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01B1 -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0501B1 KR102650501B1 KR1020180174091A KR20180174091A KR102650501B1 KR 102650501 B1 KR102650501 B1 KR 102650501B1 KR 1020180174091 A KR1020180174091 A KR 1020180174091A KR 20180174091 A KR20180174091 A KR 20180174091A KR 102650501 B1 KR102650501 B1 KR 102650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sound generating
- pad
- generating devic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AYJRCSIUFZENHW-UHFFFAOYSA-L bar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Ba+2].[O-]C([O-])=O AYJRCSIUFZENH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172 neodymium magne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40 F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74 Inv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JVKUMXDEUEQLH-UHFFFAOYSA-N [B].[Fe].[Nd] Chemical compound [B].[Fe].[Nd] QJVKUMXDEUEQ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0 bery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BAMAFKBVZNFJ-UHFFFAOYSA-N beryllium atom Chemical compound [Be] ATBAMAFKBVZ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ferric oxide Chemical compound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FYFXOXNSNQGX-UHFFFAOYSA-N neodymium atom Chemical compound [Nd] QEFYFXOXNSNQ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JCDFVKYMIUXCR-UHFFFAOYSA-N oxobarium;oxo(oxoferriooxy)iron Chemical compound [Ba]=O.O=[Fe]O[Fe]=O.O=[Fe]O[Fe]=O.O=[Fe]O[Fe]=O.O=[Fe]O[Fe]=O.O=[Fe]O[Fe]=O.O=[Fe]O[Fe]=O AJCDFVKYMIUX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56 stainless stee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IOAGBVUUVVLOB-UHFFFAOYSA-N strontium atom Chemical compound [Sr] CIOAGBVUUVVL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 주위에 있는 코일,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보빈 내부에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다. 이에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표시장치 중에,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저소비 전력,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화상을 표시하며,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예를 들면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이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는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TV, 랩탑 컴퓨터,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스피커가 포함될 경우, 스피커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 주위에 있는 코일,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보빈 내부에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상기 제1 음향발생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제2 음향발생모듈은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 주위에 있는 코일,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 표시패널 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및 봉지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변과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파티션, 및 제2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있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에 감겨진 코일, 요크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보빈 내부 또는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치는 차량 본체, 및 차량 본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또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내에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슬림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또는 음향발생장치를 차량용 장치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의 내부에 스페이서를 배치하거나 프레임 상에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한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차량용 또는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예에서는, 표시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구동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및 양자점(quantum dot) 발광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조, 예를 들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른 구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표시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200)는 표시패널(100)을 진동시켜 표시패널(100)의 전방(FD)으로 음향(SW)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2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영상, 예를 들면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음향발생장치(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표시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00)은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층의 구조에 따라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 또는 듀얼 에미션(Dual Emission) 방식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베이스 기판의 전방으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바텀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베이스 기판의 후방으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200)는 표시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액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e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이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2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100)의 측면(lateral surface or side surface)을 둘러싸고,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도록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예의 구조에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이격되게 덮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지지부재(3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지지부재(300)는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지지부재(300)는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표시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장치(10)의 후면은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거울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예의 물질들이나 형상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음향발생장치(20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은 음향발생장치(200)가 삽입되기 위하여, 지지부재(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지지부재(30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및 지지부재(3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 등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요크(210, 2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230), 센터폴(230) 주위에 있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마그네트(220)가 있으며, 마그네트(220) 상에 제2 플레이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를 지지하면서 음향발생장치(2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의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220)는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 사이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은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의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 (Fe2O3), 탄산바륨 (witherite)(BaCO3), 네오디뮴(Nd),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Fe12O19Sr),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네오디뮴 자석은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240)은 제1 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플레이트(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폴(230)은 제1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 센터폴(230)이 배치될 수 있다. 센터폴(230)과 제1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는, 폴피스(pole pieces)가 센터폴(230) 상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보빈(250)은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쌀 수 있다. 코일(260)은 보빈(250)의 아래의 일정 영역 주위, 예를 들면, 보빈(250)의 아래 영역에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260)은 보빈(250)의 아래의 외곽면에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0)에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 또는 보이스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보빈(250)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환상(또는 원통)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250)과 코일(260)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댐퍼(270)는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damper)는 에지(edge), 스파이더(spider), 및 서스펜션(suspension)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구조의 음향발생표시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마그네트(220) 상에 있는 센터폴(230),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 주위에 있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의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22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배치되며, 센터폴(230)은 마그네트(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는, 폴피스(pole pieces)가 센터폴(230) 상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보빈(250)은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을 둘러싸며, 코일(260)은 보빈(250) 외곽면에 권취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프레임(240)은 제2 플레이트(210')의 주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270)는 프레임(240)과 보빈(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에 비하여 내부 자석을 가지는 제2 구조는 누설자속이 작고 음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예를 들면,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음향발생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마그네트(220)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어, 코일(260) 주변에 외부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형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며, 보빈은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표시패널(100)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또는 음향)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댐퍼(270)는 프레임(240)과, 보빈(250)의 상측 일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댐퍼(270)는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운동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270)는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250)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어, 코일(260) 주변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N극과 S극은 서로 교환가능할 수 있으며, N극과 S극이 바뀔 경우에는 코일(260)의 권선방향을 수정하여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형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또는 음향)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댐퍼(270)는 프레임(240)과, 보빈(250)의 상측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270)는 탄성을 가지는 주름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댐퍼(270)는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운동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270)는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250)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의 음향방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확경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2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라고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환상을 가질 수 있다.