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166A - X선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166A
KR20220131166A KR1020220029815A KR20220029815A KR20220131166A KR 20220131166 A KR20220131166 A KR 20220131166A KR 1020220029815 A KR1020220029815 A KR 1020220029815A KR 20220029815 A KR20220029815 A KR 20220029815A KR 20220131166 A KR20220131166 A KR 2022013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hielding door
protrusion
rays
insp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22013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1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wind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source and detector fixed; object m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1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2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impurities, foreign matter, trace amou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X선 검사 장치는, 물품에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부, X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 공간을 물품이 통과하도록 물품을 일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반송부에 대하여, 물품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개방 상태에서 조사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며, 폐쇄 상태에서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문을 구비한다. X선 차폐문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폐쇄 상태에서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폭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서 경사부 중 연직 방향 하단부는, 반송부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서의 단부 위치보다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X선 검사 장치{X-RAY INSPECTION APPARATUS}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은, X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등의 상품의 생산 라인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품의 패키지 내로의 이물 혼입을 검사하는 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검사에는, 반송(搬送) 컨베이어에 올려 놓인 상태로 연속 반송되어 오는 상품에 X선이 조사(照射)되고, 라인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되는 X선의 투과량에 기초하여 상품의 상태를 판별하는 X선 검사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X선 검사 장치에서는, X선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부(실드 박스(shield box))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X선 차폐부의 일부에는, X선 차폐부의 외부로부터 X선 조사 공간 내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X선 차폐문이 설치되어 있다. X선 차폐문은, 폐쇄 상태에서 X선의 누설이 방지되며, 개방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한 X선 조사 공간 내의 각 부품의 세정 등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일본 특개2007-183201호 공보)에는, 본체부, 본체부의 둘레를 기단으로 하여 X선 조사 공간측으로 절곡되는 상측 벽부, 좌측 벽부, 우측 벽부 및 하측 벽부로 이루어진 측벽(돌출부)을 구비한 X선 차폐문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측벽은, X선 차폐문을 폐쇄한 상태에서, X선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X선 검사 장치에서는, 폐쇄된 상태일 때 하측 벽부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물 또는 오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이 될 수 있는 하측 벽부가 있으면,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로 남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의 목적은, X선 차폐문 중 하단에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X선 차폐문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물품에 X선을 조사(照射)하는 X선 조사부, X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 공간을 상기 물품이 통과하도록 물품을 일방향으로 반송(搬送)하는 반송부,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반송부에 대하여, 물품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개방 상태에서 조사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며, 폐쇄 상태에서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문을 구비하고, X선 차폐문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폐쇄 상태에서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폭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서 경사부 중 연직 방향 하단부는, 반송부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서의 단부 위치보다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의 X선 검사 장치에서는, X선 차폐문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탄한 경사부가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경사부 중 하단부는, 반송부의 폭 방향의 일방측에서의 단부 위치보다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되므로, 경사부는, 반송부와 경사부 사이로부터 직선적으로 X선이 누출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X선 차폐문 중 하단에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X선 차폐문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서는, 경사부 중 상단부는, 반송부 중 반송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X선 차폐문 내면의 대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서는, 경사부는, 경사부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X선 차폐문 내면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서는, X선 차폐문에는,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주단(周端)의 일부로부터, 주단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폭 방향에서의 타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주단의 일부에 포함되는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하단의 일부는, 경사부 중 하단부에 일치하는 경사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하단에는, 경사 하단부를 제외하여 반송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하단에 돌출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돌출부는 경사져 있으므로,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로 남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X선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자 하는 개소를 정밀하게 대응하면서도, X선 차폐문의 일부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서는, 돌출부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경사 하단부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경사 하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X선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자 하는 개소를 정밀하게 대응하면서도, X선 차폐문의 일부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X선 검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돌출부는, 그 일부가 지지부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X선을 차폐하는 지지부가 배치되는 영역에 있어서, 돌출부를 배치하지 않고 물을 하방으로 흘려보내는 기능이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지지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X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X선 차폐문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X선 차폐문 중 하단에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X선 차폐문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X선 차폐문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X선 차폐문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의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X선 검사 장치의 X선 차폐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X선 차폐문에서 힌지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인 X선 검사 장치(1)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X축 방향은, 반송부(5)에 의한 물품(A)의 반송 방향(X)에 평행한 방향이며, Y축 방향은, 물품(A)의 반송면에 있어서 반송 방향(X)과 직교하는 폭 방향(Y)이며, Z축 방향은, 반송 방향(X) 및 폭 방향(Y)의 양방에 직교하는 연직 방향(Z)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는, 장치 본체(2), 지지 다리(支持脚)(3), 실드 박스(4), 반송부(5), X선 조사부(6), X선 검출부(7), 표시 조작부(8),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X선 검사 장치(1)는, 물품(A)을 반송하면서 물품(A)의 X선 투과 화상을 취득하고, 해당 X선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물품(A)의 검사(예를 들어, 수납 수 검사, 이물 혼입 검사, 결품(缺品) 검사 또는 결함 검사 등)를 행한다.
