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865B1 -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865B1
KR102405865B1 KR1020210071303A KR20210071303A KR102405865B1 KR 102405865 B1 KR102405865 B1 KR 102405865B1 KR 1020210071303 A KR1020210071303 A KR 1020210071303A KR 20210071303 A KR20210071303 A KR 20210071303A KR 102405865 B1 KR102405865 B1 KR 10240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tylus pen
various embodiments
charging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361A (ko
Inventor
강병훈
이주훈
박창병
백종우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8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까지 형성된 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제1 무선통신회로 및 무선충전 수신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충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전송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무선통신회로,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고,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하고,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 연결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다양한 실시예들은,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와 통신 연결을 형성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펜 기능을 갖는 장치(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펜)가 있다. 전자 장치는, 펜 기능을 갖는 입력 장치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펜 기능을 갖는 입력 장치(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상 "스타일러스 펜"이라는 용어로 언급하기로 한다)의 입력 방식 중 하나로 전자기 유도(Electro magnetic resonance, 이하 EMR이라 함)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EMR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EMR 방식에 기반하여, 입력 장치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펜 기능을 갖는 입력 장치는 전자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스마트 폰)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스타일러스 펜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형성(또는, 설립(establishment))하는 과정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과 근거리 통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다른 말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이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시점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연속적으로(다른 말로, 중단 없이) 스캐닝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스캐닝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전력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에 전력을 공급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충전할 수 있다. 다만, 스타일러스 펜에 결함(예: 소프트웨어적 결함)이 발생한 경우, 충전은 수행될 수 있지만,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지 못하여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리셋(reset)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에 결함이 발생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예: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는 상태)로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까지 형성된 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제1 무선통신회로 및 무선충전 수신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충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전송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무선통신회로,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하고,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 연결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 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하는 동작,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원통형 하우징(housing) 내 펜 팁(pen tip)에 위치한 무선 충전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과 함께 충전 공진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 상기 충전 공진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직류 신호 형태의 충전 신호로 변환하는 충전 회로, 기준 충전 전압을 초과하는 상기 충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 회로와 EDLC 배터리를 전기적 연결하고, 상기 기준 충전 전압 이하의 상기 충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 회로와 상기 EDLC 배터리를 전기적 차단하도록 충전 스위치(charge-on switch)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 회로, 상기 충전 제어 회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이 전원 오프(power-off) 전압 이하일 경우,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제1 연결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이 전원 온(power-on)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제2 연결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 연결 상태에서 상기 충전 제어 회로의 출력 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에 상관없이 상기 제2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제어하는 전원(power-on) 제어 회로, 상기 전원(power-on) 제어 회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전원(power-on) 시퀀스를 실행하고,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에 삽입될 때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압 검출기,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압 검출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검출기는,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일 경우, 상기 무선통신회로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상기 전송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리셋(reset)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예: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는 상태)로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의 동작 101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을 리셋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연속적인 스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순차적인 스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8 및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휴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0 및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다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2 및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새롭게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스타일러스 펜이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5 내지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출력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 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 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 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 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디지털 펜(20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도 1 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펜(201)(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110C)의 일 부분에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홀(111)과 연결된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펜(201)은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디지털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1a)이 눌리면,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들이 작동하여,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디지털 펜(201))을 도시하는 블록도(3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공진 회로(387),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통신 회로(390), 안테나(397) 및/또는 트리거 회로(39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펜(201)의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3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 및/또는 통신 회로(390)는 메모리(330),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안테나(397) 또는 트리거 회로(3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공진 회로와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지털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공진 회로(3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예: 도 4의 전자기 유도 패널(49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387)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30)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디지털 펜(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3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커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387)는, 상기 디지털 펜(201)이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생성을 위해, 디지털 펜(2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3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3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회로(3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3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3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3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충전 회로(3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디지털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89)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89)는 충전 회로(3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390)은, 디지털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펜(2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90)는 트리거 회로(398)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 펜(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3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복수의 안테나(3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통하여, 통신 회로(3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회로(3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지털 펜(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디지털 펜(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3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전개 사시도(4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측면 베젤 구조(410), 제1 지지부재(4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420), 디스플레이(430), 전자기 유도 패널(490), 인쇄 회로 기판(440),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 제2 지지부재(4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 스타일러스 펜(220)(예: 도 2의 디지털 펜(201)) 및 후면 플레이트(4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부재(411), 또는 제2 지지부재(4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2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예: 디지타이저(digitizer))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인쇄회로기판(PCB)(예: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시트는 전자 장치(101) 내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예: 디스플레이 모듈, 인쇄회로기판, 전자기 유도 패널 등)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한 상기 컴포넌트들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시트는 컴포넌트들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을 차단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220)로부터의 입력이 전자기 유도 패널(490)에 포함된 코일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전자 장치(101)에 실장된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지지부재(411)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4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4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4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4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440)에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4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1)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는, 후면 플레이트(480)와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4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4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부재(4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디지털 펜(201))의 분리 사시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펜(201)은 디지털 펜(2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500-1)과 펜 하우징(500-1)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여, 펜 하우징(500-1) 내부에 한번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500-1)은, 제1 단부 (500a) 및 제2 단부 (5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공간(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500-1)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 또한 펜 하우징(500-1)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500-1)은,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500-1)의 제2 단부(500b)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상기 펜 하우징(500-1)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크게 3 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500-1)의 제1 단부(5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510), 펜 하우징(500-1)의 제2 단부(5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520), 및 하우징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션 부재(510)는,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201)을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510)는 샤프트(511)와 상기 샤프트(51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5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512) 및 버튼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500-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511) 및 이젝션 몸체(512)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펜 하우징(500-1)의 제1 단부(500a)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513)(예: 도 2의 201a)는 제1 