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757B1 -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757B1
KR102540757B1 KR1020180100649A KR20180100649A KR102540757B1 KR 102540757 B1 KR102540757 B1 KR 102540757B1 KR 1020180100649 A KR1020180100649 A KR 1020180100649A KR 20180100649 A KR20180100649 A KR 20180100649A KR 102540757 B1 KR102540757 B1 KR 10254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various embodiments
screen
present document
p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028A (ko
Inventor
이화준
신새벽
이재한
황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757B1/ko
Priority to CN201980065420.9A priority patent/CN112789581A/zh
Priority to EP19193750.7A priority patent/EP3617866A1/en
Priority to PCT/KR2019/010903 priority patent/WO2020045947A1/en
Priority to US16/552,759 priority patent/US11178334B2/en
Publication of KR2020002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028A/ko
Priority to US17/526,451 priority patent/US116592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Abstract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이 개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 PROPERTY OF A SCREEN BASED ON A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문서는,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휴대성(portability)에 기반한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의 제약(예: 크기)으로 인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는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그래픽컬 객체들(graphical objects)(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촬영 버튼 등)을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의 사용자는, 이와 같은 스마트 폰의 휴대성 으로부터 기인한 제한 때문에, 스마트 폰과 사용자(또는,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그래픽컬 객체들로 인하여 전자 장치를 사용함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예: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거리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이미지 및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그래픽컬 객체들을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의 속성(예: 실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된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예: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거리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실행 화면", "프리뷰 화면" 또는 "화면"은, 하나의 이미지, 복수의 이미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다양한 그래픽컬 객체들(예: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 및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예: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거리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속성(예: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문서 상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예: 펜 입력 장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l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에 전자 장치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사용자(또는,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따라 지정된 크기의 촬영 알림음이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를 통하여 피사체(또는, 대상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화면) 상에 지정된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자 장치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화면)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출력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펜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포함 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 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 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 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사시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201)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110C)의 일 부분에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홀(111)과 연결된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펜 입력 장치(201)는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는, 펜 입력 장치(201)를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1a)이 눌리면,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들이 작동하여,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펜 입력 장치(201)가 이탈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공진 회로(387),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통신 회로(390), 안테나(397) 및/또는 트리거 회로(39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의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3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320), 공진 회로(387) 및/또는 통신 회로(390)는 메모리(330), 충전 회로(388), 배터리(389), 안테나(397) 또는 트리거 회로(3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공진 회로와 버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펜 입력 장치(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펜 입력 장치(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공진 회로(3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디지타이저(예: 도 4의 전자기 유도 패널(49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대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387)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330)는 펜 입력 장치(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펜 입력 장치(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진 회로(3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커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387)는, 상기 펜 입력 장치(201)가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생성을 위해, 펜 입력 장치(201)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펜 입력 장치(201)가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펜 입력 장치(201)는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가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펜 입력 장치(201)는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가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펜 입력 장치(201)는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공진 회로(3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387)는,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회로(3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3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3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389)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는 충전 회로(3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 펜 입력 장치(201)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389)는, 펜 입력 장치(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389)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 일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389)는 충전 회로(3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회로(390)는, 펜 입력 장치(201)와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190)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3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펜 입력 장치(2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90)는 트리거 회로(398)를 통해 획득한 펜 입력 