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발생장치(2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6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나사(320)에 의하여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결합할 수 있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예는 팸너트(PEM® nut)일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있는 지지홀(310)에 수용될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330)인 셀프 클린칭 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음향발생장치(200)의 보빈(25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장치는 지지부재의 지지홀을 통하여 표시패널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의 후면에는 지지홀이 필요하고, 지지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가 지지부재의 후면으로 노출되므로, 지지부재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외관상 심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음향발생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음향발생장치의 보호용 덮개가 필요하므로 보호용 덮개를 추가하는 공정이 필요하거나, 보호용 덮개에 의해 음향발생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음향발생장치가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의해 지지부재와 결합되지 않고, 표시패널 내에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표시패널 내에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음향발생장치의 두께를 감소시켜야 함을 인식하였다. 음향발생장치가 두꺼울 경우에는 표시패널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표시패널의 화질 또는 화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외관상 심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음향발생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음향발생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두께를 감소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마그네트의 두께를 낮출 경우에는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가 줄어들므로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보빈의 높이(또는 두께)를 낮출 경우에는 보빈에 감겨진 코일의 권폭이 줄어들므로, 음향발생장치의 자기력의 약화로 인해 음색의 명료도(articulation)가 낮아지거나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인 신호를 코일로 전달되는 배선은 댐퍼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향발생장치에서 간섭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여러 실험을 통하여 음향발생장치의 면적을 넓게 하여 음향발생장치의 두께를 낮출 수 있으며, 음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봉지기판(10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지기판(102)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00)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요크(1610) 상에 있는 마그네트(1620), 마그네트(1620) 상에 있는 센터폴(1630), 마그네트(1620)와 센터폴(1630) 주위에 있는 보빈(1650), 및 보빈(1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610)의 외측에는 프레임(164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40)과 보빈(1650) 사이에는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패널(100)은 접착부재(402)를 매개로 음향발생장치(1600)의 보빈(155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1650) 상에는 보빈링(16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빈링(1652)은 보빈(165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빈(165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보빈링(1652)이 보빈 전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빈((1650)이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빈링(1652)은 접착부재(402)에 의해 표시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40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와 같이, 접착부재(402)는 음향발생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에 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과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를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710)가 음향발생장치(1600)에 배치될 수 있다. 요크(1610)는 연장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1610)의 연장부(1612)에는 결합부재(17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크(1610)의 두께를 늘려서 나사탭을 형성한 후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나사탭은 수동탭, 기계탭, 가스나사탭, 및 마스터탭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결합부재(1710)는 지지부재(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710)는 나사(1720)와 너트(1730)가 포함될 수 있다. 나사(1720)와 너트(1730)는 지지부재(300) 내에 배치되며, 나사(1720)와 너트(173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600)가 지지부재(3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너트(1730)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예는 팸너트(PEM® nut)일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600)는 지지부재(300)의 지지홀 없이 압입방식을 이용하여 너트(1730)에 의해 지지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압입방식은 톱니모양의 압입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결합방식이나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600)가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600)는 결합부재(171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지지홀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며,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가 지지부재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심미감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30)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봉지기판(10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지기판(102)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00)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요크(1610) 상에 있는 마그네트(1620), 마그네트(1620) 상에 있는 센터폴(1630), 마그네트(1620)와 센터폴(1630) 주위에 있는 보빈(1650), 및 보빈(1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610)의 외측에는 프레임(164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40)과 보빈(1650) 사이에는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패널(100)은 접착부재(402)를 매개로 음향발생장치(1600)의 보빈(155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1650) 상에는 보빈링(16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빈링(1652)은 보빈(165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빈(165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보빈링(1652)이 보빈(1650) 전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빈((1650)이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빈링(1652)은 접착부재(402)에 의해 표시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40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서와 같이, 접착부재(402)는 음향발생장치(1600)가 표시패널(100)에 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과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를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710)가 음향발생장치(160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40)은 연장부(16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40)의 연장부(1642)에는 결합부재(171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710)는 나사(1720)와 너트(1730)가 포함될 수 있다. 나사(1720)와 너트(1730)는 지지부재(300) 내에 배치되며, 나사(1720)와 너트(173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600)가 지지부재(3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너트(1730)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예는 팸너트(PEM® nut)일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600)는 지지부재(300)의 지지홀 없이 압입방식을 이용하여 너트(1730)에 의해 지지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압입방식은 톱니모양의 압입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결합방식이나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600)가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600)는 결합부재(171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의 지지홀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며,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가 지지부재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심미감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102)은 강자성체, 예를 들면, 철(Fe)과 니켈(Ni)의 합금인 인바(invar)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패널의 내부에 있는 음향발생장치의 마그네트의 자력이 봉지기판에 흡수되어 자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눌리게 되므로, 음향발생장치가 상하진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봉지기판에 붙어버리므로, 음향발생장치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하여 음향발생장치의 누설자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음향발생장치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지 않는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40)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서는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도 6의 표시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요크(1610) 상에 있는 마그네트(1620), 마그네트(1620) 상에 있는 센터폴(1630), 마그네트(1620)와 센터폴(1630) 주위에 있는 보빈(1650), 및 보빈(1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610)의 외측에는 프레임(164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40)과 보빈(1650) 사이에는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빈(1650) 상에는 보빈링(165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보빈링(1652)이 보빈(1650) 전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빈((1650)이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봉지기판(102)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기판(102)에 의한 음향발생장치(1600)의 마그네트의 자력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의 센터폴(1630) 사이에 스페이서(16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봉지기판(102)과 음향발생장치(1600)의 마그네트(1630)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보빈(16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센터폴(1630)과 봉지기판(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센터폴(1630)과 방열부재(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5)는 스페이서(1690)와 보빈(1650) 또는 보빈링(16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5)에 의해 스페이서(1690)는 음향발생장치(16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제2 접착부재(405)에 의해 보빈(1650) 또는 보빈링(165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5)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프링(1690)은 비자성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1690)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합금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리합금은 구리(Cu) 및 아연(Zn) 합금인 황동, 구리(Cu) 및 베릴륨(Be) 합금인 베릴륨동, 및 구리(Cu) 및 주석(Sn)에 약간의 인(P)을 함유한 인청동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페이서(1690)는 봉지기판(102)과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620)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102)이 당겨져서 표시패널(100)이 당겨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눌리게 되므로, 음향발생장치가 상하진동할 수 없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봉지기판에 붙어버리게 되거나 음향발생장치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소실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가 진동할 시 발생하는 열을 줄이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방열부재(6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재(600)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봉지기판(10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600)는 음향발생장치(160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거나 음향발생장치(1600)를 덮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열부재(6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방열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음향발생장치의 진동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표시패널의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음향발생장치의 두께를 낮출 수 있으며,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된 2 어레이(two array)를 도시한 것이며, 도 9c는 4개의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된 4 어레이(4 array)를 도시한 것이다. 