단부(50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51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버튼부(51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51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51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51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디지털 펜(201)을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샤프트(51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520)는,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500-1)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2 단부(500b)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521), 패킹 링(522), 복수 회 권선된 코일(523) 및/또는 펜 팁(52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522)은 에폭시,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52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520) 및 회로기판부(5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52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52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530)는, 인쇄회로기판(532), 상기 인쇄회로기판(5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5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5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5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5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532)은 기판안착부(5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532)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코일(52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5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536)(예: 도 3의 배터리(389)) 또는 통신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36)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523) 및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89))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5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5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532) 상에는 스위치(53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에 구비되는 사이드 버튼(537)은 스위치(5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500-1)의 측면 개구부(5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버튼(537)은 지지부재(5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사이드 버튼(5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5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사이드 버튼(5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530)는 오-링(O-ring)과 같은 다른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5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531)와 상기 펜 하우징(500-1)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538)는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 개구부(502)의 주위에서 상기 펜 하우징(500-1)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부(530)도 상기 코일부(520)의 패킹 링(52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베이스(531)의 상면에 배터리(536)(예: 도 3의 배터리(389))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535)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5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마이크로 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인쇄회로기판(5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5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은 디지털 펜(201)의 긴 방향으로 사이드 버튼(5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예시 도면(6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윈도우(60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isplay assembly)(602), 전자기 유도 패널(490)(예: digitizer),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1 안테나(605)(예: 안테나 모듈(197)), 디지타이저 컨트롤러(digitizer controller)(603), 검출 코일(detecting coil)(미도시)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6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물질(예: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6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의 전면(whole area)을 커버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와 결합(예: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예: 전자기장)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도 4에서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예: 무선 통신 모듈(192))는, 무선 통신(예: 근거리 통신) 연결을 형성하고자 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무선 통신 모듈(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예: 안테나 모듈(197))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또는 프로세서(120)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유도 기전력(electromagnetic force)(또는, 유도 전류)를 발생(또는 유도)시킴으로써,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신호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위치가 전자 장치(101)의 터치 스크린 상(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22))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로부터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또는 유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의 내부 및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 각각에 검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전자기 유도 패널(490)의 내부에 포함된 검출 코일 또는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포함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도 전류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코일들(예: 전자기 유도 패널(490)의 내부에 포함된 검출 코일(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포함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 중 스타일러스 펜(예: 코일)으로부터의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또는 유도)된 검출 코일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위치하는 상태인지(즉, 사용 중인지) 또는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인지(즉, 충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전자기 유도 패널(490)에 포함된 검출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포함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에서, 상기 유도 전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상기 유도 전류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보다 작을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벗어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벗어난 상태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예: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 포함)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유도 전류를 발생(또는 유도)시킴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에 의해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상호 유도에 기초한 전류(예: 검출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7의 배터리(706))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되어 발생한 전류(예: 응답 신호)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거나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통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인접하여 구비된 전자기 유도 패널(49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 또는 도 1의 전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독립적인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프로세서(120)의 제어 없이 전자기 유도 패널(490)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처리 시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예: 도 5의 검출 코일(523))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로부터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위치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이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위에서 사용 중인 상태) 또는 상태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의 배터리 잔량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판단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판단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가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는 경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제1 지정된 시간(예: 9초)동안 전력을 제공하고 제2 지정된 시간(예: 1초) 동안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의 예시 도면(7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코일(523),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버튼 스위치(702),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충전 스위치(705), 배터리(706)(예: 도 3의 배터리(389)), 제2 전압 검출기(707), 제2 안테나(708)(예: 도 3의 안테나(397)),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예: 도 3의 통신 회로(390)), 부팅 스위치(710),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523)은,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523)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 (101))로부터 상호 유도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류(예: 검출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를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는 변경이 가능한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는 회로로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포트, 또는 논리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스위치(702)는, 정류기(703)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스위치(702)는, 스타일러스 펜(220)에 구비된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림 또는 접촉(터치) 됨에 따라 단락(short)되거나 개방(open)될 수 있다.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의 눌림에 의하여 버튼 스위치(702)가 단락 된 경우에는, 커패시터(C2)와 OR 게이트 연결된 노드(node)가 접지(ground)될 수 있으며,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의 눌림 해제에 의하여 버튼 스위치(702)가 개방된 경우에는, 커패시터(C2)가 OR 게이트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린 경우 및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리지 않은 경우, 코일(523) 및 연결되는 커패시터들이 형성하는 공진 회로(예: 도 3의 공진 회로(387))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공진 회로(예: 도 3의 공진 회로(387))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220)의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린 상태인지 또는 눌리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버튼 스위치(702), 제1 전압 검출기(704) 또는 충전 스위치(705)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어 코일(523)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여, 제1 전압 검출기(704) 또는 충전 스위치(705)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 충전 스위치(705),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서의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정된 범위는, 예를 들면, 1.5V 이상 3.5V 미만(레벨 1 범위), 3.5V 이상(레벨 2 범위)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이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사용(터치)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충전 스위치(705)에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충전 스위치(705)를 온(on) 상태로 전환하여, 정류기(703)으로부터 전송된 충전 신호가 배터리(706)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충전 스위치(705)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충전 스위치(705)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무선 신호(예: 애드버타이징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에이블(enable) 신호는, 제1 전압 검출기(704)가 충전 스위치(705)에 인가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와 동일한 종류일 수 있으며,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제1 전압 검출기(704)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사이의 도선을 포함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전술한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터치되고 있는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스위치(705)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경우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인가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배터리(706), 제2 전압 검출기(707),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제1 전압 검출기(704)가 검출한 전압의 세기에 기반하여, 온(on)(예: 쇼트(short)) 또는 오프(off)(예: 오픈(open))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가 온(on)될 경우, 정류기(703) 또는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706) 또는 제2 전압 검출기(707)로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 중인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가 오프(OFF)될 경우, 정류기(703) 또는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706) 또는 제2 전압 검출기(707)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충전 중이지 않은 상태란,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지 않아, 전자 장치(예: 코일(523))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707)는, 충전 스위치(705), 배터리(706) 또는 부팅 스위치(710)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707)는, 상기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부팅 스위치(710)는 제2 전압 검출기(707)에서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쇼트(short)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부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부팅은, 제2 전압 검출기(707)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값이 지정된 값(예: 2.4V)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콜드 부팅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의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페어링 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배터리(706)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스타일러스 펜(2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페어링 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R 게이트(711)는, 제1 전압 검출기(704)에서 검출된 전압 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버튼 입력을 무시하기 위한 신호 또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예: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의 예시 도면(800)이다.
