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417A -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417A
KR20220126417A KR1020210030635A KR20210030635A KR20220126417A KR 20220126417 A KR20220126417 A KR 20220126417A KR 1020210030635 A KR1020210030635 A KR 1020210030635A KR 20210030635 A KR20210030635 A KR 20210030635A KR 20220126417 A KR20220126417 A KR 20220126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image
lines
information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566B1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케이 filed Critical (주)비케이
Priority to KR102021003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66B1/ko
Priority to US17/690,971 priority patent/US11670018B2/en
Publication of KR2022012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각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들과 작업환경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설정을 변경하여 갱신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단계 및 (e) 벡터 이미지의 갱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종래의 벡터 이미지의 일괄재생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화가가 그린 장면을 녹화한 것과 같이 벡터선들의 정보 외에도 작업환경까지 매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METHOD FOR REPLAYING VECTOR IMAGE}
본 발명은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나 태블릿 PC, 컴퓨터 단말을 이용해서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이미지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크게 비트맵(bitmap)과 벡터(vector)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모바일 기기에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비트맵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벡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서 화면에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트맵 방식은 한 개의 픽셀(pixel) 당 색상 정보만을 포함함에 따라, 나중에 사용자가 수정이나 변경을 하려면 픽셀 별로 색상만 변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그려진 그림과 글씨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그려진 그림과 글씨가 픽셀별로 색상정보가 아닌 선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스(vector graphics) 방식이 개발되었다.
상기 벡터 그래픽스는 컴퓨터 과학에서 그림을 보여줄 때 수학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점, 직선, 곡선, 다각형과 같은 물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벡터 그래픽스 기술은 그래픽 화면에 나타나는 선분이나 곡선을 따라 전자 빔이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화면에 영상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이는 선으로 된 그림의 처리에 편리하고 해상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즉, 벡터 그래픽스는 주어진 2차원이나 3차원 공간에 선이나 형상을 배치하기 위해 일련의 명령어들이나 수학적 표현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만든다.
물리학에서의 벡터는 양과 방향을 둘 다 동시에 갖는 것을 말한다.
한편, 벡터 그래픽스에서는 아티스트들의 창작 활동 결과물인 그래픽 파일이 일련의 벡터 서술문의 형태로 창작되고 저장된다. 예를 들면, 벡터 그래픽스 파일에는 선을 그리기 위해 각 비트들이 저장되어 있는 대신에, 연결될 일련의 점의 위치가 들어 있다. 이로 인해 파일 크기가 작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상기 벡터 방식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선들의 작업순서 인덱스, 선 안내 저장된 좌표값들, 선의 굵기, 선의 색상, 선의 모양, 이미지를 그리기 위해 사용된 펜의 종류, 사용된 브러시의 종류, 선의 투명도, 펜이 눌려진 압력을 나타내는 필압 등의 정보들(이하 '벡터선의 정보들'이라 약칭함)이 포함된다.
따라서, 종래의 비트맵 방식의 이미지가 최종 결과본만 가지는 반면, 상기 벡터 방식은 작업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저장된 각선(each stroke)들을 다시 불러와서 다시 그리거나 수정이 가능한 방식이다.
