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208A - 어린이 안전 시트 - Google Patents

어린이 안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208A
KR20220121208A KR1020220023886A KR20220023886A KR20220121208A KR 20220121208 A KR20220121208 A KR 20220121208A KR 1020220023886 A KR1020220023886 A KR 1020220023886A KR 20220023886 A KR20220023886 A KR 20220023886A KR 20220121208 A KR20220121208 A KR 20220121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member
distance
side impact
child restraint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650B1 (ko
Inventor
카린 트룬저
미카엘 슈미츠
시몬 바이어
Original Assignee
브리택스 뢰머 킨더지처하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택스 뢰머 킨더지처하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리택스 뢰머 킨더지처하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2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랑용 아동 보호용 의자는, 승객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 및 두 가지 형태로 상기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어린이 안전 시트{Child Safety Seat}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 시트에 관한 것이다.
벨트식(harnessed) 및 비벨트식과, 전방 보기 및/또는 후방 보기 변형식을 포함하는 어린이 안전 시트는 차량 안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차량 시트 벨트 또는 ISOFIX와 같은 다른 체결 수단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아동 보호용 의자(child restraint)의 외부 형상은 규제 기관에 의해 규정되는 다양한 외피(envelope)에 꼭 들어맞아야 할 필요가 있다. 3개의 아동 보호용 의자를 병렬로 설치 가능한 것 역시 두 명 이상의 아이를 둔 가족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측방 충격 이벤트 중에 아동 보호용 의자의 퍼포먼스는 아동 보호용 의자와 침입하는 도어 사이의 조기 접촉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역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은, 많은 경우에, 아동 보호용 의자가 침입하는 도어로부터 소정 거리를 가지고 고정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컴팩트한 외부 형상에 대한 요구에 상충하게 된다.
아동 보호용 의자와 도어 사이의 공간 속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측방 충격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그러한 해결안은, 특히 상기 장치를 설치하면서도 여전히 더 큰 승객을 수용하기 적합한 내부 치수를 제공하려는 점에서, 복잡성 및 비용 증가를 가져온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비해서, 본 개시는 개선된 것이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차랑용 아동 보호용 의자로서,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는,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는 승객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 및 두 가지 형태로 상기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트 결합부를 구비하여, 제1 형태일 때, 제1 시트 결합부가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와 결합하고, 제2 형태일 때, 제2 시트 결합부가 상기 측방 충격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형태일 때,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상기 몸체로부터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형태일 때,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상기 몸체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는 대략 20 내지 60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는 대략 40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거리는 40 mm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거리는 대략 60 내지 100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거리는 대략 80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배면부로부터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 연장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 연장부는 각각 측방 충격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포켓 형태이고, 상기 포켓은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식(slidably)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기 포켓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 핀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부착 핀 형태이고, 상기 부착 핀은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기 부착 핀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포켓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는 서로에 대해 60 내지 120도의 각도로 배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는 서로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배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 결합부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시트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1 충격면, 및 상기 제2 시트 결합부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시트 결합부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충격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형태인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용 의자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형태인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하는 도 1의 아동 보호용 의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형태인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하는 도 1의 아동 보호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2 형태인 측방 충격 부재를 구비하는 도 1의 아동 보호용 의자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측방 충격 부재와 시트 쉘(seat shell) 사이의 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방 충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방 충격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 1의 아동 보호용 의자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차량에 병렬로 장착되는 3개의 아동 보호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차량용 아동 보호용 의자(100)가 도시되어 있다. 아동 보호용 의자(100)는 승객을 고정하기 위한 몸체(110), 및 2개의 형태로 몸체(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측방 충격 부재(200)를 구비한다.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아동 보호용 의자의 몸체로 측방 충격력을 전달하는 강성 부재일 수도 있고, 다르게는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측방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후방부(130)로부터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날개로도 알려진, 한 쌍의 측방 연장부(120)를 구비하고, 도 1 내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충격 부재(200)는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140)를 통해 이러한 측방 연장부(120)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방 부재 결합부(140)는 몸체(110)의 측방 연장부(120)에 형성된 포켓 또는 홈(141) 형상이고, 포켓(141)은 측방 충격 부재(200) 상의 2개의 대응하는 시트 결합부(210, 220)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드 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충격 부재(200)는 몸체(110)에 형성된 포켓(141)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 핀(211, 221) 형태의 제1 및 제2 시트 결합부(210, 220)를 포함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태일 때 제1 부착 핀(211)이 포켓(141)에 결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형태일 때 제2 부착 핀(221)이 포켓(141)에 결합된다.