*전술한 도 7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공진 회로(resonant circuit)(801)(예: 도 3의 공진 회로(387)),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충전 스위치(705), OVP(overvoltage protection) 회로(802),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803), 제2 전압 검출기(707), 부팅 스위치(710),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및 OR 게이트(7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801)는, 정류기(703)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801)는, 코일(예: 도 5의 코일(523)), 가변 커패시터 회로(예: 도 7의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및 버튼 스위치(예: 도 7의 버튼 스위치(702))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VP 회로(802)는, EDLC(803)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예: 2.6V)를 감지하여, EDLC(803)로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801), 제1 전압 검출기(704), 충전 스위치(705), OVP 회로(802), 제2 전압 검출기(707), 부팅 스위치(710), 및 OR 게이트(711)는 함께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를 구성할 수 있으며, EDLC(803) 및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더 포함하여 하나의 집적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의 예시 도면(900)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회로도는, 도 8의 예시 도면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7 또는 도 8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resonant circuit)(801)(예: 도 3의 공진 회로(387)),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충전 스위치(705), OVP(overvoltage protection) 회로(802),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803)(예: 도 7의 배터리(706)), 제2 전압 검출기(707), 부팅 스위치(710), 제2 무선 통신 컨트롤러(709) 및 OR 게이트(7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801)은, 코일(523),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또는 버튼 스위치(7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복수개의 다이오드 소자, 복수개의 커패시터들, 전압 슈퍼바이저(voltage supervisor), 적어도 하나의 저항,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저항 또는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VP 회로(802)는, 전압 슈퍼바이저, 트랜지스터 또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EDLC(803)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707)는, 복수개의 저항 또는 적어도 하나의 OP-amp (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부팅 스위치(710)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BLE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R 게이트(711)는, 복수개의 저항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10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01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의 검출 신호의 전송 및 응답 신호의 수신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20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에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충전(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 (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유도 전류를 발생(또는 유도)시킴으로써, 스타일러스 펜 (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충전(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에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이 리셋(reset)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간(duration)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하기까지의 기간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기간은,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로 일반적인 충전(normal charging)을 제공하는 제2 기간(duration)보다 긴 기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는,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형성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되지 않은 주변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연결 또는 계정(예를 들어, 페어링)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식별 정보(이하, 장치 식별 정보), 스타일러스 펜(220))의 색상 정보(이하,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이하, 사용자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이하, 현재 페어링 정보), 이전에 페어링 된 장치에 관한 리스트(이하, 페어링 리스트),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이하,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tx power), 감지영역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이하,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버튼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30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캔 동작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스타일러스 펜(220)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동작(active) 상태, 방전 혹은 저전력(battery low) 상태, 휴면(sleep) 상태 또는 다운(down) 상태)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점에 또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스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4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전자기파 형태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휴면(sleep) 상태에서 동작(active) 상태로 변경되거나,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받아 리셋이 된 후에,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전술한 스캔 동작을 수행한 후, 미리 지정된 시간(time period)(예: 도 13a의 제2 시간) 이내 무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이 방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5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이 휴면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경되거나,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받아 리셋이 된 것으로 판단 (즉,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하고,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에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후,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은, 일반 충전(다른 말로,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6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연결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한 후,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연결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요청은,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간의 무선 통신(예: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따른 연결요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요청은,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패스키(passkey)를 요청하거나, 보안 키를 교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면,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가 완충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보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의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가 완충된 후, 2분 간격으로 4초 기간 동안의 충전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1100)이며,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의 동작 101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200)이다.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2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1210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제1 시간(time period) 동안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 제1 시간)동안, 검출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검출 코일(1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미리 설정된 시간 외에도, 다양한 미리 설정된 상태(예: 미리 설정된 주기, 미리 설정된 길이, 미리 설정된 송출 시점)에 따라, 검출 신호는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센서를 구비할 경우,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코일(523))에 유도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공진탱크(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검출 코일(1101))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류에 의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220에서, 전송된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예: 코일(523))으로부터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에 유도 전류가 발생(또는 유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20)(예: 코일(523))으로 검출 신호를 제1 시간 동안 전송한 후,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멈추면, 스타일러스 펜(220)의 공진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에너지가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523)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달된 에너지에 의해, 코일(523)과 검출 코일(1101) 간에 전자기장이 생성되어, 검출 코일(1101)에 유도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1101)에 유도된 유도전류를 응답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시분할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1230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전류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240에서, 확인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특정 기준값(threshold)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300A, 1300B)이다.
이하에서는, 도 13a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1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 유지 확인 동작은, 전자 장치(101)가 현재 무선 통신 연결 중인 스타일러스 펜(220)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유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도 13a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20)과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2에서,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무선 통신이 연결 유지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유지 상태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형성된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3에서,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 무선 통신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예: 최초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지 않았거나,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였으나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휴면(sleep) 상태, 다운(down) 상태,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battery low)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하는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휴면 상태 또는 다운 상태일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리셋 되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리셋 되도록 하는 동작은, 도 1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4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동작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5에서, 제2 시간 내에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06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제2 시간 내에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정보(예: 장치 식별 정보,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 계정 정보, 페어링 정보, 페어링 리스트,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tx power), 감지영역,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버튼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b의 동작 1311, 1316, 1317, 1318 및 1319은, 각각 도 13a의 동작 1301, 1303, 1304, 1305 및 1306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1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 연결 유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2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의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라고 확인되면,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충전 상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스타일러스 펜(220)이 현재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20)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 충전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는, 배터리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3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충전 상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상태 응답은,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전송된 충전 상태 확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예: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변동되는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4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충전 상태 응답을 수신한 경우,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스타일러스 펜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충전 상태 응답에 포함된 배터리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를 확인하여,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전 상태 응답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어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220)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충전 상태 응답에 포함된 충전 중이라는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충전 상태 응답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어 충전 중인 스타일러스 펜(220)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5에서, 동작 1313의 충전 상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현재 연결 유지 중인 무선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 동작 1316 내지 1319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현재 연결 유지 중인 스타일러스 펜이, 내부 공간(예: 도 4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동작 1316 내지 1319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1316 내지 1319는, 도 13a의 동작 1303 내지 1306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220)을 리셋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4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고,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의 코일(523)에 제1 기간 동안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523)은, 상호 유도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류를 정류기(703)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코일(52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전환하여, 제1 전압 검출기(704) 또는 충전 스위치(705)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서의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예: 3.5V 이상)일 경우, 전달된 직류 전력이 배터리(706)에 인가되도록 충전 스위치(705)의 상태를 제어(예: 온(ON) 상태로 전환)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셧다운 컨트롤러(1401)는, 배터리(706)에 누적된 에너지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셧다운 컨트롤러(1401)는, 충전 스위치(705)의 상태가 ON 상태로 전환된 이후로 상기 배터리(706)에 인가되어 누적된 에너지가 임계수치 이상이거나, 상기 배터리(706)에 에너지가 인가된 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일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리셋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셧다운 컨트롤러(1401)로부터 리셋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리셋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리셋된 후, 제2 안테나(708)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예: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의 연속적인 스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1500)이며,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순차적인 스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1600)이다.
