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447A -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447A
KR20200082447A KR1020180173047A KR20180173047A KR20200082447A KR 20200082447 A KR20200082447 A KR 20200082447A KR 1020180173047 A KR1020180173047 A KR 1020180173047A KR 20180173047 A KR20180173047 A KR 20180173047A KR 20200082447 A KR20200082447 A KR 2020008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circuit
stylus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규진
김민수
신광호
김진만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447A/ko
Priority to PCT/KR2019/016260 priority patent/WO2020138729A1/en
Priority to US16/723,515 priority patent/US11061487B2/en
Publication of KR2020008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HAVING A PLUARLITY OF INPUT BUTT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특정한(specified)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펜 기능을 가지는 입력 장치(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이라는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로부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특정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기 유도(Electro magnetic resonance, 이하 EMR이라 함)방식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채널 별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예: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하는 상태인지 여부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에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스마트 폰)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사용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에 하나의 입력 버튼이 구비될 경우, 하나의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복수의 근거리 통신 방식들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버튼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스크린)로부터 미리 지정된 제1 거리(예: 터치 스크린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거리가 10cm)내에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한 경우에는 EMR 방식의 신호의 주파수 변경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미리 지정된 제2 거리(예: 터치 스크린과 스타일러스 펜과의 거리가 10m)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BLE 무선 통신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BLE 무선 통신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에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근거리 통신 방식들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복수의 통신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충전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충전 회로,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충전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충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스타일러스 펜의 이탈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제1 버튼이 입력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제1 버튼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에 따라, 제2 버튼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으로 동작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의 눌림에 따른 기계적/물리적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위치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구조와 회로기판부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방수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분 침투에 따른 전류 누설 및 부식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을 BLE 통신을 위한 버튼으로 활용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무관하게, 복수의 입력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예: EMR 무선 통신 방식 또는 BLE 무선 통신 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 또는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스타일러스 펜 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젝션 부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일 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부의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방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양한 방수 수단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수단들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이 눌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a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버튼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BLE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버튼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EMR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의 눌린 상태에 따라서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의 제2 버튼의 눌림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으로 눌린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모두 눌린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0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을 누름에 따른 입력 신호이 발생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스타일러스 펜이 전자 장치에 삽입된 상태인지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문서에서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도 1의 전자 장치(102)가 아닌 도 1의 입력 장치(150)에 대응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10)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210a)의 일 부분에는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홀(211)과 연결된 수납 공간인 제1 내부 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내부 공간(2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제1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201a)이 눌리면, 제1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예: 스프링)에 의한 반발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공진 회로(287),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통신 회로(290), 안테나(297) 및/또는 트리거 회로(29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01)의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2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 및/또는 통신 회로(290)는 메모리(230),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안테나(297) 또는 트리거 회로(2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공진 회로와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공진 회로(2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예: 표시 장치(16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287)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3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스타일러스 펜(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2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287)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201)이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생성을 위해, 스타일러스 펜(2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2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2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회로(2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2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2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2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충전 회로(2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89)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89)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충전 회로(2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290)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트리거 회로(298)를 통해 획득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2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복수의 안테나(2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통하여, 통신 회로(2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회로(2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2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300)과 펜 하우징(300)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조립체는, 스타일러스 펜(201)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이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펜 하우징(300) 내부에 1 회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은, 제1 단부(300a) 및 제2 단부(3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몸체(300c)를 가지며, 몸체(300c) 내부에 제2 내부 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 하우징(300)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212) 또한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하우징(300)은, 적어도 일부분이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a)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펜 하우징(300)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펜 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크게 3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300)의 제1 단부(3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310),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320) 및 펜 하우징(300)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10)는,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 단부(3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311), 패킹 링(312), 복수 회 권선된 코일(313) 및/또는 펜 팁(31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12)은 에폭시(epoxy),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링(31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310) 및 회로기판부(3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일(31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31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젝션 부재(320)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101)의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을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320)는 샤프트(321)와 상기 샤프트(32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32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322) 및 버튼부(323)(예: 도 2의 제1 버튼(20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321) 및 이젝션 몸체(322)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323)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단부(300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32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push-pull)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버튼부(32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32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32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32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스타일러스 펜(201)을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샤프트(32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330)는, 인쇄회로기판(332), 상기 인쇄회로기판(3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3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3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3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3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32)은 기판안착부(3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은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면에는 코일(31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3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336) 또는 통신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332)의 제1 면과 제2 면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아래로 적층된 구조에서 서로 다른 적층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336)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313) 및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336)는 반드시 인쇄회로기판(332)의 제2 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336)의 위치는 회로기판(330)의 다양한 실장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3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 상에는 스위치(33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되는 제2 버튼(337)은 스위치(3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300)의 측면 개구부(3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337)은 지지부재(3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버튼(3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3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 버튼(3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부(330)는 예를 들면, 오-링(O-ring)과 같은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3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331)와 상기 펜 하우징(300)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38)는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 개구부(302)의 주위에서 상기 펜 하우징(300)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부(330)도 적어도 일 부분에 상기 코일부(310)의 패킹 링(31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베이스(331)의 상면에 배터리(336)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333a)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333a)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3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마이크로 폰(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 및/또는 스피커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3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 및/또는 스피커는 스타일러스 펜(301)의 긴 방향으로 제2 