또한, 검사 전의 물품(A)은, 반입 컨베이어(91)에 의해 X선 검사 장치(1)에 반입되며, 검사 후의 물품(A)은, 반출 컨베이어(92)에 의해 X선 검사 장치(1)로부터 반출된다. X선 검사 장치(1)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물품(A)은, 반출 컨베이어(92)의 하류에 배치된 분배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산 라인 외로 분배되며, X선 검사 장치(1)에 의해 양품(良品)으로 판정된 물품(A)은, 해당 분배 장치를 그대로 통과한다.
장치 본체(2)는, 제어부(10) 등을 수용하고 있다. 지지 다리(3)는, 장치 본체(2)를 지지하고 있다. 실드 박스(4)는, 장치 본체(2)에 설치되어 있으며, X선 조사부(6)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 공간(R)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드 박스(4)에는, 반입구(4a) 및 반출구(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드 박스(4)에는, 물품(A)의 반송 방향(X) 및 연직 방향(Z)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Y)의 일방측(작업자가 X선 검사 장치(1)를 조작하는 쪽인 전방측)에 X선 차폐문(20)이 설치되어 있다. X선 차폐문(20)은, 개방 상태에서 조사 공간(R)을 외부로 개방하며, 폐쇄 상태에서 조사 공간(R)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문(20)이 설치되어 있다. X선 차폐문(20)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술한다.
검사 전의 물품(A)은, 반입 컨베이어(91)로부터 반입구(4a)를 통하여 실드 박스(4) 내에 반입되며, 검사 후의 물품(A)은, 실드 박스(4) 내로부터 반출구(4b)를 통하여 반출 컨베이어(92)에 반출된다. 반입구(4a) 및 반출구(4b)의 각각에는 X선의 누설을 방지하는 X선 차폐 커튼(11)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부(5)는, 실드 박스(4)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X선의 조사 공간(R)을 물품(A)이 통과하도록 반입구(4a)로부터 반출구(4b)까지 물품(A)을 반송한다. 반송부(5)는, 반송 컨베이어(5A)와 컨베이어 지지부(5B)를 가지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5A)는, 예를 들어, 반입구(4a)와 반출구(4b) 사이에 걸쳐진 벨트(B)를 반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벨트(B)에 올려 놓인 물품(A)을 반송한다. 컨베이어 지지부(5B)는, 반송 컨베이어(5A) 및 후단에서 상술하는 X선 검출부(7)를 지지하는 부재이며, 장치 본체(2)에 캔틸레버로 지지되어 있다.
X선 조사부(6)는, 실드 박스(4)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반송 컨베이어(5A)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A)에 X선을 조사한다. X선 조사부(6)는, 예를 들어, X선을 출사하는 X선관과, X선관으로부터 출사된 X선을 반송 방향(X)에 수직인 면 내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치는 콜리메이터를 가지고 있다.
X선 검출부(7)는, 실드 박스(4)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물품(A) 및 벨트(B)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한다. X선 검출부(7)는, 예를 들어, 라인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X선 검출부(7)는, 반송 방향(X)에 수직인 수평 방향을 따라 일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와, 각 포토다이오드에 대하여 X선 입사측에 배치된 신틸레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X선 검출부(7)에서는, 신틸레이터에 입사한 X선이 광으로 변환되며, 각 포토다이오드에 입사한 광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X선 검출부(7)는, 컨베이어 지지부(5B)에 지지되어 있다.
표시 조작부(8)는, 장치 본체(2)에 설치되어 있고, 각종 정보의 표시 및 각종 조건의 입력 접수 등을 행한다. 표시 조작부(8)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터치 패널로서의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표시 조작부(8)를 통하여 각종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장치 본체(2)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X선 검사 장치(1)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에는, X선 검출부(7)로부터 출력되며 A/D 변환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0)는,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물품(A)의 X선 투과 화상을 생성하고, 해당 X선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물품(A)의 검사를 행하는 검사부로서 기능한다.