한편, 종래의 벡터 이미지 방식은 오로지 선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그림과 글씨를 그리는 당시의 작업환경 정보나, 사용자가 그림과 글씨를 그리는 실제 방법을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벡터 이미지 방식도 실제 작업과정을 동영상으로 녹화한 것과는 다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실제 화면 크기와 비율을 어떻게 설정하여 그렸는지, 색상을 어떤 방식으로 선택했는지 등, 실제 작업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제 작업환경과 동일하게 재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벡터 이미지는 오로지 작업순서로만 저장됨에 따라, 특정 부분만 따로 재생하거나, 특정 색상만 재생해서 사용자가 특정 부분만 따로 감상할 수가 없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그린 그림 중에 눈을 그리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보고 싶은 경우에도, 종래의 벡터 이미지 방식은 그림 전체를 재생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상당한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또한, 벡터로 글씨를 그려서 친구에게 보낼 때에는 다양한 소통의 방법이 가능하나, 종래의 벡터 이미지 재생방법은 전체 작업과정을 일괄적으로 재생함에 따라, 사용자들 간의 감정소통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비트맵 방식은 이미지로 소통하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나,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거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다수의 채팅 참여자들이 턴방식으로 그림을 그려 서로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아이디어의 공유나 의사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턴방식 그림 채팅 방법 기술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 받은 바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트맵 방식과 벡터 이미지 재생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림을 좀 더 쉽게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그림을 쉽게 배울 수 있고, 사용자 간에 그림으로 감정을 더 재미있게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57581호(2018년 5월 14일 공고)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 기술는 그림의 작업과정에 대한 재생기술은 없었기 때문에, 주로 동영상을 녹화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과거에는 HD급 동영상으로도 충분하였으나, 모바일 기기 및 각종 디스플레이들이 대부분 4K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제공하는 방법에는 다른 불편한 점도 많았으나, 특히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과도한 데이터로 인한 버퍼링이나 요금문제 보다, 작업순서가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활용하여 재생하면 4K화질에 데이터는 10MBytes 이내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특허문헌 1에서는 벡터로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벡터 이미지 재생기술에도 단순히 선단위별로 작업과정을 보여주는 줌에 따라, 여러가지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즉, 실제 그림을 그리는 작업과정에서는 색상을 선택하는 장면이나, 레이어별로 작업하거나, 각종 설정창과 같은 다양한 실제 작업과정들이 존재하나, 종래의 벡터 이미지 재생기술에서는 작업과정의 결과물인 선들의 작업과정만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이나 특정 색상부분만을 따로 감상하거나, 또는 특정 부분만 반복적으로 감상하거나, 문자를 그려서 상호 소통하는 방법에서 특정 문귀나 문자를 강조하거나 감정표현에 이용하는 등 벡터 이미지를 다양하게 재생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의 작업 과정을 저장하고, 저장된 작업 과정을 실제 작업환경과 동일하게 재생하며, 감상하는 화면의 확대하거나 축소해서 재생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벡터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저장된 작업순서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은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이 이루어진 각 벡터선들의 작업단계별로 저장되는 순차적 작업순서들과 벡터선들의 정보들이 저장되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해, (a)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각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들과 작업환경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설정을 변경하여 갱신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단계 및 (e) 벡터 이미지의 갱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벡터 이미지의 일괄재생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화가가 그린 장면을 녹화한 것과 같이 벡터선들의 정보 외에도 작업환경까지 매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당시의 화면크기와 비율, 설정창들의 사용현황 등을 같이 볼 수가 있고, 사용자가 전체 벡터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을 색상이나 다각형, 또는 획단위 선택선을 그려서 부분적으로 선택해서 선택된 부분만 재생하거나 반복재생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부분만 감상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림을 배우거나 부분적 감상에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글씨를 그려서 상대방과 그림소통을 할 때에도 재생순서를 변경하여 보내거나 반복하거나 강조하여 상대방에서 전송 또는 재전송함으로써, 감정소통을 보다 재미있게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모바일 기기에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작업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그림을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벡터 이미지에 포함된 펜선택창과 레이어창 및 색상창을 함께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각각 사용자로부터 특정 색상을 선택받고, 선택된 색상의 획들을 먼저 재생한 후에 나머지획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한 가지 색상이 아닌 복수의 색상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색상별로 재생 순서를 설정하고, 나머지 획들을 원래의 작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13은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이미지에서 특정 색상영역을 선택해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문자 ABC를 벡터선으로 그린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
도 15는 획단위 선택선을 이용해서 작업순서를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비선택선의 재생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6은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비선택선의 재생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벡터 이미지에서 영역을 선택해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18과 도 19는 각각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해서 강조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redo)과 되살리기(undo)를 이용한 재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나 태블릿 PC, 컴퓨터 단말(이하 '모바일 기기'라 약칭함)을 이용해서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즉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의 각각의 작업단계들에서 실제 사용자가 작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설정창을 제공하고, 실제 작업 과정에 따른 작업환경 정보를 벡터 정보에 함께 저장해서 실제 작업화면을 녹화한 것과 같이 벡터 정보로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벡터 방식으로 저장된 이미지의 각각의 작업단계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작업 순서를 변경하여 재생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재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은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컴퓨터 단말 등에서 동작을 제어하거나,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활성화된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컴퓨터 단말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는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그림이나 글씨 등이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모바일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벡터 방식으로 그려지는 이미지의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벡터 방식으로 그려지는 이미지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색상이나 크기를 변경하며, 재생 순서를 변경해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이 이루어진 각 벡터선들의 작업단계별로 저장되는 순차적 작업순서들과 벡터선들의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은 (a)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각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들과 작업환경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설정을 변경하여 갱신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단계 및 (e) 벡터 이미지의 갱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S10단계에서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불러 로딩하고,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정보를 추출한다.
