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076A -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 양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 양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076A
KR20220132076A KR1020210036507A KR20210036507A KR20220132076A KR 20220132076 A KR20220132076 A KR 20220132076A KR 1020210036507 A KR1020210036507 A KR 1020210036507A KR 20210036507 A KR20210036507 A KR 20210036507A KR 20220132076 A KR20220132076 A KR 2022013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ragalus
yanggaeng
extract
vitam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004B1 (ko
Inventor
박희건
박홍열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 산내마을
박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 산내마을, 박홍열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 산내마을
Priority to KR102021003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양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갱은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황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어린이의 염증완화에 개선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섭취가 간편하고, 젤리와 같은 양갱 특유의 식감과 달콤함에 황기 추출물의 향과 맛에 거부감을 갖는 어린이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 양갱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sweet jelly of red beans for kids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 for reducing inflammation}
본 발명은 어린이용 양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양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황기뿌리는 독성이 없어 안전하여 식품원료로도 사용되고 다양한 약리효능이 있기 때문에 약재용으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주로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황기는 1년생 황기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이나, 약리효과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최소 4년생 이상의 황기를 섭취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기는 전통적으로 피로, 식욕감퇴, 자연발한,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치료하고 쇠약해진 기운을 회복시켜 주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및 항고혈압, 간장보호, 항산화, 항바이러스, 심장혈관보호, 면역증진활성, 항노화 등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에는 황기의 유용물질로 알려진 사이클로아르테인-디페사포닌(cylcoartane-typesaponin)의 항염증 효과를 비롯해 항암효과, 골다공증 개선, 관절연골 분해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이렇듯 황기의 다양한 활성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triterpenoid glycosides),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황기의 향과 맛으로 인하여 기호성이 낮기 때문에 이를 보다 편리하게 섭취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양갱은 삶은 팥을 체에 거른 후 설탕과 한천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틀에 넣어 굳힌 후식류의 일종이다. 양갱은 부드러워 이가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기호식품으로도 선호도가 높다. 또한 양갱의 주원료 중 하나인 한천은 해조류의 일종인 우뭇가사리를 녹여 만든 우무를 동결탈수 또는 압착탈수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성장기 어린이나 골다공증의 우려가 높은 노인의 신체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최근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근래에는 주재료를 다양화하여 팥양갱 이외에도 밤양갱, 녹두양갱, 완두양갱, 고구마양갱, 호박양갱, 백년초양갱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호성이 높고 섭취가 용이한 양갱의 장점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기능성 유용물질을 섭취하기 위한 기능성 양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양갱은 재료의 구성에 따라 경도, 씹힘성, 점성 등 물성에 큰 영향을 미쳐 딱딱하고 잘 부스러지는 등 전체적인 물성을 열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성이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유용성분 자체의 맛이 강하다면 양갱으로 제조하였을 때 기호성이 저하되므로 양갱 자체의 장점을 살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현대인은 생활자체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어 각종 염증성 질환 및 면역성 질환 등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기능성을 추구하는 식품의 종류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면 향후 식용이 간단하면서도 기호성면에서도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경향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연장선상에서 각종 기능성을 지닌 생약성분을 식품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의 기호와 성인의 기호를 동시에 조화시키면서도 기능성까지 충족시키는 식품의 종류가 제한적이며, 따라서 기능성을 갈망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아직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갱의 기호성과 생약성분의 기능성을 조화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지닌 신규한 기능성 양갱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1629호 (2004.07.14)에는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7872호 (2003.11.20)에는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4615호 (2019.03.27)에는 숙성율피 함유 항산화성 양갱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염증완화 효능을 개선한 황기 추출물을 개발하고, 이를 양갱에 접목함으로써 황기 추출물 특유의 향과 맛을 저감하여 어린이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양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앙금, 설탕, 올리고당, 한천, 비타민복합체, 홍삼농축액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갱에 있어, 상기 앙금은, 일 예로 밤, 녹두, 완두, 고구마, 호박 및 백년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갱에 있어, 상기 비타민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 비타민 B군, 비타민 D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양갱은, 바람직하게는 앙금 35~45 중량%, 설탕 30~60 중량%, 올리고당 5~15 중량%, 한천 1~5 중량%, 비타민복합체 0.5~2.0 중량%, 홍삼농축액 0.5~1.5 중량% 및 황기 추출물 0.5~1.5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양갱에 있어, 상기 황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A) 황기를 90~120℃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3~9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증숙한 황기를 건조한 