도 9d는 6개의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된 6 어레이(6 array)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2 어레이 구조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발생장치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음향발생모듈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마그네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댐퍼의 면적을 넓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는 스테인레스스틸(staineless steel), 구리(Cu) 등으로 구성하여 음향발생장치로의 음향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배선이 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1600)는 프레임(1640) 상에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음향발생장치(1600)는 싱글타입(single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댐퍼(1670)는 배선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므로, +전원(또는 음향신호)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와 -전원(또는 음향신호)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1670)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위 부분일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아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댐퍼(1670a)는 제1 배선(242a)에 연결되고, 제2 댐퍼(1670b)는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의 형상(S)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사선으로 구성할 경우, 댐퍼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댐퍼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C와 D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는 일정하게 구성하고 폭을 다르게 구성하므로, 겹치는 부분에서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1900)는 프레임(1640) 상에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1900)는 트윈타입(twin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댐퍼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댐퍼(1670)는 배선을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므로,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와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1670)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위 부분일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아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댐퍼(1670a)는 제1 배선(242a)에 연결되고, 제2 댐퍼(1670b)는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1 댐퍼(1670a)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배선(242a)에 연결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2 댐퍼(1670b)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도 9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4 개의 음향발생장치(2020)는 프레임(1640) 상에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4 개의 음향발생장치(2020)는 쿼드타입(quad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댐퍼는 병렬 및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댐퍼(1670)는 배선을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므로,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와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1670)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위 부분일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아래 부분일 수 있다. 제1 댐퍼(1670a)의 각각은 제1 배선(242a)에 연결되고, 제2 댐퍼(1670b)의 각각은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1 댐퍼(1670a)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배선(242a)에 연결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2 댐퍼(1670b)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도 9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6 개의 음향발생장치(2000)는 프레임(1640) 상에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6 개의 음향발생장치(2000)는 헥사타입(Hexa type)이라고 할 수 있다.
댐퍼는 병렬 및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댐퍼(1670)는 배선을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므로,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와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1670)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며, 도면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댐퍼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댐퍼(1670a)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일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댐퍼(1670b)는 도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중앙에 위치한 제1 댐퍼(1670a)는 우측 부분일 수 있고, 제2 댐퍼(1670b)는 좌측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댐퍼(1670a)의 각각은 제1 배선(242a)에 연결되고, 제2 댐퍼(1670b)의 각각은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1 댐퍼(1670a)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배선(242a)에 연결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2 댐퍼(1670b) 각각은 일체로 연결되어 제2 배선(242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도 9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지지부재의 지지홀 없이 음향발생장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1910)는 2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910)는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1 음향발생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910)는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제1 음향발생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910)는 센터폴(1630), 보빈링(1652), 프레임(1640), 및 댐퍼(1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910)는 프레임(1640)의 연장부(1642)에 배치된 나사홀(1720a)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홀(1720a)에 나사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910)가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910)는 두 개의 댐퍼(1670)를 포함하며, 두 개의 댐퍼(1670)는 제1 배선(242a) 및 제2 배선(242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1910)의 각각의 센터폴(1630) 내부에 스페이서(169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910)의 각각의 보빈(1650) 내부에 스페이서(169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690)는 제2 접착부재(405)를 매개로 표시패널(100)에 배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1910)의 보빈링(16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2 어레이의 음향발생장치의 진동의 편진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진동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191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69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0)는 프레임(16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690)는 제2 접착부재(405)를 매개로 표시패널(100)에 배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형상은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1670)가 얇게 구성됨으로 인해 음향발생장치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에 음향발생장치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구현하였다. 이에 대해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뒤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2 어레이의 음향발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댐퍼(1670)의 주변 및 중앙부 중 하나에는 구조물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1670)의 주변에는 제1 구조물(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은 댐퍼(167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은 댐퍼(167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은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a에서는 2 어레이로 구성된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하였으며,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경우에는 제1 구조물은 댐퍼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670)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구조물(1674)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구조물은 제2-1 구조물(1674a), 제2-2 구조물(1674b), 제2-3 구조물(1674c), 및 제2-4 구조물(167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물은 댐퍼(1670)의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1a에서는 2 어레이로 구성된 음향발생장치를 도시하였으며,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조물은 댐퍼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2 어레이 이상으로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할 경우에는 댐퍼(1670)의 주변 및 중앙부 중 하나에는 제1 구조물 및/또는 제2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에는 나사홀(172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홀(1720a)에 의해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1670) 상에는 슬릿(405s)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슬릿(405s)은 제2 접착부재(405)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접착부재(405)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405s)은 제2 접착부재(405)의 부착 시에 기포에 의한 고음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슬릿(405s)의 형상이나 개수가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슬릿은 접착부재(402)에 구성될 수도 있다. 슬릿은 접착부재(402)의 부착 시에 기포에 의한 고음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요크(1610)의 주변에 제1 구조물(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조물(1400)은 프레임 또는 요크의 사출물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조물(1400)은 도 11a의 제1 구조물(1400)과 함께 프레임 또는 요크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은 사출물은 인서트 사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사출물은 나사나 본드 등으로 체결하거나 접착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400)은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서는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도 6의 표시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는 요크(1610) 상에 있는 마그네트(1620), 마그네트(1620) 상에 있는 센터폴(1630), 마그네트(1620)와 센터폴(1630) 주위에 있는 보빈(1650), 및 보빈(1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610)의 외측에는 프레임(164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40)과 보빈(1650) 사이에는 댐퍼(167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빈(1650) 상에는 보빈링(165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보빈링(1652)이 보빈(1650) 전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빈((1650)이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봉지기판(102)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기판(102)에 의한 음향발생장치(1600)의 마그네트의 자력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1600)의 센터폴(1630) 사이에 스페이서(169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봉지기판(102)과 음향발생장치(1600)의 마그네트(1630)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보빈(16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센터폴(1630)과 봉지기판(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센터폴(1630)과 방열부재(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스페이서(1692)는 프레임(16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장치(1600)는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음향발생장치(1600)의 각각의 센터폴(1630) 내부에 스페이서(169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1600)의 각각의 보빈(1650) 내부에 스페이서(169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69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프레임(16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7)는 스페이서(1692)와 보빈(1650) 또는 보빈링(16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7)에 의해 스페이서(1692)는 음향발생장치(16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692)는 제2 접착부재(407)에 의해 보빈링(165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407)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1692)는 폼패드 또는 사출물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폼패드 또는 사출물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페이서(1692)는 봉지기판(102)과 음향발생장치(16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620)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102)이 당겨져서 표시패널(100)이 당겨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눌리게 되므로, 음향발생장치가 상하진동할 수 없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의 자력으로 인해 봉지기판이 당겨져서 음향발생장치가 봉지기판에 붙어버리게 되거나 음향발생장치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소실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600)가 진동할 시 발생하는 열을 줄이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표시패널(100)의 배면에는 방열부재(6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재(600)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봉지기판(10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600)는 음향발생장치(160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거나 음향발생장치(1600)를 덮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열부재(6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또는 은(Ag) 및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방열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음향발생장치의 진동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표시패널의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음향출력특성은 음향분석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분석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카드, 그리고 사운드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음향발생장치에 증폭전달하는 앰프(amplifier), 표시패널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분석하게 된다.