이하, X선 차폐문(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X선 차폐문(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5A)에 대하여, 폭 방향(Y)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방 상태(도 3 참조)에서 조사 공간(R)을 외부로 개방하며, 폐쇄 상태(도 2 참조)에서 조사 공간(R)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X선 차폐문(20)은, 힌지부(27)를 통하여 지지 다리(3)에 고정되어 있다. 힌지부(2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27a), 회전운동축(27b), 제2 프레임부(27c)를 가지고 있다. 제1 프레임부(27a)는, 지지 다리(3)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27c)는, 제1 프레임부(27a)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운동축(27b)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27c)는, X선 차폐문(20)에 고정되어 있다. X선 차폐문(20)은, 힌지부(27) 둘레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절환할 수 있다. X선 차폐문(2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손잡이(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차폐문(20)은, 내면(21)과 외면(22)을 가지고 있다. 또한, X선 차폐문(20)은, 정면부(30), 왼쪽 정면부(40), 오른쪽 정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정면부(30)는, 내면(31)과 외면(32)을 가지고 있다. 내면(3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서 반송 방향(X)으로부터 보았을 때, 폭 방향(Y)에서의 일방측(도 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타방측(도 4의 지면 우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직선형으로 경사지는 평탄한 경사부(60)(도 3, 도 5 및 도 6 중 해칭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60)는, 폭 방향(Y)으로부터 보았을 때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60) 중 하단부인 경사 하단부(62)는, 반송부(5)의 폭 방향(Y)의 일방측(도 4의 지면 좌측)에서의 단부(5E) 위치보다 길이가 거리(G1)(예를 들어, 0㎜∼10㎜), 폭 방향(Y)의 타방측(도 4의 지면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연직 방향(Z)으로부터 본 평면시에서, 경사 하단부(62)는, 반송부(5) 단부(5E)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반송부(5) 하방에, 길이가 거리(G1)(예를 들어, 0㎜∼10㎜)만큼 들어가 있다. 또한, 거리(G1)가 0㎜란, 경사 하단부(62)가 단부(5E)의 바로 아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경사 하단부(62)는, X축 방향을 따라 정면부(3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나, 그 모든 연장 방향에 있어서, 반송부(5) 단부(5E) 위치보다 폭 방향(Y)의 타방측(도 4의 지면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X선 차폐문(20)은, 폭 방향(Y)에서의 경사부(60)와 컨베이어 지지부(5B)와의 거리(G2)가 최소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60) 중 상단인 경사 상단부(63)는, 반송부(5)의 반송면(TF)(즉, 물품(A)이 올려 놓이는 벨트(B))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왼쪽 정면부(40)는, 내면(41)과 외면(42)을 가지며, 오른쪽 정면부(50)는, 내면(51)과 외면(52)을 가지고 있다. 왼쪽 정면부(40) 및 오른쪽 정면부(50)는, 반송 방향(X)으로 정면부(30)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X선 차폐문(20) 내면(21)(정면부(30) 내면(31), 왼쪽 정면부(40) 내면(41) 및 오른쪽 정면부(50) 내면(51)을 연결한 영역)에서의 주단(21a)의 일부에는, 주단(21a)를 기단으로 하여 폭 방향(Y)에서의 타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0)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70)는、왼쪽 정면부(40) 내면(41)에서의 하단(41a)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71)、오른쪽 정면부(50) 내면(51)에서의 하단(51a)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72)、왼쪽 정면부(40) 내면(41)에서의 측단(41b)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돌출부(73)、오른쪽 정면부(50) 내면(51)에서의 측단(51b)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 돌출부(74)、 정면부(30) 내면(31)에서의 상단(31c)、왼쪽 정면부(40) 내면(41)에서의 상단(41c) 및 오른쪽 정면부(50) 내면(51)에서의 상단(51c)으로부터 돌출되는 제5 돌출부(75)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70)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정면부(30), 왼쪽 정면부(40) 및 오른쪽 정면부(50) 주단으로부터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용접 등에 의해 별도 부재가 연결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출부(71)는,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정면부(30)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폐쇄 상태에서, 제1 돌출부(71) 선단은, 반송부(5)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돌출부(72)는,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정면부(30)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폐쇄 상태에서, 제2 돌출부(72) 선단은, 반송부(5)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제1 돌출부(71)와 제2 돌출부(72) 사이에는 돌출부(70)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X선 차폐문(20) 주단(21a)의 일부에 포함되는 하단(21b)은, 정면부(30) 내면(31)에서의 하단(31a), 왼쪽 정면부(40) 내면(41)에서의 하단(41a) 및 오른쪽 정면부(50) 내면(51)에서의 하단(51a)에 의해 형성되는데, 정면부(30) 내면(31)에서의 연직 방향 하단(31a)인 경사 하단부(62)에는, 돌출부(70)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 폭 방향(Y)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는, 그 일부가 컨베이어 지지부(5B)의 연직 방향(Z)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X선 차폐문(20) 내면(21)의 적어도 일부에 평탄한 경사부(60)가 형성된다. 