뒤,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절단한 황기를 소금용액에 침지하여 염좌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염좌한 황기를 탈수 후, 90~1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며 볶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볶은 황기를 90~120℃에서 10~24시간 동안 추출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양갱은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황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어린이의 염증완화에 개선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섭취가 간편하고, 젤리와 같은 양갱 특유의 식감과 달콤함에 황기 추출물의 향과 맛에 거부감을 갖는 어린이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황기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일산화질소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N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L-1β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L-6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자는 염증완화 효과가 우수한 황기 추출물을 개발하고, 이의 섭취 편리성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양갱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는 연구 과정에서 황기 추출물과 양갱의 조화를 위해서는 주원료의 선택 및 이들의 혼합비가 특히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양갱은 특히 재료의 구성에 따라 경도, 씹힘성, 점성 등 물성에 큰 영향을 미쳐 딱딱하고 잘 부스러지는 등 전체적인 물성을 열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양갱의 기호성 강화를 위하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한 양갱 주재료의 선택 및 적절한 혼합비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예의 노력 끝에 기능성과 기호성을 모두 만족하는 양갱의 주재료와 그 혼합비를 발굴하였기에 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앙금, 설탕, 올리고당, 한천, 비타민복합체, 홍삼농축액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앙금은, 일 예로 밤, 녹두, 완두, 고구마, 호박 및 백년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양갱 제조에 적합한 앙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설탕, 올리고당, 한천, 비타민복합체, 홍삼농축액은 공지의 원료로서 시판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충분하다. 다만, 상기 비타민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 비타민 B군, 비타민 D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외에도 칼슘, 철, 아연, 엽산, 셀레늄, 인, 칼륨, 마그네슘, 구리 등 미네랄이 더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홍삼농축액 및 비타민복합체는 특히, 성장기 어린이에 도움이 되는 영양성분을 더욱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었다.
홍삼은 식약처로부터 혈액흐름 개선, 기억력 향상, 항산화 기능 등 5가지 효능을 인정받았다. 특히, 면역력 향상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평소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면역력의 향상은 곧 성장기 아이의 건강한 성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홍삼은 감기, 중이염, 기관지염, 천식, 아토피 등 각종 면역 관련 질환 등에 효과가 있음이 수많은 논문과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진바 있다.
비타민 복합체에서 비타민 D는 뼈를 튼튼하게 하고 성장에 도움을 주는 칼슘의 흡수를 돕고, 비타민 B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에 필수적이며, 아연은 어린이의 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의 발육 형성에 매우 유익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양갱은 기타 첨가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기타 첨가물로는 공지의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종 당류, 소금, 유기산 및 비타민류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첨가량도 당업자에 자명한 사항이므로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아니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양갱은, 바람직하게는 앙금 35~45 중량%, 설탕 30~60 중량%, 올리고당 5~15 중량%, 한천 1~5 중량%, 비타민복합체 0.5~2.0 중량%, 홍삼농축액 0.5~1.5 중량% 및 황기 추출물 0.5~1.5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중량% 미만 또는 이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양갱의 물성을 열화시켜 바람직하지 못하고, 맛의 조화가 깨져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황기 추출물이 0.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본 발명의 양갱에 부여하기 위한 염증완화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사용량 대비 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갱에 있어, 상기 황기 추출물은 포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약용식물의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製藥技術)이다. 어떤 약재는 독성이 있거나 성질이 극렬하여 직접 복용할 수 없고, 어떤 약재는 쉽게 약성이 변해 오래 저장할 수 없으며, 어떤 것은 잡질과 특정 부분을 제거하여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동일한 약용식물이라 하여도 생재와 숙재는 성질이 같지 않거나 작용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포제법은 한방의 전통제약기술로서 합화(合和), 합약(合藥) 수치(修治), 포자(匍炙), 법제(法製) 및 수사(修事) 등으로 일컬어진다.
한약재를 포제하는 목적은 ① 약물을 청결하게 하고, 저장에 용이하게 하며, ②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③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며, ④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⑤ 약재의 나쁜 냄새와 맛을 없애 복용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포제법을 적용하여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황기 추출물을 바람직하게 (A) 황기를 90~120℃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3~9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증숙한 황기를 건조한 뒤, 절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절단한 황기를 소금용액에 침지하여 염좌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염좌한 황기를 탈수 후, 90~1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며 볶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볶은 황기를 90~120℃에서 10~24시간 동안 추출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세분화해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A): 증숙>
본 단계는 황기를 90~120℃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3~9시간 동안 증숙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황기는 정선 과정을 거친다. 정선은 깨끗하게하여 걸러낸다는 뜻으로, 채취한 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약으로 쓰지 않을 부위를 버리고 쓸 부위만을 다듬어 선별하는 선작업으로, 본 단계에서는 황기를 세척하고 잔뿌리와 겉껍질을 제거해 손질한 것을 의미한다.
