로알킬 등의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히드록시알킬", "할로알킬", "알킬아릴", "시아노아릴" 등은, 경우에 따라 확인된 치환기 (경우에 따라 히드록실, 할로 등) 중 1개 이상으로 치환된 알킬, 아릴 등의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허용되는 치환기는 알킬 (특히 메틸 또는 에틸), 알케닐 (특히 알릴),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로지방족, 할로 (특히 플루오로), 할로알킬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실, 히드록시알킬 (특히 히드록시에틸), 시아노, 니트로, 알콕시, -O(히드록시알킬), -O(할로알킬) (특히 -OCF3), -O(시클로알킬), -O(헤테로시클로알킬), -O(아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O, =NH, =N(알킬), =NOH, =NO(알킬), -C(=O)(알킬), -C(=O)H, -CO2H, -C(=O)NHOH, -C(=O)O(알킬), -C(=O)O(히드록시알킬), -C(=O)NH2, -C(=O)NH(알킬), -C(=O)N(알킬)2, -OC(=O)(알킬), -OC(=O)(히드록시알킬), -OC(=O)O(알킬), -OC(=O)O(히드록시알킬), -OC(=O)NH2, -OC(=O)NH(알킬), -OC(=O)N(알킬)2, 아지도, -NH2, -NH(알킬), -N(알킬)2, -NH(아릴), -NH(히드록시알킬), -NHC(=O)(알킬), -NHC(=O)H, -NHC(=O)NH2, -NHC(=O)NH(알킬), -NHC(=O)N(알킬)2, -NHC(=NH)NH2, -OSO2(알킬), -SH, -S(알킬), -S(아릴), -S(시클로알킬), -S(=O)알킬, -SO2(알킬), -SO2NH2, -SO2NH(알킬), -SO2N(알킬)2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치환될 모이어티가 지방족 모이어티인 경우에, 바람직한 치환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로지방족, 할로, 히드록실, 시아노, 니트로, 알콕시, -O(히드록시알킬), -O(할로알킬), -O(시클로알킬), -O(헤테로시클로알킬), -O(아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O, =NH, =N(알킬), =NOH, =NO(알킬), -CO2H, -C(=O)NHOH, -C(=O)O(알킬), -C(=O)O(히드록시알킬), -C(=O)NH2, -C(=O)NH(알킬), -C(=O)N(알킬)2, -OC(=O)(알킬), -OC(=O)(히드록시알킬), -OC(=O)O(알킬), -OC(=O)O(히드록시알킬), -OC(=O)NH2, -OC(=O)NH(알킬), -OC(=O)N(알킬)2, 아지도, -NH2, -NH(알킬), -N(알킬)2, -NH(아릴), -NH(히드록시알킬), -NHC(=O)(알킬), -NHC(=O)H, -NHC(=O)NH2, -NHC(=O)NH(알킬), -NHC(=O)N(알킬)2, -NHC(=NH)NH2, -OSO2(알킬), -SH, -S(알킬), -S(아릴), -S(=O)알킬, -S(시클로알킬), -SO2(알킬), -SO2NH2, -SO2NH(알킬), 및 -SO2N(알킬)2이다. 보다 바람직한 치환기는 할로, 히드록실, 시아노, 니트로, 알콕시, -O(아릴), =O, =NOH, =NO(알킬), -OC(=O)(알킬), -OC(=O)O(알킬), -OC(=O)NH2, -OC(=O)NH(알킬), -OC(=O)N(알킬)2, 아지도, -NH2, -NH(알킬), -N(알킬)2, -NH(아릴), -NHC(=O)(알킬), -NHC(=O)H, -NHC(=O)NH2, -NHC(=O)NH(알킬), -NHC(=O)N(알킬)2, 및 -NHC(=NH)NH2이다. 페닐, 시아노, 할로, 히드록실, 니트로, C1-C4 알콕시, O(C2-C4 알칸디일)OH, 및 O(C2-C4 알칸디일)할로가 특히 바람직하다.
치환될 모이어티가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로지방족,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인 경우에, 바람직한 치환기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할로알킬, 히드록실, 히드록시알킬, 시아노, 니트로, 알콕시, -O(히드록시알킬), -O(할로알킬), -O(아릴), -O(시클로알킬), -O(헤테로시클로알킬), 알킬티오, 아릴티오, -C(=O)(알킬), -C(=O)H, -CO2H, -C(=O)NHOH, -C(=O)O(알킬), -C(=O)O(히드록시알킬), -C(=O)NH2, -C(=O)NH(알킬), -C(=O)N(알킬)2, -OC(=O)(알킬), -OC(=O)(히드록시알킬), -OC(=O)O(알킬), -OC(=O)O(히드록시알킬), -OC(=O)NH2, -OC(=O)NH(알킬), -OC(=O)N(알킬)2, 아지도, -NH2, -NH(알킬), -N(알킬)2, -NH(아릴), -NH(히드록시알킬), -NHC(=O)(알킬), -NHC(=O)H, -NHC(=O)NH2, -NHC(=O)NH(알킬), -NHC(=O)N(알킬)2, -NHC(=NH)NH2, -OSO2(알킬), -SH, -S(알킬), -S(아릴), -S(시클로알킬), -S(=O)알킬, -SO2(알킬), -SO2NH2, -SO2NH(알킬), 및 -SO2N(알킬)2이다. 보다 바람직한 치환기는 알킬, 알케닐, 할로, 할로알킬, 히드록실, 히드록시알킬, 시아노, 니트로, 알콕시, -O(히드록시알킬), -C(=O)(알킬), -C(=O)H, -CO2H, -C(=O)NHOH, -C(=O)O(알킬), -C(=O)O(히드록시알킬), -C(=O)NH2, -C(=O)NH(알킬), -C(=O)N(알킬)2, -OC(=O)(알킬), -OC(=O)(히드록시알킬), -OC(=O)O(알킬), -OC(=O)O(히드록시알킬), -OC(=O)NH2, -OC(=O)NH(알킬), -OC(=O)N(알킬)2, -NH2, -NH(알킬), -N(알킬)2, -NH(아릴), -NHC(=O)(알킬), -NHC(=O)H, -NHC(=O)NH2, -NHC(=O)NH(알킬), -NHC(=O)N(알킬)2, 및 -NHC(=NH)NH2이다. C1-C4 알킬, 시아노, 니트로, 할로, 및 C1-C4알콕시가 특히 바람직하다.
"C1-C5 알킬" 또는 "5 내지 10%"에서와 같이 범위가 언급된 경우에, 이러한 범위는 첫 번째 경우에서는 C1 및 C5 및 두 번째 경우에서는 5% 및 10%에서와 같은 범위의 종점을 포함한다.