이하에서는, 도 15와 도 16을 함께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와 무관하게, 스캔 동작을 연속적으로(또는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예: 휴면 상태, 다운 상태,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판단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무선 신호를 순차적으로 스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가 휴면 상태일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삽입을 검출한 이후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t1(예를 들어, 1초)까지 무선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상기 t1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충전을 제공받아,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휴면(sleep) 상태에서 동작(active) 상태로 변경되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시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가 다운 상태일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리셋 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리셋 하는 동작은, 도 16에서 t1에서 t2까지의 시간 중 어느 한 시점(예: 스타일러스 펜(220)의 삽입이 감지된 시점에서부터 10초가 지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t2(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시점)에서 t3까지의 시간 동안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t3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리셋 되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시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만일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상태가 방전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도 22 또는 도 2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부팅되도록,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부팅을 수행하는 동작은, 도 16에서 t2에서 t3까지의 시간 중 어느 한 시점(예: 스타일러스 펜(220)의 삽입이 감지된 시점에서부터 20초가 지난 시점)에 완료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t4(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시점)에서 t5까지의 시간 동안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t5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부팅되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시간일 수 있다.
전술한 도 16에 따른 스캔 동작은, 도 15에 도시된 연속적인 스캔 동작보다 더 적은 전력으로,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 및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상태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7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Case num 1은,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Case num 2 내지 5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이 끊어진 경우를 의미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상태는, 예를 들어, 동작 상태, 휴면 상태, 다운 상태,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 저전력 혹은 방전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20))이 충전, 리셋 또는 부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Case num 6 내지 9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다른 스타일러스 펜(미도시)과 이미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상기 다른 스타일러스 펜(미도시)과의 기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과 새롭게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상기 다른 스타일러스 펜(미도시)과의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휴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8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1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2에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리셋 충전을 제공(다른 말로, 스타일러스 펜의 리셋을 위한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셋 충전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제1 기간 동안 제공하는 충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1803에서,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리셋 충전으로 인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은 휴면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4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동작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1805에서, 전자 장치(101)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자 장치(101)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은, 동작 1806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의하여 브로드캐스팅 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7에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무선 통신 연결(예: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8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한 경우, 리셋 충전 제공을 중단하고 일반 충전을 제공(다른 말로,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반 충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짧은 제2 기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충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기간은 9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09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스타일러스 펜(220)로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10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최초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식별 정보(이하, 장치 식별 정보), 스타일러스 펜(220)의 색상 정보(이하,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이하, 사용자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이하, 현재 페어링 정보), 이전에 페어링 된 장치에 관한 리스트(이하, 페어링 리스트),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이하,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tx power), 감지영역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이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811에서,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설정(set)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설정된 디스크립터에 기반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알림(notification) 특성을 활성화(enable)할 수 있다. 상기 알림 특성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버튼 입력 정보 또는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이벤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의 알림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enable) 동작은, 동작 1810의 통신 연결 형성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휴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20)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900)이다. 도 18에서 설명된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1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2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을 리셋 하기 위한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은, 도 18에서 설명한 일반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는, 동작 1903에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4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 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동작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1905에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6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7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검출된 스타일러스 펜과 자동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동작 1907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8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형성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1909에서, 스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1910에서,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1911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다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0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1에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2에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리셋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셋 충전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제1 기간 동안 제공하는 충전일 수 있다. 상기 리셋 충전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은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는, 동작 2003에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004에서, 상기 제공된 리셋 충전에 의해 리셋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전류를 공급받았거나 상기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에 누적된 에너지가 미리 지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셧 다운 컨트롤러(예: 도 14의 셧 다운 컨트롤러(1401))에 의해 리셋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5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006에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7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8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09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한 경우, 리셋 충전 제공을 중단하고, 일반 충전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충전은, 리셋 충전보다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충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10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011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최초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식별 정보(이하, 장치 식별 정보), 스타일러스 펜(220))의 색상 정보(이하,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이하, 사용자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이하, 현재 페어링 정보), 이전에 페어링 된 장치에 관한 리스트(이하, 페어링 리스트),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이하,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tx power), 감지영역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이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012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에 대한 디스크립터를 설정(set)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설정된 디스크립터에 기반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알림(notification) 특성을 활성화(enable)할 수 있다. 상기 알림 특성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버튼 입력 정보,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예: 무선 연결 신호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이벤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의 알림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enable) 동작은, 동작 2010의 통신 연결 형성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다운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2100)이다. 도 20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1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2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은, 도 20에서 설명한 일반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는, 동작 2103에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4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대한 제1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5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스캔 동작(2104)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6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리셋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리셋 신호는, 도 20에서 설명한 리셋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은, 동작 2107에서, 리셋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은, 리셋되어,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08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109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무선 통신 연결(예: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검출된 스타일러스 펜(220)과 자동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동작 21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11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112에서, 제2 스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113에서,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114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이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 및 스타일러스 펜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2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1에서,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2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리셋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셋 충전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제1 기간 동안 제공하는 충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2203에서, 상기 리셋 충전을 통해 공급 받는 전력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은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4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2205에서,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에서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위해 공급 받는 전력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팅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전원 OFF 상태에서 전원 ON상태로 전환되는 동작 또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저전력 상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206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7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8에서,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09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을 검출한 경우, 리셋 충전 제공을 중단하고, 일반 충전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충전은, 리셋 충전보다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충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10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211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최초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한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식별 정보(이하, 장치 식별 정보), 스타일러스 펜(220))의 색상 정보(이하,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의 계정 정보(이하, 사용자 계정 정보), 현재 다른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이하, 현재 페어링 정보), 이전에 페어링 된 장치에 관한 리스트(이하, 페어링 리스트), 동시에 페어링 가능한 장치에 관한 정보(이하,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tx power), 감지영역,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이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212에서, 스타일러스 펜(220)로 디스크립터를 설정(set)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설정된 디스크립터에 기반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알림(notification) 특성을 활성화(enable)할 수 있다. 상기 알림 특성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버튼 입력 정보,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예: 무선 연결 신호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이벤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의 알림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enable) 동작은, 동작 2210의 통신 연결 형성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3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이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20)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300)이다. 도 22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1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2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은, 도 22에서 설명한 일반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2303에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4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의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대한 제1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5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스캔 동작(2304)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6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리셋 충전의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307에서,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셋 동작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이 저전력 상태에서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설정을 초기화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리셋 동작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220)이 방전 상태일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08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동작 2309에서,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에서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위해 공급 받는 전력으로 인하여, 부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팅은, 스타일러스 펜(220)의 전원 OFF 상태에서 전원 ON상태로 전환되는 동작 또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저전력 상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동작 231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11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예: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20)이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검출된 스타일러스 펜(220)과 자동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동작 2311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12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220)으로 충전을 제공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313에서, 제2 스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314에서, 애드버타이징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315에서,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정보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버튼 입력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새롭게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스타일러스 펜(2401a)이 방전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401a) 간의 통신 연결 형성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2400)이다.