폐쇄 상태에서 경사부(60) 중 경사 하단부(62)는, 반송부(5)의 폭 방향(Y)의 일방측에서의 단부(5E) 위치보다 폭 방향(Y)의 타방측에 위치되므로, 경사부(60)는, 반송부(5)와 경사부(60) 사이로부터 직선적으로 X선이 누출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X선 차폐문(20) 중 하단(21b)에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X선 차폐문(20)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60)는 경사 상단부(63)로부터 경사 하단부(62)까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W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시 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원활하게 물이 유도된다. 이로써, X선 차폐문(20)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로 남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힌지부(27)가 배치되어 있으나, 힌지부(27)가 설치되는 정면부(30) 내면(31)과 힌지부(27)의 회전운동축(27b) 사이에는 물이 흐르는데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서는, 경사부(60) 중 상단부는, 반송부 중 반송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X선 차폐문 내면의 대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 중 경사부(60)는, 경사 상단부(63)로부터 경사 하단부(62)까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X선 차폐문(20) 내면(21)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의 X선 차폐문(20)에는, 제1 돌출부(71), 제2 돌출부(72), 제3 돌출부(73), 제4 돌출부(74) 및 제5 돌출부(7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조사 공간(R)으로부터 X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X선 차폐문(20) 내면(21)에서의 하단(21b)에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는 경사져 있으므로,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W2 및 W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시 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원활하게 물이 유도된다. 이로써, X선 차폐문(20)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로 남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X선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X선 차폐문(20)의 일부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는, 반송 방향(X)에 있어서 경사 하단부(62)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는, 반송 방향(X)에 있어서 경사 하단부(62)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X선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X선 차폐문(20)의 일부에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된 채 유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폭 방향(Y)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돌출부(71) 및 제2 돌출부(72)는, 그 일부가 컨베이어 지지부(5B)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반송 방향(X)에 있어서 X선을 차폐하는 컨베이어 지지부(5B)가 배치되며, X선이 하방으로 누설되기 어려운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0)를 배치하지 않고 물을 하방으로 흘려보내는 기능이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컨베이어 지지부(5B)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X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물 또는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X선 차폐문(20)을 통하여 X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왼쪽 정면부(40) 및 오른쪽 정면부(50)와, 왼쪽 정면부(40) 및 오른쪽 정면부(50)의 각각의 내면을 구비한 X선 차폐문(20)을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X선 검사 장치(1)는, 정면부(30) 및 그 내면(31)만 구비하고, 해당 내면(31) 모두가 경사부(60)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제1 돌출부(71), 제2 돌출부(72), 제3 돌출부(73), 제4 돌출부(74) 및 제5 돌출부(75)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이들은 설치되지 않아도 되고, 선택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70)는,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와는 상이한 X선 차폐문(20) 주단(21a)의 일부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이 경우에도, 경사 하단부(62) 외의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경사 하단부(62)와 X선 차폐문(20) 내면(21)에서의 하단(21b)이 일치하는 예, 즉, 경사 하단부(6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사 하단부(62)로부터 연직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경사 하단부(62)로부터 폭 방향(Y)의 일방측(전방측)으로 둔각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존재해도 된다.

