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78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784A
KR20220127784A KR1020220112011A KR20220112011A KR20220127784A KR 20220127784 A KR20220127784 A KR 20220127784A KR 1020220112011 A KR1020220112011 A KR 1020220112011A KR 20220112011 A KR20220112011 A KR 20220112011A KR 20220127784 A KR20220127784 A KR 2022012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sound
display pan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017B1 (ko
Inventor
최영락
박관호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784A/ko
Priority to KR1020230081440A priority patent/KR2023010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보호부재에 의하여 보빈과 표시패널의 접착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과의 접착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 음향 발생 장치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및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 음향 발생 장치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 발생 장치의 주변에 복수의 리브부를 구성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향 발생 장치 상에 보호부재를 더 구성함으로써, 보호부재와 표시패널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방열부재가구성됨으로써, 저음 특성이 향상되고, 음향 발생 장치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한 표시패널의 화질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에 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향 구현이 가능하며,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저음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의 중앙 영역에 저음용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되고, 표시패널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각각 중고음용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넓은 음역대에서 우수한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트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재파 또는 반사파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j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j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발생 장치(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음향 발생 장치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는 플레이트(210, 2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230),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마그네트(220)가 있으며, 마그네트(220) 상에 제2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를 지지하면서 음향 발생 장치(2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에 있으면서 제2 플레이트(210') 상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과 제1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변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0)에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된다.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일 수 있으며, 보빈(250)의 하측의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될 수 있다. 보빈(250)과 코일(260)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구조의 음향발생표시 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마그네트(220) 상에 있는 센터폴(230),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상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220) 상에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250)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210') 외측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제2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음향 발생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음향 발생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마그네트(220)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극성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형성될 경우에는 코일(260)의 권선방향을 수정하여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음향 발생 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는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과의 접촉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간섭 및 딜레이 현상으로 의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인접하게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적용할 경우, 다수의 음향 발생 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보다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구조인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0)가 포함된다. 고정장치(100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몰딩 공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몰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장치(100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의해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가 수용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를 지지홀(310)에 삽입 및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의 후면과 지지부재(300)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음향이 발생되는 공간 또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고정되는 너트(330)가 더 포함되며, 고정장치(1000)는 고정장치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나사(320)에 의하여 너트(3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30)의 내면에는 나사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을 너트(330)의 나사관통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가 인접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일체형 고정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1000)에 의해 고정된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로 설명한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음향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음향 발생 장치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부, 및 고정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부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220)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원호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돌출부의 일면은 각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1200, 1200')가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강성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주변에는 복수의 리브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리브부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외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부(1410),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리브부(1420), 및 제1 리브부(1410)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리브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은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긴 변의 방향이며, 세로방향은 가로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1 리브부(1410)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의 외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가로방향 외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가운데 영역, 즉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중앙 영역은 제1 리브부(1410)의 양측 영역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거나 제1 리브부(1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가 장시간 진동하더라도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안쪽에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 2지지부(1220)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부(1420)가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제2 리브부(1420)가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리브부(1420)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 또는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제1 리브부(1410) 및 제2 리브부(1420)와 일체로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리브부(1430)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제3 리브부(14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 걸쳐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에서 짧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또는 제2 지지부(1220)와,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리브부(14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부(1440)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열에 의한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 발생 장치의 주변에 복수의 리브부를 구성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리브부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임계치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의 직경인 최대임계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임계치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2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2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직경)가 D일 때, 이격거리는 최소임계치인 약 7mm보다는 크고 음향 발생 장치 크기 D보다는 작아야 한다.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D)가 약 28mm일 경우 이보다 작은 약 0.85D(dir 23.6mm)의 경우에는 음질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정장치(1000)와 지지부재(300)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이 포함된다. 도 5b에 도시된 너트(330)의 내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1310, 1320, 1330, 1340)을 너트(330)의 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예의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점선은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배치하되 각각 따로 음향 발생 장치를 고정한 경우이며, 800~900Hz 대역에서 음압이 급격히 증가하는 딥(Dip.) 현상이 발생(동그라미로 도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딥 현상은 개별적으로 각각 고정되며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 등으로 인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강한 음압이 발생되므로, 전체적인 음질의 저하로 인식된다.
