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88A -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88A
KR20230099988A KR1020210189478A KR20210189478A KR20230099988A KR 20230099988 A KR20230099988 A KR 20230099988A KR 1020210189478 A KR1020210189478 A KR 1020210189478A KR 20210189478 A KR20210189478 A KR 20210189478A KR 20230099988 A KR20230099988 A KR 2023009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strokes
lines
stroke ord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케이 filed Critical (주)비케이
Priority to KR102021018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988A/ko
Publication of KR2023009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이 이루어진 각 벡터선들의 작업단계별로 저장되는 순차적 작업순서과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정보들이 저장되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벡터 방식의 그려진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b) 벡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읽어와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기존의 색정보만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지점의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사용자들이 작품을 보다 쉽고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STROKE ORDER AND SELECTION STROKE NUMBER EXTRACTING METHOD OF VECTOR LINES ON VECTOR IMAGE}
본 발명은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벡터선으로 그려진 벡터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벡터선의 작업순서인 작업 획순서 정보 및 선택획수를 스포이트로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크게 비트맵(bitmap)과 벡터(vector)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모바일 기기에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비트맵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벡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서 화면에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트맵 방식은 한 개의 픽셀(pixel) 당 색상 정보만을 포함함에 따라, 나중에 사용자가 수정이나 변경을 하려면 픽셀 별로 색상만 변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그려진 그림과 글씨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그려진 그림과 글씨가 픽셀별로 색상정보가 아닌 선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스(vector graphics) 방식이 개발되었다.
상기 벡터 그래픽스는 컴퓨터 과학에서 그림을 보여줄 때 수학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점, 직선, 곡선, 다각형과 같은 물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벡터 그래픽스 기술은 그래픽 화면에 나타나는 선분이나 곡선을 따라 전자 빔이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화면에 영상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이는 선으로 된 그림의 처리에 편리하고 해상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즉, 벡터 그래픽스는 주어진 2차원이나 3차원 공간에 선이나 형상을 배치하기 위해 일련의 명령어들이나 수학적 표현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만든다.
물리학에서의 벡터는 양과 방향을 둘 다 동시에 갖는 것을 말한다.
한편, 벡터 그래픽스에서는 아티스트들의 창작 활동 결과물인 그래픽 파일이 일련의 벡터 서술문의 형태로 창작되고 저장된다. 예를 들면, 벡터 그래픽스 파일에는 선을 그리기 위해 각 비트들이 저장되어 있는 대신에, 연결될 일련의 점의 위치가 들어 있다. 이로 인해 파일 크기가 작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상기 벡터 방식에서는 비트맵 방식과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선으로 그려진 벡터 이미지에 벡터선들 안에 포함된 좌표값들, 선의 굵기, 선의 색상, 선의 모양 등 다양한 벡터선들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벡터 방식에서는 벡터선들을 저장하고 다시 재생하는 기술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작업순서가 크게 의미가 없었다.
최근에는 벡터선들을 저장하고 재사용하여 재생하는 콘텐츠들이 개발되면서 벡터선들에 저장된 작업획순서를 저장하고 다시 추출하여 사용함에 따라, 획정보를 추출하는 스포이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사람의 얼굴을 10획으로 그린 벡터 이미지에서, 종래의 스포이트는 주로 색상정보만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눈이 몇번째 획으로 그려진 것인지를 알 수 있는 획정보는 저장하지도 필요하지도 않았다.
즉,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현재 스포이트가 가리키는 포인터의 정보를 얻고자 할 때에는 현재 색상만 알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에서는 주로 사용자에게 색상정보만 제공하였으므로, 작업획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없었다.
예를 들어, 유명 화가인 다빈치의 레오나르도가 그린 모나리자의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모나리자의 왼쪽 눈을 몇번째에 그렸는지 알 수 없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그렸는지를 특수장비를 통해서만 일부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벡터선으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릴 때,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 방식의 스포이트는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현재의 색상정보만을 제공한다.