도 13에서, 점선은 도 7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고, 실선은 도 10a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음향발생장치는 2 어레이로 구성한 것이다.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이며,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7의 음향발생장치와 비교하여 도 10a를 적용한 음향발생장치는 저음역대인 200Hz 이하에서도 음향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봉지기판과 음향발생장치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가 상하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음향이 출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b 및 도 12를 적용한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L)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 제2 영역(R)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C)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싱글타입 음향발생장치, 및 2 어레이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타원형(oval shape)은 타원형(elliptical shape), 끝이 둥근 사각형(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또는 폭이 높이와 다른 비원형 곡선형(non-circular curved shape having a width different from its heigh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4a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도 8 및 도 9a의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도 9a 및 도 12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b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8,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9b, 도 10a, 도 10b, 도 12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0Hz 내지 2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c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8 및 도 9d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9d 및 도 12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 개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Hz 내지 2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d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도 9a에서 설명한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적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도 9a 및 도 12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1 영역(L)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2 영역(R)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 배면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 160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우측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4b 내지 도 21d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12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도 14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4b 내지 도 14d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의 상면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60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L) 및 제3 영역(C)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 사이에는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의 배면 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과 지지부재(30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으로 정해질 수 있는 공간(space) 또는 에어갭(air gap)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좌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영역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을 구성하므로,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음역대는 200Hz~3kHz,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에 제1 음향발생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에 제2 음향발생장치(1600')로 구성하고, 중앙영역인 제3 영역(C)에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영역(L)의 면적 및 제2 영역(R)의 면적은 제3 영역(C)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L)의 면적 및 제2 영역(R)의 면적이 커지므로, 저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3 영역(C)은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의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중고음역대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21d에서 제1 파티션(1700)이 도 1에서 설명한 접착부재일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5d는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의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의 중앙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테레오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얇은 두께의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표시장치에 포함된 기판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기판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파티션이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구현될 경우에, 표시패널과 지지부재가 부착될 시에 파티션으로 인하여 표시패널 자체 또는 지지부재가 평평하지 않고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에서의 단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면, 패드의 형상 등으로 이하여 표시패널의 화면으로 두드러지는 형상이 발생하며, 표시패널이 평평하지 않는, 또는 지지부재가 평평하지 않는, 울퉁불퉁하게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울퉁불퉁한 현상 또는 웨이브(wave) 현상(이하 "웨이브 현상"이라 함)이라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패두부의 형상 및 따른 파티션의 형상에 대해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곡선 형태 등을 포함하는 커브드(curved) 또는 곡선형 표시패널일 경우, 제1 파티션은 커브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이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와의 부착 시에 표시패널(100)이 당겨짐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음향발생장치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할 수 있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 진행파가 파티션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파티션에서 반사되어 진행파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정재파(standing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출력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파티션(1700)으로 구성할 경우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제1 파티션(1700)에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피크는 특정주파수에서 음압이 튀는 현상이며, 딥은 특성 주파수의 발생이 억제되어 낮은 음압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피크 또는 딥 현상에 의해 표시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는 웨이브 현상을 방지하고,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에도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 구조를 단순히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실험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peak)와 딥(dip)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제1 파티션(1700)에 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음압 감소를 일으키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는 음향발생장치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는 패드가 구성될 수 있다. 패드는 제1 파티션(17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가장 강한 음파가 도착되는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하고,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 160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드의 형상은 지지부재에 배치된 패드가 표시패널(100)에 부착될 시에 표시패널(100)의 당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00)에 배치된 패드가 지지부재에 부착될 시에 표시패널(100)의 당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에 용이하여야 하며,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현하여야 한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패드는 사각형 또는 끝이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현하였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제1 변, 및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을 포함할 수 있디. 제1 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가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는 제1 영역(C)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는 제2 영역(R)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제1 변은 표시패널(100) 또는 지지부재(300)의 가로방향일 수 있고, 제2 변은 표시패널(100) 또는 지지부재(300)의 세로방향일 수 있다.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영역(L)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2 영역(R)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제2 패드(812) 및 제8 패드(82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L)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마주보는 변에 제2 패드(812)가 배치되고, 제2 영역(R)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마주보는 변에 제8 패드(8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드(812)는 제1 패드(811)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제8 패드(822)는 제7 패드(821)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패드(812) 및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제1 패드(811) 및 제2 패드(812)가 배치되고,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향하도록 제7 패드(821) 및 제8 패드(82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811, 812, 821, 822)는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600, 1600')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진동이 좌우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및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및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는 제1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924)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패드(813) 또는 제4 패드(814)는 제1 영역(L)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9 패드(823) 또는 제10 패드(824)는 제2 영역(R)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의 형상은 사각형 또는 끝이 둥근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면테이프 또는 양면 폼패드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을 부착할 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하나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제2 파티션(1700') 또는 제3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양면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로 구성할 경우, 단면테이프와 비교하여 웨이브 현상에는 불리하나, 표시패널과 지지부재와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81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8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제2 파티션(1700') 또는 제3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는 단면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단면테이프는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폼(foam) 재질일 수 있다. 폼 재질이 아닐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이상음이 나타날 수 있다. 단면테이프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티션(1700)과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가 다른 재질로 구성할 경우, 동일 재질이며 접착력이 다른 재질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재질이며 접착력이 다른 재질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제1 파티션(1700) 내에 있는 제1 패드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패드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가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와의 부착 시에 표시패널(100)의 당겨짐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하나 이상의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도 15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5b 내지 도 15d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21d에서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21d에서 음향발생장치의 예로,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2 어레이, 4 어레이의 음향발생장치로 설명하였으나, 도 9c의 4 어레이의 음향발생장치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패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제1 변, 및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변에는 제1 패드(811) 및 제7 패드(821)가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제2 패드(812) 및 제8 패드(82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에는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및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패드(811, 812, 813, 814) 및 제7 내지 제10 패드(821, 822, 823, 824)에 대한 설명은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패드(815), 제6 패드(816),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영역(L)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2 영역(R)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1 음향발생장치(160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2 음향발생장치(160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하나 이상의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곡선 형태 등을 포함하는 커브드(curved) 또는 곡선형의 표시패널일 경우, 제1 파티션은 커브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이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8,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9b, 도 10a, 도 10b,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0Hz 내지 2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영역(C)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9a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3 