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174A -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174A
KR20200017174A KR1020180092455A KR20180092455A KR20200017174A KR 20200017174 A KR20200017174 A KR 20200017174A KR 1020180092455 A KR1020180092455 A KR 1020180092455A KR 20180092455 A KR20180092455 A KR 20180092455A KR 20200017174 A KR20200017174 A KR 2020001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electronic device
display
input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909B1 (ko
Inventor
박성우
최윤찬
진형주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909B1/ko
Priority to US17/267,015 priority patent/US11328469B2/en
Priority to PCT/KR2019/005018 priority patent/WO2020032347A1/ko
Publication of KR2020001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작동적으로 상기 표시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aw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밑그림 삼아 그림 판에 드로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그림 판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림 판에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드로잉할 수 있는 드로잉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특정 이미지를 그림 판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일명, 레이어(lay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밑그림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눠서 순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밑그림의 윤곽을 예컨대, 점선으로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를 밑그림 삼아 따라 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밑그림이 어떠한 도구와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그림도 손쉽게 따라 그릴 수 있는 드로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밑그림에 적용된 속성을 그림 판의 속성으로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그림 판의 속성을 설정할 필요 없이, 복잡한 그림을 손쉽게 배울 수 있는 드로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작동적으로(operatively) 상기 표시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그림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영상 위에서 실시간으로 그림을 따라 그리며 손쉽게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드로잉 기법을 쉽게 배울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디지털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밑그림을 이용하여 드로잉(drawing)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사용자가 밑그림을 이용하여 드로잉할 수 있게 해주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재생 모드를 지원하는 GUI를 도시하고,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드로잉 모드를 지원하는 GUI를 도시한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을 여러 단계들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GUI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a는, 디지털 펜(301)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의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도 1 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펜(301)(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110C)의 일 부분에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홀(111)과 연결된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펜(301)은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301)은, 디지털 펜(301)을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3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301a)이 눌리면, 버튼(3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들이 작동하여,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3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디지털 펜(30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301)은,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공진 회로(387),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통신 회로(390), 안테나(397) 및/또는 트리거 회로(39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펜(301)의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3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 및/또는 통신 회로(390)는 메모리(330),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안테나(397) 또는 트리거 회로(3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301)은, 공진 회로와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펜(3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지털 펜(3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공진 회로(3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16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387)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30)는 디지털 펜(3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디지털 펜(3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3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387)는, 상기 디지털 펜(301)이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생성을 위해, 디지털 펜(3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3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3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3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3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3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회로(3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3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3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3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301)은 충전 회로(3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디지털 펜(3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89)는 디지털 펜(3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89)는 충전 회로(3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390)은, 디지털 펜(3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펜(3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90)는 트리거 회로(398)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 펜(3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3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301)은, 복수의 안테나(3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통하여, 통신 회로(3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회로(3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지털 펜(3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디지털 펜(3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3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30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펜(301)은 디지털 펜(3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400)과 펜 하우징(400)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여, 펜 하우징(400) 내부에 한번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400)은, 제 1 단부(400a) 및 제 2 단부(4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400)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401) 또한 펜 하우징(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400)은,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400)의 제 2 단부(400b)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상기 펜 하우징(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크게 3 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400)의 제 1 단부(4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410), 펜 