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009Y1 -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009Y1
KR200280009Y1 KR2020020009468U KR20020009468U KR200280009Y1 KR 200280009 Y1 KR200280009 Y1 KR 200280009Y1 KR 2020020009468 U KR2020020009468 U KR 2020020009468U KR 20020009468 U KR20020009468 U KR 20020009468U KR 200280009 Y1 KR200280009 Y1 KR 200280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inner cover
bracket
t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정세화
Original Assignee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009Y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외측커버와, 외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결합되는 내측커버와, 내측커버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박막형 혼 스위치와, 내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접혀진 채로 설치되는 쿠션과, 내, 외측커버의 결합좌면 상에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브라켓과, 쿠션의 주입구를 커버 브라켓 상에 결합시키는 리테이너 링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조립체에 있어서, 내, 외측커버를 결합시키는 수단과; 내측커버와 커버 브라켓을 가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외측커버의 평탄부의 내측면 상에 다수의 접촉돌기가 종 및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내측커버의 티어부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티어 리브로 이루어지며, 내측커버의 평탄부의 박막형 혼 스위치가 설치되는 테두리부분에는 간격리그가 연장형성되고, 내측커버의 티어부의 전방측에는 격자 형상의 비틀림 방지턱이 형성되며, 내측커버의 간격리그의 전, 후측면 상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커버 브라켓의 각 가장자리부분은 소정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좌면을 형성하며, 커버 브라켓의 중앙 부분에 인플레이터의 플랜지가 장착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함몰좌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조립체{Air bag assembly}
본 고안은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작동성뿐만 아니라, 에어백 조립체를 이루는 각 부품 상호간의 안정적인 조립성, 견고한 결합력, 및 내측커버 상에 장착되는 박막형 혼 스위치의 작동성 등을 향상시킨 에어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급화, 대형화 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주행감, 승차감, 속도감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자동차 성능 뿐만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안전장치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이 현추세이다.
이러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안전장치는 안전벨트, 에어백, 스티어링 안전축 등으로, 자동차 사고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운전자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고안되었다.
특히,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과 같은 유사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상에 장착되고, 또한, 이러한 스티어링 휠 상에는 운전자가 긴급 상황 발생시 기민하게 대처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의 전면부 측에 박막형 혼 스위치가 장착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전면부에는 박막형 혼 스위치와 에어백 조립체가 함께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에어백 조립체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함)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와, 하부에는 상술한 인플레이터가 장착되고 상부에는 외측커버가 장착되는 커버 브라켓과, 인플레이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커버 브라켓 내에 접힌 상태로 내장된 쿠션과, 쿠션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측커버와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쿠션의 상부에 배치된 박막형 혼 스위치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구비한 내측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에어백 조립체는 자동차의 주행 중 충돌사고가 발생한 경우, 센서로부터 ECU로 충돌감지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ECU에 의해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쿠션측으로 유입되고, 쿠션이 팽창전개된다.
이때, 내측커버, 외측커버 상에 형성된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 티어부(tear section)가 절개되면서 쿠션은 에어백의 외부로 팽창전개되어 운전자를 보호한다.