장치(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3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3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는 복수의 안테나(39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복수의 안테나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97)를 통하여 통신 회로(3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리거 회로(3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펜 입력 장치(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펜 입력 장치(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3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측면 베젤 구조(410), 제1 지지부재(4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420), 디스플레이(430), 전자기 유도 패널(490), 인쇄 회로 기판(440),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 제2 지지부재(4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 펜 입력 장치(201)(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 및 후면 플레이트(4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부재(411), 또는 제2 지지부재(4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예: 디지타이저(digitizer))은 펜 입력 장치(201)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인쇄회로기판(PCB)(예: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시트는 전자 장치(101) 내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예: 디스플레이 모듈, 인쇄회로기판, 전자기 유도 패널 등)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한 상기 컴포넌트들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시트는 컴포넌트들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을 차단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의 입력이 전자기 유도 패널(490)에 포함된 코일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전자 장치(101)에 실장된 생체 센서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지지부재(411)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4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지지부재(4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지지부재(4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4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44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440)에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4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1)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는, 후면 플레이트(480)와 배터리(450)(예: 도 1의 배터리(18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47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4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베젤 구조(4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부재(4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의 분해 사시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펜 입력 장치(201)는, 펜 입력 장치(201)의 외형을 구성하는 펜 하우징(500-1)과 펜 하우징(500-1) 내부의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내부에 실장되는 여러 부품들을 모두 포함하여, 펜 하우징(500-1) 내부에 한번의 조립 동작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하우징(500-1)은, 제1 단부 (500a) 및 제2 단부 (500b) 사이에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수납 공간(5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하우징(500-1)은 단면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 또한 펜 하우징(500-1)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하우징(500-1)은, 합성 수지(예: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성 재질(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하우징(500-1)의 제2 단부(500b)는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 조립체(inner assembly)는, 상기 펜 하우징(500-1)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 조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크게 3 가지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조립체는, 펜 하우징(500-1)의 제1 단부(50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젝션 부재(ejection member, 510), 펜 하우징(500-1)의 제2 단부(50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코일부(520), 및 하우징의 몸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로기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젝션 부재(510)는,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펜 입력 장치(201)를 빼내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젝션 부재(510)는 샤프트(511)와 상기 샤프트(511)의 둘레에 배치되며, 이젝션 부재(5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이젝션 몸체(512) 및 버튼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500-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511) 및 이젝션 몸체(512)를 포함한 부분은 상기 펜 하우징(500-1)의 제1 단부(500a)에 의해 둘러싸이고, 버튼부(513)(예: 도 2의 201a)는 제1 단부(50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젝션 몸체(51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들, 예를 들면, 캠 부재들 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되어 푸시-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부(51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511)와 결합하여 이젝션 몸체(512)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부(513)는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해 펜 입력 장치(201)를 빼낼 수 있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는 샤프트(511)의 직선 왕복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부(520)는, 상기 내부 조립체가 상기 펜 하우징(500-1)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2 단부(500b)의 외부로 노출되는 펜 팁(521), 패킹 링(522), 복수 회 권선된 코일(523) 및/또는 펜 팁(521)의 가압에 따른 압력의 변경을 획득하기 위한 필압 감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킹 링(522)은 에폭시,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킹 링(522)은 방수 및 방진의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부(520) 및 회로기판부(530)를 침수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일(523)은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500kHz)에서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 용량성 소자(capacitor))와 조합되어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코일(523)이 형성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기판부(530)는, 인쇄회로기판(532), 상기 인쇄회로기판(532)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는 베이스(531),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531)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532)이 배치되는 기판안착부(533)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532)은 기판안착부(53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532)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코일(523)과 연결되는 가변용량 커패시터 또는 스위치(534)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는 충전 회로, 배터리(536)(예: 도 3의 배터리(389)) 또는 통신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536)는 EDLC(electric double layered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코일(523) 및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89)) 사이에 위치하며, 전압 검출 회로(voltage detector circuitry) 및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는,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은 안테나 구조물(539) 및/또는 인쇄회로기판(532)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532) 상에는 스위치(53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201)에 구비되는 사이드 버튼(537)은 스위치(534)를 누르는데 이용되고 펜 하우징(500-1)의 측면 개구부(5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이드 