본 단계에서는 황기를 증숙함으로써, 황기 추출물의 염증완화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본 과정에서 황기를 90℃ 미만으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3시간 미만으로 증숙할 경우,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를 위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미미하여 그 효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한편, 황기를 120℃를 초과한 온도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9시간을 초과하여 증숙할 경우,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를 위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의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단계 (B): 건조 및 절단>
본 단계는 상기 단계 (A)의 증숙한 황기를 건조한 뒤, 절단하는 과정이다.
이때, 건조는, 일 예로 일광을 이용한 자연건조, 동결건조, 열풍건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그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약재의 건조를 위한 종래의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원하는 효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일광을 이용한 자연건조가 좋다.
또한, 황기의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된 황기를 1.5~2.5㎜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좋은데, 그 미만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은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그 크기를 초과하는 절단은 하기 단계 (C)의 염좌를 위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단계 (C): 염좌>
본 단계는 상기 단계 (B)에서 절단한 황기를 소금용액에 침지하여 염좌하는 과정이다.
상기 침지는, 바람직하게 황기 및 소금용액을 5~7 : 3~5의 부피비로 3~10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한 조건 미만으로 황기 및 소금용액을 혼합하고 3시간 미만으로 염좌를 진행할 시 약성의 변화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조건을 초과하여 황기 및 소금용액을 혼합하고 10시간을 초과하여 염좌를 진행할 시 약성의 변화가 더이상 진행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소금용액은, 바람직하게 0.05~0.02%(w/v)의 소금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0.05%(w/v) 미만의 소금용액을 사용하면 염증완화 효과를 위한 염좌가 진행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0.02%(w/v)를 초과한 소금용액을 사용하면 염증완화 효과를 위한 더 이상의 증진을 기대하기 어려워 비경제적이다.
<단계 (D): 탈수 및 교반 볶음>
본 단계는 상기 단계 (C)의 염좌한 황기를 탈수 후, 90~1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며 볶는 과정이다.
본 단계에서는 황기를 교반 볶음함으로써, 황기 추출물의 염증완화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본 과정에서 황기를 90℃, 1시간 미만으로 교반 볶음할 경우,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황기를 120℃, 4시간을 초과하여 교반 볶음할 경우,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단계 (E): 추출 및 농축>
본 단계는 상기 단계 (D)의 볶은 황기를 90~120℃에서 10~24시간 동안 추출하고 농축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에서는 황기를 추출 및 농축함으로써, 기능성 양갱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과정에서 황기를 90℃, 10시간 미만으로 추출할 경우, 황기 추출물의 염증완화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황기를 120℃, 24시간을 초과하여 추출할 경우, 황기의 염증완화 효과의 증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이 추출이 완료된 황기는, 바람직하게는 5~20 brix가 될때까지 농축하는 것이 좋은데, 농축방법은 공지된 어느 방법으로 수행하여도 무방하며 그 방법에 제한이 없으나, 10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농축을 수행하는 것이 기능성 성분의 변성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한 농도조건 미만 또는 이를 초과한 농도조건에서의 농축은 양갱 제조시 그 맛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기 추출물이 염증관련 반응인 일산화질소 방출, IL-6 단백질 발현, iNOS 단백질 발현 및 IL-1β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성인은 물론 특히 어린이들의 대장질환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는데, 이러한 식습관과 생활 패턴의 변화로 소아변비 환자는 2001년부터 2005년 사이에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 4년 동안 매년 1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대장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어린이의 대장질환은 복통 유발은 물론 식욕부진, 영양부족, 빈혈을 야기하여 성장기의 발육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이러한 식습관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 등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조기 예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갱은 염증반응 완화 효과를 확인한 황기 추출물과 영양소가 풍부한 한천, 홍삼농축액 및 비타민복합체를 주원료로 포함함으로써, 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발육에 도움을 주면서도 어린이의 염증성 장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갱은 황기 추출물 및 주요 재료를 엄선하여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식품으로써 염증완화 효과는 물론 영양성 및 기호성이 일층 개선되었다. 또한, 주재료의 조합 및 혼합비의 특정으로 인하여 어린이도 섭취할 수 있을 만큼 기호성을 높인바, 누구든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포제법을 이용한 황기 추출물의 제조]
황기를 정선하고, 100℃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정선한 황기를 6시간 증숙하였다. 이후, 일광을 이용하여 황기가 완벽히 건조될 때까지 자연건조한 후, 중편(1.5~2.5㎜)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 후, 황기 및 0.1% 소금용액을 6:4의 부피비로 4시간 동안 침지(염좌)한 뒤, 탈수하였다.