포켓(141)의 개구부(142)는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뒤쪽으로 향해 있다. 이러한 배열 구조는, 측방 충격 부재(200)가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뒤쪽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되고, 반대로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뒤쪽을 향해 후방으로 제거되는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열 구조가, 아동 보호용 의자(100)가 차량에 장착되면 아동 보호용 의자(100) 및 측방 충격 부재(200)의 형태가 변형되기 어렵도록 하고, 따라서 실수로 또는 우연히 제거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만, 포켓 개구부의 방향을 다변화하여, 측방 충격 부재가 임의의 방향으로 삽입 및 제거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착 핀(211, 221)들은 서로 90도의 각도로 배향되고, 측방 충격 부재(220)는 제1 부착 핀(211)과 반대 쪽에 위치하고 제1 부착 핀(211)으로부터 대략 20 내지 60 mm의 제1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1 충격면(212)과, 제2 부착 핀(221)과 반대 쪽에 위치하고 제2 부착 핀(221)으로부터 40 mm 보다 크고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충격면(222)을 더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는 약 40 m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60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80 mm이다.
측방 충격 부재(200)가 제1 형태로 설치될 때, 측방 충격 부재(200)는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몸체(110)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약 40 mm인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2 형태로 설치될 때, 측방 충격 부재(200)는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몸체(110)로부터 더 먼 (바람직하게는) 약 80 mm인 제2 거리만큼 연장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한 제1 및 제2 거리는 하나의 해결안일 뿐이고, 본 특정한 실시예에서 가장 바람직한 예이다. 이러한 거리들은 다른 디자인에서 변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포켓(141)은 또한 부착 핀(211, 221)이 멈춤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통과하는 돌기부(미도시) 또는 "스냅인 포인트(snap-in point)"를 형성하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부에 의해 제공되는 인출에 대한 저항력은 부착 핀(211, 221) 및 측방 충격 부재(200)가 평상 사용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도록 하면서도,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형태가 장착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 충격 부재는 래치 배열 구조에 의해 아동 보호용 의자에 대해 릴리즈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측방 충격 부재가 래치에 의해 아동 보호용 의자의 몸체에 고정되고, 릴리즈 버튼 등이 작동하면 릴리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차량의 사이즈 및/또는 시트 형상에 따라서,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몸체(110) 및 인접한 도어 사이의 갭은 다변화될 수 있고, 아동 보호용 의자(100) 및 측방 충격 부재(200)의 형상은 그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측방 충격 부재(200)의 대칭성으로 인해서, 동일한 측방 충격 부재가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다른 측방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작은 차량 및 3개의 아동 보호용 의자(100)를 병렬로 수용하는 능력을 가지는 일부 차량에서는, 아동 보호용 의자(100) 및 인접한 도어 사이의 거리는 80 mm 보다 작다. 그러한 환경에서, 도어에 가장 가까운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측방 연장부(120)에는 제1 형태로 측방 충격 부재(200)가 설치될 것이다. 일부 더 큰 차량 및 단지 두 개의 아동 보호용 의자(100)를 병렬로 수용하는 차량에서는, 상기 거리가 80 mm 보다 크다. 그러한 환경에서, 도어에 가장 가까운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측방 연장부(120)에는 제2 형태로 측방 충격 부재(200)가 설치될 것이다.
