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908A -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 Google Patents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908A
KR20150061908A KR1020130146249A KR20130146249A KR20150061908A KR 20150061908 A KR20150061908 A KR 20150061908A KR 1020130146249 A KR1020130146249 A KR 1020130146249A KR 20130146249 A KR20130146249 A KR 20130146249A KR 20150061908 A KR20150061908 A KR 2015006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steel sheet
rolled steel
rust
preven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이.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이.시
Priority to KR102013014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908A/ko
Publication of KR2015006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3/125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the work being a web, band, strip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with means for measuring or sensing
    • C23C2/522Temperature of the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방법은, 냉연강판을 소둔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소둔단계; 상기 열처리된 냉연강판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단계; 알카리성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방청유를 상기 냉연강판으로부터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냉연강판을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된 냉연강판을 아연도금욕에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Method and apparatus for hot-dip galvanizing}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냉연강판에 효과적으로 아연도금을 하는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에 관한 것이다.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한 강판이 냉연강판으로,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표면이 미려하고 평활하여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사용된다.
냉연강판의 표면이 대기와 접촉하는 경우 냉연강판 표면층이 산화되므로, 일반적으로 냉연강판 표면을 도금처리하여 사용한다. 냉연강판의 표면처리에는 대표적으로 아연도금, 주석도금 강판 등이 있으며, 아연도금에는 전기아연도금과 용융아연도금이 있다.
연속적으로 용융아연도금을 하는 연속용융도금설비서, 일반적으로 압연유 탈지, 소둔, 용융도금, 냉각의 단계로 용융도금강판을 생산한다. 냉연강판의 경우 열연강판에 비하여 그 정도가 덜하지만, 냉연강판 표면이 산화되어 냉연강판 표면에 얇은 스케일 막이 형성된다. 냉연강판 표면의 스케일막은 용융아연도금시 아연의 젖음성을 떨어뜨려, 미도금을 유발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85349 (2010.10.04)
본 발명의 목적은 냉연강판 표면에 효과적으로 아연도금을 하는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병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방법은, 냉연강판을 소둔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소둔단계; 상기 열처리된 냉연강판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단계; 알카리성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방청유를 상기 냉연강판으로부터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냉연강판을 산성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된 냉연강판을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된 냉연강판을 아연도금욕에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둔온도는, 440 ~ 660˚C일 수 있다.
상기 알카리성용액은, 수소이온농도지수가 8 ~ 13pH일 수 있다.
상기 산성용액은, 염산이 0.1 ~ 5wt%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는, 500 ~ 650˚C일 수 있다.
상기 아연도금욕은, 알루미늄이 0.13 ~ 1wt%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연도금욕은, 마그네슘이 0.2 ~ 0.3 wt%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설비는, 방청장치 및 도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장치는, 방청처리된 방청냉연강판을 연속적으로 권출하는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 상기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방청냉연강판 표면의 방청유를 알카리성용액을 이용하여 탈지하되, 상기 알카리성용액의 수소이온농도가 8 ~ 13pH인 탈지조; 상기 방청유가 탈지된 방청냉연강판을 산성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되, 상기 산성용액은 염산이 0.1 ~ 5wt%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인 산세조; 상기 산세된 방청냉연강판을 500 ~ 650˚C로 가열하는 가열로; 아연도금욕을 저장하여 상기 가열된 방청냉연강판을 통과시켜 아연도금을 하되, 상기 아연도금욕은 알루미늄이 0.13 ~ 1wt%, 마그네슘이 0.2 ~ 0.3wt% 포함된 용융도금조; 상기 아연도금된 상기 방청냉연강판을 냉각시키는 도금냉각대; 및 상기 냉각된 방청냉연강판을 코일형상으로 권취하는 도금강판 코일러를 포함한다.