그리고, 도 7의 실선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가 사용된 경우로, 도 7의 점선에 비하여 일정 주파수에서 음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딥(Dip.) 현상이 상당히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 발생 장치의 고정장치(1000)를 적용할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 발생 장치 모두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경부(614)를 형성한다.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제1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2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 발생 장치(2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연장부(6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된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음향 발생 장치(200)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결합하게 된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330)인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음항발생장치(200)의 보빈(250)에 부착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플레이트(1610, 16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16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1630), 센터폴(16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1650), 및 보빈(1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16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610)의 상에 마그네트(16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1620) 상에 센터폴(1630)이 배치된다.
마그네트(1620)와 센터폴(16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1650)이 배치되며, 보빈(1650) 외곽에는 코일(1660)이 권취된다.
제2 플레이트(1610')는 제1 플레이트(16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1610') 외측에는 프레임(16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6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1670)가 배치된다.
그리고, 보빈(16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 상에 음향 발생 장치(1600)를 부착되며, 보빈(1650)의 일면이 표시패널(100)에 부착된다. 그리고, 보빈(1650)은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표시패널(100)과의 접착면적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면적이 작음으로 인해서 보빈(1650) 상에 레진(resin)을 도포하여 표시패널(100)과 부착한다. 그러나, 레진은 레진의 도포량, 건조시간 등의 설정이 필요하므로, 공정상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종이 재질의 보빈(1650)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하여 음향 발생 장치(1600)의 보빈(1650)과 표시패널(100)의 접착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음향 발생 장치(1600)와 표시패널(100)과의 부착공정이 용이하며, 보빈(1650)을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음향 발생 장치를 발명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1600)의 보빈(1650) 상에 보호부재(1652)를 더 배치한다. 보호부재(1652)는 링형상으로 형성하므로, 표시패널(100)과의 접착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1652)는 보빈(250)을 덮도록 구성되어 보빈(250)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음향 발생 장치(16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부재(1652)는 사출물 또는 금속의 금형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1652)는 섬유강화재, 섬유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구동으로 인한 발열을 방지할 수도 있다. 섬유강화재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강화재(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유리섬유강화재(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및 그라파이트섬유강화재(Graphite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중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탄소섬유는 열팽창계수가 작아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전도성, 내식성, 진동감쇄성, 및 X선 투과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유리섬유는 가볍고,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녹슬지 않고, 열전도율이 낮고, 가공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그리고,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빈(1650)과 보호부재(1652) 사이에는 제1 접착부재(169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691)는 레진(resi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은 에폭시 레진(epoxy resin) 또는 아크릴 레진(acryl res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빈 상에 보호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와 표시패널의 부착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빈 상에 보호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보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는 섬유강화재, 섬유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및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과 보빈(1650)의 일면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향 발생 장치와 지지부재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과 보빈(1650)의 일면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제2 접착부재(1692)가 더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착부재(169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제2 접착부재로 레진보다 양면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표시패널(100)과 음향 발생 장치(1600)의 부착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재작업(rework)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양면테이프를 적용하여 표시패널과 보빈을 부착함으로써, 레진의 사용으로 인한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 방열부재(1690)가 음향 발생 장치(1600) 상에 배치된다. 방열부재(1690)는 표시패널(100)과 보호부재(1652) 상에 있는 제2 접착부재(1692) 사이에 배치된다. 방열부재(1690)는 음향 발생 장치(1600)로부터의 열이 표시패널(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1690)는 음향 발생 장치(1600)로부터의 열을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중첩되는 표시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1690)는 음향 발생 장치(160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169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169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일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파티션(partition, 700)이 배치되어 있다. 파티션(700)은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티션(700)은 표시패널(100)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파티션(70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으로 정해질 수 있는 공간(space) 또는 에어갭(air gap)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좌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영역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700)을 구성하므로,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음역대는 200Hz~3kHz,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티션(7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면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서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음향의 좌우분리가 가능해지므로 음향의 스테레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b는 도 12a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파티션(7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와 지지부재(300)는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c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는 파티션(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700')이 표시패널(100)의 외곽의 네 변을 따라 더 배치되어 있다. 제2 파티션(700')은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각 측면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전방으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가 폼패드로 구성할 경우, 제2 파티션(700')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파티션(700')이 추가로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저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시패널(100)의 외곽에 저음발생장치(900)를 추가로 배치한다. 