그 후, 탈수한 황기를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며 볶은 뒤, 황기 건조중량과 동량의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를 약불에서 10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도 1). 도 1은 실시예 1의 황기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비교예 1: 황기 추출물의 제조]
황기를 정선하고, 포제하지 않은 황기 건조중량과 동량의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를 약불에서 10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무처리 황기'라 지칭하기로 하고,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황기 추출물의 염증 완화 효과 검증]
1. RAW 264.7 대식세포의 배양
RAW 264.7 대식세포는 DMEM(10% FBS, 1% PEST)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충분한 세포양을 확보할 때까지 계대배양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2. 일산화질소 방출량(NO release) 확인
RAW 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cell로 분주하였으며,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LPS 1μM 및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을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배지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1:1로 혼합한 뒤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뒤,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식세포 RAW264.7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일산화질소 방출량이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PS와 황기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일산화질소 방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과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일산화질소 방출량 감소 효과가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어,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이 외부자극 (LPS)에 의해 과도하게 발생되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도 2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일산화질소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3. 염증반응 관련 단백질 발현의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의 염증반응 관련 단백질 발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 RAW 264.7 대식세포는 DMEM(10% FBS, 1% PEST)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충분한 세포양을 확보할 때까지 계대배양하였다.
2) 6웰에 계대배양한 RAW 264.7 대식세포를 1×105 cell로 분주하였으며, 배양접시의 70%가 채워질때까지 배양하였다.
3) 충분히 세포가 배양되었을 때, 무혈청(serum free) 배지 (1% PEST만 포함)로 교환하고, 세포를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혈청기아(serum starvation) 단계).
4) 혈청기아 이후 LPS 1 uM 및 황기 추출물을 농도별(0.1, 0.25, 0.5 및 1㎎/㎖)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24시간 후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뒤, RIPA 버퍼로 세포 용해 후 8,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였다.
6) 상층액 회수 후 브레드포드(bradford) 실험방법으로 단백질 함량을 20㎍으로 정량한 뒤, 이를 샘플버퍼(sample buffer)와 3:1 비율로 혼합한 뒤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고 냉각시켰다.
7) 단백질 샘플을 전기영동 및 PVDF 멤브레인에 트렌스퍼한 뒤, 8% 스킴 밀크(skim milk in TBST)로 1시간 동안 블록킹하였다.
8) TBST로 3회 세척한 뒤 iNOS, IL-1β, IL-6 및 β-actin 항체를 각각 처리하고 4℃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9) TBST로 3회 세척한 뒤, 2차 항체를 각각 처리하고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0) TBST로 3회 세척한 뒤 멤브레인에 ECL 솔루션 처리 후 필름현상 및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해 밴드를 정량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가. iNOS 단백질 발현의 확인
실험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 RAW 264.7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NOS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LPS와 황기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iNOS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과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iNOS 단백질 발현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iNOS 단백질 발현의 감소효과가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1의 황기 추출물이 외부자극 (LPS)에 의해 과도하게 발생되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3). 도 3은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N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나. IL-1β 단백질 발현의 확인
실험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의 IL-1β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 RAW 264.7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L-1β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LPS와 황기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IL-1β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과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IL-1β 단백질 발현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IL-1β 단백질 발현의 감소효과가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1의 황기 추출물이 외부자극 (LPS)에 의해 과도하게 발생되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4). 도 4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L-1β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다. IL-6 단백질 발현의 확인
실험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의 IL-6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 RAW 264.7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L-6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LPS와 황기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IL-6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과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IL-6 단백질 발현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의 황기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 처리시,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된 IL-6 단백질 발현의 감소효과가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1의 황기 추출물이 외부자극 (LPS)에 의해 과도하게 발생되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5). 도 5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황기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1, 0.25, 0.5 및 1㎎/㎖)로 처리하였을 시 IL-6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황기추출물이 염증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하기 양갱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양갱의 제조]
본 발명의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비율로 팥앙금, 유기설탕, 올리고당, 한천, 비타프로, 홍삼농축액 및 실시예 1의 황기추출물을 혼합하였다.