그러나 벡터선들로 그림을 그릴 때는 각각의 선들이 별도로 구분되고, 한 개의 선이 한 개의 개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종래의 스포이트 탐지 방법으로 색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현재의 벡터 이미지에서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벡터선들에 대한 스포이트 방식이 개선되었으나, 개선된 벡터 이미지의 스포이트는 주로 색상 위주의 벡터선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 기술에서 스포이트는 주로 색상을 추출하는 용도로 이용되었다. 그리고 그림의 작업과정에 대한 재생기술은 없었기 때문에, 주로 동영상을 녹화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재생과 연관된 작업획순서 정보가 전혀 없었으며, 최근 유행하는 벡터 이미지 방식에서도 일부 소프트웨어들이 색상을 추출하는 용도로만 이용하고, 재생으로 이용하는 콘텐츠나 소프트웨어들이 없었으므로, 작업획순서가 크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그림 관련 소프트웨어들은 벡터 이미지 기술로 재생이 아닌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재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벡터 이미지 기술로 만들어진 일부 소프트웨어들은 색상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실제 그림을 그리는 작업과정에서는 스포이트로 추출하는 색상 관련 정보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나, 벡터이미지에서 그림을 재생할 때에는 색상과 동등하게 작업 획순서도 중요하다. 특히, 전문 화가가 그린 많은 획수의 작품에서는 특정 그림영역의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가 작품을 감상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색상정보 위주의 비트맵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 유행하는 벡터 이미지 방식에서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추출해서 많은 불편한 점들을 해결하고, 그림을 좀 더 쉽게 감상할 수 있으며, 화가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그림을 보다 쉽고 더욱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벡터선으로 그려진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순서를 추출하는 작업획순서 스포이트(Stroke Order Pipette) 및 선택획수를 추출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작업 획순서를 알고자 하는 벡터선들을 쉽게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임의의 선들이나 영역들을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작업 획순서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포이트 기능을 응용해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제공해서 작품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은 (a) 벡터 방식의 그려진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b) 벡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읽어와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그리기를 위한 색상추출 방식에서 벗어나, 그림 재생 및 작품감상에 도움이 되는 획정보를 사용자나 화가에게 제공해서 작품제작 이후에 다른 사용자들이 작품을 감상과 공감을 할 때, 기존 정적인 색정보 제공방식을 넘어서 작품의 제작방식과 화가가 어느 부분에 더 집중을 해서 그렸는지를 알 수가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색감만으로 알 수 있는 정보 이외에 작업기법도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이 전문적인 화가들의 작업 기법을 배울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색정보만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지점의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사용자들이 작품을 보다 쉽고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하나의 획만 선택하여 작업단계의 작업획순서 정보만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영역들의 전체 작업획순서 정보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화가의 스타일과 제작 성향에 대해서 보다 쉽게 편안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정적인 비트맵 방식의 그림 제작에 필요한 색상정보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한 작품에 대하여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지점의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작품과 화가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고도 편하게 할 수가 있으며, 이를 각종 디지털 기기나 PC, 모바일, 태블릿 PC 등에 활용해서 디지털 아트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모바일 기기에서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실행하는 모바일 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5와 도 6은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에서 색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추가로 전체 작업획수 대비 선택된 벡터선들의 선택획수를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 도형이나 다각형을 그려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임의의 다각형이나 폐곡선을 그려서 그 안에 있는 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임의의 색상정보를 입력하거나 스포이트로 특정 색상을 선택하여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3은 작업 획순서를 직접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선택된 현재획의 획정보와 이전획 및 다음획의 정보를 예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은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컴퓨터 단말 등(이하 '모바일 기기'라 통칭함)을 이용해서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즉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한 재생정보를 추출하는 발명으로, 벡터 이미지 방식으로 저장된 그림에서 각각의 작업단계별 작업획순서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하나 이상의 특정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각각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 정보와 선택획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작품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가가 작품을 완성하고 난 이후에 작품의 어느 부분에 더 많이 심혈을 기울였는지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작품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에 있는 각각의 벡터선들의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품감상과 화가의 화풍스타일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비트맵 방식의 그림에서 스포이트로 주로 색상 관련 정보만 제공하나, 이는 주로 특정 색상을 다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반면, 본 발명은 같은 스포이트를 사용하더라도 색상 정보가 아닌 작업단계별로 저장된 벡터 이미지에 포함된 각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그림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감상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실행하는 모바일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모바일 기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이나 글씨 등이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0), 모바일 기기(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벡터 방식으로 그려지는 이미지의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0) 및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와 입력부(3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표시 및 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0)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해서 문자나 이미지를 입력하고, 원하는 영역이나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펜과 같은 추가적인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벡터 방식으로 그려지는 이미지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색상이나 크기를 변경하며, 재생 순서를 변경해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벡터 이미지에 포함되는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의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은 (a) 벡터 방식의 그려진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b) 벡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읽어와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획순서는 벡터 이미지를 제작시 편집 및 삭제과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삭제나 편집 과정의 순서가 반영되지 않은 원본 순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편집 과정에서 새롭게 반영된 순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와 종래기술을 대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그림 제작 작업순서인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 추출을 위해, 작업과정의 순서정보가 저장된 벡터 이미지를 불러오고, 사용자가 벡터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과정의 순서정보인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표시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S10단계에서 모바일 기기(10)의 제어부(50)는 벡터 방식으로 그려진 벡터 원본 이미지에 저장된 벡터선들의 정보 및 재생정보를 불러온다.