버튼(537)은 지지부재(538)에 의해 지지되면서, 사이드 버튼(537)에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면, 지지부재(538)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사이드 버튼(537)을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기판부(530)는 오-링(O-ring)과 같은 다른 패킹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531)의 양단에 탄성체로 제작된 오-링이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531)와 상기 펜 하우징(500-1)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538)는 부분적으로 상기 측면 개구부(502)의 주위에서 상기 펜 하우징(500-1)의 내벽에 밀착하여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기판부(530)도 상기 코일부(520)의 패킹 링(522)과 유사한 방수, 방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베이스(531)의 상면에 배터리(536)(예: 도 3의 배터리(389))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 안착부(535)에 탑재될 수 있는 배터리(536)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cylinder typ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마이크로 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은 인쇄회로기판(532)에 직접 연결되거나, 인쇄회로기판(532)과 연결된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이크로 폰은 펜 입력 장치(201)의 긴 방향으로 사이드 버튼(537)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윈도우(60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isplay assembly)(602), 전자기 유도 패널(490)(예: digitizer),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1 안테나(605)(예: 안테나 모듈(197)), 디지타이저 컨트롤러(digitizer controller)(603), 검출 코일(detecting coil)(미도시)및 프로세서(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6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물질(예: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60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의 전면(whole area)을 커버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와 결합(예: 부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2)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 유도 패널(490)은,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예: 전자기장)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예: 무선 통신 모듈(192))는, 무선 통신(예: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establish)하고자 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무선 통신 모듈(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는, 무선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예: 안테나 모듈(197))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안테나(605)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 검출 코일(미도시) 또는 프로세서(120)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경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유도 기전력(electromagnetic force)(또는, 유도 전류)를 발생(또는 유도)시킴으로써,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신호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위치가 전자 장치(101)의 터치 스크린(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22))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지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 또는 검출 코일의 주변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의 자기장의 변경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또는,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자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의 내부 및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 각각에 검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의 내부에 포함된 검출 코일 또는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포함된 검출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유도 전류 발생 여부에 기반하여 펜 입력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펜 입력 장치(예: 코일)로부터의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또는, 유도)된 검출 코일의 위치에 기반하여, 펜 입력 장치(201)가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상에 위치하는 상태인지(예: 펜 입력 장치(101)가 표시 장치(160)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인지), 또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인지(예: 펜 입력 장치(101)가 충전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상기 전자기 유도 패널(490)에 포함된 검출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포함된 검출 코일에서, 상기 유도 전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상기 유도 전류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보다 작을 경우,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상에 위치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유도 전류를 발생(또는 유도)시킴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전자기 유도 패널(490)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은,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에 상호 유도에 기반한 전류(예: 검출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7의 배터리(706))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검출 코일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코일(예: 도 5의 코일(523))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되어 발생한 전류(예: 응답 신호)를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 또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거나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통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인접하여 구비된 전자기 유도 패널(49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예: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 또는 도 1의 전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는 독립적인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프로세서(120)의 제어 없이 전자기 유도 패널(490)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처리 시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검출 코일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위치 정보(예: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 또는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상태 정보(예: 펜 입력 장치(201)의 배터리 잔량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의 배터리 정보 또는 연결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가 펜 입력 장치(예: 도 7의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과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이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는 경우, 디지타이저 컨트롤러(603)를 이용하여, 펜 입력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으로 제1 지정된 시간(예: 9초)동안 전력을 제공하고 제2 지정된 시간(예: 1초) 동안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의 예시 도면(700)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201)는, 코일(523),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 버튼 스위치(702),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충전 스위치(705), 배터리(706)(예: 도 3의 배터리(389)), 제2 전압 검출기(707), 제2 안테나(708)(예: 도 3의 안테나(397)),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예: 도 3의 통신 회로(390)), 부팅 스위치(710),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523)은,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523)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 (101))로부터 상호 유도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류(예: 검출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펜 입력 장치(201))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를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커패시터 회로(701)는 변경이 가능한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는 