본 발명 양갱의 원재료 혼합비
원료명 비율(중량%) 공급처
팥앙금 40 윤농산
유기설탕 44.7 제일제당
올리고당 10 대한제당
한천 2 명신한천
비타프로 1.3 뉴웨이브
홍삼농축액 1 김포파주인삼농협
실시예 1의 황기추출물 1 산내마을
100

Claims (5)

  1. 앙금, 설탕, 올리고당, 한천, 비타민복합체, 홍삼농축액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앙금은,밤, 녹두, 완두, 고구마, 호박 및 백년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타민복합체는,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 비타민 B군, 비타민 D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갱은,앙금 35~45 중량%, 설탕 30~60 중량%, 올리고당 5~15 중량%, 한천 1~5 중량%, 비타민복합체 0.5~2.0 중량%, 홍삼농축액 0.5~1.5 중량% 및 황기 추출물 0.5~1.5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황기 추출물은,(A) 황기를 90~120℃로 가열한 증기를 이용해 3~9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B) 상기 단계 (A)의 증숙한 황기를 건조한 뒤, 절단하는 단계:(C) 상기 단계 (B)의 절단한 황기를 소금용액에 침지하여 염좌하는 단계;(D) 상기 단계 (C)의 염좌한 황기를 탈수 후, 90~1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며 볶는 단계; 및(E) 상기 단계 (D)의 볶은 황기를 90~120℃에서 10~24시간 동안 추출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갱.
KR1020210036507A 2021-03-22 2021-03-22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KR10266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07A KR102661004B1 (ko) 2021-03-22 2021-03-22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07A KR102661004B1 (ko) 2021-03-22 2021-03-22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076A true KR20220132076A (ko) 2022-09-30
KR102661004B1 KR102661004B1 (ko) 2024-04-26

Family

ID=8345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507A KR102661004B1 (ko) 2021-03-22 2021-03-22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65A (ko) * 2001-03-20 2002-09-30 오성천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20030059432A (ko) * 2001-12-29 2003-07-1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6427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파낙스코리아 포제법으로 처리된 한방성분들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건강식품
KR101964615B1 (ko) 2017-03-08 2019-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숙성율피 함유 항산화성 양갱
KR20210001099A (ko) * 2019-06-26 2021-0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이취가 제거된 한방재료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10001638A (ko) * 2019-06-28 2021-01-06 하선혜 홍삼 양갱 및 그의 조리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65A (ko) * 2001-03-20 2002-09-30 오성천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100441629B1 (ko) 2001-03-20 2004-07-27 오성천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20030059432A (ko) * 2001-12-29 2003-07-10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100407872B1 (ko) 2001-12-29 2003-12-01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6427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파낙스코리아 포제법으로 처리된 한방성분들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건강식품
KR101964615B1 (ko) 2017-03-08 2019-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숙성율피 함유 항산화성 양갱
KR20210001099A (ko) * 2019-06-26 2021-0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이취가 제거된 한방재료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10001638A (ko) * 2019-06-28 2021-01-06 하선혜 홍삼 양갱 및 그의 조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004B1 (ko)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94B1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CN1871932A (zh) 薜荔籽胶和薜荔籽胶凝胶粉的制备方法
CN101796979B (zh) 一种木糖醇豆浆及其制备方法
CN104522455A (zh) 一种雪莲培养物蜂蜜膏及其制备方法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CN110839725A (zh) 忧遁草功能茶饮料配方及制备方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3783221A (zh) 绞股蓝保健茶制造工艺及其产品
CN111685214A (zh) 一种含有天然植物食用胶的健康糖果及其制备方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102541326B1 (ko) 떡쑥을 이용한 인절미 제조 방법
KR20220132076A (ko) 염증완화 기능을 가지는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린이 양갱의 제조방법
CN103750492A (zh) 绞股蓝保健复合冲剂制备及其产品
CN114223893A (zh) 一种滋阴补血、美容养颜且口味丰富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142567A (zh) 油莎豆果蔬冲剂及其制备方法和油莎豆果蔬饮品
CN104431671A (zh) 一种沙棘红枣糕及其制备方法
CN104171916B (zh) 一种含虾蛄头、虾蛄壳的保健挂面及其制作方法
KR20010039199A (ko) 기능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741046B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CN111758870A (zh) 一种宣木瓜速溶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11543569A (zh) 蒲公英复合提取固体饮料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686886A (zh) 一种高效雪莲培养物蜂蜜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