버튼(3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스타일러스 펜(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예: 도 3b의 버튼부(323)), 제2 버튼(337),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예: 도 2의 공진 회로(287)), 제1 정류기(505a), 제2 정류기(505b), 제1 전압 검출기(507)(예: 도 3a의 충전 회로(288)), 충전 스위치(509), 배터리(336)(예: 도 3a의 배터리(289)), 부팅 스위치(511),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예: 통신 회로(290)), OVP(overvoltage protection) 회로(513) 및 제2 전압 검출기(5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술한 여러 구성요소들 중 일부분을 생략하여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201a)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하우징(예: 도 3b의 30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미도시)(예: 도 2의 하우징(210))의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내에 삽입되어있을 때, 제1 버튼(201a)이 사용자에 의해 눌릴 경우,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들이 작동하여,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201a)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이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인접한 커패시터 및 저항이 그라운드(접지)되어 발생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예: 제1 버튼(201a)이 눌렸다는 것을 지시하는 전기적 신호)를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 또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 입력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삽입되어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에 의한 제1 버튼(201a)의 눌림 동작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기계적인 눌림 동작 또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버튼(337)은, 스타일러스 펜(201)의 하우징(예: 도 3b의 하우징(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버튼(337)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버튼(337)이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발생되는 제2 버튼 입력 신호(예: 제2 버튼(337)이 눌렸다는 것을 지시하는 전기적 신호)를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 또는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에 의한 제2 버튼(337)의 눌림 동작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기계적인 눌림 동작 또는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버튼(337)은, 사용자에 의해 눌림으로써,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에 포함되는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후술할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프로세서(예: 도 3a의 프로세서(220))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로서, 스타일러스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스타일러스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제1 버튼(201a)으로부터의 제1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제2 버튼(337)으로부터의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제2 버튼(337)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예: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button)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제1 버튼(201a)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수신되는 근접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연산을 수행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는, 예를 들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인가되는 전자기장 신호, 또는 전자기장 신호에 의하여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제1 전압 검출기(예: 도 5의 507)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예: 10cm) 내에 위치할 경우,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수신된 근접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는, 수신된 근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approach)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approach)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동안,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로부터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수신된 제어 신호(예: 도 5의 approach)에 기반하여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다양한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BLE)))으로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간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 동작은,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제1 버튼(201a)으로부터 제1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1)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BLE 신호(예: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되고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 외부에 위치한 상태(다른 말로,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신호는, 전자 장치(101)에서 특정 기능(예: 어플리케이션 또는 태스크)을 실행 또는 수행시키기 위한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201a)이 눌릴 때, 제1 버튼(201a)을 구성하는 스위치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예: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 또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되는 신호를 제1 버튼 눌림 신호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 눌림 신호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와 별개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로부터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button)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1)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제4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 외부에 위치한 상태(예: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2 버튼(337)의 눌림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예: 10cm) 내에 위치할 경우(다른 말로,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4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를 이용한 EMR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프로세서(예: 도 3a의 프로세서(220))는, 제1 버튼(201a)으로부터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예: 제1 버튼(201a)의 눌림으로 인하여 쇼트(short)되는 동안)에는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button)을 수신하더라도,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버튼(337)은, EMR 통신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프로세서(예: 도 3a의 프로세서(220))는, 제1 버튼(201a)이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경우에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예: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식별자(예: 플래그(flag) 값)를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플래그 값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있다가, 제1 버튼(201a)에 의해 분리(예: 팝업)될 때(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될 때), 1로 설정되고, 그 후에 상기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버튼(337)은, 식별자(예: 플래그 값)에 기반하여, EMR 통신 또는 BLE 통신을 위한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EMR)) 방식으로 제3 무선 통신 회로(407)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EMR 통신 방식의 회로로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예: 인덕터) 및 가변 커패시터 회로(예: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저항(R), 커패시터(C) 및/또는 인덕터(L))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제2 버튼(337)이 사용자에 의해 눌릴 경우,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상기 주파수가 변경된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제3 신호를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전자기 공진(EMR) 방식으로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 상에서 기 지정된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전자 장치의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하는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부터 발생되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전달되는 전자기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제3 무선 통신 회로(409)에 포함된 검출 코일(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하여, EMR 코일(도 3b의 코일(313))에 전류가 유도되어 생성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수신된 근접 신호를 제1 전압 검출기(507) 또는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접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 제1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제1 충전 코일(미도시)로부터 충전 신호(또는, 충전 전력)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충전 코일(미도시)은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제1 충전 코일(미도시)로부터 발생되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전달되는 전자기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와 별개의 제2 충전 코일(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1 충전 코일로부터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1 충전 코일로부터 충전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은, 제1 충전 코일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하여,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또는 제2 충전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유도되어 생성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는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 및 커패시터 회로에 의해, 예를 들어, 약 500KHz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예: 530KHz, 560KHz 대역)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가압)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전환되는 제2 버튼(337)에 의하여,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될 수 있다. 가변 커패시터 회로의 커패시턴스의 값이 변경됨에 따라서,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의 공진 주파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에 의한 드로잉(drawing) 동작 또는 버튼 동작(예: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한 입력 동작)이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정류기(505a)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정류기(505a)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예: 근접 신호)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여, 제1 전압 검출기(507)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정류기(505b)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정류기(505b)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예: 충전 신호)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여, 충전 스위치(509)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507)는, 제1 전압 검출기(507)에 인가되는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507)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정된 범위는, 예를 들면 1.5 볼트(V) 이상 3.5 볼트 미만(레벨 1 범위), 3.5 볼트 이상(레벨 2 범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11)) 상에 사용(예: 터치)되고 있는 상태(예: 디스플레이(411)로부터 미리 지정된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 또는 레벨 2 범위가 아닌 경우(예: 1.5 볼트(V) 미만),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 미리 지정된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507)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충전 스위치(509)에 인애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충전 스위치(509)를 온(on) 상태로 전환하여, 정류기(505)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이 배터리(336)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507)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인 경우 충전 스위치(509)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515)는, 상기 배터리(336)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부팅 스위치(511)는, 제2 전압 검출기(515)에서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쇼트(short)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부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부팅은, 제2 전압 검출기(515)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값이 지정된 값(예: 2.4V)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콜드 부팅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VP 회로(513)는, 배터리(336)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여, 배터리(336)로 미리 지정된 세기(예: 2.6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제3 무선 통신 회로(409), 메모리(130),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BLE)) 방식)으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간의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은,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는,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되고 있다가,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이탈되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는,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21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는, 제2 버튼(337)의 눌림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전송되는 제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예: 10cm) 밖에 위치한 상태(예: 제3 무선 통신 회로(409)가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예: 10cm)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4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EMR)) 방식으로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와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검출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의 EMR 코일(예: 예: 도 3b의 코일(313))과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는, 전자기 공진(EMR) 방식으로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근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는, 근접 신호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407)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한 BLE 신호(예: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4 신호) 및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수신한 