회로로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하나 이상의 입출력 포트, 또는 논리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스위치(702)는, 정류기(703)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스위치(702)는, 펜 입력 장치(201)에 구비된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림 또는 접촉(터치) 됨에 따라 단락(short)되거나 개방(open)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의 눌림에 의하여 버튼 스위치(702)가 단락된 경우, 커패시터(C2)와 OR 게이트 연결된 노드(node)가 접지(ground)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의 눌림 해제에 의하여 버튼 스위치(702)가 개방된 경우, 커패시터(C2)가 OR 게이트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린 경우 및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리지 않은 경우, 코일(523) 및 연결되는 커패시터들이 형성하는 공진 회로(예: 도 3의 공진 회로(387))의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201)의 공진 회로(예: 도 3의 공진 회로(387))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확인함으로써, 펜 입력 장치(201)의 버튼(예: 도 5의 스위치(534))이 눌린 상태인지 또는 눌리지 않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버튼 스위치(702), 제1 전압 검출기(704) 또는 충전 스위치(705)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류기(703)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되어 코일(523)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여, 제1 전압 검출기(704) 또는 충전 스위치(705)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 충전 스위치(705),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또는 OR 게이트(711)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를 연결하는 경로 상에서의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정된 범위는, 예를 들면, 1.5V 이상 3.5V 미만(레벨 1 범위), 3.5V 이상(레벨 2 범위)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펜 입력 장치(201)가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사용(예: 터치)되고 있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충전 스위치(705)에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충전 스위치(705)를 온(on) 상태로 전환하여, 정류기(703)으로부터 전송된 충전 신호가 배터리(706)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충전 스위치(705)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정류기(703)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충전 스위치(70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2 범위인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자 장치(예: 도 1 의 전자 장치(101))의 제1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604)로 무선 신호(예: 애드버타이징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검출된 전압의 크기가 레벨 1 범위인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에이블(enable) 신호는, 제1 전압 검출기(704)가 충전 스위치(705)에 인가하는 인에이블(enable) 신호와 동일한 타입일 수 있으나, 서로 상이한 타입일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압 검출기(704)는, 제1 전압 검출기(704)와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 사이의 도선을 포함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에 펜 입력 장치의 상태(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된 상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터치되고 있는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스위치(705)는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스위치(705)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경우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인가된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정류기(703), 제1 전압 검출기(704), 배터리(706), 제2 전압 검출기(707),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는, 제1 전압 검출기(704)가 검출한 전압의 세기에 기반하여, 온(on)(예: 쇼트(short)) 또는 오프(off)(예: 오픈(open))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가 온(on) 상태인 경우, 정류기(703) 또는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706) 또는 제2 전압 검출기(707)로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의해 충전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스위치(705)가 오프(OFF)상태인 경우, 정류기(703) 또는 제1 전압 검출기(704)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706) 또는 제2 전압 검출기(707)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펜 입력 장치(201)가 비 충전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 충전 상태는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내부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지 아니하여, 전자 장치(예: 코일(523))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707)는, 충전 스위치(705), 배터리(706) 또는 부팅 스위치(710) 중 적어도 하나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압 검출기(707)는, 배터리(70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부팅 스위치(710)는 제2 전압 검출기(707)에서 검출된 전압 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쇼트(short)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부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부팅은, 제2 전압 검출기(707)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값이 지정된 값(예: 2.4V)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콜드 부팅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자 장치(101)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는 페어링 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배터리(706)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컨트롤러(709)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펜 입력 장치(2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페어링 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OR 게이트(711)는, 제1 전압 검출기(704)에서 검출된 전압 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버튼 입력을 무시하기 위한 신호 또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예: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근거리 통신 컨트롤러(709)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반으로 사진 촬영, 전면 카메라 촬영 모드와 후면 카메라 촬영 모드 상호간의 전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펜 입력 장치의 버튼부(예: 도 2의 버튼부(201a) 또는 도 5의 사이드 버튼(537))에 대한 싱글 프레스가 입력됨이 확인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 프리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서, 피사체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 및 피사체의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그래픽컬 객체들을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화면의 크기는, 표시 장치(16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펜 입력 장치의 버튼부(예: 도 2의 버튼부(201a) 또는 도 5의 사이드 버튼(537))에 대한 더블 프레스가 입력됨이 확인되면, 전면 카메라 촬영 모드와 후면 카메라 촬영 모드 상호간의 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펜 입력 장치의 버튼부(예: 도 2의 버튼부(201a) 또는 도 5의 사이드 버튼(537))에 대한 롱 프레스가 입력됨이 확인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영상의 촬영 중에 펜 입력 장치의 버튼부(예: 도 2의 버튼부(201a) 또는 도 5의 사이드 버튼(537))에 대한 싱글 프레스가 입력됨이 확인되면, 동영상의 촬영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펜 입력 장치의 버튼부(예: 도 2의 버튼부(201a) 또는 도 5의 사이드 버튼(537))에 대한 싱글 프레스가 입력됨이 확인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은 횟수로 사용된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싱글 프레스, 더블 프레스 및 롱 프레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예: 재설정) 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동작하는 방법(8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동작하는 방법은, 동작 810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는,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소지한 경우를 