S12단계에서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S12단계의 검사결과 특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 설정을 변경한다(S14). 이때, 재생 설정은 재생순서, 재생방법, 구간반복, 강조포인터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12단계의 검사결과 특정 영역이 미선택되거나, S14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재생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16).
만약, S16단계의 검사결과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재생 설정에 따라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S18).
반면, S16단계의 검사결과 재생 요청이 미입력되거나, S18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한 후, 제어부는 벡터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종료한다.
S10단계에서 추출되는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는 벡터선들 내에 있는 재생순서와 재생을 시작할 벡터선의 시작점, 반복재생을 종료하는 끝점, 반복횟수와 강조 포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조 포인터 정보는 반복할 때 반복구간 내에 있는 벡터선들의 색상, 굵기와 선의 종류와 '지웠다가 다시그리기(Redraw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특정 색상 또는 특정 색상영역을 설정해서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 형상을 그려서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벡터선들이 미선택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전체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다.
S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획단위 선택선을 그려서 상기 획단위 선택선과 접촉하는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S14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선들을 각각 재생순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S18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선택된 벡터선들만 재생할 수 있다.
S18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선택된 벡터선들만 재생한 후 미선택된 벡터선들을 재생하거나, 미선택된 벡터선들을 먼저 재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을 나중에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벡터선들의 작업환경 정보는 각 작업단계에서 사용한 각종 설정창의 위치와 크기를 정보, 화면확대 크기와 화면위치 정보 및 작업 레이어의 위치와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8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환경 정보들에 따라 각 작업 단계별로 각종 설정창의 위치와 크기 정보, 화면확대 크기와 화면 위치 정보 및 작업 레이어의 위치와 순서 정보를 실제 작업과 동일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와 종래기술을 대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작업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비트맵 방식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픽셀당 색상 정보만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비트맵 방식은 그려진 그림의 크기를 확대하면, 그림이 일그러지게 된다.
반면, 벡터 방식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의 길이, 굵기, 색상, 좌표값, 작업순서, 펜 타입, 패턴, 필압 등의 각종 펜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벡터 방식은 확대를 하더라도 선 내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서 다시 그리는 방식이므로, 좋은 품질의 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그림을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벡터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작업과정이 아닌, 그림을 그린 전개도처럼 부분 부분을 세밀하게 그리는 작업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벡터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을 재생재생할 때의 재생과정을 전체 화면비율로 간단하게 재생할 수만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 재생방법은 실제 화가가 작업할 때의 화면 비율과 크기, 각종 설정창들이 작업 당시와 동일하게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실제 재생방법은 마치 작업과정을 동영상으로 녹화한 것과 같은 재생화면을 보여줌에 따라, 사용자는 작업과정을 녹화한 것과 같은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벡터 이미지에 포함된 펜선택창과 레이어창 및 색상창을 함께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당시의 선을 선택하는 장면, 레이어(Layer) 작업들, 선의 밝기 조절, 화면 비율들이 실제로 재생되는 장면을 재생할 수 있다.