EMR 신호(예: 제3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린 횟수, 스타일러스 펜(201)의 삽입 여부(또는, 충전 중인지 여부), 스타일러스 펜(201)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의 거리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신호 처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신된 EMR 신호 또는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다른 말로, 미리 설정된 미리 지정된 태스크 수행(예: 에어 커맨드(air command) 어플리케이션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411)(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는, 전자기 유도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은, EMR 방식의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들(예: 검출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grid)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예: 검출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 유도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 회로(예: 도 3b의 코일(313))를 내장하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전자기장)가 스타일러스 펜(201) 내의 공진 회로(예: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201) 내의 공진 회로(예: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를 구성하는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면, 전자기 유도 패널은 상기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예: 검출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스타일러스 펜(201)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및/또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전자 장치(201)까지의 높이(또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내부 구조체(600, internal structur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내부 구조체(600)는 펜 하우징(300)의 몸체(300c)에 형성된 제2 내부 공간(예: 도 3b의 30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 구조체(600)는 상기 내부 조립체(internal assembly)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베이스(예: 도 3b의 331)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마련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베이스(예: 도 3b의 331)를 포함한 회로기판부(330)를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베이스(예: 도 3b의 331)를 대체하여 회로기판부(330)를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내부 구조체(600)는 회로기판부(3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예: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사출 성형방법을 통해 중공형의 튜브(hollow tube) 형상으로 제작되어 회로기판부(330)를 회로기판부(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당 부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회로기판부(330)뿐만 아니라, 이젝션 부재(320) 또는 코일부(3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직선 왕복 운동 중 내부 구조체(600)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에는 회로기판부(330)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332)이 수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2)이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에 수용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32)에 형성될 수 있는 충전회로, 통신 회로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에는 안테나를 수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336)를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구조체(600)의 일 측면에는 제2 버튼(337)이 형성되고, 제2 버튼(337)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38)가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버튼(337) 및 지지부재(338)는 내부 구조체(600)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회로 기판부(330)에 포함된 다양한 부품들이 상기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은 제2 내부 공간(301)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예: 후술하는 도 8의 801)은 제2 내부 공간(301) 내에 위치하므로, 그 공간의 크기는 제2 내부 공간(30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내부 구조체(600)는 펜 하우징(300)에 형성된 제2 내부 공간(301)의 일 측(예: 제2 단부(300b))을 통해 삽입되고, 제2 내부 공간(301)의 일 측(예: 제2 단부(300b))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내부 구조체(600)를 펜 하우징(300)에 삽입하여 조립시킨 후에는, 펜 하우징(300)의 틈새를 통해 유입된 수분이 내부 구조체(600)에 침투되지 않도록 내부 구조체(600)를 밀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는 밀봉된(seal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구조체(60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오-링(O-ring)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오-링(O-ring)은 도 3에서 전술한 패킹 링(312)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의 외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수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방수 구조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내부 구조체(60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2 단부(300b) 쪽으로 향하는 제3 단부(600a)와 제3 단부(600a)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4 단부(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부(600a)는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의 이젝션 부재(320)를 향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320)의 일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제4 단부(600b)는 내부 조립체의 코일부(310)를 향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4 단부(600b)는 코일부(310)의 일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600a)에는 누름 가능한 스위치 구조(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600a)는 이젝션 부재(320)를 향해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편평한 표면 상에 상기 스위치 구조(610)가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구조(61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예: 후술하는 도 8의 811)와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예: 후술하는 도 8의 스위치 기판(812,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는 이젝션 부재(320)의 일 부분과 접촉되도록 제3 단부(600a)의 편평한 표면 상에 설치되고, 스위치가 실장되는 상기 스위치 기판(예: 812)은 내부 구조체(600)의 외관을 이루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구조(61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8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이젝션 부재(320)는 이젝션 몸체(322)가 펜 하우징(300)(예: 제2 단부(300b))에 삽입되어 펜 하우징(300) 내부의 어떤 특정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젝션 부재(320)가 펜 하우징(300)에 조립되면, 샤프트(321)는 상기 스위치 구조(610)와 제1 버튼(201a)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제1 버튼(201a)을 누를 때 제1 버튼(201a)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스위치 구조(6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위치 구조(610)가 샤프트(321)에 의해 눌리면, 스위치 구조(610)는 샤프트(321)에 의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샤프트(321)는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600a)로부터 펜 하우징(300)의 제2 단부(300b)를 향해 제1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201a)과 연결되어, 제1 버튼(201a)의 누름 여부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321)는 일부분이 이젝션 몸체(322)의 한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젝션 몸체(322) 내에서 이젝션 몸체(32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젝션 몸체(322) 내에는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계적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인 부품들 중 어느 하나는, 캠 부재(324)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샤프트(321)는 제1 샤프트(321a)와 제2 샤프트(321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샤프트(321a)는 상기 캠 부재(324)를 기준으로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600a)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샤프트(321b)는 캠 부재(324)를 기준으로 제1 버튼(201a) 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몸체(322) 내부에는 복수,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캠 부재들(324a, 324b)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젝션 몸체(322)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325)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325)는 샤프트(321)의 외주연에 권취되며, 이젝션 몸체(322) 내에서 일 측의 단부와 타 측의 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샤프트(321)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캠 부재들(324a, 324b)과, 캠 부재의 적어도 일 측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들(325a, 325b)을 조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의 클릭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 캠 부재들(324a, 324b)과 탄성 부재들(325a, 325b)은 이젝션 몸체(322) 내부에 배치되며, 제1 버튼(201a)의 누름에 따라 캠 부재들의 상호 맞물림 구조 및 탄성 부재들의 변형과,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동작들이 교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젝션 부재(3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321)와 제1 버튼(201a)은 이젝션 몸체(3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버튼(201a)은 제1 버튼(201a)을 이젝션 몸체(322)의 한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이하, '팝 업(pop up) 방향(PU)')으로 탄성력(예: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젝션 부재(320)는 제1 탄성 부재(325a)를 포함함으로써 샤프트(321) 또는 제1 버튼(201a)을 상기 팝 업 방향(PU)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에는 제1 지지 구조물(3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탄성 부재(325a)는 상기 제1 지지 구조물(326)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버튼(201a)을 이젝션 몸체(322)의 한 단부로부터 상기 팝 업 방향(PU)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에는 연결 부재(327)가 제공되어 샤프트(321)와 제1 버튼(201a)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샤프트(321b)와 제1 버튼(201a)은 연결 부재(327)와 결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동일한 구간에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27)는 상기 제1 버튼(201a)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27)는 상기 제2 샤프트(321b)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탄성 부재(325b)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 버튼(201a)을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로 삽입 또는 진입시키는 방향(이하, '팝 다운(pop down) 방향(PD)')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에는 제2 지지 구조물(3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 부재(325b)가 상기 제2 지지 구조물(328)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버튼(201a)를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로 삽입 또는 진입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버튼(201a)이 이젝션 몸체(322)에 완전히 삽입 또는 진입된 상태에서도, 제1 버튼(201a)의 일부분은 상기 이젝션 몸체(322)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부재(327)가 이젝션 몸체(322)에 완전히 삽입 또는 진입된 상태에서, 제1 버튼(201a)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201) 외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션 몸체(322) 내부에는 복수, 예를 들면 3 개의 캠 부재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3개의 캠 부재들(324a, 324b, 324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샤프트(32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321)와 함께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캠 부재(324a), 샤프트(321) 상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321)에 대하여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3 캠 부재(324c), 및/또는 상기 샤프트(321)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321)(또는 상기 제1 버튼(201a))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2 캠 부재(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캠 부재(324b)는 상기 제3 캠 부재(324c)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캠 부재(324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캠 부재(324a), 상기 제3 캠 부재(324c), 상기 제2 캠 부재(324b)가 상기 샤프트(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캠 부재(324a)와 상기 제3 캠 부재(324c)는 상기 샤프트(321)에 대하여 회전 또는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탄성 부재(325a)는 상기 제1 캠 부재(324a)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캠 부재(324a)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325b)는 상기 제2 캠 부재(324b)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캠 부재(324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탄성 부재(325a)가 상기 제2 탄성 부재(325b)보다 더 내측에서, 예를 들면, 내부 구조체(예: 도 6의 내부 구조체(600))에 더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캠 부재(324a)를 상기 팝 업 방향(PU)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 탄성 부재(325b)는 내부 구조체(60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외측에서, 예를 들면, 상기 제1 버튼(201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캠 부재(324b)를 상기 팝 다운 방향(PD)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부재(324a), 상기 제3 캠 부재(324c) 및/또는 상기 제2 캠 부재(324b)는 상기 제1 탄성 부재(325a)와 상기 제2 탄성 부재(325b)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25a)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탄성 부재(325b)의 탄성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1 탄성 부재(325a)와 상기 제2 탄성 부재(325b)의 합력은 상기 팝 업 방향(PU)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캠 부재들(324a, 324b, 324c) 각각은 이젝션 몸체(322) 내부의 일정 구간에서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젝션 몸체(322)의 내부에는 샤프트(321) 및 캠 부재들(324a, 324b, 324c) 주위를 둘러싸는 가이드 구조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물(미도시)은 상기 캠 부재들(324a, 324b, 324c)과 맞물리는 구성으로서, 상기 캠 부재들(324a, 324b, 324c)은 상기 가이드 구조물(미도시)과의 맞물림 상태에 따라 이젝션 몸체(322) 내부의 일정 구간에서 회전 또는 직선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물(미도시)은, 상기 캠 부재들(324a, 324b, 324c)에 돌출된 골형부와 산형부에 대응되는 돌출가이드 및 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들(324a, 324b, 324c) 및 가이드 