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594A -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594A
KR20220127594A KR1020210032067A KR20210032067A KR20220127594A KR 20220127594 A KR20220127594 A KR 20220127594A KR 1020210032067 A KR1020210032067 A KR 1020210032067A KR 20210032067 A KR20210032067 A KR 20210032067A KR 20220127594 A KR20220127594 A KR 2022012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hot
control
dip galvanizing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3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7594A/ko
Publication of KR2022012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Hot-dip galvanizing tank burn hazard multi-level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공정은 냉간압연공정을 거친 강판을 가열로에서 열처리하여 성형성과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코일로 만든 후, 페이오프릴과 용접기를 통하여 연속 통판되면서, 잔류응력을 제거 하도록 가열로(소둔로)에서 열처리 된다. 그리고, 열처리된 강판은 아연도금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도금액 즉, 용융아연이 충진된 용융아연도금조로 유입된다.
용융아연도금조의 온도는 대략 455~460℃를 유지하게 되는데, 용융아연도금조에 담긴 용융아연은 고온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의 고유 특성상 온도가 올라가도 색상이 바뀌지 않고 거의 회백색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아연 특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이나 부주의한사람들은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 시 매우 위험한 화상위험이 있음에도 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용융아연도금조에 발을 디뎌서 치명적인 중대화상을 입는 안전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075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8085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619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을 따라 설치된 펜스 내의 영역으로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탕면에 위험알림용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위험알림용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스피커와; 상기 펜스 또는 상기 펜스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알림용 경고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상기 경고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자동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펜스의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자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자동조작부와; 상기 펜스 내의 영역으로 작업자의 진여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작업자가 직접 선택하여 진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수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수동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를 구비한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방법은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와; 상기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와; 상기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단계 내지 제3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동작감지센서(10)와, 조명부(20)와, 경고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40)와, 제어부(50)를 구비한다.
동작감지센서(10)는 용융아연도금조(5) 주변을 따라 설치된 펜스(7) 내의 영역 또는 펜스(7)에 설치되어 펜스(7)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실시간 전송한다.
조명부(20)는 용융아연도금조(5) 주변 상세하게는 용융아연도금조(5)의 상부에 매달리게 설치되거나 펜스(7)에 설치되어 용융아연도금조(5) 내의 탕면(6) 상에 위험알림용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명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은 온도가 올라가도 색상이 바뀌지 않고 회백색을 유지하는 용융아연의 표면 즉, 탕면(6)상으로 조사되어 탕면(6)상에 적황색의 색상이 표출된다. 이때, 탕면(6)상에 표출되는 적황색의 색상은 작업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용융아연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상기할 수 있다.
경고스피커(30)는 용융아연도금조(5) 주변 상세하게는 펜스(7) 또는 펜스(7) 내의 영역 또는 펜스(7) 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위험알림용 경고음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40)는 용융아연도금조(5) 주변 또는 펜스(7) 또는 펜스(7)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알림용 경고문구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40)에 상시 위험알림용 경고문구가 표시되게 제어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제1제어모드 또는 제2제어모드 또는 제3제어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모드를 실행 또는 진행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40)에 경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실행 또는 진행되는 전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40)에 위험알림용 경고문구가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동작감지센서(10)에서 출력되는 동작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감지정보에 따라 조명부(20)와 경고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40)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자동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50)는 제1제어모드와, 제2제어모드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여 조명부(20)와 경고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40)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펜스(7)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자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0)에 입력하기 위한 자동조작부(60)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50)는 작업자에 의해 자동입력신호가 자동조작부(60)에 입력되고,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펜스(7)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시키도록 설정된다.
제1제어모드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6)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모드는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일 예로, 2~3초)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경고스피커(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3제어모드는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일 예로, 3~4초)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6)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기준시간과 제2기준시간을 '0'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펜스(7)의 도어(8)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8)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도어(8)가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상기 펜스(7)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 감지여부 또는 도어(8)의 개폐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 또는 둘 이상의 제어모드를 작업자가 직접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모드를 독립적으로 실행 또는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수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0)에 입력하기 위한 수동조작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수동조작부(70)를 통해 수동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수동조작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모드로 동작하도록 조명부(20)와 경고스피커(30)와 디스플레이(40)의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수동조작부(70)는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스나우트 장비 또는 Air Knife 설비 등을 정비, 수리, 점검할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어모드별 또는 제어단계별로 작업자들을 교육할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를 이용한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방법은 제1제어단계와, 제2제어단계와, 제3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제어단계와 제2제어단계와 제3제어단계는 상기 펜스(7)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개폐감지센서(80)에서 도어(8)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되게 설정된다.
제1제어단계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6)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조명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단계는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경고스피커(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3제어단계는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6)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조명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용융아연도금조(5) 주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용융아연도금조(5)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재해의 위험성을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 용융아연도금조
6 : 탕면
7 : 펜스
8 : 도어
10 : 동작감지센서
20 : 조명부
30 : 경고스피커
40 : 디스플레이
50 : 제어부
60 : 자동조작부
70 : 수동조작부
80 : 개폐감지센서