하우징(400)의 제 2 단부(4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420), 및 하우징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션 부재(410)는,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301)을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410)는 샤프트(411)와 상기 샤프트(41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4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412) 및 버튼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4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411) 및 이젝션 몸체(412)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펜 하우징(400)의 제 1 단부(400a)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413)(예: 도 3a의 301a)는 제 1 단부(40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41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버튼부(41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41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41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부(41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디지털 펜(301)을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301)은 샤프트(41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420)는,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4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2 단부(400b)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421), 패킹 링(422), 복수 회 권선된 코일(423) 및/또는 펜 팁(42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422)은 에폭시,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42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420) 및 회로기판부(4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42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42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430)는, 인쇄회로기판(432), 상기 인쇄회로기판(4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4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4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4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4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432)은 기판안착부(4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32)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코일(42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캐패시터 또는 스위치(4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 또는 통신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423) 및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4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4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32) 상에는 스위치(43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에 구비되는 사이드 버튼(437)은 스위치(4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400)의 측면 개구부(4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버튼(437)은 지지부재(4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사이드 버튼(4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4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사이드 버튼(4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430)는 오-링(O-ring)과 같은 다른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4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431)와 상기 펜 하우징(400)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438)는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 개구부(402)의 주위에서 상기 펜 하우징(400)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부(430)도 상기 코일부(420)의 패킹 링(42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은, 베이스(431)의 상면에 배터리(436)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435)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4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301)은, 마이크로 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인쇄회로기판(4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4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은 디지털 펜(301)의 긴 방향으로 사이드 버튼(4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밑그림을 이용하여 드로잉(drawing)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510), 입력 인식 모듈(520), 디스플레이 모듈(530), 스크린 레이어 제어 모듈(540), 및 애니메이션 제어 모듈(5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동영상 저장소(560) 및 메타데이터 저장소(57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580)(예: 도 1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서버들 중 하나일 수 있고, 클라우드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한 저장소 관리와 서비스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미디어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581)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은 서드파티 서버(예: 유투브(YouTub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는 동영상을 외부 전자 장치(580)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는 전자 장치(101)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들(510, 520, 530, 540, 및 55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120)와 다른 별도의 하드웨어로서 전자 장치(101)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510)은 도 1의 통신 모듈(19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들(510, 520, 530, 540, 및 550)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드로잉 어플리케이션 또는 페인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상기 모듈들(510, 520, 530, 540, 및 550)을 실행하여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그림 판에 드로잉할 때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예: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animated image file))을 통신 모듈(510)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예: 외부 전자 장치(580), 또는 서드파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소(56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1)에서 생성된,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소(560)에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51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5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은 그림이 제작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드로잉 동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드로잉 동영상 제작 시,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예: 도구 속성 정보, 오브젝트 속성 정보, 및 재생 속성 정보 등)가 함께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클라우드 시스템(예: 외부 전자 장치(580))로부터 동영상의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통신 모듈(5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서 생성된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510)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예: 외부 전자 장치(5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데이터 저장소(570)는 드로잉 동영상이 어떤 도구와 방법으로 제작된 것인지를 나타내고, 드로잉 동영상이 어떠한 오브젝트들(하나 이상의 색상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갖는, 그림의 구성 요소들로서 예컨대, 나무, 꽃잎 등)로 구성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드로잉 동영상이 생성될 때 함께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데이터 저장소(570)는, 드로잉 동영상이 제작될 때 사용된 드로잉 도구의 종류, 도구로 그림 판에 그려지는 라인의 폭(width), 라인의 색상, 라인의 채도, 라인의 명도 등과 같이 도구 속성(tool attribute)을 나타내는 도구 정보(571)와, 오브젝트(그림)의 종류, 색상, 명도, 및 채도 등과 같이 오브젝트 속성(object attribute)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정보(572)와, 반복 재생 구간, 도구의 속성이 변경되는 재생 시점, 및 오브젝트 변화 시점 등과 같이 재생 속성(play attribute)을 나타내는 재생 정보(5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구 정보(571)는 드로잉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미지에 사용된 도구의 종류(예: 브러시(brush), 펜, 연필, 지우개 등)를 나타내는 정보와, 사용된 도구의 크기(예: 도구로 그림 판에 그려지는 라인(line)의 폭(width))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572)는 각 오브젝트에 대한 색상, 투명도, 드로잉 구도(drawing frame), 획수(stroke number), 및 획의 위치 등에 대한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정보(573)는 드로잉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및 반복 재생 구간에 해당하는 타임스탬프(timestamp) 등에 대한 값을 가지는 재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시점(예: 드로잉 동영상의 현 재생 시점 또는 재생 정지된 시점)에서 사용된 도구 관련 메타데이터를 도구 정보(571)로부터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메타데이터로 도구의 종류, 라인 폭, 및 라인의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잉 동영상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재생 모드). 