구조물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그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가이드 구조물은 이젝션 몸체(322)와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캠 부재(324a)와 상기 제3 캠 부재(324c)는 각각에 허용된 구간에서 상기 샤프트(321)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직선 왕복 운동 구간을 벗어나면 상기 샤프트(321)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 왕복 운동 구간으로 재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캠 부재(324b)는 실질적으로 이젝션 몸체(3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캠 부재(324a), 제2 캠 부재(324b) 및/또는 제3 캠 부재(324c)는 제1 버튼(201a)의 누름 정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버튼(201a)이 그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완전히 눌리지 않았을 때(예: 대략 절반 정도 눌릴 때), 제1 캠 부재(324a) 및 제3 캠 부재(324c)가 서로 회전하여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1 클릭'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클릭' 발생시, 사용자가 '제1 클릭'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피드백 음(first feedback sound)'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버튼(201a)이 그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완전히 눌려질 때, 제3 캠 부재(324c)가 회전하여 제2 캠 부재(324b)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2 클릭'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클릭'이 발생시, 사용자가 '제2 클릭'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2 피드백 음(second feedback sound)'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피드백 음(first feedback sound)'과 '제2 피드백 음(second feedback sound)'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무의식적인 버튼(예: 제1 버튼) 입력 조작시, 스타일러스 펜(201)의 버튼 입력 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을 정리하면, 상기 제1 버튼(201a), 캠 부재들(324a, 324b, 324c), 탄성 부재들(325a, 325b), 샤프트(321)의 유기적 동작에 의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의 클릭 메커니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릭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는 단순히 제1 버튼(201a)을 가압함으로써 기계적, 물리적으로 다양한 스타일러스 펜(2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201a)을 가압하면, 샤프트(321)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스위치 구조(예: 도 6의 스위치 구조(610))는 샤프트(321)의 가압에 의해 눌림으로써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스위치 구조(810)를 통해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6의 201)의 일 측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타일러스 펜(예: 도 6의 201)의 제3 단부(800a) 측의 단면과 이젝션 부재(320)의 일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811)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은 내부 구조체(800)(예: 도 6의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800a)와 제3 단부(800a)에 인접한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에 형성된 스위치 기판(812)은 내부 구조체(800)와 펜 하우징(예: 도 3b의 300)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구조(810)는 적어도 일부가 내부 구조체(800)의 제3 내부 공간(801) 측으로 인입(lead-in)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스위치 구조(810)는 상기 이젝션 부재(320)의 일부분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구조(810)는 이젝션 부재(320)에서 샤프트(321)의 직선적 이동(예: 제1 버튼(201a)의 누름 여부에 따른 샤프트(321)의 제1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눌려지고, 샤프트(321)에 의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 구조(810)는 샤프트(321)에 의해 눌림에 따라 온/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구조(810)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측면에서의 물리적인 클릭감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위치(811)의 예시로서 돔 스위치(dome switch) 또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해당될 수 있다. 스위치(811)는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물리적으로 형상이 변형되지 않더라도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는 어떤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811)로서 단순히 샤프트(32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스위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치(811)는 샤프트(321)의 단부와 스위치(811) 간의 직선 상의 거리를 측정해, 측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스위치(811)와 샤프트(321) 간의 접촉여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온/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스위치 구조(810)는 회로기판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로기판부(330)는 내부 구조체(8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 구조(810)는 내부 구조체(800)의 제3 단부(800a) 및 외측면(800c)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6의 201)에는 내부 구조체(800) 안팎의 스위치 구조(810)와 회로기판부(330) 사이를 연결하는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예: 도 3b의 301) 내에 위치하는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부분(예: 813)은 상기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13)은 내부 구조체(800)의 표면에 일부가 커버된 상태에서, 적어도 다른 일부가 외부로 보여지도록(viewable) 또는 노출되도록(be exposed)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13)은 서로 다른 도전성 부재들 간에 납땜(soldering)이나 용접(welding) 등의 공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상기 제3 내부 공간(801)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내부 공간(801)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21)은 내부 구조체(800)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부(330)로부터 내부 구조체(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도전성 부분(예: 821)은 회로기판부(330)와 스위치 구조(810) 사이의 LDS(laser direct structuring)를 통한 전기적 연결에서, LDS가 해당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801)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21)은 하나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둘 이상의 도전성 부분(예: 821a, 821b)이 형성될 수 있다. 둘 이상의 도전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예: 제3 내부 공간 내의 제1 도전성 부분(821a))는 급전 라인(feeding line)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예: 제3 내부 공간 내의 제2 도전성 부분(821b))는 그라운드 라인(ground line)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상기 둘 이상의 도전성 부분(예: 821a, 821b)은 내부 구조체(800)의 회로기판부(33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제2 내부 공간(예: 도 3b의 301) 내에서, 상기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13)과 상기 제3 내부 공간(801)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21)을 연결하는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도전성 부분(예: 822)은 서로 다른 높이(또는 서로 다른 계면(level))에 위치한 서로 다른 도전성 부분들(예: 821 및 813)을 연결하는 비아(via)가 해당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인쇄회로기판(332)에 실장되는 어떤 접점 구조체를 활용한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예: 8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내부 공간(801) 내에 인쇄회로기판(332)이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332) 상에 접점 구조체로서의 도전성 부분(예: 8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내부 공간(801) 내의 어떤 도전성 부분(예: 821a 및/또는 821b)이 내부 구조체(800)의 회로기판부(33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 구조체로서의 도전성 부분(예: 830)을 활용하여 제3 내부 공간(801) 내의 도전성 부분(예: 821a 및/또는 821b)과 회로기판부(3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상기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conductive portion) 또는 적어도 둘의 도전성 부분들(conductive portions)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성 경로(conductive path)는 LDS를 통한 전기적 연결, 접점 구조체를 활용한 전기적 연결, 또는 서로 다른 도전성 부분 간의 납땜(soldering)을 통한 전기적 연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방법들 중 적어도 둘의 방법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811)는 스위치 기판(812)에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기판(812)은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8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도전성 부분(813)은 적어도 하나의 비아(via)(예: 822)를 통해 제3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들(821a, 82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한 도전성 부분들(821a, 821b)은 내부 구조체(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점 구조체(830)를 통해 회로기판부(330) 및/또는 각종 전자 부품들(840, 850)(예: 제4 무선 통신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6의 201)은, 스위치 구조(810)가 내부 구조체(800)의 제3 단부(800a) 및/또는 외측면(800c)에 배치되고, 회로기판부(330)가 내부 구조체(800)의 내부(예: 제3 내부 공간(801))에 배치됨으로써 도전성 부분이 내부 구조체(800)의 외관에 보여지도록(또는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01)은 조립 과정에서 내부 구조체(800)를 펜 하우징(예: 도 3b의 300) 내부 공간(예: 도 3b의 301)에 삽입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스타일러스 펜(201)을 설계함에 있어서, 내부 구조체(80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계해야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구조 (810) 및 도전성 부분의 접점 부위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스타일러스 펜(201)은 틈(예: 제1 버튼(201a) 및 이젝션 몸체(322), 또는 제2 단부(300b) 및 이젝션 몸체(322)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으로부터 내부 부품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내부 구조체(800)의 외연에 보여지도록(또는 노출되도록) 형성된 도전성 부분(conductive path)을 방수하기 위한 방수 구조체(860)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860)는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인접하여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13)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01a)과 이젝션 몸체(32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은 스위치(811)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 및 내부 구조체(800)의 표면을 타고 펜 하우징(예: 도 3b의 300)의 내측으로 더욱 흘러들 수 있으며, 수분의 일부분은 상기 도전성 부분(예: 813) 주변에 응축되어 전류가 누설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분(예: 813)은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 및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부분에 방수 구조체(8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으로부터 전기적 접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에는 방수를 위한 구조가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방수 구조체에 대한 더욱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부(예: 도 3b의 330)의 커버(33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방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방수 구조체(예: 860)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수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부(330)의 상부 영역(910)에 방수 구조체(9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방수 구조체(920)는 방수용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920)는 회로기판부(330)의 커버(미도시)의 내측에 추가되거나 또는 회로기판부(330)의 커버(미도시)를 대체하여, 회로기판부(33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구조체(920)는 일 단부(920a)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제3 단부(예: 도 8의 800a)에 인접한 내측 표면(801a)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표면(801a)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타 단부(920b)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수 구조체(920)의 일 단부(920a)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제3 단부(예: 도 8의 800a)의 내측 표면(801a)에 밀착된 상태에서, 방수 구조체(920)의 타 단부(920b)는 커버(33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방수 구조체(9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들이 회로기판부(예: 도 3b의 330) 상에 실장된 다양한 전자 부품들(예: 인쇄회로 기판(332) 및/또는 배터리(336)) 또는 그 주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가 누설될 위험 및 부식될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구조체(920)는 회로기판부(예: 도 3b의 330)의 상부 영역(910) 중 어떤 특정한 영역에만 형성되어, 어떤 특정한 전자 부품(예: 인쇄회로 기판(332) 및/또는 배터리(336))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 및 후술하는 도 1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부 공간(예: 도 8의 801) 내의 다른 전자 부품들 또는 다른 기구물들이나, 전자 부품들 또는 기구물들 간의 갭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920)는 도 8에서 전술한 방수 구조체(860)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도전성 부분을 포함한 다른 전자 부품들을 전류 누설 및 부식으로부터 전방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또 다른 방수 수단으로서,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외측면(예: 도 8의 800c)을 둘러싸는 패킹 링(예: 오-링)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양한 방수 수단들(예: 860, 870, 1020)을 중심으로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에 수분 침투에 따른 전류 누설 및 부식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수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 상에 인접하여 위치한 도전성 부분(예: 813)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방수 구조체(8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스위치(811) 및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 사이의 접점을 보호하는 방수 구조체(8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인쇄회로기판(332) 및 제3 내부 공간(801) 내의 다른 다양한 전자 부품들과 기구물들을 보호하는 방수 구조체(예: 방수용 수지)(102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이 제1 버튼(예: 도 2의 201a)과 이젝션 몸체(예: 도 3b의 322) 사이의 틈을 따라 유입되면, 상기 방수 구조체(870)를 통해 스위치(811) 및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 사이의 도전성 부분을 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구조체(860)를 통해 도전성 부분(예: 813)을, 내부 구조체(800)의 외측면(800c)을 타고 흘러 들어오는 수분으로부터 방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구조체(1020)를 통해 제3 내부 공간(801) 상의 전자 부품들 및/또는 기구물들을,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812)과의 경계 부분을 제외한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다른 부분을 통해 침투 가능한 수분으로부터 방수할 수 있다.