특정한 입체이성질체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구조 화학식에서의 관련 입체중심에서 굵은선 또는 파선 결합에 의해, 구조 화학식에서 E 또는 Z 배위를 갖는 것으로서의 이중 결합의 도시에 의해, 또는 입체화학-지정 명명법 또는 기호의 사용에 의해) 나타나 있지 않은 한, 모든 입체이성질체는 순수한 화합물뿐만 아니라 그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라세미체, 개별 거울상이성질체 (광학적으로 순수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분해됨), 부분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및 그의 조합 및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화합물이 본원에 사용된 구조 화학식에 도시된 것들과 등가인 호변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케토 및 엔올 형태), 공명 형태 및 쯔비터이온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 및 구조 화학식이 이러한 호변이성질체, 공명 또는 쯔비터이온 형태를 포괄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는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인간 신체에서) 가수분해되어 모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생산하거나, 또는 그 자체로 모 화합물의 것과 유사한 활성을 갖는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적합한 에스테르는 C1-C5 알킬, C2-C5 알케닐 또는 C2-C5 알키닐 에스테르, 특히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제약 제제에 적합한 화합물의 염을 의미한다. 화합물이 1개 이상의 염기성 기를 갖는 경우에, 염은 산 부가염, 예컨대 술페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타르트레이트, 메실레이트, 말레에이트,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파모에이트 (엠보네이트), 히드로아이오다이드, 니트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락테이트, 메틸술페이트, 푸마레이트, 벤조에이트, 숙시네이트, 메실레이트, 락토비오네이트, 수베레이트, 토실레이트 등일 수 있다. 화합물이 1개 이상의 산성 기를 갖는 경우에, 염은 칼슘 염, 칼륨 염, 마그네슘 염, 메글루민 염, 암모늄 염, 아연 염, 피페라진 염, 트로메타민 염, 리튬 염, 콜린 염, 디에틸아민 염, 4-페닐시클로헥실아민 염, 벤자틴 염, 나트륨 염, 테트라메틸암모늄 염 등과 같은 염일 수 있다. 다형성 결정질 형태 및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또한 포괄된다.
용어 "대상체"는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돼지,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동물을 지칭한다.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예를 들어 포유동물 대상체, 예컨대 인간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참조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것과 관련하여,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장애, 질환 또는 상태, 또는 장애, 질환 또는 상태와 연관된 증상 중 1종 이상의 완화 또는 제거; 또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그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진행, 확산 또는 악화의 저속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암의 치료"는 하기 효과: (1) 종양 성장의 (i) 저속화 및 (ii) 완전 성장 정지를 포함하는 어느 정도까지의 억제; (2) 종양 세포 수의 감소; (3) 종양 크기의 유지; (4) 종양 크기의 감소; (5) 말초 기관으로의 종양 세포 침윤의 (i) 감소, (ii) 저속화 또는 (iii) 완전 예방을 포함하는 억제; (6) 전이의 (i) 감소, (ii) 저속화 또는 (iii) 완전 예방을 포함하는 억제; (7) (i) 종양 크기의 유지, (ii) 종양 크기의 감소, (iii) 종양 성장의 저속화, (iv) 침습의 감소, 저속화 또는 예방을 유발할 수 있는 항종양 면역 반응의 증진, 및/또는 (8) 장애와 연관된 1종 이상의 증상의 중증도 또는 수의 어느 정도까지의 경감 중 1종 이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결합을 가로지르는 파상선 (
Figure pct00151
) 또는 결합의 말단에서의 별표 (*)는 공유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학식
Figure pct00152
에서 R이
Figure pct00153
이거나 또는 R이
Figure pct00154
이다라는 언급은
Figure pct00155
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방향족 고리를 그의 2개의 탄소 사이를 가로지르는 결합은 결합에 부착된 기가 암시적으로 그곳에 존재하는 (또는 그려진 경우, 그곳에 명백하게 존재하는) 수소의 제거에 의해 이용가능하게 되는 방향족 고리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시로서, 화학식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를 나타낸다.
다른 설명에서,
Figure pct00158
Figure pct00159
를 나타내고,
Figure pct00160
Figure pct00161