저음발생장치(900)는 일반적인 스피커일 수 있으며, 수 KHz 이하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a는 저음발생장치(900)가 좌우 구분없이 하나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저음역대의 음향을 좌우로 분리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아래에 좌측 저음발생장치(900)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아래에 우측 저음발생장치(90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좌우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저음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L),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R),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C)일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우퍼 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면적을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하면 동일한 음향출력을 가지더라도 저음의 음향 발생 장치의 면적이 커지므로, 저음의 안정적인 출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파티션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중고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고, 제3 영역에서의 저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은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1 파티션(1700'), 제3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있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있는 제3 파티션(17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7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와 폭을 가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재질의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폼패드(foam pad) 등 다른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절단선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 파티션(1700, 17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와 지지부재(300)는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4c 내지 도 14e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고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을 거의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영역의 면적, 제2 영역의 면적, 및 제3 영역의 면적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c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더라도, 스테레오 음향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도 14d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4d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1600"-2)를 포함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각각에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각 영역에 대응되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에서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압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도 14e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4e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한 쌍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균일한 음향출력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음압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e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e에서 표시패널의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는 도 20 및 도 21에서 설명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k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 등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좌우영역에서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노 음향구현 시에는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이 동일한 진동특성을 가지므로,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현상 또는 간섭현상이 극대화되어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영역인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이중구조의 파티션을 도 시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세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경우, 좌우영역에서의 음향간섭이 심해지더라도 음압감소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불연속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영역인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로 구성하고,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서의 중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두 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두 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한 쌍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경우,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두 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 진행파가 파티션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파티션에서 반사되어 진행파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정재파(standing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출력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파티션에 벤트부(bent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벤트부는 음향 발생 장치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d 내지 도 15k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d 내지 도 15k는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파티션으로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벤트부를 더 구성한 것이다.
도 15d 및 도 15e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벤트부(712)는 제3 파티션(17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가장 강한 음파가 도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하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네 개의 변을 가지며, 네 개의 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변(first-side)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둘러싸는 네 개의 변 중에서 상하의 두 개의 변은 표시패널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벤트부를 구성한다. 벤트부(712)는 두 개의 직선부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벤트부(7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벤트부(712)의 경사각(θ)은 정재파 억제의 필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10도 내지 30도로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출력영역이 저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 발생 장치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음향출력영역이 고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 발생 장치의 출력이 작은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제3 파티션(1700)의 한 변이 표시패널(100)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 또는 가로방향은 표시 장치의 긴 변의 방향에 해당하며, 수직방향 또는 세로방향은 표시 장치의 짧은 변의 방향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 사이에는 벤트되어 있는 형태로 제3 파티션(170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벤트 형태는 표시패널(100)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 사이에는 벤트 형태,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e를 참조하면, 벤트부(712) 및 돌출부(protrusion portion, 722)를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하고,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22)가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722)는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722)는 제3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722)는 음향 발생 장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e에서는 돌출부(722)가 표시패널(1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제1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2변(second-side) 