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824A -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824A
KR20220129824A KR1020210034615A KR20210034615A KR20220129824A KR 20220129824 A KR20220129824 A KR 20220129824A KR 1020210034615 A KR1020210034615 A KR 1020210034615A KR 20210034615 A KR20210034615 A KR 20210034615A KR 20220129824 A KR20220129824 A KR 2022012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ap
scaffold
demoli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623B1 (ko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수 filed Critical 최명수
Priority to KR102021003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6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발판이 폭 확장을 위하여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경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와 양측의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는,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폭 확장을 위해서 병렬로 설치되는 발판의 측면 사이에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배치되는 연결 파이프 및 양측의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갭 영역을 커버하는 메인 플레이트; 메인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 단측으로부터 메인 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된 측면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결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이고, 제2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판 형상의 제3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로부터 발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4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메인 플레이트를 경사지도록 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를 발판 저면에 삽입한 뒤, 제4 플레이트가 발판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결착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연결 파이프에 걸림되도록 하면서 제1 플레이트를 발판의 측면에 삽입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가 발판과 동일한 높이로 갭에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A DEVICE FOR REMOVING GAPS BETWEEN THE SIDES OF THE SCAFFOLDS OF EXTERNAL STRUCTURES FOR DEMOLI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철거 및 건축을 위해서 설치되는 외형 구조물에 있어서 고층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외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의 구조 중, 발판이 폭 확장을 위해 다수개 병렬 설치될 시, 발판의 측면 사이의 갭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판의 측면 및 측면 사이의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완용 구조의 이탈 및 낙하에 의한 추가적인 사고 및 보완용 구조에 의한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재건축 및 재개발과 관련하여 노후된 건축물을 철거하고 신규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노후된 건축물의 철거를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통 이러한 건축물의 철거를 위해서는 건축물을 감싸는 외형에 비계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외형 구조물을 기초로 건축물을 철거하게 된다.
이때, 고층의 건축물의 철거 현장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에 발판 등을 설치하고, 작업자가 발판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형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건축물의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은 그 특성 상 쉽게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비계 등의 구조물을 이용 시, 외형 구조물을 이루는 세로 및 가로 지주 둥 가로 지주를 복선화하여 설치하고, 가로 지주 사이에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연결 파이프를 설치한 뒤, 연결 파이프에 걸림 설치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발판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제조되어 공급되는 데, 이러한 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보통 발판을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 파이프의 구조 상,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지주를 예를 들어 3개를 설치하고, 발판을 가로 지주들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가운데 가로 지주에 의하여 발판 사이의 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서 작업자의 발이 빠지거나, 작업 시의 폐기물이나 장비 등이 그 갭으로 빠져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발판 사이의 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일본 등록실용신안 공부 제3025202호 등과 같이, 직렬로 연결된 발판 사이의 갭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만이 게시되어 있을 뿐이어서, 이러한 발판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 병렬로 연결 시 가로 지주 등의 연결 파이프에 의하여 발생되는 갭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은 전무하기 때문에 이 경우 상술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발판이 폭 확장을 위하여 병렬로 연결 설치되는 경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와 양측의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되, 설치 시의 편의성 및 설치 후의 고정 안정성이 크도록 하는 갭 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길이에 따라서 적응 가능하도록 발판의 측면 사이의 길이에 관계없이 설치 가능한 갭 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는,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폭 확장을 위해서 병렬로 설치되는 발판의 측면 사이에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배치되는 연결 파이프 및 양측의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갭 영역을 커버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 단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된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결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판 형상의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발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4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경사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발판 저면에 삽입한 뒤, 상기 제4 플레이트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상기 연결 파이프에 걸림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발판의 측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발판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갭에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기 발판의 폭 방향의 사이즈는, 상기 갭의 폭의 0.1 내지 0.13 비율의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설치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지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면과의 절곡 각도는 직교 각보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작게 