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원자의 모든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동위원소는 동일한 원자 번호를 갖지만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 원자를 포함한다. 일반적 예로서 및 비제한적으로, 수소의 동위원소는 중수소 및 삼중수소를 포함한다. 탄소의 동위원소는 13C 및 14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에 의해 또는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달리 사용되는 비-표지된 시약 대신에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C1-C3 알킬 기는 중수소화되지 않을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중수소화되거나, 또는 완전히 중수소화되고, "CH3"은 CH3, 13CH3, 14CH3, CH2T, CH2D, CHD2, CD3 등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의 다양한 성분은 그의 천연 동위원소 존재비로 존재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구조가 1종의 호변이성질체 형태 또는 또 다른 것 - 예를 들어, 케토 대 엔올 -로 그려질 수 있고, 2종의 형태는 동등한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두문자어들 및 약어들
이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두문자어 및 약어의 목록을 그의 의미와 함께 제공한다.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참고문헌
본 명세서에 앞에서 제1 저자 (또는 발명자) 및 연도에 따른 약기 방식으로 인용된 하기 참고문헌에 대한 전체 인용이 하기에 제공된다. 각각의 이들 참고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Akinbobuyi et al., Tetrahedron Lett. 2015, 56, 458, “Facile syntheses of functionalized toll-like receptor 7 agonists”.
Akinbobuyi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16, 26, 4246, “Synthesis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substituted TLR7 agonists.”
Barberis et al., US 2012/0003298 A1 (2012).
Beesu et al., J. Med. Chem. 2017, 60, 2084, “Identification of High-Potency Human TLR8 and Dual TLR7/TLR8 Agonists in Pyrimidine-2,4-diamines.”
Berghoefer et al., J. Immunol. 2007, 178, 4072, “Natural and Synthetic TLR7 Ligands Inhibit CpG-A- and CpG-C-Oligodeoxynucleotide-Induced IFN-α Production.”
Bonfanti et al., US 2014/0323441 A1 (2015) [2015a].
Bonfanti et al., US 2015/0299221 A1 (2015) [2015b].
Bonfanti et al., US 2016/0304531 A1 (2016).
Carson et al., US 2013/0202629 A1 (2013).
Carson et al., US 8,729,088 B2 (2014).
Carson et al., US 9,050,376 B2 (2015).
Carson et al., US 2016/0199499 A1 (2016).
Chan et al., Bioconjugate Chem. 2009, 20, 1194, “Synthesis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oll-Like Receptor 7 Agonistic Conjugates.”
Chan et al., Bioconjugate Chem. 2011, 22, 445,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EGylated Toll Like Receptor 7 Ligands.”
Chen et al., US 7,919,498 B2 (2011).
Coe et al., US 9,662,336 B2 (2017).
Cortez and Va, Medicinal Chem. Rev. 2018, 53, 481, “Recent Advances in Small-Molecule TLR7 Agonists for Drug Discovery”.
Cortez et al., US 2017/0121421 A1 (2017).
Cortez et al., US 9,944,649 B2 (2018).
Dellaria et al., WO 2007/028129 A1 (2007).
Desai et al., US 9,127,006 B2 (2015).
Ding et al., WO 2016/107536 A1 (2016).
Ding et al., US 2017/0273983 A1 (2017) [2017a].
Ding et al., WO 2017/076346 A1 (2017) [2017b].
Gadd et al., Bioconjugate Chem. 2015, 26, 1743, “Targeted Activation of Toll-Like Receptors: Conjugation of a Toll-Like Receptor 7 Agonist to a Monoclonal Antibody Maintains Antigen Binding and Specificity.”
Graupe et al., US 8,993,755 B2 (2015).
Embrechts et al., J. Med. Chem. 2018, 61, 6236, “2,4-Diaminoquinazolines as Dual Toll Like Receptor (TLR) 7/8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Virus.”
Halcomb et al., US 9,161,934 B2 (2015).
Hashimoto et al., US 2009/0118263 A1 (2009).
He et al., US 10,487,084 B2 (2019) [2019a].
He et al., US 10,508,115 B2 (2019) [2019b].
Hirota et al., US 6,028,076 (2000).
Holldack et al., US 2012/0083473 A1 (2012).
Isobe et al., US 6,376,501 B1 (2002).
Isobe et al., JP 2004137157 (2004).
Isobe et al., J. Med. Chem. 2006, 49 (6), 2088,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9-Substituted-8-Hydroxyadenine Derivatives as Potent Interferon Inducers.”