도어 쪽에 면하지 않는 측방 연장부(120)에는 측방 충격 부재(200)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아동 보호용 의자(100)가 병렬로 장착될 때, 중앙의 아동 보호용 의자(100)에는 측방 충격 부재(200)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측방 충격 부재(200)가 장착되지 않는 환경에서,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비어 있는 포켓(들)(141)에는,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포켓(141)에 역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 핀(미도시) 및 표면 캡(320)을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3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 충격 부재(200) 및 커버 플레이트(300)가 포켓(141) 및 핀(211, 221) 배열 구조를 통해 아동 보호용 의자의 몸체(110)에 결합되었지만, 측방 충격 부재(200)가 두 가지 다른 형태로 아동 보호용 의자(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설치 배열 구조 역시 본 개시의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 보호용 의자의 몸체는 부착 핀을 포함하고, 측방 충격 부재는 한 쌍의 포켓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또는 측방 충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키홀(keyhole) 슬롯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대응하는 슬롯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 및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 충격 부재가 도구 및/또는 고정구가 필요없이 아동 보호용 의자의 몸체에 부착 및 제거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구 및/또는 고정구가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착 핀(211, 221) 및 그 결과로 생긴 충격면(212, 222)이 서로 90도의 각도로 배향되어 있지만, 아동 보호용 의자(100)의 몸체(110) 및 각각의 충격면(212, 222) 사이에 다른 거리를 형성하는 두 가지 형태를 제공하게 하는 더 크거나 작은 각도(60 및 120 도 사이의 범위) 역시 본 개시의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측방 충격 부재(200)는 사출 몰딩 공정을 이용해 제작된 제1 및 제2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재(230, 2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재(230, 240)가 서로 클립 고정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부재는 나사 결합, 리벗 결합, 접착 또는 초음속 용접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재료 및 제조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 충격 부재는 단일의 부재 또는 2개 보다 많은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착탈 가능한 측방 충격 부재(200)가 두 개의 다른 폭의 형태로 아동 보호용 의자(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 절감이 더 복잡한 접이식 해결안에 비해 현저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다른 전후 맥락이 없다면, 용어 "구비하다" 및 "포함하다"와,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언급된 요소 또는 요소의 그룹을 포함시키는 것을 의도한 것이지, 또 다른 요소 또는 요소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종래기술의 참조는 그러한 종래 기술이 제시하는 것이 이 일반적이고 관용적인 지식을 형성한다고 인정하는 것이 아니며 그렇게 받아들여져서도 안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의 적용예의 사용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 또는 묘사된 특정 요소 및/또는 특징을 가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하고 이하의 청구범에의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재구성, 변경,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5)

  1. 차랑용 아동 보호용 의자로서,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는, 승객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 및
    두 가지 형태로 상기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충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트 결합부를 구비하여, 제1 형태일 때, 제1 시트 결합부가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와 결합하고, 제2 형태일 때, 제2 시트 결합부가 상기 측방 충격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태일 때,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상기 몸체로부터 제1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형태일 때,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20 내지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호용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40 m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60 내지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8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배면부로부터 상기 아동 보호용 의자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 연장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 연장부는 각각 측방 충격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포켓 형태이고, 상기 포켓은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기 포켓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 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 결합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부착 핀 형태이고, 상기 부착 핀은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식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기 부착 핀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포켓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은 서로에 대해 60 내지 120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의 상기 시트 결합부들은 서로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충격 부재는, 상기 제1 시트 결합부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시트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1 충격면과, 상기 제2 시트 결합부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시트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먼 상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충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 보호용 의자.
KR1020220023886A 2021-02-24 2022-02-23 어린이 안전 시트 KR102667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1201210 2021-02-24
AU2021201210A AU2021201210B1 (en) 2021-02-24 2021-02-24 Child safety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208A true KR20220121208A (ko) 2022-08-31
KR102667650B1 KR102667650B1 (ko) 2024-05-22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6728A1 (en) 2022-08-25
CN114954156A (zh) 2022-08-30
US11820263B2 (en) 2023-11-21
CN217435561U (zh) 2022-09-16
AU2021201210B1 (en) 2021-07-29
EP4049893B1 (en) 2024-02-14
EP4049893A1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413B1 (en) Seat belt retractor
US20220266728A1 (en) Child safety seat
US11945345B2 (en) Child safety seat
KR101504228B1 (ko) 변형이 방지되는 시트벨트 버클
JPH04238751A (ja) 幼児用座席を受ける起立可能な中央部品を具備する自動車用座席ユニット
JP2003040079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KR102667650B1 (ko) 어린이 안전 시트
US20130292990A1 (en) Light weight two-point aviation seatbelt
JP3431205B2 (ja) バックル装置
KR100820439B1 (ko) 리어시트 쿠션 폴딩부 구조
KR101459663B1 (ko) 시트벨트 잠금 장치
JPS63270263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KR200151301Y1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비상 해제구조
KR0142337B1 (ko) 차일드 시트에 장착된 접이식 헤드레스트
JP6359581B2 (ja) アームレスト及びアーム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100341901B1 (ko) 등받이시트의 각도조절용 리클라이닝 레버의 설치구조
KR200280009Y1 (ko) 에어백 조립체
EP2493726B1 (en) Buckle for safety belt of vehicle
KR100435367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장착작업용 버클가이드
KR100324682B1 (ko) 시트의 폴딩장치용 고정 구조
JP2004025940A (ja) 乗り物用シート
KR017388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KR100861045B1 (ko) 자동차 리어시트 벨트 수납 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