Claims (6)

  1.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을 따라 설치된 펜스 내의 영역으로 작업자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내의 탕면에 위험알림용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조 주변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위험알림용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스피커와;
    상기 펜스 또는 상기 펜스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알림용 경고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와 상기 경고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정된 순서로 자동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드와,
    상기 제1제어모드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가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작업자의 동작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자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자동조작부와;
    상기 펜스 내의 영역으로 작업자의 진여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1제어모드 내지 제3제어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작업자가 직접 선택하여 진행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수동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수동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를 이용한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방법에 있어서,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단계와;
    상기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위험알림용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경고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단계와;
    상기 제1제어단계가 시작된 후 설정된 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적황색 색상의 위험알림용 조명광이 상기 탕면상에 점멸상태로 표출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펜스 내의 영역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단계 내지 제3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방법.
KR1020210032067A 2021-03-11 2021-03-11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KR20220127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67A KR20220127594A (ko) 2021-03-11 2021-03-11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67A KR20220127594A (ko) 2021-03-11 2021-03-11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94A true KR20220127594A (ko) 2022-09-20

Family

ID=8344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67A KR20220127594A (ko) 2021-03-11 2021-03-11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759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59A (ko)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레벨, 온도 및 알루미늄 농도 제어장치
KR20150061908A (ko)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엠.이.시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KR101910756B1 (ko) 2014-10-08 2018-10-2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용융 금속 도금 방법 및 용융 아연 도금 강대와 연속 용융 금속 도금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59A (ko) 2002-04-11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레벨, 온도 및 알루미늄 농도 제어장치
KR20150061908A (ko)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엠.이.시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KR101910756B1 (ko) 2014-10-08 2018-10-2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용융 금속 도금 방법 및 용융 아연 도금 강대와 연속 용융 금속 도금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557B2 (en) Steel-strip production apparatus
CN108439115B (zh) 一种无机房电梯智能安全检修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785550B (zh) 逃生指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存储介质
JP2009511383A (ja) 昇降路立入り検知に応答する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
KR20220127594A (ko)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JP2007168962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7433907A (zh) 车辆的显示控制装置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EP320136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des zeitpunktes der zündung bei einem sauerstoffblasverfahren
KR101675646B1 (ko) 가열로의 버너장치
KR970705648A (ko) 냉연 강판의 연속 소둔 방법 및 설비(method of continuous annealing of cold rolled steel plate and equipment therefor)
CN210659677U (zh) 封闭式储坑卸料门的协同控制装置
JP2013071217A (ja) 危険区域への入退管理システム
CN102152970B (zh) 一种智能风动送样系统及其操作方法
CN205472058U (zh) 一种电梯开关门安全提示系统
JP3176548U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3181708A1 (en) Steel-strip production method, and steel strip
TW202005900A (zh) 用以使電梯維修作業時之警告資訊輸出的監視裝置和監視方法
CN214879981U (zh) 控制系统及叉车
JP2016055973A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状況確認装置
CN209182970U (zh) 拉伸矫直生产线供水安全检修平台
CN205427661U (zh) 一种自动控温加热炉
CN209716004U (zh) 一种智能检测火源、智能灭火型通风柜
JP6278038B2 (ja) 熱処理設備の燃焼管理システム
KR20140083951A (ko) 선박의 비상 탈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