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891A -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891A
KR20200013891A KR1020180089090A KR20180089090A KR20200013891A KR 20200013891 A KR20200013891 A KR 20200013891A KR 1020180089090 A KR1020180089090 A KR 1020180089090A KR 20180089090 A KR20180089090 A KR 20180089090A KR 20200013891 A KR20200013891 A KR 2020001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color
electronic device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417B1 (ko
Inventor
권방현
정인형
장은영
권현웅
백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417B1/ko
Priority to PCT/KR2019/006102 priority patent/WO2020027412A1/ko
Priority to EP19843695.8A priority patent/EP3819748A4/en
Priority to US17/264,438 priority patent/US11397481B2/en
Publication of KR202000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PROCESSING INPUT BY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예: 이동 단말기, 스마트 폰, 또는 착용형(wearable) 장치)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 추가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이동 통신 기능,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촬영 기능,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입력 감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들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디지타이저 패널(digitizer panel), 또는 압력 터치 패널(force touch panel) 과 같은 입력 감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에 적층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 패널은 스타일러스(stylus) 펜을 이용한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패널이 전자 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은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및 전자 장치가 일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예: 호버(hover) 상태),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예: 터치(touch)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과 관련된 기능들이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스타일러스(stylus) 펜의 특징에 따라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제1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고, 선택된 제3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또는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색상의 배경을 가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과는 상이하면서, 선택된 제5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따라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안 수신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stylus) 펜 또는 전자 장치의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근접 입력을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디지털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의 활용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되지 아니한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 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근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이탈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 및 스타일러스 펜의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변경 전후의 근접 입력들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의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 메뉴를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의 변경 전후의 근접 입력들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의 변경 시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외장 색상 및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 및 화면의 배경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도 1 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펜(201)(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110C)의 일 부분에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홀(111)과 연결된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펜(201)은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디지털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201a)이 눌리면,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들이 작동하여,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디지털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공진 회로(287),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통신 회로(290), 안테나(297) 및/또는 트리거 회로(29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 펜(201)의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2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 및/또는 통신 회로(290)는 메모리(230),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안테나(297) 또는 트리거 회로(2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공진 회로와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지털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지털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공진 회로(2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16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287)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디지털 펜(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2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287)는, 디지털 펜(201)이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을 위해, 디지털 펜(2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진 회로(2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2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회로(2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2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2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2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충전 회로(2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 디지털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289)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충전 회로(2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통신 회로(290)은, 디지털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펜(2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트리거 회로(298)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 펜(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2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복수의 안테나(2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통하여, 통신 회로(2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트리거 회로(2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디지털 펜(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디지털 펜(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2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지털 펜(201)은 디지털 펜(2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300)과 펜 하우징(300)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조립체는, 펜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여, 펜 하우징(300) 내부에 한번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은, 제1 단부(300a) 및 제2 단부(3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301) 또한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은,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조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크게 3 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310),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320), 및 하우징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션 부재(310)는,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201)을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310)는 샤프트(311)와 샤프트(31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3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312) 