도 24의 동작 2402 내지 2404은, 도 22의 동작 2201 내지 2203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405에서,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팅 되는 스캔 신호는,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은 도 2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스타일러스 펜들일 수 있으나, 반드시 2개의 스타일러스 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상기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을,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기존에 연결한 적이 없는 스타일러스 펜들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2401a)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2401b)를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지 않은(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a)은, 동작 2406에서, 동작 2403의 리셋 충전에 의해서, 충전이 시작(2404)된 후, 부팅이 완료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a)은, 상기 리셋 충전에 의해서 리셋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a)은, 동작 2407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스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401a)의 제1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b)은, 동작 2408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스캔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401b)의 제2 고유 정보(예: 블루투스 주소 또는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409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스캔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로부터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들(예: 제1 애드버타이징 신호 및 제2 애드버타이징 신호)을 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레퍼런스 고유 정보와, 제1 고유 정보 및 제2 고유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는,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였던 스타일러스 펜(미도시)에 대응하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고유 정보 또는 상기 제2 고유 정보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을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았던 스타일러스 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410에서, 스캔 동작(예: 스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 모두가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았던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판단하면(2409), 스캔 동작을 미리 지정된 시간(예: 40초)까지 수행한 후 중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411 및 2412에서,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어 있는 스타일러스 펜(2401a)을 검색할 수 있다. 도 24의 검색 알고리즘(2412)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2413에서, 검색 알고리즘(2412)에 기반하여,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들(2401a, 2401b) 중,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어 있는 스타일러스 펜(2401a)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동작 2414 내지 2417은 도 22의 동작 2209 내지 2212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4 에 도시된 검색 알고리즘(2412)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4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401a)에 관한 내부 구성요소들에 관하여는, 도 5, 7의 디지털 펜(201) 또는 스타일러스 펜(220)의 구성요소들에 대응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동작은, 도 24의 동작 2409, 2410 에 따라, 복수의 스타일러스 펜(2401a, 2401b)이 기존에 페어링을 형성하지 않았던 스타일러스 펜으로 판단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주기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은, 제1 지정된 시간(예: 9초)동안 온(on)되고, 제2 지정된 시간(예: 1초)동안 오프(off)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은, 온(on)된 경우, 스타일러스 펜(예: 코일(523))으로 충전(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이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반복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a)은, 상기 제공된 충전(전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101)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브로드캐스팅은, 상기 제공된 충전(전력)을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401a)은,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이 오프(off)되어 코일(예: 도 5의 코일(523))로 충전(전력)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스타일러스 펜(2401a)은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401b)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2501a)으로 충전(전력)이 제공되는 것과 무관하게, 임의의 시점(예: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오프(off)된 동안을 포함하는 시점)에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401a)로 충전(전력)을 제공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들(예: 제1 애드버타이징 신호 및 제2 애드버타이징 신호)이 수신되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다시 온(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온(on) 되었을 때 수신되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들에 기반한 제1 리스트와, 오프(off) 되었을 때 수신되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들에 기반한 제2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는 각각, 상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신호들에 포함된 고유 정보들에 기반한, 상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스트에 스타일러스 펜(2401a)와 스타일러스 펜(2401b)가 포함되고, 제2 리스트에 스타일러스 펜(2401b)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온(on) 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즉, 디지타이저 컨트롤러가 온(on)되었을 때만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한) 스타일러스 펜(2401a)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에 대하여 2개의 스타일러스 펜(2401a, 2401b)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전술한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온(on)/오프(off) 하는 동작을 반복(예: 5회)하고,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온(on) 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하는(즉,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2401a)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검출된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2401a)을,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고유 정보(예: 제1 고유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검출된 스타일러스 펜(2401a)과,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 및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페어링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20)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 도면(2500)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관하여는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2501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의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예: 도 12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2502에서, 스타일러스 펜(220)에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을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스타일러스 펜(예: 도 5의 코일(523))으로 전류(예: 유도 전류)를 전달하여,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503에서, 상기 충전을 통해 공급 받는 전력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220)은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동작 2504에서, 연결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무선 통신 연결의 세기,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의 색상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2505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2506에서, 수신한 연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22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graphical object) 또는 무선 통신 연결이 형성되어 유지되고 있다는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220)으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예: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 잔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임계 단위(예: 1%) 별로 배터리 잔량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2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6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601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상태 정보(예: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의 잔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602에서, 수신된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배터리 상태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동작 2603에서,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0% 및 2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상기 동작 2603에서,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동작 2602을 반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예: 제1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제2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동작 2604에서, 연결 파라미터(connection parameter)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라미터는, 슬래이브 래이턴시(slave latency) 또는 감독 타임 아웃(supervision timeou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슬래이브 래이턴시는,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블루투스 저에너지의 무선 통신 연결의 유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부터 일정한 연결 간격(connection interval) 마다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전송되는 이벤트들 중,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이 