도 10의 도면에는 방수 구조체(860) 및 방수 구조체(1020)가 내부 구조체(8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것이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다양한 방수 수단들의 세부적인 위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수단들(870, 1120)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스위치(811) 및 스위치(811)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1112)(예: 도 8의 스위치 기판(812)) 사이의 접점을 보호하는 방수 구조체(8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인쇄회로기판(332) 및 제3 내부 공간(801) 내의 다른 다양한 전자 부품들과 기구물들을 보호하는 방수 구조체(예: 방수용 수지)(112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외측면(800c) 상에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811)는, 펜 하우징(예: 도 3b의 300)의 제2 단부(예: 도 3b의 300b)를 향하되,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1112)는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외측면(800c) 상으로 연장되지 않고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제3 내부 공간(801)으로 직접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1112)은 내부 구조체(예: 도 8의 800)의 제3 단부(800a)를 관통할 수 있다.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1112)은 인쇄회로기판(332)의 접점 구조체(830)가 형성된 위치까지 연장된 후, 스위치 기판(1112)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1113)과 상기 접점 구조체(830)가 접촉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과 달리 배터리가 도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로서,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가 아닌 다른 배터리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내부 공간(801) 내의 전자 부품들 및 기구물들의 배치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예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32) 및 스위치 기판(1112)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1113)을 방수할 수 있도록, 제3 내부 공간(801)에 배치된 방수 구조체(11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32) 및 스위치 기판(1112)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전성 부분(1113)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수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샤프트(321, 32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는 내부 구조체(1200)(예: 도 6의 내부 구조체(600))의 제3 단부(1200a)에 스위치 구조(1210)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구조(1210)를 마주보는 위치에 샤프트(321, 321')를 포함한 이젝션 부재(32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구조(1210)에 눌림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321)는, 장기간 사용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321)에는 샤프트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응력,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응력, 또는 비틀림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른 피로 하중(fatigue load)이 허용된 임계를 넘으면 휘거나 부러질 수 있다. 샤프트(321)가 휘거나 부러지면, 스위치 구조(1210)와 샤프트(321) 사이의 접점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의 사용 중에 스위치 입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션 부재(320)에 포함된 샤프트(321)를 이중 샤프트(321, 321')로 구성하여 샤프트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스위치 구조(1210)에 눌림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로서, 이중 샤프트(321, 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샤프트(321, 321')는 제1-1 샤프트(321)와 제1-2 샤프트(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샤프트(321)는 제1-2 샤프트(321')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며, 각 샤프트(321, 321')의 단부는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1-1 샤프트(321)와 제1-2 샤프트(321')는 이젝션 부재(320) 내에서 맞닿은 상태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예: 도 2의 201a)을 누르면, 제1 버튼(예: 도 2의 201a)에 작용하는 눌림 힘은 제1-1 샤프트(321)을 거쳐 제1-2 샤프트(321')에 전달되고, 제1-2 샤프트(321')가 스위치 구조(1210)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중 샤프트(321, 321')에서, 제1-2 샤프트(321')의 재질은 제1-1 샤프트(321)의 재질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 구조(1210)와 접촉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의 장기간 사용 중에도 샤프트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 구조(1210) 및 샤프트 간의 접점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1300)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31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EMR 신호(예: EMR 통신을 통한 무선 신호) 또는 BLE 신호(예: BLE 통신을 통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3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를 이용하여, E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EMR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2 버튼(예: 도 3b의 제2 버튼(337))의 눌림(pushed)에 따라, 제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전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예: 제3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이용하여,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BLE 신호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 또는 제2 버튼(337)의 눌림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되는 신호(예: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4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320에서, 제1 버튼(201a)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수신된, 제1 버튼(201a)의 눌림을 나타내는 신호(예: 제1 버튼 눌림 신호)의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제1 버튼(201a)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 눌림 신호는,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대한 응답으로 스타일러스 펜(20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 눌림 신호는,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라 BLE 신호(예: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상기 BLE 신호와 함께 또는 상기 BLE 신호에 포함되어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스타일러스 펜(201)이 삽입되어 스타일러스 펜(201)이 현재 충전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스타일러스 펜(1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경우, 제1 버튼(201a)의 상태는 눌린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사용자에 의한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반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충전(다른 말로, 제1 버튼(201a) 의 눌림 상태)을 나타내는(indicating) 신호에 대한 식별자(예: 플래그(flag) 값)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201a)의 상태는 풀(pull)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그 값은,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되는 횟수에 따라 변경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그 값은,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1 버튼(201a)이 눌린 상태인 경우 0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그 값은,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1 버튼(201a)이 눌림 해제 상태(다른 말로, 풀 상태)인 경우 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그 값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된 후,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부터 수신되는 제1 버튼 눌림 신호의 수신된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 버튼 눌림 신호의 수신 횟수에 기반하여 플래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홀수 번 수신되면, 플래그 값을 0으로 결정하고,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짝수 번 수신되면, 플래그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330에서, 제1 버튼(201a) 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에 기반하여, 수신된 EMR 신호(예: 제3 신호) 또는 BLE 신호(예: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4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EMR 신호(예: 제3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EMR 신호(예: 제3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은 미리 지정된 태스크의 수행(예: 미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에어 커맨드(air command)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에 대한 눌림 신호가 미리 지정된 시간(예: 4초) 이내에 짝수 번(예: 2번) 수신되었다고 확인되면, 수신된 EMR 신호(예: 제3 신호)를 무시(다른 말로,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BLE 신호가 수신된 경우, 결정된 플래그 값에 기반하여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1번 수신되어 플래그 값이 1로 결정(예: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로 변경)된 후 BLE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BLE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전송된 제1 신호(예: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로부터 이탈되기 위하여,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된 BLE 신호)로 판단하여 제1 신호를 무시(다른 말로, 제1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을 생략)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플래그 값이 1이 된 후(예: 제1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짝수 번 더 수신된 경우) BLE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BLE 신호를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에 의해 전송된 제4 신호(예: 미리 지정된 태스크의 수행을 명령하는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4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촬영 또는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마이크 입력 기능 활성화)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플래그 값이 0으로 결정된 후(예: 제1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홀수 번 더 수신된 경우) BLE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BLE 신호를 제4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제4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예: 미리 지정된 태스크의 수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플래그 값이 변경되는 시점(예: 제1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됨과 동시에 또는 미리 지정된 근접한 시간 이내)에서 BLE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BLE 신호를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에 의해 전송된 제2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2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능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가 제1 버튼(201a)의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를 확인하는 방법은,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1 버튼(201a)이 눌림 상태 또는 눌림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400)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41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포함된 검출 코일(또는, 제1 충전 코일)를 이용하여, 제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충전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리액턴스 소자(예: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신호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위치가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신호의 전송 동작은, 검출 코일로부터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에 포함된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로의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신호는, 도 4에서 설명한 충전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42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로 일정 시간 동안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검출 신호의 전송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201)의 배터리(예: 도 3b의 배터리(336))에 저장된 에너지가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로 전달된 에너지에 의하여 검출 코일 및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 간에 전자기장이 발생하여, 검출 코일에 유도 전류(예: 응답 신호)가 유도(다른 말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430에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값은 미리 지정된 기준값(threshold vlau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440에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된 상태라고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450에서,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미만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210) 외부에 위치한 상태라고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기 유도 패널에 검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응답 신호(유도 전류)가 전송(예: 유도)된 검출 코일이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포함된 검출 코일인지, 전자기 유도 패널에 포함된 검출 코일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210) 내부에 위치(예: 제1 내부 공간(212)에 삽입된 상태)하는지, 하우징(210) 외부에 위치(예: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되는 상태)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스타일러스 펜(201)에 포함된 제1 전압 검출기(예: 도 5의 전압 검출기(507))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전압 검출기(예: 도 5의 전압 검출기(507))를 이용하여, 검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전압 값(예: 3.5 볼트(V)) 이상일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충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충전 상태 정보(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충전 중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01)는 충전 상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이 눌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10에서,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되어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도 14의 동작 1410 내지 동작 1450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1 내부 공간(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에 삽입되어 충전 중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20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충전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충전되고 있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되지 않는 경우, 제1 버튼(201a)이 눌림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3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된 후,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른 신호(예: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되는 