및 버튼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조립체가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샤프트(311) 및 이젝션 몸체(312)를 포함한 부분은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a)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313)(예: 도 2의 201a)는 제1 단부(30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31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버튼부(31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31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31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부(31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디지털 펜(201)을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샤프트(31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부(320)는, 내부 조립체가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2 단부(300b)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321), 패킹 링(322), 복수 회 권선된 코일(323) 및/또는 펜 팁(32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22)은 에폭시,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2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320) 및 회로기판부(3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32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32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330)는, 인쇄회로기판(332), 인쇄회로기판(3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3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3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3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3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32)은 기판안착부(3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코일(32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캐패시터 또는 스위치(3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 또는 통신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323) 및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3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 상에는 스위치(33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에 구비되는 사이드 버튼(337)은 스위치(3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300)의 측면 개구부(3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337)은 지지부재(3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사이드 버튼(3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3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사이드 버튼(3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330)는 오-링(O-ring)과 같은 다른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베이스(331)와 펜 하우징(300)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338)는 부분적으로 측면 개구부(302)의 주위에서 펜 하우징(300)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기판부(330)도 코일부(320)의 패킹 링(32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베이스(331)의 상면에 배터리(336)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335)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3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마이크로 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인쇄회로기판(3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3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은 디지털 펜(201)의 긴 방향으로 사이드 버튼(3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5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제1 무선 충전 회로(540), 및 제1 무선 통신 회로(55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메모리(12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제1 무선 충전 회로(540) 및 제1 무선 통신 회로(550)와 작동적(operatively) 또는 전기적(electrically)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1)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디지타이저 패널(535)을 통해 위치 검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디지털 펜(201))의 공진 회로(287)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제1 무선 충전 회로(540)에 포함된 코일을 통해 검출 신호를 송출하고,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물리적 혹은 전기적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검출 신호에 대비하여 더 높은 전압의 충전 신호를 제1 무선 충전 회로(540)의 코일에 인가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배터리(또는 슈퍼 캐패시터)(예: 도 3의 배터리(289))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 여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삽입 여부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연결 명령을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로 전달하며,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충전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와 작동적(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스타일러스 펜(201)의 페어링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속성 정보는 미리 정의된 값에 의해 지시되는 논리적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는 하우징(110)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며,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은 표시 패널(531), 터치 패널(533) 및 디지타이저 패널(535)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531)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 elecro 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533)은 입력 도구(예: 손가락)를 이용한 다양한 터치 입력(예: 탭, 더블 탭, 터치, 터치이동, 또는 멀티 터치)에 의한 물리적 특성(정전 용량, 또는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또는 인식)하고, 이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패널(535)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입력에 따른 전자기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프로세서(120)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는 압력 감지를 위한 압력 감지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패널(535)을 통해 감지되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입력(예: 호버링, 터치 입력 등)은 '근접 입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충전 회로(540)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홀(11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회로(54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충전 회로(540)는 홀(11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배터리(289)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회로(540)는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의 제어 하에 제1 지정된 시간(예: 9초)동안 온(on)되고, 제2 지정된 시간(예: 1초)동안 오프(off)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충전 회로(540)는 현재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이 홀(111)에 삽입된 펜인지 확인 또는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의 제어 하에 임의의 패턴으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안테나(551)를 통해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 중 또는 충전 후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BLE 통신을 위한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 감지 시 또는 충전 신호 인가 시 연결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201)을 스캔(scan)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식별 정보 또는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bluetooth, BT) 프레임워크(framework)에 속한 블루투스 모듈(620),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속한 에어 커맨드(air command) 어플리케이션(632), 설정(setting) 어플리케이션(634),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620)은 스타일러스 펜(201)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620)을 통해 스타일러스 펜(201)과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연결 또는 페어링을 수행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620)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연결(attach) 여부에 기반하여 무선 연결을 수립(establishment)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 커맨드 어플리케이션(632)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관리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홀(111)에서 이탈함으로 인해 실행될 수 있다. 