영역(C)에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Hz 내지 1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3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200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20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8 및 도 9d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9d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Hz 내지 2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영역(C)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9a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3 영역(C)에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Hz 내지 1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3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 및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a를 예로 들면,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1920)와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0' (1910', 1930'))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5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 설명은 도 16b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부재(831)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재(831)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832)는 제2 파티션(1700')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는 제3 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834)는 제3 파티션(1700")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부재(834)는 제3 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832)는 제3 부재(834)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는 제1 영역(L) 및/또는 제2 영역(R)에서의 진동이 제3 영역(C)으로 넘어오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명하거나 깨끗한 음향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재(831)는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패드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동일한 평면 또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다른 평면 또는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832)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된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부재(834)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된 제9 패드(823) 또는 제10 패드(8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는 제3 패드(813) 또는 제4 패드(814)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부재(834)는 제9 패드(823) 또는 제10 패드(824)의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는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는 제1 패드(811), 제2 패드(821),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다른 접착력으로 인하여 웨이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가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경우,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상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는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는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폼(foam) 재질일 수 있다. 폼 재질이 아닐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이상음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의 형상은 도 11a 내지 도 11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21d에서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이 동일한 면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L)과 제2 영역(R의 면적은 제3 영역(C)보다 큰 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이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될 경우, 더 낮은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영역(C)의 면적이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의 면적보다 클 경우에는 저음역대의 재생 영역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a 내지 도 14d, 도 16a 및 도 16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패드(815), 제6 패드(816),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영역(L)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2 영역(R)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하나 이상의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4a 내지 도 14d, 도 16a 및 도 16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8 및 도 9b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도 9b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0Hz 내지 20kHz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영역(C)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9a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3 영역(C)에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Hz 내지 1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3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200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20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8 및 도 9d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도 9d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 개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Hz 내지 2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영역(C)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9a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음향발생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3 영역(C)에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Hz 내지 1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20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20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3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3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와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 및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a를 예로 들면,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 제3 영역(C)의 제3 음향발생장치(1920)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할 경우,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질 수 있으므로, 좌우 음의 차이로 소리의 위치를 표현하는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할 시, 음상(sound image)이 올바른 위치에 구현되는 음상 정위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8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 설명은 도 18b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부재(831)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재(831)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832)는 제2 파티션(1700')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는 제3 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834)는 제3 파티션(1700")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부재(834)는 제3 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832)는 제3 부재(834)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재(833)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부재(833)는 제3 음향발생장치(19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재(834)는 제1 부재(8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부재(834)는 제1 부재(831)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는 제1 영역(L) 및/또는 제2 영역(R)에서의 진동이 제3 영역(C)으로 넘어오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명하거나 깨끗한 음향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재(831) 및 제4 부재(833)는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패드라고 할 수 있다.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동일한 평면 또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 및 제3 부재(834) 중 하나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 및/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와 다른 평면 또는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재(832)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된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부재(834)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된 제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832)는 제3 패드(813) 또는 제4 패드(814)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부재(834)는 제9 패드(823) 또는 제10 패드(824)의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는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는 제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다른 접착력으로 인하여 웨이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가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경우,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상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는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는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폼(foam) 재질일 수 있다. 폼 재질이 아닐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이상음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의 형상은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패드(811),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제4 패드(814), 제7 패드(821),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4a 내지 도 14d, 도 18a 및 도 18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이상의 제5 패드(815), 제6 패드(816),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1 영역(L)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2 영역(R)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0'(1910', 19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하나 이상의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제2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를 참조하면,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이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의 적어도 두 영역의 각각에 음향발생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영역(L)의 두 영역 사이에 제4 파티션(1704)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R)의 두 영역 사이에 제5 파티션(1705)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20a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은 제1-1 영역(L-1) 및 제1-2 영역(L-2)을 포함하며, 제1-1 영역(L-1)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2 영역(L-2)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동일한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로 배치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다른 구조로 배치될 경우,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901)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배치하고,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6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경우, 제1 영역(L)에서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음향의 출력이 어려울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1)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배치하고,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6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경우에는 구성할 수도 있다. 제1-1 영역(L-1)이 제1-2 영역(L-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2 영역(L-2)은 제1-1 영역(L-1)의 1/3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음역대의 음향보다 중음역대의 음향을 크게 할 경우, 제1-1 영역(L-1)이 제1-2 영역(L-2)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2 영역(L-2)은 제1-1 영역(L-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1 영역(L-1)의 제1 음향발생장치(1901)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2 영역(L-2)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 영역(L-2)의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서라운드 알고리즘을 더한 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의 공간감을 증대하는 음장 효과 알고리즘을 적용한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영역(R)은 제2-1 영역(R-1) 및 제2-2 영역(R-2)으로 나누어지고, 제2-1 영역(R-1)에는 제3 음향발생장치(1903)가 배치될 수 있고, 제2-2 영역(R-2)에는 제4 음향발생장치(190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영역(R-1)이 제2-2 영역(R-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1 영역(R-1)의 제3 음향발생장치(1903)는 중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2 영역(R-2)의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2 영역(R-2)의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서라운드 알고리즘을 더한 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리의 공간감을 증대하는 음장 효과 알고리즘을 적용한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1), 제2 음향발생장치(1902), 제3 음향발생장치(1903), 및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동일한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 9b, 도 10a, 도 10b, 및 도 12에서 설명한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90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2)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하고, 제3 음향발생장치(1903) 및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6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경우, 제1 영역(L) 및 제2 영역에(R)서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음향의 출력이 어려울 수 있다.