Isobe et al., US 7,521,454 B2 (2009) [2009a].
Isobe et al., US 2009/0105212 A1 (2009) [2009b].
Isobe et al., US 2011/0028715 A1 (2011).
Isobe et al., US 8,148,371 B2 (2012).
Jensen et al., WO 2015/036044 A1 (2015).
Jones et al., US 7,691,877 B2 (2010).
Jones et al., US 2012/0302598 A1 (2012).
Kasibhatla et al., US 7,241,890 B2 (2007).
Koga-Yamakawa et al., Int. J. Cancer 2013, 132 (3), 580, “Intratracheal and oral administration of SM-276001: A selective TLR7 agonist, leads to antitumor efficacy in primary and metastatic models of cancer.”
Li et al., US 9,902,730 B2 (2018).
Lioux et al., US 9,295,732 B2 (2016).
Lund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 (15), 5598, “Recognition of single-stranded RNA viruses by Toll-like receptor 7.”
Maj et al., US 9,173,935 B2 (2015).
McGowan et al., US 2016/0168150 A1 (2016) [2016a].
McGowan et al., US 9,499,549 B2 (2016) [2016b].
McGowan et al., J. Med. Chem. 2017, 60, 6137, “Ident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Pyrrolo[3,2-d]pyrimidine Toll-like Receptor 7 (TLR7) Selective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Musmuca et al., J. Chem. Information & Modeling 2009, 49 (7), 1777, “Small-Molecule Interferon Inducers. Toward the Comprehension of the Molecular Determinants through Ligand-Based Approaches.”
Nakamura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13, 13, 669, “Synthesis and evaluation of 8-oxoadenine derivatives as potent Toll-like receptor agonists with high water solubility.”
Ogita et al., US 2007/0225303 A1 (2007).
Ota et al., WO 2019/124500 A1 (2019).
Pilatte et al., WO 2017/216293 A1 (2017).
Poudel et al., US 10,472,361 B2 (2019) [2019a].
Poudel et al., US 10,494,370 B2 (2019) [2019b].
Poudel et al., US 2020/0038403 A1 (2020) [2020a].
Poudel et al., US 2020/0039986 A1 (2020) [2020b].
Purandare et al., WO 2019/209811 A1 (2019).
Pryde, US 7,642,350 B2 (2010).
Sato-Kaneko et al., JCI Insight 2017, 2, e93397, “Combination Immunotherapy with TLR Agonists and Checkpoint Inhibitors Suppresses Head and Neck Cancer”.
Smits et al., The Oncologist 2008, 13, 859, “The Use of TLR7 and TLR8 Ligands for the Enhancement of Cancer Immunotherapy”.
Vasilakos and Tomai, Expert Rev. Vaccines 2013, 12, 809, “The Use of Toll-like Receptor 7/8 Agonists as Vaccine Adjuvants”.
Vernejoul et al., US 2014/0141033 A1 (2014).
Young et al., US 10,457,681 B2 (2019).
Yu et al., PLoS One 2013, 8 (3), e56514, “Toll-Like Receptor 7 Agonists: Chemical Feature Based Pharmacophore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Docking Studies.”
Zhang et al., Immunity 2016, 45, 737, “Structural Analysis Reveals that Toll-like Receptor 7 Is a Dual Receptor for Guanosine and Single-Stranded RNA.”
Zhang et al., WO 2018/095426 A1 (2018)>
Zurawski et al., US 2012/0231023 A1 (2012).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 또는 측면과 주로 또는 독점적으로 관련된 구절을 포함한다. 이는 명확성 및 편의성을 위한 것이고, 특정한 특색은 그것이 개시된 구절을 넘어 관련될 수 있으며, 본원의 개시내용은 상이한 구절에서 발견된 정보의 모든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본원의 다양한 도면 및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양태와 관련되어 있지만, 구체적 특색이 특정한 도면 또는 실시양태의 문맥에서 개시되는 경우에, 이러한 특색은 또한 적절한 정도로, 또 다른 도면 또는 실시양태의 문맥에서, 또 다른 특색과 조합되어, 또는 본 발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면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기는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7)