형성된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발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발판에 걸쳐지는 다수의 서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측면에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제5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슬릿을 통해 상기 제5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5 플레이트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끼워지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제6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5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발판의 측면의 높이의 0.88 내지 0.93 비율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에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및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로 구성된 측면 플레이트를 발판의 측면 사이에 삽입하면서 설치 시, 메인 플레이트가 결착 플레이와 연결 파이프의 걸림에 의하여 발판 측면 사이의 연결 파이프 및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완전히 메꿀 수 있고, 특히 상기의 제1 내지 제4 플레이트의 형성에 의하여, 제4 플레이트가 설치 후 발판의 저면에 완전히 걸릴 수 있어, 발판이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양 발판 및 연결 파이프에 의하여 생성되는 측면의 갭을 매우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적인 특징에 의하여 메인 플레이트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발판의 길이에 관계 없이 발판이 병렬 배치된 경우 발판의 측면 사이의 갭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어 장치가 발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 및 결착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어 장치가 발판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 및 결착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이하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 또는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메인 플레이트(10), 측면 플레이트(11) 및 결착 플레이트(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는, 스틸 재질 또는 스틸 재질과 금속 또는 비금속의 합급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모든 구성은 하나의 전개도로부터 절곡 및 용접되어 제작되거나, 각 구성이 별도로 제조되고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의 기타 결합 방식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폭 및 길이의 사이즈는 설치되는 발판의 사이즈 및 일반적인 외형 구조물의 설치 시 병렬 설치되는 발판의 갭 사이의 영역에 따라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형 구조물 사이의 연결 파이프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시, 브라켓 등의 사이즈에 따라서 파이프 사이의 갭이 결정되는 경우, 설치 공정에 따라서 본 발명의 객 제거 장치의 폭이 설정되고, 외형 구조물의 설치 시 해당 폭에 따라서 발판의 갭이 발생되도록 설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는,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폭 확장을 위해서 병렬로 설치되는 발판의 측면 사이에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배치되는 연결 파이프(3) 및 양측의 발판(1, 2)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메인 플레이트(10)는 갭 영역을 커버하는 부재로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 영역을 커버함은, 설치 완료 시, 발판(1, 2)의 상면과 그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고정 배치되며, 그 갭을 제거하여 작업자가 메인 플레이트(10)를 밟더라도 갭 사이로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을 의미한다.
메인 플레이트(10)는 도면들에는 평면형의 플레이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상면에는 빗물 제거를 위해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관통공을 통해, 발판(1, 2)의 관통공과 와이어나 끈 연결을 통해서 발판(1, 2)과 메인 플레이트(10)가 서로 상대이동되지 않고 강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0)는 덜컥거림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볼록하거나 오목한 상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의 부재로도 구현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1)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의 폭 방향 양 단측으로부터 지면을 향하도록 메인 플레이트(10)와 경사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0가 한 쌍으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한편 결착 플레이트(12)는 측면 플레이트(11)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설치 시, 연결 파이프(3)에 접촉되어 메인 플레이트(10)가 발판(1, 2)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제한하는 사이즈로 높이가 설정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 사이를 연결함은, 실제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실시예 및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결착 플레이트(12)는 불연속된 영역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불연속된 영역 중 측면 플레이트(11), 즉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가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10)의 폭 방향 단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1)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로부터 지면을 향하도록, 즉 메인 플레이트(10)과 경사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데, 이때, 그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면과 직교되는 각도(A1) 또는 직교 각보다 메인 플레이트(10)의 중심 방향으로 작게 형성된 경사각(A2)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갭 제어 장치의 설치 시, 제2 플레이트(112)를 발판(2)의 저면에 삽입 후,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를 결착 플레이트(12)와 연결 파이프(3)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로테이팅하면서 설치함에 따라서 제1 플레이트(111)가 발판(1)의 측면에 부딪혀 설치에 장애 요소를 발생시키지 않고 자연스럽게 설치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112)는 제3 플레이트(1121) 및 제4 플레이트(11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121)는 제1 플레이트(111)와 동일한 판 형상을 가지도록 메인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제1 플레이트(11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제3 플레이트(1121)의 메인 플레이트(10)에 대한 절곡 각도는 제1 플레이트(111)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상술한 설치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메인 플레이트(10)와 직교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제4 플레이트(1122)는 제3 플레이트(1121)로부터 발판(1, 2)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설치 방식에 따른 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3 플레이트(1121)와 제4 플레이트(1122)의 절곡 각도는 둔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를 설치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를 경사지도록 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11)를 발판(1, 2) 저면, 즉 발판(2)의 측벽 하부에 삽입한 뒤, 제4 플레이트(1122)가 발판(2)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결착 플레이트(12)의 오목부 또는 결착 플레이트(12)의 하부가 연결 파이프(12)에 걸림되도록 하면서 제1 플레이트(111)를 발판(1)의 측면에 삽입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10)가 