또한, 자동차 주행시, 에어백 조립체의 외측커버를 누름으로써, 내측커버 상에 장착된 박막형 혼 스위치를 도전시킴으로써, 차량 전방에 위치한 사람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에어백의 작동성 뿐만 아니라, 에어백 조립체를 이루는 각 부품 상호간의 안정적인 조립성, 견고한 결합력, 및 내측커버 상에 장착되는 박막형 혼 스위치의 작동성 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에어백의 작동성 뿐만 아니라, 에어백 조립체를 이루는 각 부품 상호간의 안정적인 조립성, 견고한 결합력, 및 내측커버 상에 장착되는 박막형 혼 스위치의 작동성 등을 향상시킨 에어백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외측커버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내측커버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선을 따라 취한 내측커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커버 브라켓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측커버 20 : 내측커버
30 : 커버 브라켓 40 : 박막형 혼 스위치
50 : 쿠션 60 : 리테이터 링
70 : 인플레이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위치에 티어부를 구비한 평탄부와, 평탄부로부터 연장형성된 내, 외측 플랜지로 이루어진 외측커버와; 외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결합되고, 외측커버의 티어부에 대응되는 티어부를 구비한 평탄부와, 평탄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로 이루어진 내측커버와; 내측커버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외측커버의 누름 작용에 의해 혼 신호를 발생시키는 박막형 혼 스위치와; 내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접혀진 채로 설치되는 쿠션과; 내, 외측커버의 결합좌면 상에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브라켓과; 쿠션의 주입구를 커버 브라켓 상에 결합시키는 리테이너 링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조립체에 있어서, 내, 외측커버의 날개부 및 내측 플랜지 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내, 외측커버를 결합시키는 수단과; 내측커버의 날개부 외측면과 커버 브라켓의 결합좌면 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내측커버와 커버 브라켓을 가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외측커버의 평탄부의 내측면 상에 다수의 접촉돌기가 종 및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내측커버의 티어부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티어 리브로 이루어지며, 내측커버의 평탄부의 박막형 혼 스위치가 설치되는 테두리부분에는 간격리그가 연장형성되고, 내측커버의 티어부의 전방측에는 격자 형상의 비틀림 방지턱이 형성되며, 내측커버의 간격리그의 전, 후측면 상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커버 브라켓의 각 가장자리부분은 소정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좌면을 형성하며, 커버 브라켓의 중앙 부분에 인플레이터의 플랜지가 장착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함몰좌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 외측커버를 결합시키는 수단은 내측커버의 날개부 및 외측커버의 내측 플랜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 및 결합공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커버 및 커버 브라켓을 가결합시키는 수단은 내측커버의 날개부 외측면 상에 소정각도의 경사면을 구비한 가결합용 걸림돌기와 커버 브라켓의 결합좌면 상에 상기 내측커버의 가결합용 걸림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결합용 걸림공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브라켓의 각 모서리부분은 소정반경으로 곡률진 라운딩처리됨과 동시에 하부로 절곡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커버는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와 접촉하는 부분 상에 결합유격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결합유격 조절용 돌기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내, 외측커버는 박막형 혼 스위치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케이블 고정용 홈을 각각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커버의 간격리그의 높이가 내측커버의 비틀림 방지턱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브라켓의 함몰좌면은 인플레이터의 플랜지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로 함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는 외측커버(10), 내측커버(20),커버 브라켓(30), 박막형 혼 스위치(40), 쿠션(50), 리테이터(60), 및 인플레이터 (70)를 포함한다.
외측커버(10)는 통상,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분에 그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11)와 이러한 평탄부(11)로부터 연장된 내, 외측 플랜지(12, 13)로 이루어진다.
외측커버(10)의 평탄부(11)의 소정 위치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티어부(tear section, 11a)가 형성되고, 이러한 평탄부(11)의 내측면(즉, 후술하는 내측커버(20)의 평탄부(21) 상에 결합된 박막형 혼 스위치(40)와 접촉하는 부분) 상에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접촉돌기(11b)가 종 및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는 후술하는 내측커버(20) 및 커버 브라켓(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측 플랜지(12)의 전, 후, 좌, 우측의 각 결합좌면(12a, 12b, 12c, 12d) 상에는 후술하는 커버 브라켓(30)이 결합되도록 다수의 리벳공(14)이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12)의 전, 후측 각 결합좌면(12a, 12b)의 리벳공(14)의 하부측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5)가 형성되며, 내측 플랜지(12)의 좌, 우측 결합좌면의 일측에는 걸림홈(1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 플랜지(12)의 전, 후, 좌, 우측의 각 결합좌면(12a, 12b, 12c, 12d)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후술하는 커버 브라켓(30)의 각 결합좌면(31, 32, 33, 34)의 절곡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내측 플랜지(12)의 후방측 결합좌면 상에는 후술하는 박막형 혼 스위치(4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41)이 끼워져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고정용 홈(17)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외측커버(10)의 외측 플랜지(13)는 스티어링 휠(미도시) 상에 접촉되며 결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외측 플랜지(13)의 전, 좌, 우측에는 스티어링 휠 상에 접촉되는 결합홈(18)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각 결합홈(18) 상에는 결합유격 조절용 돌기(19)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유격 조절용 돌기(19)는 스티어링 휠 상에 외측커버(10)가 결합될 때, 스티어링 휠과의 틈새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측커버(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21)와 이러한 평탄부(21)로부터 전, 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22)로 이루어진다.