재생 모드에서 드로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 재생 중인 드로잉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재생 진행 바에서 일시 정지(pause)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고, 운영 모드를 재생 모드에서 드로잉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인식된 메타데이터로 도구의 종류, 라인 폭, 라인의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로잉 동영상에서 정지된 시점에서의 드로잉 이미지를 밑그림 삼아, 도구 관련 속성을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상기 정지된 재생 시점의 이미지에 적용된 속성 정보를 갖는 도구로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시점에 설정된 색상, 투명도 등을 오브젝트 정보(572) 및/또는 도구 정보(571)로부터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색상, 투명도 등을 디스플레이 모듈(530)을 통해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고, 인식된 색상, 투명도 등을 도구의 색상, 투명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여 모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인식된 색상, 투명도 등을 도구의 색상, 투명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로잉 동영상에서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를 밑그림 삼아, 도구의 색상 등을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상기 정지된 시점에 사용된 도구의 색상, 투명도 등으로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재생 정보(573)를 이용해서 재생 중인 드로잉 동영상에서 도구가 변경되는 시점과 같은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재생 진행 바에서 상기 특정 시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마크(mark) 또는 해당 도구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재생 정보(573)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 구간을 설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설정된 구간을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 저장소(560)에 저장되어 있는 드로잉 동영상을 불러와 각종 모듈들(510, 520, 530, 540, 및 550)을 이용해 처리할 수 있고, 각종 사용자 입력 및 이벤트를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모듈(530)로 드로잉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입력 인식 모듈(520)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손 또는 디지털 펜(예: 도 3a의 디지털 펜(301))을 이용한 터치 및 드로잉의 형태와 그 위치를 인지할 수 있고, 애니메이션 제어 모듈(550)을 실행하여 드로잉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고, 스크린 레이어 제어 모듈(540)을 실행하여, 특정 시점(예: 드로잉 동영상의 재생 정지 시점)에 드로잉 동영상 위에 레이어(layer)와 관련한 기능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밑그림을 이용하여 드로잉할 수 있게 해주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들(600)을 도시한다. 도 6의 동작들(600)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하기의 동작들에서 실행(예: 재생)되고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은 서버(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수신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동영상을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윈도우 매니저(예: 도 2의 윈도우 매니저(203))를 실행하여 여러 동영상들에 각각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들(예: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예: pen up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예: 해당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림 판을 지원하는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GUI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고, GUI를 통해 대표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시에, 재생 중 타임라인(timeline)을 조절, 정지, 재생 반복,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예: 5초, 10초, 30초 등)마다 앞으로 건너뛰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되감기 등을 사용자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재생 진행 바(play progress bar)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12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이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갖는 드로잉 동영상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클라우드 시스템(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 또는 서드파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재생할 때, 동영상과 함께 수신된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소(560)로부터 획득하고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재생할 때, 재생 중인 동영상과 연관된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저장소(57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중인 동영상이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동작 630에서 프로세서(120)는, 재생 진행 바와 함께, 특정 시점(예: 현재 재생 시점)의 이미지와 연관된 속성 정보(예: 도구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색상, 라인 폭 등), 및 이미지(오브젝트)의 속성 정보(예: 색상, 채도, 명도 등) 등)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40에서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이 재생 중인 동안, 모드 변경(재생 모드에서 드로잉 모드로 변경)을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중인 동영상은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판별된 드로잉 동영상이거나, 드로잉 관련 메타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별된 동영상(예: 출처(source)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4), 서버(108), 또는 유투브(YouTube))로 업로드된 동영상, 또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으로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a의 디지털 펜(301))로부터 재생 정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5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동영상 재생을 정지하고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운영 모드를 드로잉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를 밑그림 삼아 드로잉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예: 도 5의 스크린 레이어 제어 모듈(540))을 실행하여, 정지된 시점에 해당하는 이미지(이하, '밑그림')의 제 1 레이어 위에 그림 판의 제 2 레이어를 배열함으로써, 드로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레이어는 불투명 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고, 제 1 레이어의 이미지는, 사용자가 현재 운영 모드가 드로잉 모드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재생 모드일 때의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프로세서(예: 도 5의 애니메이션 제어 모듈(550))에 의해 처리(예: 어둑하게(dimming), 또는 무채색(achromatic)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밑그림의 메타데이터를 그림 판(예: 그림 판의 배경 및/또는 도구)의 속성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밑그림과 동일한 드로잉 환경에서 드로잉을 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밑그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소(예: 도 5의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값(예: 