레이어 작업으로 대다수의 그림을 그리는 사용자, 즉 화가들은 그림을 그리는 대상을 부분별로 나눠서 그리는 것을 선호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작업으로 그리는 것이 보통의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벡터 이미지 재생 기술은 이러한 레이어의 작업과정을 보여줄 수가 없으나, 본 발명은 레이어 작업도 실제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하게 보여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사용자로부터 특정 색상을 선택받고, 선택된 색상의 획(stroke)들을 먼저 재생한 후에 나머지획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벡터 이미지에서 특정 색상을 선택하여 선택된 색상만 재생하는 예시로 도 9의 (a)에서 RGB(0, 0, 0)색상만 선택하는 예시이고, 도 8의 (b)는 선택된 색상의 글씨만 재생한 예시이다.
도 9의 (a)에는 벡터 방식으로 검정색인 RGB(0,0,0)과 회색인 RGB(127, 127, 127)로 그린 문자 'ABCDEFG'에서 RGB(0, 0, 0) 색상만 선택한 상태가 예시되어 있고, 도 9의 (b)에는 선택된 색상의 글씨만을 재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9의 (a)에서 선택한 RGB(0, 0, 0) 색상만 선택해서 선택된 색상의 문자 영역을 먼저 재생한 후, 나머지 색상들을 원래의 작업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11은 한 가지 색상이 아닌 복수의 색상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색상별로 재생 순서를 설정하고, 나머지 획들을 원래의 작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에는 종래의 벡터 이미지 기술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그려진 문자 "A B C D E F G"가 예시되어 있고, 도 11의 (b)에는 한 가지 색상, 즉 RGB(191, 191, 191)을 지정해서 선택해서 재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11의 (c)에는 여러 개의 색상 영역을 선택하여 선택된 벡터의 글씨를 원래의 재생순서대로 재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벡터 이미지 기술로 그려진 문자 "A B C D E F G"를 색상별로 선택하고, 재생순서를 변경해서 설정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13은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이미지에서 특정 색상영역을 선택해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는 검정색 색상영역 RGB(0,0,0)부터 RGB(50,50,50)까지 선택하여 먼저 재생하고, 나머지 획들은 재생하지 않고 종료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b)에는 도 13의 (a)에 도시된 검정색 색상영역 RGB(0,0,0)부터 RGB(50,50,50)까지 실제 벡터 그림에서 1단계로 재생한 후, 나머지 색들까지 원래의 작업 순서에 따라 2단계로 전부 재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14는 문자 ABC를 벡터선으로 그린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획단위 선택선을 이용해서 작업순서를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에는 사용자가 그림이 아닌 문자를 판서할 때, 문자 ABC를 벡터선으로 그리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서 그린 문자 ABC의 작업순서를 획단위(stroke unit, line unit) 선택선을 이용해서 작업순서를 선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획단위 선택선은 도 15에서 문자 'B'의 세로선을 먼저 접촉하여 재생 1순위 설정하고, 문자 'B'의 나머지선을 2순위로 접촉하여 설정하며, 문자 'C'를 3순위로 접촉하여 재생 3순위로 설정하고, 문자 'A'의 람다 모양의 'Λ'을 접촉하여 재생 4순위로 설정하며, 마지막으로 문자 'A'의 가로선에 접촉하여 마지막으로 재생 5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재생 순위에 따라 벡터 이미지의 각 문자들이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도 16은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비선택선의 재생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벡터선들을 재생하지 않거나, 선택선들을 먼저 재생한 후 그 다음으로 재생하거나, 비선택선들을 먼저 재생하고 선택선들을 나중에 재생하는 방법을 옵션으로 쉽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벡터 이미지에서 영역을 선택해서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a)에는 사용자가 다각형을 그려서 재생할 벡터선들 선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의 (b)에는 선택된 벡터선들만 재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벡터 이미지에서 다각형을 그려서 다각형 내에 있는 벡터선들만을 재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타원 형상 등으로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선택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벡터선들만을 재생하거나, 순차적으로 재생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벡터 방식으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린 후 특정 그림이나 글씨를 강조하기 위해, 재생순서를 추가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재생하거나,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선택된 그림과 글씨만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각각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해서 강조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a)에는 사용자가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문자 'six'를 선택하고, 반복 횟수와 반복할 내용 및 반복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의 (b)에는 도 18의 (a)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반복 재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서는 문장 'Let's meet at six o'clock'을 그린 후, 단어 'six'를 선택하고, 반복 내용을 '다시 나타내기'로 설정해서 3회 반복 재생하도록 설정해서 시간을 강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글씨를 그려서 상대방과 감정을 소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 