내측커버(20)의 평탄부(21)는 상술한 외측커버(10)의 티어부(11a)에 대응되는 부분에 티어부(23)를 구비하며, 이러한 티어부(23)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다수의 티어 리브(tear rib, 23a)가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내측커버(20)의 티어부(23)의 전방측에는 격자형상의 비틀림 방지턱(24)이 형성되며, 이러한 비틀림 방지턱(24)은 혼(horn) 작동시(즉, 외측커버(10)의 외부면을 누르게 되면), 내측커버(20)의 평탄부(21) 상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에 따른 소음 발생도 방지한다. 이러한 평탄부(21)의 티어부(23)의 후방측 테두리부분에는 간격리그(25)가 연장형성되며, 이러한 간격리그(25)의 전, 후측면 상에는 다수의 고정돌기(26)가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평탄부(21)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2b)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간격리그(25) 중에서 티어부(23)에 인접한 간격리그(25a)의 높이는 상술한비틀림 방지턱(2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박막형 혼 스위치(40)는 간격리브(25)에 의해 외측커버(10)의 접촉돌기(11b)와 적당한 접촉간격(최소한 2.5mm정도)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고정돌기(26) 및 결합돌기(22b)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티어부(23)에 인접한 간격리브(25)가 비틀림 방지턱(24) 보다 높게 형성되어, 외측커버(10)의 티어부(11a)에 근접한 부분을 타격함에 따라, 인플레이터(70) 작동에 의해 팽창 전개되는 쿠션(50)이 외측커버(10)의 티어부(11a)를 보다 원활하게 절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외측커버(10)의 절개 작동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어부(23)를 중심으로 간격리브(25)의 길이(L)가 비틀림지턱(24)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그 회전 모멘트에 의해 외측커버(10)의 티어부(11a)의 절개 작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내측커버(20)의 날개부(22)의 전, 후측면 상에는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의 결합돌기(15)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공(27)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공(27)의 하부 외측면에는 경사면을 구비한 다수의 가결합용 걸림돌기(28)가 형성되며, 이러한 가결합용 걸림돌기(28) 사이 공간에는 상기 외측커버(10)의 리벳공(14)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리벳공(29)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내측커버(20)의 날개부(22)의 소정 위치에는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의 각 케이블 고정용 홈(17)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고정용 홈(미도시)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측커버(20)는 그 날개부(22)의 결합공(27)들과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의 결합돌기(15)들이 결합됨에 따라, 외측커버(10)의 내측면 상에 고정된다. 또한, 내측커버(20)의 날개부(22)의 가결합용 걸림돌기(28)들이 그 경사면에 의해 후술하는 커버 브라켓(30)의 가결합용 걸림공(31a, 32a)들 상에 용이하게 걸림에 따라, 외측커버(10)가 결합된 상태의 내측커버(20) 상에 가결합된다 .
커버 브라켓(30)은 외측커버(10) 상에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 후, 좌, 우측면 상에는 소정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각 결합좌면(31, 32, 33, 34)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분에는 인플레이터(70)의 본체가 결합되는 결합공(35a)과 이러한 결합공(35a) 주위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5b)을 구비한 함몰좌면(35)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좌면(31, 32, 33, 34) 상에는 상술한 내, 외측커버(20, 10)의 각 리벳공(29, 14)에 대응되는 다수의 리벳공(36)을 구비한다. 커버 브라켓(30)의 전, 후측의 결합좌면(31, 32) 상에는 내측커버(20)의 가결합용 걸림돌기(28)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가결합용 걸림공(31a, 32a)을 각각 구비한다. 한편, 좌, 우측 결합좌면(33, 34)은 각각 2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좌, 우측 결합좌면(33, 34)의 분할된 중간부분에 결합공(37a)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용 장착좌면(37)이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스티어링 휠용 장착좌면(37)의 근방에는 위치결정용 걸림턱(38)이 각각 절곡형성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걸림턱(38)이 상기 외측커버(20)의 걸림홈(16)상에 걸려 결합됨에 따라, 커버 브라켓(30)의 외측커버(10)상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버 브라켓(30)의 각 모서리 부분(37)은 소정반경으로 곡률져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어 상술한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즉, 누름작용)에 따라, 리벳팅에 의한 외측커버(10) 및 커버 브라켓(30)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특징이 있다(도 1참조).