중 하나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d 및 도 15e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5f 및 도 15g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하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밀봉된 구조에 비하여 제3 파티션을 형성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및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음향특성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15f 및 도 15g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방향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700)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하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g는 돌출부(722)를 더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돌출부(722)에 대한 설명은 도 15e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5h 및 도 15i는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가 표시패널(1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제1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2변(second-side)의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722) 및 제2 돌출부(723)를 구성함으로써,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5h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5i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파티션(1700)에 대한 설명은 도 15d 내지 도 15g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5j 및 도 15k는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의 간격이 도 15a 내지 도 15i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보다 저음역대의 음향특성은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k는 돌출부(722)를 더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돌출부(722)에 대한 설명은 도 15e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5j 및 도 15k에서, 도 15d 내지 도 15i의 음향 발생 장치 및 파티션의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d 내지 도 15k는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도 1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5d 내지 도 15k에서,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5d 내지 도 15k에서,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k에서 표시패널(100)의 세 개의 영역을 가지며,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제3 영역에는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저음역대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고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을 거의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영역의 면적, 제2 영역의 면적, 및 제3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보다 제3 영역의 면적을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j 및 도 15k에서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이 나,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k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테레오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k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벤트부를 구성한 경우의 음향출력특성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한 경우의 음향출력특성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점선은 도 15a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은 도 15d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벤트부를 구성한 경우가 벤트부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저음역대인 약 200Hz 이하에서의 음향출력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 점선은 도 15a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은 도 15e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한 경우가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체 음역대에서의 주파수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의 음향출력특성은 음향분석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분석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카드, 그리고 사운드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신호를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에 증폭전달하는 앰프(amplifier), 표시패널에서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의 음향을 분석하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8c 및 도 18d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18a 내지 도 18d는 제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a 및 도 18c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b 및 도 18d는 음향 발생 장치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되며, 벤트부(712)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e, 도 15g, 및 도 15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h 및 도 15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8c 및 도 18d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에는 한 쌍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및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이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벤트부(712)는 한 쌍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중앙 및 한 쌍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e, 도 15g, 및 도 15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h 및 도 15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8a 내지 도 18d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9c 및 도 19d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19a 내지 도 19d는 제3 파티션(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과 제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a 및 도 19c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9b 및 도 19d는 음향 발생 장치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9b 및 도 19d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9a 내지 도 19d에서, 도 15e, 도 15g, 및 도 15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9a 내지 도 19d에서, 도 15h 및 도 15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9a 내지 도 19d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j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j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우퍼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a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표시패널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의 경우보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는 음질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파티션(14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제2 영역인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는 변과 수직인 변에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벤트되는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22)가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22)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저음역대에서의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0a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 및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b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20c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있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사이 및 제2 영역에 있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사이 각각에는 제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및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및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c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b 및 도 20c에서,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0d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e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있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사이 및 제2 영역에 있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사이 각각에는 제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및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및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발