선택선들만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19에는 선택한 벡터선들의 색상을 변경해서 설정하고, 설정된 벡터선들을 강조하여 반복 재생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강조한 시간의 색상을 강조하여 2회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은 구간 반복과 강조, 색상 변경을 통한 다양한 기법으로 글씨를 그려서 감정을 소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를 변경하거나,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벡터 이미지의 일괄재생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화가가 그린 장면을 녹화한 것과 같이 벡터선들의 정보 외에도 작업환경까지 매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즉, 종래에는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작업과정이 저장된 그림과 글씨를 실제 화가들이 작업할 때의 작업환경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종래의 그림에 대한 작업과정만 볼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실제로 작업하던 환경을 같이 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전체 벡터 이미지 중에 일부를 선택적으로 반복 재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학교나 학원, 개인적인 취미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림 문자로 반복 재생 또는 강조를 통한 소통도 가능하므로, 모바일 기기의 문자를 대신하여 새로운 수정 및 재생 반복가능한 그림 문자로 사용 가능하다.

Claims (12)

  1.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이 이루어진 각 벡터선들의 작업단계별로 저장되는 순차적 작업순서들과 벡터선들의 정보들이 저장되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각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들과 작업환경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설정을 변경하여 갱신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단계 및
    (e) 벡터 이미지의 갱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추출되는 벡터선들의 재생정보는 벡터선들 내에 있는 재생순서와 재생을 시작할 벡터선의 시작점, 반복재생을 종료하는 끝점, 반복횟수와 강조 포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포인터 정보는 반복할 때 반복구간 내에 있는 벡터선들의 색상, 굵기와 선의 종류와 '지웠다가 다시그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벡터선들이 미선택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전체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특정 색상 또는 특정 색상영역을 설정해서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 형상을 그려서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벡터선들의 영역을 선택받는 방법은 획단위 선택선을 그려서 상기 획단위 선택선과 접촉하는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벡터선들을 각각 재생순서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선택된 벡터선들만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선택된 벡터선들만 재생한 후 미선택된 벡터선들을 재생하거나, 미선택된 벡터선들을 먼저 재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을 나중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선들의 작업환경 정보는 각 작업단계에서 사용한 각종 설정창의 위치와 크기 정보, 화면확대 크기와 화면위치 정보 및 작업 레이어의 위치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벡터 이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환경 정보에 따라 각 작업 단계별로 각종 설정창의 위치와 크기 정보, 화면확대 크기와 화면 위치 정보 및 작업 레이어의 위치와 순서 정보를 실제 작업과 동일하게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1020210030635A 2021-03-09 2021-03-09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10255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35A KR102558566B1 (ko) 2021-03-09 2021-03-09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US17/690,971 US11670018B2 (en) 2021-03-09 2022-03-09 Method for replaying vector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35A KR102558566B1 (ko) 2021-03-09 2021-03-09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17A true KR20220126417A (ko) 2022-09-16
KR102558566B1 KR102558566B1 (ko) 2023-07-24

Family

ID=8319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35A KR102558566B1 (ko) 2021-03-09 2021-03-09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70018B2 (ko)
KR (1) KR102558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577B1 (ko) * 2021-05-31 2022-07-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쌍방향 참여형 그림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5333A1 (en) * 2010-03-05 2013-12-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Editing content using multiple touch inputs
KR20150135056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70285930A1 (en) * 2016-04-01 2017-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cument content replay
KR101857581B1 (ko) 2016-04-27 2018-05-14 박재현 턴방식 그림 채팅 방법 및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80349020A1 (en) * 2017-06-02 2018-12-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Content