응답을 하지 않는 이벤트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이브 래이턴시의 초기값은 9초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독 타임아웃(supervision timeout)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표준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스타일러스 펜(709)) 간의 마지막 데이터 송수신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할 경우에,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상기 일정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독 타임아웃의 초기값은 18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제1 미리 설정된 값(예: 20%) 이상일 경우에는, 슬래이브 래이턴시 및 감독 타임아웃을, 상기 초기값이 되도록 설정(또는 초기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제1 미리 설정된 값(예: 20%)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슬레이브 래이턴시 또는 감독 타임아웃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미리 설정된 값(예: 10%)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슬래이브 래이턴시 또는 상기 감독 타임아웃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605에서, 변경된 연결 파라미터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를 이용하여, 변경된 연결 파라미터를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연결 파라미터를 수신한 스타일러스 펜은, 변경된 연결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E) 통신)의 동작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제1 미리 설정된 값(예: 20%) 이하여서 슬래이브 래이턴시가 증가한 경우, 일정한 연결 간격(connection interval) 마다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유지 확인을 위한 이벤트에 대해, 응답하는 주기를 증가(즉, 응답 빈도를 감소)시켜,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4))로부터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제2 미리 설정된 값(예: 10%) 이하여서 슬래이브 래이턴시가 감소한 경우, rx window opening 시간(즉,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감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rx window opening 시간이 감소하면, 상기 rx window opening 시간 동안 발생하는 일시적인 전압 강하의 양이 감소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낮은 배터리 잔량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사용 가능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BER(bit error rate) 수치 또는 신호의 세기(예: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연결 파라미터(예: 슬래이브 래이턴시 또는 감독 타임 아웃)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의 세기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으로부터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를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BER 수치 또는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과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간의 현재 무선 통신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측정된 BER 수치가 증가하거나, 측정된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감소할 경우, 현재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좋지 않아,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끊어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끊어질 것으로 판단되면, 슬래이브 래이턴시를 변경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706))에서 소모되는 전력 또는 즉답성(즉, 상기 무선 통신 연결에 서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9)의 응답 속도)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끊어질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슬래이브 래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가 슬래이브 래이턴시를 증가시키더라도, 상기 연결유지 확인 이벤트 및 이에 관한 응답의 송수신의 정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이벤트 및 응답의 송수신 시도 횟수가 증가하여,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의 배터리 전력의 소모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BER 수치 또는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슬래이브 래이턴시를 감소시킴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의 무선 통신 연결에 대한 즉답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스타일러스 펜(22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7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20)은, 코일(523),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정류기(703), 배터리(706), 제2 안테나(708),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충전 제어 회로(charging controller circuitry)(2701)(예: 도 3의 충전 회로(388)) 또는 전원 제어 회로(power-on controller circuitry)(27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6, 또는 7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제어 회로(2701)는, 정류기(703), 배터리(706),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또는 전원 제어 회로(2702)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제어 회로(2701)는, 제1 전압 검출기(704)(또는, 전압 감지기(voltage supervisor)) 및 충전 스위치(70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은, 정류기(703)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력(또는 충전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예: 3.5V) 이상이면, 충전 스위치(705)에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충전 스위치(705)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제1 전압 검출기(704)에 의해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력을 배터리(706)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예: 3.5V) 미만이면, 충전 스위치(705)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거나 오프(off)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2702)는, 정류기(703), 배터리(EDLC)(706),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또는 충전 제어 회로(270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2702)는,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2703), 차동증폭기(differential op-amp)(2704) 및 부팅 스위치(또는, 전원 스위치(power switch))(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정기(2703) 또는 상기 차동 증폭기(2704) 중 적어도 하나는, 도 7의 제2 전압 검출기(707)를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압 조정기(2703)는, 정류기(703)으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력으로부터 기준 전압 값(reference voltage)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을 검출하여, 전압 조정기(2703)에 의해 결정된 기준 전압 값과의 전압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상기 전압 차이가 전원 온(power-on) 값(예: 2.4V) 이상이면, 부팅 스위치(710)에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부팅 스위치(710)를 온(on)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부팅 스위치(710)로부터 부팅 신호가 인가되어,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부팅될 수 있다. 상기 부팅은, 스타일러스 펜(220)이 전자 장치(예: 검출 코일(1101))으로부터 충전(전력)을 제공받고 있는 동안(예: 제1 전압 검출기(704)에서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3.5V) 이상인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부팅될 때,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차동 증폭기(2704)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압 차이가 전원 온 값(예: 2.4V)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온(on) 상태로 전환되었던 부팅 스위치(710)가, 상기 일시적인 전압 값의 감소(예: 2.4V 이상의 전압에서 2.4 이하의 전압으로 감소)로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즉,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가지도록, 서로 다른 전원 오프값과 전원 온값으로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 펜(220)이 충전되는 동안에, 차동 증폭기(2704)에 의해 검출된 전압 차이가 전원 온 값 이상이면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부팅될 수 있으며, 상기 부팅으로 인하여 상기 검출된 전압 차이가 전원 온 값보다 낮아지더라도 상기 일시적인 전압 값의 감소에 관계 없이 부팅 스위치(710)의 상태는 온(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가 부팅된 후, 전자 장치(예: 검출 코일(1101))로부터 충전(전력)을 제공받지 않는 동안(예: 제1 전압 검출기(704)에서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3.5V) 미만인 동안),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이 전원 오프(power-off) 값(예: 2.4V 또는 2.4V보다 작은 값)보다 낮아지더라도 부팅 스위치(710)가 온(on) 상태로 유지되도록 (즉,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검출된 전압 차이가 전원 오프 값 미만이면, 부팅 스위치(710)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거나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검출 코일(1101)로부터 충전(전력)을 제공받는 동안, 상기 검출된 전압 차이가 전원 오프 값 미만일 경우 부팅 스위치(710)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동 증폭기(27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 코일(1101)로부터 충전(전력)을 제공받지 않는 동안에는, 부팅 스위치(710)가 온(on)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 또는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원 제어 회로(2702)의 출력에 대응하여 전원 시퀀스(power-on sequence)를 실행하고, 외부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부팅 스위치(710)로부터 부팅 신호가 인가되어 부팅되면, 미리 저장된 전원 시퀀스(예: 페어링 동작 또는 연결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퀀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부팅 스위치(710)로부터 부팅 신호가 인가되어 부팅되면, 미리 저장된 전원 시퀀스(예: 페어링 동작 또는 연결 유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퀀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는,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까지 형성된 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스타일러스 펜(220))은 제1 무선통신회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및 무선충전 수신회로(예: 도 5의 코일(523), 도 7의 정류기(703) 또는 도 7의 제1 전압 검출기(70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충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전송회로(예: 도 11의 검출 코일(1101) 또는 도 6의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무선통신회로(예: 