생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d 및 도 20e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d 및 도 20e에서,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0f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로 이루어진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g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로 이루어진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있는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 및 제2 영역에 있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 각각에는 제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f 및 20g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f 및 도 20g에서,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3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4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0h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로 이루어진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한 쌍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로 이루어진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있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 사이 및 제2 영역에 있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 사이에는 제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및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의 제4 파티션(1430)은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및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h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h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영역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 1800'-2) 중 제2-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8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0i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i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20j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i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a 내지 도 20j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j는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j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우퍼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제1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2 영역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3 영역에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표시패널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의 경우보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는 음질이 감소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의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 중 제1-1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는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2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2)는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파티션(1400')은 제1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파티션(1400")은 제2 영역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이 제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3 파티션(1400)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 중 적어도 하나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3 영역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제2 영역인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 벤트부(1412)가 구성되는 변과 수직인 변에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벤트되는 제2 벤트부(141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22)가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22)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저음역대에서의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2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1b 내지 도 21j의 구조에서 제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1 파티션(1400') 및 제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1a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1b 내지 도 21j는 도 20b 내지 도 20j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21b 내지 도 21h에서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제1 벤트부(1412), 제2 벤트부(1412'), 및 제3 벤트부(1412")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1b 내지 도 21e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f 및 도 21g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9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h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i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j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의 제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a 내지 도 21j에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는 섬유강화재, 섬유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및 금속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과 보호부재 사이에는 제1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부재는 에폭시 레진 또는 아크릴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와 표시패널 사이에는 제2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후면에는 음향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하나 또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 음향 발생 장치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및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보호부재는 보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외측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과 보호부재 사이에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제3 파티션의 네 개의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 변에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제3 파티션의 네 개의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 변에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제1 변과 수직하는 제2 변 중 적어도 한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 음향 발생 장치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마그네트, 센터폴,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며, 보호부재는 보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제3 영역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제3 파티션의 네 개의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 변에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주변에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제3 파티션의 네 개의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 변에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된 벤트부 및 제1 변과 수직하는 제2 변 중 적어도 한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은 제1 변 및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을 포함하며, 제1 파티션의 제2 변 및 제2 파티션의 제2 변 중 적어도 한 변에는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는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두 개의 서브 음향 발생 장치는 각각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및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며, 제3 영역의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및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및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제4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패널