S12단계에서 제어부(50)는 벡터 이미지를 디플레이부(2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상기 벡터 이미지 전체를 작업단계별로 순차적으로 그려서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단계까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벡터 이미지 전체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단계, 예컨대 100획으로 그려진 벡터 이미지 전체를 재생하는 과정 또는 재생하기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55획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55획에서 일시 정지하고, 55획까지 그려진 이미지에서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를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4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 기능을 시작한다.
즉, S16단계에서 제어부(50)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벡터선이 복수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다시 선택받고, 선택된 하나의 벡터선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S16단계의 검사결과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이 선택되면, S18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재생 획순서들과 선택획수를 읽어와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벡터선의 개수를 이용해서 선택된 벡터선들을 그리는데 필요한 벡터선의 개수일 수 있다.
한편, S16단계의 검사결과 벡터선이 미선택되거나 S18단계를 수행한 후, S2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재생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제공 기능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한다.
S20단계의 검사결과 재생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제공 기능이 종료되지 않고 유지되면, 제어부(50)는 S16단계 내지 S2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S20단계의 검사결과 재생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제공 기능이 종료되면, 제어부(50)는 재생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제공 동작을 중지하고, 전체 기능을 종료한다(S22).
먼저, 종래기술과 비교해서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어떤 픽셀이나 선을 선택하면, 선택된 픽셀이나 선에 대한 색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대표적인 기술은 스포이트(spuit)나 피펫(pipette)과 같은 형상으로 표시되는 입력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그림이나 글씨를 포함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현재 위치의 색상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즉,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에서 사용자는 스포이트를 이용해서 임의의 지점을 클릭하면, 클릭한 지점의 색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벡터선 방식의 벡터 이미지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벡터선이나 벡터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벡터선의 색상정보만 제공하였다.
그러나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을 저장하고 다시 불러와서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벡터 이미지의 제작과정인 작업 순서 정보가 담긴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벡터선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작 작업과정이 저장된 벡터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특정 벡터선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된 벡터선들의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체 벡터 이미지에서 특정획이 몇번째에 작업이 되었는지,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된 영역에 있는 벡터선들의 개수로 화가가 얼마나 이부분에 관심을 많이 가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작품 감상과 화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도 6은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에서 색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비트맵 이미지에서 스포이트 방식으로 현재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선의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방식 등으로 그려진 이미지에서 스포이트를 사용하여 현재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색상정보를 추출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도 5에는 선들이 중첩되더라도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색상정보만을 제공하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벡터 이미지 방식으로 그려진 선들 중에서 스포이트를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켜 해당 지점의 벡터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의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 방식이 이미지에서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색상 정보를 추출하기도 하였다.
비트맵 방식에서는 선의 중첩과 상관없이 현재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색상의 정보만 제공한다.