시점(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1 내부 공간에서 이탈되는 시점)에서의 플래그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1 버튼 눌림 신호(예: 도 4의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BLE 통신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된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제1 내부 공간(21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복수 회 수신될 경우, 플래그 값은,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버튼 눌림 신호는, EMR 통신 방식으로도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3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를 이용하여, 제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4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른 신호(예: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된 횟수가 홀수 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이탈된 후,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된 횟수가 홀수 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5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른 신호(예: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홀수 번 수신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풀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 중에,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1번 수신되고 전자 장치(101)로부터 충전이 중단된 후,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에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거나 짝수 번 수신되면 플래그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풀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6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으로부터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른 신호(예: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홀수 번 수신되었다고 확인되면,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눌림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충전 중에,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1번 수신되고 전자 장치(101)로부터 충전이 중단된 후에,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에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홀수 번 수신되면 플래그 값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의 상태를 푸시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의한 충전이 중단된 후,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의 눌림으로 인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제1 버튼(201a)이 푸시 상태라고 확인하고,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에는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101)에 의한 충전이 중단된 후, 제1 버튼(201a)의 눌림으로 인한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프로세서(예: 도 3a의 프로세서(220))에서, 식별자(예: 플래그(flag) 값)를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플래그 값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에 삽입되어 있다가, 제1 버튼(201a)에 의해 분리(또는 팝업)될 때(예: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중단될 때), 1로 설정되고, 그 후에 상기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 값이 1일 경우에는 제1 버튼(201a)은 풀 상태이고, 0일 경우에는 제1버튼(201a)은 푸시 상태일 수 있다.
도 1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2 버튼(예: 도 3b의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BLE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600A)이다. 도 1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EMR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600B)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10에서,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되는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20에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 눌림 신호의 수신된 횟수에 기반하여, 플래그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그 값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14의 동작 1420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플래그 값에 기반하여,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풀 상태이면 동작 1630을 수행하고, 제1 버튼(201a)의 상태가 풀(pull) 상태가 아니면(예: 푸시(push) 상태이면) 동작 165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30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가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동작 1640을 수행하고,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동작 165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40에서,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은, 미리 지정된 태스크(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촬영,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마이크 입력 기능 활성화)의 수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50에서,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예: 미리 지정된 태스크 수행)을 생략(다른 말로, 수신된 BLE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고,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BLE 신호 및 EMR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무시하고, 수신된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검출 신호(예: 도 1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검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되고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충전 신호(또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신호의 세기(예: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예: 3.5 볼트(V) 이상)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충전 중임을 확인(identify)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201a)의 상태는 푸시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이 눌릴 때마다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전자 장치(101)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종료된 시점(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시점)에서 제1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 BLE 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짝수 번 수신되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BLE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면(예: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면) BLE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하면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할 경우에는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의 충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홀수 번 더 수신되면,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60에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짝수 번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identify)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대응하는 제1 버튼 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 4초) 이내에 수신되는 제1 버튼 눌림 신호의 수신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제1 버튼(201a)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짝수 번(예: 2번)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버튼(201a)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짝수 번 눌렸다고 확인되면, 동작 1670을 수행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짝수 번 눌리지 않았다고 확인(예: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제1 버튼 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홀수 번 수신된 경우)하면, 동작 A(예: 도 16a에서 설명한 동작 1610 내지 165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70에서,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송되는 E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411)로부터 미리 지정된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버튼(337)의 눌림에 따라, 제3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를 이용하여 제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로부터 E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80에서, 수신된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EMR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예: 미리 지정된 태스크 수행)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201)이 디스플레이(411)로부터 미리 지정된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여,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BLE 신호 및 EMR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수신된 EMR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생략하고, 수신된 BLE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시간(예: 4초) 이내에 짝수 번(예: 2번) 눌렸는지 여부(예: 제1 버튼(201a)으로부터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짝수 번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짝수 번 눌렸다고 확인되면, 제2 버튼(337)에 대한 눌림 이벤트가 발생되더라도 EMR 신호를 제3 무선 통신 회로(409)로 전송하지 않고, BLE 신호를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의 눌린 상태에 따라서 제2 버튼(예: 도 3b의 제2 버튼(337))의 누름에 의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600C)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동작 1611에서, 제2 버튼(예: 도 3b의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인 제2 버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button)를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동작 1621에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이 풀(pull)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도 3a의 프로세서(220))는, 제1 버튼(201a)의 눌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고 있다면,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라고 확인하고,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다면, 제1 버튼이 푸시(push) 상태라고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도 3a의 프로세서(220))는, 제1 버튼(201a)가 도 2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현될 경우에는,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경되는 식별자(예: 플래그 값)를 확인함으로써,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인지, 푸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01a)은, 상기 식별자가 1이면 풀 상태이고, 0이면 푸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이 풀 상태이면 동작 1631을 수행하고, 제1 버튼이 풀 상태가 아니면(다른 말로, 푸시 상태이면) 동작 1651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동작 1631에서, 스타일러스 펜(201)이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신호가 수신되고 있으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예: 10cm) 내에 위치한다고 확인하고, 근접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으면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근접 신호가 수신되면,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근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예: 도 5의 approach)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다른 말로, 근접 범위 밖에 위치하면) 동작 1641을 수행하고,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면 동작 1651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동작 1641에서, 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제2 버튼(337)의 누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을 이용하여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동작 1651에서, EMR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이 풀 상태가 아니거나(다른 말로, 푸시 상태이거나),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확인하면,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EMR 신호(예: 제3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1)은, 이 경우,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전자 장치(101)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한 BLE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를 이용한 EMR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11) 상에,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예: EMR 통신 방식 또는 BLE 통신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1)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701)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예: 제1 그래픽 객체(1701a), 제2 그래픽 객체(1701b) 또는 제3 그래픽 객체(1701c))를 포함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예: 제1 그래픽 객체(1701a), 제2 그래픽 객체(1701b) 또는 제3 그래픽 객체(1701c)) 각각은, 각각의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예: 제1 그래픽 객체(1701a), 제2 그래픽 객체(1701b) 또는 제3 그래픽 객체(1701c))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의 설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11)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1 그래픽 객체(1701a)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그래픽 객체(1701a)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을 이용하여, 제1 그래픽 객체(1701a)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의 설정으로 제2 버튼(33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5 신호를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그래픽 객체(1701a)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의 설정은, 제1 버튼(201a)은 BLE 입력 버튼으로, 제2 버튼(337)은 EMR 입력 버튼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설정(예: 스타일러스 펜(201)이, 제1 버튼(201a)이 눌리면 전자 장치(101)로 BLE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버튼(337)이 눌리면 전자 장치로(101)로 EMR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5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5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버튼(337)(예: 스위치)가 쇼트(short)됨으로써, 제4 무선 통신 회로(405)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화하고, EMR 코일(예: 도 3b의 코일(313))으로부터 제3 무선 통신 회로(407)로 EMR 신호(예: 제3 신호)가 전송(다른 말로, 교류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버튼(337)의 눌림에 따른 전기적 신호(예: 제2 버튼 입력 신호)가 버튼 입력 처리 회로(예: 도 4의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를 통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제5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버튼(201a)의 눌림에 따른 전기적 신호(예: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를 통하여, 또는 직접(다른 말로,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를 