KR20200017174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0132639A (ja) * 2019-02-13 2020-08-31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ヘミアスタリン誘導体及びこれらの抗体薬物複合体を含有する医薬
JP2020154766A (ja) * 2019-03-20 2020-09-24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4593B2 (ja) * 1995-09-27 2002-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可逆変換可能な変換装置及び逆変換装置
CA2563478A1 (en) * 2004-04-16 2005-10-27 James A. Aman Automatic event videoing, tracking and content generation system
DE102007032812A1 (de) * 2007-07-13 2009-01-22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s Komplexitätsvektors für zumindest eines Teils einer SVG Szene, sowie 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m Überprüfen einer Abspieltauglichkeit zumindest eines Teils einer SVG-Szene auf einem Gerät
US9381429B2 (en) * 2010-02-24 2016-07-05 Valve Corporation Compositing multiple scene shots into a video game clip
US20140313216A1 (en) * 2013-04-18 2014-10-23 Baldur Andrew Steingrimss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Image Sketches
FR3011412A1 (fr) * 2013-09-27 2015-04-03 Orange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ntre au moins un premier terminal et un deuxieme terminal
EP3072039B1 (en) * 2013-11-19 2019-08-14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10614607B2 (en) * 2016-06-12 2020-04-07 Apple Inc. Playback of handwritten message
US10521937B2 (en) * 2017-02-28 2019-12-31 Corel Corporation Vector graphics based live sketching methods and systems
CN110442280B (zh) * 2018-08-09 2022-12-23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移动终端以及信息处理系统
US11200708B1 (en) * 2020-08-13 2021-12-14 Adobe Inc. Real-time color vector preview generation
US11275500B1 (en) * 2020-12-30 2022-03-15 Linearity Gmbh Graphics authoring application user interface control
KR102573822B1 (ko) * 2021-02-04 2023-09-04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5333A1 (en) * 2010-03-05 2013-12-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Editing content using multiple touch inputs
KR20150135056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70285930A1 (en) * 2016-04-01 2017-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cument content replay
KR101857581B1 (ko) 2016-04-27 2018-05-14 박재현 턴방식 그림 채팅 방법 및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80349020A1 (en) * 2017-06-02 2018-12-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Content
KR20200017174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0132639A (ja) * 2019-02-13 2020-08-31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ヘミアスタリン誘導体及びこれらの抗体薬物複合体を含有する医薬
JP2020154766A (ja) * 2019-03-20 2020-09-24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92745A1 (en) 2022-09-15
KR102558566B1 (ko) 2023-07-24
US11670018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529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based education
US10846336B2 (en) Authoring tools for synthesizing hybrid slide-canvas presentations
CN109074218B (zh) 文档内容重放
KR102573822B1 (ko)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KR102558566B1 (ko)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20240051898A (ko) 컬러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0322538A (zh) 文字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EP1826656A2 (en) Portable device and special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KR102312996B1 (ko) 학습방법
Labrecque et al. Learn Adobe Animate CC for Interactive Media: Adobe Certified Associate Exam Preparation
KR20230083092A (ko) 화가와 사용자의 중요도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JPH0146905B2 (ko)
KR102240410B1 (ko) 학습장치 및 학습 방법
KR20230099988A (ko)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Wada et al. Three dimensional virtual calligraphy simulation with pen tablet
Stake Temporal typography
US202302065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reproducing picture guestbook using vector stroke
JP4431118B2 (ja) 頁画像表示装置
KR20200069115A (ko) 학습장치 및 학습 방법
KR20230120788A (ko) 벡터 이미지의 채색 및 재생방법
JPH0411908B2 (ko)
KR20220120472A (ko) 벡터선의 색상정보 추출방법
Gerantabee Flash Professional CS5 Digital Classroom
Labrecque et al. Learn Adobe Animate CC for Multiplatform Animations: Adobe Certified Associate Exam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