에어 커맨드 어플리케이션(632)은 스타일러스 펜(201)에 관련된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액티비티(activity)로서 원격S펜서비스(remoteSpenService)(6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S펜서비스(633)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페어링 여부, 홀(111)에의 삽입 여부 등을 확인하고, 에어 커맨드 어플리케이션(632)에게 통지할 수 있다. 에어 커맨드 어플리케이션(632)은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된 페어링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페어링 상태에 기반하여 속성 정보로서의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635)에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은 에어 커맨드 어플리케이션(632)으로부터 제공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DB(635)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은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으로 DB(635)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된 속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은 스타일러스 펜(201)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입력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은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펜 분리 효과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은 DB(635)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읽고, 해당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 속성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속성 정보가 DB(635)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은 별도의 정보 없이도 DB(635)에 저장된 속성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로부터 속성 정보가 결정되고, 속성 정보가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예: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의 기능에 반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징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저장된 컬러 코드(color code)일 수 있으며, 속성 정보는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컬러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컬러 값은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 실행 시 표시되는 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컬러 코드가 사용되는 실시 예들이 이하 설명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101)와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예: 컬러 코드)를 페어링 동작 중 수신하고, 수신된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과 연관된 속성 정보를 결정 및 저장하고, 저장된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의 활용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반한 특징 정보(예: 컬러 코드)를 모듈 계층(layer)에 기반하여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b는 특징 정보가 컬러 코드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b를 참고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컬러 코드를 원격S펜서비스(633)로 제공할 수 있다. 원격S펜서비스(633)는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으로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컬러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격S펜서비스(633)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컬러 코드를 수신하여 분석 및 관리하고,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은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636a, 636b, 636c)은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으로 컬러 값을 요청하고, 컬러 값을 획득한 후, 획득한 컬러 값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들(636a, 636b, 636c)은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으로부터 제공되는 컬러 값을 이용하여 근접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코일(701)(예: 공진 회로(287)), 트리머 캐패시터(trimmer capacitor)(702), 버튼 스위치(703), 정류 회로부(705), 제1 전압 비교부(706), 충전 스위치(707), 제2 전압 비교부(708), 제2 무선 통신 회로(709), 안테나(297), 부팅 스위치(711), 배터리(289) 및 OR 게이트(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705), 제1 전압 비교부(706), 충전 스위치(707)는 제2 무선 충전 회로(704)(예: 충전 회로(288))로 지칭될 수 있다.
코일(701)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제1 무선 충전 회로(540))에서 인가되는 전자기장 신호를 감지하고,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공진회로(28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7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코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캐패시터(702)는 코일(701)에 인가되는 유도 전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스위치(703)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펜 하우징(예: 도 4의 펜 하우징(300)) 일측에 위치하는 버튼(예: 도 4의 사이드 버튼(337))의 입력(예: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버튼 스위치(703)가 온(on)되는 경우 코일(701)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통해 버튼(337)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 회로부(705)는 코일(701)에 인가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제1 전압 비교부(706) 및 충전 스위치(707)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전압 비교부(706)는 정류 회로부(705)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신호인지, 충전 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신호는 위치 검출 신호에 비하여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압 비교부(706)는 기준 전압(예: 3 V)보다 작은 경우 위치 검출 신호로 판단하고,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충전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압 비교부(706)는 정류 회로부(705)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력이 충전 신호인 경우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압 비교부(706)는 충전 신호인 경우 충전 스위치(707)를 온(on)하고, 위치 검출 신호인 경우 충전 스위치(707)를 오프(off)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707)는 배터리(289)의 충전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위치(707)는 제1 전압 비교부(706)의 출력에 기반하여 정류 회로부(705)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력을 배터리(289)로 제공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2 전압 비교부(708)는 배터리(289)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를 온 또는 부팅 시킬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하우징(30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제1 무선 통신 회로(55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는 BLE 통신 회로일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는 안테나(297)를 통해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정보(예: 고유 정보, 충전 관련 정보) 및/또는 버튼(337) 입력에 기반한 데이터를 제1 무선 통신 회로(55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297)는 제2 무선 통신 회로(70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부팅 스위치(711)는 제2 무선 통신 회로(709)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스위치(711)는 제2 전압 비교부(708)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터리(289)의 전원을 제2 무선 통신 회로(709)에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배터리(289)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정류 회로부(705)의 직류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제2 무선 통신 회로(709)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89)는 슈퍼 캐패시터일 수 있다. OR 게이트(713)는 제1 전압 비교부(706)의 출력 및 버튼 입력의 논리합에 따른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예: 홀(1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하우징(110)),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하우징(예: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펜 메모리(예: 메모리(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홀에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 무선 통신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예: 메모리(12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는, 