상기 방청장치는, 냉연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냉연강판 언코일러; 상기 냉연강판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연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하는 압연유 탈지조; 상기 압연유가 탈지된 냉연강판을 440 ~ 600˚C로 열처리하는 소둔가열로; 상기 열처리된 냉연강판을 냉각하는 소둔냉각대; 상기 냉각된 냉연강판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유 도포기; 및 상기 방청유가 도포된 냉연강판을 코일형상으로 권취하는 방청냉연강판 코일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규모의 가열로에 의해서도 냉연강판을 가열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으므로, 공장 설비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방청유 도포에 따라 냉연강판을 장시간 보관하여도 스케일 발생의 위험도가 낮아지므로,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아연도금강판 생산이 가능하다.
방청유 탈지 후 약산성용액에 산세하므로, 냉연강판 표면에 남아있는 얇은 스케일층을 제거하여 미도금 발생을 저지한다. 따라서 아연도금강판의 불량률이 줄어든다.
도 1은 종래의 용융아연도금설비 및 용융아연도금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설비 및 용융아연도금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쇳물을 가공해 나온 평평한 판재 모양의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를 고온으로 가열한 뒤 누르고 늘여서 두께를 얇게 만든 강판이 열연강판이다. 냉연강판은 냉간압연강판의 줄임말로서, 열연강판의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고 압연한 후 소둔과 조질압연을 거쳐 생산된다.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표면이 미려하고 평활하며 가공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에 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의 차제, 계측기, 전기제품 등의 내구 소비재에 주로 사용된다.
냉연강판을 바로 최종 소비재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 대기와 접촉되는 냉연강판의 표면이 산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산화방지를 위해, 냉연강판을 최종 소비재로 가공하기 전 또는 최종소비재로 가공한 후 아연도금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아연도금은 강판 표면에 아연이 부착되어 아연은 부식되고 철은 방식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아연도금방법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용융아연도금과 전기아연도금으로 나뉘며, 본 발명은 용융시킨 아연에 냉연강판을 담가 표면에 아연층을 형성시키는 용융아연도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용융아연도금방법은 일반적으로 권출, 압연유 탈지, 소둔, 도금, 냉각, 권취의 단계를 거쳐서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한다.
종래의 용융아연도금설비(4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융아연도금설비(400)의 일측에는 언코일러(10)가 위치하며, 냉연강판(1)을 연속적으로 권출하여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 공장에서 생산된 냉연강판(1)의 표면에는 압연유가 묻어있다. 압연유는 냉간압연시 강판과 롤 사이의 윤활을 목적으로 하는 유제로서, 냉연강판(1) 표면에 압연유가 잔존하는 경우 용융아연도금시 냉연강판 표면에 미도금을 유발한다.
냉연강판 표면에 잔존하는 압연유(1)의 제거를 위해 언코일러(10) 후방에는 압연유 탈지조(30)가 위치하며, 압연유 탈지조(30)에서는 언코일러(10)에서 공급되는 냉연강판(1)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한다. 압연유 탈지조(30)에서 알칼리성 탈지제를 이용하여 냉연강판(1)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한다.
압연유 탈지조(30)의 후방에는 소둔가열로(40)가 위치한다. 압연유 탈지조(30)에서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한 냉연강판(1)은 소둔가열로(40)로 이동하며, 소둔온도로 가열하여 상온으로 냉각되는 열처리를 거치게 된다. 소둔가열로(40)에서 냉연강판(1)을 열처리함에 따라 냉연강판(1)의 가공도가 높아진다.
소둔가열로(40) 후방에는 용융도금조(50)가 위치한다. 용융도금조(50)는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용융된 아연을 포함한 아연도금욕을 저장한다. 냉연강판(1)은 용융도금조(50)에 저장된 아연도금욕을 통과하여 냉연강판(1) 표면에 아연층이 형성된다.
용융도금조(50)의 후방에는 냉각대(60)가 위치하여, 용융도금된 냉연강판(1)을 냉각한다. 냉각된 냉연강판(1)은 코일러에 권취되어 최종 소비재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이송된다.