  1. 화학식 I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64

    여기서
    W는 H, 할로, C1-C3 알킬, CN, (C1-C4 알칸디일)OH,
    Figure pct00165
    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R2이고;
    X1은 O, CH2, NH, S, 또는 N(C1-C3 알킬)이고;
    R1은 (C1-C5 알킬),
    (C2-C5 알케닐),
    (C1-C8 알칸디일)0-1(C3-C6 시클로알킬),
    (C1-C8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C2-C8 알칸디일)OH,
    (C2-C8 알칸디일)O(C1-C3 알킬),
    (C1-C4 알칸디일)0-1(5-6 원 헤테로아릴),
    (C1-C4 알칸디일)0-1페닐,
    (C1-C4 알칸디일)CF3,
    (C2-C8 알칸디일)N[C(=O)](C1-C3 알킬),
    또는
    (C2-C8 알칸디일)NRxRy
    이고;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H, O(C1-C3 알킬), S(C1-C3 알킬), SO2(C1-C3 알킬), C1-C3 알킬, O(C3-C4 시클로알킬), S(C3-C4 시클로알킬), SO2(C3-C4 시클로알킬), C3-C4 시클로알킬, Cl, F, CN, 또는 [C(=O)]0-1NRxRy이고;
    R3은 H, 할로, OH, CN,
    NH2,
    NH[C(=O)]0-1(C1-C5 알킬),
    N(C1-C5 알킬)2,
    NH[C(=O)]0-1(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O)]0-1(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O(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4-C8 비시클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O(C1-C4 알칸디일)0-1(C1-C6 알킬),
    N[C1-C3 알킬]C(=O)(C1-C6 알킬),
    NH(SO2)(C1-C5 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SO2)(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6-원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5-원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166