상기 메모리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예: 메모리(120))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입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 입력의 색상 결정 여부를 설정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 또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하우징(예: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홀(예: 홀(111))에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에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한 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과 상이한 선택된 제2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2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 상에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에서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으로 적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으로 적용하는 기능을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 )(예: 홀(111))을 포함하고, 선택된 제3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하우징(예: 하우징(110)),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또는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 색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및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 색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및 상기 선택된 제3 색상과 상이한 제4 색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예: 홀(1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하우징(110)),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53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색상의 배경을 가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과는 상이하면서, 선택된 제5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5 색상은 흰색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5 색상은 실버(silver)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도 8에 예시된 흐름도(8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스타일러스 펜(201) 관련 속성 정보를 결정 및 저장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관련된 기능에 영향을 주는 설정 값으로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는 시각적 효과에 관련된 설정 값, 알고리즘의 내용에 관련된 설정 값,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어에 관련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 도 6a의 펜 관련 어플리케이션(636))을 실행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속성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 고유의 특징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반영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801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9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충전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색(search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홀(111)에 삽입됨을 감지하고, 충전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201)이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페어링 정보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색한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과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고, 페어링 동작 중 수신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징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성에 관련된 정보로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예: 색상, 형상, 모양 등) 또는 기타 스타일러스 펜(201) 관련 특성(예: 제조사, 제조시기, 모델명, 등급 등)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정보가 색상에 관련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과의 페어링을 위한 데이터 패킷은 일정 개수의 바이트(byte)의 스타일러스 펜 이름(예: 'SPen') 및 일정 개수의 바이트의 컬러 코드(예: 'ZK')를 포함할 수 있다. 특징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조 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과의 페어링이 성공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페어링이 성공하면, 동작 907에서, 전자 장치(101)는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속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정보가 컬러 코드인 경우, 속성 정보는 컬러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S펜서비스(633)는 페어링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에 대한 속성 정보를 결정하고, 설정 어플리케이션(634)이 DB(635)에 속성 정보를 기록(wri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페어링을 위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특징 정보(예: 컬러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스타일러스 펜(201)과 페어링이 될 때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과 연관된 속성 정보(예: 컬러 값)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컬러 코드 'KK'의 특징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1)는 속성 정보를 RGB(256,40,4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101)는 속성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페어링 동작 중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검색 동작 중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가 독립적인 필드로서 또는 다른 정보(예: 이름 정보)와 결합된 형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수의 스타일러스 펜들 중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감지하고,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하기 위한 검색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알고리즘은 전자 장치(101)에서 발생되는 충전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되며,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신호에 대한 공진 신호에 따라, 페어링된 전자 장치(101)가 없을 때,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901의 일 예로서, 방법(1000)은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201)에 대한 정보가 없을 경우,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색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출하기 위한 검색 알고리즘의 예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삽입되어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이 동일한 스타일러스 펜인지 검증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통지(notification) 방식으로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속성(attribute)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스타일러스 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경우가 가정된다.
동작 1001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 이벤트가 확인되면,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에 충전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속성 정보를 읽음으로써(read) 충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통신 연결되어 있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일정시간 이내로 읽기 명령에 응답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충전 중이 아님을 알리는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홀(111)에 삽입되어있는 스타일러스 펜이 다르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이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이 동일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충전 상태 정보만으로 판단하면 통신 연결되어 있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주변(전자 장치의 통신 범위 내)의 다른 전자 장치에 삽입되어 충전 중인 경우,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이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으로 오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작 10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 상태를 알 수 있는 속성 정보에 통지(notification)를 등록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온(on) 주기에 임의의 패턴으로 충전 신호를 오프(off)-온(on)할 수 있다. 