발판(1, 2)과 동일한 높이로 갭 영역을 제거하면서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발판(1, 2)의 폭 확장을 통한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서 발판(1, 2)을 폭 방향으로 병렬 설치한 상태에서, 브라켓 및 연결 파이프(3)에 의하여 생성되는 측면 사이의 갭 영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되, 상술한 메인 플레이트(10), 제1 및 제2 플레이트(111, 112) 및 결착 플레이트(12)의 구조에 따라서 그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단한 동시에 고정력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결착 플레이트(12)는 연결 파이프(3)에 별 다른 구성 없이 접촉될 수 있는데, 연결 파이프(3)와의 고정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착 플레이트(12)의 저면 일측에는 연결 파이프(3)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오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파이프(3)는 결착 플레이트(12)의 하부라인과 직접 점 접촉되거나, 연결 파이프(3-1)가 결착 플레이트(12)의 오목부(121)에 삽입된 상태로 선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 설치의 용이성 및 설치 후의 고정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 사이의 결착 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오목부(121)의 내면에는 탄성부재(1211) 및 마찰 감소 부재(12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211)는 고무 등의 재질로서, 상하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에 대한 댐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한편 마찰 감소 부재(1222)는 상술한 설치 방식으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를 설치 시, 결착 플레이트(12)의 오목부(121)와 연결 파이프(3)의 접촉 및 회전 이동에 따른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리콘, 아크릴, 고무,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등의 마찰에 대한 마모가 적은 재질의 부재를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는 삽입, 로테이팅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발판(1, 2)의 측면 갭 사이에 연결 파이프(3)와 상호 로테이팅, 접촉 및 회동되면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2), 제4 플레이트(1122), 결착 플레이트(12)의 사이즈가 효과적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제1 플레이트(111), 및 결착 플레이트(12)의 높이(H2)는 발판(1, 2)의 측면의 높이(H1)의 0.88 내지 0.93의 사이즈 비율을 갖도록 하는 높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목부(121)가 형성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 파이프(3)가 오목부(121)에 삽입 걸림된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면과 발판(1, 2)의 상면이 동일 높이가 되기 위해서 결착 플레이트(12)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외의 높이로서 0.93의 비율을 초과 시, 작업자가 메인 플레이트(10)를 밟을 때 연결 파이프(3)와의 상대 회동 시 제1 플레이트(111)의 하부 끝단이 발판(1)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발판(1)의 아래 층의 작업자의 머리와 부딪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거나 설치 시 제1 플레이트(111)가 발판(1)의 측면과 걸려 설치가 불편하거나 설치 시 부재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0.88의 비율보다 낮은 높이로 설정되는 경우, 작업자가 메인 플레이트(10)를 밟는 경우 연결 파이프(3)와의 상대 회동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1)가 발판(1)의 측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해제되어, 완전히 회동되면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가 분리 낙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제3 플레이트(1121)의 높이는 발판(1, 2)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이보다 조금 더 크도록 설정되어,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설치 시의 설치 용이성 및 설치 상태에서의 고정력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1, 2)의 높이 및 제3 플레이트(1121)의 내면의 높이(H1)가 약 55mm인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제1 플레이트(111) 및 오목부(121)가 없는 경우의 결착 플레이트의 높이(H2)는 50mm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4 플레이트(1122)의 발판(1, 2)의 폭 방향의 사이즈(W2) 역시, 상술한 설치 과정에 있어서 설치의 용이성 및 설치 후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갭의 폭(W1)의 0.1 내지 0.13의 비율의 사이즈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0.1 보다 비율이 작은 경우, 작업자가 메인 플레이트(10)를 밟는 경우 연결 파이프(3)와의 상대 회동에 의하여 제4 플레이트(1122)가 발판(2)의 측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해제되어, 완전히 회동되면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가 분리 낙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0.13보다 큰 경우, 메인 플레이트(10)가 연결 파이프(3)와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하면서 제3 및 제4 플레이트(1121, 1122)로 구성된 제2 플레이트(112)를 발판(2)의 측면으로 진입시키면서 제4 플레이트(1122)를 발판(2)의 측면 최하부 밑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4 플레이트(1122)가 발판(2)의 측면 최하부에 걸리면서 설치 난이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갭의 폭(W1)이 140mm인 경우, 제4 플레이트의 폭(W2)은 15m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판(1, 2)과의 고정력을 더욱 확고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에는 서브 플레이트(10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로부터 발판(1, 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발판(1, 2)에 걸쳐지는 다수의 부재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 플레이트(101)의 저면과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면이 같은 높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거나, 서브 플레이트(101)가 메인 플레이트(10)와 일체로 돌출되면서 그 돌출 방향으로 연속 절곡되어 서브 플레이트(101)의 저면과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면이 같은 높이로 구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판(1, 2)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서브 플레이트(101)의 저면 중, 발판(1, 2)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동시에, 그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돌출 기둥이 형성되어, 해당 돌출 기둥을 관통공에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 공정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발판(1, 2)의 길이는 그 연결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발명의 갭 제거 장치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메인 플레이트(10), 바람직하게는 측면 플레이트(11) 역시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의 길이 가변형의 실시예는, 메인 플레이트(10) 및 측면 플레이트(11)가 매우 얇은 두께의 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10)는, 측면에 가이드 슬릿(1021)이 형성된 제5 플레이트(102)와, 가이드 슬릿(1021)을 통해 제5 플레이트(102)와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6 플레이트(10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5 플레이트(102)는 메인 플레이트(10)의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제6 플레이트(103)는 제5 플레이트(102)로부터 길이 확장 및 축소를 위한 부재의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6 