한편, 커버 브라켓(3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함몰좌면(35)은 후술하는 인플레이터(70)의 플랜지(71)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어져 형성되어, 후술하는 인플레이터(70)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그 조립성이 매우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러한 함몰좌면(35)은 인플레이터(70) 작동시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브라켓(30)의 전방측 결합좌면(31)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후방측 결합좌면(32)은 상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좌, 우측 결합좌면(33, 34)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각 결합좌면(31)의 절곡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좌면(31, 32, 33, 34)의 절곡방향에 대응되게 상술한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의 각 결합좌면(12a, 12b, 12c, 12d)들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연장형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박막형 혼 스위치(4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으로부터 케이블(41)이 연장되며, 그 평면 상의 소정 위치에는 결합홈(42)을 구비한다. 이러한 박막형 혼 스위치(40)는 각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내측커버(20)의 다수의 고정돌기(26)에 끼워짐과 동시에, 그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42)이 내측커버(20)의 결합돌기(29) 상에 끼워짐에 따라, 내측커버(20)의 평탄부(21) 상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박막형 혼 스위치(40)는 내측커버(20)의 간격리브(25)에 의해 외측커버(10)의 접촉돌기(16)와 적당한 접촉간격(최소한 2.5mm정도)을 유지하면서 결합된다. 박막형 혼 스위치(40)의 케이블(41)은 내, 외측커버(20, 10)의 케이블 고정용 홈(22a, 17) 상에 고정된다. 외측커버(10)의 평탄부(11) 외측면을 누르게 되면, 이러한 박막형 혼 스위치(40)는 외측커버(10)의 접촉돌기(16)와 접촉함에 따라, 혼(horn) 신호를 발생시켜 경적을 울리게 된다.
쿠션(50)은 접혀진 채로 리테이너 링(60)에 의해 그 주입구가 커버 브라켓(30) 상에 결합되어 외측커버(10) 및 커버 브라켓(30) 사이 공간에 장착된다.
리테이너 링(60)은 그 중앙에 인플레이터(70)의 본체가 결합되는 결합공(61)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공(61)의 주위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62)가 연장형성된다.
인플레이터(70)는 리테이너 링(60)의 체결돌기(62)가 커버 브라켓(30)의 체결공(35b) 상에 체결됨에 따라, 접혀진 쿠션(50)의 주입구측과 동시에 커버 브라켓(30)의 결합공(35a) 상에 결합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백 조립체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박막형 혼 스위치(40)가 내측커버(20)의 간격리브(25)에 의해 외측커버(10)의 접촉돌기(11b)와 적당한 접촉간격(최소한 2.5mm정도)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고정돌기(26) 및 결합돌기(29)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측커버(20)의 날개부(22)의 결합공(27)들이 외측커버(10)의 내측 플랜지(12)의 결합돌기(15)들에 결합됨에 따라, 내측커버(20)는 외측커버(10)의 내측면 상에 고정된다. 이때, 박막형 혼 스위치(40)의 케이블(41)은 내, 외측커버(20, 10)의 케이블 고정용 홈(22a, 19)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접혀진 쿠션(50)은 리테이너 링(60)의 정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61)에 의해 그 주입구측이 커버 브라켓(30)의 결합공(35a) 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커버 브라켓(30)의 함몰좌면(35)상에 인플레이터(70)의 플랜지(71)가 안착되어 체결됨으로써, 인플레이터(70)는 커버 브라켓(30)상에 결합된다.
이때, 커버 브라켓(30)의 위치결정용 걸림턱(38)이 외측커버(10)의 위치결정용 걸림홈(16)에 끼워짐에 따라, 커버 브라켓(30)의 장착위치가 결정되고, 커버 브라켓(30)의 가결합용 걸림공(38)이 내측커버(20)의 가결합용 걸림돌기(28) 상에 걸림으로써, 커버 브라켓(30)이 내, 외측커버(20, 10) 상에 가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버 브라켓(30)과 내, 외측커버(20, 10)의 리벳팅에 의한 결합이 매우 용이해지는 특징이 있다.