반면, 벡터 방식에서는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벡터선을 먼저 추출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의 원래 색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의해 추출되는 선의 색상 정보는 완전히 다른 색상 정보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 추출방법의 추출방법은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벡터선을 선택한 다음, 색상이 아닌 재생관련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벡터선들의 선택방법들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작업획순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입력장치가 움직일 때마다 입력장치가 가리키는 지점의 벡터선을 새로 갱신하여 추출하고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작업획순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작업획순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는 사용자가 3개의 선을 그린 상태에서 스포이트가 2번 획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b)에는 스포이트가 3번 획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5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트가 2번 획(#2) 벡터선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2번 획의 작업 획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트가 3번 획(#3) 벡터선을 이동하면, 3번 획의 작업 획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동시켜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위치한 현재 지점의 벡터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입력하고, 제어부는 입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입력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벡터선을 자동으로 선택하며, 입력장치의 위치값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벡터선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벡터선을 선택하고 작업획순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나 이상, 즉 복수의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 정보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복수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획단위 선택펜, 다각형을 그려서 선택하는 방법, 색상을 입력하여 선택하는 방법, 작업 획순서를 직접 입력하여 선택하는 방법, 시작획과 종료획을 입력하여 선택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복수의 선을 선택하는 방법들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추가로 전체 작업획수 대비 선택된 벡터선들의 선택획수를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50)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선택된 벡터선의 작업 획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는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첫번째 벡터선이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첫번째 벡터선과 세번째 벡터선(#3)이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획단위 선택펜(Stroke Select Pen)을 이용해서 쉽게 복수의 벡터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획단위 선택펜을 이용해서 가상의 선을 그리고, 그려진 가상의 선이 첫번째 백터선(#1 Line)에 닿으면, 첫번째 벡터선(#1 Line)이 선택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획단위 선택펜으로 가상의 선을 그려 첫번째 벡터선(#1 Line)과 세번째 벡터선(#3 Line)에 닿으면, 첫번째 벡터선(#1 Line)과 세번째 벡터선(#3 Line)이 모두 다 선택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3획 그림에서 첫번째 벡터선과 세번째 벡터선이 선택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획수 정보, 즉 첫번째 벡터선의 작업 획순서 '1'과 세번째 벡터선의 작업 획순서인 '3'을 표시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선택획수 정보인 '2'와 전체 그림의 전체 획수 정보인 '3'을 '2/3'으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형이나 다각형을 그려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다각형이나 폐곡선을 그리고, 제어부(50)는 그려진 임의의 다각형이나 폐곡선에 닿는 모든 선들 또는 내부에 있는 모든 선들을 선택해서 선택된 선들의 작업 획정보와 선택획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임의의 다각형이나 폐곡선을 그려서 그 안에 있는 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다각형을 그려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각 작업획수, 전체 작업획수 대비 선택된 벡터선들의 사용획수를 표시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형을 그린 경우, 제어부는 그려진 도형 내부에 있는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각 작업 획순서 정보를 표시하며, 전체 작업 획수 대비 선택된 벡터선들의 사용 획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벡터 이미지는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벡터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벡터선, 즉 제1 내지 제10 라인(#1 Line 내지 #10 Li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벡터선은 벡터 이미지의 입체감을 고려해서 복수의 층, 즉 제1 내지 제4 층(#1 Layer 내지 #4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벡터선에는 작업 획순서에 따라 작업 획순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래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라인(#1 Line 내지 #3 Line)과 제10 라인(#10 Line)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정보와 선택된 벡터선들의 총 획수정보를 '4/10(선택된 벡터선들의 사용획수/전체 작품 획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임의의 색상정보를 입력하거나 스포이트로 특정 색상을 선택하여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특정 색상을 선택하거나, 선택하고자 하는 선의 색상값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선택된 색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작업획순서와 선택된 벡터선들의 선택획 정보 중에서 선택획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색상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색상값으로 입력하여 정확하게 그 색을 찾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제어부는 색상값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같이 나타내는 색 범위값을 별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선택한 색상값을 기준으로 색범위를 25%로 설정해서 상한 25%와 하한 25%로 추가로 설정하여 색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3은 작업 획순서를 직접 입력하여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획순서 입력창에 2번과 10번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2번 벡터선과 10번 벡터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2번과 10번 벡터선의 작업 획정보인 '2, 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선택된 현재획의 획정보와 이전획 및 다음획의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에는 시작획과 종료획, 특정 획순서를 입력해서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시작획과 종료획을 입력하고, 특정 획순서들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시작획과 종료획, 입력된 획순서에 따라 대량으로 많은 수의 벡터선들을 선택해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정보와 사용획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는 선택된 현재획의 획정보를 기준으로 이전획과 다음획 정보를 표시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보이기 설정을 통해 이전획은 1획 이전까지로 설정하고, 다음획은 2회 앞까지로 설정한 상태에서, 현재 획이 4번인 경우, 제어부(5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획을 이전획으로 표시하고,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획과 6번획을 다음획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전체 벡터 이미지에서 각 벡터선의 획순서 정보 및 선택획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각 벡터선이 몇번째만에 그렸는지, 어느 부분을 몇번째 획부터 그려서 몇번째 획 만에 완성을 했는지 등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작품 감상을 보다 쉽게 편리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느 부분을 그릴 때 몇 획이 걸렸는지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경우, 색상 관련 정보만 제공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전체 벡터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특정 벡터선들이나 특정 벡터 이미지 영역을 선택받고,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벡터 이미지의 작업 획순서를 변경하거나 수정할 때에도 획순서를 찾아서 수정할 수 있고, 재생 시에도 해당 획순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존 이미지에서 색상만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벡터 이미지의 재생에 보다 편리한 획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작품을 보다 쉽게 효율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비트맵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부분의 색상을 추출하는 방식에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벡터이미지의 작업획순서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색상 추출 기술은 최종그림에서 어떠한 색상이 사용되었는지를 추출하는 하였으나, 본 발명은 몇번째만에 해당 부분을 그렸는지를 작업 획정보를 알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어떤 색상으로 그렸는가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은 몇번째만에 그림을 그렸는가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그림 감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가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에 작품에 대한 공감과 이해에 도움을 줌으써, 최신 모바일 기기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그림을 그리는데 적용될 수 있다.