도 6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고,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의 무선 신호(예: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또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하고, 및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회로로 연결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제1 시간 동안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전송된 검출 신호의 세기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부터 제2 시간 내에 상기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무선 신호는, 장치 식별 정보,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 계정 정보, 페어링 정보, 페어링 리스트,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 감지영역,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버튼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부팅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상태는 휴면(sleep)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는 동작(active)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리셋(reset)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리셋이 완료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한 후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회로로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스캔을 종료하고, 펜 검색 알고리즘(예: 도 24의 펜 검색 알고리즘(2412))을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24의 스타일러스 펜(2401a))을 검색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검색한 후에,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레퍼런스 고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제2 무선통신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다른 스타일러스 펜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 및 제2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고유 정보 및 상기 제2 고유 정보 각각이,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고유 정보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고유 정보가 상기 레퍼런스 고유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스캔을 종료하도록 하고, 상기 다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스타일러스 펜이고,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제1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상기 다른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제2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펜 검색 알고리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스캔을 종료한 후,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온 하는 동작 및 오프 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반복적으로 온 하는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1 스캔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상기 무선충전 전송회로를 오프 하는 동안에, 상기 다른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스캔 하는 동작,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하는 동작,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무선 신호는, 장치 식별 정보, 장치 색상 정보, 사용자 계정 정보, 페어링 정보, 페어링 리스트, 동시 페어링 정보, 송신 전력, 감지영역, 배터리 상태 정보, 또는 버튼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는 동작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부팅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는 동작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는 휴면(sleep)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동작(active)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하는 동작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리셋(reset)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시작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리셋이 완료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제1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중단한 후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2 기간 동안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스캔을 종료하는 동작, 펜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검색한 후에,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원통형 하우징(housing) 내 펜 팁(pen tip)에 위치한 무선 충전 코일부(예: 도 27의 코일(5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과 함께 충전 공진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예: 도 27의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상기 충전 공진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직류 신호 형태의 충전 신호로 변환하는 충전 회로(예: 도 27의 정류기(703)), 기준 충전 전압을 초과하는 상기 충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 회로와 EDLC 배터리(예: 도 27의 배터리(706))를 전기적 연결하고, 상기 기준 충전 전압 이하의 상기 충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 회로와 상기 EDLC 배터리를 전기적 차단하도록 충전 스위치(charge-on switch)(예: 도 27의 충전 스위치(705))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 회로(예: 도 27의 충전 제어 회로(2701)), 상기 충전 제어 회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이 전원 오프(power-off) 전압 이하일 경우, 전원 스위치(power switch)(예: 도 27의 부팅 스위치(710))를 제1 연결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이 전원 온(power-on)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제2 연결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 연결 상태에서 상기 충전 제어 회로의 출력 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EDLC 배터리 전압에 상관없이 상기 제2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원 스위치(power switch)를 제어하는 전원(power-on) 제어 회로(예: 도 27의 전원 제어 회로(2702)), 상기 전원(power-on) 제어 회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의 전원(power-on) 시퀀스를 실행하고, 외부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에 삽입될 때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코일(예: 도 5의 코일(523)),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압 검출기(예: 도 7의 제1 전압 검출기(704)),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압 검출기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회로(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검출기는,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제1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일 경우, 상기 무선통신회로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상기 전송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 "제2 ",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a)(예: 내장메모리(136) 또는 외장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 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 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12: 수납 공간,
120: 프로세서,
210: 하우징,
220: 스타일러스 펜,
523: 코일,
603: 디지타이저 컨트롤러,
604: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
701: 가변 커패시터 회로,
703: 정류기,
704: 제1 전압 검출기,
705: 충전 스위치,
706: 배터리,
709: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
710: 부팅 스위치,
2701: 충전 제어 회로,
2702: 전원 제어 회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통신 회로;
    무선 충전 전송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펜이 상기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하여 위치한다고 확인하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하여 위치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전자 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전송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송신된 전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된 전력에 대한 응답인 상기 통신 신호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펜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전자 펜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차는,
    블루투스 통신에 기반한 페어링 절차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한 후 지정된 시간 이내 상기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송신된 전력이 상기 전자 펜에 의해 수신된 양 또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치 이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전력이 상기 전자 펜에 의해 수신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전송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은,
    상기 전자 펜의 통신 회로가 초기화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배터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자 펜의 버튼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전자 펜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무선 충전 수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전자 펜이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하여 위치하면, 상기 전자 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수신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차는, 상기 수신된 전력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전자 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전자 펜의 블루투스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차는,
    블루투스 통신에 기반한 페어링 절차를 포함하는 전자 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 이내 상기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수신된 전력의 양 또는 상기 전력이 수신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치 이상임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수신된 전력에 기반하여 초기화되도록 더 설정된 전자 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자 펜의 배터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자 펜의 버튼 입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펜.