드로잉 도구의 종류, 라인 폭, 색상, 채도, 및/또는 명도 등)을 그림 판의 도구의 속성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6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을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 펜(예: 도 3a의 디지털 펜(301))이나 자신의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되는 그림 판에 그림을 그릴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을 프로세서(120)는 표시 장치(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7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드로잉 입력에 따라 드로잉 출력을 그림 판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밑그림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라인 폭, 색상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드로잉 출력에 상기 확인된 속성을 적용하여 상기 드로잉 출력을 그림 판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드로잉 출력의 과정(예: 그림 판에 드로잉 입력이 표시되어 가는 과정)과 드로잉 출력에 적용된 속성을 기록함으로써 드로잉 동영상을 제작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68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의 운영 모드가 드로잉 모드인 동안, 상기 드로잉 입력이 아닌, 별도의 제 2 사용자 입력을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또는 입력 장치(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a의 디지털 펜(30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 2 사용자 입력이 재생 재개를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결정에 따라 동작 61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재생 진행 바를 통해 표시된 재생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표시 장치(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정지된 시점부터 동영상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재생 재개를 위해 미리 지정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선택에 반응하여 정지된 시점부터 동영상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재생 재개를 위해 미리 지정된 터치 제스처(예: 롱 프레스(long press))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터치 제스처에 반응하여 정지된 시점부터 동영상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 2 사용자 입력이 드로잉 출력의 저장을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 690에서 드로잉 출력을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입력은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된 저장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동작 690에서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출력의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제작된 드로잉 동영상 및 드로잉 출력에 적용된 그림 판의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각각, 동영상 저장소(예: 도 5의 동영상 저장소(560))와 메타데이터 저장소(예: 도 5의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과 그 메타 데이터를 통신 모듈(예: 도 5의 통신 모듈(510))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모드에서 드로잉 모드로의 변경은 제 1 사용자 입력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그림 판의 속성(예: 드로잉 도구의 종류, 라인 폭, 색상 등)이 변경된 시점에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재생 모드를 지원하는 GUI(700)를 도시하고,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드로잉 모드를 지원하는 GUI(700)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재생 모드를 지원하는 제 1 GUI로서, 동영상 윈도우(바꾸어 말해, 제 1 섹션)(710), 팔레트(바꿔 말해, 제 2 섹션, 또는 그림 판 설정 메뉴)(720), 및 재생 진행 바(바꿔 말해, 제 3 섹션)(730)를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팔레트(720)는 도구 목록(721), 색상 목록(722), 및 색 편집을 위한 아이템(바꾸어 말해, color picker)(723)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장치(160) 상단에 표시될 수 있고, 재생 진행 바(730)는 표시 장치(160) 하단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둘 사이에 동영상 윈도우(710)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구 목록(721)에는 그림 판의 현재 설정된 드로잉 도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잉 도구는 지우개, 펜, 연필, 브러시 등 드로잉을 위한 다양한 도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예컨대, 도시된 펜)이 도구 목록(72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구 목록(721)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여러 도구들과 여러 라인 폭들을 포함하는 제 1 팝업 창(미도시)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팝업 창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구 및 그 라인 폭을 그림 판의 현재 설정된 도구로서 도구 목록(7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도구의 형상(721a)과 그 끝이 라인 폭(721b)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 목록(722)은 지정된 색들(예: 사용자에 의해 색상 목록(722)에 포함되도록 지정된 색들, 또는 현재 재생 중인 드로잉 동영상의 제작에 사용된 색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터치)된 색상이 상기 현재 설정된 도구의 색상(예: 상기 라인 폭(721b)의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색상 목록(722)에서 상기 선택된 색상은, 일례로, 도구의 색상으로 설정된 것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게(예: 테두리가 굵게)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선택된 색상에 체크(√)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 목록(722)은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목록(722)에서 선택(예: 롱 프레스)된 색상은 색상 목록(722)에서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템(723)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색상들과 함께, 채도, 명도 등과 같은 색상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색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제 2 팝업 창(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팝업 창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이 색상 목록(722)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색 스펙트럼에서 선택된 속성(예: 채도 및/또는 명도)이 색상 목록(722)에서 해당 색상의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색상의 속성(예: 채도 및/또는 명도)을 조절하기 위한 바가 팔레트(7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색상(722a)에 체크(√)를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된 색상의 명도 조절 바(724)를 팔레트(72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명도 조절 바(724)에 마크(724a)를 표시할 수 있고, 마크(724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마크(724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마크(724a)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정된 명도 값을 상기 체크(√)된 색상(722a)의 명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채도 조절 바 및/또는 투명도 조절 바가 팔레트(720)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색상 목록(722)은 여러 페이지들로 구분되어 하나의 페이지가 팔레트(7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여러 페이지들 중 하나를 팔레트(72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체 페이지 수와 표시된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725)를 팔레트(72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팔레트(720)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 플릭(flick) 또는 드래그(drag))에 반응하여, 다른 페이지를 팔레트(7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설정된 도구의 색상이 제 1 아이템(723)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아이템(723)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제 2 팝업 창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팝업 창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색상이 현재 설정된 도구의 색상으로 지정될 수 있고, 색 스펙트럼에서 선택된 속성(예: 채도 및/또는 명도)이 상기 지정된 색상의 속성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진행 바(730)는 일시 정지(pause) 버튼(731), 타임 라인(732), 타임 라인(732)에서 현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마크(733), 재생된 시간(734), 전체 재생 시간(735), 및 동영상의 재생 속도 및 노출도(바꾸어 말해, 투명도) 조절을 위한 제 2 아이템(73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 아이템(736)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단계적으로(1/2배속, 