Claims (6)

  1. 물품에 X선을 조사(照射)하는 X선 조사부,
    상기 X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 공간을 상기 물품이 통과하도록 상기 물품을 일방향으로 반송(搬送)하는 반송부,
    상기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상기 반송부에 대하여, 상기 물품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양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조사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조사 공간으로부터 X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X선 차폐문을 구비하고,
    상기 X선 차폐문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폭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 중 연직 방향 하단부는, 상기 반송부의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에서의 단부 위치보다 상기 폭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X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 중 상단부는, 상기 반송부 중 반송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X선 검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X선 검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차폐문에는, 상기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주단(周端)의 일부로부터, 상기 주단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타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단의 일부에 포함되는 상기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하단의 일부는, 상기 경사부 중 하단부에 일치하는 경사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X선 차폐문 내면에서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 하단부를 제외하여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상기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X선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 하단부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경사 하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X선 검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는, 그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X선 검사 장치.
KR1020220029815A 2021-03-19 2022-03-10 X선 검사 장치 KR20220131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5659 2021-03-19
JP2021045659A JP2022144586A (ja) 2021-03-19 2021-03-19 X線検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66A true KR20220131166A (ko) 2022-09-27

Family

ID=8073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15A KR20220131166A (ko) 2021-03-19 2022-03-10 X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0393B2 (ko)
EP (1) EP4060330B1 (ko)
JP (1) JP2022144586A (ko)
KR (1) KR20220131166A (ko)
CN (1) CN1151126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44586A (ja) * 2021-03-19 2022-10-03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297B2 (ja) * 2001-09-28 2004-10-13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JP2003185602A (ja) * 2001-12-21 2003-07-03 Shimadzu Corp X線異物検査装置
JP3779957B2 (ja) * 2003-01-30 2006-05-31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US9113839B2 (en) * 2003-04-25 2015-08-25 Rapiscon Systems, Inc. X-ra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8223919B2 (en) * 2003-04-25 2012-07-17 Rapiscan Systems, Inc. X-ray tomographic inspection syst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target items
US7949101B2 (en) * 2005-12-16 2011-05-24 Rapiscan Systems, Inc. X-ray scanners and X-ray sources therefor
US8837669B2 (en) * 2003-04-25 2014-09-16 Rapiscan Systems, Inc. X-ray scanning system
US8451974B2 (en) * 2003-04-25 2013-05-28 Rapiscan Systems, Inc. X-ray tomographic inspectio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target items
GB0525593D0 (en) * 2005-12-16 2006-01-25 Cxr Ltd X-ray tomography inspection systems
US8243876B2 (en) * 2003-04-25 2012-08-14 Rapiscan Systems, Inc. X-ray scanners
JP4630822B2 (ja) 2006-01-10 2011-02-09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5345330B2 (ja) * 2008-03-18 2013-11-20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JP2012078255A (ja) * 2010-10-04 2012-04-19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JP2012078254A (ja) * 2010-10-04 2012-04-19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JP5512648B2 (ja) * 2011-12-28 2014-06-0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X線処理装置
KR20150134033A (ko) * 2014-05-21 2015-12-01 (주)자비스 소형 제품의 연속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US10790067B2 (en) * 2016-11-02 2020-09-29 Anritsu Infivis Co., Ltd. X-ray inspection device
JP2022144586A (ja) * 2021-03-19 2022-10-03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0393B2 (en) 2024-03-26
EP4060330A1 (en) 2022-09-21
CN115112688A (zh) 2022-09-27
US20220299452A1 (en) 2022-09-22
EP4060330B1 (en) 2024-05-01
JP2022144586A (ja) 202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6487B2 (ja) X線検査装置
GB2430131A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KR20220131166A (ko) X선 검사 장치
JP6546208B2 (ja) X線検査装置
KR20150134033A (ko) 소형 제품의 연속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H11183407A (ja) X線異物検査装置
KR102000944B1 (ko) 교체 방식 모듈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2012078254A (ja) X線検査装置
JPH09250992A (ja) 異物検査装置
JP4438991B2 (ja) X線検査装置
JP6830243B2 (ja) X線検査装置
JP4630822B2 (ja) X線検査装置
JP5388807B2 (ja) X線遮蔽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x線異物検出システム
JP5525300B2 (ja) X線異物検出装置
KR20160105753A (ko) 소형 제품의 연속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111886493A (zh) 放射线检查装置和行李检查装置
JP2008039442A (ja) X線検査装置
JP2023038609A (ja) 防護部材及び物品処理装置
JP2023086228A (ja) X線検査装置
KR20150082808A (ko) 교체 방식 모듈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4149307B2 (ja) X線検査装置
JP6859277B2 (ja) X線検査装置
JP4351901B2 (ja) 放射線検査装置
JP6859276B2 (ja) X線検査装置
JP2021148666A (ja) X線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