  2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실행될 때,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하여 위치한다고 확인하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하우징의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하여 위치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전자 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전송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송신된 전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된 전력에 대한 응답인 상기 통신 신호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펜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
KR1020210071303A 2018-08-08 2021-06-02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03A KR102405865B1 (ko) 2018-08-08 2021-06-02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21A KR102262165B1 (ko) 2018-08-08 2018-08-08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71303A KR102405865B1 (ko) 2018-08-08 2021-06-02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21A Division KR102262165B1 (ko) 2018-08-08 2018-08-08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361A KR20210068361A (ko) 2021-06-09
KR102405865B1 true KR102405865B1 (ko) 2022-06-07

Family

ID=675874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21A KR102262165B1 (ko) 2018-08-08 2018-08-08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71303A KR102405865B1 (ko) 2018-08-08 2021-06-02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21A KR102262165B1 (ko) 2018-08-08 2018-08-08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342778B2 (ko)
EP (2) EP3611601B1 (ko)
KR (2) KR102262165B1 (ko)
CN (2) CN118074353A (ko)
AU (1) AU201921337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165B1 (ko) * 2018-08-0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7274B1 (ko) * 2018-08-09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펜 장치, 전자 펜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CN111276044B (zh) * 2018-12-04 202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供电模组、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97675B (zh) * 2019-06-04 2022-10-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存储设备
KR20210110980A (ko) * 2020-03-02 2021-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52221A (ko) * 2020-03-09 202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이들의 인증 방법
CN111459319A (zh) * 2020-05-06 2020-07-28 通彩视听科技(上海)有限公司 智能笔、智能终端及智能终端与智能笔的配合方法
CN112162649B (zh) * 2020-10-09 2022-11-1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主动笔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178900B (zh) * 2021-03-15 2023-02-17 荣耀终端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芯片和无线充电电路
KR102468947B1 (ko) * 2021-05-12 2022-11-18 잉커송 비예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센터 션젼 컴퍼니 리미티드 간소화된 펜코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4465366B (zh) * 2021-07-15 2024-03-2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的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586B2 (en) * 2003-05-30 2006-10-31 Microsoft Corpora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s to mitigate the effects of interference in wireless networks
US6977319B2 (en) 2004-03-12 2005-12-20 Chevron Oronite Company Llc Alkylated aromatic compositions, zeolite catalyst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20060256097A1 (en) 2005-05-13 2006-11-16 Microsoft Corporation Docking apparatus for a pen-based computer
KR101377345B1 (ko) 2007-08-08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충전 장치그리고 이의 충전방법
US20110286615A1 (en) 2010-05-18 2011-11-24 Robert Olodort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US8817642B2 (en) 2010-06-25 2014-08-26 Aliphcom Efficient pairing of networked devices
KR101379357B1 (ko) * 2012-02-17 2014-03-28 주식회사 피엔에프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시스템
US9787103B1 (en) * 2013-08-06 2017-10-1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that are unable to communicate with a transmitter
KR102086667B1 (ko) * 2012-08-23 2020-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1807335B1 (ko) 2012-10-19 201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슬립 모드 설정 방법
KR101989408B1 (ko) 2012-10-25 2019-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연 소자를 이용한 전자 펜 및 그의 터치 입력 방법과 터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56250A1 (en) * 2013-03-11 2014-09-11 Barnesandnoble.Com Llc Peer-to-peer data transfe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enabled styluses
CN104750288B (zh) * 2013-12-27 2019-0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手写输入系统、电容笔和设备端
TW201530964A (zh) 2014-01-17 2015-08-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具有無線充電功能之觸控筆及其操作方法
JP6258103B2 (ja) * 2014-03-31 2018-01-10 株式会社東芝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および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
US10782799B2 (en) * 2014-05-13 2020-09-22 Lenovo (Singapore) Pte. Ltd. Smart pen pairing and connection
US9507381B1 (en) 2014-07-29 2016-11-29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stylus to computing device
CN104320579A (zh) * 2014-10-22 2015-01-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拍照装置及方法
KR102369162B1 (ko) * 2014-12-04 2022-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의 무선 충전용 송신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
AU2016203801B2 (en) 2015-02-20 2017-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achable electronic payment device
KR102332015B1 (ko) 2015-02-26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54779B1 (ko) 2015-03-10 202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60112559A (ko) 2015-03-19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16581B2 (en) * 2015-04-21 2021-05-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se station for use with digital pens
KR101732511B1 (ko) 2015-04-28 2017-05-04 주철영 모바일 일체형 블루투스 장치
US9924019B2 (en) * 2015-05-15 2018-03-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device pairing
US10219062B2 (en) 2015-06-05 2019-02-26 Apple Inc.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KR102393683B1 (ko) * 2015-10-21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11250B2 (en) * 2016-03-09 2020-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reless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s using location based services
CN105958565A (zh) * 2016-05-10 2016-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控制器、充电控制方法和系统
KR102495239B1 (ko) * 2016-07-29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102620068B1 (ko) * 2016-08-31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92915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36710B1 (en) * 2016-12-20 2019-03-19 Quirklogic, Inc. Stylus securing apparatus
US10642385B1 (en) * 2017-09-15 2020-05-05 Apple Inc. Touch input device and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62165B1 (ko) * 2018-08-0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75260B1 (ko) * 2018-08-08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펜과의 통신 연결 제어 방법
KR20200082447A (ko) * 2018-12-28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1601A1 (en) 2020-02-19
US20200274393A1 (en) 2020-08-27
AU2019213372B2 (en) 2021-07-01
KR20210068361A (ko) 2021-06-09
CN110829616A (zh) 2020-02-21
KR20200017308A (ko) 2020-02-18
CN110829616B (zh) 2024-02-27
KR102262165B1 (ko) 2021-06-09
AU2019213372A1 (en) 2020-02-27
US11342778B2 (en) 2022-05-24
CN118074353A (zh) 2024-05-24
US11038366B2 (en) 2021-06-15
US20200052520A1 (en) 2020-02-13
US11954270B2 (en) 2024-04-09
EP3968136A1 (en) 2022-03-16
US20220285989A1 (en) 2022-09-08
EP3611601B1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4839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stylus pen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240171960A1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peripheral device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017157A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14397A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09381B2 (en) Digital pen for charging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202065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00309B1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14303A (ko) 스타일러스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397481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made with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016900A (ko) 스타일러스 펜 및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7099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001619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rrection for styl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10110980A (ko)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53251A (ko) 식별한 커버들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3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214

Effective date: 202204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