종래의 용융도금설비(400) 및 용융도금방법에서는 강판 공장에서 이송되는 냉연강판(1)의 표면에 얇은 산화막이 존재하여, 도금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또한 강판 공장에서 사용되는 압연유의 냉연강판(1) 표면 잔존 여부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도금 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용융도금설비(400) 및 용융도금방법에서의 도금 불량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설비 및 용융아연도금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용융아연도금설비(500,600)는 방청장치(500)와 도금장치(600)를 포함한다.
방청장치(500)의 일측에는 냉연강판 언코일러(110)가 위치하여 강판공장에서 생산되어 이송된 냉연강판(1)을 연속적으로 권출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냉연강판(1)은 통상의 저탄소강, 극저탄소강 뿐만 아니라 고강도 냉연강판도 포함한다.
냉연강판 언코일러(110) 후방에는 압연유 탈지조(130)가 위치하여, 냉연강판 언코일러(110)로부터 공급되는 냉연강판(1)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한다. 압연유 탈지조(130) 후방에는 소둔가열로(140)가 위치하여, 소둔가열로(140)에서 압연유가 탈지된 냉연강판(1)을 소둔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한다.
상기 소둔온도는 냉연강판(1) 온도 기준으로 440 ~ 600˚C이며, 냉연강판(1)의 가열 방법으로는 전기히터 또는 인덕션히터에 의하는 방법이 있다. 소둔가열로(140) 내부의 분위기는 이슬점 온도가 약 -20˚C 이하, 수소 농도는 약 5 ~ 20%인 질소분위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둔가열로(140) 후방에는 소둔냉각대(160)가 위치하여, 소둔가열로(140)에서 가열된 냉연강판(1)을 냉각한다.
소둔냉각대(160) 후방에는 방청유 도포기(170)가 설치되어, 열처리된 냉연강판(1)의 표면에 방청유를 도포한다. 방청유는 냉연강판(1)의 표면에 기름 보호막을 형성하여, 냉연강판(1)의 보관, 수송, 보존 등의 기간 동안 공기 중의 산소나 수분을 차단하므로 냉연강판(1) 표면의 산화를 방지한다. 방청유는 냉연강판(1) 표면에 0.05 ~ 5g/m2의 양으로 고르게 도포한다.
방청유 도포기(170) 후방에는 방청냉연강판 코일러(120)가 설치되어 방청유가 도포된 냉연강판(1)을 코일 형태로 권취한다. 방청냉연강판 코일러(120)에서 방청유 도포 및 권취된 냉연강판(1)은 도금장치(600)로 이송(300)된다.
도금장치(600)의 일측에는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210)가 설치되어 방청장치(500)로 부터 이송된 방청냉연강판(11)을 연속적으로 권출한다.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210) 후방에는 방청유 탈지조(180)가 위치하여,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210)로부터 공급되는 방청냉연강판(11) 표면의 방청유를 탈지한다. 탈지제로서는 NaOH수용액 등의 알카리성용액이 사용되며, 알카리성용액의 수소이온농도는 8 ~ 13pH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청유 탈지조(180) 후방에는 산세조(190)가 위치한다. 방청유 탈지조(180)에서 방청유가 탈지된 방청냉연강판(11)은 산세조(190)에서 산성용액에 침지되어 표면의 산화물이 제거된다.
상기 산성용액은 염산, 황산, 질산용액이 사용 가능하나, 환경보호 측면에서 재활용이 용이한 염산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산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은, 염산이 0.1 ~ 5 wt%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산이 0.1wt% 미만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에 방청냉연강판(11)을 침지하는 경우 방청냉연강판(11) 표면의 산화막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염산이 5wt% 이상 포함된 산성수용액에 방청냉연강판(11)을 침지하는 경우 방청냉연강판(11)이 표면 스케일 뿐만 아니라 방청냉연강판(11) 자체가 부식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산세조(190) 후방에는 가열로(240)가 위치한다. 산세조(190)에서 표면 스케일이 제거된 방청냉연강판(11)은 가열로(240)로 이동하여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가열온도는 500 ~ 650˚이다. 가열온도가 650˚C 이상이 되는 경우, 방청냉연강판(11)의 표면에 난도금성분이 포화되어 산화물을 형성하므로, 미도금이 발생할 수 있다.