충신 신호를 온-오프하며, 전자 장치(101)는 속성 정보가 동기화되어 변경되는지 여부를 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충전 신호의 온-오프 변화와 통지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의 값의 변화가 동일하면, 다시 말해, 온-오프 변화 및 속성 정보 값의 변화가 동기화되어 있다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201)과 삽입되어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온-오프 변화 및 속성 정보 값의 변화가 동일하지 아니하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삽입되어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증이 완료되면, 동작 1011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지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전자 장치(101)의 홀(11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식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충전 신호에 반응하여 어드버타이징을 수행하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SPen" 이름(name)의 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스캔 결과, 둘 이상의 스타일러스 펜들이 검출될 수 있다. 인접한 다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에 삽입된 다른 스타일러스펜이 다른 전자 장치(102)의 충전 신호에 반응하여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 이상의 스타일러스 펜들이 검출되면,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충전 신호의 중단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스캔에서 사라지는, 즉, 전자 장치(101)의 충전 신호가 중단됨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지 아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신호 온 시, 전자 장치(10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다시 송신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신호의 온-오프에 따른 어트버타이징 신호의 온-오프에 대한 관찰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에 동기화된 어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하는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를 랜덤하게 제어하고,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만 남을 때까지 충전 신호의 온-오프를 반복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홀(111)에 삽입되어 충전 신호에 동기되어 반응하는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페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원격S펜서비스(633)는 페어링 정보를 확인하고, 페어링 정보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101)에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홀(11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어느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새로운 스타일러스 펜이 홀(111)에 삽입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 중에 제2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사용을 위해, 전자 장치(101)의 홀(111)에 스타일러스 펜(201)을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이 존재하는 경우, 페어링되지지 아니한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에 따라 해당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되지 아니한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 시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홀(111)에 삽입됨에 따라, 동작 1101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온(charge on, CHG_ON)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전자 장치(101)(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전자 장치(101)는 리셋 충전(reset charge)을 시작(star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검출 코일(dectecting coil)의 구동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홀(111) 삽입을 감지하고, 충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전자 장치(101)는 타겟 펜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미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미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캔 동작 동안, 스타일러스 펜과의 연결을 위한 스캔에 성공할 때까지,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리셋(reset)을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일정 임계치 이상의 시간(예: 10초) 동안 연속된 충전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부(예: 도 3의 통신 회로(290), 도 7의 제2 무선 통신 회로(709))를 리셋함으로서 재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111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은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11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캔 동작의 타임아웃(timeout)을 결정할 수 있다. 스캔 동작을 일정 시간(예: 40초) 동안 지속하였으나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정보가 스캔되지 아니함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현재 홀(111)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은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이 아닌 다른 스타일러스 펜임을 판단하고, 스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11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을 검색할 수 있다. 동작 1117에서, 전자 장치(101)는 검색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알고리즘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동작 1119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을 발견할 수 있다. 동작 1121에서, 전자 장치(101)는 리셋 충전을 중지하고, 일반 충전(normal charge)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23에서, 전자 장치(101)는 연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블루투스 규격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01)은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1125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크립터(descriptors)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근접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1200)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이탈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 및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스타일러스 펜의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8의 동작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12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동작 12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잠금 및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잠금 및 슬립 상태는 일정 시간 전자 장치(10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음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가 오프 또는 절전 상태로 진입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분리(detaching)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검출 코일(예: 제1 무선 충전 회로(540))의 근접 입력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이 홀(111)에 삽입 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공진 회로(287)와 상호 작용하는 검출 코일(540)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공진 신호를 인가함에 응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여부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분리되면, 동작 12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잠금 화면 상에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은 잠금 해제 없이 드로잉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슬립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를 감지하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 화면 상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예: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2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펜 분리 효과(pen detach effect)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의 감지에 따른 가이드(guide)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효과(effect)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분리되기 전,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잠금 및 슬립 상태의 제1 화면(1310)을 표시하며,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감지에 따라 제2 화면(13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화면(1320)의 우측 하단에 스타일러스 펜(201) 의 분리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1322)이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GUI (1322)의 색상을 앞서 저장된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로서 컬러 값 'blue'가 저장된 경우, GUI(1322)의 색상은 'blue'의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GUI(1322)의 모양은 일 예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른 모양의 GUI가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될 수 있다.