제3 영역(C)에는 제5 음향발생장치(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8 및 도 9a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도 9a 및 도 12에서 설명한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3 영역(C)에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Hz 내지 10kHz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의 제1-1 영역(L-1)과 제1-2 영역(L-2) 사이에 제4 파티션(170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1 영역(L-1)에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813)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814)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1)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3 패드(411)는 제4 파티션(1704)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3 패드(411)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1)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3 패드(41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812)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2 영역(L-2)에는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922)는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924)는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9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924)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2)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9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924)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2)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9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924)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2)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또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L)의 제2-1 영역(R-1)과 제2-2 영역(R-2) 사이에 제5 파티션(170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1 영역(R-1)에는 제1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823) 및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824)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는 제3 음향발생장치(1903)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6 패드(511)는 제5 파티션(1705)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6 패드(511)는 제3 음향발생장치(1903)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6 패드(511)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822)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2 영역(R-2)에는 제1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912)는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914)는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9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914)는 제4 음향발생장치(1904)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9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914)는 제4 음향발생장치(190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9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914)는 제4 음향발생장치(1904)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또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파티션(1704) 및 제5 파티션(1705)은 제1 파티션(1700)과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동일 재질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를 부착할 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파티션(1704) 및 제5 파티션(1705)은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과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4 파티션(1704) 및 제5 파티션(1705)은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4 파티션(1704) 및 제5 파티션(1705)은 표시패널(100)과의 접촉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폼(foam) 재질일 수 있다. 폼 재질이 아닐 경우 표시패널(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이상음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901), 제2 음향발생장치(1902), 제3 음향발생장치(1903), 및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도 9d에서 설명한 6 개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0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재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도 16a 내지 도 19b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와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 및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a를 예로 들면,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 1902)와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3, 1904)는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1920)와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 1902)와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3, 1904)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 1902) 및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3, 1904)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 1902)와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3, 1904)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c 및 도 20d는 도 18a, 도 18b, 도 20a, 및 도 20b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c 및 도 20d를 참조하면, 제4 부재(833)는 제1 파티션(1700)의 제1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부재(833)는 제5 음향발생장치(19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재(834)는 제1 부재(8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부재(834)는 제1 부재(831)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831), 제2 부재(832), 제3 부재(834), 및 제4 부재(833)는 제1 영역(L) 및/또는 제2 영역(R)에서의 진동이 제3 영역(C)으로 넘어오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명하거나 깨끗한 음향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재(831) 및 제4 부재(833)는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패드라고 할 수 있다.
도 20c 및 도 20d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1902),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4, 1904), 및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c를 예로 들면, 제1 영역(L)의 제1, 제2 음향발생장치(1901,1902), 제2 영역(R)의 제3, 제4 음향발생장치(1903, 1904)는 제3 영역(C)의 제5 음향발생장치(1920)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할 경우,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질 수 있으므로, 좌우 음의 차이로 소리의 위치를 표현하는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할 시, 음상(sound image)이 올바른 위치에 구현되는 음상 정위감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901) 및 제3 음향발생장치(1903)는 서로 다른 중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치(1902) 및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서로 다른 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5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도 14a 내지 도 14d, 및 도 20a 내지 도 20d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 파티션, 및 패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 패드(815), 제6 패드(816),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영역(L)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2 영역(R)에서 제1 파티션(1700)의 제2 변과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한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 중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3 패드(813) 및 제4 패드(81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패드(815) 및 제6 패드(816)는 제1 음향발생장치(190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9 패드(823) 및 제10 패드(824)와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패드(825) 및 제12 패드(826)는 제2 음향발생장치(1902)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8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81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양면 폼패드, 단면테이프, 단면 폼패드, 접착제, 및 본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82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826)는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901) 및 제3 음향발생장치(1903)는 서로 다른 중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치(1902) 및 제4 음향발생장치(1904)는 서로 다른 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제5 음향발생장치(1920)는 중저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5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 또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차량용 장치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는 잔향이 심하고, 음파가 부딪치는 굴곡이 많아서 원하는 음향을 출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 내, 또는 차량 본체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 또는 표시장치를 구성할 경우, 차량에 배치되는 기존의 스피커에 비하여 작은 면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음향이 향상된 음향발생장치 또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2에서 (1) 내지 (17)은 차량 내 또는 차량 본체에 음향발생장치 또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며,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자석을 기준으로 운전자석의 앞측은 표시장치와 함께 구현되는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고, 운전자석의 뒤측은 표시장치가 없는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두 개의 앞좌석은 표시장치와 함께 구현되는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앞좌석의 뒤측은 표시장치가 없는 음향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와 함께 구현되는 부분은 표시장치나 차량 내장재 등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에서 (1)은 표시장치와 함께 음향발생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1)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트위터(tweeter) 또는 중앙 스피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7)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미드레인지(mid-range) 또는 풀레인지(full-range)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 및 (17) 모두에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1) 및 (17) 중 하나에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2) 내지 (4), 및 (14) 내지 (16)은 프런트 도어(front door)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2)내지 (4), 및 (14) 내지 (16)에는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는 표시장치 또는 표시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2) 및 (16)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미드레인지의 스피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및 (16)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미드레인지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및 (15)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및 (15)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2k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및 (16), (3) 및 (15)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합쳐져서 출력될 수도 있다. (4) 및 (14)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의 스피커, 우퍼(woofer), 미드우퍼(mid-woofer), 및 서브우퍼(sub-woofer)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및 (14)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full-range)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내지 (4), 및 (14) 내지 (16)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 (4), (14), 및 (15)에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5) 내지 (7), 및 (11) 내지 (13)은 리어 도어(rear door)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5) 내지 (7), 및 (11) 내지 (13)에는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는 표시장치 또는 표시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5) 및 (13)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및 (13)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full-range)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및 (12)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의 스피커 또는 미드레인지의 스피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및 (12)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full-range) 또는 미드레인지(mid-range)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 및 (11)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의 스피커, 우퍼, 미드 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 및 (11)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full-range)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내지 (7), 및 (11) 내지 (13)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 (7), (11), 및 (13)에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8) 내지 (10)은 리어 데크(rear deck)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8) 내지 (10)에는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는 표시장치 또는 표시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8) 및 (10)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의 스피커 및 미드레인지의 스피커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및 (10)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 또는 미드레인지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및 (10)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풀레인지 또는 미드레인지의 서라운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9)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9)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60Hz에서 150Hz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9)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로 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트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9)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 및 하나 이상의 트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본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150Hz에서 20kHz, 2kHz에서 20kHz, 및 60Hz에서 150Hz 중 하나 이상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석 또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2) 내지 (4), 및 (14) 내지 (16)
은 좌측 및 우측이라고 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는 표시장치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석 또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는 150Hz에서 20kHz 및 2kHz에서 20kHz 중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운전자석 또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는 150Hz에서 20kHz 및 2kHz에서 20kHz 중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좌측 및 우측에서 출력되는 음상 정위감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 내지 (4), 및 (14) 내지 (16)은 도 2, 도 5 내지 도 8, 도 9a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1) 및 (17)은 도 2, 도 5 내지 도 8, 도 9a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1) 내지 (17)은 도 2, 도 5 내지 도 8, 도 9a 내지 도 12, 및 도 13a 내지 도 21d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표시장치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차량용 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는 유기발광 조명장치 또는 무기발광 조명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가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 주위에 있는 코일,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보빈 내부에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센터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 및 보빈링과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보빈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의 주변 및 중앙부 중 하나에 배치되는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발생장치는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들을 포함하며,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들의 보빈링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 및 댐퍼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들의 각각의 보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상기 제1 음향발생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제2 음향발생모듈은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 주위에 있는 코일,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제1 음향발생모듈과 제2 음향발생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 및 보빈링과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 표시패널 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및 봉지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에 감겨진 코일, 요크 외측에 있는 프레임, 및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방열부재와 센터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싱글타입 음향발생장치, 및 2 어레이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변과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파티션, 및 제2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있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보빈에 감겨진 코일, 요크 외측에 있는 프레임,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보빈 내부 또는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의 보빈 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을 더 포함하며,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의 보빈링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 및 봉지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방열부재와 센터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은 연장부를 포함하며,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표시패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원형의 음향발생장치, 싱글타입 음향발생장치, 및 2 어레이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 제1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 및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 및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 및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 및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및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제1-1 영역 및 제1-2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영역은 제2-1 영역과 제2-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영역과 제1-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파티션, 및 제2-1 영역과 제2-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5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3 패드, 제1-2 영역에 배치되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 및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영역에 배치되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 제5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6 패드, 제2-2 영역에 배치되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 및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1 영역에 배치되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및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제1 파티션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1-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동일한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제2-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2-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동일한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2-1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1-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및 제2-2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중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치는 차량 본체, 및 차량 본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또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본체의 운전자석 또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본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150Hz에서 20kHz, 2kHz에서 20kHz, 및 60Hz에서 150Hz 중 하나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표시장치
100: 표시패널
200, 200', 1600, 1600', 1800, 1800', 1900, 1900', 1901, 1902, 1903, 1904, 1910, 1920, 1930, 2000, 2000', 2020: 음향발생장치
300: 지지부재
400, 402, 405, 407: 접착부재
1690, 1692: 스페이서
411, 511, 811, 812, 813, 814, 815, 816, 821, 822, 823, 824, 825, 826, 912, 914, 922, 924: 패드
831, 832, 833, 834: 부재
700, 700', 1700, 1700', 1700", 1704, 1705: 파티션
100: 표시패널
200, 200', 1600, 1600', 1800, 1800', 1900, 1900', 1901, 1902, 1903, 1904, 1910, 1920, 1930, 2000, 2000', 2020: 음향발생장치
300: 지지부재
400, 402, 405, 407: 접착부재
1690, 1692: 스페이서
411, 511, 811, 812, 813, 814, 815, 816, 821, 822, 823, 824, 825, 826, 912, 914, 922, 924: 패드
831, 832, 833, 834: 부재
700, 700', 1700, 1700', 1700", 1704, 1705: 파티션
Claims (51)
-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 및
상기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 각각은,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상기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를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물질로 구성된 스프링,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합금으로 구성된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 및
상기 보빈링과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접착부재를 매개로 상기 보빈링에 부착되는, 음향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주변 및 중앙부 중 하나에 배치되는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음향발생모듈들의 보빈링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음향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 및
상기 댐퍼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삭제