가열로(240)의 후방에는 용융도금조(150)가 위치하며, 용융도금조(150)에는 아연도금욕이 저장되어 있다. 아연의 녹는점은 약 420˚C 이므로, 방청냉연강판(11)에의 붙임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아연도금욕의 온도는 440 ~ 480˚C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도금욕에는 알루미늄이 0.13 ~ 1wt% 포함되는 것이 내식성의 극대화에 바람직하다. 아연도금욕에 마그네슘이 0.2 ~ 0.3 wt% 더 포함된 경우, 표면에 스팽글 생성을 억제하여 미려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도금강판의 내식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 아연도금욕에는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외에도 기타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융도금조(150) 후방에는 도금냉각대(260)가 위치하며, 용융도금조(150)에서 도금된 방청냉연강판(11)을 냉각한다.
도금냉각대(260) 후방에는 도금강판 코일러(220)가 위치하며, 아연도금 후 냉각된 방청냉연강판(11)을 코일 형태로 권취한다. 코일 형태로 권취된 방청냉연강판(11)은 제조설비로 운반되어 최종 소비재 생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게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냉연강판 10: 언코일러
11: 방청냉연강판 20: 코일러
30: 압연유 탈지조 40: 소둔가열로
50: 용융도금조 60: 냉각대
110: 냉연강판 언코일러 120: 방청냉연강판 코일러
130: 압연유 탈지조 140: 소둔가열로
150: 용융도금조 160: 소둔냉각대
170: 방청유 도포기 180: 방청유 탈지조
190: 산세조 210: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
220: 도금강판 코일러 240: 가열로
260: 도금냉각대 300: 운반되는 방청냉연강판코일
400: 종래의 용융아연도금설비 500: 방청장치
600: 도금장치

Claims (9)

  1. 냉연강판을 소둔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소둔단계;
    상기 열처리된 냉연강판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단계;
    알카리성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방청유를 상기 냉연강판으로부터 제거하는 탈지단계;
    상기 탈지된 냉연강판을 산성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산세단계;
    상기 산세된 냉연강판을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된 냉연강판을 아연도금욕에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는 용융아연도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온도는,
    440 ~ 600˚C인 용융아연도금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성용액은,
    수소이온농도지수가 8~13pH인 용융아연도금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용액은,
    염산이 0.1 ~ 5wt%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인 용융아연도금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온도는,
    500~650˚C인 용융아연도금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욕은,
    알루미늄이 0.13 ~ 1wt% 포함된 용융아연도금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욕은,
    마그네슘이 0.2 ~ 0.3wt% 더 포함된 용융아연도금방법.
  8. 방청장치 및 도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장치는,
    방청처리된 방청냉연강판을 연속적으로 권출하는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
    상기 방청냉연강판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방청냉연강판 표면의 방청유를 알키리성용액을 이용하여 탈지하되, 상기 알키리성용액의 수소이온농도가 8 ~ 13pH인 탈지조;
    상기 방청유가 탈지된 방청냉연강판을 산성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되, 상기 산성용액은 염산이 0.1 ~ 5wt% 포함된 약산성수용액인 산세조;
    상기 산세된 방청냉연강판을 500 ~ 650˚C로 가열하는 가열로;
    아연도금욕을 저장하여 상기 가열된 방청냉연강판을 통과시켜 아연도금을 하되, 상기 아연도금욕은 알루미늄이 0.13 ~ 1wt%, 마그네슘이 0.2 ~ 0.3 wt% 포함된 용융도금조;
    상기 아연도금된 방청냉연강판을 냉각시키는 도금냉각대; 및
    상기 냉각된 방청냉연강판을 코일형상으로 권취하는 도금강판 코일러를 포함하는 용융아연도금설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장치는,
    냉연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냉연강판 언코일러;
    상기 냉연강판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연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탈지하는 압연유 탈지조;
    상기 압연유가 탈지된 냉연강판을 440 ~ 600˚C로 열처리하는 소둔가열로;
    상기 열처리된 냉연강판을 냉각하는 소둔냉각대;
    상기 냉각된 냉연강판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유 도포기; 및
    상기 방청유가 도포된 냉연강판을 코일형상으로 권취하는 방청냉연강판 코일러를 포함하는 용융아연도금설비.