동작 1209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드로잉 툴(drawing tool)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에 대응하는 표시를 위한 드로잉 툴의 컬러 값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에 따라 공진 회로로부터 수신되는 근접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근접 신호의 이동에 기반하여 벡터 형태의 이동 궤적을 드로잉 출력으로서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드로잉 출력을 표시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도 14와 같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1463) 실행 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에 따라, 제1 화면(1410), 제2 화면(1420), 제3 화면(1430), 제4 화면(1440)에 표시된 드로잉 출력들은 모두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상들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스타일러스 펜(210)의 속성 정보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14의 예와 같이, 드로잉 출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색상은 스타일러스 펜(210)의 외장 색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에 따른 드로잉 출력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속성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드로잉 도중 스타일러스 펜이 교체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의 교체 전·후 드로잉 출력에 적용된 색상의 처리가 문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교체에 따라 모든 드로잉 출력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 교체 전에 입력된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스타일러스 펜 교체 전에 입력된 궤적의 색상이 유지되는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변경 전후의 근접 입력들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1500)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의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의 동작 801 및 동작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15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동작 15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제1 스타일러스 펜을 통한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고하면,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1663) 실행 중 제1 스타일러스 펜(1601a)을 이용하여 드로잉 입력이 발생하면, 제1 화면(1610)과 같이, 제1 스타일러스 펜(1601a)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으로 드로잉 출력(1602)이 디스플레이(160)에 표현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2 스타일러스 펜이 홀(111)에 삽입됨을 감지하고,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스타일러스 펜을 확인한 후,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 동작 동안, 전자 장치(101)는 제2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전자 장치(101)는 페어링된 제2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속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속성 정보를 제2 스타일러스 펜의 속성 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제1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제2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됨에 응하여,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 상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된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속성 정보를 제2 스타일러스 펜의 속성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은 이후 제2 스타일러스 펜의 속성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동작 15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스타일러스 펜을 통한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고하면, 제2 스타일러스 펜(1601b)과의 페어링 후, 제2 스타일러스 펜(1601b)을 이용하여 드로잉 입력이 발생하면, 제2 화면(1620)과 같이, 제1 스타일러스 펜(1601a)을 이용한 입력에 의한 드로잉 출력(1602)의 색상은 유지되고, 제2 스타일러스 펜(1601b)에 의한 추가적인 입력에 따른 드로잉 출력(1604)은 제2 스타일러스 펜(1601b)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같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따라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전자 장치(101)에 기본(default) 값으로 정의된 색상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드로잉 출력에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를 반영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이하 설명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흐름도(1700)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 메뉴를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8의 동작 801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17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동작 17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설정 메뉴 표시 명령이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한 상태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과 관련된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설정 메뉴 표시 명령이 검출되면, 동작 17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1810)는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 메뉴임을 알리는 제목 문구(1812),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들(1814)(예: 안내 문구 및 온/오프 버튼),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 설정에 관한 항목임을 표시하는 안내 문구(1816) 및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항목(1818)(예: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7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항목(1804)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 결과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확인하고, 확인된 선택 결과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를 반영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전자 장치(101)에 미리 정의된 속성 정보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설정하는 설정 메뉴를 통해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의 처리 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를 반영하는 기능을 활성화(enabling) 또는 불활성화(disabling)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면, 전자 장치(101)는 변경 이전 작성된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고, 추가 입력에 따라 변경된 드로잉 출력의 색상들이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속성 정보를 변경하면, 재(re)-페어링 시 신규 페어링된 스타일러스 펜의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속성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변경하지 아니할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에 대한 설정의 변경 전·후에 발생한 드로잉 입력을 처리하는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의 변경 전후의 근접 입력들을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1900)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관련 설정의 변경 시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8의 동작 801 및 동작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19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동작 19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스타일러스 펜(201)을 통한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제1 화면(2010)과 같이,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2063)의 실행 화면에서, 드로잉 출력(2002)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동작 19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설정 메뉴에서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 반영 기능을 불활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의 반영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을 부정(negative)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0의 제2 화면(2020)과 같은 설정 메뉴(2022)를 표시하고,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 반영 기능을 불활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기 입력된 드로잉 출력을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설정 메뉴가 종료되면, 전자 장치(101)는 스크린 오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다시 표시할 수 있으며, 다시 표시된 화면은 이전에 입력된 드로잉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의 변경 이전에 입력된 드로잉 출력은 입력 당시의 설정 내용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제3 화면(2030)과 같이, 설정 메뉴(2022) 종료 후, 전자 장치(101)는 이전 입력된 드로잉 출력(2002)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907에서, 전자 장치(101)는 추가적인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속성 정보의 기본 값에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설정 변경 후, 추가적인 드로잉 입력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1)는 변경된 설정에 따라, 속성 정보의 기본 값에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을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제4 화면(2040)과 같이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표현된 드로잉 출력(2002) 및 속성 정보의 기본 값에 기반하여 표현된 드로잉 출력(2004)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에 저장된 특징 정보로부터 속성 정보가 결정되고,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근접 입력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에 저장된 특징 정보는 컬러 코드일 수 있고, 속성 정보는 컬러 코드에 대응하는 컬러 값일 수 있다. 컬러 코드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조 시 또는 제조 후 저장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외장 색상,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 컬러 코드, 컬러 값의 대응 관계의 예는 이하 <표 1>과 같다.