200, 1200, 1200', 1600, 1600', 1600", 1800, 1800', 1800", 1900, 1900': 음향 발생 장치
300: 지지부재
400: 접착부재
1652: 보호부재
700, 1400, 1400', 1400", 1430, 1700, 1700', 1700": 파티션
712, 1412, 1412', 1412": 벤트부
722, 1422: 돌출부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제1 영역에 있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2 영역에 있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 장치,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요크;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 상에 있는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센터폴 주위에 배치된 보빈;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상기 보빈에 권취된 코일;
    상기 보빈의 진동을 조절하는 댐퍼; 및
    상기 보빈과 상기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연결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상기 보빈의 측면 일부분을 덮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 사이의 제 2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 2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 3 영역의 크기보다 큰,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음향 발생 장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및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요크, 상기 마그네트, 상기 센터폴, 상기 보빈, 상기 코일, 상기 댐퍼, 및 상기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제 1 파티션; 및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 사이의 제 2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 2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 3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상기 제 3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제 2 음향 발생 장치 각각과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발생하는, 표시 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 있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요크;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요크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 상에 있는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센터폴 주위에 배치된 보빈;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상기 보빈에 권취된 코일;
    상기 보빈의 진동을 조절하는 댐퍼; 및
    상기 보빈과 상기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연결된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과 상기 보빈의 측면 일부분을 덮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섬유강화재, 섬유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및 금속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있는 제 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 부재와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있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며,
    상기 방열 부재의 크기는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크기보다 큰,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1 접착 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와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있는 제 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 부재와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 있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12011A 2017-04-29 2022-09-05 표시 장치 KR10254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11A KR102549017B1 (ko) 2017-04-29 2022-09-05 표시 장치
KR1020230081440A KR20230101777A (ko) 2017-04-29 2023-06-23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14A KR102373433B1 (ko) 2017-04-29 2017-04-29 표시 장치
KR1020220028842A KR102441980B1 (ko) 2017-04-29 2022-03-07 표시 장치
KR1020220112011A KR102549017B1 (ko) 2017-04-29 2022-09-05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42A Division KR102441980B1 (ko) 2017-04-29 2022-03-07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440A Division KR20230101777A (ko) 2017-04-29 2023-06-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784A true KR20220127784A (ko) 2022-09-20
KR102549017B1 KR102549017B1 (ko) 2023-06-28

Family

ID=6221771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14A KR102373433B1 (ko) 2017-04-29 2017-04-29 표시 장치
KR1020220028842A KR102441980B1 (ko) 2017-04-29 2022-03-07 표시 장치
KR1020220112011A KR102549017B1 (ko) 2017-04-29 2022-09-05 표시 장치
KR1020230081440A KR20230101777A (ko) 2017-04-29 2023-06-23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14A KR102373433B1 (ko) 2017-04-29 2017-04-29 표시 장치
KR1020220028842A KR102441980B1 (ko) 2017-04-29 2022-03-07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440A KR20230101777A (ko) 2017-04-29 2023-06-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728669B2 (ko)
EP (1) EP3396972B1 (ko)
KR (4) KR102373433B1 (ko)
CN (2) CN108810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0839B1 (ko) * 2017-05-11 2022-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52563B1 (ko) * 2017-08-04 2022-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0554B1 (ko) *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6760B1 (ko) *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0582B1 (ko) * 2017-11-28 2022-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2053B1 (ko) * 2017-11-30 2022-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1564B1 (ko) * 2018-09-05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913319B (zh) * 2018-09-18 2021-10-0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080213B1 (ko) * 2018-11-02 2020-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28489B1 (ko) 2018-11-15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7208389B2 (ja) * 2018-11-16 2023-01-18 華為技術有限公司 モバイル端末
KR102556205B1 (ko) * 2018-11-19 2023-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876B1 (ko) * 2018-11-21 2023-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KR102663292B1 (ko) 2018-11-23 2024-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683225B1 (ko) * 2018-12-05 202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652124B1 (ko) * 2018-12-27 202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0501B1 (ko) 2018-12-31 2024-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CN114898685A (zh) * 2018-12-31 2022-08-12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662671B1 (ko) 2019-03-29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79900B1 (ko) * 2019-03-29 2024-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CN110113921A (zh) * 2019-05-20 2019-08-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屏幕发声装置
KR102708253B1 (ko) 2019-05-28 202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267181B (zh) * 2019-06-04 2021-01-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盖板和显示装置