    이고;
    R4는 NH2,
    NH(C1-C5 알킬),
    N(C1-C5 알킬)2,
    NH(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167

    이고;
    R5는 H, C1-C5 알킬, C2-C5 알케닐, C3-C6 시클로알킬, 할로, O(C1-C5 알킬), (C1-C4 알칸디일)OH, (C1-C4 알칸디일)O(C1-C3 알킬), 페닐, NH(C1-C5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Figure pct00168

    이고;
    R6은 NH2,
    (NH)0-1(C1-C5 알킬),
    N(C1-C5 알킬)2,
    (NH)0-1(C1-C4 알칸디일)0-1(C3-C8 시클로알킬),
    (NH)0-1(C1-C4 알칸디일)0-1(C4-C10 비시클로알킬),
    (NH)0-1(C1-C4 알칸디일)0-1(C5-C10 스피로알킬),
    N(C3-C6 시클로알킬)2,
    또는
    하기 구조를 갖는 모이어티
    Figure pct00169

    이고;
    Rx 및 Ry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와 조합되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m은 0 또는 1이고;
    n은 1, 2, 또는 3이고;
    p는 0, 1, 2, 또는 3이고;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에서
    알킬, 시클로알킬, 알칸디일, 비시클로알킬, 스피로알킬, 시클릭 아민, 6-원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5-원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pct00170

    의 모이어티는
    OH, 할로, CN, (C1-C3 알킬), O(C1-C3 알킬), C(=O)(C1-C3 알킬), SO2(C1-C3 알킬), NRxRy, (C1-C4 알칸디일)OH, (C1-C4 알칸디일)O(C1-C3 알킬)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알킬, 알칸디일, 시클로알킬, 비시클로알킬, 스피로알킬, 또는 하기 화학식
    Figure pct00171

    의 모이어티는 CH2 기가
    O, SO2, CF2, C(=O), NH
    N[C(=O)]0-1(C1-C3 알킬),
    N[C(=O)]0-1(C1-C4 알칸디일)0-1CF3,
    또는
    N[C(=O)]0-1(C1-C4 알칸디일)0-1(C3-C5 시클로알킬)
    로 대체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Figure pct00172
    Figure pct00173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a)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74
  4.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b)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75
  5. 제4항에 있어서,
    R1
    Figure pct00176

    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R3
    Figure pct00177

    Figure pct00178

    이고;
    R5가 H 또는 Me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c)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79
  8.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d)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80
  9.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e)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81
  10. 제9항에 있어서,
    R1
    Figure pct00182

    이고;
    R4
    Figure pct00183

    이고;
    R5가 H 또는 Me인
    화합물.
  11. 화학식 (If)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84

    여기서
    R1
    Figure pct00185

    이고;
    W는
    Figure pct00186

    이다.
  12. 암을 앓는 환자에게 항암 면역요법제 및 제1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상 유효한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항암 면역요법제가 길항작용 항-CTLA-4, 항-PD-1 또는 항-PD-L1 항체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암이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포함), 췌장암, 신장암, 두경부암,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포함), 피부암 (흑색종 및 메르켈 피부암 포함), 요로상피암 (방광암 포함), 위암, 간세포성암 또는 결장직장암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항암 면역요법제가 이필리무맙, 니볼루맙 또는 펨브롤리주맙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g)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87
  17.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h)에 따른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188