전자 장치
외장 색상
스타일러스 펜
외장 색상
컬러 코드 컬러 값
BLACK BLACL ZK silver (회색)
BROWN COPPER PN copper (갈색)
PURPLE LAVANDER LP lavender (분홍색)
BLUE YELLOW YZ yellow (노란색)
PURPLE SILVER AS purple (보라색)
LAVENDER SP lavender (분홍색)
BLUE SILVER BS blue (하늘색)
YELLOW YZ yellow (노란색)
YELLOW YZ yellow (노란색)
SILVER BS blue (하늘색)
SILVER SILVER VS sky blue (하늘색)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2100)이다. 도 21는 도 8의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21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동작 21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된 홀(111)에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색상을 포함하는 외장 또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동작 21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 색상에 기반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160) 상에 드로잉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에 적용된 선택된 색상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외장 색상 및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흐름도(2200)이다. 도 22는 도 8의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22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동작 2201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은 선택된 제1 색상을 포함하는 외장 또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된 홀(111)에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2 색상을 포함하는 외장 또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동작 22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외장 색상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 색상에 기반한 색으로 디스플레이(160) 상에 드로잉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10)의 외장에 적용된 선택된 제1 색상 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에 적용된 선택된 제2 색상일 수 있다. 선택된 제1 색상 또는 선택된 제2 색상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드로잉 출력의 색상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외장 색상 및 화면의 배경 색상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흐름도(2300)이다. 도 23은 도 8의 803의 일부로서, 예시된 흐름도(2300)의 동작 주체는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디지타이저 컨트롤러(51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동작 2301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을 이용한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된 홀(111)에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색상을 포함하는 외장 또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동작 2303에서,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배경에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 색상과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160) 상에 드로잉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선택된 제1 색상과 상이하면서, 선택된 제2 색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예: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예: 홀(111))에 스타일러스 펜(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됨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안 수신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상기 입력은, 잠금 화면에서 실행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드로잉 입력이며, 상기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상기 입력은, 잠금 화면에서 실행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드로잉 입력이며, 상기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특징 정보는 컬러 코드로, 속성 정보는 컬러 값으로 예시되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징 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타입(type)을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장의 소재에 기반할 수 있고, 금속 및 플라스틱을 구분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잉 입력 시, 선의 모양이 타입을 나타내는 값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을 지시하는 타입 값이 저장된 경우, 플라스틱을 지시하는 타입 값이 저장된 경우에 비하여, 선의 모양이 더 날카로운 느낌을 주도록(예: 선 끝이 더 뾰족하도록, 선과 배경의 경계가 보다 뚜렷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의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홀에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 무선 통신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된 제1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는, 상기 메모리의 미리 정의된 영역에 저장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 입력의 색상 결정 여부를 설정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 또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홀에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한 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과 상이한 선택된 제2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2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과 상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으로 적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으로 적용하는 기능을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고, 선택된 제3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또는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 색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으로 결정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및 상기 선택된 제3 색상이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기본 색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색상 및 상기 선택된 제3 색상과 상이한 제4 색상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선택된 제1 색상(color)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색상의 배경을 가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드로잉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드로잉 출력의 색상은, 상기 선택된 제1 색상과는 상이하면서, 선택된 제5 색상이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5 색상은 흰색인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은 검정색이고, 상기 제5 색상은 실버(silver)인 전자 장치.