CN110166904B (zh) * 2019-06-12 2020-08-18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屏幕发声装置
CN110471527A (zh) * 2019-07-22 2019-11-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振动装置及显示装置、终端设备
KR102689721B1 (ko) * 2019-07-22 2024-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10086304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25374A (ko) * 2020-04-08 2021-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스마트 축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9140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682A1 (en) * 2004-05-14 2005-11-17 Pioneer Corporation Damper for speaker device, speaker device using the dam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20243719A1 (en) * 2011-03-21 2012-09-27 Franklin Jeremy 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185963A1 (en) * 2013-12-30 2015-07-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170055353A1 (en) * 2015-08-21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conta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252A (en) * 1979-05-11 1983-05-17 The Bendix Corporation Cup shaped magnetic pickoff for use with a variable reluctance motion sensing system
US5025474A (en) * 1987-09-29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with image projection screen
US4891842A (en) * 1988-03-24 1990-01-02 Posh Diversified, Inc. Sound output unit for installation in a ceiling structure
KR20000057689A (ko) 1996-12-20 2000-09-25 제프리 씨. 제이틀린 진동 패널들을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CN1189078A (zh) 1997-01-18 1998-07-29 潘步风 花岗岩音箱
US5930376A (en) * 1997-03-04 1999-07-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 channel speaker system for a portable computer
KR100366099B1 (ko) * 2000-10-02 2002-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격벽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3036794A (ja) * 2001-07-19 2003-02-07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GB0405475D0 (en) 2004-03-11 2004-04-2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JP2005341294A (ja) * 2004-05-27 2005-12-08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24087A (ja) * 2004-07-09 2006-01-26 Nec Corp 無線デバイス、その製造方法、そ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無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3064B1 (ko) * 2004-10-28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 및 영상/음향 출력장치
KR100759550B1 (ko) * 2005-01-20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KR2008006369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WO2009017280A1 (en) 2007-07-30 2009-0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speaker system for the display device
KR100932930B1 (ko) * 2007-05-30 2009-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014883B2 (ja) 2007-06-06 2012-08-29 ミネベア株式会社 スピーカ
CN101802484B (zh) * 2007-09-20 2012-07-04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US8204269B2 (en) * 2008-08-08 2012-06-19 Sahyoun Joseph Y Low profile audio speaker with minimization of voice coil wobble, protection and cooling
JP2012114747A (ja) * 2010-11-25 2012-06-14 Kyocera Corp 開口用の被覆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2114158A1 (en) * 2011-02-25 2012-08-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acoustic cooling
BR112013022703B1 (pt) 2011-03-21 2022-08-16 Apple Inc. Dispositivos eletrônicos com displays flexíveis
JP2012198407A (ja)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パネルスピーカ
JP2013004887A (ja) * 2011-06-21 2013-01-07 Minebea Co Ltd コイル部品
EP2762505B1 (en) * 2011-09-29 2016-09-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resin composition, film and container
CN104871555B (zh) * 2012-12-28 2018-11-09 索尼公司 显示装置
US9288564B2 (en) * 2013-01-08 2016-03-15 Disney Enterprises, Inc. Integrated audio-visual systems
KR102102791B1 (ko) * 2013-02-27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061748B1 (ko)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86321B1 (ko) * 2013-09-03 2020-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005621B2 (ja) * 2013-11-28 2016-10-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749750B2 (en) * 2014-07-01 2017-08-29 Corning Incorporated Cross-cancellation of audio signals in a stereo flat panel speaker
TWM490026U (en) * 2014-07-18 2014-11-11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WO2016035263A1 (ja) 2014-09-01 2016-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ラウドスピーカ
JP6065939B2 (ja) * 2015-06-11 2017-01-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455045B1 (ko) * 2015-09-18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5454083U (zh) * 2015-12-29 2016-08-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具有液晶显示屏的电子设备及其扬声器结构
KR102663406B1 (ko) * 2016-04-04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US10219079B2 (en) *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KR101704517B1 (ko)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20170114471A (ko) *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CN109155115B (zh) * 2016-05-23 2020-12-08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682A1 (en) * 2004-05-14 2005-11-17 Pioneer Corporation Damper for speaker device, speaker device using the dam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20243719A1 (en) * 2011-03-21 2012-09-27 Franklin Jeremy 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185963A1 (en) * 2013-12-30 2015-07-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170055353A1 (en) * 2015-08-21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structure and conta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34342B2 (en) 2021-09-28
EP3396972B1 (en) 2021-03-03
KR102549017B1 (ko) 2023-06-28
US20240179468A1 (en) 2024-05-30
CN108810760B (zh) 2021-01-15
US20210266670A1 (en) 2021-08-26
KR102373433B1 (ko) 2022-03-10
CN112616111A (zh) 2021-04-06
CN112616111B (zh) 2022-06-14
KR20180121296A (ko) 2018-11-07
KR102441980B1 (ko) 2022-09-07
US20200322728A1 (en) 2020-10-08
KR20220035073A (ko) 2022-03-21
KR20230101777A (ko) 2023-07-06
US20180317011A1 (en) 2018-11-01
EP3396972A1 (en) 2018-10-31
US10728669B2 (en) 2020-07-28
CN108810760A (zh) 2018-11-13
US11930338B2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980B1 (ko) 표시 장치
KR102481196B1 (ko) 표시장치
KR102312266B1 (ko) 표시장치
KR102370183B1 (ko) 표시장치
KR102449465B1 (ko) 세트장치
KR102380627B1 (ko) 표시 장치
KR102663867B1 (ko) 표시 장치
KR102452462B1 (ko) 표시장치
KR102548686B1 (ko) 표시장치
KR102455559B1 (ko) 표시장치
KR102605160B1 (ko) 표시장치
KR20230084440A (ko) 표시장치
KR102650501B1 (ko)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20210065757A (ko) 표시장치
KR102422063B1 (ko) 표시장치
KR20210085207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