1 배속, 2배속, 4배속 등) 조절하기 위한 배속 아이콘들과 동영상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예: 0%, 50%, 100% 등) 조절하기 위한 투명도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 3 팝업 창(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고, 제 3 팝업 창에서 선택된 투명도를 갖는 동영상을 제 3 팝업 창에서 선택된 배속으로 윈도우(71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동영상(예: 동작 610을 통해 선택된 동영상)을 윈도우(71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윈도우(710)를 통해 재생 중인 동영상에 있어서 현 재생 시점(예: 재생된 시간(734))의 이미지(740)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소(예: 도 5의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윈도우(7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 재생 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도구(750)의 움직임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함으로써, 드로잉 동영상이 제작되어 가는 과정을(예: 전문가가 어떠한 도구와 방법으로 그림을 그리는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도구(750)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라인 폭, 라인의 색상 등)을 윈도우(7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구(750)를 해당 종류를 나타내는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도구(750)의 끝(751)(예: 라인 폭)을 해당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도구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크기, 색상 등)을 팔레트(7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구 목록(721)을 통해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도구의 종류를 나타내는 형상(예: 형상(721a))과 그 라인 폭(예: 라인 폭(721b))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색상 목록(722) 또는 제 1 아이템(723)을 통해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색상이 색상 목록(722)에 존재하는 경우, 색상 목록(722)에서 해당 색상(722a)에 체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색상이 색상 목록(72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아이템(723)에 체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체크(√)된 제 1 아이템(723)이 터치되면, 프로세서는 제 2 팝업 창을 표시하고, 제 2 팝업 창의 색상 목록에서 현 재생 시점에 사용된 색상에 체크(√)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디지털 펜 또는 손으로 일시 정지 버튼(731)을 누르거나 사용자가 동영상 윈도우(710)를 터치(예: 윈도우(710) 내 이미지(740)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 재생을 정지하고 전자 장치(101)의 운영 모드를 재생 모드에서 드로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1)는, 동영상 윈도우(710)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지점에서 드로잉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모드를 지원하는 제 2 GUI로서, 그림 판(바꿔 말해, 제 1 섹션)(760), 팔레트(바꿔 말해, 제 2 섹션)(720), 및 드로잉 제어 메뉴(바꿔 말해, 제 3 섹션)(770)를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팔레트(720)는 전자 장치(101)가 재생 모드로 운영될 때와 동일한 구성으로 표시 장치(160)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드로잉 제어 메뉴(770)는 재생 진행 바(730)를 대체하여 표시 장치(160)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팔레트(720)와 드로잉 제어 메뉴(770) 사이에 그림 판(76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잉 제어 메뉴(770)는 재생 재개를 위한 버튼(771), 그림 판(760)에 그려진 드로잉 출력(790)을 지우기 위한 도구로서 지우개(772), 그림 판(760)에 그려진 드로잉 출력(790)을 취소하기 위한 버튼(773), 취소된 드로잉 출력(790)을 다시 실행하기 위한 다시 실행 버튼(774), 밑그림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노출 ON/OFF 버튼(775), 및 밑그림으로서 이용할 다른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77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팔레트(720)와 드로잉 제어 메뉴(770) 사이에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780)를 표시하고 그 위에 그림 판(760)을 배열함으로써, 이미지(780)를 밑그림 삼아 드로잉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밑그림)(780)은, 사용자가 모드 변경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밑그림(780)의 드로잉 라인이 사용자의 눈에 잘 띄어서 밑그림(780)을 따라 그리는 것이 용이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예: 도 5의 애니메니션 제어 모듈(550))에 의해 이미지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이 정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를 어둑하게(dimming) 처리 및/또는 무채색(achromatic) 처리하여 밑그림(780)을 생성하고, 이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노출 ON/OFF 버튼(775)에 대한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밑그림(780)을 표시하거나 밑그림(780)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밑그림(780)이 배제된 상태에서의 본인의 드로잉 출력(790)과 밑그림(780)이 중첩된 상태에서의 드로잉 출력(790)을 비교할 수 있고, 반복된 비교를 통해 본인의 드로잉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취소 버튼(77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드로잉 출력(790)을 삭제할 수 있고, 다시 실행 버튼(77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드로잉 출력(790)을 재실행하여 그림 판(76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밑그림(780)과 동일한 드로잉 환경에서 드로잉을 할 수 있도록, 밑그림(780)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예: 도구의 종류, 라인 폭, 색상, 채도, 및/또는 명도 등)를 저장소(예: 도 5의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메타데이터를 그림 판(760)의 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밑그림(780)의 속성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밑그림(780)의 속성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정지 시점에 사용된 도구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크기, 색상, 채도, 및/또는 명도 등)을 팔레트(7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구 목록(721)을 통해 정지 시점에 사용된 도구의 종류(721c)와 그 라인 폭(721d)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색상 목록(722) 또는 제 1 아이템(723)을 통해 정지 시점에 사용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정지 시점에 사용된 색상이 색상 목록(722)에 존재하는 경우, 색상 목록(722)에서 해당 색상에 체크(√)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정지 시점에 사용된 색상이 색상 목록(72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아이템(723)에 체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동영상을 밑그림 삼아 드로잉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 재생이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림 판(760)을 터치(예: 그림 판(760)에서 표시된 이미지(780)를 터치; 또는 그림 판(760)에서 이미지(780)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터치)하면, 동영상 재생을 재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드로잉 출력을 그림 판(76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그림 판(760)에서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그림 판(760)에서 멈추고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그림 판(760)으로부터 해제될 경우, 동영상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을 여러 단계들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GUI(800)를 도시한다.