-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상기 제1 음향발생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음향발생모듈 및 상기 제2 음향발생모듈은,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상기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음향발생모듈과 상기 제2 음향발생모듈 사이에 배치된, 음향발생장치.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물질로 구성된 스프링,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합금으로 구성된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1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2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음향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 및
상기 보빈링과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음향발생장치. -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및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상기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방열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인, 표시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지지부재; 및
상기 요크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표시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표시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물질로 구성된 스프링,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합금으로 구성된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인, 표시장치. -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변과 상기 제1 변과 수직인 제2 변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요크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에 있는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상기 요크의 외측에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빈 사이에 있는 댐퍼; 및
상기 보빈 내부 또는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 삭제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는 보빈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2 어레이 음향발생모듈의 보빈링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봉지기판; 및
상기 봉지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방열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인,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물질로 구성된 스프링,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합금으로 구성된 스프링, 및 접착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인,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각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 및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7 패드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 및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발생장치가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및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1 영역 및 제1-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1 영역과 제2-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파티션; 및
상기 제2-1 영역과 상기 제2-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5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패드;
상기 제4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3 패드;
상기 제1-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파티션의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4 패드; 및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5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6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8 패드;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9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0 패드;
상기 제5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6 패드;
상기 제2-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7 패드; 및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8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및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상기 제2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
상기 제3 파티션의 적어도 한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와 마주보는 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에 배치되며, 제 1 항 내지 제 7 항, 제 9 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거나, 제 15 항 내지 제 23 항과 제 25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 -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본체의 운전자석 또는 두 개의 앞좌석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장치. -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본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는 150Hz에서 20kHz, 2kHz에서 20kHz, 및 60Hz에서 150Hz 중 하나 이상의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4091A KR102650501B1 (ko) | 2018-12-31 | 2018-12-31 |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
CN201911250158.3A CN111385723B (zh) | 2018-12-31 | 2019-12-09 | 声音产生设备、显示装置和汽车装置 |
US16/708,982 US10993036B2 (en) | 2018-12-31 | 2019-12-10 | Sound genera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tive apparatus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
US17/206,037 US11375316B2 (en) | 2018-12-31 | 2021-03-18 | Sound genera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tive apparatus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
US17/826,005 US11743654B2 (en) | 2018-12-31 | 2022-05-26 | Sound genera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tive apparatus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
US18/213,212 US12015906B2 (en) | 2018-12-31 | 2023-06-22 | Sound genera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tive apparatus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4091A KR102650501B1 (ko) | 2018-12-31 | 2018-12-31 |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2965A KR20200082965A (ko) | 2020-07-08 |
KR102650501B1 true KR102650501B1 (ko) | 2024-03-21 |
Family
ID=7112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4091A KR102650501B1 (ko) | 2018-12-31 | 2018-12-31 |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4) | US10993036B2 (ko) |
KR (1) | KR102650501B1 (ko) |
CN (1) | CN1113857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23392B1 (en) * | 2019-12-31 | 2020-11-03 | Dong Guan Jia Sheng Lighting Technology Co., Ltd. China | Multifunctional sound lamp |
KR20230004191A (ko) * | 2021-06-30 | 2023-01-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음향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87517A1 (en) * | 2010-10-06 | 2012-04-12 | Sony Corporation | Speaker unit and active speake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439150Y (zh) | 1999-08-26 | 2001-07-11 | 北京赛博天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可在gsm网同时传送gps数据和话音的装置 |
CN2439154Y (zh) * | 2000-07-20 | 2001-07-11 | 深圳市东原电子有限公司 | 中心支撑式驱动器 |
CN2439153Y (zh) | 2000-07-20 | 2001-07-11 | 深圳市东原电子有限公司 | 外磁式低频大功率驱动器 |
KR100477261B1 (ko) | 2002-02-15 | 2005-03-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스피커 및 스피커 제조방법 |
KR20040079038A (ko) * | 2003-03-06 | 2004-09-14 | 에스텍 주식회사 | 스피커용 리드선 일체형 댐퍼 |
KR100651766B1 (ko) | 2004-10-18 | 2006-12-01 | 김성배 | 듀얼 마그넷을 구비한 자기회로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와진동발생장치 |
KR20110002370A (ko) * | 2009-07-01 | 2011-01-07 | 부전전자 주식회사 | 듀얼 서스펜션 마이크로 스피커 |
CN205105393U (zh) * | 2015-10-19 | 2016-03-23 | 广州强乐电子有限公司 | 一种弹簧板微型平板喇叭 |
KR101704517B1 (ko) * | 2016-03-28 | 2017-02-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US10219079B2 (en) * | 2016-03-28 | 2019-02-26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
EP3528510B1 (en) * | 2016-10-13 | 2022-02-09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Flat speaker and display device |
KR102373433B1 (ko) | 2017-04-29 | 2022-03-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380627B1 (ko) * | 2017-05-29 | 2022-03-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1815900B1 (ko) * | 2017-06-16 | 2018-01-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 장치 |
KR20190100636A (ko) * | 2018-02-21 | 2019-08-29 | 주식회사 이엠텍 | 진동과 음향을 발생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
KR102627816B1 (ko) * | 2018-10-25 | 2024-01-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553275B2 (en) * | 2018-12-28 | 2023-01-10 | Samsung Display Co., Ltd. | Method of providing sound that matches displayed imag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
-
2018
- 2018-12-31 KR KR1020180174091A patent/KR102650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2-09 CN CN201911250158.3A patent/CN111385723B/zh active Active
- 2019-12-10 US US16/708,982 patent/US10993036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18 US US17/206,037 patent/US11375316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26 US US17/826,005 patent/US11743654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6-22 US US18/213,212 patent/US1201590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87517A1 (en) * | 2010-10-06 | 2012-04-12 | Sony Corporation | Speaker unit and active speake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385723B (zh) | 2021-10-26 |
US11375316B2 (en) | 2022-06-28 |
US20200213764A1 (en) | 2020-07-02 |
US12015906B2 (en) | 2024-06-18 |
US20210211808A1 (en) | 2021-07-08 |
US20220286783A1 (en) | 2022-09-08 |
CN111385723A (zh) | 2020-07-07 |
US20230336920A1 (en) | 2023-10-19 |
US11743654B2 (en) | 2023-08-29 |
US10993036B2 (en) | 2021-04-27 |
KR20200082965A (ko) | 2020-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45288B2 (ja) | 表示装置及び装置 | |
KR102663292B1 (ko) |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 |
KR102633372B1 (ko) | 표시장치 | |
KR102559531B1 (ko) | 표시장치 | |
KR20220127784A (ko) | 표시 장치 | |
KR20220032030A (ko) | 표시장치 | |
KR102455559B1 (ko) | 표시장치 | |
KR102605160B1 (ko) | 표시장치 | |
KR102696992B1 (ko) | 표시장치 | |
US12015906B2 (en) | Sound genera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tive apparatus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 |
KR20210065757A (ko) | 표시장치 | |
KR102689706B1 (ko) | 표시장치 | |
KR102422063B1 (ko) | 표시장치 | |
KR102514184B1 (ko) | 표시장치 | |
KR20200050913A (ko) | 표시장치 | |
KR20210085207A (ko) |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