통하지 않고)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수신된 제1 버튼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BLE 신호(예: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411)를 통하여, 제1 그래픽 객체(1701a)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스타일러스 펜(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예: EMR 신호 또는 BLE 신호)에 대한 처리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201)로부터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BLE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제4 신호에 대하여는 무시하고(다른 말로,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고), 제1 버튼(337)의 눌림에 의하여 BLE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제2 신호에 대하여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그래픽 객체(1701b) 또는 제3 그래픽 객체(1701c)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은, 본 개시에 포함된 제1 버튼(201a) 또는 제2 버튼(337)의 눌림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 회 눌린 경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사용자로부터 제1 버튼(201a)를 복수 회(예: 10번) 누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201a)(예: 스위치)이 눌림으로써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예: 제1 버튼 입력 신호)가 버튼 입력 처리 회로(예: 도 4의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으로 복수 회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복수 회 전달되는 복수의 제1 버튼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복수 회(예: 10번) 전달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들의 각각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101)의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BLE 신호(예: 제2 신호)를 복수 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예: 4초) 이내에 미리 지정된 횟수(예: 4번)를 초과하는 횟수(예: 6번)만큼 BLE 신호(예: 제2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횟수(예: 4번)만큼의 BLE 신호(예: 제2 신호)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예: 미리 설정된 미리 지정된 태스크 수행(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하고, 미리 지정된 횟수 이후에 수신되는 BLE 신호(예: 제2 신호)에 대하여 무시할 수 있다(다른 말로,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복수 회 전달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복수 번(예: 10번) 전달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들이 미리 지정된 시간(예: 4초) 이내에 미리 지정된 횟수(예: 4번)를 초과하는 횟수만큼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횟수 이후에 수신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들을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미리 지정된 횟수(예: 4번)만큼 BLE 신호를 전송하고,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횟수(예: 6번)만큼은 BLE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지정된 횟수는, 전자 장치(10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시로써 언급한 4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의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 및 제2 버튼(예: 도 3b의 제2 버튼(337))이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모두 눌린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입력과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을 동시에 또는 미리 지정된 근접한 시간(예: 1초) 이내에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 또는 제 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버튼 입력 신호 및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버튼 입력 신호 및 제2 버튼 입력 신호는, 제1 버튼(201a) 및 제2 버튼(337)의 각각을 구성하는 스위치 회로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1 BLE 신호(예: 제2 신호 또는 제1 버튼 눌림 신호) 및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2 BLE 신호(예: 제4 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전자 장치(101)로의 상기 제1 BLE 신호 및 상기 제2 BLE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은, 블루투스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WiFi 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그 외 WiFi direct, NFC 등 기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도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를 이용하여, 제1 BLE 신호 및 제2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BLE 신호 및 제2 BLE 신호가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BLE 신호 및 제2 BLE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수신되었다고 확인되면, 미리 지정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지정된 프로세싱은, 미리 설정된 태스크의 수행(예: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음성비서 기능의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 2초) 간격 이내에 제1 BLE 신호 및 제2 BLE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음성 비서 기능을 실행(예: 삼성® 빅스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음성 비서 기능의 실행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BLE 신호 및 제2 BLE 신호가 수신된 방향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방향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마이크의 음성 입력 이득(gain)이 증가하도록 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 확인된 방향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마이크의 음성 입력의 이득(gain)을 증가시키거나, 빔포밍 동작(예: 음성 입력의 빔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마이크의 지향성을 조정)을 통해 수신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버튼 입력 처리 회로(4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입력(예: 제1 버튼 입력 신호)과 제2 버튼(337)을 누르는 입력(예: 제2 버튼 입력 신호)을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수신된 제1 버튼 입력 신호 및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201)은, 제2 무선 통신 회로(403)가 제1 버튼 입력 신호 및 제2 버튼 입력 신호를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모두 전달받으면,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미리 설정된 태스크의 수행을 명령하는 커맨드 신호를 제1 무선 통신 회로(407)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로부터 전송된 커맨드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을 누름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예: 동작 a_0) 제1 버튼(201a)이 팝 다운(pop down)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버튼(201a)을 누르면(예: 동작 a_1) 샤프트(321)는 스위치 구조(예: 도 8의 스위치 구조(8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후 동작(예: 동작 a_2)에서, 이젝션 부재(320) 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예: 도 7의 325a, 325b)의 합성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 버튼(201a)은 팝 업(pop up)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예: 동작 b_0) 제1 버튼(201a)이 팝 업(pop up)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버튼(201a)을 누르면(예: 동작 b_1) 샤프트(321)는 스위치 구조(8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후 동작(예: 동작 b_2)에서 이젝션 부재(320) 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예: 도 7의 325)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1 버튼(201a)이 팝 다운(pop up)된 모습(예: 동작 b_2)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a_0 내지 동작 a_2에서와 달리 동작 b_0 내지 동작 b_2에서는 제1 버튼(201a)이 이젝션 몸체(32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만 돌출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동작(동작 a_1 및 동작 b_1)에서만, 샤프트(321)와 스위치 구조(810)가 접촉함에 따라 버튼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예: 도3의 201)은 스타일러스 펜(예: 도3의 201)의 전류 소모가 상기 두 개의 동작(동작 a_1 및 동작 b_1)에서만 발생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버튼 입력 신호(예: 제1 버튼 입력 신호)는 기 지정된 버튼 입력 알고리즘(예: 제1 버튼(201a)의 최초 상태 및/또는 제1 버튼(201a)의 눌림 정도를 고려한 버튼 입력 알고리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분된 버튼 입력 신호(예: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버튼(201a)을 누르는 입력(예: 제1 버튼 입력 신호) 생성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버튼(201a)의 최초 상태 및/또는 제1 버튼(201a)의 눌림 정도 등에 따라 더욱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다양한 실시예들의 선택 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버튼 입력 신호(예: 제1 버튼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삽입된 상태인지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21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110에서,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내에 삽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에 삽입된 상태이면 동작 2120을 수행하고,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에 삽입된 상태가 아니라면(다른 말로,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이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라면) 동작 213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120에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의 누름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130에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의 누름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에 의하여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2140에서, 수신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예: 도 2의 제1 내부 공간(212))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예: 도 2의 홀(211))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1 무선 통신 회로(407)),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예: 도 2의 스타일러스 펜(201))으로서, 제1 단부(예: 도 3b의 제1 단부(300a)) 및 제2 단부(예: 제2 단부(3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예: 도 3b의 제2 내부 공간(301))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예: 도 3b의 펜 하우징(300)),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예: 도 3b의 펜 팁(311)),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예: 도 2의 제1 버튼(201a))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2 무선 통신 회로(403))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3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3 무선 통신 회로(409)),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4 무선 통신 회로(예: 도 4의 제4 무선 통신 회로(405)) 및 상기 펜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 버튼(예: 도 3의 제2 버튼(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충전 회로(예: 도 3a의 충전 회로(28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회로의 동작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3 신호를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일정 범위의 거리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4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예: 도 3b의 201)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예: 도 3b의 301) 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된 제3 내부 공간(예: 도 8의 801)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부(예: 도 3b의 300b)쪽으로 향하는 제3 단부(예: 도 8의 800a)를 포함하며, 밀봉된(sealed) 내부 구조체 (internal structure)(예: 도 8의 800), 상기 제3 단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스위치 구조(예: 도 8의 810), 및 제2 내부 공간 내에, 상기 스위치 구조와 상기 제1 버튼 사이에 위치한 샤프트(예: 도 8의 3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3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로 제1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1 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구조는, 상기 샤프트에 의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 구조 및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분 및 상기 내부 구조체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 상기 도전성 부분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위치하는 방수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예: 도 8의 811)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예: 도 8의 812)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은 상기 내부 구조체의 외측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예: 도 12의 321, 321')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 중 상기 스위치 구조와 접촉되는 샤프트(예: 도 12의 321')는 다른 샤프트(예: 도 12의 321)보다 강성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 사이의 도전성 부분을 방수하는 방수 구조체(예: 도 10의 870, 또는 도 11의 8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은, 상기 내부 구조체의 상기 제3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 구조 및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의 상기 도전성 부분을 방수하는 방수 구조체(예: 도 11의 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에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고, 상기 PCB 상에 상기 제2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가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버튼의 누름 상태 또는 누른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대응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제4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제4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5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의 통신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통신회로로부터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제1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1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수신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2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더 수신된 제2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송신된 제4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미리 지정된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눌림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버튼의 눌림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충전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충전 회로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충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 "제2 ",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a)(예: 내장메모리(136) 또는 외장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 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 될 수 있다.