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은 서버(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해당 메타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해당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을, 지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여러 단계(바꾸어 말해, 동영상 조각(piece), 재생 구간, 또는 애니메이션)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속성 변경이 많고 복잡한 그림을 더욱 손쉽게 따라 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즉, 재생 시점)를 제 1 기준으로 하여,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드로잉될 때 사용된 도구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크기, 색상 등)이 변경된 시점을 제 2 기준으로 하여,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오브젝트(예: 꽃잎, 잎사귀, 가지 등)을 제 3 기준으로 하여,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오브젝트의 변화 시점(예: 오브젝트의 제 1 부분(예: 꽃잎)의 드로잉이 완료되고 제 2 부분(예: 가지)의 드로잉이 시작되는 시점)을 확인하고, 이를 상기 제 3 기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시간(예: 수초 단위)을 제 4 기준으로 하여, 동영상을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여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여러 단계로 구분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재생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시점의 변경을 위한 UI(810)를 화면 하단에 제공할 수 있다. UI(810)는 현재 재생 구간으로서 “Step1”이 표시되어 있는 지시자(811), 재생 구간을 이전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제 1 아이콘(812), 및 재생 구간을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제 2 아이콘(8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Step 1에서 현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제 1 마크(821)를, 전체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830)에 표시할 수 있고, 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제 1 이미지(841)를 윈도우(8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아이콘(813)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로서 “Step 2”를 지시자(8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Step 2에서 현 재생 시점(예: Step 2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제 2 마크(822)를 타임 라인(830)에 표시할 수 있고, 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제 2 이미지(842)를 윈도우(8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아이콘(813)을 다시 터치하면, 프로세서(12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단계로서 “Step 3”을 지시자(8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Step 3에서 현 재생 시점(예: Step 3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제 3 마크(823)를 타임 라인(830)에 표시할 수 있고, 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제 3 이미지(843)를 윈도우(8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영상의 여러 단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계(예: 각 단계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마크들(860)을 타임 라인(83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마크들(860)과 함께, 이전 단계로 재생 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제 1 아이콘(871)과 다음 단계로 재생 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제 2 아이콘(872)을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는 윈도우(850)를 통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지정된 기준(예: 상기 제 1 기준 내지 제 4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동영상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드로잉 모드를 지원하는 GUI(예: 도 7c의 제 2 GUI)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GUI(900)를 도시한다.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은 서버(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해당 메타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해당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기준(예: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여러 단계로 구분된 동영상에 있어서, 각 단계의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마크들(940)을 타임 라인(910)에 표시할 수 있고, 각 단계에서 이용된 도구의 속성(예: 도구의 종류, 크기, 색상 등)을 나타내는 이미지들(920)을 해당 마크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들(920) 중 하나가 터치되면, 프로세서(120)는 터치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계의 시작 시점부터 동영상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라인(910)의 공간적 제약에 따라 현재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단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931)와 그 다음 단계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932)가, 프로세서(120)에 의해, 해당 마크 주변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동영상의 제작 난이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드로잉 실력에 맞는 그림을 따라 그릴 수 있는 드로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예: 도 5의 통신 모듈(510))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로부터 동영상과 함께, 동영상의 제작 난이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윈도우 매니저(예: 도 2의 윈도우 매니저(203))를 실행하여, 여러 동영상들에 각각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들(예: 썸네일들)과 함께, 동영상 각각의 제작 난이도를 나타내는 지시자(미도시)를 포함하는 GUI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지시자에는 해당 동영상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 “중” 또는 “하”가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의 드로잉 실력에 맞는 동영상을 동영상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동영상을 윈도우(예: 도 7a의 윈도우(71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동영상의 제작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고, 판별 결과를 해당 동영상의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저장소(예: 도 5의 메타데이터 저장소(57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해당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로서 예컨대, 사용된 도구의 종류, 사용된 도구의 횟수, 사용된 색상의 수, 전체 재생 시간, 및 도구의 변경 횟수 등을 참고하여, 해당 동영상의 제작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채 붓이나 유화 붓 등을 쉽게 다루기 어려운 도구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도구가 해당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로서 포함될 경우, 해당 동영상의 난이도를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영상의 제작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 알고리즘은, 기계학습(deep learning)을 통해 학습된 것으로서, 사물(예: 동영상의 구성요소들로서 오브젝트들)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및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예측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모드인 동안, 동영상의 지정된 구간(예: 상기 제 1 내지 제 4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분된 여러 단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간 반복 재생 동작의 수행에 따라 사용자는 예컨대, 속성 변경이 많고 복잡한 그림을 더욱 손쉽게 따라 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재생이 정지되면, 드로잉 환경으로서 GUI(예: 도 7c의 제 2 GUI)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구간 반복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정지된 시점을 포함하는 단계(재생 구간)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그림 판의 밑그림으로서 반복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구간 반복 재생을,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 후, 또는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정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정지된 시점부터 해당 구간의 종료 시점까지 반복해서 재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기반하여 반복 재생 구간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정지된 시점을 반복 재생을 위한 제 1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제 1 시작 시점부터 해당 구간의 종료 시점까지를 제 1 재생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 1 재생 구간을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재생 구간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드로잉 입력에 따른 드로잉 출력을 그림 판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출력을 그림 판에 표시하는 동시에, 드로잉 입력에 기반하여 제 2 시작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시작 시점부터 해당 구간의 종료 시점까지 밑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밑 그림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입력의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영역이 그려진 시점(예: 상기 제 1 시작 시점과 현 재생 시점 사이의 시점; 또는 현 재생 시점)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된 시점을 제 2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제 2 시작 시점부터 해당 구간의 종료 시점까지를 제 2 재생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 2 재생 구간을 반복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들(1000)을 도시한다. 