전제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즉,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부분)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을 이용하여 셀피(selfie)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즉, 전면에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들 또는 기능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820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대상 객체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의 변경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830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됨이 확인된 경우(동작 820-예) 프리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음이 확인된 경우(동작 820-아니오), 프리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의 프리뷰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l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또는,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910)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표시 장치(160) 상에 프리뷰 화면(9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화면(910)은, 피사체에 대응하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를 포함하는 프리뷰 이미지, 촬영 타입들(914), 동영상 촬영 버튼(916a), 정지 이미지 촬영 버튼(916b) 및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916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이미지는, 전자 장치(101)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어 표시 장치(160)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버튼(916b)에 대한 선택 입력(예: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저 에너지)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의 촬영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전자 장치(101)에 디스플레이 되는 프리뷰 화면(912)에 포함된 프리뷰 이미지(예: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 촬영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촬영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에 실제로 저장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크기의 변경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리뷰 화면(910) 상에 가상의 선(918)을 설정하고,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면적이 프리뷰 화면(910)(또는, 표시 장치(160)) 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의 선(918) 및 얼굴 영역을 나타내는 선(918a)은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면적이 프리뷰 화면(910) 상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 사이의 거리와의 대응 관계에 대한 정보(예: 룩 업(look-up) 테이블)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저장된 대응 관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 사이의 실제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a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화면(910)에 초기 설정 크기(a 및 c)를 가지는 버튼들(916a, 916b, 916c) 및 촬영 타입들(914)이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 객체 이미지(912) 중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를 확인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대상 객체 이미지들(제1 대상 객체 이미지(912a), 제2 대상 객체 이미지(912b) 및 제3 대상 객체 이미지(912c))이 프리뷰 화면(910)에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프리뷰 화면(910) 상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어느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예: 제1 대상 객체 이미지(912a))의 크기를 기준으로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특정한 시점(예: 복수의 피사체들에 대한 대상 객체 이미지들이 최초로 프리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시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어느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예: 제1 대상 객체 이미지(912a))를,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이미지로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기준 이미지로 설정된 대상 객체 이미지(예: 제1 대상 객체 이미지(912a))의 크기 변경에 따라, 복수 개의 대상 객체 이미지들(제1 대상 객체 이미지(912a), 제2 대상 객체 이미지(912b) 및 제3 대상 객체 이미지(912c))의 크기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시점들에서 어느 대상 객체 이미지가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대상 객체 이미지인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말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준 이미지의 판단은 전자 장치(101)에 의해 복수의 시점들에서 각각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되었다고 확인된 경우, 촬영 버튼(912b)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비율에 따라 확대된 크기(b)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크기 b는 크기 a보다 더 큰 크기(예: 직경)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촬영 타입들(914)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타입(예: AUTO 촬영 타입)이 확대된 크기(d)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크기 d는 크기 c보다 더 큰 크기(예: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버튼(예: 동영상 촬영 버튼(916a) 및 실행 버튼(916c))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촬영 타입들(914) 중 현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촬영 타입(예: AUTO 촬영 타입)을 제외한 다른 촬영 타입(들)은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얼굴)의 크기가 프리뷰 화면(910) 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예: 프리뷰 화면(910) 또는 표시 장치(160)의 전체 면적 중 3.2%) 이하가 된 경우,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임계 비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임계 비율은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확대된 경우, 버튼들(916a, 916b, 916c)의 크기가 축소된 크기(e)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크기 e는 크기 a보다 더 작은 크기(예: 직경)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얼굴)의 크기가 프리뷰 화면(910) 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예: 프리뷰 화면(910) 또는 표시 장치(160)의 전체 면적 중 30%) 이상이 된 경우,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확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현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촬영 타입(914a)의 크기를 초기 설정 크기보다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크기(예: 가로 길이) f는, 크기 c 또는 크기 d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e 내지 도 9g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에 대응하여 촬영 버튼(916b)의 주변에 시각적 효과(예: 테두리(92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e에서는, 초기 설정 크기(또는, 면적)를 가지는 시각적 효과(예: 테두리(920))가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초기 설정 크기는 미리 지정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예: 전자 장치(101) 또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이 프리뷰 화면(912)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1 임계 비율(예: 10%) 이하가 된 경우,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이 도 9e에 도시된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도 9f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 축소된 경우(예: 전자 장치(101) 또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의 이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이 프리뷰 화면(912)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2 임계 비율(예: 3.2%) 이하가 된 경우),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이 도 9f에 도시된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을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다른 말로,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다른 말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와의 거리의 범위는, 제1 범위(예: 1.5m ~ 2m), 제2 범위(예: 2m ~ 2.5m) 및 제3 범위(예: 2.5m 초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위와 