KR1020130146249A 2013-11-28 2013-11-28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KR20150061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49A KR20150061908A (ko) 2013-11-28 2013-11-28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49A KR20150061908A (ko) 2013-11-28 2013-11-28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08A true KR20150061908A (ko) 2015-06-05

Family

ID=5349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249A KR20150061908A (ko) 2013-11-28 2013-11-28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9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4535A (zh) * 2018-09-29 2019-03-12 浙江步丹工贸有限公司 一种小型构件的除锈浸塑设备及其加工工艺
KR20220127594A (ko) 2021-03-11 2022-09-20 (주)스텝이엔지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CN115216716A (zh) * 2022-05-30 2022-10-21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KR20230175043A (ko) 2022-06-22 2023-12-29 와이제이산업(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용융아연도금 도막 두께 최적화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4535A (zh) * 2018-09-29 2019-03-12 浙江步丹工贸有限公司 一种小型构件的除锈浸塑设备及其加工工艺
CN109454535B (zh) * 2018-09-29 2024-01-30 浙江步丹工贸有限公司 一种小型构件的除锈浸塑设备及其加工工艺
KR20220127594A (ko) 2021-03-11 2022-09-20 (주)스텝이엔지 용융아연도금조 화상 위험 다단계 경고장치
CN115216716A (zh) * 2022-05-30 2022-10-21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CN115216716B (zh) * 2022-05-30 2023-09-08 山东嘉隆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压镀锌板
KR20230175043A (ko) 2022-06-22 2023-12-29 와이제이산업(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용융아연도금 도막 두께 최적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6185B2 (ja) 外観が改善された被覆金属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方法
JP6348105B2 (ja) 犠牲カソード防食を提供するコーティングを備えた鋼板、こうした鋼板を用いる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得られた部品
US20050252262A1 (en) Hot press forming method, and a plated steel material theref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251078B2 (ja) 容器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CA2887936C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aluminized packaging steel
KR20150061908A (ko) 용융아연도금방법 및 용융아연도금설비
KR101665883B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도금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1840A (ko) 가공성 및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20037746A (ja) 金属被覆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KR20150073315A (ko)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762633B2 (ja) 溶融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768871B2 (ja) クロム含有鋼の溶融被覆方法
KR101543913B1 (ko) 표면외관이 우수한 합금도금강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H08325689A (ja) 潤滑性、化成処理性に優れた溶融亜鉛系めっき熱延鋼板の製造設備
US20130011693A1 (en) Metal coated steel strip
CN110358903A (zh) 一种热镀锌钢带的生产工艺
Kukhar et al. Analysis of galvanized steel sheets fabrication in cold rolling shop and identification of local impacts contributing to corrosion of metal-products
JP2007291445A (ja) 濡れ性、ふくれ性に優れた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の製造方法
US20190085445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coating a scaled hot-rolled strip
JP2983404B2 (ja) Mg含有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連続焼鈍・酸洗浄同一ライン処理方法
JP3205292B2 (ja) 耐食性および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6183147A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設備
CN108754381A (zh) 一种钢带镀铝锌铬的连续生产方法
JP5565191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
JP4855290B2 (ja) 溶融亜鉛メッキ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