다음, 커버 브라켓(30)의 리벳공(36)들과 내, 외측커버(10)의 리벳공(29, 14)들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리벳팅에 의해 커버 브라켓(30)과 외측커버(10)가 결합고정된다.
한편,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에어백 조립체는 커버 브라켓(30)의 스티어링휠용 장착좌면(32) 상에 스티어링 휠(미도시)로부터 체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스티어링 휠 상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백의 작동성 뿐만 아니라, 에어백 조립체를 이루는 각 부품 상호간의 안정적인 조립성, 견고한 결합력, 및 내측커버 상에 장착되는 박막형 혼 스위치의 작동성 등을 향상시킨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소정 위치에 티어부를 구비한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형성된 내, 외측 플랜지로 이루어진 외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커버의 티어부에 대응되는 티어부를 구비한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로 이루어진 내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외측커버를 누름에 따라 혼 신호를 발생시키는 박막형 혼 스위치와; 상기 내측커버의 내측면 상에 접혀진 채로 설치되는 쿠션과; 상기 내, 외측커버의 결합좌면 상에 리벳팅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브라켓과; 상기 쿠션의 주입구를 상기 커버 브라켓 상에 결합시키는 리테이너 링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의 날개부 및 외측커버의 내측 플랜지 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내측커버의 날개부 외측면과 상기 커버 브라켓의 결합좌면 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커버와 커버 브라켓을 가결합시키는 가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버의 평탄부의 내측면 상에 다수의 접촉돌기가 종 및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의 티어부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티어 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커버의 평탄부의 박막형 혼 스위치가 설치되는 테두리부분에는 간격리그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의 티어부의 전방측에는 격자 형상의 비틀림 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커버의 간격리그의 전, 후측면 상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 브라켓의 각 가장자리부분은 소정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좌면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브라켓의 중앙 부분에 상기 인플레이터의 플랜지가 장착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함몰좌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내측커버의 날개부 및 외측커버의 내측 플랜지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 및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수단은 상기 내측커버의 날개부 외측면 상에 소정각도의 경사면을 구비한 가결합용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 브라켓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가결합용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가결합용 걸림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의 각 모서리부분은 소정반경으로 라운딩처리됨과 동시에 하부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와 접촉하는 부분 상에 결합 유격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결합유격 조절용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커버는 상기 박막형 혼 스위치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안착되는 케이블 고정용 홈을 상호 대응되게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의 간격리그의 높이가 상기 내측커버의 비틀림 방지턱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의 함몰좌면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플랜지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로 함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KR2020020009468U 2002-03-29 2002-03-29 에어백 조립체 KR200280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68U KR200280009Y1 (ko) 2002-03-29 2002-03-29 에어백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68U KR200280009Y1 (ko) 2002-03-29 2002-03-29 에어백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009Y1 true KR200280009Y1 (ko) 2002-07-02

Family

ID=7312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68U KR200280009Y1 (ko) 2002-03-29 2002-03-29 에어백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0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799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799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780B1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US6299198B1 (en) Passenger-side airbag system
EP1431133B1 (en) Curtain airbag device
US8297676B2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JPH0747227Y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557602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157552A (ja)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JPH10157549A (ja)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US20090033071A1 (en) Pedestrian Airbag Apparatus
JPH11310099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20050704A1 (en) Module cover of airbag device
JP5205382B2 (ja) 安全性能改善のための2枚構成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背面カバー
KR200280009Y1 (ko) 에어백 조립체
JP3937308B2 (ja) 車両内装部材
KR200280010Y1 (ko) 에어백 조립체
KR200296780Y1 (ko) 에어백 조립체
JP467440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78680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40904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KR100735680B1 (ko) 에어백 모듈 결합 구조
KR20090028099A (ko) 차량의 에어백 모듈
KR100471758B1 (ko)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JP2607392Y2 (ja) エアバッグ装着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503307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4023177B2 (ja) ホーンスイッチ機構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