플레이트(103)는 상술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릿(1021)을 통해 제5 플레이트(102)와 결합되는 동시에 제5 플레이트(102)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면에 가이드 슬릿(102)에 끼워지는 가이드 리브(10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11)에 대응되는 형상이 제5 플레이트(102) 및 제6 플레이트(103)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술한 측면 플레이트(1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에 대응되는 형상이 제5 플레이트(102)에 형성되는 경우, 이와 동일하게 제6 플레이트(103)에 역시 제2 플레이트(112)에 대응되는 제3 플레이트(1121) 및 제4 플레이트(1122)와 동일한 플레이트(1032, 10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제1 플레이트(111)에 대응되는 플레이트가 제6 플레이트(103)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 리브(1031)로부터 하부측으로 해당 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6 플레이트(103)의 길이 가변적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으로 한 방향으로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6 플레이트가 제5 플레이트(102)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103-1, 103-2)으로 구비되어, 발판(1, 2)의 길이 방향(L)으로 양 측으로 길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의 가로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폭 확장을 위해서 병렬로 설치되는 발판의 측면 사이에 외형 구조물의 일부로서 배치되는 연결 파이프 및 양측의 발판에 의하여 생성되는 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갭 영역을 커버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 단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경사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된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결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판 형상의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발판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연장 형성되는 제4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경사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발판 저면에 삽입한 뒤, 상기 제4 플레이트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상기 연결 파이프에 걸림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발판의 측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발판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갭에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기 발판의 폭 방향의 사이즈는,
    상기 갭의 폭의 0.1 내지 0.13 비율의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설치 시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지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면과의 절곡 각도는 직교 각보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작게 형성된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발판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발판에 걸쳐지는 다수의 서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측면에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제5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슬릿을 통해 상기 제5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5 플레이트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면에 상기 가이드 슬릿에 끼워지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제6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5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발판의 측면의 높이의 0.88 내지 0.93 비율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에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KR1020210034615A 2021-03-17 2021-03-17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KR10252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15A KR102520623B1 (ko) 2021-03-17 2021-03-17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615A KR102520623B1 (ko) 2021-03-17 2021-03-17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24A true KR20220129824A (ko) 2022-09-26
KR102520623B1 KR102520623B1 (ko) 2023-04-10

Family

ID=8345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615A KR102520623B1 (ko) 2021-03-17 2021-03-17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6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494U (ja) * 1991-05-30 1994-06-28 丸井産業株式会社 枠組足場用補助ステップ
JP3025202U (ja) * 1995-11-27 1996-06-11 キャンペックス工業有限会社 足場作業床隙間カバー
EP1840297A2 (en) * 2006-03-30 2007-10-03 John Houlihan Cover insert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202B2 (ja) * 1996-10-25 2000-03-27 富好 本多 フロアーパネル敷設用架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494U (ja) * 1991-05-30 1994-06-28 丸井産業株式会社 枠組足場用補助ステップ
JP3025202U (ja) * 1995-11-27 1996-06-11 キャンペックス工業有限会社 足場作業床隙間カバー
EP1840297A2 (en) * 2006-03-30 2007-10-03 John Houlihan Cover insert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623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3378B2 (en) Dismantable facade scaffold
CA2870412C (en) Self-climbing scaffold system in construction works of buildings and self-climbing method
KR102029907B1 (ko) 시스템 동바리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JP6166908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架台支持用支柱
US807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CN105256718A (zh) 模块化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KR20220129824A (ko)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측면 사이의 갭 제거 장치
CN103255907A (zh) 悬挑式脚手架
JP4666639B2 (ja) 防護柵装置
WO2015033784A1 (ja) 杭、杭設置用治具、その杭の設置方法、及びその杭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344813B1 (ko)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CN102312563A (zh) 大跨度、超层高结构外脚手架连墙方法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CN216865966U (zh) 一种防护装置及爬升模架
KR102193523B1 (ko)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CN215978570U (zh) 一种建筑施工防护装置
CN210316466U (zh) 升降式脚手板及防护网体系
KR20060000012U (ko) 쐐기가 불필요한 비타격식 핸드레일 취부용 러그
CN210395633U (zh) 一种房屋建筑用抗震组合梁
JP6091212B2 (ja) くさび着脱機構、くさび着脱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くさび着脱方法
CN103890296A (zh) 临时坠落保护
CN114263364B (zh) 一种既有结构梁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215520357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安全防护装置
CN213774626U (zh) 基坑马道支撑架固定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