도 10의 동작들(1000)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하기의 동작들에서 실행(예: 재생)되고 밑그림으로서 이용되는, 동영상은 서버(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수신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10에서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제 1 섹션(예: 도 7a의 제 1 섹션(710))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예: 도 7a의 제 2 섹션(72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58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또는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동영상)을 실행(예: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3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예: 도 7a의 일시 정지(pause) 버튼(73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04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작동적으로(operatively) 상기 표시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 제 1 섹션(예: 도 7a의 제 1 섹션(710))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예: 도 7a의 제 2 섹션(72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외부 스타일러스 펜(예: 도 3a의 디지털 펜(301))에 의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표시 모듈로부터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여, 제 1 지속 기간 동안(예: 도 8a의 STEP1) 제 1 색상 및 제 1 라인 폭을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제 1 부분을 드로잉하는 제 1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실행을 정지하기 위한 제 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색상과 상기 제 1 라인 폭을 포함하기 위한 상기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제 1 지속 기간 후 제 2 지속 기간 동안(예: 도 8b의 STEP2) 제 2 색상 및 제 2 라인 폭을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제 2 부분을 드로잉하는 제 2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실행을 정지하기 위한 제 2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색상 및 제 2 라인 폭을 포함하기 위한 상기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재생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예: 도 7a의 일시 정지 버튼(73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재생을 정지하고,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예: 도 7c의 이미지(780)) 및 상기 이미지 위에 배열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그림 판(예: 도 7c의 그림 판(760))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드로잉 도구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속성 정보가 적용된 상기 드로잉 출력(예: 도 7c의 드로잉 출력(790))을 상기 그림 판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드로잉 도구의 종류, 상기 도구로 상기 그림 판에 그려지는 라인의 폭,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파일이 재생될 때 상기 그림 판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처리하여(예: 어둑하게(dimming) 처리 및/또는 무채색(achromatic) 처리하여) 상기 그림 판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에서 현재 재생 시점의 이미지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제 2 섹션(예: 도 7a의 팔레트(72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드로잉 도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예: 도 7a의 도구 목록(721))와 상기 이미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정보(예: 도 7a의 색상 목록(7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 3 섹션(예: 도 7a의 재생 진행 바(730))을 더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섹션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기 위한 버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전체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전체 재생 구간을, 지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여러 재생 구간들로 구분하고,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재생 구간들 중 하나의 시작 시점부터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준은,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시점(예: 상기 제 1 기준), 드로잉 도구의 속성이 변경되는 재생 시점(예: 상기 제 2 기준), 오브젝트의 각 부분의 드로잉이 시작되는 시점(예: 상기 제 3 기준), 및 지정된 시간 단위(예: 상기 제 4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 구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크들(예: 도 8d의 마크들(860))을 상기 타임 라인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드로잉 도구(예: 도 9a의 이미지들(920), 또는 도 9b의 이미지들(931, 932))를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 구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또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재생이 정지될 경우, 상기 정지 버튼 및 상기 타임 라인 대신에, 재생 버튼(예: 도 7c의 버튼(771)), 상기 드로잉 출력을 취소하기 위한 버튼(도 7c의 버튼(773)), 및 상기 드로잉 출력을 다시 표시하기 위한 버튼(예: 도 7c의 버튼(775))을 상기 제3 섹션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도구의 움직임을 상기 제 1섹션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되는 복수의 색상들 중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이 재생되는 시점에 사용된 색상을, 다른 색상과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표시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4: 전자 장치
108: 서버
199: 네트워크
301: 디지털 펜
580: 외부 전자 장치
700, 800, 900: GUI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작동적으로 상기 표시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외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표시 모듈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여, 제 1 지속 기간 동안 제 1 색상 및 제 1 라인 폭을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제 1 부분을 드로잉하는 제 1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실행을 정지하기 위한 제 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색상과 상기 제 1 라인 폭을 포함하기 위한 상기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제 1 지속 기간 후 제 2 지속 기간 동안 제 2 색상 및 제 2 라인 폭을 사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제 2 부분을 드로잉하는 제 2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파일의 실행을 정지하기 위한 제 2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색상 및 제 2 라인 폭을 포함하기 위한 상기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재생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재생을 정지하고,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위에 배열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그림 판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을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드로잉 도구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속성 정보가 적용된 상기 드로잉 출력을 상기 그림 판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드로잉 도구의 종류, 상기 도구로 상기 그림 판에 그려지는 라인의 폭,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파일이 재생될 때 상기 그림 판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처리하여 상기 그림 판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에서 현재 재생 시점의 이미지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드로잉 도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이미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 3 섹션을 더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 3 섹션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기 위한 버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전체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전체 재생 구간을, 지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여러 재생 구간들로 구분하고,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재생 구간들 중 하나의 시작 시점부터 