같이 구분된 범위에 따라, 프리뷰 화면(910)에 포함되는 다양한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 또는 촬영 알림음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h 내지 도 9j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에 대응하여 프리뷰 화면(910)의 상부에 시각적 효과(예: 바(bar)(9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h에서는, 초기 설정 크기(또는, 길이)를 가지는 시각적 효과(예: 바(930))가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예: 전자 장치(101) 또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가 프리뷰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1 임계 비율(예: 10%) 이하가 된 경우), 시각적 효과(예: 바 (930))의 길이를 도 9h에 도시된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 되는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도 9i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 축소된 경우(예: 전자 장치(101) 또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가 프리뷰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2 임계 비율(예: 3.2%) 이하가 된 경우), 시각적 효과(예: 바(930))의 길이를 도 9i에 도시된 시각적 효과(예: 바 (93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효과의 길이(예: 바(930))를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다른 말로,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다른 말로,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k 및 도 9l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의 변경에 따라 프리뷰 화면(910)의 에지를 따라 시각적 효과(예: 지정된 색상(94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촬영 버튼(916b) 내부에 펜 입력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950)(예: 블루투스 마크)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k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효과(예: 지정된 색상(940))가 초기 설정 면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910)의 이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910)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시각적 효과(예: 지정된 색상(940))가 표시되는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정된 색상(940)은 파란색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a 내지 도 9l에서 설명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에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리뷰 화면(예: 도 9의 프리뷰 화면(910))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리뷰 화면(910)를 표시 장치(16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화면(910)이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화면(910)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 동영상 촬영의 일시 중지를 위한 버튼(1012), 동영상 촬영의 종료를 위한 종료 버튼(1014), 정지 이미지 촬영을 위한 모드 전환 버튼(1016) 및 동영상 촬영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가 임계 비율 미만인 경우에, 초기 설정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객체들(1000, 1012, 1014, 1016)이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이 프리뷰 화면(910)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 이하인 경우로 판단되면, 동영상 촬영의 종료를 위한 종료 버튼(1014) 및 동영상 촬영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1000)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비율에 따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료 버튼(1014)의 크기(예: 직경) g는 크기(예: 직경) h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이 프리뷰 화면(910)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 이하인 경우로 판단되면, 적어도 일부의 버튼(예: 동영상 촬영의 일시 중지를 위한 버튼(1012) 및 정지 이미지 촬영을 위한 모드 전환 버튼(1016))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동작하는 방법(11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뷰 화면은,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프리뷰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20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와 피사체(또는, 피사체가 소지하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 의 펜 입력 장치(20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대상 객체 이미지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의 변경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 이미지(예: 도 9a의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크기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촬영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촬영 신호(예: 버튼부에 대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0에서, 음향 출력 장치(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촬영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변경된 경우, 초기 설정 알림음의 크기보다 큰 촬영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사용자(또는,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따라 지정된 크기의 촬영 알림음이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설정 화면(1210)에서 촬영 알림음의 출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메뉴(121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메뉴(121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전자 장치(1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의 활성화 입력(예: 버튼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촬영 알림음 출력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이 프리뷰 화면(910)을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예: 3.2%) 이하인 경우, 초기 설정 크기보다 큰 크기의 촬영 알림음을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의 일부분(예: 사용자의 얼굴)이 프리뷰 화면(910)을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 비율(예: 30%) 이상인 경우, 초기 설정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촬영 알림음을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10에서,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20에서, 펜 입력 장치로부터 촬영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30에서, 펜 입력 장치로부터 촬영 신호가 수신된 경우(동작 1320-예), 지정된 시각적 효과를 프리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정된 시각적 효과는 예를 들어 지정된 색상(예: 흰색)을 가지는 면발광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 입력 장치로부터 촬영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동작 1320-아니오), 프리뷰 화면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340에서, 프리뷰 화면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펜 입력 장치를 통하여 피사체(또는, 대상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 프리뷰 화면 상에 지정된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촬영됨이 확인되면, 지정된 시각적 효과(1400)(예: 면발광 효과)를 프리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면발광 효과는 불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10에서,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20에서, 펜 입력 장치를 통한 촬영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펜 입력 장치로부터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의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펜 입력 장치를 통한 촬영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도 2의 펜 입력 장치(201)) 사이의 거리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 촬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메모리(130))에는, 펜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사이의 거리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예: 룩 업 테이블)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무선 신호의 세기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사이의 거리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펜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30에서, 펜 입력 장치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동작 1520-예), 펜 입력 