    여기서 1개의 X는 N이고, 다른 2개는 CH이다.
KR1020227029267A 2020-01-27 2021-01-26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6085P 2020-01-27 2020-01-27
US62/966,085 2020-01-27
US202063057644P 2020-07-28 2020-07-28
US63/057,644 2020-07-28
PCT/US2021/014975 WO2021154661A1 (en) 2020-01-27 2021-01-26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589A true KR20220132589A (ko) 2022-09-30

Family

ID=7466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267A KR20220132589A (ko) 2020-01-27 2021-01-26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8688A1 (ko)
EP (1) EP4097102A1 (ko)
JP (1) JP2023512205A (ko)
KR (1) KR20220132589A (ko)
CN (1) CN115210236A (ko)
WO (1) WO20211546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2261B (en) 1996-07-03 2003-09-11 Japan Energy Corp Novel purine derivative
TW572758B (en) 1997-12-22 2004-01-21 Sumitomo Pharma Type 2 helper T cell-selective immune response inhibitors comprising purine derivatives
KR100892614B1 (ko) 2001-04-17 2009-04-09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신규 아데닌 유도체
AU2002343604C1 (en) 2001-10-30 2009-09-17 Conforma Therapeutics Corporation Purine analogs having HSP90-inhibiting activity
CA2497765A1 (en) 2002-09-27 2004-04-08 Sumitomo Pharmaceuticals Co., Ltd. 8-hydroxy substituted aden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2004137157A (ja) 2002-10-16 2004-05-13 Sumitomo Pharmaceut Co Ltd 新規アデニ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医薬
JPWO2005092892A1 (ja) 2004-03-26 2008-02-14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8−オキソアデニン化合物
BRPI0611435A2 (pt) 2005-05-04 2010-09-08 Pfizer Ltd derivados de 2-amido-6-amino-8-oxopurina,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uso e processo de preparo dos mesmos
WO2007028129A1 (en) 2005-09-02 2007-03-08 Pfizer Inc. Hydroxy substituted 1h-imidazopyridines and methods
WO2007034917A1 (ja) 2005-09-22 2007-03-29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新規なアデニン化合物
US20090118263A1 (en) 2005-09-22 2009-05-07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Novel Adenine Compound
WO2007093901A1 (en) 2006-02-17 2007-08-23 Pfizer Limited 3 -deazapurine derivatives as tlr7 modulators
AU2007223260C1 (en) 2006-03-06 2011-02-03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producing 4-oxoquinoline compound
PL2510946T3 (pl) 2007-02-07 2015-12-31 Univ California Koniugaty syntetycznych agonistów tlr i ich zastosowania
AR065784A1 (es) 2007-03-20 2009-07-01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Derivados de 8-oxo adenina,medicamentos que los contienen y usos como agentes terapeuticos para enfermedades alergicas, antivirales o antibacterianas.
CA2680783C (en) 2007-03-23 2012-04-24 Amgen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s
EP2170888B1 (en) 2007-06-29 2015-04-22 Gilead Sciences, Inc. Pur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 7
CA2707030A1 (en) 2007-08-03 2009-02-12 Pfizer Limited Imidazopyridinones
KR101687841B1 (ko) 2008-12-09 2016-12-19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톨-유사 수용체의 조절제
US8729088B2 (en) 2009-02-11 2014-05-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and treatment of diseases
KR101793300B1 (ko) 2009-10-22 2017-11-02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특히 바이러스성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퓨린 또는 데아자퓨린의 유도체
AU2011247359A1 (en) 2010-04-30 2012-11-15 Telormedix Sa Methods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EP2563366A4 (en) 2010-04-30 2013-11-20 Univ California USE OF PHOSPHOLIPID CONJUGATES FROM SYNTHETIC TLR7 AGONISTS
CA2797315C (en) 2010-04-30 2018-09-11 Telormedix Sa Phospholipid drug analogs
US20120083473A1 (en) 2010-09-21 2012-04-05 Johanna Holldack Treatment of conditions by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2122396A1 (en) 2011-03-08 2012-09-13 Baylor Research Institute Novel vaccine adjuvants based on targeting adjuvants to antibodies directly to antigen-presenting cells
CN107011346B (zh) 2011-11-09 2020-06-16 爱尔兰詹森科学公司 用于治疗病毒感染的嘌呤衍生物