101, 102 : 전자 장치
150 : 입력 장치
201 : 스타일러스 펜
201a : 제1 버튼
210 : 하우징
211 : 홀
212 : 제1 내부 공간
287 : 공진회로
288 : 충전 회로
289 : 배터리
290 : 통신 회로
297 : 안테나
298 : 트리거 회로
300 : 펜 하우징
300a : 제1 단부
300b : 제2 단부
301 : 제2 내부 공간
310 : 코일부
311 : 펜 팁
320 : 이젝션 부재
321 : 샤프트
330 : 회로 기판부
337 : 제2 버튼
401 : 버튼 입력 처리 회로
403 : 제2 무선 통신 회로
405 : 제4 무선 통신 회로
407 : 제1 무선 통신 회로
409 : 제3 무선 통신 회로
411 : 디스플레이
800 : 내부 구조체
800a : 제3 단부
801 : 제3 내부 공간
810 : 스위치 구조
811 : 스위치
812 : 스위치 기판
813, 821, 830 : 도전성 부분
860, 870, 920, 1020, 1120 : 방수 구조체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3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4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펜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회로의 동작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함을 검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4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3 신호를 상기 제3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일정 범위의 거리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4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된 제3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단부쪽으로 향하는 제3 단부를 포함하며, 밀봉된(sealed) 내부 구조체 (internal structure);
    상기 제3 단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스위치 구조; 및
    제2 내부 공간 내에, 상기 스위치 구조와 상기 제1 버튼 사이에 위치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3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로 제1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1 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구조는, 상기 샤프트에 의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 구조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분; 및
    상기 내부 구조체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 상기 도전성 부분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위치하는 방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은 상기 내부 구조체의 외측면 상으로 연장된, 전자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 중 상기 스위치 구조과 접촉되는 샤프트는 다른 샤프트보다 강성인 재질로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스위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기판 사이의 도전성 부분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위치하는 방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조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은, 상기 내부 구조체의 상기 제3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 구조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의 상기 도전성 부분을 방수하는 방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내부 공간 내에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고,
    상기 PCB 상에 상기 제2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가 장착된, 전자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버튼의 누름 상태 또는 누른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대응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무선 통신 회로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제4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4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5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의 통신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통신회로로부터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제1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1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수신한 후,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2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더 수신된 제2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제2 신호 및 제4 신호를 모두 수신하면, 미리 지정된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눌림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버튼의 눌림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버튼의 누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제4 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내부 공간(inner space)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된 홀(hole)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충전 회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길게 연장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길게 연장된 펜 하우징;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된 펜 팁;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고, 누름 가능한 제1 버튼;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충전 회로; 및
    상기 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충전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충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충전 회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가 제1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로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응답 신호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KR1020180173047A 2018-12-28 2018-12-28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82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47A KR20200082447A (ko) 2018-12-28 2018-12-28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6260 WO2020138729A1 (en) 2018-12-28 2019-11-25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6/723,515 US11061487B2 (en) 2018-12-28 2019-12-20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47A KR20200082447A (ko) 2018-12-28 2018-12-28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47A true KR20200082447A (ko) 2020-07-08

Family

ID=7112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47A KR20200082447A (ko) 2018-12-28 2018-12-28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1487B2 (ko)
KR (1) KR20200082447A (ko)
WO (1) WO2020138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165B1 (ko) * 2018-08-0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5229B1 (ko) * 2018-12-28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부재에 관한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924831S1 (en) * 2019-05-23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97056B2 (en) * 2019-07-24 2023-10-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holders
CN212906231U (zh) * 2020-07-07 2021-04-06 深圳市鹰硕教育服务有限公司 智能笔蓝牙驱动电路
WO2022097402A1 (ja) * 2020-11-06 2022-05-12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CN113885716B (zh) * 2021-05-24 2022-09-09 荣耀终端有限公司 触控笔及电子设备组件
US11635874B2 (en) * 2021-06-11 2023-04-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n-specific user interface controls
CN113395608A (zh) * 2021-06-11 2021-09-14 深圳风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智慧广播系统的多链路自适应选择控制系统
CN114003138B (zh) * 2021-09-28 2022-09-02 荣耀终端有限公司 手写笔收纳装置和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8851A1 (en) * 2004-09-28 2006-03-30 Ashman William C Jr Accesso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006926A (ko) * 2009-07-15 201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35254B2 (en) * 2012-02-15 2018-11-20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High reliability power over ethernet
KR101940565B1 (ko) * 2012-08-02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40076261A (ko)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WO2014120184A1 (en) 2013-01-31 2014-08-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distribution of a depletable resource on a network-enabled device
CN104320579A (zh) * 2014-10-22 2015-01-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拍照装置及方法
KR20160096912A (ko) 2015-02-06 2016-08-17 주식회사 페이턴틴 스타일러스 펜 장치
US9785262B2 (en) * 2015-04-20 2017-10-10 Waco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ylus and stylus sensor controller
CN111913606A (zh) 2015-04-20 2020-11-10 株式会社和冠 传感器控制器、主机处理器、通信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9992A1 (en) 2020-07-02
WO2020138729A1 (en) 2020-07-02
US11061487B2 (en)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2447A (ko)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771971B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performed by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61704B1 (ko) 안테나에 인접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17267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18970B1 (ko)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마이크로 폰의 제어 방법
KR20210121547A (ko) 원격 입력 장치의 거리에 기초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65076B1 (ko)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4397A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0309B1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59974B1 (ko)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75781B1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13548A (ko)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341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22942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15973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EP428002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nic pen storage structure, and electronic pen
KR102540946B1 (ko) 디지털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7279A (ko)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0432A (ko) 전자 펜 장치 및 전자 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6891A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5002A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