장치로 촬영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프리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540에서, 펜 입력 장치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동작 1520-아니오), 펜 입력 장치로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프리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a의 펜 입력 장치(201))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프리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대상 객체 이미지(912) 및 촬영 버튼(916b)을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910)를 표시 장치(16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확장된 크기(b)를 가지는 촬영 버튼(916b)이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해 사진 촬영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알림(1600)을 촬영 버튼(916b) 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초기 설정 크기(a)를 가지는 촬영 버튼(916b) 내부에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해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알림(160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분리된 경우, 프리뷰 화면(910) 상에 촬영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정지 이미지 촬영 버튼(916b) 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2 알림(1610)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는 원거리(예: 전자 장치(101)로부터 10m 이상)에서도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촬영이 불가능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3 알림(1620)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알림(1620)은, 프리뷰 화면(910)의 에지를 따라 지정된 색상(예: 빨간색)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되는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e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4 알림(1630)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4 알림(1630)은, 촬영 버튼(916b)의 내부 색상이 지정된 색상(예: 빨간색)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되는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e에서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또는, 펜 입력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예: 10m) 이상이라고 전자 장치(101)에 의해 확인됨에 따라, 촬영 버튼(916b)은 확대되고 다른 버튼들(예: 916a, 916c)은 초기 설정 크기보다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6f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5 알림(1640)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5 알림(1640)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101))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상이라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g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를 통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제6 알림(1650)을 프리뷰 화면(9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6 알림(1650)은, 촬영 버튼(916b)의 테두리에 지정된 색상(예: 빨간색)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되는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10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101))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판단된 전자 장치(101)와 펜 입력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101))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본 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g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동작하는 방법(1700, 18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710에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예: 도 9의 프리뷰 화면(910))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72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이동 및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화면(예: 도 9의 프리뷰 화면(910))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810에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1820에서, 전자 장치의 이동 및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 및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펜 입력 장치(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화면(예: 도 9의 프리뷰 화면(910))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촬영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graphical object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크기보다 축소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를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제외한 다른 그래픽컬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크기보다 축소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축소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각 미리 지정된 사운드를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립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됨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통해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크기보다 축소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알림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엣지를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의 변경 및 상기 전자 장치에 탈착 가능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에너지(BLE)에 적어도 일부 기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screen)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의 식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촬영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graphical object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비율 이상으로 축소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를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제외한 다른 그래픽컬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비율 이상으로 축소된 경우에 촬영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축소의 정도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촬영 알림음을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립(establish)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됨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미리 지정된 면적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를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을 식별하는 동작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의 변경의 식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촬영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graphical object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비율 이상으로 축소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의 크기를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그래픽컬 객체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제외한 다른 그래픽컬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임계 비율 이상으로 축소된 경우에 촬영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축소의 정도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촬영 알림음을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됨이 검출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미리 지정된 면적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에지를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객체 이미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컬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화면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상기 신호의 변화의 식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화면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100649A 2018-08-27 2018-08-27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49A KR102540757B1 (ko) 2018-08-27 2018-08-27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980065420.9A CN112789581A (zh) 2018-08-27 2019-08-27 基于笔输入装置和电子装置间的距离控制屏幕属性的电子装置及控制其的方法