BR112015000615B1 (pt) 2012-07-13 2022-05-31 Janssen Sciences Ireland Uc Purinas macrocíclicas para o tratamento de infecções virais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as compreende
JP6196674B2 (ja) 2012-08-24 2017-09-13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GlaxoSmithKline LLC ピラゾロピリミジン化合物
CN104837840B (zh) 2012-10-10 2017-08-08 爱尔兰詹森科学公司 用于治疗病毒感染及其他疾病的吡咯并[3,2‑d]嘧啶衍生物
EP2732825B1 (en) 2012-11-19 2015-07-01 Invivogen Conjugates of a TLR7 and/or TLR8 agonist and a TLR2 agonist
US9295732B2 (en) 2013-02-22 2016-03-29 Invivogen Conjugated TLR7 and/or TLR8 and TLR2 polycationic agonists
JP6336036B2 (ja) 2013-03-29 2018-06-06 ヤンセン・サイエンシズ・アイルランド・ユーシー ウイルス感染治療のための大環状デアザプリノン
PL3030563T3 (pl) 2013-06-27 2018-01-31 Janssen Sciences Ireland Uc Pochodne pirolo [3,2-d] pirymidyny do leczenia zakażeń wirusowych i innych chorób
US20160199499A1 (en) 2013-08-16 2016-07-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ses of phospholipid conjugates of synthetic tlr7 agonists
WO2015036044A1 (en) 2013-09-13 2015-03-19 Telormedix Sa Cationic lipid vehicles for delivery of tlr7 agonists for specific targeting of human cd14+ monocytes in whole blood
EA032487B1 (ru) 2014-05-01 2019-06-28 Новартис Аг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в качестве агонистов toll-подобного рецептора 7
CN106232603B (zh) 2014-05-01 2019-07-05 诺华股份有限公司 作为toll-样受体7激动剂的化合物和组合物
US9962388B2 (en) 2014-08-15 2018-05-08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Pyrrolopyrimidine compounds used as TLR7 agonist
CN105732635A (zh) 2014-12-29 2016-07-06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一类Toll样受体7激动剂
MA44334A (fr) 2015-10-29 2018-09-05 Novartis Ag Conjugués d'anticorps comprenant un agoniste du récepteur de type toll
MY189991A (en) 2015-11-05 2022-03-22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7-(thiazol-5-yl)pyrrolopyrimidine compound as tlr7 agonist
JP7158286B2 (ja) 2016-06-16 2022-10-21 ヤンセ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 エヌ.ベー. PI3Kβ阻害剤としてのアザベンゾイミダゾール誘導体
HUE054964T2 (hu) * 2016-11-28 2021-10-28 Jiangsu Hengrui Medicine Co Pirazol-heteroaril készítmény, az elõállítás módja és gyógyászati felhasználása
US10472361B2 (en) 2017-08-16 2019-11-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benzotriazole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508115B2 (en) 2017-08-16 2019-12-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heteroatom-linked aromatic moieties,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94370B2 (en) * 2017-08-16 2019-12-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pyridine or pyrazine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87084B2 (en) 2017-08-16 2019-11-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heterobiaryl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57681B2 (en) 2017-08-16 2019-10-29 Bristol_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tricyclic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CA3085424A1 (en) 2017-12-21 2019-06-27 Sumitomo Dainippon Pharma Co., Ltd. Combination drug including tlr7 agonist
WO2019209811A1 (en) 2018-04-24 2019-10-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acrocyclic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US11554120B2 (en) 2018-08-03 2023-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2205A (ja) 2023-03-24
WO2021154661A1 (en) 2021-08-05
US20230118688A1 (en) 2023-04-20
CN115210236A (zh) 2022-10-18
EP4097102A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589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0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601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1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4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2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3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595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C3-치환된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KR20220132602A (ko)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