  18.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됨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안 수신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상기 입력은, 잠금 화면에서 실행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드로잉 입력이며,
    상기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상기 입력은, 잠금 화면에서 실행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드로잉 입력이며,
    상기 드로잉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출력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모양으로 표시되는 방법.
    .
KR1020180089090A 2018-07-31 2018-07-3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090A KR102503417B1 (ko) 2018-07-31 2018-07-3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19/006102 WO2020027412A1 (ko) 2018-07-31 2019-05-22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19843695.8A EP3819748A4 (en) 2018-07-31 2019-05-22 ENTRY PROCESSING PROCESS CARRIED OUT WITH A PEN AND ELECTRONIC DEVICE FOR THIS
US17/264,438 US11397481B2 (en) 2018-07-31 2019-05-22 Method for processing input made with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090A KR102503417B1 (ko) 2018-07-31 2018-07-3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91A true KR20200013891A (ko) 2020-02-10
KR102503417B1 KR102503417B1 (ko) 2023-02-24

Family

ID=6923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090A KR102503417B1 (ko) 2018-07-31 2018-07-31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7481B2 (ko)
EP (1) EP3819748A4 (ko)
KR (1) KR102503417B1 (ko)
WO (1) WO2020027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7766A (zh) * 2021-03-15 2023-06-09 荣耀终端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芯片和无线充电电路
CN116107469A (zh) * 2021-11-11 2023-05-12 荣耀终端有限公司 功能模式切换方法、电子设备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670A (ko) * 2008-08-05 2010-02-16 한재준 색상펜, 그를 이용한 색상 표시 단말기 및 방법
KR20140091502A (ko) * 2014-05-28 2014-07-21 유영배 터치 펜 장치 및 이의 색상 설정 방법
KR20140145480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16278A (ko) * 2014-08-04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8099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의 무선 충전용 송신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
KR20170007051A (ko) *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6A (ja) * 1982-06-26 1984-01-05 Fujitsu Ltd 電子黒板装置の色情報入力方式
GB2445615B (en) * 2007-01-10 2009-08-26 Steljes Ltd Pen adapter and accessories
JP2011018090A (ja) * 2009-07-07 2011-01-27 Panasonic Corp 電子ペン及び電子ペンシステム
CN102591481A (zh) * 2011-01-13 2012-07-18 国立成功大学 数字绘图电子笔、数字绘图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72144B1 (ko) 2013-03-26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4162604A1 (ja) * 2013-04-05 2014-10-09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データ処理方法
KR101398479B1 (ko) 2013-05-03 2014-05-27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식별자를 이용한 그림도구
US10437358B2 (en) * 2014-06-27 2019-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ystems stylus and methods
KR101559780B1 (ko) 2014-11-27 2015-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393683B1 (ko) * 2015-10-21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98722B1 (ko) 2016-08-01 202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670A (ko) * 2008-08-05 2010-02-16 한재준 색상펜, 그를 이용한 색상 표시 단말기 및 방법
KR20140145480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91502A (ko) * 2014-05-28 2014-07-21 유영배 터치 펜 장치 및 이의 색상 설정 방법
KR20160016278A (ko) * 2014-08-04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8099A (ko) * 2014-12-04 2016-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의 무선 충전용 송신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
KR20170007051A (ko) *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1563A1 (en) 2021-10-07
KR102503417B1 (ko) 2023-02-24
WO2020027412A1 (ko) 2020-02-06
US11397481B2 (en) 2022-07-26
EP3819748A1 (en) 2021-05-12
EP3819748A4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71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7372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82447A (ko)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4401A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14716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rrection for styl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10050390A (ko) 외부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4397A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99019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KR102500309B1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59974B1 (ko)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0341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55213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17099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74425B2 (en)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effects by displaying a drawing output corresponding to a drawing input us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10110980A (ko)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36375A (ko) 광학적으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