EP19193750.7A EP3617866A1 (en) 2018-08-27 2019-08-27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PCT/KR2019/010903 WO2020045947A1 (en) 2018-08-27 2019-08-27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6/552,759 US11178334B2 (en) 2018-08-27 2019-08-27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7/526,451 US11659271B2 (en) 2018-08-27 2021-11-15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49A KR102540757B1 (ko) 2018-08-27 2018-08-27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028A KR20200024028A (ko) 2020-03-06
KR102540757B1 true KR102540757B1 (ko) 2023-06-08

Family

ID=6777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649A KR102540757B1 (ko) 2018-08-27 2018-08-27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78334B2 (ko)
EP (1) EP3617866A1 (ko)
KR (1) KR102540757B1 (ko)
CN (1) CN112789581A (ko)
WO (1) WO2020045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6465S1 (en) * 2018-02-23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3697S1 (en) * 2019-02-18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1440S1 (en) 2019-03-13 2023-03-21 Twitte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8244S1 (en) * 2019-10-02 2021-05-04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10121547A (ko) 2020-03-30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입력 장치의 거리에 기초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1917977A (zh) * 2020-07-21 2020-1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应用于智能终端的摄像头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D976278S1 (en) * 2021-01-08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012S1 (en) * 2021-03-05 2023-05-02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audio invitations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9802S1 (en) * 2021-03-05 2023-06-20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missed cal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007S1 (en) * 2021-03-05 2023-05-02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missed cal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017S1 (en) * 2021-03-05 2023-05-02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audio invit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5579S1 (en) * 2021-03-05 2023-05-09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video invitations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9775S1 (en) * 2021-03-05 2023-06-20 Mobiline, Inc. Smartphone display with personalized video invit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4536S1 (en) * 2021-08-30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453S1 (en) * 2021-09-16 2022-03-08 Fintech Innovation Associates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1153S1 (en) * 2021-09-16 2023-10-10 PocktBank Corporation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7185S1 (en) * 2021-09-16 2023-08-29 7ollar Corp FedNow IP Holdings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3265S1 (en) * 2021-09-20 2023-07-25 CardPay NCUA Licensing Group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3121216A1 (ko) * 2021-12-24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자 펜 분실 방지 방법
US11816275B1 (en) 2022-08-02 2023-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air control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9729A (ja) 2005-09-12 2007-03-29 Denso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101393147B1 (ko) * 2007-02-07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US8351895B2 (en) 2009-09-04 2013-01-08 Zomm, Llc Wireless security device and method to place emergency calls
KR20120032336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
KR20140031660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71118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I525493B (zh) * 2013-09-27 2016-03-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之警示方法及觸控裝置之警示系統
JP2015122013A (ja) * 2013-12-25 2015-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70118B2 (ja) * 2014-06-06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29536A (ko) * 2014-09-05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044939B2 (en) * 2014-09-19 2018-08-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mera operation through control device
KR101589707B1 (ko) 2014-09-25 2016-01-28 (주) 씨앤피 펜 타입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CN104320579A (zh) 2014-10-22 2015-01-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拍照装置及方法
WO2016064106A1 (ko) * 2014-10-22 2016-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5947B1 (ko) * 2014-10-24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09536B2 (en) 2016-06-12 2018-06-26 Apple Inc. Applying a simulated optical effect based on data received from multiple camera sensors
KR20180020734A (ko) * 2016-08-19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3725B1 (ko) * 2017-08-03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8354A1 (en) 2022-03-10
US20200068136A1 (en) 2020-02-27
EP3617866A1 (en) 2020-03-04
US11178334B2 (en) 2021-11-16
US11659271B2 (en) 2023-05-23
KR20200024028A (ko) 2020-03-06
WO2020045947A1 (en) 2020-03-05
CN112789581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8813B1 (ko)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73727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37230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performed by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00129584A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폴더블 장치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227274B1 (ko)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펜 장치, 전자 펜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US11899860B2 (en) Remote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of a remote input device detached from an electronic device
KR20200067593A (ko) 증강 현실 이모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14397A (ko)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0761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US1099019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KR102500309B1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5781B1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US11397481B2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made with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459727B1 (ko) 전자 펜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36263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