10: 모바일 기기
20: 디스플레이부
30: 입력부
40: 저장부
50: 제어부

Claims (14)

  1. 그림과 글씨를 포함한 이미지를 그리는 작업이 이루어진 각 벡터선들의 작업단계별로 저장되는 순차적 작업순서과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정보들이 저장되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 및 선택획수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벡터 방식의 그려진 벡터 원본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b) 벡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벡터선들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와 선택획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획순서는 벡터 이미지를 제작시 편집 및 삭제과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삭제나 편집 과정의 순서가 반영되지 않은 원본 순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편집 과정에서 새롭게 반영된 순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벡터 이미지 전체를 작업단계별로 순차적으로 그려서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단계까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하나의 벡터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입력장치가 위치한 지점의 벡터선이 복수인 경우,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다시 선택된 하나의 벡터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입력장치가 위치한 벡터선을 새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획단위 선택펜으로 가상의 선이 그려지면, 상기 가상의 선에 닿는 모든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선택획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각형 또는 폐곡선이 그려지면, 상기 다각형 또는 폐곡선 내에 있는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선택획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9. 제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각형 또는 폐곡선이 그려지면, 상기 다각선 또는 폐곡선에 닿거나 내부에 있는 모든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선택획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색상값과 색상범위값 또는 색상상한 및 하한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값에 해당되는 벡터선들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선택획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획순서가 입력되면, 입력된 획순서에 대응되는 벡터선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획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획순서의 시작획과 종료획이 입력되며, 입력된 획순서에 대응되는 벡터선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획수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획순서를 추가로 입력받고, 입력된 획순서에 대응되는 벡터선을 선택하고, 각각의 벡터선들의 작업획순서를 각각 나타내며, 선택된 선들의 획수를 나타내는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획보이기 설정을 통해 현재 선택된 획의 이전획과 다음획들을 몇번째까지 나타내는지 설정하고, 설정된 이전획과 다음획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사용획수의 추출방법.
KR1020210189478A 2021-12-28 2021-12-28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KR20230099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78A KR20230099988A (ko) 2021-12-28 2021-12-28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78A KR20230099988A (ko) 2021-12-28 2021-12-28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88A true KR20230099988A (ko) 2023-07-05

Family

ID=8715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78A KR20230099988A (ko) 2021-12-28 2021-12-28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9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334B2 (en) Editing content using multiple touch inputs
US10163244B2 (en) Creating reusable and configurable digital whiteboard animations
JP4858626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72208A1 (en) Enhanced digital ink erasing
CN107977155A (zh) 一种手写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73822B1 (ko) 벡터 이미지의 화풍 변환 및 재생 방법
JP4858625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280935B2 (en) Graphing calcul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graphing calculation apparatus
US11894019B2 (en) Time-lapse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KR102558566B1 (ko)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20230099988A (ko) 벡터 이미지에서 벡터선들의 작업 획순서 및 선택획수의 추출방법
US11430166B1 (en) Facilitating generation of number-bullet objects
US20200082586A1 (en) Generating and providing composition effect tutorials for creating and editing digital content
KR102312996B1 (ko) 학습방법
CN113935893A (zh) 素描风格的场景渲染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78116A (ko) 전자서적의 리소스를 이용한 워크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H08235344A (ja) シナリオ編集装置
US202302065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reproducing picture guestbook using vector stroke
US20240094896A1 (en) Locally generating preliminary inking imagery
KR20230101051A (ko) 벡터선으로 그리는 자동 채우기 및 개체 편집 방법
KR102240410B1 (ko) 학습장치 및 학습 방법
KR20230083092A (ko) 화가와 사용자의 중요도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EP4030386A1 (en) Generating artwork tutorials
EP4029579A1 (en) Generating artwork tuto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