재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기준은,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시점, 드로잉 도구의 속성이 변경되는 재생 시점, 오브젝트의 각 부분의 드로잉이 시작되는 시점, 및 지정된 시간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 구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마크들을 상기 타임 라인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드로잉 도구를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재생 구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또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 재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재생이 정지될 경우, 상기 정지 버튼 및 상기 타임 라인 대신에, 재생 버튼, 상기 드로잉 출력을 취소하기 위한 버튼, 및 상기 드로잉 출력을 다시 표시하기 위한 버튼을 상기 제3 섹션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도구의 움직임을 상기 제 1섹션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되는 복수의 색상들 중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이 재생되는 시점에 사용된 색상을, 다른 색상과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및 상기 드로잉 입력을 위해 선택될 복수의 색상들과 하나 이상의 라인 폭(line width)을 포함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 표시 모듈 상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으로 오브젝트를 드로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섹션 상에 표시될 애니메이션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드로잉 입력에 따라, 상기 드로잉 입력이 수신될 때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외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상기 드로잉 입력을 상기 표시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92455A 2018-08-08 2018-08-08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7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55A KR102576909B1 (ko) 2018-08-08 2018-08-08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7/267,015 US11328469B2 (en) 2018-08-08 2019-04-2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environment
PCT/KR2019/005018 WO2020032347A1 (ko) 2018-08-08 2019-04-25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55A KR102576909B1 (ko) 2018-08-08 2018-08-08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174A true KR20200017174A (ko) 2020-02-18
KR102576909B1 KR102576909B1 (ko) 2023-09-11

Family

ID=6941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455A KR102576909B1 (ko) 2018-08-08 2018-08-08 드로잉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8469B2 (ko)
KR (1) KR102576909B1 (ko)
WO (1) WO20200323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3482A1 (en) * 2020-12-17 2022-06-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Predictive geological draw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26417A (ko) * 2021-03-09 2022-09-16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20220136728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973A (ko) * 2011-07-18 2013-03-18 주식회사 타임캐스트 사인 리플레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92934A (ko) * 2012-02-13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US20150339051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US20160049094A1 (en) * 2014-08-13 2016-02-18 Pitchvantage Llc Public Speaking Trainer With 3-D Simulation and Real-Time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44B1 (ko) 2007-02-28 2008-12-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펜입력 디스플레이용 필기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방법
JP5199053B2 (ja) 2008-12-16 2013-05-1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ゲーム装置、ゲームのリプレイ表示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25068B1 (ko) 2010-12-31 2017-04-1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전자서적의 리소스를 이용한 워크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9250768B2 (en) 2012-02-13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KR20150010898A (ko) 2013-07-19 2015-01-29 (주)애니컴씨앤씨 미술 교육 방법 및 미술 교육을 통하여 생성된 창작물의 활용 방법
KR102189787B1 (ko) 2013-11-13 2020-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JP2016110676A (ja) 2014-12-09 2016-06-20 株式会社MetaMoJi 動画編集装置
JP6623876B2 (ja) 2016-03-24 2019-12-25 富士通株式会社 描画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45169A (ko) 2016-10-25 2018-05-04 (주)훌리악 스마트 기기로 그려진 이미지 전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973A (ko) * 2011-07-18 2013-03-18 주식회사 타임캐스트 사인 리플레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92934A (ko) * 2012-02-13 201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태블릿
US20150339051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US20160049094A1 (en) * 2014-08-13 2016-02-18 Pitchvantage Llc Public Speaking Trainer With 3-D Simulation and Real-Time Feedba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3482A1 (en) * 2020-12-17 2022-06-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Predictive geological draw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26417A (ko) * 2021-03-09 2022-09-16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20220136728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347A1 (ko) 2020-02-13
KR102576909B1 (ko) 2023-09-11
US11328469B2 (en) 2022-05-10
US20210304482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352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RU26762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тактильн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в блок ввода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CN109426478B (zh) 用于使用多个控制器控制电子设备的显示器的方法和设备
CN110708596A (zh) 生成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40210758A1 (en)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haptic pattern and method therefor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11288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pp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to operation of stylus pen
KR20150104808A (ko) 피드백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2667701A (zh) 在触摸屏用户接口上修改命令的方法
KR102191345B1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1686B1 (ko) 증강 현실 이모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3284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environment
KR20200086536A (ko) 입력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17157A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95972A (ko) 버튼 입력에 기능을 맵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10068A (ko) 제스처 인식 기반의 영상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247574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以及电脑可读取记录媒体
KR20180111242A (ko) 채색 가능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50696A (ko) 저전력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509127A (zh) 启动录屏任务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10120589A (ko) 화면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76629B1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KR102521800B1 (ko) 드로잉 입력에 의한 애니메이티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3891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